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636A - 총기용 레일 마운트 - Google Patents

총기용 레일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636A
KR20230027636A KR1020210109645A KR20210109645A KR20230027636A KR 20230027636 A KR20230027636 A KR 20230027636A KR 1020210109645 A KR1020210109645 A KR 1020210109645A KR 20210109645 A KR20210109645 A KR 20210109645A KR 20230027636 A KR20230027636 A KR 20230027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groove
locking
firear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563B1 (ko
Inventor
임홍규
이상와
정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Priority to KR102021010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41G11/003Mountings with a dove tail element, e.g. "Picatinny ra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41G11/004Mountings with clamping means on the device embracing at least a part of the firearm, e.g. the receiver or a dust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는, 총기용 레일에 탈착되는 하부 홈과, 부가 장치에 탈착되는 상부 홈과, 일측에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되 하부의 길이 방향상으로 블록 홈이 형성된 사이드 홈과, 사이드 홈과 연통되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실린더 홀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사이드 홈상에서 회동 이동하는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로드와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사이드 홈을 개폐함에 따라 고정부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이중잠금부와, 본체부의 상부 홈에 탈착 가능하며, 별도의 부가 장치를 선택적으로 회동 조절하는 플립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총기용 레일 마운트{RAIL MOUNT FOR RIFLE}
본 발명은 총기용 레일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는 권총, 소총, 기관단총, 기관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총기는 사용 목적에 맞게 적합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기관단총은 기본적으로 가늠쇠와 가늠자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사격할 시 조준을 수월하게 하고 명중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가늠쇠와 가늠자는 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마다 조준점이 다르므로, 저마다의 조준점이 일치되도록 조절하기 위해선 각 개인마다 영점 사격을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특히, 총기마다 총열 등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같은 총기라고 해도 개인마다 조준점이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탄착군을 형성하기 위해선 영점 조절은 반드시 수반돼야 할 필수 과정이다.
군수업계에서는 위와 같이 기계식 조준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점차적으로 광학식 조준기를 이용한 조준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조준점이 정해져 있는 광학식 조준기는, 총기에 장착된 후 조준점이 해당 총기의 영점에 맞게 변경될 시 총기를 처음 다루는 초심자라고 할지라도 명중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사격 시 광학식 조준기가 장착된 총기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조준점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광학식 조준기는 조준 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는 장점까지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효율성을 바탕으로 총기에 광학식 조준기와 같은 부가 장치를 장착하여 사격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선, 저마다 구조가 다른 다양한 총기에 장착할 수 있는 레일(군수 표준 규격인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 등)에 부착되는 별도의 레일 마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레일 마운트는 레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총기에 다양한 부가 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대로서 기능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각 상황에 맞게 부가 장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레일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이중잠금 구조를 가지며, 반고정으로 운용하는 부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플립(Flip) 구조를 갖는 QD(Quick Detachable) 타입의 총기용 레일 마운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는, 총기용 레일에 탈착되는 하부 홈과, 부가 장치에 탈착되는 상부 홈과, 일측에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되 하부의 길이 방향상으로 블록 홈이 형성된 사이드 홈과, 사이드 홈과 연통되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실린더 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사이드 홈상에서 회동 이동하는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로드와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며 본체부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부; 사이드 홈을 개폐함에 따라 고정부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이중잠금부; 및 본체부의 상부 홈에 탈착 가능하며, 별도의 부가 장치를 선택적으로 회동 조절하는 플립장착부를 포함한다.
플립장착부는 본체부와 상호 탈착이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부가 장치 탈착이 가능한 회전장착대; 및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일부가 노출되도록 힌지 연결되어, 회동 동작에 따라 회전장착대를 고정하는 회전 축 버튼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은 일측 상,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환형의 제1, 2 실린더를 포함하고, 회전장착대는 제1, 2 실린더를 잇는 회전 축을 포함한다.
회전장착대는 제1 실린더에 내장되는 환형의 제1 고정부재와, 제2 실린더에 내장되는 환형의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 고정부재는 회전 축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는 외측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구비하고, 회전 축은 고정 홈과 대응하는 고정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축 버튼은 회전장착대의 회동을 제약하는 버튼 돌기를 포함하고, 회전장착대는 버튼 돌기와 대응하는 버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립장착부는 베이스 프레임상에 내장되어 회전 축 버튼의 회동 각도를 제약하는 버튼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립장착부는 베이스 프레임을 덮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잠금부는 본체부의 사이드 홈상에서 힌지 연결되는 고정단과, 사이드 홈을 개폐하는 자유단을 갖는 클램핑부재; 클램핑부재에 좌우로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제1 잠금부재; 및 본체부의 사이드 홈상에서 상하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와 제2 잠금부재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눌려야 클램핑부재가 사이드 홈상에서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의 자유단에는 잠금 핀이 구비된다.
제2 잠금부재는 클램핑부재의 고정단과 대향하는 본체부의 사이드 홈상에서 상하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잠금 스위치; 잠금 스위치의 상단부에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며, 잠금 핀과 연결 가능한 잠금 홈을 갖는 잠금 돌기; 및 잠금 스위치의 상, 하단에 돌출되어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돌기는 사이드 홈의 내측 상, 하단에 슬라이드 돌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홈상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잠금 스위치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용 레일 마운트는 레일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이중잠금 구조와 더불어 반고정으로 운용하는 부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플립(Flip) 구조를 가짐에 따라, 유사 시 신속하고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플립 구조(플립장착부)는 광학식 조준기와 같은 부가 장치를 회전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하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작동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에 있어서, 플립장착부의 회전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에 있어서, 플립장착부의 구성 간 체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에 있어서, 플립장착부의 구성 간 체결 관계를 좌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는 총기(1)에 별도의 부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레일(2)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는 플립 구조(회전 구조)를 갖는 플립장착부(400)에 1, 3배율 광학식 조준경(3, 4)이 장착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플립장착부(400)에는 1, 3배율 광학식 조준경(3, 4) 외에도 별도의 부가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가령, 플림장착부(400)에 장착되는 부가 장치는 망원 조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야간 투시경, 적외선 표적지시기, 적외선 조명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총기(1)에는 1배율 광학식 조준경(3)이 기본적으로 세팅되며, 원거리 사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3배율 광학식 조준경(4)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레일 마운트(미도시)는 사용자가 거리에 따라 1배율 광학식 조준경(3)이나 3배율 광학식 조준경(4)을 선택할 때 비효율적으로 각 부품을 탈착해서 사용해야 했다. 이는 단시간 내에 총기(1)를 사용해야할 경우 현저히 불리한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배율 광학식 조준경(3)이 고정(레일(2)에서 탈착이 가능함)된 채로 플립장착부(400)에 장착된 3배율 광학식 조준경(4)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유사 시 조준 배율 세팅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는 본체부(100)가 레일(2)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이중잠금 구조로 이루어지고, 플립장착부(400)가 반고정으로 운용하는 부가 장치(예: n배율 광학식 조준경 등)를 장착하기 위한 플립 구조를 가짐에 따라 유사 시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하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이중잠금부(300) 및 플립장착부(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한 설명과 그 구성 간 체결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부(100)
본체부(100)는 하부 홈(110), 상부 홈(120), 사이드 홈(130), 블록 홈(140), 실린더 홀(150), 장착 홀(160) 및 접촉부재(170)를 포함한다.
하부 홈(110)은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에 장착되는 홈으로서,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의 체결부(하부 홈(110)과 체결되는 부위)와 대응한다.
상부 홈(120)은 별도의 부가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사이드 홈(130)과 블록 홈(140)은 이중잠금부(300)가 장착되는 공간을 갖는다. 여기서, 사이드 홈(130)은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이드 홈(130)은 외측으로 일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린더 홀(150)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측에 위치하며, 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사이드 홈(130)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 홀(160)은 하부 홈(110)과 상부 홈(120)을 수직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본체부(100)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부가 장치 및/또는 플립장착부(400)와의 볼팅(bolting) 체결을 위해 형성된다. 그로 인하여, 장착 홀(160)은 구간별로 직경이 상이할 수 있다.
접촉부재(170)는 본체부(100)의 하부 측에 마련되며, 사이드 홈(130)이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된다면 접촉부재(170)는 본체부(100)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때, 접촉부재(170)는 본체부(100)의 하부 측에 마련된 구성이기 때문에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의 어느 한 면과 면접촉한다. 접촉부재(170)는 본체부(100)의 타측 단부에 간격을 두고 나누어져 있지만, 긴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200)
고정부(200)는 본체부(100)의 사이드 홈(130)과 블록 홈(140)에 구성별로 위치하며, 기본적으로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를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에 구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부(200)는 고정 블록(210), 피스톤 로드(220), 로드 스프링(230), 커넥팅 로드(240) 및 제1 힌지 핀(250)을 포함한다.
고정 블록(210)은 본체부(100)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본체부(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했을 경우,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의 상부와 면접촉한다. 이는, 고정 블록(210)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본체부(100)의 폭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고정 블록(210)은 총기용 레인 마운트(10)가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에 구속되도록 한다.
피스톤 로드(220)는 도면을 기준으로 고정 블록(210)의 우측(타측)에 연결되며, 실린더 홀(150)상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을 한다.
로드 스프링(230)은 피스톤 로드(200)의 우측 단부에 연결된 채로 실린더 홀(150)의 우측 단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실린더 홀(150)은 피스톤 로드(220)와 로드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좌측 부분과 외부와 연결 가능한 우측 단부가 구획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린더 홀(150)은 좌측 부분과 우측 단부 사이에 별도의 파티션(미도시)으로 인해 막혀 있고, 실린더 홀(150)의 좌측 부분은 피스톤 로드(220)와 스프링(230)이 왕복 이동하는 구간으로서 기능하고, 실린더 홀(150)의 우측 단부는 외부 별도의 부품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 홀(150)의 우측 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팅 로드(24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넥팅 로드(240)는 체결력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Stainless Steel(STS)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넥팅 로드(240)는 사이드 홈(도 6의 130)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 제1 힌지 핀(250)과 힌지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240)는 제1 힌지 핀(250)과 연결된 일단이 고정단이라면, 커넥팅 로드(240)의 타단은 주변 부품과의 접촉하여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일 수 있다. 즉, 제1 힌지 핀(250)을 기점으로 커넥팅 로드(240)의 일단은 제자리에서 회동하고, 커넥팅 로드(240)의 타단은 이와 연동되어 좌우로 회동하며 움직인다. 가령, 도 8에서의 클램핑부재(310)가 본체부(100)의 타측으로 회동 시, 클램핑부재(310)에 장착된 나사(340)의 축부 끝단에 커넥팅 로드(240)의 타단이 접촉되고, 그 접촉으로 인하여 커넥팅 로드(240)는 제1 힌지 핀(250)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동한다. 커넥팅 로드(240)의 회동으로 인하여 고정 블록(210)이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도 7에서처럼 클램핑부재(310)가 제2 잠금부재(350)와 접촉하여 사이드 홈(도 6의 130)을 잠그면, 피스톤 로드(220)와 고정 블록(210)은 움직임의 범위 내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채 고정된다. 반대로, 도 8에서처럼 클램핑부재(310)가 제2 잠금부재(350)로부터 이탈하여 사이드 홈(도 6의 130)을 개방하면, 피스톤 로드(220)는 로드 스프링(230)에 의해 좌측으로 위치가 복원되며, 피스톤 로드(220)와 연동된 고정 블록(210)은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이중잠금부(300)
이중잠금부(300)는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를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에 효과적으로 탈착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잠금부(300)는, 클램핑부재(310), 제1 잠금부재(320), 잠금 스토퍼(330), 나사(340), 제2 잠금부재(350), 삽입 핀(360) 및 제2 잠금 스프링(370)을 포함한다.
클램핑부재(310)는 긴 형태의 막대 바(bar)로서, 본체부(100)의 사이드 홈(도 6의 130)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 제2 힌지 핀(311)과 힌지 연결된다. 이를 통해, 클램핑부재(310)는 제2 힌지 핀(311)을 기점으로 좌우로 회동하며 움직일 수 있다. 클램핑부재(310)는 제2 힌지 핀(311)과 연결되는 고정단과, 사이드 홈(도 6의 130)을 개폐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클램핑부재(310)의 고정단과 자유단은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에 각각 위치한 단부를 의미한다.
제1 잠금부재(320)는 클램핑부재(310)의 길이 방향상에 삽입된 제3 힌지 핀(312)과 힌지 연결되어, 외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제3 힌지 핀(312)을 기점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클램핑부재(310)에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핀(314)이 배치되는데, 이 가이드 핀(314)은 제1 잠금부재(320)의 움직임 범위 내에 위치하여 제1 잠금부재(320)의 움직임을 특정 범위 내로 제약한다.
잠금 스토퍼(330)는 클램핑부재(310)의 길이 방향상에 삽입된 제4 힌지 핀(313)에 힌지 연결된다. 잠금 스토퍼(330)는 제1 잠금부재(320)와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잠금부재(320)의 좌우 회동에 따라 제4 힌지 핀(313)을 기점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스토퍼(330)는 클램핑부재(310)로부터 나사(34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클랭핌부재(310)에는 나사(340)가 삽입되는 나사 홀(미도시)이 있는데, 제3 힌지 핀(312)을 중심으로 제1 잠금 스프링(321)을 누르는 방향으로 제1 잠금 부재(320)가 인위적으로 눌리면, 이와 연동된 잠금 스토퍼(330)가 제4 힌지 핀(313)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회전한다. 좌측으로 회전된 잠금 스토퍼(330)로 인하여 나사(340)는 나사 홀로부터 삽입 및/또는 풀림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잠금부재(320)가 인위적으로 눌릴 때만 나사(340)가 나사 홀로부터 풀릴 수 있다. 만약, 제1 잠금부재(320)가 눌리지 않은 상태이면 나사(340)는 잠금 스토퍼(330)로 인하여 외부의 반복되는 충격에도 풀리지 않는다. 잠금 스토퍼(330)는 나사(340)와 접하는 부위가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로 패킹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잠금부재(320), 잠금 스토퍼(330) 및 나사(340)는 하나의 연동 구조로 이루어져 해당 구성 간의 조립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잠금부재(350)는 잠금 스위치(351), 잠금 돌기(352), 잠금 홈(353) 및 슬라이드 돌기(354)를 포함한다.
잠금 스위치(351)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인위적인 눌림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잠금 돌기(352)는 잠금 스위치(351)와 직교된 외측(좌측)으로 돌출된 구조이며, 하부 측에 잠금 홈(353)이 형성된다. 잠금 홈(353)은 잠금 핀(315)이 끼움 체결되는 부분이다. 도면상에서 잠금 홈(353)은 하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잠금 홈(353)은 잠금 핀(315)이 안착될 수 있도록 잠금 핀(315)과 대응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스위치(351)와 잠금 돌기(35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스위치(351)에는 삽입 핀(360)의 일부와 제2 잠금 스프링(370)이 내장될 수 있는 별도의 삽입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삽입 핀(360)과 제2 잠금 스프링(370)은 길이 방향으로 연동된다.
삽입 핀(360)은 커넥팅 로드(240)의 고정단과 맞닿은 상태로 위치하기에 잠금 스위치(35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잠금 스위치(351)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잠금 스위치(351)의 상, 하단에는 슬라이드 돌기(354)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354)는 잠금 스위치(351)의 상, 하단에서 잠금 스위치(3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이드 홈(도 6의 130)의 내측 상, 하단에 형성된 별도의 슬라이드 홈(미도시)과 대응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돌기(354)는 슬라이드 홈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잠금 스위치(35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중잠금 구조
클램핑부재(310)의 잠금 핀(315)과 제2 잠금부재(350)의 탈착은 이중의 잠금 구조를 통해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제2 잠금부재(350)의 잠금 스위치(351)가 상부로 눌린 상태에서, 클램핑부재(310)가 사이드 홈(도 6의 130)에 위치할 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누른 잠금 스위치(351)를 놓으면, 제2 잠금 스프링(370)에 의해 잠금 스위치(351)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 과정에서 잠금 홈(353)에 잠금 핀(315)이 걸려 클램핑부재(310)와 제2 잠금부재(350)가 체결된다. 클램핑부재(310)와 제2 잠금부재(350)가 체결되면, 고정 블록(210)이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총기용 레일 마운트(10)가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총기용 레일 마운트(10)를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로부터 탈거할 경우(클램핑부재(310)를 제2 잠금부재(350)로부터 탈거할 경우)에는, 해당 구조가 이중으로 안전하게 잠긴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두 방향으로 해제를 시도해야 한다. 가령, 사용자가 제1 잠금부재(320)를 누른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351)를 상부로 누르면, 잠금 홈(353)으로부터 잠금 핀(315)이 탈거되고, 탈거된 잠금 핀(315)에 의해 클램핑부재(310)는 제1 잠금 스프링(321)의 탄성 작용으로 좌측을 향해 벌어진다.
플립장착부(400)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일 마운트에 있어서, 플립장착부의 구조 및 구성 간 체결 관계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플립장착부(400)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410), 회전장착대(420), 회전 축 버튼(430), 버튼 스토퍼(440) 및 프레임 커버(45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410)의 기본 골격(길이 방향 및 폭 방향 크기)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체부(100)와 동일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베이스 프레임(410)과 본체부(100)가 상호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410)은 본체부(100)와 상호 탈착 가능한 구조적 특징을 갖기 때문에 도시된 형상으로 인하여 제한되지는 않는다.
베이스 프레임(410)은, 하부 돌기(411), 버튼 힌지 축(412), 스토퍼 축(413), 체결 홀(414), 제1 실린더(415) 및 제2 실린더(416)를 포함한다.
하부 돌기(411)는 베이스 프레임(410)의 하부에 돌출된 구성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부 홈(120)과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힌지 축(412)과 스토퍼 축(413)은 베이스 프레임(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상하 수직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힌지 축(412)과 스토퍼 축(413)에는 축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체부(100)의 장착 홀(160)과 대응하는 체결 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홀(414)과 장착 홀(도 7 및 도 8의 160)간 연결된 사이를 별도의 스크류(미도시)로 관통하여 본체부(도 1 내지 도 9의 100)와 베이스 프레임(410)을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제1 실린더(415)와, 제2 실린더(416)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구도를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410)의 좌측 상단과 좌측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실린더(415) 및 제2 실린더(416)는 동심의 홀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장착대(420)는 회전이 필요한 부가 장치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제1 고정부재(421), 제2 고정부재(422), 회전 축(423), 버튼 홈(424), 제1 고정 핀(425) 및 제2 고정 핀(426)을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421)는 제1 실린더(415)에 내장된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부재(421)는 제1 고정 핀 홀(421a)과, 고정 홈(421b)을 포함한다.
제1 고정 핀 홀(421a)은 제1 고정부재(421)가 제1 실린더(415)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제1 고정 핀(425)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고정 홈(421b)은 하단부에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어 후술될 회전 축(423)의 회전을 제약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고정부재(422)는 제2 실린더(416)에 내장된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제2 고정부재(422)는 제2 고정 핀 홀(422a)과, 회전 축 스프링(422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 고정 핀 홀(422a)은 제2 고정부재(422)가 제2 실린더(416)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제2 고정 핀(426)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회전 축 스프링(422b)은 제2 실린더(416)에 내장된 상태에서 회전 축(42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회전 축(423)은 회전장착대(420)가 제1, 2 실린더(415, 416) 사이에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회전 축(423)과 회전장착대(420)상에는 별도의 고정 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회전 축(423)의 상단은 고정 돌기(423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423a)는 제1 고정부재(421)의 고정 홈(421b)과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버튼 홈(424)은 후술할 회전 축 버튼(430)의 버튼 돌기(43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회전장착대(420)가 베이스 프레임(410)에 접힐 때, 회전장착대(420)를 베이스 프레임(410)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회전 축 버튼(430)은 버튼 힌지 축(412)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누를 수 있다. 회전 축 버튼(430)의 기능은, 회전장착대(420)가 베이스 프레임(410)에 접힐 때 고정하는 역할이다.
만약, 사용자가 회전장착대(420)를 베이스 프레임(410)으로 접고자 한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축 버튼(430)을 좌측으로 눌러 회전장착대(420)가 접힐 공간을 확보한다. 그 후에 회전장착대(420)가 접혀 베이스 프레임(410)과 면접촉을 하면, 회전 축 버튼(430)은 버튼 스프링(432)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그 과정에서 버튼 돌기(431)가 버튼 홈(424)에 삽입되어 회전장착대(420)가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회전장착대(420)는 회전 축(423)과 별도의 고정 핀으로 인해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회전장착대(420)를 잡은 상태에서 제2 고정부재(422) 방향으로 당기면, 고정 홈(421b)에서 고정 돌기(423a)가 분리되어 회전 축(423)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가 장치가 장착된 회전장착대(420)는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한 회전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총기 2: 레일
3: 1배율 광학식 조준경 4: 3배율 광학식 조준경
10: 총기용 레일 마운트
100: 본체부 110: 하부 홈
120: 상부 홈 130: 사이드 홈
140: 블록 홈 150: 실린더 홀
160: 장착 홀 170: 접촉부재
200: 고정부 210: 고정 블록
220: 피스톤 로드 230: 로드 스프링
240: 커넥팅 로드 250: 제1 힌지 핀
300: 이중잠금부 310: 클램핑부재
311: 제2 힌지 핀 312: 제3 힌지 핀
313: 제4 힌지 핀 314: 가이드 핀
315: 잠금 핀 320: 제1 잠금부재
321: 제1 잠금 스프링 330: 잠금 스토퍼
340: 나사 350: 제2 잠금부재
351: 잠금 스위치 352: 잠금 돌기
353: 잠금 홈 360: 삽입 핀
370: 제2 잠금 스프링 400: 플립장착부
410: 베이스 프레임 411: 하부 돌기
412: 버튼 힌지 축 413: 스토퍼 축
414: 체결 홀 415: 제1 실린더
416: 제2 실린더 420: 회전장착대
421: 제1 고정부재 421a: 제1 고정 핀 홀
421b: 고정 홈 422: 제2 고정부재
422a: 제2 고정 핀 홀 422b: 회전 축 스프링
423: 회전 축 423a: 고정 돌기
424: 버튼 홈 425: 제1 고정 핀
426: 제2 고정 핀 430: 회전 축 버튼
431: 버튼 돌기 432: 버튼 스프링
440: 버튼 스토퍼 450: 프레임 커버

Claims (10)

  1. 별도의 부가 장치 장착이 가능한 총기용 레일 마운트에 있어서,
    총기용 레일에 탈착되는 하부 홈과, 부가 장치에 탈착되는 상부 홈과, 일측에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되 하부의 길이 방향상으로 블록 홈이 형성된 사이드 홈과, 상기 사이드 홈과 연통되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실린더 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사이드 홈상에서 회동 이동하는 커넥팅 로드와, 상기 커넥팅 로드와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사이드 홈을 개폐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이중잠금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홈에 탈착 가능하며, 별도의 부가 장치를 선택적으로 회동 조절하는 플립장착부를 포함하는 총기용 레일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장착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호 탈착이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부가 장치 탈착이 가능한 회전장착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일부가 노출되도록 힌지 연결되어,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장착대를 고정하는 회전 축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일측 상,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환형의 제1, 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착대는
    상기 제1, 2 실린더를 잇는 회전 축을 포함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착대는
    상기 제1 실린더에 내장되는 환형의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실린더에 내장되는 환형의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 축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외측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고정 홈과 대응하는 고정 돌기를 구비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 버튼은
    상기 회전장착대의 회동을 제약하는 버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착대는
    상기 버튼 돌기와 대응하는 버튼 홈을 포함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장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 축 버튼의 회동 각도를 제약하는 버튼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장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덮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잠금부는
    상기 본체부의 사이드 홈상에서 힌지 연결되는 고정단과, 상기 사이드 홈을 개폐하는 자유단을 갖는 클램핑부재;
    상기 클램핑부재에 좌우로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제1 잠금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사이드 홈상에서 상하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제2 잠금부재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눌려야 상기 클램핑부재가 상기 사이드 홈상에서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의 자유단에는 잠금 핀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잠금부재는
    상기 클램핑부재의 고정단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의 사이드 홈상에서 상하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잠금 스위치;
    상기 잠금 스위치의 상단부에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잠금 핀과 연결 가능한 잠금 홈을 갖는 잠금 돌기; 및
    상기 잠금 스위치의 상, 하단에 돌출되어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사이드 홈의 내측 상,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홈상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잠금 스위치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인 총기용 레일 마운트.
KR1020210109645A 2021-08-19 2021-08-19 총기용 레일 마운트 KR10259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645A KR102591563B1 (ko) 2021-08-19 2021-08-19 총기용 레일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645A KR102591563B1 (ko) 2021-08-19 2021-08-19 총기용 레일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636A true KR20230027636A (ko) 2023-02-28
KR102591563B1 KR102591563B1 (ko) 2023-10-23

Family

ID=8532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645A KR102591563B1 (ko) 2021-08-19 2021-08-19 총기용 레일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7422A (zh) * 2023-12-09 2024-01-12 珠海市霖平光学仪器有限公司 一种瞄准镜用的快速翻转限位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53B1 (ko) * 2015-08-12 2016-02-25 임홍규 레일 마운트
KR20160107703A (ko) * 2015-03-05 2016-09-19 정보선 링형 마운트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1753015B1 (ko) * 2016-11-22 2017-06-30 주식회사 아이펙 총기 레일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703A (ko) * 2015-03-05 2016-09-19 정보선 링형 마운트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1597953B1 (ko) * 2015-08-12 2016-02-25 임홍규 레일 마운트
KR101753015B1 (ko) * 2016-11-22 2017-06-30 주식회사 아이펙 총기 레일용 클램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7422A (zh) * 2023-12-09 2024-01-12 珠海市霖平光学仪器有限公司 一种瞄准镜用的快速翻转限位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563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0673B2 (en) Mounts for optical sighting devices
US11454474B2 (en) Optical sight mounting system
US10871344B2 (en) Firearm with self-deploying stock
KR101188974B1 (ko) 연결 장치, 연결 장치를 구비하는 총기 및 총기용 총열 덮개
US9046319B2 (en) Mount for firearms
US8769859B2 (en) Firearm sight mount
US10330432B2 (en) Adjustable firearm stock
US7757423B1 (en) Mounting assembly with adjustable spring tension
US8793921B1 (en) Tangent integrated tilt sight
US10921090B2 (en) Mounting adapter for self-loading firearms
KR20230027636A (ko) 총기용 레일 마운트
US20220349558A1 (en) Clamping Structure and A Tactical light
US20200232758A1 (en) Firearm sight system
KR20070114377A (ko)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
US20200248986A1 (en) Snap-on clamp system
US9562740B1 (en) Rotating gun stock
US11796266B2 (en) Upper receiver for a firearm
KR101345413B1 (ko) 소형화기용 부가장비 연결장치
US11815332B2 (en) Weapon sight
CN214470391U (zh) 快速锁合机构
KR101677395B1 (ko) 총기용 보조 손잡이
US7624527B2 (en) Sight for sporting rifles
KR102525663B1 (ko) 소총 개머리판 연결 장치
CN218973323U (zh) 步枪护木锁定机构、步枪护木及步枪
RU2001130298A (ru) Подающий механиз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