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995A - 방사선에 의한 망막의 치료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에 의한 망막의 치료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995A
KR20230026995A KR1020227039896A KR20227039896A KR20230026995A KR 20230026995 A KR20230026995 A KR 20230026995A KR 1020227039896 A KR1020227039896 A KR 1020227039896A KR 20227039896 A KR20227039896 A KR 20227039896A KR 20230026995 A KR20230026995 A KR 2023002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treatment
retina
data
therapeutic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오르그 게르튼
Original Assignee
씨로메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로메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씨로메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2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눈 앞에 정의된 위치 및 배향에 광학 렌즈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학 렌즈 요소는 닫힌 눈꺼풀 상의 지지를 위한 방사선 투과성 오목면을 구비하며, 방사선 소스는 광학 렌즈 소자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광학 렌즈 요소를 통해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을 상기 망막으로 전달한다.

Description

방사선에 의한 망막의 치료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처방된 방사선 치료를 통한 광생물 조절을 사용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에의 노출에 의해 인체 조직을 치료하기 위해 조직의 퇴행성 질병 및 다른 병리학적 변화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 접근이 사용되는 것은 과학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상세히 고려되지 않았고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종양 세포의 방사선 치료적 조사와 같은 경선 조사 외에도, 가시광의 영역의 파장 및 이에 인접한 파장 범위의 방사선 조사가 치료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최근에 공지되었다. 방사선 조사는 다양한 조직, 예를 들어, 피부 조직 및 피하 조직의 상처 치유를 위해 사용된다.
특별한 적용 영역은 가시광의 영역에서의 이러한 방사선 및 인접한 전자기 방사선 조사를 사용하는 눈, 상세하게는 망막의 치료인데, 이러한 치료는 여기서, 400 nm 내지 1500 nm의 파장이 사용된다. 처방된 방사선 치료는 망막의 퇴행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망막의 세포들은 당연히 광 조사에 대해 민감하고, 부정확한 방사선의 선량에 대해 특히 민감하다. 발명자의 지견에 따르면, 광학적 방사선에의 노출 시간과 방사선 세기의 관련성 외에도, 파장 영역, 제시 모드(예를 들어, 펄스 또는 지속적인 방사선, 상기 방사선의 입사각 및 조사 면적), 반복률 및 노출 시간(생물학적 주기의 리듬)은 원하는 치료 효과에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세포손상 작용으로 변할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특히, 인간의 망막은 명백한 생물학적 주기의 대사작용을 가질 수 있는 미토콘드리아로 엄격하게 제공되므로, 발명자의 지견에 따르면, 이러한 치료학적 치료에서 전자기 방사선의 소정 빈도에 대한 서로 다른 민감성을 갖는다. 전자기 방사선에 대한 세포 구조의 민감성은 개인의 나이, 개인의 체질 또는 질병에 따라서도 변할 수 있다. 또한, 망막은 신경 단위로 복잡하게 연결되므로(예를 들어, 소위 온-오프 필드(On-Off Field)의 형태), 소정 영역의 조사는 조사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조사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US 10,219,944 B2 및 US2016/0067087 A1로부터 눈의 망막 치료를 소정의 치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머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고 나서 장치의 고정 프레임 단면에 배치하여 눈의 위치 및 머리를 소정의 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양안의 망막의 조사가 치료 목적을 위해 수행되는 특별한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장치의 단점은, 다수의 치료 과정이 치료 효과를 위해 필요하고, 장치는 자체의 특별한 구조로 인해 치료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자체의 특별한 구조 및 관련된 제조 비용으로 인해 치료 과정에서 환자 스스로가 이용가능하기에 - 예를 들어 환자 스스로가 그 장치를 구입하거나 대여하기에 -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환자는 다수의 치료 과정을 위해 입원 환자 또는 외래 환자 시설에 반복적으로 가야 하고, 높은 활용률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의 구입이 경제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환자들에 대한 관련된 수고를 경감하고 이에 따라 건강 시스템 안에서 발생하는 고비용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기본적으로, 이는 환자에게 자가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외래 환자 또는 입원 환자 치료를 통한 치료 비용을 방지하는 접근방식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장치의 구입은 원하는 비용절약 효과에 반대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비용집약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잘못된 조작, 잘못된 설정 등으로 인해 원하는 치료 대신에 조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치료는 정기적으로 가정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US 10,219,944 B2 및 US2016/0067087 A1으로부터 개시된, 환자의 머리를 소정의 방식으로 설정하고 부착하기 위한 조사(irradiation) 장치는 입원 환자 또는 외래 환자 치료 센터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환자가 사용하기에 이격된, 상대적으로 긴 간격의 치료 과정에서 이러한 장치의 구입은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치에 필요한 설정작업 및 서포트 작업으로 인해 의사의 동행이 치료 과정동안 필요하며, 상기 장치는 다수의 시간적으로 이격된 치료 과정을 갖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비용절약적이고 동시에 기술적 및 의학적으로 안전한 치료 과정에 적합하지 않다.
WO 2018/224671로부터 망막의 방사선 치료를 위한 또 다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한편으로는 안경테 종류에 따라 환자에 의해 착용되는 특별하게 제조된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이하다. 방사선 소스는 안경테에 고정되고, 상기 시스템에 속한 개별 제어부에 의해 치료학적 치료를 위해 제어된다. 이러한 장치는 또한 두 개의 구입할 처리 장치, 한편으로는 특별한 제어 장치, 다른 한편으로는 방사선 소스를 갖는 특별한 안경테 형태의 치료 장치로 구성되는 특별한 장치이다. 여기서도,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동시에 의학적으로 안전하며, 다수의 시간적으로 이격된 치료 과정을 갖는 장기간 치료의 실행은 실행가능하지 않다.
또한, US2016/0158486 A1으로부터 인간의 눈의 치료를 위한 방사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서로부터 교시된 장치는 매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므로, 한편으로는 눈 가까이에 또는 눈에 장치가 착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눈꺼풀에 대한 접촉도 실시예로서 상상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이러한 개시된 교시의 단점은, 장치의 구조 및 효율적인 작용에 필요한 부품들의 배치에 대한 세부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덧붙여, 상기 장치는 방사선이 원거리 전달되는 것에 근거하고 이에 따라 불리한 전달률에 도달하고 불리한 열적 효과를 각오해야만 한다.
US 2013/0304162 A1으로부터 스키 고글의 방식으로 착용되어야 하는 다른 방사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방사선이 원거리 전달되어 공기를 통해 열린 눈 안에 적용됨으로써 한편으로는, 실제적으로 피할 수 없는 눈 동작에 따른 의존성이 발생하고, 또한, 눈꺼풀 닫힘을 통해 방사선 세기 및 총방사선량의 선량이 단지 부정확할 수 있다.
US 2017/0333729 A1 및 US 2019/0232078 A1으로부터 수면 마스크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양안용 방사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방사선 세기의 허용가능한 선랑에 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총방사선량의 허용가능한 선량에도 도달하지 않고, 치료에 따르는 측정을 위한 수단으로 적합하지만, 치료에 효과적인 방사선 장치로서 사용될 수 없는데, 이는, 방사선 방향에 관해서도, 상기 방사선 선량에 관해서도 상기 장치에 필요한 정밀도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US 2020/008135 A1으로부터, 방사선을 분산적으로 조정하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공기를 통한 전달의 원리에 근거하는 눈을 위한 방사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사선 장치를 사용하여 아픈 조직 영역의 원하는 치료가 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편안하고 상대적으로 긴 치료기간동안 운반하기에는 전체적으로 너무 부피가 크고 다루기 힘들다.
치료적 방사선을 갖는 방사선에 민감한 조직의 치료에서 기술적인 문제점은 너무 높은 방사선 노출이 원하는 치료 효과 대신에 조직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너무 높은 방사선 노출은 한편으로는, 방사선 소스의 너무 높은 방사선 세기 또는 방사선 소스와 망막 사이의 근소한 거리, 너무 긴 노출 또는 너무 짧은 노출 반복률 또는 이러한 원인들의 결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손상, 즉, 오정렬, 잘못된 조작 또는 제어에 대한 원인들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는 특별한 장치를 구비한 치료적 방사선 치료가 실행가능하며, 상기 장치에 해당하는 안전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종종 해당하는 승인 권한을 통해 치료가 허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소정의 조작 결함이 상기 장치 자체에 의해서 발생하지 않는 한, 정기적으로, 치료 동안 의학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두 가지 효과들은, 경제적이고 동시에 안전한 방식으로 적용가능한 장치가 기술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경우에, 다수의 시간적으로 서로 이격된 치료 과정을 갖는 긴 시간 동안 확장되는 치료의 경제적인 실행은 불리하고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경제적으로 개시된 시스템으로서 장기간 치료를 다수의 시간적으로 서로 이격된 치료 과정으로 실현할 수 있고 동시에 조직의 손상을 유발하는 결함 치료를 피하기 위한 기술적 안전성을 신뢰성있게 보장할 수 있는 망막 조직의 방사선 치료를 위한 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특징을 갖는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막의 치료적 치료에 사용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한편으로는, 방사선 소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방사선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는, 방사선 지속 시간 및 방사선 세기를 제어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치료 방식에 따라서, 방사선 빈도, 방사선 스펙트럼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이 제어될 수 있다. 방사선 소스 및 제어부는 하나의 하우징에서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망막의 방사선 치료, 즉, 광생물 조절(PBM)은 최적의 효과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치료는 타겟 조직의 대사 상황, 즉, 망막의 해당하는 세포들에 맞게 조정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나이에 따른 황반 변성(AMD)의 치료에서 무엇보다도 미토콘드리아의 생물학적 주기가 고려되어야 한다. AMD에 대한 PBM 요법은 상기 방사선이 아침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매일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가정용으로만 실현되고 구현가능하다. 환자들에게 매일 아침에 방사선 선량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누워 있는 환자에게 적용하는 데에 적합하므로, 상기 환자는 상기 치료를 아침마다 일어서기 전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하다면, 누워만 있는 환자 또는 일반적으로 아픈 환자들의 PBM 치료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이고 이러한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 연결되는 광학 렌즈 요소를 환자의 눈 앞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대물렌즈 요소는 환자의 눈 안에 치료적 방사선을 도입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대물렌즈 요소는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배향으로 환자의 눈 앞에 유지되어야 하고, 이러한 위치 및 배향은 치료 동안 신뢰성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방사선의 배향 및 위치결정을 실현하기 위해 환자의 머리를 전체적으로 위치결정 장치가 종래 기술로부터 개시되어 있다. 조사의 소정의 축 배향 및 위치를 보장해야 하는 고글과 유사한 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안전한, 예를 들어, 가정용으로도 환자에게 감독 없이 의학적인 적임자를 통해 수행된 망막의 조사는 필요한 안전성으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환자 개개인의 위치결정 및 배향은 다양한 눈의 거리, 혹시 발생하는 시력 장애 및 양안의 시선과 관련하여 약간 흩어진 위치결정 및 배향으로 환자의 머리에 부착된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체의 치료 기간 내내 안전하게 유지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문제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극복된다.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는 한편으로는, 상기 렌즈 요소를 소정의 위치 및 배향으로 눈 앞에 유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렌즈 요소는 눈의 볼록면에 조정되는 방사선 투과성 오목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정은 한편으로는, 상기 오목면을 환자의 눈에 직접 눕히게 하는 데에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면을 눈꺼풀의 닫힌 눈꺼풀 면 위에 눕히게 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치료 동안 이러한 오목면을 통해 제1 효과로서 상기 렌즈 요소의 신뢰성있는 위치결정 및 배향이 보장된다. 동시에, 제2 효과로서 이러한 직접적인 배치를 통한 조사의 작용이 눈 또는 눈꺼풀 안으로의 방사선에 효과적인 결합을 통해 실현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 요소의 오목면의 접촉면은 눈꺼풀의 표면 형태에 조정될 수 있다. 눈꺼풀 표면 형태는 환자 개개인적으로 약간 다양하며, 닫힌 눈꺼풀 하부에서 눈의 시선방향에 따라 개개인적으로도 변하게 된다. 이러한 조정은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요소의 탄력에 의해 부드러운 접촉 렌즈의 형태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조정은 단단한 렌즈 요소 및 탄력적인 중간층을 사용하여 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종류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요소의 오목한 접촉면을 통해 상기 눈꺼풀과 상기 렌즈 요소 사이의 온도 유도가 실현되며, 이에 따라 방사선으로 인한 불편한 가열이 보상될 수 있고, 환자에게 명백히 편안한 치료가 실행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개시된 장치와 비교하여 눈꺼풀이 열렸을 때 눈동자 개방 및 안구 렌즈를 통해 조사가 직접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상기 렌즈 요소를 직접적으로 상기 눈꺼풀 상에 기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정확한 위치결정 및 배향 그리고 눈 안으로의 보다 적합한 방사선 결합이 실현되는 장점이 발생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소스는 0.01 mW/cm2 (=0.1 W/m2) 초과, 0.025 mW/cm2 초과, 0.05 mW/cm2 초과, 0.2 mW/cm2 초과 또는 0.5 mW/cm2 초과의 방사선 세기를 갖는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고, 이것은 눈꺼풀이 열렸을 때 치료를 위해 충분한 방사선 선량이 발생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선 소스가 0.1 mW/cm2 초과의 방사선 세기를 갖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경우, 이는 눈꺼풀이 닫힘으로써 치료에 특히 잘 적합하다. 여기서, 방사선 세기로서 각각 상기 장치의 출사면으로부터 상기 출사면 안에 존재하는 방사선 세기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사선 세기는 발산 또는 수렴을 통해 망막까지 약화되거나 강화될 수 있으며, 특히, 흡수 효과를 통해 눈꺼풀 안 또는 상기 출사면과 상기 망막 사이에 위치하는 또다른 조직 부분 안에서 더욱 감소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방사선 세기의 하한으로 인해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치료가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선 세기는 100s까지의 방사선 지속 기간에서 0.1 mW/cm2 이하, 0.5 mW/cm2 이하 또는 10 mW/cm2 이하, 특히 1 mW/cm2 또는 5 mW/cm2 이하이므로, 허용되는 방사선 효과는 눈 자체 뿐만 아니라 눈꺼풀의 피부에 대해 초과하지 않는다. 이는, 허용되는 방사선 지속 기간과 허용되는 세기 수준 사이의 관계가 광학적 기준을 따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소스는 450 nm 내지 1500 nm의 파장영역, 바람직하게는, 4개의 서로 다른 파장영역에서 이러한 스펙트럼 내부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4개의 서로 다른 파장영역은 450 nm과 500 nm 사이, 570 nm과 600 nm 사이, 610 nm과 730 nm 사이 및 790-890 nm 사이에 놓이며, 동시에 또는 다른 시간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핵심 파장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약 670 ± 15 nm, 약 810 ± 15 nm 및 약 850 ± 15 nm의 영역인 단지 2개의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소스는 1 μW와 10 W 사이, 바람직하게는, 100 μW와 1 W 사이, 이상적으로는 1 mW와 100 mW 사이의 성능을 가진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성능으로서 상기 방사선 소스의 출력성능 자체, 즉, 예를 들어, 방사선 소스로 사용된 다이오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요소는 다수의, 광학적으로 작용하는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단일의, 광학적으로 작용하는 부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요소의 오목면은 눈 또는 닫힌 눈꺼풀의 기하학적 구조에 맞게 조정되며, 일반적으로 5 mm와 500 mm 사이의, 이상적으로는 10 mm와 100 mm 사이의 반경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다수의 세그먼트로부터 구성될 수 있거나 편평한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을 서로 다른 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물렌즈 요소의 오목면은 특히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 및 이러한 반경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재사용가능하거나 한번 사용가능한 분리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위생 박막 또는 위생 분리층이 그 안에 고정될 수 있어 상기 장치의 신체 접촉면의 제품 위생 및 살균성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면은 닫힌 눈꺼풀 위에 배치하기 위해 형성되고 환자는 닫힌 눈꺼풀로 인해 상기 치료 동안 눈 동작을 수행할 적절한 이유가 없으므로, 치료적으로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사선이 실현된다. 이러한 장점은 닫힌 눈꺼풀을 통한 방사선의 특정 감쇠 및 필터링의 단점을 능가하며, 환자가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전반적으로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치료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이거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학 렌즈 요소는 상기 방사선 소스로부터의 방사선을 상기 방사선 투과성 오목면으로 분배하기 위해 형성된 확산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요소는 확산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확산기는 눈 또는 눈꺼풀 표면 위에 놓이는 요소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렌즈 요소 자체를 나타내거나 렌즈 요소의 일부를 구성한다. 하지만, 상기 확산기는 상기 렌즈 요소의 다른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기는 예를 들어 광학적 산란 또는 굴절을 통해 분배 효과를 달성하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예를 들어, 산란 요소, 홀로그램, 렌즈 또는 광학 요소로서의 광 가이드일 수 있다. 이러한 확산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예는, 예를 들어 결정 구조나 반결정 구조를 갖는 투명 물질에 의해 달성되는 불투명 유리창과 유사한 광학적 작용이다. 상기 확산 효과를 통해 치료적 치료에 적합한 방사선의 분배가 달성된다. 이러한 분배는 한편으로는, 선택적이거나 방향지시된 방사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방사면이 발생하며 및/또는 방향이 없는 방사선의 목적을 위한 확산은, 필요하다면 선호하는 방향과 함께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기는 반투명 물질,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적분구 또는 층으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의 지견에 따르면, 상기 확산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의 통합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치료적 목적을 위해 유리한 확산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는 열적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한편으로는 환자에게 적합한 접촉면의 온도가 실현될 수 있고, 눈 또는 눈꺼풀로부터의 온도 유출 및 해당하는 온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는 눈꺼풀 또는 렌즈 요소 안에서 일정한 온도를 조정하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치료중 발생하는 온도 영향을 보상하고 렌즈 요소의 가열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각각 상기 렌즈 요소의 오목면에 고정가능한 접촉면 요소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 요소 세트는 제1 굴절률을 갖는 제1 접촉면 요소, 및 제1 굴절률과 다른 제2 굴절률을 갖는 제2 접촉면 요소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의 굴절률이 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사선 조사된 조직 물질에 맞춰 조정될 수 있다. 이는, 닫힌 눈꺼풀 안으로 효율적인 결합을 실현하고 상기 렌즈 요소의 과도한 가열을 방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여기서, 상기 접촉면 요소는 상기 렌즈 요소의 출사면에 접착되게 유지될 수 있는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가, 얼굴의 눈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부분 얼굴 마스크로서 설계된 경우 훨씬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의 설계는 한편으로는, 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지만, 상기 위치결정 및 정렬의 목적을 위해 충분한 정확도도 나타내는데, 이는 특히, 상기 렌즈 요소의 오목한 접촉면에 기반하는 정밀한 정렬 및 위치결정을 허용한다. 특히,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를 통해 상기 렌즈의 제1 기본 위치결정 및 정렬을 달성하지만, 상기 렌즈 요소 자체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서 한계적으로 움직이게 배치되어, 상기 렌즈 요소 자체에 대한 오목면의 형태 맞춤 효과에 기반하여 제2 정밀한 정렬 및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부분 얼굴 마스크는, 눈에 인접한 피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피부 표면 아래의 뼈 윤곽에 의해 기본적인 형태 맞춤 위치결정이 달성되도록 설게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안경테에 대해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부분 얼굴 마스크가 머리 주위로 안내된 스트랩을 사용하거나, 스트랩 또는 안경테 스트랩과 같은 귀 주위로 안내된 유지 요소를 사용하거나 흡입 컵을 사용하여 환자의 얼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 측정 및 위치결정 수단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정렬 및 위치결정에 충분한 양호한 고정 및 환자의 얼굴에 유지하는 것이 실현된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선 소스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 고정되며, 특히, 치료 위치에서 눈동자 및 확산기가 있는 방사선 축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선 장치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환자는 이러한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얼굴 외부에 배치된 외부 장치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선 소스는 눈동자 및 확산기가 있는 방사선 축에 위치하므로, 축을 따르는 망막의 방향으로 편향 없이 직접적인 방사선 전파를 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제2 방사선 소스가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방사선 베이스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이 가요성 방사선 가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 안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 직접 배치된 방사선 소스 외에도,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부터 이격된 추가의 제2 방사선 소스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방사선 소스의 방사선은 방사선 도체, 특히, 유리섬유 도체를 사용하여 상기 대물렌즈 요소로 유도된다. 여기서, 치료적 방사선은 상기 제1 및 제2 방사선 소스로 구성되고, 동시에 망막에 추가적으로 작용하거나 번갈아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선 소스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방사선 베이스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은 가요성 방사선 가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 안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선 소스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 배치되고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는 가볍고 컴팩트한 단위로 실현될 수 있다. 그 대신에 상기 방사선 소스는 방사선 베이스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은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부터 이격되는데, 예를 들어, 탁상용 장치로 구현되고, 환자는 신체에 고정하거나 휴대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방사선 베이스 유닛에 의해 상기 치료적 방사선이 방사선 가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대물렌즈 요소로 안내된다. 이러한 방사선 가이드는 단일 또는 다중 코어 광 가이드 장치로 설계될 수 있는데, 특히, 여기서, 개별적인 방사선 도체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좌안 및 우안에 조사하고 좌안 및 우안의 두 개의 개별 렌즈 요소에 방사선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상기 방사선 도체로 전송되는 방사선력의 효과적인 선량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필요하다면, 서로 다른 치료적 방사선에 의한 사용자의 양안의 개별적인 노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눈 또는 닫힌 눈꺼풀 상의 편평한 지지에 대한 상기 오목면은 적어도 1 cm2의 지지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1 cm2의 최소 영역의 편평한 지지는 오목한 지지면에 의해 실현된다. 이에 따라,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의 적합한 결합이 충분히 큰 평면으로 보장되고, 부적합한 방사선 효과는, 필요하다면 높은 방사선 농도를 통해 방지된다. 동시에 이러한 최소 크기의 접촉면에 의해 안전하고, 형태적합한 대물렌즈 요소의 위치결정이 달성되므로, 이는 방사선 축의 정확한 배향 및 위치결정에서 마찬가지로 유리하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기술적으로 결합되고 닫힌 눈꺼풀 검출을 위한 눈꺼풀 센서를 통해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꺼풀 센서가 닫힌 눈꺼풀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할 때만 방사선 장치를 활성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는 다양한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하고, 전기화학적, 기계적 또는 광학요소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피부저항/전도성, 접촉압력 또는 반사율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환자의 눈꺼풀이 닫혀 있는지, 열려 있는지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눈꺼풀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눈꺼풀 센서는 서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목한 접촉면의 열 전도가 측정될 수 있고, 이러한 열 전도를 기초로 하여, 닫힌 눈꺼풀에 대한 편평한 접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렌즈 요소가 배치되는 조직 표면의 전도성을 측정할 수 있고, 이로부터 이러한 조직 표면이 닫힌 눈꺼풀의 표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눈꺼풀 센서는 닫히거나 열린 눈꺼풀을 인식하기 위해 이미지 평가를 갖는 이미지 검출부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눈꺼풀 센서는 예를 들어, 눈꺼풀 또는 눈의 상면의 반사가 서로 차이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닫힌 눈꺼풀을 인식할 수 있는 광전 감지기로도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눈꺼풀 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기술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사선의 노출을 상기 눈꺼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과량의 치료적 방사선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눈꺼풀이 닫히지 않았을 경우 너무 높은 방사선이 눈 위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눈꺼풀 센서에 대안적이거나 추가적으로, 상기 렌즈 요소는 닫힌 눈꺼풀의 기계적인 차단에 영향을 끼치고 이에 따라 상기 장치의 사용시 눈꺼풀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오목한 접촉면이 상기 눈꺼풀 위로 형태적합 접촉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그리고 나서 이러한 형태적합 접촉으로 눈꺼풀 개방 동작을 차단하면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정보 단계에서 환자에게 후속하는 치료적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여 주고, 상기 치료 단계를 상기 정보 단계 이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방사선 기간 및 방사선 세기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거나 상기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치료 방식에 해당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키보드 및 화면, 음성 인식 및 음성 출력 등 및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한편으로는 치료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사용자에게 치료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가정용 장치를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전성에 기여하는 입력 및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적합하므로, 상기 장치의 사용은 의학적인 전문 담당자 없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단계와 상기 치료 단계 사이의 입력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고, 상기 치료 단계를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에 시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를 통한 입력은 상기 정보 단계 이후 상기 치료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안전성 조회 및 증명을 수행할 수 있고, 치료 결함 또는 치료시 불완전한 시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관련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사용자 관련 개인정보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 ID를 상기 제어부의 사용자 ID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식별하고, 이러한 사용자 ID에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 ID용 치료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소정의 치료 단계에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ID는 치료가 시작되기 전에 결정된다. 이는 특히, 의도된 환자들에게만 수행되고, 다른 사람에게는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ID는 예를 들어, 비밀번호 지문, 홍채 인식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근거로 하여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눈꺼풀의 개방 또는 폐쇄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된 눈꺼풀 센서를 동시에 사용하여 홍채 인식을 근거로 해서 사용자 ID를 확인한다.사용자관련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이미지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검출부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 ID를 정의하고, 특히, 상기 사용자의 홍채 기하학적 구조를 설명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홍채 인식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ID를 정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 안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은 방사선 유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유도장치는 상기 방사선 소스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서 환자의 눈 앞에 유지된 광학 렌즈 요소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 및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방사선 베이스 유닛 안에 배치되고,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지 2개의 부재 안에 통합되어 실현된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컴팩트한 구조, 다른 한편으로는 다루기 쉬운 장치가 실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러한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또는 노트북에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 및 운반장치는 환자의 머리에 운반장치로만 유지할 수 있는 총중량 및 치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환자의 머리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환자는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고, 그 위치를 변경하여 편안한 치료 상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선 장치는 환자의 양안에 동시에 조사하기 위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빔 출사 방향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양안을 동시에 치료하고 이에 따라 치료시간을 감소시키는 가능성이 발생한다. 여기서, 단일 방사선 소스로부터 치료적 방사선을 양안으로 유도하고, 적절한 빔 분할에 의해 양안으로 분배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의 서로 다른 방사선 소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방사선 소스는 한쪽 눈에 구비된다.
방사선은 빔 스플리터 또는 적어도 2개의 독립적인 빔 소스를 통해 한쪽 눈 또는 양안이 동시적으로 치료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눈은 광학적 분리를 통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양안의 방사선 파라미터 및 방사선 빈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환자는 며칠의 치료 시간 동안 일관된 루틴을 유지할 수 있고, 매일 아침 치료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사선은 눈이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조사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눈에는 2일마다 해당하는 효과적인 치료 파장(또는 또다른 파라미터)으로만 조사될 수 있고, 또다른 눈에도 조사되지만,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 선량, 예를 들어 가시 스펙트럼 내의 치료적으로 비효과적인 파장, 또는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 세기로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종의 플라시보 효과를 표적화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선 장치는 제1 광학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학 렌즈, 제1 광학 콜리메이터 및/또는 제1 광학 필터부를 포함하는 ㅈ제1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제1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방사선 진행 축을 따라 이격된 제2 광학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광학 렌즈, 제2 광학 콜리메이터 및/또는 제2 광학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2 광학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선 장치는 환자의 양안을 동시에 조사하고 이를 위해 해당하는 광학 장치가 양안 각각에 제공된다. 특히, 이는 또한 양안을 서로 다른 치료적 방사선, 예를 들어, 빈도, 방사선 세기 또는 방사선 파라미터와 관한 서로 다른 치료적 방사선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치료 과정을 포함하는 치료 계획을 저장 및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를 위한 제1 치료 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치료 과정의 종료시점을 저장하고, 상기 제2 치료 과정을 조작중에 시작하여 상기 제1 치료 과정의 종료시점 이후 최소 시간이 경과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지능적이고 동시에 오류-방지적 치료 과정을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수행하고 여기서 다수의 개별 치료 단계도 시간적으로 거리를 두는 방식으로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경우, 적절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2개의 치료 단계 또는 치료 측정은 과량의 방사선이 눈을 손상시키거나 적어도 치료의 성공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소정의 최소시간을 제공하고 이러한 최소시간을 초과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후속 조사를 허용하지 않는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실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체 상태를 특징짓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치료 과정 이후에, 수행된 상기 치료 과정을 특징짓는 치료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진단 데이터 및 상기 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전문 컴퓨터의 수신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전문 컴퓨터의 송신장치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 데이터에 의해 특징지어진 치료 과정의 수행을 위한 방사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한편으로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치료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치를 통해 수행되었거나 수행되는 치료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관련 데이터를 예를 들어, 의학적 숙련자에 의해 감시되고 조작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치료 진행, 치료 성공의 감시가 가능한 전문 컴퓨터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환자가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데에 특히 적합한 장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는 또한, 치료 과정이 상기 전문 컴퓨터에 의해 상기 장치에서 제어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치료 과정을 치료 의사가 원격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체 상태를 특징짓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전자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소정의 신체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 상태 데이터과 일치한지, 상기 신체 상태 데이터를 통해 정의된 신체 상태를 넘어서거나 미달인지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어부의 전자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수개의 치료 과정으로부터 후속 치료 과정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의 전자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치료 과정으로부터 후속 치료 과정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치료 과정의 수행을 위해 방사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입력되거나 이미지 검출장치로부터 이미지 평가를 통해 분석됨으로써 수신되는 진단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설명하는 특징의 변화를 검출하고 이러한 검출에 근거하여 또다른 치료 단계를 선택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달성된 부분적 성공의 의미에서 치료의 진행에 따라 추가 치료가 설계될 수 있고, 이 경우, 예를 들어 추가 치료를 위한 적절한 치료 단계는 선택을 위해 이용가능한 여러 서로 다른 치료 단계로부터 선택되고 나서 수행된다. 또한, 서로 다른 치료 단계에 의해 달성된 치료 성공의 비교를 근거로 하여 최상의 결과를 달성한 치료 단계를 선택한 다음, 이 치료 단계로 치료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이미지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데이터는, 치료된 조직의 이미지를 설명하는 이미지 검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 검출장치는 망막 조직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출을 수행하여, 해당하는 이미지 평가를 통해 치료 결과의 직접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치료 단계의 성공이 직접적으로 평가될 수 있고, 이러한 평가를 참조로 하여, 소정의 성공가능한 치료 단계의 선택과 같은 추가 치료 단계의 계획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로 하면, 환자는 얼굴 마스크(10)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눈을 감은 상태에서 착용하고, 유지 장치로서 안경테와 유사한 유지 브래킷(12a, b)을 사용하여 눈 앞의 위치에서 유지한다. 상기 얼굴 마스크(10)는 얼굴 마스크를 제위이에 둔 상태에서 눈의 축방향으로 각각 좌안 및 우안용의 좌측 및 우측 렌즈 요소(20, 30)를 포함한다. 6개의 좌우측 방사선 소스(21, 31)가 이러한 렌즈 요소에 통합되어 있다. 이러한 방사선 소스 각각은 조사된 방사선의 반사를 검출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센서와 통합되어 있고, 마스크에 통합되어 있는 제어부(12)는 각각의 눈의 눈꺼풀이 닫혔는지 또는 열렸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장치는, 상기 얼굴 마스크에 배치된 충전식 배터리(11a, b)를 해당하는 접촉을 사용하여 충전하기 위해 상기 얼굴 마스크를 어댑터(41)에 삽입할 수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40) 또는 상기 얼굴 마스크는 또한 스마트폰(5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얼굴 마스크(10)의 제어부(12)에 통합된 수신기와 신호 접속한다. 상기 스마트폰 상의 해당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동되고, 상기 렌즈 요소(20, 30)의 방사선 소스를 통해 조사 공정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얼굴 마스크(110)는 눈 위에 배치되고, 우안 및 좌안의 축 방향으로 해당하는 렌즈 요소(120, 130)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렌즈 요소(120, 130)는 이러한 경우 상기 얼굴 마스크 자체에 방사선 소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방사선 소스(141, 142)는 광 가이드(141a, 142a)를 통해 상기 얼굴 마스크에 연결되는 베이스 스테이션(140)에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40)의 방사선 소스(141, 142)는 상기 광 가이드(141a, 142a)를 통해 상기 얼굴 마스크(110)로 안내되는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여기서, 두 개의 렌즈 요소(120, 130)로 안내되고 이에 결합함으로써, 망막의 치료적 조사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베이스 스테이션(140)은 특히, 방사선 세기 및 방사선 지속 시간과 같은 방사선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환자가 상기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자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5)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분 절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얼굴 마스크(210)가 얼굴에 배치된다. 상기 얼굴 마스크는 이미징 렌즈(221) 및, 닫힌 눈꺼풀(2)로 향하는 오목한 지지면(223)을 포함하는 확산기(222)를 구비하는 렌즈 요소(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목한 지지면(223)은 이러한 닫힌 눈꺼풀에 직접적으로 놓이고 방사선을 눈꺼풀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방사선은 눈꺼풀을 통과하고 안구렌즈(3)를 통해 눈(1)의 망막(4)에 도달하여 치료적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 얼굴 마스크(210)에서, 상기 확산기(222) 바로 위에 방사선 소스(224a-d)가 배치되고, 이는 상기 확산기(222)로 방사선을 방출하고, 오목면(223)을 지나 눈꺼풀로 조사되어 거기서 망막에 도달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광 가이드(228)를 통해 얼굴 마스크에 연결되는 외부 방사선 소스(227)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 방사선 소스(227)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은 이러한 광 가이드(228)를 통해 상기 렌즈 요소(220)에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확산기(222)로 들어가 오목면(223)을 지나 망막에 도달한다.
상기 외부 방사선 소스(227)는 베이스 스테이션(24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얼굴 마스크(210)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접촉 요소를 구비한 수용장치를 포함한다.

Claims (26)

  1.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소스,
    상기 방사선 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을 소정의 방사선 지속 시간과 방사선 세기로 상기 방사선 소스로부터 눈의 망막으로 전달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환자의 눈 앞의 정의된 위치 및 배향으로 광학 렌즈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렌즈 요소는 닫힌 눈꺼풀 상의 지지를 위한 방사선 투과성 오목면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선 소스는 상기 광학 렌즈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광학 렌즈 요소를 통해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방사선을 상기 망막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소스로부터의 방사선을 상기 방사선 투과성 오목면으로 분배하기 위해 형성된 확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는 반투명 물질,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울브리히트구 또는 층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열적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면 요소 세트를 특징으로 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렌즈 요소의 오목면에 부착가능하고,
    상기 접촉면 요소 세트는,
    제1 굴절률을 갖는 제1 접촉면 요소; 및
    제1 굴절률과 다른 제2 굴절률을 갖는 제2 접촉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는, 얼굴의 눈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부분 얼굴 마스크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얼굴 마스크는,
    머리 주위로 지나는 밴드를 사용하거나,
    귀 주위로 지나는 스트랩 또는 안경테 걸이와 같은 유지 요소를 사용하거나,
    흡입 컵을 사용하여,
    환자의 얼굴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소스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 고정되며, 특히, 치료 위치에서 눈동자 및 상기 확산기가 있는 방사선 축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2 방사선 소스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방사선 베이스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은 가요성 방사선 가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소스는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방사선 베이스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은 가요성 방사선 가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은 적어도 1cm2의 접촉 면적에 걸쳐 눈 또는 닫힌 눈꺼풀과 표면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요소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기술적으로 결합된, 닫힌 눈꺼풀을 검출하기 위한 눈꺼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꺼풀 센서가 닫힌 눈꺼풀에 신호를 보내는 신호를 전송할 때만 상기 방사선 장치를 활성화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를 위한 수용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장치는 상기 렌즈 요소 또는 렌즈 요소들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보 단계에서, 환자에게 후속하는 치료적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여 주고, 상기 치료 단계를 상기 정보 단계 이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선 지속 시간 및 방사선 세기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고 및/또는 상기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통해 출력된 치료 방식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단계와 상기 치료 단계 사이에, 입력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고, 상기 치료 단계를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에 시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관련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사용자 관련 개인정보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 ID를 상기 제어부의 사용자 ID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식별하고,
    이러한 사용자 ID의 기능으로서 그 사용자 ID에 대해 치료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소정의 치료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이미지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검출부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 ID를 정의하고, 특히, 상기 사용자의 홍채 기하학적 구조를 설명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홍채 인식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ID를 정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및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그래픽 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 베이스 유닛은 상기 방사선 소스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을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에서 환자의 눈 앞에 유지된 광학 렌즈 요소로 보내기 위한 방사선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는, 환자의 머리에 상기 유지 및 위치결정 장치로만 유지되게 하는 총중량 및 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장치는 환자의 양안에 동시에 조사하기 위한, 서로 이격된 2개의 빔 출사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장치는,
    제1 광학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학 렌즈, 제1 광학 콜리메이터 및/또는 제1 광학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제1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방사선 진행 축을 따라 이격된 제2 광학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광학 렌즈, 제2 광학 콜리메이터 및/또는 제2 광학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2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치료 과정을 포함하는 치료 계획을 저장 및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를 위한 제1 치료 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치료 과정의 종료시점을 저장하고,
    상기 제2 치료 과정을 조작 중에 시작하여 상기 제1 치료 과정의 종료시점 이후 최소 시간이 경과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4.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체 상태를 특징짓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치료 과정 이후에, 수행된 상기 치료 과정을 특징짓는 치료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진단 데이터 및 상기 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전문 컴퓨터의 수신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전문 컴퓨터의 송신장치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 데이터에 의해 특징지어진 치료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방사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체 상태를 특징짓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전자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소정의 신체 상태 데이터와 비교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 상태 데이터과 일치한지, 상기 신체 상태 데이터를 통해 정의된 신체 상태를 넘어서거나 미달인지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어부의 전자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치료 과정으로부터 후속 치료 과정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치료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방사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이미지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데이터는, 치료된 조직의 이미지를 설명하는 이미지 검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장치.
KR1020227039896A 2020-04-15 2021-04-07 방사선에 의한 망막의 치료를 위한 장치 KR202300269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0284.4A DE102020110284A1 (de) 2020-04-15 2020-04-15 Vorrichtung zur Strahlungsbehandlung der Netzhaut
DE102020110284.4 2020-04-15
PCT/EP2021/059089 WO2021209298A1 (de) 2020-04-15 2021-04-07 Vorrichtung zur strahlungsbehandlung der netzha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995A true KR20230026995A (ko) 2023-02-27

Family

ID=7544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896A KR20230026995A (ko) 2020-04-15 2021-04-07 방사선에 의한 망막의 치료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45284A1 (ko)
EP (1) EP4135835A1 (ko)
JP (1) JP2023522069A (ko)
KR (1) KR20230026995A (ko)
CN (1) CN115397507A (ko)
DE (1) DE102020110284A1 (ko)
WO (1) WO20212092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5046B1 (en) * 1998-01-21 2001-05-22 David W. Gerdt Passive photonic eye delivery system
JP3667268B2 (ja) * 2001-09-26 2005-07-06 得一郎 長谷川 アイマスク
WO2010076708A1 (en) * 2008-12-30 2010-07-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light therapy
EP2422845B1 (en) 2010-08-24 2013-04-24 Polyphotonix Limited Lightguide phototherapy apparatus
WO2013056742A1 (en) * 2011-10-21 2013-04-25 Patrimoine De L'universite De Liege Photo-stimulation device
JP2016525408A (ja) * 2013-07-25 2016-08-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光療法を提供し、概日リズムを修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431200B (zh) 2013-07-25 2019-06-2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提供光治疗并修改昼夜节律的系统
CA2926539A1 (en) 2013-11-13 2015-05-21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Sleep mask that incorporates light to regulate uterine contractions
US20160067087A1 (en) 2014-09-09 2016-03-10 LumiThera, Inc.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wavelength photobiomodulation for ocular treatments
JP6701179B2 (ja) 2014-09-09 2020-05-27 ルミセラ インク.Lumithera, Inc. 損傷又は疾患組織の非侵襲的治療のための、多重波長光線療法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5110358A1 (de) 2015-06-26 2016-12-29 Intel IP Corporation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für sendeempfänger eines mobilkommunikationssystems
SG11201911672UA (en) 2017-06-08 2020-01-30 Dopavision Gmbh System and method to stimulate the optic nerve
US10744341B2 (en) 2017-08-02 2020-08-18 Multi Radiance Medical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light into a patients eye
JP2021512659A (ja) 2018-01-31 2021-05-20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制御可能な眼光線療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9298A1 (de) 2021-10-21
JP2023522069A (ja) 2023-05-26
DE102020110284A1 (de) 2021-10-21
US20230145284A1 (en) 2023-05-11
CN115397507A (zh) 2022-11-25
EP4135835A1 (de)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082051A (ja) 損傷又は疾患組織の非侵襲的治療のための、多重波長光線療法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RU254590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фототерапии
US202300431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eye conditions
US20160067087A1 (en)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wavelength photobiomodulation for ocular treatments
JP2022506492A (ja) 眼疾患の治療および防止のためのレーザ療法
AU2008318415A1 (en) Phototherapy treatment and device for infections, diseases, and disorders
AU2018379378B2 (en) Photobiomodulation device for treating retinal disease
CN114981713A (zh) 用于眼睛的接触透镜
US20200360723A1 (en) Gland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dry eye disease
KR20230026995A (ko) 방사선에 의한 망막의 치료를 위한 장치
CN109069294A (zh) 用于青光眼的神经保护疗法的系统及方法
CN114306946A (zh) 一种施加光能量于眼睛的医疗装置
RU2808478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ей глаз
US20230324256A1 (en) Lensmeter capable of measuring near-infrared transmittance of eyeglass lens
WO2022045238A1 (ja) 光照射システム、ウェアラブル装置、設置型の光照射装置、および光照射方法
US20230226372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ocular laser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