KR20230027927A -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927A
KR20230027927A KR1020210110238A KR20210110238A KR20230027927A KR 20230027927 A KR20230027927 A KR 20230027927A KR 1020210110238 A KR1020210110238 A KR 1020210110238A KR 20210110238 A KR20210110238 A KR 20210110238A KR 20230027927 A KR20230027927 A KR 2023002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able tray
bent
coupled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890B1 (ko
Inventor
이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1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연결봉, 상기 한 쌍의 수직 연결봉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각각 제1 절곡편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절곡편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편을 구비하는 제1 절곡 부재, 상기 제2 절곡편에 결합되는 제1 회동편 및 제1 회동편에 제1 체결축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편을 구비하는 제1 회동 부재, 상기 제2 회동편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는 경사 연결봉, 상기 경사 연결봉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3 회동편 및 상기 제3 회동편에 제2 체결축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4 회동편을 구비하는 제2 회동 부재 및 상기 제4 회동편에 결합되는 제3 절곡편 및 제3 절곡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절곡편을 구비하는 제2 절곡 부재를 포함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ANTI-SEISMIC CABLE TRAY}
본 발명은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설치 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 또는 충격 발생 시 케이블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이 정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들을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이드레일과 가로연결부재의 끝단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용접 등으로 직접 고정하거나, 조립과 해체 등의 편리를 위해 결합구조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케이블 트레이가 시공된 장소에 지진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 트레이 지지 부재가 천장(RF)에서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서 케이블 트레이는 가로 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처럼,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가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에 온전하게 고정되지 못하면 케이블이 절단되거나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매우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89873호(2007.03.12. 공고)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56881호(2011.11.24. 공고) 한국공개특허 2012-0030224호(2012.03.28. 공개) 한국등록특허 10-1326806호(2013.11.20.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 또는 충격 발생 시 케이블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연결봉, 상기 한 쌍의 수직 연결봉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각각 제1 절곡편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절곡편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편을 구비하는 제1 절곡 부재, 상기 제2 절곡편에 결합되는 제1 회동편 및 제1 회동편에 제1 체결축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편을 구비하는 제1 회동 부재, 상기 제2 회동편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는 경사 연결봉, 상기 경사 연결봉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3 회동편 및 상기 제3 회동편에 제2 체결축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4 회동편을 구비하는 제2 회동 부재 및 상기 제4 회동편에 결합되는 제3 절곡편 및 제3 절곡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절곡편을 구비하는 제2 절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편과 제1 회동편은 상호 두께를 관통하는 제1 체결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4 회동편과 제3 절곡편은 상호 두께를 관통하는 제2 체결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편은 상기 제2 절곡편의 내측 공간의 반대측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4 회동편은 상기 제3 절곡편의 내측 공간의 반대측면에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연결봉은 상기 제2 회동편 및 제3 회동편의 두께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 너트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축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경사 연결봉의 일단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축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경사 연결봉의 타단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연결봉의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반경 방향 일측 일부분이 개구되는 제1 스프링 와셔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체결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반경 방향 일측 일부분이 개구되는 제2 스프링 와셔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 와셔 및 제2 스프링 와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반대측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는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이나 강한 충격으로부터 케이블 트레이를 온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3축 방향에 대한 진동 흡수가 가능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완충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케이블이 수용된 케이블 트레이에 제1 절곡 부재 및 제1 회동 부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케이블이 수용된 케이블 트레이에 제1 절곡 부재 및 제1 회동 부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은 수직 연결봉(100), 케이블 트레이(200), 제1 절곡 부재(211), 제1 회동 부재(212), 경사 연결봉(220), 제2 회동 부재(221) 및 제2 절곡 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연결봉(100)은 도면상 상측 단부가 천장에 직접적으로 앵커 볼트(미도시)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지만, 일 예로, 천장에 기 설치된 채널 부재(1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연결봉(100)의 도면상 하측 단부가 케이블 트레이(20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연결봉(100)은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산 볼트일 수 있다. 수직 연결봉(100)이 전산 볼트인 경우, 수직 연결봉(100)의 길이 범위 내에서 케이블 트레이(200)의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 트레이(200)는 한 쌍의 수직 연결봉(100)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200)의 종단면 형상은 상측으로 개구되는 수용홈(2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케이블(C)이 케이블 트레이(200)의 수용홈(2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C)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케이블 트레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수용홈(210)에 고정됨으로써 천장에 메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절곡 부재(211)는 케이블 트레이(2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각각 제1 절곡편(211a)이 결합되고, 제1 절곡편(211a)으로부터 케이블 트레이(2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편(21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절곡편(211a)은 별도의 체결 부재(211c)를 통하여 케이블 트레이(20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절곡편(211b)은 제1 절곡편(211a)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 절곡편(211a)과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211c)의 반경 방향(x)을 따라 케이블 트레이(200)의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절곡편(211b)에는 제1 회동 부재(212)가 체결될 수 있다.
제1 회동 부재(212)는 제2 절곡편(211b)에 결합되는 제1 회동편(212a) 및 제1 회동편(212a)에 제1 체결축(211d)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편(212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동편(212a)은 제1 체결축(211d)을 통하여 제2 절곡편(211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편(212a)은 제1 체결축(211d)을 통하여 제2 절곡편(211b)에 체결되되, 제1 체결축(211d)의 반경 방향(y)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사 연결봉(220)이 제1 체결축(211d)을 중심으로 각도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회동편(212a)은 제2 절곡편(211b)의 내측 공간의 반대측면에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절곡편(211a)과 제2 절곡편(211b)이 이루는 내측 공간이 보다 넓어져, 제1 절곡편(211a)과 케이블 트레이(200) 간의 체결 너트 및 제2 절곡편(211b)과 제1 회동편(212a) 간의 체결 너트 체결 시의 공간이 확보되어 사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축(211d)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반경 방향 일측 일부분이 개구되는 제1 스프링 와셔(213)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체결축(211d)이 제1 스프링 와셔(213)는 제1 체결축(211d)의 너트부와 제2 절곡편(211b)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와셔(2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초기 진동시에는 제1 체결축(211d)의 체결력으로 작용하여 별도의 변위 없이 내진 기능이 수행되지만, 일정 진동 이상이 되면 제1 스프링 와셔(213)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탈됨으로써 변위가 발생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1 스프링 와셔(213)의 타측 일부분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13a)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13a)는 제1 스프링 와셔(213)가 진동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인접한 너트부 또는 제2 절곡편(211b) 간의 헐거워진 상태에서 제1 스프링 와셔(213)의 개구된 부분(213b)이 상측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편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스프링 와셔(213)가 제1 체결축(211d)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체결축(211d)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경사 연결봉(220)의 일단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P1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경사 연결봉(220)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제1 힌지축(212d)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게 되는 경우, 제1 체결축(211d)에 회전력이 동시에 가해지는 힘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 체결축(211d)에 과도한 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회동편(212b)은 제1 회동편(212a)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회동편(212b)은 제1 힌지축(212d)의 반경 방향(z)을 따라 회동 가능하므로 제1 체결축(211d)의 회전 각도와 수직한 회전 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 연결봉(2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을 보면, 서로 교차하는 회전축인 제1 회전축(x), 제2 회전 축(y) 및 제3 회전축(z)을 중심으로 설치 각도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경사 연결봉(220)의 타단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로 3축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설치 각도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경사 연결봉(220)은 소정 길이를 갖고, 일단이 제2 회동편(212b)에 체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3 회동편(221a)에 체결 수 있다.
또한, 경사 연결봉(220)은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산 볼트일 수 있는데, 이 경우, 경사 연결봉(220)의 길이 내에서 별도의 너트 부재(220a, 220b)를 통하여 제2 회동편(212b) 및 제3 회동편(221a)에 대하여 설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제2 회동 부재(221)는 경사 연결봉(220)의 일단에 체결되는 제2 회동편(212b) 및 경사 연결봉(220)의 타단에 체결되는 제3 회동편(22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회동편(212b)은 별도의 너트 부재(220a)를 통하여 경사 연결봉(220)의 일단에 체결될 수 있다. 제3 회동편(221a)은 천장에 채널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 절곡 부재(211) 및 제1 회동 부재(212)의 케이블 트레이(200)와의 체결 위치보다 긴 길이로 배치됨으로써 경사 연결봉(220)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경사 연결봉(220)은 수직 연결봉(100)을 보조하여 케이블 트레이(20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케이블 트레이(200)를 지지하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200)는 설치된 높이(h)를 유지하면서 지진이나 강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3 회동편(221a)은 제2 힌지축(221d)을 통하여 제4 회동편(221b)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4 회동편(221b)은 두께를 관통하는 제2 체결축(222c)을 통하여 제3 절곡편(222a)과 체결될 수 있다. 즉, 제3 회동편(221a)은 제2 힌지축(221d)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절곡편(222a)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절곡편(222b)이 구비됨으로써 제3 절곡편(222a) 및 제4 절곡편(222b)가 제2 절곡 부재(222)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2 체결축(222c)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반경 방향 일측 일부분이 개구되는 제2 스프링 와셔(223)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스프링 와셔(213)는 제2 체결축(222c)의 너트부와 제3 절곡편(222a)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와셔(22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초기 진동시에는 제2 체결축(222c)의 체결력으로 작용하여 별도의 변위 없이 내진 기능이 수행되지만, 제1 스프링 와셔(213)와 같은 원리로, 일정 진동 이상이 되면 제2 스프링 와셔(223)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탈됨으로써 변위가 발생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2 스프링 와셔(223)의 타측 일부분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23a)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3a)는 제2 스프링 와셔(223)가 진동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인접한 너트부 또는 제3 절곡편(222a) 간의 헐거워진 상태에서 제2 스프링 와셔(223)의 개구된 부분(223b)이 상측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편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스프링 와셔(223)가 제2 체결축(222c)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체결축(222c)은 그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경사 연결봉(220) 타단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P2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경사 연결봉(220)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제2 힌지축(221d)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게 되는 경우, 제2 체결축(222c)에 회전력이 동시에 가해지는 힘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2 체결축(222c)에 과도한 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4 회동편(221b)은 제3 절곡편(222a)의 내측 공간의 반대측면에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절곡편(222a) 및 제4 절곡편(222b)이 이루는 내측 공간(S2)이 보다 넓어져, 제3 절곡편(222a)과 제4 회동편(221b) 간의 체결 너트 및 제4 절곡편(222b)과 천장 간의 체결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사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는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이나 강한 충격으로부터 케이블 트레이를 온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3축 방향에 대한 진동 흡수가 가능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완충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수직 연결봉
200: 케이블 트레이
211: 제1 절곡 부재
211a: 제1 절곡편
211b: 제2 절곡편
212: 제1 회동 부재
212a: 제1 회동편
212b: 제2 회동편
200: 경사 연결봉
221: 제2 회동 부재
221a: 제3 회동편
221b: 제4 회동편
222: 제2 절곡 부재
222a: 제3 절곡편
222b: 제4 절곡편

Claims (8)

  1.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연결봉;
    상기 한 쌍의 수직 연결봉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각각 제1 절곡편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절곡편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편을 구비하는 제1 절곡 부재;
    상기 제2 절곡편에 결합되는 제1 회동편 및 제1 회동편에 제1 체결축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편을 구비하는 제1 회동 부재;
    상기 제2 회동편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는 경사 연결봉;
    상기 경사 연결봉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3 회동편 및 상기 제3 회동편에 제2 체결축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4 회동편을 구비하는 제2 회동 부재; 및
    상기 제4 회동편에 결합되는 제3 절곡편 및 제3 절곡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절곡편을 구비하는 제2 절곡 부재를 포함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편과 제1 회동편은 상호 두께를 관통하는 제1 체결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4 회동편과 제3 절곡편은 상호 두께를 관통하는 제2 체결축으로 결합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편은 상기 제2 절곡편의 내측 공간의 반대측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4 회동편은 상기 제3 절곡편의 내측 공간의 반대측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연결봉은 상기 제2 회동편 및 제3 회동편의 두께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 너트를 통하여 결합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축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경사 연결봉의 일단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축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경사 연결봉의 타단의 축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연결봉의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반경 방향 일측 일부분이 개구되는 제1 스프링 와셔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체결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반경 방향 일측 일부분이 개구되는 제2 스프링 와셔가 포함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와셔 및 제2 스프링 와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반대측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20210110238A 2021-08-20 2021-08-20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265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238A KR102651890B1 (ko) 2021-08-20 2021-08-20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238A KR102651890B1 (ko) 2021-08-20 2021-08-20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927A true KR20230027927A (ko) 2023-02-28
KR102651890B1 KR102651890B1 (ko) 2024-03-28

Family

ID=8532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238A KR102651890B1 (ko) 2021-08-20 2021-08-20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8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4337B2 (ja) * 1997-05-22 1999-04-19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ボルト用振れ止め金具
KR100689873B1 (ko) 2006-11-10 2007-03-12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0456881Y1 (ko) 2010-11-16 2011-11-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US20120030224A1 (en) 2010-07-29 2012-02-02 Activepath Ltd. Enabling active content in messaging using automatic data replacement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4337B2 (ja) * 1997-05-22 1999-04-19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ボルト用振れ止め金具
KR100689873B1 (ko) 2006-11-10 2007-03-12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US20120030224A1 (en) 2010-07-29 2012-02-02 Activepath Ltd. Enabling active content in messaging using automatic data replacement
KR200456881Y1 (ko) 2010-11-16 2011-11-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890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741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326806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KR102216665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 장치
KR102109580B1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2230065B1 (ko)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KR101969079B1 (ko) 이중 내진구조의 천장용 배관거치대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KR20190102548A (ko) 내진형 행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KR101972157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1820473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KR102651890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20160087790A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1997050B1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102210420B1 (ko) 내진 구조를 구비한 목조 주택
KR101774284B1 (ko)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2072484B1 (ko) 천장패널용 행거 내진 장치의 설치 방법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JP7203368B2 (ja) 天井制振システム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KR101828265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KR102152745B1 (ko) 케이블 트레이, 전선관, 버스덕트 지지대의 내진장치
KR102318143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KR101074452B1 (ko) 액세스 플로어용 면진 정착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