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376A -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376A
KR20230027376A KR1020210108875A KR20210108875A KR20230027376A KR 20230027376 A KR20230027376 A KR 20230027376A KR 1020210108875 A KR1020210108875 A KR 1020210108875A KR 20210108875 A KR20210108875 A KR 20210108875A KR 20230027376 A KR20230027376 A KR 2023002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facility
smart goggles
inspection syste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성구
이성환
박준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0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376A/en
Publication of KR2023002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3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06F16/7335Graphical querying, e.g. query-by-region, query-by-sketch, query-by-trajectory, GUIs for designating a person/face/object as a query predic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apable of inspecting power facilities using smart goggles, which includes: smart goggles worn by workers and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work sit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ing the image data from the smart goggles and transmi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the smart goggles. With th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spection by displaying the data capable of inspecting the power facility on the smart goggles of the workers through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inspec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laborately.

Description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고글을 이용하여 전력설비를 점검할 수 있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apable of inspecting power facilities using smart goggles.

전력설비는 발전소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설비와 생산된 전기를 송전선으로 전송하는 송전설비, 배전선로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기를 제공하는 배전설비를 통틀어 일컫는다.Electric power facilities collectively refer to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at produce electricity through power plants, transmission facilities that transmit the generated electricity to transmission lines, and distribution facilities that provide electricity to consumers through distribution lines.

전력설비는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만약 주요 발전설비 또는 전력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산업 전반에 엄청난 손실을 초래할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격어야 한다. Power facilities must be maintained very stably, but if a failure occurs in a major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power system, it not only causes huge losses throughout the industry, but also causes great inconvenience to the general public.

이러한 전력설비를 점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인쇄된 책자를 보면서 점검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전력설비 점검 관련 참고 자료가 다양하고 양이 방대하여 현장에서 즉시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참고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inspect such power equipment, an operator performed the inspection while looking at a printed booklet. However, since the reference materials related to power facility inspection are diverse and the amount is vast, it is difficult to find and refer to the necessary parts immediately in the field.

또한, 전력설비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작업 미숙으로 인해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전력설비의 오동작 또는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교체 또는 보수 작업을 요하므로, 큰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specting power facilities, not only personal injury but also malfunction or damage to power facilities may occur due to carelessness or inexperience of the operator. Since this requires additional replacement or repair work,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economic loss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력설비를 점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증강현실을 통해 작업자의 스마트고글에 표시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inspection by displaying data capable of inspecting power facilities on a worker's smart goggles through augmented reality It ha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은, 작업자가 착용하고,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마트고글; 및 상기 스마트고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mart goggles worn by a worker and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work sit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he image data from the smart goggles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the smart goggles.

여기서, 상기 스마트고글은,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증강현실을 통해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중앙관제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모듈; 및상기 중앙관제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mart goggles include: a first camera module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work site;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augmented reality; A first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각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제2 저장모듈; 상기 스마트고글과 무선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고글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전력설비 부품을 인식하고,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es a second storage module in which data for each power facility component is store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goggles; and a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a power equipment component from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goggles and transmits the data of the recognized power equipment component to the smart goggles.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주요정보에 관한 데이터, 교체 방법에 관한 데이터, 점검 방법에 관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data about mai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power equipment component, data about a replacement method, and data about an inspection method to the smart goggles.

이때, 상기 스마트고글은, 상기 중앙관제서버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 목록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작업자가 상기 데이터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상세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mart goggles display a plurality of data list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an operator selects any one data from the data list, detailed data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t may be mad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교체 방법 또는 점검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전력설비 부품의 현재 상태를 상기 제2 저장모듈에 있는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현재 상태에서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in real time when the operator selects data related to the replacement method or the inspection method, and stor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Data to be performed in the current state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goggles by matching the data with the image.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 이미지 매칭으로 해당 순서의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다음 순서에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data to be performed in the next sequence when confirming that a corresponding sequence of operations is completed through real-time image matching, and control the operation to proceed sequentially.

또는,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 이미지 매칭으로 해당 순서의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스마트고글에 작업완료와 다음단계 진행을 표시하고, 작업자가 다음단계 진행을 선택하면 다음 순서에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confirms that the corresponding sequence of operations has been completed through real-time image matching, the operation completion and next stage progress are displayed on the smart goggles, and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next stage progress, data to be performed in the next sequence is displayed. It may be transmitted and controlled to proceed sequentially.

이때, 상기 제어부는, 해당 순서에서 수행해야 할 전력설비 부품의 부분을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art of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to be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order to display a guideline on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mart goggles.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고장 사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ata on the failure case of the recognized power equipment component to the smart goggles.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마트고글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관제실에 있는 근무자가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 마이크와 제2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unit displaying image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smart goggles; and a second microphone and a second speaker provided so that the worker in the control room can give work instructions to the worker.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근무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on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mart goggles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when the worker selects a specific location from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근무자가 작업자와 영상 통화할 수 있도록 근무자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include a second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worker so that the worker can make a video call with the worker.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작업자가 상기 스마트고글의 입력부에서 전문가 작업 저장을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제2 저장모듈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be configured to store an image captured through a first camera module of the smart goggles in a second storage module when an operator selects expert job storage in an input unit of the smart goggles.

이때,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촬영된 영상과 상기 제2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전력설비 부품의 데이터 항목에 전문가 작업 영상으로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tches the captured image with the data for power equipment compon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and stores the image as an expert work image in the data item of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can be done to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작업자가 상기 스마트고글의 입력부에서 전문가 매칭을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과 제2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들 중 적어도 어느 한명을 선택하여 상기 스마트고글과 통신으로 연결해 주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n the operator selects expert matching in the input unit of the smart goggles,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of the smart goggles and the data and images for power equipment par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By matching, it may be made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experts of the corresponding power equipment part and connect it to the smart goggles through communica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스마트고글은,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와 통신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제1 마이크와 제1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smart goggles may include a first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to communicate with an expert of the corresponding power equipment part.

이때,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가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업 지시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전문가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transmit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of the smart goggles in real time from the expert so that the expert of the corresponding power equipment part can grasp the field situation in real time and give work instructions. there is.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에 따르면, 전력설비를 점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증강현실을 통해 작업자의 스마트고글에 표시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정교하게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capable of inspecting power facilities can be displayed on the worker's smart goggles through augmented reality to perform the inspection, resulting in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inspection more quickly and elaborately. You can get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의 스마트고글에 표시되는 영상을 일 예로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의 스마트고글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일 예로 나타낸 사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smart goggles of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on smart goggles of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및 블록도, 도 3은 상기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의 스마트고글에 표시되는 영상을 일 예로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상기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의 스마트고글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일 예로 나타낸 사진이다. 1 and 2 are diagrams and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image displayed on smart goggles of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as an example. It is a photograph, and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on smart goggles of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100)은 작업자가 착용하고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마트고글(200)과, 상기 스마트고글(200)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200)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 to 4, the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mart goggles 200 worn by a worker and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work site, and the image from the smart goggles 200 It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at receives data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the smart goggles 200 .

상기 스마트고글(200)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비이고,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전력설비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중앙관제선터에 설치되는 서버이다. 상기 스마트고글(200)과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게 이루어진다.The smart goggles 200 are equipment worn by workers,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s a server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center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power facilities. The smart goggles 200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o exchange data.

상기 스마트고글(200)은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 모듈(210)과,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증강현실을 통해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220)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중앙관제서버(3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모듈(240),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서버(300)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mart goggles 200 includes a first camera module 210 that captures a work site and generates image data, and a first display unit 220 that displays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rough augmented reality. ), a first storage module 240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3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can be done by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각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제2 저장모듈(320)과, 상기 스마트고글(200)과 무선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330), 그리고 상기 스마트고글(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전력설비 부품을 인식하고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200)에 전송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ncludes a second storage module 320 in which data for each power facility component is store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0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goggles 200, and the smart goggles It may include a controller 310 that recognizes power equipment parts from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200 and transmits the data of the recognized power equipment parts to the smart goggles 200 .

이러한 구성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현장에서 상기 스마트고글(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력설비 부품(P)을 보게되면, 상기 전력설비 부품(P)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10)로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 통신모듈(230)과 상기 제2 통신모듈(330)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0)는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전력설비 부품(P)이 어떤 부품인지 인식한 후 상기 제2 저장모듈(320)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상기 전력설비 부품(P)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면서 전력설비 부품(P)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referring to FIG. 3 , when a worker sees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P while wearing the smart goggles 200 in the field,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P is the first camera module 210 ), and the captured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0. Then, the control unit 310 recognizes which part is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P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then converts data related to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P from the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320. I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goggles 200. Then, i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of the smart goggles 200 so that the operator can inspect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P while checki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일 예로, 상기 제2 저장모듈(320)에는 각 전력설비 부품의 주요정보에 관한 데이터, 교체 방법에 관한 데이터, 점검 방법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스마트고글(200)로부터 수신된 전력설비 부품에 해당하는 주요정보에 관한 데이터, 교체 방법에 관한 데이터, 점검 방법에 관한 데이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200)에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torage module 320 stores data on key information of each power facility component, data on replacement methods, data on inspection methods,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unit 310 stores the smart goggles ( 200), at least one of data on mai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equipment part, data on replacement method, and data on inspection method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goggles 200.

그리고, 상기 스마트고글(200)에서는 상기 중앙관제서버(300)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 목록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고, 작업자가 상기 데이터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상세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nd, in the smart goggles 200, a plurality of data list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and when an operator selects any one data from the data list, Corresponding detailed data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work while checking.

즉, 상기 스마트고글(200)에서 작업자가 전력설비 부품의 주요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상세 설명, 기능, 설치 시기, 교체 시기 등 주요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perator selects data on the main information of the power equipment parts in the smart goggles 200, the main information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function, installation time, replacement time, etc. of the power equipment parts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 220)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it at a glance.

그리고, 상기 스마트고글(200)에서 작업자가 전력설비 부품의 교체 방법 또는 점검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10)에서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서버(300)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0)는 전력설비 부품의 현재 상태를 상기 제2 저장모듈(320)에 있는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현재 상태에서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200)에 전송한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selects data on a replacement method or inspection method of power equipment parts in the smart goggles 200,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210 is transferr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n real time. receive with 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transmits data to be performed in the current state to the smart goggles 200 by image-match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with the data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320 .

이때, 상기 제어부(310)는 실시간 이미지 매칭으로 해당 순서의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다음 순서에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10 can transmit data to be performed in the next sequence when confirming that the operation in the corresponding sequence has been completed through real-time image matching,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to proceed sequentially.

또는, 상기 제어부(310)는 실시간 이미지 매칭으로 해당 순서의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스마트고글(200)에 작업완료와 다음단계 진행을 표시하고, 작업자가 다음단계 진행을 선택하면 다음 순서에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310 confirms that the corresponding sequence of operations has been completed through real-time image matching, the operation completion and next step progress are displayed on the smart goggles 200, and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next step, the next step proceeds.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proceed sequentially by transmitting data to be performed.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순서에서 수행해야 할 전력설비 부품(P)의 부분을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화살표 등과 같은 가이드라인(GL)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And,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310 displays the portion of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P to be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order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of the smart goggles 200.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display guidelines GL such as arrows.

또는, 상기 제어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순서에서 수행해야할 작업을 증강현실을 통해 작업자가 인식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unit 310 may display the task to be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order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so that the operator recognizes the task through augmented reality to perform a more accurate task. may be made so that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에 필요한 실제 공구(RT)를 증강현실을 통해 가상의 공구(VT)를 표시한 후,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서 실제 공구(RT)를 어떻게 사용할지 가상의 공구(VT)로 나타내 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after displaying a virtual tool (VT) through augmented reality for a real tool (RT) required for work, virtual how to use the real tool (RT) in a part where work is required. It can be expressed as a tool (VT) of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작업을 수행해야할 대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perator can intuitively easily grasp the target to perform the work, so that the work can be processed quickly and erroneous work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310)는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고장 사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200)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control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ata on the failure case of the recognized power facility component to the smart goggles 200 .

즉, 전력설비 부품의 점검을 수행하기 전에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고장 사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at is, before performing the inspection of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data on the failure case of the corresponding power facility componen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it.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미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오작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since the operator can recognize problems that may occur in advance before performing the work and perform the 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erroneous work in advance.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상기 스마트고글(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340), 그리고 관제실에 있는 근무자가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 마이크(350)와 제2 스피커(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근무자가 작업자와 영상 통화할 수 있도록 근무자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3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340 that displays image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smart goggles 200, and a second display unit 340 provided so that a worker in the control room can give work instructions to the worker. It may include 2 microphones 350 and a second speaker 360 .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mera module 380 for photographing the worker so that the worker can make a video call with the worker.

즉, 관제실에 근무하고 있는 근무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하여 현재 작업중인 작업자의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 추가적으로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worker working in the control room checks the work situation of a worker currently working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340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give a work order to the worker.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근무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는 표시모듈(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모듈(370)은 마우스 또는 스마트펜슬 등으로 마련되어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of the smart goggles 200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when the worker selects a specific location from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340. It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370 for displaying.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370 is provided as a mouse or smart pencil.

즉, 관제실에 근무하고 있는 근무자가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할 때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상기 표시모듈(370)로 표시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에 나타나면 작업자가 쉽게 어느 부분을 설명하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worker working in the control room gives a work order to a worker, the display module 370 displays a part requiring explanation and appears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so it is intuitive to know which part the worker is easily explaining. can be recognized as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확인하는 작업 매뉴얼과, 관제실의 작업지시를 통하여 작업 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rough this, work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work manual that the operator checks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220 and the work instructions of the control room.

그리고, 수련된 전문 작업자가 상기 스마트고글(200)을 착용하고 작업을 수행하여 전문가 작업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trained professional worker may wear the smart goggles 200 and perform a task to capture and store an expert work image.

즉,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작업자가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입력부(270)에서 전문가 작업 저장을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제1 카메라 모듈(210)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제2 저장모듈(320)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records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210 of the smart goggles 200 when an operator selects expert job storage in the input unit 270 of the smart goggles 200. It may be made to store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320.

이때,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촬영된 영상과 상기 제2 저장모듈(32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전력설비 부품의 데이터 항목에 전문가 작업 영상으로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matches the captured image with the data for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320, and matches the image to the data item of the power equipmen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It may be made to save as an expert work image.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작업자가 전문가와 연락하기를 요청하면 해당 작업 전문가를 검색하여 연락한 후 현장의 작업자와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search for and contact a corresponding work specialist when a worker requests to contact an expert, and then connect the worker at the site.

즉,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작업자가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입력부(270)에서 전문가 매칭을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제1 카메라 모듈(210)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과 제2 저장모듈(32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들 중 적어도 어느 한명을 선택하여 상기 스마트고글(200)과 통신으로 연결해 주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210 of the smart goggles 200 when an operator selects expert matching in the input unit 270 of the smart goggles 200. 2 It is possible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experts in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by matching the image with the data on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20 and connect it to the smart goggles 200 through communica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스마트고글(200)은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와 통신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제1 마이크(250)와 제1 스피커(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smart goggles 200 may include a first microphone 250 and a first speaker 26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n expert in a corresponding power equipment part.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가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업 지시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고글(200)의 제1 카메라 모듈(210)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전문가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문가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기기 또는 전문가의 컴퓨터와 통신하여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210 of the smart goggles 200 so that an expert in the power equipment part can grasp the field situation in real time and give work instructions. It can be made to be transmitted in real time by an expert. At this time, it may be made to communicate with and connect to a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expert or a computer of the expert.

따라서, 현장의 작업자는 작업 중에 문의사항이나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에 전문가와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해당 사항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전문가들과 동시에 연결하여 함께 회의를 통하여 최선의 방안을 도출할 수도 있다. Therefore, when a worker in the field has an inquiry or problem during work, he or she can solve the problem by connecting with an expert in real time.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with a number of experts at the same time and derive the best plan through a meeting together.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200 : 스마트고글 210 : 제1 카메라 모듈
220 : 제1 디스플레이부 230 : 제1 통신모듈
240 : 제1 저장모듈 250 : 제1 마이크
260 : 제1 스피커 270 :입력부
300 : 중앙관제서버 310 : 제어부
320 : 제2 저장모듈 330 : 제2 통신모듈
340 : 제2 디스플레이부 350 : 제2 마이크
360 : 제2 스피커 370 : 표시모듈
380 : 제2 카메라 모듈
100: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200: smart goggles 210: first camera module
220: first display unit 230: first communication module
240: first storage module 250: first microphone
260: first speaker 270: input unit
300: central control server 310: control unit
320: second storage module 33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40: second display unit 350: second microphone
360: second speaker 370: display module
380: second camera module

Claims (18)

작업자가 착용하고,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마트고글; 및
상기 스마트고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서버;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Smart goggles worn by workers and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work sit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he image data from the smart goggles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the smart goggles;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고글은,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증강현실을 통해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중앙관제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모듈; 및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goggles,
A first camera module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work site;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augmented reality;
A first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각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제2 저장모듈;
상기 스마트고글과 무선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고글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전력설비 부품을 인식하고,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second storage module in which data for each power facility component is store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goggles; and
a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a power equipment component from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goggles and transmits data of the recognized power equipment component to the smart goggles;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주요정보에 관한 데이터, 교체 방법에 관한 데이터, 점검 방법에 관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data on the mai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power facility parts, data on the replacement method, and data on the inspection method to the smart gogg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고글은,
상기 중앙관제서버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 목록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작업자가 상기 데이터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상세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smart goggles,
A plurality of data list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an operator selects any one data from the data list, detailed data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to b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교체 방법 또는 점검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전력설비 부품의 현재 상태를 상기 제2 저장모듈에 있는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현재 상태에서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data regarding replacement method or inspection method,
Receiving image data generat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in real time;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be performed in the current state to the smart goggles by image-match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with the data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 이미지 매칭으로 해당 순서의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다음 순서에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 in the corresponding order is completed by real-time image matching, data to be performed in the next order is transmitted and controlled to proceed sequential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 이미지 매칭으로 해당 순서의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스마트고글에 작업완료와 다음단계 진행을 표시하고, 작업자가 다음단계 진행을 선택하면 다음 순서에 수행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 in the corresponding sequence has been completed through real-time image matching, the work completion and the next step are displayed on the smart goggles, and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next step, the data to be performed in the next step is transmitted to proceed sequentially.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순서에서 수행해야 할 전력설비 부품의 부분을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portion of the power facility parts to be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order to display a guideline on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mart gogg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전력설비 부품의 고장 사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고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data on failure cases of recognized power facility parts to the smart gogg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마트고글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관제실에 있는 근무자가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 마이크와 제2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second display unit displaying image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smart goggles; and
a second microphone and a second speaker provided so that a worker in the control room can give work instructions to the worker;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근무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on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mart goggles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when the worker selects a specific location from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근무자가 작업자와 영상 통화할 수 있도록 근무자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second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worker so that the worker can make a video call with the worker;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작업자가 상기 스마트고글의 입력부에서 전문가 작업 저장을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제2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n the operator selects expert work storage in the input unit of the smart goggles,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of the smart goggles in a second storage modu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촬영된 영상과 상기 제2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전력설비 부품의 데이터 항목에 전문가 작업 영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4,
The central control server,
Power facili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tured image is image-matched with the data for power facility compon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and stored as an expert work image in the data item of the power facilit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작업자가 상기 스마트고글의 입력부에서 전문가 매칭을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과 제2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설비 부품에 대한 데이터와 이미지 매칭하여,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들 중 적어도 어느 한명을 선택하여 상기 스마트고글과 통신으로 연결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n the operator selects expert matching in the input unit of the smart goggles,
By matching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of the smart goggles with the data for power equipment compon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odule,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experts in the power facility part and connecting it to the smart goggles through communic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고글은,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와 통신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제1 마이크와 제1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The smart goggles,
A first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to communicate with an expert in the power equipment part;
A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해당 전력설비 부품의 전문가가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업 지시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고글의 제1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전문가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power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ert transmits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module of the smart goggles in real time so that the expert of the power facility part can grasp the field situation in real time and give work instructions.
KR1020210108875A 2021-08-18 2021-08-18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KR202300273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875A KR20230027376A (en) 2021-08-18 2021-08-18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875A KR20230027376A (en) 2021-08-18 2021-08-18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376A true KR20230027376A (en) 2023-02-28

Family

ID=8532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875A KR20230027376A (en) 2021-08-18 2021-08-18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37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6770A (en) A augmented reality based assembly guide system
WO2019021592A1 (en) Task refinement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CN109934123B (en) Fault cod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OCR technology, internet and AR technology
US10901834B2 (en) Interactive troubleshooting assistant
US11328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wearable technology in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TWI738149B (en) Smart inspection method and smart inspection system
CN110751734A (en) Mixed reality assistant system suitable for job site
US11785184B2 (en) Maintenance support system, maintenan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JP5634142B2 (en) Parts retrieval device and parts retrieval computer program
KR20140032618A (en) 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JP2020086980A (en) Facility inspection supporting terminal, facility inspection supporting system, and program
KR20230027376A (en) Power equipment inspection system
CN101000491A (en) Power supply group field management system
CN107644457A (en) A kind of monitoring method applied to industry spot
JP7368937B2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N111752221B (en) Control system
CN208673383U (en) Repairing auxiliary device and system
CN114301005A (en) Intelligent auxiliary maintenance system for extra-high voltage GIS equipment based on 5G and AR
JP2022037675A (en) Remote maintenance support method
WO2018211312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roviding support to user concerning technical device
KR102525305B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for ship maintenance
EP3502836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ugmented interactive reality system
JP2019032728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WI801958B (en) System and method for equipment maintenance
CN109300112A (en) Instrument maintai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