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791A -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 Google Patents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791A
KR20230027791A KR1020210109972A KR20210109972A KR20230027791A KR 20230027791 A KR20230027791 A KR 20230027791A KR 1020210109972 A KR1020210109972 A KR 1020210109972A KR 20210109972 A KR20210109972 A KR 20210109972A KR 20230027791 A KR20230027791 A KR 20230027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frame
square
cube
card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라니아
박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라니아, 박덕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라니아
Priority to KR102021010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791A/ko
Publication of KR2023002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13Internal elements supporting the contents and movable for displaying them, e.g. movable bottom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11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application of separate elements, e.g. clips, hooks, e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는 제1정사각형 프레임(10), 제2정사각형 프레임(20), 제3정사각형 프레임(30), 제4정사각형 프레임(40),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으로 이루어지고, 제1정사각형 프레임(10)는 제3정사각형 프레임(30)과 마주하고,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은 제4정사각형 프레임(40)과 마주하며, 제5정사각면(50)는 제6정사각면(60)과 마주하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 제2정사각형 프레임(20), 제3정사각형 프레임(30), 제4정사각형 프레임(40),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을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변)은 서로 인접된 변과 연결되거나 일정크기의 여유공유면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고, 정육면체 내에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카드가 있어, 정육면체의 일면에 외력이 작용될 때, 면접된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 및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에 면접되어 2차원 구조로 수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Cube Box with Card }
본 발명은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2차원 직사각형 구조로부터 탄성체에 의해 정육면체로 형상이 복원가능한 박스 내에 카드가 내장되거나 수납될 수 있는 정육면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크리스마스 또는 연말연시에 인사장으로 보내는 것으로서,이러한 카드는 대체적으로 종이재질의 판지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이의 표면에 각종 그림이나 또는 글씨를 인쇄하여 사용되는 것과, 또한 일정크기로 절단되는 판지의 중심부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이의 표면에 각종 그림이나 글씨들을 인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즉, 접을수 있도록 사용되는 절첩식 카드는 그 중심부에 절접선을 구비하여 이를 중심으로 양측면이 접혀지거나 또는 편쳐지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전면에는 각종 그림이나 글씨들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절첩식 카드는 접힘부를 펼쳐서 인위적으로 입체형태로 전환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입체형태로의 전환없이 스스로 입체로 전환되는 카드 혹은 카드 내용물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 20-1996-0010515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2차원 직사각형 구조의 형태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카드가 탄성체에 의해 3차원 정육면체로 형상복원되면서 외부에서 전시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이루기위해, 제1, 2, 3, 4, 5 및 6정사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정육면체에 있어서,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사이에 형성된 제1겹침부(70);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과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의 사이에 형성된 제2겹침부(80); 상기 제1겹침부의 중앙선에 위치한 제1지지부(18); 상기 제2겹침부의 중앙선에 위치한 제2지지부(36); 상기 제1매듭과 상기 제2매듭을 연결하는 탄성체(26);를 포함하며, 상기 정육면체의 일면에 외력이 작용될 때,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은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에 면접되고, 상기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은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에 면접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면접된 제1,2,3,4정사각형 프레임이 복원됨으로서 상기 정육면체를 다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를 특징으로 한다.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는 상기 제5정사각면(50)은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일측에 접하고, 상기 제6정사각면(60)는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타측에 접한다. 상기 제5정사각면 및 상기 제6정사각면에는 제5정사각면 및 제6정사각면이 형성되고, 각각의 절개부(22,24)가 대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는 상기 정육면체에 대한 외력이 작용 시, 상기 절개부(22,24)에 의해 상기 제5정사각면 및 상기 제6정사각면 혹은 제5정사각면 및 정6각면은 상기 탄성체를 향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는 상기 접혀진 제5정사각면 및 상기 제6정사각면 혹은 제5정사각면 및 정6각면은 제1정사각형 프레임 및 제3정사각형 프레임의 사이, 제2정사각형 프레임 및 제4정사각형 프레임으로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는 상기 제1겹침부(70)는 제1중심선(16)을 따라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12)와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14)가 서로 접하고, 상기 제2겹침부(80)는 제2중심선(32)을 따라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28)와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34)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는 상기 제1겹침부(70)는 제1중심선(16) 및 상기 제2겹침부(80)는 제2중심선(32)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정육면체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드는 상기 정육면체의 일면에 외력이 작용될 때, 면접된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 및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에 모두 면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육면체을 평면으로 전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전개도로부터 정육면체가 형성된 입체이다.
도 3은 3차원의 정육면체를 접어 직사각형의 2차원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도 4는 직사각형으로 접혀진 정육면체 내에 카드가 설치된 형상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육면체을 평면으로 전개한 것이다. 정육면체는 제1정사각형 프레임(10), 제2정사각형 프레임(20), 제3정사각형 프레임(30), 제4정사각형 프레임(40),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으로 이루어지고, 제1정사각형 프레임(10)는 제3정사각형 프레임(30)과 마주하고,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은 제4정사각형 프레임(40)과 마주하며, 제5정사각면(50)는 제6정사각면(60)과 마주한다.
제1정사각형 프레임(10), 제2정사각형 프레임(20), 제3정사각형 프레임(30), 제4정사각형 프레임(40),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을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변)은 서로 인접된 변과 연결되거나 일정크기의 여유공유면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여유공유면이란, 각각의 사각형 프레임 혹은 사각면을 서로 연결하기위해 사각형 프레임 혹은 사각면마다 모서리(변)를 따라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 혹은 사각면 간의 공유면으로 정육면체 박스의 외형상 보이지는 않지만, 여유공유면의 접착을 통해 각각의 사각형 프레임 혹은 사각면이 모여 정육면체를 형성한다.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사이에 제1겹침부(70), 제3정사각형 프레임(30)과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의 사이에 제2겹침부(80)가 형성된다. 제1겹침부의 일측 변(12)은 제1정사각형 프레임(10)의 일측 변(12)이 서로 공유되며, 제2겹침부의 일측 변(34)은 제4정사각형 프레임(10)의 일측 변(34)와 서로 공유된다. 제1겹침부의 일측 변(12)과 마주하는 일측 변(14)는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일측 변(14)과 서로 공유되며, 제2겹침부의 일측 변(34)고 마주하는 일측 변(28)은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의 일측 변(28)과 서로 공유된다.
제1겹침부(70) 및 제2겹칩부(80)은 직사각형으로 각각의 가상의 중심선(16)(32)을 따라 정육면체의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가상의 중심선(16)(32)은 정육면체의 내측으로 접혀짐으로서 서로 대향되고, 제1겹침부의 일측 변(12)은 마주하는 일측 변(14)과 접하며, 제2겹침부의 일측 변(34)은 마주하는 일측 변(28)과 서로 접한다. 이로인해 결과적으로 제1정사각형 프레임(10)의 일측 변(12)이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일측 변(14)과 서로 접하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의 일측 변(28)이 제4정사각형 프레임(20)의 일측 변(34)과 서로 접할 수 있다.
한편, 제1겹침부의 가상의 중앙선(16) 상에 위치한 제1지지부(18)와 제2겹침부의 가상의 중앙선(32)에 위치한 제2지지부(36)는 서로에게 탄성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는 탄성체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8)은 중앙선(16)의 중앙에 위치하며, 제2지지부(36)은 중앙선(3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의 제1지지부(18), 제2지지부(36)에 의해 위치를 더욱 분명히 할 수 있다.
제1지지부(18) 및 제2지지부(36)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26)는 신축성이 있는 탄성줄(string)이거나, 탄성밴드(band) 혹은 탄성용수철(spring)일 수 있으며, 일정 탄성계수에 의해 길이에 비례한 탄성복원력을 가진다.
도 2는 도 1의 평면전개도로부터 정육면체가 형성된 입체이다. 제1겹침부(70) 및 제2겹침부(80)는 서로 대향되며, 가상의 사각형평면 내에 위치한다. 제1지지부(18) 및 제2지지부(36)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26)도 마찬가지로 가상의 사각형평면 내에 위치한다.
도 1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은 각각 대각선으로 절개된 절개선(22)(2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선은 절개선의 형상이다.
앞서, 제1겹칩부 및 제2겹침부를 포괄하는 가상의 사각형평면을 제시했는데, 제5정사각면(50)의 절개선(22)과 제6정사각면(60)의 절개선(24)에 의해서도 또다른 가상의 사각평면 상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서로 대향되는 제1겹침부(70) 및 제2겹침부(80)에 의한 가상의 사각형평면을 가상의 제1사각형평면이라고한다면, 제5정사각면(50)의 절개선(22)과 제6정사각면(60)의 절개선(24)에 의한 가상의 사각형평면은 가상의 제2사각형평면이며, 가상의 제1사각형평면과 가상의 제2사각형평면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탄성체는 가상의 제1사각평면 상에 위치하면서 가상의 제2사각형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관통한다.
한편, 도 2의 정육면체의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이 정육면체의 내부에서 서로 면접되도록하고, 제3정사각형 프레임(30)과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이 정육면체의 내부에서 서로 면접되도록하기 위해 각각을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외력이 정육면체 박스의 내부에서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을 면접되도록하고, 제3정사각형 프레임(30)과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을 면접되도록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결국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이 접하는 변, 제2정사각형 프레임(20)과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이 접하는 변이 서로 만나도록 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함을 의미한다. 즉,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이 접하는 변, 제2정사각형 프레임(20)과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이 접하는 변에 외부에서 일정 이상의 외력을 인가하면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이 접하는 변, 제2정사각형 프레임(20)과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이 접하는 변이 서로 접하게 되는데, 이는 제5사각면(50)과 제6사각면(60)에 대각선으로 절개선(22)(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외력에 의해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이 접하는 변, 제2정사각형 프레임(20)과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이 접하는 변이 서로 접하면서, 제5사각면(50)과 제6사각면(60)에는 대각선으로 절개선(22)(23)이 있기 때문에 제5정사각면(50)의 절개선(22)과 제6정사각면(60)의 절개선(24)에 의해 제5사각면(50)과 제6사각면(60) 각각은 정육면체 박스의 내부로 접혀져 서로 면접될 수 있다.
제5정사각면(50)과 제6정사각면(60)에는 대각선으로 절개선이 있기 때문에 정육면체의 내부에서 서로 면접되도록하고, 제5정사각면(50)과 제6정사각면(60)은 각각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접힘선(38)(42)를 따라 정육면체의 밖으로 접히거나, 정육면체의 안으로 접히게 된다.
마주보는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 혹은 제5정사각면(50)과 제6정사각면(60)은 제5정사각면(50)의 절개선과 제6정사각면의 절개선과 다른 대각선으로 접힘선(38)(42)이 형성하되, 접힘선은 제5정사각면(50)이 절개선에 의해 양분되어 접히질 때 정육면체의 안으로 접히도록 하기 위해,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의 정육면체 안쪽면을 따라 음각의 접힙선(38)(42)을 형성함으로서 가능해진다.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의 정육면체 안쪽면을 따라 음각의 접힙선(38)(42)을 형성함으로서 정육면체의 안으로 접히도록 하는 이유는 도 3에 나타나있다.
도 3은 도 3은 3차원의 정육면체 박스를 앞서 외력에 의해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이 접하는 변, 제2정사각형 프레임(20)과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이 접하는 변이 서로 접하도록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접어 직사각형의 2차원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3차원의 정육면체를 접어 직사각형의 2차원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제5정사각면(50) 및 제6정사각면(60)의 정육면체 안쪽면을 따라 음각의 접힙선(38)(42)을 형성함으로서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가 가능하다.
3차원의 정육면체가 2차원 직사각형이 되면 편지봉투와 같이 두께가 얇으면서도 2차원 직사각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수납장소에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편지봉토와 같은 수납장소로부터 꺼내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3차원 형상의 구조로 자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수납장소에서 3차원의 정육면체가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로 변환된 채 유지되려면, 수납장소에서 3차원의 정육면체로부터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를 유지하도록 압축하는 외력보다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로부터 3차원의 정육면체로 변환을 하려는 힘보다 더 커야한다. 즉, 일례로 편지봉투에 의해 3차원의 정육면체를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로 유지하려는 힘이 탄성체의 복원력보다 커야한다.
한편, 편지봉투에서 꺼내자마자, 편지봉투에 의해 3차원의 정육면체를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로 유지하려는 힘은 해제되고, 눌려졌던 3차원 정육면체 제1지지부(18) 및 제2지지부(36)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체(26)의 복원력에 의해 3차원 정육면체로 복원되게 된다.
한편, 3차원의 정육면체 박스는 6면 각각의 재질 및 두께에 의해 정육면체 박스를 유지하는데, 제1지지부(18) 및 제2지지부(36)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체(26)의 복원력이 이보다 크면 정육면체 박스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탄성체의 복원력은 수납장소의 예시인 편지봉투에 의해 2차원 직사각형 구조에 의해 눌려지는 압축력보다 작고, 3차원 정육면체 박스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6면 각각의 재질 및 두께에 의해 제1지지부(18) 및 제2지지부(36) 간에 유지되는 힘보다도 작다. 정육면체를 2차원 구조로 변형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외력은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보다 크며, 상기 정육면체 박스의 형상 복원이 된 후에는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은 상기 정육면체 박스의 형상이 유지하려는 힘보다 작다.
도 4는 3차원의 정육면체를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로 유지할 때 탄성체에 카드(90)를 설치한 것으로 일정 두께 이하의 얇은 카드는 3차원의 정육면체를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 변화시켜 편지봉투 안에 삽입하는데 방해되지 않으며, 직사각형의 2차원구조로부터 3차원의 정육면체로 변형되었을 때, 정육면체를 이루는 프레임을 통해 외부에서 보이거나 터치 가능하며, 카드는 펜던트 혹은 장식물등 카드 형태로 수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며, 직접 카드 자체일 수도 있고, AR 카드일 수도 있다.
또한, 정육면체 박스의 개방감을 위해 제5사각면(50)과 제6사각면(60)는 제5사각형 프레임 및 제6사각형 프레임으로 대체됨으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의 제5사각면(50)이나 제6사각면(60)을 통해, 카드를 보거나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제5사각면(50)이나 제6사각면(60) 각각 대각선으로 절개된 절개선(22)(24)을 따라, 정육면체의 내측으로 접혀져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보이며, 카드의 크기는 절개선(22)(24)를 따라 접혀진 제5사각면(50)이나 제6사각면(60)의 모서리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모서리(22)(24)보다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제1정사각형 프레임
20 : 제2정사각형 프레임
30 : 제3정사각형 프레임
40 : 제4정사각형 프레임
50 : 제5정사각면
60 : 제6정사각면
26 : 탄성체
18 : 제1지지부
36 : 제2지지부
90 : 카드

Claims (6)

  1. 제1, 2, 3, 4, 5 및 6정사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정육면체에 있어서,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과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사이에 형성된 제1겹침부(70);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과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의 사이에 형성된 제2겹침부(80);
    상기 제1겹침부의 중앙선에 위치한 제1지지부(18);
    상기 제2겹침부의 중앙선에 위치한 제2지지부(36);
    상기 제1매듭과 상기 제2매듭을 연결하는 탄성체(26);
    상기 탄성체에 설치된 카드(70)를 포함하며,
    상기 정육면체의 일면에 외력이 작용될 때,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은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에 면접되고, 상기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은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에 면접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면접된 제1,2,3,4정사각형 프레임이 복원됨으로서 상기 정육면체를 다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정사각면(50)은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일측에 접하고, 상기 제6정사각면(60)는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의 타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면체에 대한 외력이 작용 시, 상기 제5정사각면 및 상기 제6정사각면은 상기 탄성체를 향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혀진 제5정사각면 및 제6정사각면은 절개부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 제1정사각형 프레임 및 제2정사각형 프레임의 사이 및 제3정사각형 프레임 및 제4정사각형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형상 복원되는 정육면체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겹침부(70)는 제1중심선(16)을 따라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12)와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14)가 서로 접하고,
    상기 제2겹침부(80)는 제2중심선(32)을 따라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28)와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의 일측변(34)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정육면체의 일면에 외력이 작용될 때, 면접된 상기 제1정사각형 프레임(10), 상기 제3정사각형 프레임(30), 상기 제2정사각형 프레임(20) 및 상기 제4정사각형 프레임(40)에 모두 면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KR1020210109972A 2021-08-20 2021-08-20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KR20230027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72A KR20230027791A (ko) 2021-08-20 2021-08-20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72A KR20230027791A (ko) 2021-08-20 2021-08-20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91A true KR20230027791A (ko) 2023-02-28

Family

ID=8532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72A KR20230027791A (ko) 2021-08-20 2021-08-20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7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15U (ko) 1994-09-23 1996-04-12 자동차 시트 각도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15U (ko) 1994-09-23 1996-04-12 자동차 시트 각도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371B2 (en) Picture frame
US4319418A (en) Collapsible ornamental solids
US6679032B2 (en) Combined integral picture frame and mailer or greeting card
US3357543A (en) Display and gift box
US2824394A (en) Greeting card
US5641115A (en) Combination greeting card and envelope
GB2410214A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devices and greetings cards with inserts.
KR20230027791A (ko) 카드가 내장된 정육면체 박스
US4782611A (en) One-piece foldable frame assembly
KR102579040B1 (ko) 종이가루 이벤트 정육면체 박스
KR20230027793A (ko) 탄성에 의해 형상 복원되는 정육면체 박스
US4989355A (en) Display card
US2354066A (en) Postal greeting folder
US3132795A (en) Phonograph record envelope
CN209834242U (zh) 一种结合手机全息投影的包装
US7798390B2 (en) Openable packaging and blank for it
US2978824A (en) Display mounts
US2017637A (en) Letter card
US20040046011A1 (en) Carton
RU166372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очтового отправления
JP4373490B1 (ja) ポップアップ多面体
RU213272U1 (ru)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ая открытка
CN215708715U (zh) 一种折叠式糖果包装盒
KR20230027792A (ko) 캐리어 용 정육면체 박스
GB2220381A (en) Postcard for mailing and displaying a photogra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