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896A -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896A
KR20230026896A KR1020210109062A KR20210109062A KR20230026896A KR 20230026896 A KR20230026896 A KR 20230026896A KR 1020210109062 A KR1020210109062 A KR 1020210109062A KR 20210109062 A KR20210109062 A KR 20210109062A KR 20230026896 A KR20230026896 A KR 20230026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path
walking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시완
Original Assignee
이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완 filed Critical 이시완
Priority to KR102021010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6896A/en
Publication of KR2023002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8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00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with correlation of navigation data from several sources, e.g. map or contour 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5Road data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which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by collecting walking route data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a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which provide pedestrians with an optimal walking route by determining whether a pedestrian can move on a walking rou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edestrian such as a wheelchair user 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for achieving the purpose comprises a user terminal, a pedestrian route providing unit, and a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Description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로 상의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보행자 유형에 따른 최적의 보행 가능 경로를 제공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for providing an optimal walking path according to a pedestrian type by accurately identifying a movable path on a pedestrian path.

최근, 보행자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안내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차량의 길 안내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행자에게 길 안내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s pedestrians' demand for navigation guid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route guidance is provided to pedestrians in the same way as vehicle guidanc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길 안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을 대상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보행자에게 경로를 안내하는 경우 차량이 운행할 수 있는 도로 위주로 표시되어 보행자에게 안전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se conventional road guidance systems generally provide road guidance services for vehicl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safe road guidance information to pedestrians as roads on which vehicles can drive are mainly displayed when guiding a route to pedestrians. there was

또한, 종래의 길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보행자의 길 안내는 차량용 도로와 보행자용 보도가 분리되지 않은 단일의 정보, 즉 차량용 도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정확한 보행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pedestrian guidance using a conventional road guidance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accurate walking path information to pedestrians by providing single information, that is, vehicle road information, in which vehicle roads and pedestrian sidewalks are not separated. .

또한, 종래의 길 안내 시스템은 보행자용 보도, 자전거 도로, 횡단보도, 육교, 지하도, 계단, 번화가 도로 및 경사로 등 보행자의 통행 시 불편하게 작용하거나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 시설물들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지 못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road guidance systems do not reflect information on facilities that may be inconvenient or useful for pedestrians such as pedestrian sidewalks, bicycle paths, crosswalks, overpasses, underpasses, stairs, downtown roads and ramps.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timal path could not be provided.

또한, 종래의 길 안내 시스템은 성인, 어린이, 장애인 및 노인, 유모차 및 휠체어 등의 이동 수단을 동반한 보행자 등 각각의 보행자마다 갖는 이동 특성이 반영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ad guidance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n optimal path reflecting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each pedestrian, such as adults, childr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pedestrians accompanied by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strollers and wheelchair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행로 정보 제공부의 우선순위에 따라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휠체어 사용자, 시각장애인 등의 보행자 유형에 따른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보행자에게 최적의 보행 경로를 제공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data by collecting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er, and based on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wheelchair users, visually impaired people,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ptimal walking path to a pedestrian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edestrian can move according to the type of pedestria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은,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출발지부터 상기 도착지까지의 최적 보행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부 및 상기 보행자 경로 제공부로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보행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 경로 제공부는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최적 보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including a user terminal receiving user information,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 path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providing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and a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to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wherein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provides an optimal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based o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 walking path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무, 장애 종류,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whether or not there is a disability, the type of disability, a disability assisting means,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n accompanying person.

또한, 상기 장애 보조 수단은 휠체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휠체어가 수동인지 자동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bility assisting means includes a wheelchair, and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n input of whether the wheelchair is manual or automatic.

또한,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는, 보행로의 고정적인 장애물 및 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보행로 상태 데이터와, 보행로의 비고정적인 장애물 및 인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보행로 상황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기반 수집한 이동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includes walking path state data representing data on fixed obstacles and facilities on the walking path, and walking path situation data representing data on non-fixed obstacles on the walking path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human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user movement route data representing movement route data collected based on GPS from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보행로 상태 데이터는,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보행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 데이터와, 보행로 주변에 존재하는 건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 데이터 및 보행로 상에 설치된 시설물 및 설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path state data includes road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 walking path through which a pedestrian can move, building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buildings existing around the walking path, and facilities and equipment installed on the walking path. Facility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보행로 상황 데이터는, 보행로 상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장애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와, 기상 환경에 의해 발생한 장애물 및 기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데이터 및 보행로 주변에서 발생한 사고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path condition data includes non-fixed obstacle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obstacles that temporarily or periodically occur on the walking path,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obstacles and weather conditions generated by the weather, and surroundings of the walking path. may include safety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accident that occurred in

또한, 상기 기상 환경에 의해 발생한 장애물은 보행로 상의 특정 지점에 일시적으로 발생한 결빙 및 침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stacles caused by the weather environment may include ice and flooding temporarily occurring at a specific point on the walking path.

또한, 상기 보행자 경로 제공부는, 상기 보행로 정보 제공부로부터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의 로우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행로 정보 수집부와,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가공부와,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존재하는 보행로들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보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상기 사용자 정보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경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includes a walking path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raw data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processing unit that extracts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the raw data, and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based on th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walk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of the walking paths exist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may include a path generator to generate a path and a path provider to provide the at least one or more optimal walking paths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보행로 정보 제공부는, 상기 보행로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 수집하는 GIS데이터수집부와, 보행로에 설치된 씨씨티브이(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및 차량의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영상기록수집부와, 보행로 주변에 설치된 스마트폴 및 보행로 설비 또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IoT 기기를 포함하는 IoT센서데이터수집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셜매핑데이터를 수집하는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기반 사용자의 이동경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행경로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cludes a GIS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including the walking path state data, a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installed on the walking path, and a vehicle A video record collection unit including a black box, an IoT sensor data collection unit including a smart pole installed around a walking path and an IoT devic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a walking path facility or building, and social mapping data that collects social mapp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a collection unit and a walking path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GPS-based user movement path data from at least one or more user terminals.

또한, 상기 소셜매핑데이터는 장애물의 이미지,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ial mapping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type, and location of the obstacle.

또한, 상기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는 노드 및 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는 도로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노드는 상기 링크의 속성이 변하는 지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is composed of nodes and links, the links represent road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nodes may be points where attributes of the links change.

또한, 상기 도로의 속성 정보는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자전거전용도로, 보행자전용도로, 차도, 보도, 3차로, 교차로 및 보차혼용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oad may include a highway, an automobile-only road, a bicycle-only road, a pedestrian-only road, a roadway, a sidewalk, a three-lane road, an intersection, and a mixed-use road.

또한, 상기 도로의 속성 정보는 도로의 경사도 및 점자블록의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oad may include the gradient of the roa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aille blocks.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은,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행로 정보 제공부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를 수집하는 로우 데이터 수집 단계와,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및 출발지/도착지 정보 수신 단계와,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존재하는 보행로들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생성하는 최적 보행 경로 생성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최적 보행 경로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data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raw data includ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a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 a pedestrian path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and from the raw data A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processing step of extracting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a step of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starting point/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departure/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or not walking paths of existing walking paths can be moved, determining whether or not walking paths can be moved, generating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generating the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for the user A step of providing an optimal walking path provided to a terminal is included, an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movement on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determines whether or not movement on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무, 장애 종류,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whether or not there is a disability, the type of disability, a disability assisting means,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n accompanying person.

또한, 상기 장애 보조 수단은 휠체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휠체어가 수동인지 자동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bility assistance means includes a wheelchair, and in the us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whether the wheelchair is manual or automatic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는, 상기 로우 데이터에서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 중 중복되는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데이터 중복 판단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중복 판단 단계에서 중복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최신성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processing step includes a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the raw data, a data redundanc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overlapping data among the extract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nd the data redundancy It may include a data recency determination step characterized by extracting the most up-to-date data when there is overlapp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in the determination step.

본 발명의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사용자 정보 및 보행로 정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능력에 따라 그에 적합한 최적 보행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 및 시각 장애를 가지는 보행자들도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손쉽고 수월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First, by providing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the user's walking ability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so that wheelchair users and visually impaired pedestrians can easily and easily reac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둘째,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7가지로 나누어 보행로 정보 제공부들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가 중복 수신되었을때 보행로 정보 제공부의 우선순위에 따라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데이터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maximiz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by divid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into seven types and extract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e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is repeatedly received from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s. .

셋째, 다수의 보행로 정보 제공부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함으로써 데이터의 높은 신뢰도 및 최신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in securing high reliability and up-to-dateness of data by continuously collecting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units.

넷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장애물의 모습, 종류, 위치 등의 정보가 담긴 소셜매핑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cctv나 블랙박스에서 촬영하지 못하는 보행로 사각지대까지도 장애물의 존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by collecting social mapping data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type, and location of obstacles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etect the existence of obstacles even in the blind spots of the walking path that cannot be captured by cctv or black box. .

다섯째, 어느 구간에 대하여 장애물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장애물 데이터가 수집된 시각 이후에 해당 구간에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가 수집되면, 해당 구간을 보행자 유형에 따라 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의 정확도와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Fifth, even if there is obstacle data for a section, if the user's movement path data is collected in the section after the time the obstacle data is collected, the section can be determined to be walk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pedestrian, so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possible to move on a walking path.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metho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데이터 및 보행로 정보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레이어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nd a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method of a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ocial mapping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steps of a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process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GI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hould be similarly interpre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 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components. For example, when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figure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igure as the lower part for convenience, in practi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as the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as the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each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regardless of the manufacturing order, and the names may not match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n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order to explai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0),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a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300, and a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이 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edestrian path provid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Also, the pedestrian route providing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pedestrian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200),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200),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200),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200), NFC 네트워크(200), 위성 방송 네트워크(200),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200),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200)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200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the network 200 includes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200,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200, 5GPP (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200,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Personal Area Network (PAN), Bluetooth Network (200), NFC Network (200),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200), Analog Broadcasting Network (200)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200,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기(100)는 보행자 경로 제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n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a user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ervic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110) 및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110 and a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

사용자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11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 it to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300 .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보행 능력에 관한 것으로 성별, 나이, 장애 유무, 장애 종류 등의 신체 정보와, 휠체어나 지팡이, 안내견 등을 포함하는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의 유무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보행 가능 경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입력되는 정보이다. 이 때, 휠체어가 수동인지 자동인지에 따라서 경사도가 있는 보행로에서 보행자의 이동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의 종류(수동, 자동)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relates to the user's walking ability, and includes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ability, and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assisting means including a wheelchair, cane, guide dog, and the like, and companions. This is information input so that an appropriate walking path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clud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human presen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type of wheelchair (manual or automatic) since whether a pedestrian can move on a walking path with an inclination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wheelchair is manual or automatic.

즉, 같은 보행로 상에서도 보행자의 신체 정보와,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의 유무 등에 따라 보행자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추천받을 수 있다.That is, even on the same walking path, since whether or not the pedestrian can move along the walking path may vary depending on the pedestrian's body information, disability assistance means, and presence or absence of an accompanying person, the optimal walking path is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can be recommended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입력부(120)는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로부터 보행 경로를 제공받을 출발지 및 도착지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to be provided with a walking path from the pedestrian route providing unit 300 from a user.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Th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nd a tablet PC.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출발지부터 상기 도착지까지의 최적 보행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할 수 있다.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300 may provide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point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301),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수신부(302), 보행로 정보 수집부(303), 가공부(304), 분류부(305), 판단부(306), 경로 생성부(307), 경로 제공부(308), 검증부(309) 및 레이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destrian route provid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1, a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302, a walking rou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3, a processing unit 304, a classification unit ( 305), a determination unit 306, a path generator 307, a path provider 308, a verification unit 309, and a layer unit 310.

사용자 정보 수집부(301)는 사용자의 보행 능력에 관한 것으로 성별, 나이, 장애 유무, 장애 종류 등의 신체 정보와, 휠체어나 지팡이, 안내견 등을 포함하는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의 유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11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보행자 유형에 적합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1 relates to the user's walking ability, including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disability, type of disability, disability assisting means such as a wheelchair, cane, guide dog, etc., and presence or absence of an accompanying person. User information to be used may be collected from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110 .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a pedestrian typ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수신부(302)는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입력부(120)로부터 최적의 보행 경로를 제공할 출발지 및 도착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경로 상에서 보행자에 따른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02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departure and arrival locations to provide an optimal walking path from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walking path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pedestrian on the path between the received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and provide the user terminal 100 with an optimal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데이터 및 보행로 정보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nd a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보행로 정보 수집부(303)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10)의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3 may collect raw data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는 보행로 상태 데이터(11), 보행로 상황 데이터(12) 및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walking path state data 11, walking path situation data 12, and user movement path data.

상기 보행로 상태 데이터(11)는 보행로의 고정적인 장애물 및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도로 정보 데이터(11-1), 건물 정보 데이터(11-2) 및 건물 정보 데이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king path state data 11 relates to fixed obstacles and facilities of the walking path, and may include road information data 11-1, building information data 11-2, and building information data 11-3. .

상기 도로 정보 데이터(11-1)는 도로, 인도, 보차로, 이면도로 등을 포함하여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보행로에 관한 정보 데이터로, 보행로의 파손된 상태나 점자블록의 파손 상태, 횡단보도의 위치, 보행로 상의 유동인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information data 11-1 is information data about walking paths along which pedestrians can move, including roads, sidewalks, sidewalks, back roads, etc. Information on the floating population on the location and walking path may be included.

상기 건물 정보 데이터(11-2)는 상가, 주택, 빌딩 등의 건물에 관한 정보 데이터로, 건물의 위치, 층별 정보, 출입구 위치 등과 같이 건물 자체의 정보, 건물의 장애인 시설(화장실, 전용 에스컬레이터 등)의 존재 유무, 승강기 활용 가능 여부, 건물 출입구의 형태와 휠체어 통과 가능 여부 등과 같이 장애인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건물의 출입구 정보를 파악하여 건물의 출입구를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추후에 보행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building information data (11-2) is information data on buildings such as shopping malls, houses, and buildings. Information on the building itself, such as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ntrance location,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the building (toilet, escalator, etc.) ), whether or not the elevator can be used, the shape of the building entrance and whether or not the wheelchair can pass, etc. A walking path may be provided later by a walking method.

상기 건물 정보 데이터(11-3)는 가로등, 볼라드(bollard), 신호등, 자전거 거치대 등 공공의 목적으로 보행로 상에 설치된 시설물 혹은 설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ilding information data 11-3 may include information on facilities or equipment installed on a pedestrian path for public purposes, such as streetlights, bollards, traffic lights, and bicycle racks.

상기 보행로 상황 데이터(12)는 보행로의 비고정적인 장애물 및 인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에 관한 것으로,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12-1), 환경 정보 데이터(12-2) 및 안전 정보 데이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king path condition data 12 relates to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non-fixed obstacles and huma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walking path, and includes non-fixed obstacle data 12-1,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12-2, and safety information. It may include data 12-3.

상기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12-1)는 보행로 상의 유동적인 장애물에 관한 것으로, 불법 주차, 쓰레기 등과 같이 보행로 상에서 일시적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보행에 어려움을 주는 장애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n-fixed obstacle data 12-1 relates to flexible obstacles on the walking path,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obstacles that temporarily or periodically occur on the walking path, such as illegal parking and garbage, that cause difficulty in walking.

상기 환경 정보 데이터(12-2)는 보행로 상에 결빙 또는 침수와 같이 기상 환경에 의해 발생한 장애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미세먼지, 온도, 바람 등의 기상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12-2 may include obstacle information generated by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freezing or flooding on a walking path, and may include meteorological information such as fine dust, temperature, and wind.

상기 안전 정보 데이터(12-3)는 안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코로나 감염자의 방문 건물에 관한 정보, 보행로 상에서 발생한 사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information data 12-3 includes safety-related information,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buildings visited by corona-infected persons, accidents occurring on a walking path, and the like.

상기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는 후술할 보행경로수집부(45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GPS를 기반으로 수집될 수 있다.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가 존재하면 그 데이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는 해당 이동경로 데이터에 존재하는 모든 보행로를 이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보행로 정보 데이터(10) 중에서 가장 최우선순위로 지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user movement path data 13 may be collected based on GPS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 a walking path collecting unit 450 to be described later. If the user movement path data 13 exists,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data can determine that all walking paths existing in the movement path data can be moved, and will be designated as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ca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는 노드와 링크 형태로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는 GPS 좌표이고, 링크는 노드를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한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 movement path data 13 may be collected in the form of nodes and links. Here, a node is a GPS coordinate, and a link means a line connecting nod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also be described later.

가공부(304)는 상기 보행로 정보 수집부(303)에서 수집된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술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추출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304 may extract the above-describ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from the raw data collected by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3 .

여기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는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의 여러 수집부로부터 수집되기 때문에 가공부(304)는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 중에서 중복되는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중복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후술할 분류부(305)에 의해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후술할 보행로 정보 레이어(20)에 특성별로 분류할 수 있다.Here, since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is collected from various collection units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the processing unit 304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overlapping data among the extract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If there is no overlapping data,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extracted by the classification unit 305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20 to be described later.

이 때, 중복되는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데이터의 최신성을 판단할 수 있다. 수집된 시간에 차이가 존재할 경우 이전 시간의 데이터는 삭제하고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중복되는 데이터들이 동시에 수집된 경우, 즉 중복되는 데이터 간에 최신성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re is overlapping dat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wness of the data.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llection time, the data of the previous time can be deleted and the most recent data can be used. However, when overlapping data are collected at the same time, that is, when there is no difference in recency between the overlapping data, the data may be used according to preset prioriti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분류부(305)는 상기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후술할 보행로 정보 레이어(20)에 특성별로 분류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unit 305 may classify the extract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a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20 to be described later.

판단부(306)는 상기 보행로 정보 레이어(20)마다 저장되어 있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유형에 따른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306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movement of the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type of pedestrian is possible based o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stored in each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s 20 .

즉, 판단부(306)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수많은 경로 중에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etermination unit 306 receives user information and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ovement on a walking path is possibl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mong numerous paths between the departure and arrival locations.

이 때, 판단부(306)는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를 최우선순위로 설정하여 보행자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306 may set the user movement path data as the highest priority to determine whether the pedestrian can move to the walking pa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경로 생성부(307)는 상기 판단부(306)에서 이루어진 판단 결과에 따라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보행자 유형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는 제공받는 사용자가 보행 가능한 경로에 해당한다.The path creation unit 307 may generate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a pedestrian type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ade by the determining unit 306 . The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corresponds to a walking path for the user to be provided.

경로 제공부(308)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path provider 308 may provide the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to the user terminal 100 .

즉, 사용자 정보 및 보행로 정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능력에 따라 그에 적합한 최적 보행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 및 시각 장애를 가지는 보행자들도 최적 보행 경로를 바탕으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손쉽고 수월하게 도달할 수 있다.That is, by providing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the user's walking ability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wheelchair users and visually impaired pedestrians can easily get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optimal walking route. can be easily reached.

검증부(309)는 보행 가능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한 후, 제공된 보행 가능 경로의 적절성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네거티브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공된 보행 가능 경로에 대한 오류 검증을 실시하여 오류 부분 및 오류 원인을 파악하고, 파악된 오류 부분 및 오류 원인을 서버에 업데이트한 후, 오류의 패턴을 발견하고 분류를 통하여 오류율을 예측하기 위하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을 실시하고, 딥러닝으로 도출된 데이터를 서버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After providing the walkable path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verifier 309 receives negative feedback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00 regarding whether the provided walkable path is appropriate, an error for the provided walkable path is received. Perform deep learn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identify error parts and causes of errors by performing verification, update the identified error parts and causes of errors to the server, find error patterns, and predict error rates through classification. And the data derived by deep learning can be reflected in the server.

레이어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10)의 특성별로 보행로 정보 레이어(20)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ayer unit 310 may create a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20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

즉, 보행로 정보 레이어(20)는 보행로 상태 레이어(21), 보행로 상황 레이어(22) 및 사용자 이동경로 레이어(23)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layer 20 may include a walking route state layer 21 , a walking route state layer 22 , and a user moving route layer 23 .

상기 보행로 상태 레이어(21)는 도로 정보 레이어(21-1), 건물 정보 레이어(21-2) 및 시설 정보 레이어(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king path state layer 21 may include a road information layer 21-1, a building information layer 21-2, and a facility information layer 21-3.

상기 보행로 상황 레이어(22)는 비고정 장애물 레이어(22-1), 환경 정보 레이어(22-2) 및 안전 정보 레이어(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king path situation layer 22 may include a non-fixed obstacle layer 22-1, an environment information layer 22-2, and a safety information layer 22-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레이어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method of a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보행자 경로 제공 서비스 관련 맵에서 상기 7가지의 보행로 정보 레이어(20)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보행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7 types of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s 20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map related to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100 to effectively represent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정보 레이어(21-1)만 맵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정보 레이어(21-2)만을 맵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도로 정보 레이어(21-1)와 시설 정보 레이어(21-3)를 함께 맵 상에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only the road information layer 21-1 may be displayed on the map, and as shown in FIG. 4B, only the building information layer 21-2 may be displayed on the map. there i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the road information layer 21-1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layer 21-3 may be displayed on the map together.

상기 보행로 정보 레이어(20) 각각에 분류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바탕으로 보행자 유형에 따른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Based o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classified in each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s 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alking path can be moved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pedestrian type.

이 때,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destrian route providing unit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는 GIS데이터수집부(410), 영상기록수집부(420), IoT센서데이터수집부(430),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440) 및 보행경로수집부(450)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또는 수집하는 데이터가 변경됨에 따라 목록이 증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IS data collecting unit 410, an image recording collecting unit 420, an IoT sensor data collecting unit 430, and social mapping data. The collection unit 440 and the walking route collection unit 450 may be included, but the type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st may be increased, decreased, or modified according to embodiments or as collected data is changed.

GIS데이터수집부(410)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 즉 GIS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GIS데이터는 도로 정보 데이터(11-1), 건물 정보 데이터(11-2), 건물 정보 데이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IS data collection unit 410 collect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that is, GIS data, and the GIS data includes road information data 11-1, building information data 11-2, and buildings Information data 11-3 may be included.

이 때, 상기 GIS데이터는 공공기관으로부터 획득되는 공공GIS데이터 및 자체적으로 제작되는 자체GIS데이터로 나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IS data can be divided into public GIS data obtained from public institutions and self-produced GIS data.

공공GIS데이터의 경우 업데이트 주기는 관리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며, 주로 반기 혹은 년단위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데이터의 출처 신뢰도는 높으나 최신성이 낮다. 자체GIS데이터의 경우 공공GIS데이터에서 얻을 수 없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제작하며, 필요에 따라 제작되는 만큼 범위에 있어 한계가 있으나 최신성이 공공GIS데이터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공공GIS데이터와 자체GIS데이터를 조합하여 GIS데이터를 획득하면 높은 신뢰도 및 최신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ublic GIS data, the update cycle is different for each management institu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source of the data is high, but the latestness is low, as it is mainly updated semi-annually or annually. In the case of self-GIS data, it is produced centering on data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public GIS data, and there is a limit in the scope as it is produced as needed. Combining and obtaining GIS data can ensure high reliability and up-to-dateness.

영상기록수집부(420)는 보행로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씨씨티브이(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또는 보행로 주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블랙박스(black box)로부터 보행로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영상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수집할 수도 있다.The image record collection unit 420 may collect image data of the walking path from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installed throughout the walking path or a black box of a vehicle parked around the walking path. Data may also be collected in the form of image data.

여기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거나 기록된 영상을 추후에 전달받는 형식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기록된 영상을 전달받은 시각이 아닌 영상 기록 시간을 기준으로 후술할 가공부(304)에서 최신성이 판단될 수 있다.Here, the image data may be collected in real time as images being captured or collected in the form of receiving recorded images at a later time. In the latter case, recency can be determined in the processing unit 304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video recording time, not the time the recorded video is received.

IoT센서데이터수집부(430)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폴(S-Pole) 및 보행로의 설비 또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IoT 기기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IoT sensor data collection unit 430 can collect various data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image data through smart poles (S-Pole) installed on roads and facilities on walking paths or IoT devic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buildings. can

예를 들어, 스마트 횡단보도의 센서를 통해 주변의 도로 정보 데이터(11-1)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부 시설물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 및 IoT 기기를 통해 건물 정보 데이터(11-2)를 수집할 수 있고, 보행로 상의 자전거 및 자전거 거치대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보행로 상의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12-1)를 수집할 수 있으며, 스마트폴에 부착되어 있는 IoT 센서를 통하여 미세먼지, 기온, 풍량 등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 데이터(12-2)를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surrounding road information data 11-1 may be collected through a sensor of a smart crosswalk. In addition, building information data (11-2) can be collected through sensors and IoT devices attached to facilities inside the building, and non-fixed obstacle data (12- 1) can be collected,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12-2) including fine dust, temperature, air volume, etc.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IoT sensor attached to the smart pole.

여기서, IoT센서데이터의 경우 S.I. 또는 API 형태로 수집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IoT sensor data, S.I. Alternatively, it may be collected in the form of an API.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ocial mapping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44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소셜매핑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소셜매핑데이터는 모든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ial mapping data collection unit 440 may collect social mapp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00 . The social mapping data may include all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10 .

여기서, 상기 소셜매핑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보행 시에 장애가 되는 상태 혹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보행자 경로 제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촬영한 사진을 장애물의 종류와 함께 업로드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보행자 경로 제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장애물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등록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수동 등록 될 수 있다.Here, the social mapping data is image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s shown in FIG. A photo taken on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uploaded together with a photograph taken on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ervice 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Obstacle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on the application or manually registered by an administrator.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장애물의 모습(이미지), 종류, 위치 등의 정보가 담긴 소셜매핑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cctv나 블랙박스에서 촬영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까지도 장애물의 존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at is, by collecting social mapping data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image), type, and location of obstacles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the presence of obstacles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even in blind spots that cannot be captured by cctv or black boxes. can

보행경로수집부(4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GPS 기반 사용자의 이동경로 데이터(17)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를 수집함으로써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walking route collection unit 450 may collect GPS-based user movement route data 17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By collecting the user movement path data 13,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can move along the walking path.

예를 들면, 보행로 상의 특정 구간에 대하여 보행로 정보 데이터(10)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가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구간을 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re is no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for a specific section on a walking path, if user movement path data 13 exist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section can be walked.

이 때,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를 제공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보행 경로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해당 구간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receiving the walking path can move to the correspon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user movement path data 13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1)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 및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Components of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Terms such as '~unit' and '~group' used herei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 경로 제공부(300)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The method shown in FIG. 6 may be performed by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 Therefore,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300 and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1 including the same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the following may be omitted to avoid redundancy.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은 보행로 정보 레이어 생성 단계(S100), 로우 데이터 수집 단계(S200),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S300), 보행로 정보 데이터 분류 단계(S400), 사용자 정보 및 출발지/도착지 정보 수신 단계(S500),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S600), 최적 보행 경로 생성 단계(S700) 및 최적 보행 경로 제공 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S100), collecting raw data (S200), process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S300), and classify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S400),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departure/destination information (S500),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walking path is available (S600), generating an optimal walking path (S700), and providing an optimal walking path (S800).

보행로 정보 레이어 생성 단계(S10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로 정보 데이터(10) 특성별로 보행로 정보 레이어(20)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layer ( S100 ),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layer 20 may be created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10 as shown in FIG. 3 .

로우 데이터 수집 단계(S200)에서는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10)의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raw data collection step ( S200 ), raw data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may be collected from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er 400 .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S300)에서는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로부터 수집된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추출할 수 있다.I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processing step (S300),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may be extracted from the raw data collected from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steps of a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process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S300)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 추출 단계(S310), 데이터 중복 판단 단계(S320) 및 데이터 최신성 판단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processing step (S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extraction step (S310), a data redundancy determination step (S320), and a data recency determination step (S330). can do.

보행로 정보 데이터 추출 단계(S310)에서는 상기 로우 데이터에서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도로 정보 데이터(11-1), 건물 정보 데이터(11-2), 건물 정보 데이터(11-3),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12-1), 환경 정보 데이터(12-2), 안전 정보 데이터(12-3) 및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를 포함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추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S310), road information data (11-1), building information data (11-2), building information data (11-3), and non-fix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including obstacle data 12-1,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12-2, safety information data 12-3, and user movement path data 13 may be extracted.

데이터 중복 판단 단계(S320)에서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10)가 보행로 정보 제공부(400)의 여러 수집부로부터 수집되기 때문에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 중 중복되는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중복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후술할 보행로 정보 데이터 분류 단계(S400)에서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보행로 정보 레이어(20)에 특성별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data redundancy determination step (S320), since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10 is collected from various collection units of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overlapping data among the extracted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10. If overlapping data does not exist,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extracted i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classification step (S4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20.

데이터 최신성 판단 단계(S330)에서는 상기 데이터 중복 판단 단계(S320)에서 중복되는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의 최신성을 판단할 수 있다. 수집된 시간에 차이가 존재할 경우 이전 시간의 데이터는 삭제하고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중복되는 데이터들이 동시에 수집된 경우, 즉 중복되는 데이터 간에 최신성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보행로 정보 제공부의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data recency determination step (S330), if overlapping data exists in the data redundancy determination step (S320), the recency of the extract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may be determine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llection time, the data of the previous time can be deleted and the most recent data can be used. However, when overlapping data is collected at the same time, that is, when there is no difference in recency between the overlapping data, the data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er set in adv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GIS데이터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10) 중 도로 정보 데이터(11-1), 건물 정보 데이터(11-2), 건물 정보 데이터(11-3)에 있어서 기초 데이터로 사용하되, GIS데이터수집부는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각각 다르며 중심좌표가 달라 차이가 생길 수 있고 업데이트 주기가 느리기 때문에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cctv와 같은 영상기록수집부의 경우에는 특정 구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보행로 상에서 cctv에 촬영되지 않는 골목과 같이 cctv를 통해 보행로 정보 데이터가 수집되지 못하는 지점, 즉 보행로 사각지대의 경우 소셜매핑데이터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기록수집부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 수집이 불가능한 보행로 사각지대의 경우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IoT센서데이터수집부의 경우 환경 정보 데이터에 있어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나, 이는 상황, 목적, 필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IS data is used as basic data in road information data 11-1, building information data 11-2, and building information data 11-3 amo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However, since the type of data held by the GIS data collection unit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and the center coordinates are different, there may be a difference and the update cycle is slow, so the lowest priority can be given. In the case of a video record collection unit such as cctv, since a specific section is captured in real time, it has high reliability and can be given the highest priority. In addition, sinc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can be obtained from social mapping data in the case of a point wher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is not collected through cctv, such as an alley on a walking road that is not captured by cctv, that is, in the case of a blind spot on a walking route,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video record collection unit. In the case of blind spots on pedestrian paths where data collection is impossible, the highest priority can be given to the social mapping data collection unit, and in the case of the IoT sensor data collection unit, the highest priority can be given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 may be changed as nee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데이터 최신성 판단 단계(S330)에서는 환경 정보 데이터를 제외한 도로 정보 데이터, 건물 정보 데이터, 시설 정보 데이터,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 안전 정보 데이터에 해당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가 보행로 정보 제공부로부터 동시에 중복되어 수집되었을 때, 영상기록수집부,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 GIS데이터수집부 순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영상기록수집부에 의해 수집되지 못하는 보행로 사각지대의 경우 데이터 추출 시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하며, 환경 정보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추출 시 IoT센서데이터수집부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in the data recency determination step (S330), road information data, building information data, facility information data, non-fixed obstacle data, and safety information data, exclu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are simultaneously duplicated from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er. and collected, data is extracted in the order of video record collection unit, social mapping data collection unit, and GIS data collection unit. It is set as a high priority, and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the IoT sensor data collection unit can be set as the highest priority when extracting data.

예를 들면, 보행로 정보 수집부에서 GIS데이터수집부로부터 보행로 상의 특정 지점에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 a가 포함된 로우 데이터 A를 수신함과 동시에 영상기록수집부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에 상기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 a가 포함되지 않은 로우 데이터 B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GIS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된 로우 데이터 A는 상기 로우 데이터 B와 동시에 수신되었더라도 실제 데이터가 만들어진 시기는 B 보다 이전일 수 있기 때문에 B보다 정확도와 최신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인 영상기록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 a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를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로 추출함으로써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collection unit receives raw data A including non-fixed obstacle data a at a specific point on the walking path from the GIS data collection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non-fixed obstacle data a at the specific point from the image record collection unit Raw data B that is not included can be collected. At this time, even if the raw data A received from the GIS data collection unit is received at the same time as the raw data B, since the time when the actual data was created may be earlier than B, accuracy and recency may be lower than B. Accordingly,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can be greatly improved by extracting the data that does not include the non-fixed obstacle data a collected from the video record collection unit, which is the highest priority, as the non-fixed obstacle data.

또한, 영상기록수집부로부터 보행로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하여 결빙에 관한 환경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지 않았더라도, 이와 동시에 IoT센서데이터수집부로부터 획득한 환경 정보 데이터에서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하여 결빙에 관한 환경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결빙이 발생한 것으로 환경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related to icing at a specific point on the walking path is not acquired from the video record collection unit,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related to icing at the specific point is obtained from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acquired from the IoT sensor data collection unit at the same time. is received, it is assumed that icing has occurred,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can be extracted.

보행로 정보 데이터 분류 단계(S400)에서는 상기 추출 및 가공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를 보행로 정보 레이어(20)에 특성별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classification step (S400), the extracted and process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20.

예를 들면, GIS데이터로부터 수집된 도로 위치, 건물 크기 및 형태 정보, 가로등, 전봇대와 같은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 데이터(11-1), 건물 정보 데이터(11-2), 건물 정보 데이터(11-3)의 경우 각각 도로 정보 레이어(21-1), 건물 정보 레이어(21-2), 시설 정보 레이어(21-3)에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road information data (11-1) including facility information such as road location, building size and shape information, street lights, and telephone poles collected from GIS data, building information data (11-2), and building information data ( 11-3)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a road information layer 21-1, a building information layer 21-2, and a facility information layer 21-3, respectively.

또한, cctv를 통해 수집된 보행로 상의 불법쓰레기 배출, 불법주차와 같은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12-1)의 경우 비고정 장애물 레이어(22-1)로 분류될 수 있고, cctv로부터 보행로 상에 결빙 구간이나 물고임 구간 등의 환경 정보 데이터(12-2)는 환경 정보 레이어(22-2)로 분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fixed obstacle data (12-1) such as illegal garbage discharge and illegal parking on the walking path collected through cctv, it can be classified as a non-fixed obstacle layer (22-1), and the icing section on the footpath from cctv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12-2, such as a water pool or a water pool, may be classified as an environment information layer 22-2.

사용자 정보 및 출발지/도착지 정보 수신 단계(S500)에서는 사용자의 보행 능력에 관한 것으로 성별, 나이, 장애 유무, 장애 종류 등의 신체 정보와, 휠체어나 지팡이, 안내견 등을 포함하는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의 유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보행자 유형에 적합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departure/destination information (S500), it is related to the user's walking ability, including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disability, and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assistive means including wheelchairs, canes, and guide dogs, and accompanying persons.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y be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a pedestrian typ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존재하는 보행로 상에서 보행자에 따른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location information of departure and arrival locations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edestrian can move along the walking path on the walking path existing from the received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provide the user terminal 100 with an optimal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S6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존재하는 보행로들 중에서 사용자 정보 및 보행로 정보 데이터(10)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600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can move to a walking path (S600), when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user information an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among walking paths that exist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point are used to determine the user's lo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move on a walking path.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애가 없는 일반인일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한 구역, 코로나 감염자가 방문한 구역 등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경로를 이동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an ordinary person without a disability, it may be determined that all routes are movable except for special cases such as an area where an accident occurred or an area visited by a corona infected person.

또한,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일 경우에는 점자블록이 존재하는 구간을 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점자블록이 존재하지 않거나 파손된 구간은 시각장애인인 사용자에 대하여 보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section in which a braille block exists may be walked, and a section in which a braille block is not present or damaged may be determined to be incapable of walking for a visually handicapped user.

또한, 사용자가 휠체어 이용자일 경우 보행로 또는 건물 출입구의 폭이 휠체어보다 좁아서 휠체어가 통과하지 못하는 지점, 경사가 높아서 휠체어가 올라가지 못하는 경사진 구간 등은 보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a wheelchair u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walking is impossible at a point where the wheelchair cannot pass because the width of the walking path or building entrance is narrower than the wheelchair, or a sloped section where the wheelchair cannot climb because the slope is high.

여기서, 사용자가 휠체어 이용자일 경우 휠체어가 자동(전동)인지 수동인지에 따라서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같은 경사진 구간이더라도 수동 휠체어는 올라갈 수 없지만 자동(전동) 휠체어는 올라갈 수 있는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사 난이도를 판별함으로써 휠체어 종류에 따른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if the user is a wheelchair user, whether or not the user can move to the walking pat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wheelchair is automatic (electric) or manual. Even in the same inclined section, manual wheelchairs cannot climb, but automatic (electric) wheelchairs can climb, so there are sections,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move to a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type of wheelchair by determining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slope.

또한, 장애인과 노약자의 경우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보행 가능 경로가 다수 존재할 경우 보행자 전용도로, 횡단보도, 비경사로, 보행자용 리프트 등의 보행자 도로 시설물이 존재하는 경로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f there are multiple walkable paths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the path with pedestrian road facilities such as a pedestrian-only road, a crosswalk, a non-slope road, and a pedestrian lift can be given priority to the user. .

또한, 장애인의 경우 동반자의 유무에 따라서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동반자가 존재할 경우 시각장애인 혼자서, 또는 휠체어만으로 이동할 수 없었던 길을 동반자의 도움을 받으면 이동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동반자의 유무를 고려하여 장애인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whether or not they can move on a walking path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mpanion. If there is a compan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path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or a wheelchair alone could not move with the help of a companion.

이 때,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S600)에서는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를 제공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보행 경로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해당 구간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600 of determining whether movement of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receiving the walking path can move to the correspon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user movement path data 13 .

예를 들어, A 지점에 대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이동경로 데이터(17)가 존재할 경우,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시점까지 A 지점에 보행을 방해하는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그 이동경로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의 정보와 유사한 보행자는 모두 A 지점을 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data 17 of the wheelchair user's movement path for point A, if data interfering with walking has not occurred at point A until the tim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who provided the movement route data All pedestrians similar to point A can be determined to be walkable.

즉, 특정 구간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 데이터가 존재하기만 하면 다른 보행로 정보 데이터(10)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동경로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와 유사한 사용자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보행 가능 여부 판단의 높은 신뢰성과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That is, as long as there is path data that the user has traveled for a specific se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user who provided the movement path data can move to a walking path similar to the user who provided the movement path data even if other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10 does not exist, thereby enabling walking. It is possible to secure high reliability and accuracy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이에 따라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S600)에서는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를 최우선순위로 선정하여 보행자 유형에 따른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movement on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S6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movement on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type of pedestrian by selecting the user movement path data as the highest priority.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를 제외한 나머지 6가지의 보행로 정보 데이터(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미확보되거나, 통신 또는 업데이트 주기 등의 문제로 인하여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구간에 대하여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가 존재하면 그 사용자에 대응되는 보행자는 해당 구간을 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User movement route data ( 13), the pedestrian corresponding to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walkable.

예를 들어, 2021년 7월 13일에 도로 정보 데이터(11-1)로 A 구간 이용 불가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이후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시점인 2021년 7월 14일 오전 10시까지 A 구간 이용 불가 데이터가 존재한 경우에, 2021년 7월 14일 오전 8시에 A 구간에 대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이동경로 데이터(17)가 존재한다면 A 구간 이용 가능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았더라도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A 구간에 대하여 일반인 및 휠체어 사용자가 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on July 13, 2021, section A unavailability data was collected as road information data (11-1), and then use section A until 10:00 am on July 14, 2021, at which poi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destrian path can be moved If there is unavailable data, if the wheelchair user's movement route data (17) exists for section A at 8:00 am on July 14, 2021, even if the available data for section A is not collected, the user's movement route data (13 ) as a top priorit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section A is walkable by ordinary people and wheelchair users.

즉, 어느 구간에 대하여 장애물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장애물 데이터가 수집된 시각 이후에 해당 구간에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13)가 수집되면, 해당 구간을 보행자 유형에 따라 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의 정확도와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at is, even if there is obstacle data for a section, if the user movement path data 13 is collected in the section after the time the obstacle data is collected, the section can be determined to be walk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pedestrian, so the walking path is mov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of availability are greatly improved.

최적 보행 경로 생성 단계(S700)에서는 상기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S6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보행자 유형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optimal walking path generation step (S700),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the type of pedestrian may be created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alking path can be moved (S600).

최적 보행 경로 제공 단계(S80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an optimal walking path ( S800 ), the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즉, 사용자 정보 및 보행로 정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능력에 따라 그에 적합한 최적 보행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 및 시각 장애를 가지는 보행자들도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손쉽고 수월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at is, by providing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the user's walking ability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so that wheelchair users and visually impaired pedestrians can easily and easily reac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GI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GIS데이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및 링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IS data may be composed of nodes and links as shown in FIGS. 8 and 9 .

링크는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자전거전용도로, 보행자전용도로, 차도, 보도, 3차로, 교차로 및 보차혼용로를 포함하는 도로의 속성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도로는 자동차전용도로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보행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링크는 도로의 경사도 및 점자블록의 유무 등과 같은 도로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링크 별로 다른 속성 값을 보유할 수 있다.The link may indicate attribute information of roads including expressways, automobile-only roads, bicycle-only roads, pedestrian-only roads, roads, sidewalks, three-lane roads, intersections, and pedestrian-only roads. Here, the road may mean a pedestrian road in a broad sense including an automobile-only road. In addition, the link may include road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the slope of the roa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aille blocks. That is, different attribute values may be held for each link.

노드는 링크의 속성이 변하는 지점마다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갈림길 혹은 횡단보도 등 길 안내에 있어서 추가 안내가 필요한 부분에 표시하여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노드를 중심으로 길의 방향 및 경로 안내가 다르게 나오며, 노드 별 차별화된 속성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차로의 노드와 횡단보도 보다 앞의 노드는 일반 노드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A node may be displayed at each point where the property of a link changes. In addition, the node may play a role of distinguishing by displaying a portion requiring additional guidance in road guidance, such as a crossroad or a crosswalk. The direction and route guidance of the road are displayed differently centering on the node, and each node may have a differentiated attribute value. For example, a node at an intersection and a node in front of a crosswalk can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normal node color.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보행로는 보라색, 횡단보도는 빨간색, 보차혼용로는 연두색과 같이 도로의 속성 별로 링크의 색상을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색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 the color of the link may be displayed separately for each road property, such as purple for a pedestrian crossing, red for a crosswalk, and yellow green for a mixed-use road, but the color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subject matt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10: 보행로 정보 데이터
11: 보행로 상태 데이터
11-1: 도로 정보 데이터
11-2: 건물 정보 데이터
11-3: 시설 정보 데이터
12: 보행로 상황 데이터
12-1: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
12-2: 환경 정보 데이터
12-3: 안전 정보 데이터
13: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
20: 보행로 정보 레이어
21: 보행로 상태 레이어
21-1: 도로 정보 레이어
21-2: 건물 정보 레이어
21-3: 시설 정보 레이어
22: 보행로 상황 레이어
22-1: 비고정 장애물 레이어
22-2: 환경 정보 레이어
22-3: 안전 정보 레이어
23: 사용자 이동경로 레이어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사용자 정보 입력부
120: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입력부
200: 네트워크
300: 보행자 경로 제공부
301: 사용자 정보 수집부
302: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수신부
303: 보행로 정보 수집부
304: 가공부
305: 분류부
306: 판단부
307: 경로 생성부
308: 경로 제공부
309: 검증부
310: 레이어부
400: 보행로 정보 제공부
410: GIS데이터수집부
420: 영상기록수집부
430: IoT센서데이터수집부
440: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
450: 보행경로수집부
1: Pedestrian path provision system
10: Pedestrian route information data
11: Pedestrian road condition data
11-1: Road information data
11-2: Building information data
11-3: Facility information data
12: Pedestrian road situation data
12-1: Non-fixed obstacle data
12-2: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12-3: Safety information data
13: user movement path data
20: walking path information layer
21: walking path state layer
21-1: Road information layer
21-2: Building information layer
21-3: Facility information layer
22: walking path situation layer
22-1: Non-Fixed Obstacle Layer
22-2: Environment information layer
22-3: Safety Information Layer
23: User Breadcrumb Layer
100: user terminal
110: user information input unit
120: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00: network
300: pedestrian route provision unit
301: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2: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03: walking rou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4: processing unit
305: classification unit
306: judgment unit
307: route creation unit
308: route providing unit
309: verification unit
310: layer unit
400: walkw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410: GIS data collection department
420: video record collection unit
430: IoT sensor data collection unit
440: social mapping data collection unit
450: walking route collection unit

Claims (17)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출발지부터 상기 도착지까지의 최적 보행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부; 및
상기 보행자 경로 제공부로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보행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 경로 제공부는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최적 보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In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and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 pedestrian path provider providing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A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to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Wherein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provides an optimal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무, 장애 종류,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 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whether or not there is a disability, a type of disability, a means for assisting a disability,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n accompanying pers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보조 수단은 휠체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휠체어가 수동인지 자동인지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disability assisting means includes a wheelchair,
The user terminal is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 input whether the wheelchair is manual or automati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는,
보행로의 고정적인 장애물 및 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보행로 상태 데이터;
보행로의 비고정적인 장애물 및 인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보행로 상황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기반 수집한 이동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walking path state data representing data on fixed obstacles and facilities of the walking path;
Pedestrian road situation data representing data on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non-fixed obstacles and huma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walking roa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route comprising: user movement route data indicating movement route data collected based on GPS from the user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로 상태 데이터는,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보행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 데이터;
보행로 주변에 존재하는 건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 데이터; 및
보행로 상에 설치된 시설물 및 설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walking path state data,
road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walking path on which a pedestrian can move;
building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buildings existing around a pedestrian path;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route, comprising: facility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facilities and equipment installed on a pedestrian path.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로 상황 데이터는,
보행로 상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장애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고정 장애물 데이터;
기상 환경에 의해 발생한 장애물 및 기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데이터; 및
보행로 주변에서 발생한 사고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walking path condition data,
non-fixed obstacle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obstacles that occur temporarily or periodically on a walking path;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including obstacles caused by the weather environmen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ther;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comprising: safety inform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accident occurring around a pedestrian path.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환경에 의해 발생한 장애물은 보행로 상의 특정 지점에 일시적으로 발생한 결빙 및 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obstacles caused by the weather environment include icing and flooding temporarily occurring at a specific point on the walking path.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경로 제공부는,
상기 보행로 정보 제공부로부터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의 로우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행로 정보 수집부;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가공부;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존재하는 보행로들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보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상기 사용자 정보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unit,
a walking path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raw data of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processing unit extract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the raw data;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walk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of walking paths exist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data;
a path creation unit generating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suitable for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path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at least one optimal walking path to the user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로 정보 제공부는,
상기 보행로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 수집하는 GIS데이터수집부;
보행로에 설치된 씨씨티브이(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및 차량의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영상기록수집부;
보행로 주변에 설치된 스마트폴 및 보행로 설비 또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IoT 기기를 포함하는 IoT센서데이터수집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셜매핑데이터를 수집하는 소셜매핑데이터수집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기반 사용자의 이동경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행경로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GIS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including the walking path state data;
An image record collection unit including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installed on a pedestrian path and a black box of a vehicle;
IoT sensor data collection unit including smart poles and walking path facilities installed around the walkway or IoT devic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 social mapping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social mapp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walking route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GPS-based user movement route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매핑데이터는 장애물의 이미지,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social mapping 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image, type and location of the obstac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는 노드 및 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는 도로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노드는 상기 링크의 속성이 변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consists of nodes and links,
The link represents attribute information of a road,
The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p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node is a point where the attribute of the link chang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속성 정보는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자전거전용도로, 보행자전용도로, 차도, 보도, 3차로, 교차로 및 보차혼용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oad includes highways, automobile-only roads, bicycle-only roads, pedestrian-only roads, roads, sidewalks, three-lane roads, intersections, and mixed-use roads for pedestrian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속성 정보는 도로의 경사도 및 점자블록의 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rou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oad includes the gradient of the roa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aille blocks.
보행자 경로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행로 정보 제공부로부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를 수집하는 로우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및 출발지/도착지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존재하는 보행로들의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생성하는 최적 보행 경로 생성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적 보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최적 보행 경로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보행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
In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the pedestrian path providing system,
a raw data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raw data includ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a walking pa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processing step of extract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the raw data;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departure/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 walking path movabl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walking paths of the walking paths exist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re movable based on the extract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n optimal gait pat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t least one or more optimal gait path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n optimal walking path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at least one or more optimal walking paths to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of providing a pedestrian p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movement on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무, 장애 종류, 장애 보조 수단 및 동반인 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whether or not there is a disability, a type of disability, a means for assisting a disability,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n accompanying pers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보조 수단은 휠체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휠체어가 수동인지 자동인지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disability assisting means includes a wheelchair,
The method of providing a pedestrian p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receives an input of whether the wheelchair is manual or automatic from the user termina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 가공 단계는,
상기 로우 데이터에서 상기 보행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보행로 정보 데이터 중 중복되는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데이터 중복 판단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중복 판단 단계에서 중복되는 보행로 정보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최신성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In the step of process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the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from the raw data;
a data redundanc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redundant data among the extracted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edestrian route comprising: a data recency determination step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ata redundancy determination step, when there is overlapping walking path information data, the most up-to-date data is extracted.
KR1020210109062A 2021-08-18 2021-08-18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268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62A KR20230026896A (en) 2021-08-18 2021-08-18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62A KR20230026896A (en) 2021-08-18 2021-08-18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896A true KR20230026896A (en) 2023-02-27

Family

ID=8532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062A KR20230026896A (en) 2021-08-18 2021-08-18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68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66405B (en)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electronic map
EP2372305B1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a pedestrian route, associated navigation system,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Sutheerakul et al.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o pedestrian traffic monitoring and management for shopping streets
JP4855729B2 (en)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database for use with a navigation system
KR1021929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based on image analysis
JP5838879B2 (en) Prediction system
CN112665606A (en) Walking navig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4037269A (en) Unaided movement support system,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eyrer et al. Intermodal door-to-door routing for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in a web-based, open-source platform
JP6838597B2 (en) Navig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image analysis
US10231895B2 (en) Path calculator for users with mobility limitations
Jwa Pedestrian network models for mobile smart tour guide services
Laakso et al. An information model for pedestrian routing and navigation databases supporting universal accessibility
Mancini et al. Point to point navigation for people with mobility impairments
Chan et al. Pedestrian route choice with respect to new lift-only entrances to underground space: Case study of a metro station area in hilly terrain in Hong Kong
CN105547283A (en) Itinerary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Dey et al. Shaping smart city transportation with traffic congestion solutions: Bhubaneswar, Odisha
KR102504941B1 (en) Object address based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using autonomous driving robot
KR20230026896A (en) Pedestrian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Macias Alternative methods for the calculation of pedestrian catchment areas for public transit
JP3728497B2 (en) Pedestrian route guidance system and method
CN115204458A (en) Barrier-free passing path planning method
WO2023022247A1 (en) Pedestrian rout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zan et al. Solid: a model to analyse the accessibility of transport system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108768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based on imag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