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389A - 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389A
KR20230027389A KR1020210109066A KR20210109066A KR20230027389A KR 20230027389 A KR20230027389 A KR 20230027389A KR 1020210109066 A KR1020210109066 A KR 1020210109066A KR 20210109066 A KR20210109066 A KR 20210109066A KR 20230027389 A KR20230027389 A KR 2023002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fighting
monitoring server
processor
firefight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욱
유수림
Original Assignee
유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욱 filed Critical 유병욱
Priority to KR102021010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389A/en
Publication of KR2023002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3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for monitoring a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serv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processor (120), and a database (130). The server is able to perform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fire receiver (300) through a relay (400) installed inside or outside, receive various detection signals detected by a detection means (200) in real time, save the signals in the database (130), and display the signals on a display unit (140). Therefore, a manager can more rapidly check the status of a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precisely identify problems, precisely identify the status of a plurality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through the display unit or a terminal, and immediately take a needed action.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인 스프링클러와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 등을 포함하는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 또는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 또는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하고,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방식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 단말기에서 복수의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발명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를 이용하여 건물 내의 소방설비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는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소방설비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fighting system including a sprinkler, a firefighting valve, a firefighting pump, etc. In a state where there is a sensing means having at least one sensor among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fluid pressure of the facility or a fir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the monitoring server uses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ing means By detecting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or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and the monitoring server record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 the database, the stat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building can be checked more quickly, and the problems and a server capable of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Internet of Things) invented to grasp the status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a plurality of buildings from a manager terminal, and a server capable of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It relates to a method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using

일반적으로 다수의 소방설비가 구비된 아파트 등을 포함한 각종 건물에서 상기 소방설비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설비 중 어느 설비에서 문제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In general,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ich of the various facilities included in the fire-fighting facilities has a problem in various buildings including apartment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re-fighting facilities.

또한, 각종 소방설비 중 어느 설비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였더라도 어떠한 문제가 존재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even if it is confirmed which of the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has an error,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out what kind of problem exists and how to solve it.

이에 따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 소방설비 중 어느 한 설비에서 에러가 발생된 상태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determine whether an error had occurred in any one of the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한편, 종래 소방밸브가 화재 수신기의 내,외부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서버에 신호를 주는 방식은, 말단에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화재로 인한 열 감지로 인해 동작했을 때, 배관 내에 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물의 흐름이 발생하면 소방밸브에 장착되어 있는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가 작동하게 되고, 화재 수신기의 내,외부에 설치된 중계기는 스위치 접점 신호를 서버에 전달하여 작동된 소방밸브를 화재 표시창에 동작된 소방밸브의 개방구역 위치만을 표시하게 되며, 이때 소방밸브에 부착된 1차 및 2차 측 압력게이지(Pressure Gauge)의 현재 물의 압력 상태는 표시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fire-fighting valve gives a signal to the server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fire receiver, when the sprinkler head at the end operates due to heat detection due to a fire, the pressure of the water in the pipe causes the water to When the flow occurs, the pressure switch installed in the fire-fighting valve operates, and the repeater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fire receiver transmits the switch contact signal to the server, and the operated fire-fighting valve is displayed on the fire display window. Only the position of the open area of the valve is displayed, and at this time, the current water pressure stat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ide pressure gauges attached to the fire valve is not displayed.

따라서, 소방 건축물의 방화 관리자가 각각의 소방밸브가 설치된 각 층으로 찾아가서 소방밸브의 압력 상태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a fire manager of a fire protection building to go to each floor where each fire valve is installed and individually check the pressure state of the fire valve.

또한, 소방펌프는 주(예비)펌프, 보조(충압)펌프로 나뉘며 정확히 소방용 가압송수장치라고 부른다. 소방 건축물에는 옥내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 설비가 있다. In addition, the fire pump is divided into a main (preliminary) pump and an auxiliary (pressure) pump, and is precisely called a pressurized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fighting. Firefighting buildings have indoor fire hydrants and sprinkler facilities.

압력챔버의 측면에는 압력스위치가 붙어있고 세팅압력 중 높은 측은 펌프정지압력, 낮은 쪽은 펌프기동 압력 값이다. 소방펌프의 송출 측 배관에서 분기되어 압력챔버의 아래 쪽으로 연결된 배관에는 가압된 소방용수가 차 있으며 압력챔버의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진 물이 들어가므로 압력챔버의 상부는 공기가 압축되어 있는데, 공기는 항상 아래에 있는 물을 누르게 된다. A pressure switch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pressure chamber, and the higher set pressure is the pump stop pressure, and the lower one is the pump start pressure. The piping branched from the delivery side pipe of the fire pump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essure chamber is filled with pressurized fire fighting water, and since the water with pressure enters the lower part of the pressure chamber, the air is compressed in the upper part of the pressure chamber. press the water in

화재가 발생하면 스프링클러가 개방되든지 아니면 누군가 옥내 소화전밸브를 열어 소방용수를 사용하면 압력챔버의 압력이 급격히 내려가게 되어 우선 보조(예비)펌프가 먼저 기동을 한다. In the event of a fire, if the sprinkler is opened or someone opens the valve of the indoor fire hydrant and uses fire-fighting water,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drops rapidly and the auxiliary (preliminary) pump starts first.

그런데 보조펌프가 돌아서 그 압력이 신속히 복구되지 않으면 순차적으로 주펌프가 기동하여 소방용수를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로 보내게 되며, 화재가 진압되고 소방용수 사용을 중단하면 배관에 압력이 차고 압력챔버의 압력스위치가 소방펌프를 정지시킨다.However, if the auxiliary pump turns and the pressure is not quickly restored, the main pump starts sequentially and sends fire-fighting water to the hydrant or sprinkler. stops the fire pump.

그러나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도 배관 등에서 미약한 누설이 있어서 압력챔버의 압력이 떨어지면 보조펌프가 가동하여 압력을 채우게 되어있는데, 대부분의 현장에서 보조펌프는 세월이 지날수록 자주 잠깐씩 가동되는 걸 볼 수 있고, 이와 같이 소방펌프는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작동을 하고 있으며, 이것은 화재 수신기 또는 서버 등에 소방밸브와 마찬가지로, LED 램프로 동작 상태만을 표시하며 표시창에 기록하게 되어 있으며, 이때 소방펌프 및 압력챔버에 항상 부착되어 있는 압력게이지의 압력 상태는 표시되지 않았다.However, even in normal times when there is no fire, the auxiliary pump is operated to fill the pressure whe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drops due to a slight leak in the pipe, etc. In this way, the fire pump operates periodically and repetitively, and like a fire valve on a fire receiver or server, only the operation status is displayed with an LED lamp and recorded on the display window. At this time, it is always attached to the fire pump and pressure chamber. The pressure state of the pressure gauge is not displayed.

따라서, 소방 건축물의 방화 관리자가 각각의 소방펌프가 설치된 장소로 찾아가서 소방펌프 및 압력챔버의 압력상태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a fire protection manager of a fire fighting building to go to the place where each fire pump is installed and individually check the pressure state of the fire pump and the pressure chamber.

소방 건축물이 초대형화, 초 고층화되면서 화재의 위험 요소가 나날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에서 화재 수신기의 내,외부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서버 등에서 감시해야 할 역할이 증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In a situation where fire risk factors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firefighting buildings become super-large and high-rise, it is true that the role to be monitored by servers and the like is increasing through repeater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fire receivers.

이 즈음에서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현재 상태 및 고장 발생, 유사시에 발생하게 될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서버에서 화재 수신기의 내,외부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준비가 필요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actively cope with the current state of fire pumps and fire valves, failures, and situations that will occur in case of emergency,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prepare accurat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rough repeater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fire receiver. do.

이에 본 발명자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intends to propose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21-0044390호(2021년 04월 23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4390 (April 23, 2021)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21-0029922호(2021년 03월 17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29922 (March 17, 2021)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563417호(2015년 10월 20일)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563417 (October 20, 2015)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화재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인 스프링클러와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 등을 포함하는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 또는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 또는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하고,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 단말기에서 복수의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nd detects the fluid pressure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a sprinkler, a firefighting valve, and a firefighting pump, which are equipment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o extinguish a fire in case of fire.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a sensing means having at least one sensor among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the monitoring server uses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ing means to detect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Alternatively,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and by the monitoring server record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 the database, the stat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building can be checked more quickly, problems can be identified, and also in the manager termi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accurately grasp the state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a plurality of buildings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mmediately.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detail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identifi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art through the specific contents described below.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는,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화재 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며, 각종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을 통해 검출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상기 화재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아 프로세서 측으로 전달함은 물론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화재 수신기 측으로 전달해 주는 통신부와; 건물 내의 소방설비들에 대한 모니터링에 필요한 제어 및 분석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각종 감지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은 물론 이들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가 조작부를 통해 특정 감지센서에 대한 시간대별 감시 데이터에 대한 출력 요구가 있을 때,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통신부를 통해 화재 수신기로 전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각종 감지 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프로세서의 요청이 있을 시 해당 감지센서에 대한 시간대별 감시 데이터를 취출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출력시켜 주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the building using the IO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fire receiver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side or outside, and through a detection means equipped with various detection sensor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various detected signals from the fire receiver and transmits them to the processor and transmi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rocessor to the fire receiver; A control and analysis program necessary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is provided, and various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well as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manager can specify specific signals through the operation unit. When there is an output request for monitoring data for each time period for the detection sensor, a processor extracting it from the database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or transmitting it to the fire recei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base that stores various sens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ocessor in real time and retrieves monitoring data for each time zone for the corresponding sensor and outputs it to the processor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processor. .

또한, 상기 프로세서의 출력부에는 화재 발생시 또는 특정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이를 관리자 또는 불특정인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음 또는 경보 불빛 또는 경보 문구 중 어느 한 형태로 알려주는 경보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output unit of the processor, when a fire occurs or when it is recognized that a leak has occurred in a specific pipe, an alarm unit that informs in any one of the form of an alarm sound, an alarm light, or an alarm phrase so that managers or unspecified persons can recognize it.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stallation.

또, 상기 프로세서에서 판단한 결과, 화재는 발생되지 않았으나 특정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된 특정 소방설비가 작동하여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설비들이 작동되지 않아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해당 상황을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알릴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processor, if a fire has not occurred, but it is recognized that a pipe connected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leaks o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re-fighting facility, or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In the event that fire extinguishing is normally carried out due to the operation of a specific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or in the event that fire extinguishing is not being carried out because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operating while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the situation can be reported to a remote 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manager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notifying the manager.

또한, 상기 소방설비는 스프링클러와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rinkler, a fire-fighting valve and a fire-fighting pump.

또, 상기 감지수단은 각각의 고유번호(ID)를 구비하고 해당 설치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각각의 고유번호(ID)를 구비하고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배관 내에 설치되어 해당 스프링클러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스프링클러 압력감지센서, 각각의 고유번호(ID)를 구비하고 소방밸브가 설치된 배관 내에 설치되어 해당 소방밸브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소방밸브 압력감지센서 및, 각각의 고유번호(ID)를 구비하고 소방펌프가 설치된 배관 내에 설치되어 해당 소방펌프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소방펌프 압력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mean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each having a unique number (ID) and detecting whether a fi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area, each having a unique number (ID) and installed in a pipe in which a sprinkler is installe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prinkler pressure sensors, each with a unique number (ID), and installed in the pipe where the fire valve is installed to detect whether the corresponding sprinkler is operating or not and whether the pipe is leaking by pressu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re-fighting valve pressure sensors that detect water leakage by pressure, and each having a unique number (ID), installed in a pipe in which a fire pump is installed, detecting whether the fire pump is operating and leaking in the pipe by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detection sensors among a plurality of fire pump pressure detection sensors.

또한, 상기 중계기를 포함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의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3 ~ 5 세대 이동통신(3G ~ 5G), RoLa 통신,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한 통신모듈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in the monitoring server including the repeater, WIFI, 3rd to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to 5G), RoLa communication,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Mobile WiMAX, WiBro, Long Term Evolution (LTE),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Zigbee (Zigbe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communication module is applied.

또, 관리자가 조작부를 통해 특정 소방설비에 대한 감지 상태 확인을 원할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 상태 정보 데이터를 불러들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주고, 관리자는 이를 이용하여 각종 소방시설 작동기능 점검표를 작성한 후 이를 출력하여 소방서 등에 주기적으로 보고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manager wants to check the detection status of a specific firefighting equipment through the control panel,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retrieves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and the manager uses it After creating a checklist for the operation of various firefighting facilit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rinted out and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report periodically to the fire station.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방법은, 통신부와 프로세서, 데이터 베이스,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및 경보부를 구비한 모니터링 서버에서 화재 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화재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각종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모니터링 서버 내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유무 또는 상기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monitoring server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 processor, a database, a display unit, a control unit, and an alarm unit can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fire receiver, , In a state in which a detection means having at least one sensor among various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the fluid pressure of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a fi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fire, exists, the detection means is operated by a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or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by using; and record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 a database in a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감지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displaying the detection result in real time on a display unit in a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carried out.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화재감지센서의 작동 유무 또는 상기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한 결과,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만약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감지센서가 설치된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고,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해당 소방설비 및 배관에 이상이 발생된 상태임을 표시 및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or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not made, among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detection sensor. If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detection sensor, the pipe connected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leaks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t recognizes that it has been don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nd inform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refighting equipment and piping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alarm unit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is.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 유무 또는 상기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한 결과, 특정 지역에 설치된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고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만약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감지센서가 설치된 소방설비가 작동하여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해당 소방설비를 통해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 및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or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s made, it is recogniz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it determines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and if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detection sensor,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operate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suppression is normally carried out, and the display unit or the alarm unit displays and informs that the fire suppression is being carried out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equipment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is.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판단한 결과,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해당 지역에 설치된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작동된 상태에서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 결과, 만약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 중 어느 한 소방설비도 작동되지 않아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으로 인식하고,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해당 지역에 설치된 소방설비들이 고장으로 인해 화재진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표시 및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by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and in a state where the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operating, pressure conversion is performed by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if the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from any of the detection sensors, any one firefighting equipment among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operates even though a fire has currently occurred in a specific area. Recognizing that fire suppression is not being done because it is not done, and displaying and informing that fire suppression is not being performed automatically due to a failure of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area through the display unit or alarm unit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is characterized by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특정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임을 표시해 주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를 통해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해 주거나, 또는 해당 지역에 설치된 소방설비들이 고장으로 인해 화재진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표시해 줄 때, 해당 화재 수신기 주변에 있는 관리자가 현재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해당 데이터를 통신부 및 중계기를 통해 화재 수신기에도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indicates that a pipe coupled to a specific firefighting equipment is leaking o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equipment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alarm unit, or fire suppre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equipment When it indicates that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automatically extinguishing due to a malfunction, the manager near the fire rece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urrent state and take necessary actions immediat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data is delivered to the fire recei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so that the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는, 화재는 발생되지 않았으나 특정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된 특정 소방설비가 작동하여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설비들이 작동되지 않아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해당 상황을 원격지의 관리자가 즉시 알릴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에 자동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when a fire has not occurred but it is recognized that a pipe coupled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leaks o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re-fighting facility, or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the corresponding area In the event that fire extinguishing is being carried out normally because a specific installed firefighting facility is operating, or in the case where a fire breaks out in a specific area and firefighting is not being carried out because the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at area are not operating, the situation can be reported to a remote loc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utomatically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so that the manager of the manager can notify immediate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의하면, 화재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인 스프링클러와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 등을 포함하는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 또는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 또는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하고,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 단말기에서 복수의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the building using the IO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a sprinkler, a firefighting valve, a firefighting pump, etc. In a state in which a sensing means having at least one sensor among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fluid pressure of a firefighting facility or a fir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exists, the monitoring server uses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ing means. to detect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or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and the monitoring server record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 the database to more quickly check the stat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building and identify problems In addi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such as being able to accurately grasp the status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a plurality of buildings in the administrator's terminal and immediately take necessary measures.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identifi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art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방설비 모니터링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들로부터 관리자에게 센싱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들에 의해 센싱되는 데이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sensing data is transferred from sensors to a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data sensed by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each configuration, includ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방설비 모니터링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들로부터 관리자에게 센싱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들에 의해 센싱되는 데이터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a process of transmitting sensing data from sensors to a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data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o explain the fire protection equipment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flowchart for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적용된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버(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통신부(110)와 프로세서(120) 및 데이터 베이스(130)를 구비하고,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중계기(400)를 통해 화재 수신기(300)와 양방향 통신을 하며, 감지수단(200)을 통해 검출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이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함은 물론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해 주어 관리자가 보다 신속하게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단말기(500)를 통해 복수의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According to this, the monitoring server 100 capable of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the IO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S. It has a base 130,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fire receiver 300 through a repeater 400 provided inside or outside, and receives various detection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means 200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m as data. It is stored in the base 130 as well a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o that the manager can more quickly check the state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building and accurately identify problems, and also display the display unit 140 or the terminal 500. Through this,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is to accurately grasp the state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multiple buildings and to take necessary measures immediately.

이때,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130)를 외부에 구비시켜 두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의 프로세서(120)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monitoring server 100 may not include the database 130, in which case the database 130 is provided outside, and the communication unit in the processor 120 of the monitoring server 100 ( 110)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database 130.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들로부터 관리자에게 센싱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인 도 2 및 도 3에서는 구체적인 도면 부호 기입을 생략하였습니다.For reference, in FIGS. 2 and 3, which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sensing data from sensors to a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omitted.

한편, 상기한 모니터링 서버(1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통신부(110)는 중계기(400)가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화재 수신기(300)와 양방향 통신을 하며,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각종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200)을 통해 검출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상기 화재 수신기(300)로부터 전달받아 프로세서(120) 측으로 전달함은 물론 프로세서(120)에서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화재 수신기(300)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관리자의 단말기(500) 등으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monitoring server 1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fire receiver 300 in which the repeater 400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and is provided with various detection sensors including a fire detection sensor. Various detection signals detected through one detection means 200 are received from the fire receiver 300 and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20, as well as variou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rocessor 120, including the fire receiver 300 It performs a function of delivering to the manager's terminal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상기 감지수단(200)은 도면상 부호 기입을 생략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복수의 스프링클러 압력감지센서 및 복수의 소방펌프 압력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또 필요에 따라서는 정해진 온도 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작동하는 스프링클러의 온도검출을 통해 화재의 발생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온도검출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200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 plurality of sprinkler pressure detection sensors, and a plurality of fire pump pressure detection sensors, of which symbols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if necessary,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through temperature detection of a sprinkler that operates whe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s detected.

이때, 상기 감지수단(200)로 제시한 상기 화재감지센서와 스프링클러 압력감지센서, 복수의 소방밸브 압력감지센서 및 소방펌프 압력감지센서는 각각 자체를 구분할 수 있는 별도의 ID를 구비하고 있어 각각의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포함하여 특정 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어 올 경우, 후술하는 모니터링 서버(100)의 프로세서(120)에서 해당 위치는 물론 해당 감지센서에 대한 감지신호를 정확히 인식(즉, 어느 부분에서 어떤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e detection sensor, the sprinkler pressure detection sensor, the plurality of fire valve pressure detection sensors, and the fire pump pressure detection sensor presented as the detection means 200 each have a separate ID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mselves, so that each When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sor, including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the processor 120 of the monitoring server 100 to be described later accurately recognizes the location as well as the detection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ie, which par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at kind of abnormality has occurred in

한편, 상기한 감지수단(200) 중 상기 화재감지센서들은 건물 내에 정해진 위치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에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등 연소생성물로 인하여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당 설치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유무를 전기적인 온/오프신호로 발생시켜 해당 층에 구비된 화재 수신기(300)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e detection sensors among the above detection means 200 automatically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due to combustion products such as heat, smoke, flame, etc. 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electrical on/off 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fire receiver 300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floor.

또, 상기 감지수단(200) 중 하나인 상기 스프링클러 압력감지센서들은 스프링클러 헤드가 화재로 인한 열 감지로 인해 동작했을 때, 배관 내에 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물의 흐름이 발생하면 작동되는 압력스위치와 현재 물의 압력 상태를 표시하는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를 구비하고,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배관 내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스프링클러의 작동 여부를 포함하여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 변화로 검출하여 해당 층에 구비된 화재 수신기(300)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prinkler pressure sensors, which are one of the sensing means 200, are operated when the sprinkler head operates due to heat detection due to a fire, and the pressure switch operated when water flow occurs due to the pressure of the water in the pipe and the current water Equipped with primary and secondary address-type digital pressure gauges that display the pressure state, and in the state where each sprinkler is installed in the pipe, it detects whether or not there is a leak in the pipe, including whether the sprinkler is operating, as a pressure change, It performs a function of delivering to the equipped fire receiver 300.

또한, 상기 감지수단(200) 중 하나인 상기 소방밸브 압력감지센서들은 상기한 스프링클러 압력감지센서와 마찬가지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면 작동되는 압력스위치와 물의 압력 상태를 표시하는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를 구비한 상태에서 소방호스 등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소방밸브가 설치된 배관 내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해당 소방밸브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 변화로 검출하여 해당 층에 구비된 화재 수신기(300)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ire valve pressure detection sensors, which are one of the detection means 200, are provided with a pressure switch that operates when water flows and an address-type digital pressure gauge that displays the water pressure state, like the sprinkler pressure detection sensor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it has a form installed in each pipe with a fire-fighting valve that can manually control whether or not the supply of fire-figh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ire hose, etc. It performs a function of delivering to the equipped fire receiver 300.

또, 상기 감지수단(200) 중 하나인 상기 소방펌프 압력감지센서들 역시 물의 흐름이 발생하면 작동되는 압력스위치와 물의 압력 상태를 표시하는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를 구비한 상태에서 주(예비)펌프 및 보조(충압)펌프를 포함하는 소방펌프가 설치된 배관 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해당 소방펌프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 변화로 검출하여 해당 층에 구비된 화재 수신기(300)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ire pump pressure detection sensors, which are one of the detection means 200, also have a pressure switch that operates when water flows and an address type digital pressure gauge that displays the water pressure state, and is a main (preliminary) pump And it has a form installed in a pipe in which a fire pump including an auxiliary (pressure) pump is installed, and detects whether the fire pump is operating and whether the pipe leaks as a pressure change and delivers it to the fire receiver 300 provided on the floor perform a function

이때, 상기 감지수단(200)에 포함되어 있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스프링클러 압력감지센서, 소방밸브 압력감지센서 및 소방펌프 압력감지센서 등은 도면 상에서 화재 수신기(300)에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를 제시하였으나, 상 감지수단(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감지센서 내에 무선모듈을 내장시켜 줄 경우, 각각의 감지센서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화재 수신기(300) 측에 전달된 다음 중계기(4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1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화재 수신기(300)를 거치지 않고 중계기(4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100) 측으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prinkler pressure detection sensor including the fire detection sensor included in the detection means 200, the fire valve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the fire pump pressure detection sensor are presented in a form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300 by wire on the drawing. , When a wireless module is embedded in each sensor constituting the phase detection means 200, various detection signals sensed in real time by each detection sensor ar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fire receiver 300 side, and then Not only can it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side through the relay 400, but also directly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side through the relay 4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e receiver 300, if necessary.

한편, 상기 화재 수신기(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중계기(400)를 포함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에 구비된 상기 통신부(110)는, 와이파이(WIFI), 3 ~ 5 세대 이동통신(3G ~ 5G), RoLa 통신,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한 통신모듈을 적용한 형태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provided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including the repeater 400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fire receiver 300, WiFi (WIFI), 3rd to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 5G), RoLa communication,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Mobile WiMAX, WiBro , Long Term Evolution (LTE),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Zigbee.

또한, 상기 중계기(400) 및 통신부(110)는 상기한 통신모듈 이외에도 무선랜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어 더하여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도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peater 4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apply wireless LAN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above communication modules, and in addition, TCP/IP, which is a standard protocol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on the Internet, when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provide services. may be followed,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echnology may be used.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120)는 건물 내의 소방설비들에 대한 모니터링에 필요한 제어 및 분석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각종 감지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함은 물론 이들을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하고, 관리자 등이 특정 감지센서에 대한 시간대별 감시 데이터에 대한 출력 요구가 있을 때, 이를 데이터 베이스(130)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거나 또는 통신부(110)를 통해 화재 수신기(300) 또는 후술하는 관리자의 단말기(500) 등으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provided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has a control and analysis program necessary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and displays various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s well as displaying them on the unit 140, they are stored in the database 130, and when a manager or the like requests an output for monitoring data for each time period for a specific sensor, it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13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t displays in 140 or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fire receiver 300 or the manager's terminal 5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이때, 상기 프로세서(120)를 설명함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하드웨어에 의해 그 기을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처럼 프로세서(120)는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or 120,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a software routin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unction is performed by hardware, and in this way, the processor 120 is implemented by software running on a computer system, or It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들에 의해 센싱되는 데이터의 예시도로써, 상기 감지수단(200)들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감지된 압력 등에 따라서 현재의 상태가 어떠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시간대를 함께 나타내어 각 시간별로 상기 감지수단(200) 중 어느 한 감지센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data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the data sensed by the detection means 200,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sensed pressure, etc. It is possible to check what the state is, and also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of any one sensor among the sensing means 200 for each time by indicating the time zone together.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130)는 상기 프로세서(120)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각종 감지 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프로세서(120)의 요청이 있을 시, 상기 감지수단(200)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간지센서 중 해당 감지센서에 대한 시간대별 감시 데이터를 취출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로 출력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atabase 130 stores various sens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ocessor 120 in real time,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processor 120, various slip sensors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00 It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monitoring data for each time zone for a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and outputting it to the processor 120.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출력부에 조작부(150)를 더 설치하여, 관리자가 상기 조작부(150)를 통해 특정 데이터를 입력시키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30)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감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의 인출을 요구할 수 있는 키신호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5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utput unit of the processor 120 of the monitoring server 100 so that the manager inputs specific data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or the database 130 It is possible to input a key signal that can request the withdrawal of specific data among various sensing data recorded in the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세서(120)의 출력부에 경보부(160)를 더 설치하여, 상기 프로세서(120)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감지수단(200)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지센서들의 감지신호를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입력받은 결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었을 경우, 또는 특정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경보부(160)를 통해 관리자 또는 불특정인들이 상기와 같은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음 또는 경보 불빛 또는 경보 문구 중 어느 한 형태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unit 16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output unit of the processor 120, and the processor 120 detects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detection unit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s a result of continuously receiving a signal in real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or when it is recognized that a leak has occurred in a specific pipe, managers or unspecified persons recognize the above state through the alarm unit 160. In order to be able to do so, it was possible to inform in any one of the form of an alarm sound or an alarm light or an alarm phras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세서(120)에서 판단한 결과, 화재는 발생되지 않았으나 특정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었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된 특정 소방설비가 작동하여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설비들이 작동되지 않아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500)를 즉시 자동 연결시켜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자신이 휴대한 단말기(500)를 통해 해당 상황을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빠른 시간내에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processor 120, when a fire has not occurred, but it is recognized that a pipe coupled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has leaked o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re-fighting facility, or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When a fire is normally extinguished by operating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ed in the area in the event of an outbreak, or when a fire breaks out in a specific area and the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operating, the fire is not extinguished. In this case, the terminal 500 carried by the manager is automatically connected immediately so that the manager in a remote place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situation through the terminal 500 carried by the manager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n a short time.

따라서, 건축물의 소방 관리자는 상기한 화재 수신기(300) 및 단말기(500) 등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건축 내 소방설비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irefighting manager of the building can more quickly check the stat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building through the fire receiver 300 and the terminal 500, identify problems accurately,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mmediately. .

이때, 관리자의 단말기(500)로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휴대폰 또는 핸드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의 단말기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관리자의 단말기(500)에는 본 발명에서 다루고 있는 모니터링 관리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s terminal 500 is a digital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is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PDA, a web pad,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or a mobile phone. However, any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equipped with an arithmetic capability can be adopted as the administrator'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manager's terminal 500 may include the monitoring management program dealt with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기본적으로, 통신부(110)와 프로세서(120), 데이터 베이스(130), 디스플레이부(140), 조작부(150) 및 경보부(160)를 구비한 모니터링 서버(100)에서 화재 수신기(3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화재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각종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200)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모니터링 서버(100) 내의 프로세서(120)에서 상기 감지수단(200)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유무 또는 상기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S1)하고, 상기에서 감지한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20)에서 데이터 베이스(130)에 기록함은 물론 상기에서 감지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실시간으로 표시(S2)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hav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processor 120, the database 130, the display unit 140, the manipulation unit 150 and the alarm unit 160. The detection unit 200 is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fire receiver 300 and includ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among various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the fluid pressure of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a fi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In the present state,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uses the detection means 200 to detect whether a fire occurs or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s detected (S1),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result Data is recorded in the database 130 by the processor 120, and the result of the detec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n real time (S2).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는, 상기 감지수단(200)에 포함되어 있는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 유무(S3) 또는 상기 감지수단(200)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압력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한 결과,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3에서 No),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각종 감지센서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S4)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using the fire detection sensor included in the detection means 200 (S3) or detects various pressures included in the detection means 200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using the sensor, if the fire detection sensor does not operate (No in S3), the pressure is converted by any one of the various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input (S4).

이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S3에서 No)에서,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감지센서(즉, 각종 압력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S4)한 결과, 상기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S4에서 No),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모든 소방설비 및 배관에 이상이 없음을 표시(S5)해 주게 된다.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not operated (No in S3),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ie, various pressur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S4), if the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No in S4),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is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all firefighting equipment and pipes (S5).

뿐만 아니라,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는 이에 더하여 상기 통신부(110) 및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화재 수신기(300)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500)에 모든 소방설비 및 배관에 이상이 없음을 전달(S6)해 주어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in addition to thi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repeater 400, the fire receiver 300 or the manager's terminal 500 has an error in all firefighting equipment and pipes. This absence is conveyed (S6)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is.

그러나,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S3에서 No)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S4)한 결과, 상기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면(S4에서 Yes), 해당 감지센서가 설치된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고,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경보부(160)를 통해 해당 소방설비 및 배관에 이상이 발생된 상태임을 표시 및 알려 주게 된다(S7).However, in a state where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not operated (No in S3), the pressure in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S4), if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Yes in S4), the pipe coupled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leaks or Or, it recogniz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refighting equipment, and displays and inform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refighting equipment and the pipe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or the alarm unit 160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it ( S7).

이에 더하여, 상기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는 상기 통신부(110) 및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화재 수신기(300)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500)에 해당 소방설비 및 배관에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전달(S8)해 주어 화재 수신기(300) 주변 또는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이를 즉시 알고 필요한 조치를 빠른 시간내에 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is, i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repeater 400, the fire receiver 300 or the manager's terminal 500 has an error in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equipment and piping. It is delivered (S8) that the fire receiver 300 has occurred so that the manager in the vicinity of the fire receiver 300 or in a remote place can immediately know this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n a short time.

한편,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 상기 감지수단(200)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를 통한 화재발생 유무(S3) 또는 각종 압력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한 결과, 특정 지역에 설치된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S3에서 Yes), 해당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고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9)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through the fire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detection means 200 (S3) or detects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using various pressure sensors. As a result,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s performed (Yes in S3), it is recogniz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 pressure is converted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input (S9).

이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S3에서 Yes)에서,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9)한 결과, 각 소방설비에 각각 구비된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면(S9에서 Yes),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는 해당 감지센서가 설치된 소방설비를 통해 초기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임으로 인식하고 이와 같은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S10)해 주게 된다.In this way, in the state where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operating (Yes in S3),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S9). , When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Yes in S9),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detects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Through this, it is recognized that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is normally performed, and this stat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10).

뿐만 아니라,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는 이에 더하여 상기 통신부(110) 및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화재 수신기(300)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500)에 초기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전달(S11)해 주어 화재 수신기의 주변 또는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in addition to this,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is normally performed in the fire receiver 300 or the manager's terminal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relay 400, It is delivered (S11) so that the manager in the vicinity of the fire receiver or in a remote place can know it.

이때,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 유무(S3) 또는 각종 압력 감지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한 결과, 특정 지역에 설치된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S3에서 Yes),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9)하기에 앞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경보부(160)를 포함하여 화재 수신기(300) 및 관리자의 단말기(500)에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은 표시 및 알리고 전달해 주는 단계(S14)를 더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using a fire detection sensor i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S3) or detecting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using various pressure sensors, the fire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f the sensor is operated (Yes in S3), as described above, prior to determining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S9), th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arry out a step (S14) of displaying, notifying, and delivering that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to the fire receiver 300 and the manager's terminal 50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alarm unit 160. .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 판단(S3)한 결과,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해당 지역에 설치된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작동된 상태(S3에서 Yes)에서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각종 압력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S9)한 결과, 만약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S9에서 No), 현재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 중 어느 한 소방설비도 작동되지 않아 초기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으로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경보부(160)를 통해 해당 지역에 설치된 소방설비들이 고장으로 인해 초기 화재진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표시 및 알려(S12) 주어 관리자가 이를 알고 화재진압에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3) by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operated (Yes in S3), and each firefighting equipment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various pressur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S9), if the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from any one detection sensor (No in S9), the current specific Despite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area, it is recognized that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has not been performed because any one of the various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operating, and the display unit 140 or the alarm unit 160 Indicates and informs (S12) that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automatically extinguished due to a failure, so that the manager knows this and can immediately take necessary measures for firefighting.

뿐만 아니라,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 상기 통신부(110) 및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화재 수신기(300)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500)에도 해당 지역에 설치된 소방설비들이 고장으로 인해 초기 화재진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전달(S13)해 주어 화재 수신기(300) 주변 또는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이를 즉시 알고 화재진압에 필요한 조치를 빠른 시간내에 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the fire receiver 300 or the manager's terminal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relay 400 also has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area due to a malfunction. Therefore, it is notified that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is not automatically performed (S13) so that a manager in the vicinity of the fire receiver 300 or in a remote place can immediately know this and take necessary measures for fire suppression in a short time.

한편, 본 발명을 적용하여 소방시설의 작동 및 기능에 이상이 없는지를 정확히 점검할 수 있으며, 특히 소방시설 작동기능을 점검할 때에는 소방시설물을 소화기구,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 포소화 설비, 분말소화 설비, 자동 화재탐지설비, 누전 경보기, 비상경보 설비 등으로 구분하여 각 설비별 점검 사항 및 점검 여부를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Equipment,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earth leakage detector, emergency alarm equipment, etc. can be accurately monitored for inspection items and inspections for each facility.

뿐만 아니라, 상기 모니터링 서버(100) 내 프로세서(120)에서 데이터 베이스(130)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 상태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방시설 작동기능 점검표 작성하여 이를 출력한 다음, 소방서 등 소방설비 점검 관련 관공서에 주기적으로 보고서 형태로 전송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prepares and outputs a checklist for the opera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using various firefighting facility status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130, and then inspects firefighting facilities such as fire stations. It can also be sent in the form of reports periodically to relevant government offices.

현행법상 점검주기는 연1회 이상, 종합정밀점검을 받은 달부터 6개월이 되는 달에 실시하게 되어있으나, 설비라는 것이 언제 작동이 안되는지 전혀 예측이 안되기 때문에 점검이후 1년이내에 고장이 생긴다면 다음 점검일까지 정상작동이 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되어 실제 화재가 발생하더라고 정상적인 경보기능 및 소화기능을 발휘할 수가 없다.According to the current law, the inspection cycle is to be carried out at least once a year, in the month of six months from the month of the comprehensive detailed inspection. It is left in a state that does not operate normally until the inspection date, so even if a fire actually occurs, it cannot exercise its normal alarm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s.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소방시설 관리사 등 전문가의 종합정밀점검일 이전 상시 정상작동을 모니터링하고 이상유무를 실시간에 알려줄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normal operation at all times before the day of comprehensive detailed inspection by experts such as firefighting facility managers and inform them of abnormalities in real tim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100 : 모니터링 서버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130 : 데이터 베이스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조작부 160 : 경보부
200 : 감지수단
300 : 화재 수신기
400 : 중계기
500 : 단말기
100: monitoring server
110: communication unit 120: processor
130: database 140: display unit
150: control unit 160: alarm unit
200: detection means
300: fire receiver
400: repeater
500: Terminal

Claims (13)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화재 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며, 각종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을 통해 검출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상기 화재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아 프로세서 측으로 전달하고,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화재 수신기 측으로 전달해 주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각종 감지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이들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관리자가 조작부를 통해 특정 감지센서에 대한 시간대별 감시 데이터의 출력 요구가 있을 때,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화재 수신기로 전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각종 감지 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프로세서의 요청이 있을 시, 해당 감지센서에 대한 시간대별 감시 데이터를 취출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출력시켜 주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Two-way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 fire receiver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side or outside, and various detection signals detected through a detection means having various detection sensors are received from the fire receiver and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and variou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rocessor is transmitte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data to the fire receiver;
Various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stored in the database. a processor which extracts and transmits the extracted data to a fire receiver through a display unit or a communication unit;
A database that stores various sens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ocessor in real time and, when requested by the processor, extracts monitoring data for each time zone for the corresponding sensor and outputs the data to the processor;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the building using IOT to 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출력부에는,
화재 발생시 또는 특정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된 경우, 이를 경보음 또는 경보 불빛 또는 경보 문구 중 어느 한 형태로 알려주는 경보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output of the processor,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an alarm unit is further installed to notify in the event of a fire or a leak in a specific pipe in the form of an alarm sound or an alarm light or an alarm phr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프로세서에서 판단한 결과,
화재는 발생되지 않았으나 특정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 또는 특정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된 특정 소방설비가 작동하여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설비들이 작동되지 않아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해당 상황을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알릴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processor of the monitoring server,
If a fire has not occurred, but it is recognized that a pipe connected to a specific fire-fighting equipment leaks or a problem with a specific fire-fighting equipment has occurred, or if a fire breaks out in a specific area, the specific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area operates and the fire is suppressed. In case of normal operation, or if a fire breaks out in a specific area and firefighting is not being carried out because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operating, the manager terminal can automatically notify the manager in a remote location of the situation.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방설비는 스프링클러와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해당 설치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배관 내에 설치되어 해당 스프링클러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스프링클러 압력감지센서, 상기 소방밸브가 설치된 배관 내에 설치되어 해당 소방밸브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소방밸브 압력감지센서 및, 상기 소방펌프가 설치된 배관 내에 설치되어 해당 소방펌프의 작동 여부 및 배관의 누수 여부를 압력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소방펌프 압력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es a sprinkler, a fire-fighting valve and a fire-fighting pump,
The detection sensor,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detecting whether a fi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area, a plurality of sprinkler pressur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 the pipe where the sprinkler is installed and detec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sprinkler is operating or leaking in the pipe with pressure, A plurality of fire-fighting valve pressure sensors installed in the pipe in which the valve is installed to detect whether the fire-fighting valve is operating and leaking in the pipe with pressure, and a plurality of fire-fighting valve pressure sensors installed in the pipe in which the fire pump is installed to detect whether the fire-fighting pump is operating and whether the pipe is leaking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among a plurality of fire pump pressure sensors for detecting water leakage by pressure.
청구항 1에 있어서,
관리자가 조작부를 통해 특정 소방설비에 대한 감지 상태 확인을 원할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 상태 정보 데이터를 불러들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주고,
관리자는 이를 이용하여 각종 소방시설 작동기능 점검표를 작성한 후 이를 출력하여 소방시설 작동기능 점검표를 원하는 관공서에 보고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manager wants to check the detection status of a specific firefighting equipment through the control panel,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retrieves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unit,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ministrator can use this to create a checklist of various firefighting facility operation functions and then print it out to transmit the firefighting facility operation function checklist to a desired government office in the form of a report.
통신부와 프로세서, 데이터 베이스,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및 경보부를 구비한 모니터링 서버에서 화재 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화재 수신기의 입력부에는 화재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각종 소방설비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모니터링 서버 내의 프로세서에서 감지수단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유무 또는 소방설비들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A monitoring server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a processor, a database, a display unit, an operation unit, and an alarm uni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with a fire receiver, and a fi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is included in the input unit of the fire receiver. In a state where there is a sensing means having at least one sensor among various sensors for sensing pressure,
In a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or the fluid pressure of fire-fighting equipment using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sensing means;
A monitoring method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including; record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 a database in a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감지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 method of monitoring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arrying out; displaying the detection result in real time on a display unit in a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상기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한 결과,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 결과,
만약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감지센서가 설치된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표시 및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s a result of detecting whether the fire occurs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if the fire detection sensor does not operate,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If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f the detection sensors,
A monitoring method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nd informs through a display unit or an alarm unit that a pipe coupled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leaks o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equipment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상기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한 결과,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만약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감지센서가 설치된 소방설비가 정상 작동하여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표시 및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s a result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has occurred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when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operated,
By determining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If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f the detection sensors,
A monitoring method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nd informs through a display unit or an alarm unit that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operates normally and fire suppression is being carried ou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판단한 결과,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해당 지역에 설치된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작동된 상태에서 각각의 소방설비에 구비된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 결과,
만약 어느 한 감지센서에서라도 압력 변환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 중 어느 한 소방설비도 고정으로 인해 작동되지 않아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표시 및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firefighting equipment in a state where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s operated,
If the pressure conversion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from any of the detection sensors,
Despite a fire currently occurring in a specific area, any one of the various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working due to fixation, so it is displayed and notified through the display or alarm unit that the fire is not being extinguished. A monitoring method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통해 특정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임을 표시해 주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를 통해 화재진압이 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해 주거나, 또는 해당 지역에 설치된 소방설비들이 고장으로 인해 화재진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표시해 줄 때,
해당 화재 수신기 주변에 있는 관리자가 현재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해당 데이터를 통신부 및 중계기를 통해 화재 수신기에도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alarm unit, it indicates that a pipe connected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is leaking or that the firefighting facility is in an abnormal state, or that firefighting is being carried out normally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facility, or that the firefighting facility is being operated normally, or Whe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indicates that fire suppression is not being performed automatically due to a malfunction,
Monitoring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e receiv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a repeater so that managers around the fire rece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urrent state and take necessary actions immediately method.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화재는 발생되지 않았으나 특정 소방설비에 결합된 배관이 누수되거나 또는 해당 소방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된 특정 소방설비가 작동하여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설비들이 작동되지 않아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원격지의 관리자가 즉시 알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상황을 자동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If a fire has not occurred, but it is recognized that the piping connected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leaks or that the fire-fighting facility has a problem,
Or, when a fire breaks out in a specific area and the specific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at area is operating and the fire is being extinguished normally;
Or, if a fire breaks out in a specific area and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area is not operating, the fire is not extinguished.
A monitoring method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tuation is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manager terminal so that the remote manager can immediately know.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 내 프로세서에서 상기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한 결과,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상기 화재 수신기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특정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s a result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has occurred in the processor in the monitoring server, when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operated,
A monitoring method using a 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erver in a building us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data indicating that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to at least one of the fire receiver or manager's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or an alarm unit.
KR1020210109066A 2021-08-18 2021-08-18 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0273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66A KR20230027389A (en) 2021-08-18 2021-08-18 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66A KR20230027389A (en) 2021-08-18 2021-08-18 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389A true KR20230027389A (en) 2023-02-28

Family

ID=8532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066A KR20230027389A (en) 2021-08-18 2021-08-18 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389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417B1 (en) 2014-02-17 2015-10-26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 time fire pro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with fault detection, and method therof
KR20210029922A (en)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랩시드 Real-time laboratory monitoring system
KR20210044390A (en) 2019-10-15 2021-04-23 유성배 Fire receiver equipped with pressure indicator in firefighting pump and firefighting valve and so 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417B1 (en) 2014-02-17 2015-10-26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 time fire pro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with fault detection, and method therof
KR20210029922A (en)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랩시드 Real-time laboratory monitoring system
KR20210044390A (en) 2019-10-15 2021-04-23 유성배 Fire receiver equipped with pressure indicator in firefighting pump and firefighting valve and so 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0773517B1 (en) A sensing and monitoring device of fire extinguishing chemical in a fire extinguisher
KR101754856B1 (en) System of gas sensor for conbinating wire and wireless using Internet of Things
WO2013115523A1 (en) Fire-extinguishing-equipment pressure-control system
KR102464640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181819B1 (en) Information conversion device of iot fire monitor
KR101950793B1 (en) A system for detecting fire automatic
JP2019103623A (en) Pressure monitoring system
CN111558191A (en)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of fire-fighting Internet of things
CN112216059A (en) Fire contro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equipment based on thing networking
KR101775489B1 (en) Monitoring system of power supply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quipment
KR20140094680A (en) Unmanned fire control apparatus of realtime smart type
JP2015232878A (en)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JP6385213B2 (en) Support system
KR100930980B1 (en) Fire management system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KR20230027389A (en) A server for monitoring firefighting equipment in a building using I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JP2013085914A (en) Alarm valv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fire alarm equipment
JP2019100783A (en) Gas meter system
KR101160256B1 (en) Sensor apparatus for controlling alarm output
JP2010282554A (en) Lp gas central monitoring system
KR102332919B1 (en) Fire receiver equipped with pressure indicator in firefighting pump and firefighting valve and so on
WO2019083175A1 (en) Safety gas cutoff an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vibration sensor
KR20050064510A (en) Extinguish system for remote controller
JP5827151B2 (en) Wet sprinkler system
EP3027284A1 (en) Fire suppres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