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13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135A
KR20230026135A KR1020210108164A KR20210108164A KR20230026135A KR 20230026135 A KR20230026135 A KR 20230026135A KR 1020210108164 A KR1020210108164 A KR 1020210108164A KR 20210108164 A KR20210108164 A KR 20210108164A KR 20230026135 A KR20230026135 A KR 2023002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cover
locking
flat ca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우섭
김진섭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6135A/ko
Publication of KR2023002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는,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랫 케이블로, 플랫 케이블 일단에 커플링 바디가 마련된 플랫 케이블과 플랫 케이블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기판으로, 플랫 케이블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기판과 커넥터 단자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플랫 케이블이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커플링 바디를 록킹하도록 커넥터 기판 상에서 이동가능한 커넥터 커버와 커넥터 커버가 커넥터 단자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커버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Television), 모니터(Monitor)뿐만 아니라, 노트북 피씨(Notebook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의 휴대용 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엣지형(Edge-type)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type)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들은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을 주고 받기 위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들은 전선(Electric Wire),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케이블과 커넥터 기판의 연결 방식이 개선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케이블의 연결 전과 연결 후에 커넥터 단자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는,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랫 케이블로, 상기 플랫 케이블 일단에 커플링 바디가 마련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기판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기판과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커플링 바디를 록킹하도록 상기 커넥터 기판 상에서 이동가능한 커넥터 커버와 상기 커넥터 커버가 상기 커넥터 단자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커버에 결합되는 로킹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로킹부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에 배치되는 록킹바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바디들 각각은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부들을 고정하는 로킹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부들 각각은,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접속된 때 상기 로킹면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로킹부는 상기 록킹바디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록킹바디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접속된 때 상기 로킹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커버는 양측의 록킹바디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플랫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커버는 제1 커넥터 커버이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마주하고 상기 커넥터 기판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커넥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될 때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는 상기 커플링 바디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의 양측에 배치되는 록킹바디들과, 상기 록킹바디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플랫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바디들 각각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돌기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의 경사면과 상기 제2 커넥터 커버의 경사면이 접촉되는 동안에 상기 안착부와 함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에 결합되는 로킹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록킹바디들은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될 때 상기 로킹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돌기는 상기 커넥터 단자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기 내벽에 연결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커넥터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커버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기판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가 실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PC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는, 일면에 배치된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랫 케이블로, 상기 플랫 케이블 일단에 커플링 바디가 마련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텍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기판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기판과 상기 커넥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케이블 단자가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될 때 상기 커플링 바디를 록킹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마주하도록 상기 커넥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케이블 단자가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될 때 상기 커플링 바디를 록킹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 커넥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에 결합되는 로킹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는 상기 로킹부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에 배치되는 록킹바디들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바디들 각각은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부들 각각을 고정하는 로킹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로킹부는 상기 경사면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가이드면, 상기 로킹면에 고정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는 양측의 록킹바디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플랫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 사이로의 삽입되는 상기 커플링 바디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돌기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가 각각 제1 위치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안착부와 함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제1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들과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를 제1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제2 커넥터 커버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는 케이블 연결 방식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는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사용 편의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는 단자가 노출되지 않아 이물 침투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방 섀시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플링 바디와 커넥터 커버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플랫 케이블과 커플링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커넥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2 커넥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커플링 바디가 제1 커넥터 커버, 제2 커넥터 커버의 사이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커플링 바디가 제1 커넥터 커버, 제2 커넥터 커버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커플링 바디가 제1 커넥터 커버, 제2 커넥터 커버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커플링 바디가 제2 커넥터 커버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커플링 바디가 제1 커넥터 커버, 제2 커넥터 커버와의 결합이 해제 완료된 모습을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편평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부러진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에서 곡면으로 및 곡면에서 평면으로 변형될 수 있거나 곡면의 곡률이 변할 수 있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LC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LCD 패널은 전압 및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LCD 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lm Transistor, TFT)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컬러 필터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일 수 있으며, 컬러 필터 기판은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색화소인 RGB 색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7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향하여 광을 비춰줄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백라이트 유닛(70)을 포함하는 수광형(비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Non-Emissive Display Apparatus)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Emissive Display Apparatus)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70)은 생략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70)은 광원(72)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네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 측에 배치되는 에지형(Edge-type)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로 아래의 배치되는 직하형(Direct-type)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70)은 광원(72)과 광원(72)이 실장되는 광원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71)과, 광원(72)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각종 광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72)은 엘이디(LED, Liquid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는 기판에 엘이디 칩이 실장되고 수지가 충진된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광원으로 냉음극 형광 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될 수 도 있다.
광원 인쇄회로기판(PCB, 71)에는 복수의 광원(72)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를 따라서 일렬로 장착될 수 있다. 광원 인쇄회로기판(PCB, 71)에는 광원(72)에 구동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패턴 등이 인쇄될 수 있다. 광원 인쇄회로기판(PCB, 71)은 바텀새시(50)에 장착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원(72)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거나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원(72)에서 발산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 측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주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73)과, 광을 반사시켜 광 손실을 방지하는 반사 시트(Reflector Sheet)(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73)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Acryl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73)에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72)은 도광판(73)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광판(73)의 측면으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73)의 저면에 형성된 패턴에서 산란되어 도광판(73)의 상면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반사시트(74)는 도광판(73)의 저면에서 광이 손실되지 않도록 광원(72)에서 발산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74)는 시트, 필름, 판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시트(74)는 모재(Base Material)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모재로는 SUS, BRASS, Aluminum, 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고반사 코팅제로 Silver, Ti0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시트(74)는 광원 인쇄회로기판(71)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광판(73)은 반사시트(7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광판(73)은 열팽창을 고려하여 도광판(73)의 측면이 광원(72)과 소정 간격이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양자점 유닛(Quantum Dot Unit)(미도시) 또는 양자점 시트(Quantum Dot She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자점 유닛 또는 양자점 시트는 빛의 파장을 변화시켜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색 재현도는 자연색에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한 척도이며, 색 좌표 상에서 얼마나 넓은 면적을 표현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것이다. 양자점 유닛 또는 양자점 시트는 광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광 특성을 향상시키는 각종 광학 시트(Optical Sheet)(6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60)는 도광판(73)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도광판(7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60)는 확산 시트(Diffuser Sheet)(61)와, 프리즘 시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73)을 통해 안내된 광은 직접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도광판(73)의 패턴이 그대로 눈에 비치게 된다. 그러므로 확산 시트(61)는 도광판(73)의 패턴을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62)는 확산 시트(61)를 지나면서 휘도가 떨어진 광을 다시 집중시켜 광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62)는 고휘도 프리즘 시트인 디베프(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광학 시트(60)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 유입으로부터 광학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Protection She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60)는 도광판(73)과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70)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새시 어셈블리(Chassis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 어셈블리는 탑 섀시(20)와 미들 몰드(30), 바텀 섀시(4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섀시(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몰드(30)는 미들 몰드 측부(3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광학 부재를 지지하고 간격을 유지시키는 중간 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새시(40)는 백라이트 유닛(70)을 지지할 수 있다. 바텀 섀시(40)에는 탑 섀시(20)와 미들 몰드(30) 등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바텀 섀시(40)의 상면(41)에는 백라이트 유닛(70)의 광원 인쇄회로기판(PCB, 71)이 장착될 수 있다. 바텀 새시(40)는 광원(7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광원(72)에서 발생하는 열은 광원 인쇄회로기판(PCB, 71)을 거쳐 바텀 섀시(40)로 전달되고, 바텀 섀시(40)에서 방열될 수 있다.
바텀 섀시(40)도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각종 금속 재질, 또는 ABS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인쇄회로기판(PCB, 71) 역시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재질의 메탈 PCB가 사용될 수 있다.
탑 섀시(20)와, 미들 몰드(30)와, 바텀 섀시(4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거나 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새시 어셈블리를 보호하고 수용하도록 섀시 어셈블리를 감싸는 후방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치면에 지지하기 위한 레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00)는 섀시 어셈블리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00)은 바텀 섀시(40)의 저면(42)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00)는 커넥터 기판(140)을 디스플레이 패널(10)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7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랫 케이블(101)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은 커넥터 기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은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은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은 FFC(Flexible flat cabl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은 일 단이 커넥터 기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 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0) 또는 백라이트 유닛(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 에서는 커넥터(100)이 1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커넥터 기판(140)에 플랫 케이블(10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101)은 커넥터 단자(143, 도 5 참고)와 전기적 접속을 할 수 있다. 커넥터(100)는 플랫 케이블(101)의 일단에 마련된 커플링 바디(110)와 커플링 바디(110)를 록킹하기 위한 제1 커넥터 커버(120), 제2 커넥터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은 커넥터 기판(14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 단자(101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랙 케이블(101)은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플링 바디(110)는 플랫 케이블(101)의 일 면을 지지하는 지지체(113)와 지지체(113)의 양 측에 배치되는 로킹부들(111)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바디(110)는 양 측의 로킹부들(111)을 상측에서 연결시켜주는 연결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기판(140)은 커넥터 단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단자(143)의 일부는 베이스(141) 내에 실장될 수 있으며, 커넥터 단자(143)의 다른 일부는 플랫 케이블(101)과 전기적 접속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5 참고). 커넥터 기판(14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 142)은 베이스부(14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과 커플링 바디(110)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방향(Y방향)은 제1 방향(X방향)과 교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커넥터 단자(143, 도 5 참고)를 커버하기 위해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커넥터(10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150)은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가 커넥터 단자(143)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커넥터 단자(14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넥터 단자(143)가 플랫 케이블(101)과 전기적 접속되지 않는 때에 외부의 물이나 먼지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플링 바디(110)는 플랫 케이블(101)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부들(111)은 지지체(113)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부들(111)은 제1 커넥터 커버(120)의 로킹바디들(121)와 결합될 수 있다(도 7, 도 10 참고). 또한 로킹부들(111)은 제2 커넥터 커버(130)와 결합될 수 있다(도 8, 도 10 참고).
로킹부들(111) 각각은, 걸림면(111a)과 걸림면(111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부들(111) 각각은, 가이드면(11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면(111a)은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0)에 접속될 때 커플링 바디(110)와 플랫 케이블(101)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록킹바디(121)에 고정될 수 있다(도7 참고).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면(111a)은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3)에 접속될 때 로킹면(121b)에 걸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7, 도 10, 도 11 참고). 또한, 걸림면(111a)은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0)에 접속될 때 제2 커넥터 커버(130)의 로킹면(135)에 걸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8, 도 10, 도 11 참고).
돌기(111b)는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3)에 접속될 때 록킹바디(121)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111b)는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3)에 접속될 때 록킹바디(121)의 경사면(121a)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도 7, 도 10, 도 11 참고). 돌기(111b)는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0)에 접속될 때 제2 커넥터 커버(10)의 경사면(131) 일 단을 지지할 수 있다(도 8, 도 10, 도 11 참고).
가이드면(111c)은 커플링 바디(110)가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사이에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면(111c)은 록킹바디들(121)의 경사면(121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고). 또한 가이드면(111c)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경사면(13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고).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커플링 바디(110)는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보다 용이하게 플랫 케이블(101)과 커넥터 단자(143)가 전기적 접속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으로 플랫 케이블(101)과 커넥터 단자(143)의 전기적 접속되게끔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 커버(120)는 로킹부들(111)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록킹바디들(121)과 록킹바디들(121) 사이에 마련되는 안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바디들(121) 각각은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1a)과 경사면(121a)과 연결되는 로킹면(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바디들(121) 각각은 로킹면(121b)의 일 단으로부터 교차되는 내벽(121c)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121c)은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0)에 접속된 때 로킹부(111)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1d)을 형성할 수 있다.
안착부(122)는 록킹바디들(12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의 높이는 h2일 수 있다. 안착부의 높이(h2)는 커넥터 단자(143)의 높이(h1)에 대응될 수 있다(도 5 참고). 안착부는 로킹면(12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단자(143)와 연결되는 동안에 플랫 케이블(101)은 안착부(12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10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랫 케이블(101)과 커넥터 단자(143)의 접속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플랫 케이블(10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플랫 케이블(101)의 교체 또는 수리되는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커플링 바디(110)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제1 커넥터 커버(1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커버(130)는 경사면(131)으로부터 제1 커넥터 커버(120)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 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돌기(132)는 록킹바디들(121)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경사 돌기(132)는 제1 커넥터 커버(120)의 경사면(121a)과 제2 커넥터 커버(130)의 경사면(131)이 접촉되는 동안에 안착부(122)와 함께 커넥터 단자(143)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0)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도 커넥터 단자(143)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넥터 단자(14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넥터 단자(143)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교체 또는 수리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경사면(131)은 로킹부(111)의 가이드면(111c)에 대응되는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도 6 참고).
경사 돌기(132)는 경사면(131)으로부터 연장되어 경사면(131)의 경사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 돌기(132)는 경사면(131)과 연장되는 연장면(132a)과 하측에 형성되는 하면(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커버(130)는 하면(132b)의 일 단으로부터 교차되는 내벽(13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133)은 로킹부(111)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다.
하면(132b)의 높이는 h3일 수 있다. 하면(132b)의 높이(h3)은 안착부(122)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도 7 참고).
이하 도 9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0)과 전기적 접속 또는 해제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도 10, 도 12,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 커버(120)는 커넥터 단자(143)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제1 커넥터 커버(120)와 함께 커넥터 단자(143)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바디(110)는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커플링 바디(110)의 가이드면(111c)이 록킹바디(121)의 경사면(121a)과 제2 커넥터 커버(130)의 경사면(131)과 대응될 수 있다. 커플링 바디(1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힘을 받게 되면 록킹바디(121)의 경사면(121a)과 제2 커넥터 커버(130)의 경사면(131)을 따라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스프링(150)은 압축될 수 있다.
도 10, 11을 참조하면, 커플링 바디(110)가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사이에 삽입되면, 플랫 케이블(101)의 케이블 단자(101a)와 커넥터 단자(1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9에서 압축되었던 스프링(150)은 제1 커넥터 커버(120)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방향으로 제1 커넥터 커버(12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스프링(150)은 제2 커넥터 커버(130)에 제1 커넥터 커버(120)의 방향으로 제2 커넥터 커버(13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커버(120)는 케이블 단자(101a)가 커넥터 단자(143)와 접속될 때 커플링 바디(110)를 록킹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케이블 단자(101a)가 커넥터 단자(143)와 접속될 때 커플링 바디(110)를 록킹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커버(12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로써, 록킹바디들(121) 각각이 로킹부들(111)과 결합된다. 록킹바디들(121)의 로킹면(121b)이 로킹부(111)의 걸림면(111a)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 커버(130)가 로킹부들(111)과 결합된다. 제2 커넥터 커버(130)의 로킹면(135)이 로킹부(111)의 걸림면(111a)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가 커플링 바디(11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노력 없이도 플랫 케이블(101)과 커넥터 단자(143)가 접속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커플링 바디(110)가 커넥터 단자(143)의 상측을 커버하여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넥터(100)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교체나 수리 비용 등이 절감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 커버(130)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커플링 바디(110)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커버(130) 측의 스프링(150)은 압축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커버(130)가 이동되면서 커플링 바디(110)와 제1 커넥터 커버(120)의 결합도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커넥터 커버(120)만이 이동되거나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 모두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플링 바디(110)가 제1 커넥터 커버(120), 제2 커넥터 커버(130)와 결합이 해제되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플랫 케이블(101)과 커넥터 기판(140)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101)과 커넥터 단자(143)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스프링(150)은 제1 커넥터 커버(120)를 제1 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제1 커넥터 커버(120)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들과 제2 커넥터 커버(130)를 제1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도록 제2 커넥터 커버(130)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는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101)이 커넥터 기판(140)과 접속이 해제되더라도 제1 커넥터 커버(120)와 제2 커넥터 커버(130)의 결합이 유지된다. 결국, 커넥터 단자(143)의 외부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 단자(143)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교체 또는 수리 비용 등이 절감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0: 커넥터
101: 플랫 케이블
110: 커플링 바디
120: 제1 커넥터 커버
130: 제2 커넥터 커버
140: 커넥터 기판
150: 탄성 스프링

Claims (20)

  1.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랫 케이블로, 상기 플랫 케이블 일단에 커플링 바디가 마련된 플랫 케이블;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기판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기판;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커플링 바디를 록킹하도록 상기 커넥터 기판 상에서 이동가능한 커넥터 커버;및
    상기 커넥터 커버가 상기 커넥터 단자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커버에 결합되는 로킹부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로킹부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에 배치되는 록킹바디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디들 각각은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부들을 고정하는 로킹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들 각각은,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접속된 때 상기 로킹면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킹부는 상기 록킹바디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록킹바디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접속된 때 상기 로킹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양측의 록킹바디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플랫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제1 커넥터 커버이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마주하고 상기 커넥터 기판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커넥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될 때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는 상기 커플링 바디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의 양측에 배치되는 록킹바디들과, 상기 록킹바디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플랫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바디들 각각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돌기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의 경사면과 상기 제2 커넥터 커버의 경사면이 접촉되는 동안에 상기 안착부와 함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에 결합되는 로킹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록킹바디들은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될 때 상기 로킹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돌기는 상기 커넥터 단자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기 내벽에 연결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커넥터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커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커넥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기판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가 실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PCB를 포함하는 커넥터.
  15. 일면에 배치된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랫 케이블로, 상기 플랫 케이블 일단에 커플링 바디가 마련된 플랫 케이블;
    상기 케이블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텍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기판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기판;
    상기 커넥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케이블 단자가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될 때 상기 커플링 바디를 록킹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 커넥터 커버;및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마주하도록 상기 커넥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케이블 단자가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될 때 상기 커플링 바디를 록킹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 커넥터 커버를 포함하는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바디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에 결합되는 로킹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는 상기 로킹부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에 배치되는 록킹바디들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바디들 각각은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부들 각각을 고정하는 로킹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킹부는 상기 경사면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가이드면, 상기 로킹면에 고정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는 양측의 록킹바디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 기판에 연결되는 동안에 상기 플랫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 사이로의 삽입되는 상기 커플링 바디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돌기는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와 상기 제2 커넥터 커버가 각각 제1 위치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안착부와 함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넥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커버를 제1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제1 커넥터 커버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들과 상기 제2 커넥터 커버를 제1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제2 커넥터 커버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10108164A 2021-08-17 2021-08-17 커넥터 KR20230026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164A KR20230026135A (ko) 2021-08-17 2021-08-1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164A KR20230026135A (ko) 2021-08-17 2021-08-17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135A true KR20230026135A (ko) 2023-02-24

Family

ID=8533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164A KR20230026135A (ko) 2021-08-17 2021-08-1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61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3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7912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85993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80239754A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424691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quantum dot unit or quantum dot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quantum dot unit
KR1025625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87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97699A (ko) 표시장치
KR20080056365A (ko) 표시장치
KR20080028581A (ko) 도광판과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KR101979244B1 (ko) 탑샤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23322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968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EP3301356B1 (en) Quantum dot unit, quantum dot sheet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quantum dot unit or the quantum dot sheet
KR20230024617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26135A (ko) 커넥터
KR20060013148A (ko) 램프 와이어 소켓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14149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6150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194370B2 (en) Waveguide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30048494A1 (en)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8254967A (zh) 光源模块以及包括其的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KR102451754B1 (ko) 표시장치
KR2007006811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12192A (ko) 액정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