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084A -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084A
KR20230026084A KR1020210108040A KR20210108040A KR20230026084A KR 20230026084 A KR20230026084 A KR 20230026084A KR 1020210108040 A KR1020210108040 A KR 1020210108040A KR 20210108040 A KR20210108040 A KR 20210108040A KR 20230026084 A KR20230026084 A KR 2023002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hared
information
operating bandwidth
maximum allow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중선
김봉수
김이고르
박승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0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6084A/ko
Publication of KR2023002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기술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의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 및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동작 대역폭과 상기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이루어진 제1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대역폭들과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이루어진 제2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ING RESOURCES IN FREQUENCY SHAR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기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공유 기술은 한정된 자원을 서로 다른 무선국, 서비스 또는 시스템이 시간적, 공간적, 주파수적, 신호레벨 중 하나 이상의 영역(domain)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방송 무선국이 1차 서비스 또는 1차 사용자로 479~698MHz의 UHF(ultra high frequency) TV(television) 방송 대역을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레이다 시스템이 미국 3.55~3.7GHz의 대역을 1차 사용자로 사용하여 레이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우선권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가 이러한 대역을 사용하여 현재 기존 1차 서비스를 보호하면서 신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국의 3.55~3.7GHz대역은 민간 광대역 무선 서비스(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CBRS)대역이라고 할 수 있다. TV 방송 대역은 방송 신호의 서비스 영역을 기준으로 TV 수상기가 영향을 받지 않을 유지(keep-out)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신규 무선국이 동일 채널 또는 인접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CBRS 대역은 날카로운 안테나 빔패턴 영역에서 레이다 시스템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신규 무선국이 사용 가능한 채널을 정의할 수 있거나 1차 서비스가 동작하는 채널에 대해서 사용 가능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주파수 공동 사용을 위한 검토가 6GHz 대역(5925~7125MHz, 1.2GHz폭)에 대해서도 진행되고 있을 수 있다. 6GHz 대역은 전세계적으로 고정 통신, 고정 방송 중계, 고정 위성 상향 링크로 분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국가는 이동 방송 중계 서비스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공유 기술은 한정된 자원을 서로 다른 무선국, 서비스 또는 시스템이 시간적, 공간적, 주파수적, 신호레벨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자원 할당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무선 통신 기기에게 주파수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자원의 전송 전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는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을 세분화한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동작 대역폭의 정보와 상기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정보와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기존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에서 상기 간섭 저감 인자를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상기 동작 대역폭의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이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 레벨을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이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에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의 차이를 감산한 값을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서 상기 간섭 저감 인자를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동작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해당하는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에서 최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별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해당하는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 레벨을 상기 단위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이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들에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의 차이를 감산한 값들을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서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해당하는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에서 최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은, 공유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동작 대역폭과 상기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이루어진 제1 공유 정보와 단위 대역폭들과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이루어진 제2 공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과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중첩 조건을 이용하여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공유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 단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면 상기 제1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지 않으면 상대 중첩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을 기반으로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할당 자원 단위들의 전체 수에 대비하여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과 중첩된 비율인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이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이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2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들을 지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중첩되는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을 상기 공유 정보로부터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에 마진값을 감산한 값을 상기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단말로 시스템 구성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상기 공유 단말 특정 RRC 메시지 및 자원 제어 채널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상기 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은, 공유 기지국으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공유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동작 대역폭과 상기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이루어진 제1 공유 정보와 단위 대역폭들과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이루어진 제2 공유 정보를 수신하고;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과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중첩 조건을 이용하여 공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공유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 단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고; 그리고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고;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고;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면 상기 제1 공유 정보를 선택하고; 그리고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지 않으면 상대 중첩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의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들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중첩되는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을 상기 공유 정보로부터 확인하고; 그리고 확인된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에 마진값을 감산한 값을 상기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로 지정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공유 단말로 시스템 구성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상기 공유 단말 특정 RRC 메시지 및 자원 제어 채널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상기 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여 제1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여 제2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기지국은 동작 대역폭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이루어진 제1 공유 정보와 단위 대역폭과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이루어진 제2 공유 정보를 수신하여 공유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제1 공유 정보와 제2 공유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공유 단말이 사용할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한 자원에 전력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기지국과 공유 단말은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을 사용하여 기존 기지국과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 생성 과정에서 사전 준비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은 도 3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3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3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3의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3의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3의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1는 메시지들에 포함된 RCI들의 우선 순위의 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출력 적용 방법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은 도 3의 공유 정보 선택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terminal)(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UE(user equipment),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DL)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UL)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기존 서비스는 1차 서비스로 통칭할 수 있고, 1차적으로 보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존 서비스는 1차 서비스, 1차 시스템, 1차 무선국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1차 서비스와 공동으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도록 검토되는 무선국은 주파수 이용 권한이 낮은 경우 2차 서비스, 2차 시스템 또는 2차 무선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서비스, 2차 시스템 또는 2차 무선국은 2차 서비스로 통칭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서비스는 일 예로 Wi-Fi, LTE(long-term evolution)-LAA(license assisted access), 5G(generation) NR-U(new radio unlicensed) 등의 비면허 무선국, 비면허 무선 통신 시스템, 비면허 무선 기기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2차 서비스는 RLAN(radio local area network)로 통칭하여 정의할 수 있다. 기존 서비스를 보호하며 주파수를 공유하는 무선 기기 또는 무선국은 공유 무선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공유 무선국은 동작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이용 가능한 주파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공유 무선국은 해당 주파수를 이용할 때 허용되는 출력 레벨이 제한될 수 있다.
6GHz 대역의 RLAN 시스템으로 예상되는 Wi-Fi, NR-U 등은 OFDMA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은 동작 대역폭을 복수의 할당 자원 단위들로 나눌 수 있고, 여러 단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할당 자원 단위를 하나 이상의 단말에 할당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은 할당 자원의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은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의 대역폭 범위 정보와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지정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자원 제어 정보(resource control information, RCI)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에,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은 자원 제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자원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자원 제어 정보에서 할당된 할당 자원 단위들의 대역폭 정보와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지정된 전송 전력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확인된 할당 자원 단위들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거나 송신할 수 있다.
한편, 공유 무선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할당 자원을 할당하는 주체에 따라 구분이 가능할 수 있으며, 공유 기지국과 공유 단말로 구분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무선 접속을 관리할 수 있고, 동작 채널의 동작 대역폭의 할당 자원을 공유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Wi-Fi 액세스 포인트(AP)가 포함될 수 있으며, LTR-LAA에서 eNodeB(eNB)를 포함할 수 있고, 5G NR-U에서 gNB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공유 기지국에 접속하여 할당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고, 공유 기지국의 네트워크 관리를 받으며 동작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Wi-Fi의 스테이션(STA), LAA나 NR-U에서는 사용자 단말(UE)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동작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기존 기지국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주파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해당 주파수 범위를 이용할 때 허용되는 출력 레벨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범위는 동작 대역폭 범위, 단위 대역폭 범위, 동작 채널 범위, 할당 자원 단위의 대역폭 범위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용 가능한 주파수 범위 정보는 공유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는 이용 가능한 주파수 범위에 허용되는 출력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정보는 공유 기지국이 직접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공유 정보 생성 장치가 존재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공유 정보 생성 장치가 공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를 공유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정보 생성 장치에 접속 또는 연결할 수 있으며, 공유 정보 생성 장치에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영역, 높이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생성한 공유 정보를 공유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유 정보는 2가지 절차를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가 제1 절차를 이용하여 산출한 공유 정보는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 또는 제1 공유 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가 제2 절차를 이용하여 산출한 공유 정보는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 또는 제2 공유 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공유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제1 공유 정보와 제2 공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2개의 공유 정보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정보에 기반하여 할당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한 할당 자원을 할당 자원 이용 방법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할당 자원은 할당 자원 단위의 하나 이상의 집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이용 가능한 전송 전력 세기를 서로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할당 자원 이용 방법은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이용 가능한 전송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전력 세기는 전송 전력 레벨, 전송 출력 레벨, 전송 출력 세기, 출력 레벨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할당 자원 이용 방법에 따라 할당된 할당 자원과 해당 할당 자원의 출력 레벨을 포함하는 자원 제어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자원 제어 정보를 공유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원 관리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공유 정보 생성 장치에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00). 그러면,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의 엔터티(entity)로 구현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한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공유 정보(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와 제2 공유 정보(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10).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생성한 제1 공유 정보와 제2 공유 정보를 공유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320). 공유 기지국은 공유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제1 공유 정보와 제2 공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1 공유 정보와 제2 공유 정보에서 어느 하나의 공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S330).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선택한 공유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 단말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S340). 공유 기지국은 할당 자원 단위에 기초하여 공유 단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공유 단말을 위해 할당된 할당 자원은 할당 자원 단위에 따른 주파수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할당 자원 단위에 따른 주파수 자원들은 단위 대역폭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대역폭을 가지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 각각에 이용 가능한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할 수 있다(S350).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 각각의 대역폭 범위 정보와 각각에 지정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자원 제어 정보(resource control information, RCI)를 생성할 수 있다(S360). 공유 기지국은 생성한 자원 제어 정보를 공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370). 이에 따라 공유 단말은 공유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자원 제어 정보에서 공유 정보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의 대역폭 범위 정보와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지정된 전송 전력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확인된 할당 자원 단위들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지정된 전송 전력 세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80). 이에 따라, 기지국은 할당 자원 단위들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공유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절차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 별로 허용되는 출력 레벨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계산하는 절차일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채널은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채널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접속 표준에 따라 정의할 수 있다. 제2 절차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특성에 관계없이 단위 대역폭 마다 허용되는 출력 레벨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계산하는 절차일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레벨의 세기 또는 크기는 실효 등방성 복사 전력(effective isotropic radiated power, EIRP)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S401).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을 보호하기 위하여 간섭 대 잡음 비율(interference to noise ratio, INR)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한 INR의 한계값을 기준 INR이라고 할 수 있고, INR_ref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준 INR(즉 INR_ref)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최대 출력 레벨은 최대 ERIP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하여 최대 EIRP(즉 EIRP_max)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EIRP_max는 주파수 관리 국가 또는 관리 기구가 정의한 기준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에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출력 레벨은 송신 EIRP(즉 Tx_EIRP)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에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송신 EIRP(즉 Tx_EIRP)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점 위치로 정의할 수 있거나 일정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영역은 원, 사각형, 타원,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는 INR_ref, EIRP_max, Tx_EIRP,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보호가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을 공유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S402).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선택한 기존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때에 기존 기지국이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S403). 여기서, 수신 신호 세기는 수신 간섭 신호 세기(received interference signal strength, RISS)일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Tx_EIRP에서 전파 손실을 감산한 후에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을 가산하거나 승산하여 RISS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EIRP_max를 Tx_EIRP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interference reduction factor, IRF)를 계산할 수 있다(S404).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동작 대역폭 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동작 대역폭의 비율,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심 주파수 및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심 주파수를 기반으로 간섭 저감 인자(IRF)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일 예로 RISS)와 IRF를 사용하여 동작 대역폭의 INR을 계산할 수 있으며, dB 스케일의 수신 신호 세기(일 예로 RISS)에서 IRF를 감산한 값을 동작 대역폭의 INR로 할 수 있다(S405).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에 대한 INR을 INR(Ch)로 정의할 수 있고, INR_ref와 비교하여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S406).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Ch)이 INR_ref 미만인 경우에, 즉 INR(Ch)<INR_ref인 경우에 분석에 사용한 Tx_EIRP를 해당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EIRP_max를 Tx_EIRP로 사용한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IRP_max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Ch)이 INR_ref 이상인 경우에, 즉 INR(Ch)≥INR_ref인 경우에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Tx_EIRP(dB)에서 dB 스케일의 INR(Ch)와 INR_ref의 차이를 빼준 값을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dB 스케일의 INR(Ch)와 INR_ref의 차이는 동작 대역폭의 출력 레벨 제어값 EIRP_control이라고 부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에 대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 범위 정보와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407).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중심 주파수에 따른 전파 손실 감쇄 요소를 RISS 계산에서 고려할 수 있거나,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의 간섭 저감 인자 계산에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의 INR을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기준으로 하는 잡음 레벨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보호 대상이 되는 기존 기지국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들 마다 수신 신호 세기들 또는 동작 채널별 INR을 계산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간섭 영향이 가장 클 수 있는 기존 기지국을 보호할 수 있는 기준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RISS가 가장 큰 값을 선택하거나 동작 채널별 INR이 가장 큰 값을 선택하여 공유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S501).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준 INR(즉 INR_ref)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하여 최대 EIRP(즉 EIRP_max)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들에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송신 EIRP들(즉 Tx_EIRP들)을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는 INR_ref, EIRP_max, Tx_EIRP들,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보호가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들을 공유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S502).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선택한 기존 기지국들로 동작 채널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때에 기존 기지국들이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할 수 있다(S503). 여기서, 수신 신호 세기들은 수신 간섭 신호 세기(RISS)들일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Tx_EIRP들에서 각각의 기존 기지국에 대한 동작 채널의 전파 손실을 감산한 후에 각각의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을 가산하거나 승산하여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IRP_max를 Tx_EIRP들로 사용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할 수 있다(S504).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기존 기지국들의 동작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동작 채널별로 동작 대역폭의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S505).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동작 대역폭 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동작 대역폭들의 비율,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심 주파수 및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에 기반하여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최대 수신 신호 세기(일 예로 최대 RISS)와 IRF들을 사용하여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INR들을 계산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일 예로 dB 스케일의 최대 RISS에서 IRF들을 감산한 값을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INR들로 할 수 있다(S506).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INR들을 INR(Ch)들로 정의할 수 있고, INR(Ch)들을 INR_ref와 비교하여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S507).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Ch)들이 INR_ref 미만인 경우 분석에 사용한 Tx_EIRP들을 해당 동작 채널의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EIRP_max를 Tx_EIRP들로 사용한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IRP_max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Ch)이 INR_ref 이상인 경우에 수학식 1과 같이 각각의 Tx_EIRP(dB)에서 dB 스케일의 각각의 INR(Ch)과 INR_ref의 차이를 감산한 값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동작 대역폭의 대역폭 범위 정보와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포함하는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508).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중심 주파수들에 따른 전파 손실 감쇄 요소들을 RISS들의 계산에서 고려할 수 있거나, 동작 채널들의 간섭 저감 인자들의 계산에 포함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들의 INR들은 기존 기지국들의 동작 대역폭들을 기준으로 하는 잡음 레벨들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공유 기지국이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S601).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준 INR(즉 INR_ref)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하여 최대 EIRP(즉 EIRP_max)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들에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들을 나타내기 위해 송신 EIRP들(즉 Tx_EIRP들)을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는 INR_ref, EIRP_max, Tx_EIRP들,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보호가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들을 공유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S602).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선택한 기존 기지국들로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때에 기존 기지국들이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할 수 있다(S603). 여기서, 수신 신호 세기들은 수신 간섭 신호 세기(RISS)들일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에서 각각의 기존 기지국에 대한 전파 손실을 감산한 후에 각각의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을 가산하거나 승산하여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IRP_max를 Tx_EIRP들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기존 기지국들의 동작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동작 채널들의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S604).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동작 대역폭 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동작 대역폭들의 비율,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심 주파수 및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에 기반하여 동작 채널들의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들(일 예로 RISS들)과 IRF들을 사용하여 동작 채널들의 동작 대역폭의 INR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dB 스케일의 RISS들에서 IRF들을 감산한 값을 동작 채널들의 INR들로 할 수 있다(S605).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동작 채널들에 대한 INR들을 INR(Ch)들로 정의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동작 채널들의 INR들에서 최대 INR을 선택할 수 있다(S606).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최대 INR과 INR_ref와 비교하여 동작 대역폭들 또는 동작 채널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을 산출할 수 있다(S607).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최대 INR(Ch)이 INR_ref 미만인 경우 분석에 사용한 Tx_EIRP들을 동작 채널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EIRP_max를 Tx_EIRP들로 사용한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IRP_max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최대 INR(Ch)이 INR_ref 이상인 경우에 수학식 2와 같이 각각의 Tx_EIRP(dB)에서 dB 스케일의 최대 INR(Ch)와 INR_ref의 차이를 감산한 값을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들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dB 스케일의 최대 INR(Ch)와 INR_ref의 차이는 동작 대역폭의 최대 출력 레벨 제어값 EIRP_control_max라고 부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동작 채널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각각의 동작 채널의 동작 대역폭의 대역폭 범위 정보와 동작 채널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포함하는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을 구성할 수 있다(S608).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중심 주파수들에 따른 전파 손실 감쇄 요소들을 RISS들의 계산에서 고려할 수 있거나, 동작 채널들의 간섭 저감 인자들의 계산에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들의 INR들을 기존 기지국들의 동작 대역폭들을 기준으로 하는 잡음 레벨들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S701).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준 INR(즉 INR_ref)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또는 동작 대역폭)을 단위 대역폭 범위를 사용하여 단위 대역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단위 대역폭 범위는 BW_U로 정의할 수 있고, 일예로 1MHz일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주파수 대역에서 단위 대역폭들의 전체에 허용되는 최대 EIRP를 정의할 수 있고, EPU_max로 표기할 수 있다. 여기서, EPU_max는 주파수 관리 국가 또는 관리 기구가 정의한 기준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하여 EPU_max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에 단위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들을 나타내기 위해 송신 EIRP들(즉 Tx_EIRP들)을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는 INR_ref, EPU_max, Tx_EIRP들,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보호가 요구되는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S702).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단위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선택한 기존 기지국에 신호들을 Tx_EIRP들로 송신한다고 가정할 때, 기존 기지국이 단위 대역폭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는 수신 신호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할 수 있다(S703).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로 EPU_max를 사용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에서 수신 신호 세기들(즉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들의 전파 손실들,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으로부터 수신 신호 세기들(즉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RISS들은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에서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별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기존 기지국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S704). 여기서,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별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기존 기지국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은 가상의 이상적(ideal)인 마스크들일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단위 대역폭들 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비율,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 및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에 기반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들(일 예로 RISS들)과 IRF들을 사용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에 대한 INR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dB 스케일의 RISS들에서 IRF들을 감산한 값을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로 할 수 있다(S705). 여기서,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은 INR(f)들로 정의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f)들을 INR_ref와 비교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S706).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f)들이 INR_ref 미만인 경우 분석에 사용한 Tx_EIRP들을 해당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EPU_max를 Tx_EIRP들로 사용한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PU_max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f)가 INR_ref 이상인 경우에 수학식 3과 같이 각각의 Tx_EIRP(dB)에서 dB 스케일의 각각의 INR(f)와 INR_ref의 차이를 감산한 값을 각각의 단위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dB 스케일의 각각의 INR(f)와 INR_ref의 차이는 각각의 단위 대역폭의 출력 레벨 제어값 EIRP_control이라고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들에 대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들의 대역폭 범위 정보들과 산출한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포함하는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707). 이 경우에, 공유 정보는 주파수 기반(Freq-based(f))의 형태로 각 단위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f에 대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S801).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준 INR(즉 INR_ref)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하여 EPU_max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들에 단위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들을 나타내기 위해 송신 EIRP들(즉 Tx_EIRP들)을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송신 EIRP는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송신 EIRP는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설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송신 EIRP는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는 INR_ref, EPU_max, Tx_EIRP들,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보호가 요구되는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할 수 있다(S802).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단위 대역폭들을 이용하여 선택한 기존 기지국들에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때, 기존 기지국들이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할 수 있다(S803). 이때, 수신 신호 세기들은 수신 간섭 신호 세기(RISS)들일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별 그리고 단위 대역폭별로 설정된 Tx_EIRP를 사용하여 기존 기지국들로 해당 단위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로 EPU_max를 사용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에서 수신 신호 세기들(즉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들의 전파 손실들,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으로부터 수신 신호 세기들(즉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RISS들은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에서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에서 각각의 기존 기지국에 대한 전파 손실을 감산한 후에 각각의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을 가산하거나 승산하여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신호 세기는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세기는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신 신호 세기는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할 수 있다(S804).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별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기존 기지국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S805).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단위 대역폭들 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비율,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 및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에 기반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 저감 인자는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간섭 저감 인자는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간섭 저감 인자는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최대 수신 신호 세기(일 예로 최대 RISS)와 IRF들을 사용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을 계산할 수 있으며, dB 스케일의 최대 RISS에서 IRF들을 감산한 값을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로 할 수 있다(S806). 여기서, INR은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INR은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INR은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은 INR(f)들로 정의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f)들을 INR_ref와 비교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하여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S807). 여기서,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은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은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은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f)들이 INR_ref 미만인 경우 분석에 사용한 Tx_EIRP들을 해당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EPU_max를 Tx_EIRP들로 사용한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PU_max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f)들이 INR_ref 이상인 경우에 수학식 3과 같이 각각의 Tx_EIRP(dB)에서 각각의 dB 스케일의 INR(f)와 INR_ref의 차이를 감산한 값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들에 대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들의 대역폭 범위 정보들과 산출한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포함하는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808).
도 9는 도 3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S901).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준 INR(즉 INR_ref)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하여 EPU_max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들에 단위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들을 나타내기 위해 송신 EIRP들(즉 Tx_EIRP들)을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송신 EIRP는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송신 EIRP는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설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송신 EIRP는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는 INR_ref, EPU_max, Tx_EIRP들,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보호가 요구되는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할 수 있다(S902).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단위 대역폭들을 이용하여 선택한 기존 기지국들에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때, 기존 기지국들이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할 수 있다(S903). 이때, 수신 신호 세기들은 수신 간섭 신호 세기(RISS)들일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별 그리고 단위 대역폭별로 설정된 Tx_EIRP를 사용하여 기존 기지국들로 해당 단위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로 EPU_max를 사용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에서 수신 신호 세기들(즉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들의 전파 손실들,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으로부터 수신 신호 세기들(즉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RISS들은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에서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Tx_EIRP들에서 각각의 기존 기지국에 대한 전파 손실을 감산한 후에 각각의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을 가산하거나 승산하여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신호 세기는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세기는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신 신호 세기는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별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기존 기지국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S904).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단위 대역폭들 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비율,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 및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심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에 기반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 저감 인자는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간섭 저감 인자는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간섭 저감 인자는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들(일 예로 RISS들)과 IRF들을 사용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을 계산할 수 있으며, dB 스케일의 RISS들에서 IRF들을 감산한 값을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로 할 수 있다(S905). 여기서, INR은 기존 기지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INR은 어느 하나의 기존 기지국에 대하여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INR은 기존 기지국별로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f들에 대한 INR들은 INR(f)들로 정의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별로 기존 기지국들의 INR들에서 최대 INR(f)들을 선택할 수 있다(S906). 즉, 단위 대역폭별로 최대 INR(f)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단위 대역폭별로 최대 INR들과 INR_ref를 비교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S907). 여기서,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은 단위 대역폭별로 복수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최대 INR(f)들이 INR_ref 미만인 경우 분석에 사용한 Tx_EIRP들을 해당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EPU_max를 Tx_EIRP들로 사용한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PU_max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지정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최대 INR(f)들이 INR_ref 이상인 경우에 수학식 4와 같이 단위 대역폭들의 각각의 Tx_EIRP(dB)에서 dB 스케일의 단위 대역폭들의 각각의 최대 INR(f)와 INR_ref의 차이를 빼준 값을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dB 스케일의 단위 대역폭들의 각각의 최대 INR(f)와 INR_ref의 차이는 단위 대역폭의 각각의 최대 출력 레벨 제어값 EIRP_control_max이라고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이처럼 공유 기지국은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들에 대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 정보들과, 단위 대역폭들의 대역폭 범위 정보들 및 산출한 단위 대역폭들의 중심 주파수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포함하는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908).
도 10은 도 3의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 생성 과정에서 사전 준비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유 정보 생성 과정에서 사전 준비 과정은 사전 분석 단계(S1010)와 공유 정보 산출 단계(S10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전 분석 단계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의 다양한 조건들에 따른 기존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분석 단계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를 지정하는 단계(S1011), 기존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S1011), 전파 환경 조건들을 구성하는 단계(S1012), 전파 환경 조건별 기존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를 계산하는 단계(S1013) 및 전파 환경 조건별 수신 신호 세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S1014)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정보 산출 단계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전파 환경에 적합한 전파 환경 조건을 선택하여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 정보 산출 단계는 전파 환경에 따른 전파 환경 조건을 선택하는 단계(S1021), 선택된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하는 단계(S1022),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대한 간섭 저감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S1023),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INR을 계산하는 단계(S1024) 및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S10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사전 분석 단계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S1011).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기존 기지국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준 INR(즉 INR_ref)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하여 최대 EIRP(즉 EIRP_max)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이 기존 기지국에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송신 EIRP(즉 Tx_EIRP)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로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는 INR_ref, EIRP_max, Tx_EIRP,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보호가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을 공유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S1012).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 산출 파라메터들인 INR_ref, EIRP_max, Tx_EIRP 및 공유 기지국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전파 환경 조건들을 구성할 수 있다(S1013).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각각의 전파 환경 조건에서 선택한 기존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한다고 가정할 때에 기존 기지국이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는 전파 환경 조건들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할 수 있다(S1014). 여기서, 수신 신호 세기들은 수신 간섭 신호 세기(RISS)들일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전파 환경 조건들의 Tx_EIRP들에 대하여 전파 손실을 감산한 후에 기존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을 가산하거나 승산하여 전파 환경 조건들의 RISS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계산한 전파 환경 조건들의 수신 신호 세기(일 예로 RISS)들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S1015).
한편, 공유 정보 산출 단계(S1020)에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전파 환경을 파악하여 전파 환경에 적합한 전파 환경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S1021). 그리고,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선택한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할 수 있다(S1022). 다음으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선택한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를 계산할 수 있다(S1023).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동작 대역폭 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동작 대역폭의 비율,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심 주파수 및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심 주파수를 기반으로 간섭 저감 인자를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첩된 영역에 기반하여 간섭 저감 인자(IRF)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선택한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일 예로 RISS)와 IRF를 사용하여 선택한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동작 대역폭의 INR을 계산할 수 있으며, dB 스케일의 RISS에서 IRF를 감산한 값을 동작 대역폭의 INR로 할 수 있다(S1024).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선택한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에 대한 INR을 INR(Ch)로 정의할 수 있고, INR_ref와 비교하여 선택한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S1025).
이때,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Ch)이 INR_ref 미만인 경우 분석에 사용한 Tx_EIRP를 해당 동작 대역폭 또는 동작 채널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EIRP_max를 Tx_EIRP로 사용한 경우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EIRP_max를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할 수 있다. 공유 정보 생성 장치는 INR(Ch)이 INR_ref 이상인 경우에 수학식 1과 같이 Tx_EIRP(dB)에서 dB 스케일의 INR(Ch)와 INR_ref의 차이를 감산한 값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기존 기지국이 하나 이상인 경우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도 10의 전파 환경 조건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 선택 단계를 도 5 내지 도 9의 수신 신호 세기를 계산하는 단계 이하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IRP_max에서 INR(Ch)와 INR_ref의 차이인 출력 레벨 제어값인 EIRP_control를 감산한 값일 수 있다. 도 11에서 가로축은 대역폭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신호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111)은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121)보다 좁을 수 있다.
여기서,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은 잡음 레벨 대역폭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점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110)은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120)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110)의 높이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IRP_max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실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130)의 사선은 간섭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실선의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130)의 높이는 최대 EIRP인 EIRP_max에서 INR(Ch)와 INR_ref의 차이인 최대 레벨 제어값 EIRP_control를 감산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일 수 있다.
도 12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IRP_max에서 INR(Ch)와 INR_ref의 차이인 출력 레벨 제어값인 EIRP_control를 감산한 값일 수 있다. 도 12에서 가로축은 대역폭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신호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211)은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221)보다 넓을 수 있다. 여기서,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은 잡음 레벨 대역폭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점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210)은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220)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210)의 높이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IRP_max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실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230)의 사선 부분은 간섭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실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230)의 빈 공간은 간섭 신호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여줄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실선의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230)의 높이는 최대 EIRP인 EIRP_max에서 INR(Ch)와 INR_ref의 차이인 출력 레벨 제어값 EIRP_control을 감산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일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레벨 제어값이 도 11의 출력 레벨 제어값보다 작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간섭 영역에 변화가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도 13은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PU_max에서 INR(f)들과 INR_ref의 차이인 중심 주파수 출력 레벨 제어값인 EIRP(f)_control을 감산한 값일 수 있다. 도 13에서 가로축은 대역폭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신호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311)은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321)보다 좁을 수 있다.
여기서,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은 잡음 레벨 대역폭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각각의 단위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점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들(1310a~1310f)은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320)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각각의 단위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점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들(1310a~1310f)의 높이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PU_max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실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1330)의 사선 부분은 간섭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실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1330)의 높이는 최대 EIRP인 EPU_max에서 INR(f)와 INR_ref의 차이인 중심 주파수 출력 레벨 제어값 EIRP(f)_control를 감산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일 수 있다.
도 14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에 따른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PU_max에서 INR(f)들과 INR_ref의 차이인 중심 주파수 출력 레벨 제어값인 EIRP(f)_control들을 감산한 값일 수 있다. 도 14에서 가로축은 대역폭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신호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411)은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1421)보다 넓을 수 있다. 여기서, 공유 무선국의 동작 대역폭은 잡음 레벨 대역폭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각각의 단위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점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들(1410a~1410j)은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1420)은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각각의 단위 대역폭을 밑변으로 하는 실선으로 표시된 사각형의 영역들(1410a~1410j)의 높이는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 전체에서 허용되는 최대 EIRP인 EPU_max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실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들(1430a~1430j)의 사선 부분들은 간섭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의 실선으로 표시된 사다리꼴의 사각형의 영역들(1430a~1430j)의 높이는 최대 EIRP인 EPU_max에서 INR(f)들과 INR_ref의 차이인 중심 주파수 출력 레벨 제어값 EIRP(f)_control들을 감산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들일 수 있다.
여기서, 중심 주파수 출력 레벨 제어값 EIRP(f)_control들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간섭 신호의 차이에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주파수 출력 레벨 제어값이 도 13의 중심 주파수 출력 레벨 제어값보다 작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간섭 영역에 변화가 있기 때문일 수 있다.
한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ax 또는 IEEE802.11be 기반의 Wi-Fi와 LTE-LAA 또는 NR-U 등의 최근 무선 접속 표준은 OFDMA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채널의 동작 대역폭은 자원을 할당하는 기본 단위인 할당 자원 단위 대역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무선 접속 표준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들의 데이터들을 동시에 서로 다르게 할당된 할당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할당 자원 단위 대역폭은 BW_RA로 정의할 수 있다.
BW_RA는 여러 개의 단위 대역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대역폭은 하나의 자원 유닛(resource unit) 또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으로 구성할 수 있거나, 여러 개의 자원 유닛들 또는 자원 블록들로 구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단말은 BW_RA 단위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 BW_RA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파일럿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 또는 단말은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OFDMA 기반의 공유 기지국의 자원 할당에 있어서, 공유 기지국은 서로 다른 공유 단말에 서로 다른 복수의 BW_RA들을 할당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정보, 공유 단말의 각 BW_RA에서의 채널 품질, 공유 단말의 요구 전송 속도들에서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서비스의 일반 무선국은 채널 품질과 전송 속도를 기준으로 자원의 할당이 가능할 수 있다. 주파수 공유 환경의 공유 기지국은 각 할당 자원에서 사용 가능한 공유 정보, 즉 허용된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준수하면서 채널 품질, 전송 속도, 서비스 품질 등을 고려하여 공유 단말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품질은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인 전송 속도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품질은 서비스가 지연이나 오류 없이 전달되어야 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기지국이 제1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체 동작 대역폭에 사용 가능한 전력 밀도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 기지국은 각 BW_RA에 대하여 허용되는 최대 허용 출력 레벨 Tx_EIRP_max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유 기지국이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각 단위 대역폭 BW_U마다 서로 다른 값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기지국이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공유 기지국은 BW_RA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BW_RA에 포함되는 BW_U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공유 기지국은 BW_RA 크기가 BW_U보다 작을 경우 중첩된 BW_U에 대한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유 기지국은 BW_RA가 BW_U보다 큰 경우에는 복수의 BW_U들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들에서 특정 값을 BW_RA에 속한 BW_U들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유 기지국은 채널 보상을 위해서는 BW_RA를 구성하는 모든 부반송파 또는 주파수 톤에 동일한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들에서 특정 값은 BW_RA에 속한 모든 BW_U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들에서 가장 작은 값이 될 수 있다. 또는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들에서 특정 값은 BW_RA에 속한 모든 BW_U들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의 평균 값일 수 있다.
도 15은 도 3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BW_RA(1510, 1511), BW_U, EIRP_max, EPU_max 등을 고려하여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 자원의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BW_RA가 BW_U보다 크기 때문에 복수의 BW_U들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에서 특정 값을 전체 BW_RA에 속한 BW_U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5에서 가로축은 주파수 영역, 세로축은 신호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5에서 1개의 BW_RA(1510, 1511)는 6개의 BW_U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기지국은 1개의 BW_RA(1510, 1511)를 6개의 BW_U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1개의 BW_RA의 출력 레벨을 6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에서 가장 작은 Tx_EIRP_max로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공유 기지국은 제1 BW_RA(1510)의 출력 레벨을 6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1521, 1522)에서 가장 작은 Tx_EIRP_max(1521)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제2 BW_RA(1511)의 출력 레벨을 6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1523, 1524, 1525)에서 가장 작은 Tx_EIRP_max(1523)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도 3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BW_RA(1610~1617), BW_U, EIRP_max, EPU_max(1621~1625) 등을 고려하여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BW_RA가 BW_U보다 크기 때문에 복수의 BW_U들의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에서 특정 값을 전체 BW_RA에 속한 BW_U들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6에서 가로축은 주파수 영역, 세로축은 신호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6에서 1개의 BW_RA는 2개의 BW_U에 해당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1개의 BW_RA를 2개의 BW_U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1개의 BW_RA의 출력 레벨을 2개의 BW_U들의 Tx_EPU_max들에서 작은 Tx_EPU_max로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공유 기지국은 제1 BW_RA(1610)의 출력 레벨을 2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1621, 1622)에서 가장 작은 Tx_EIRP_max(1621)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제2 내지 제4 BW_RA(1611~1613)의 출력 레벨을 2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1622)이 동일하게 해당 Tx_EIRP_max(1622)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제5 BW_RA(1614)의 출력 레벨을 2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1623,1624)에서 가장 작은 Tx_EIRP_max(1623)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제6 BW_RA(1615)의 출력 레벨을 2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1624,1625)에서 작은 Tx_EIRP_max(1624)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제7 및 제8 BW_RA(1616, 1617)의 출력 레벨을 2개의 BW_U들의 Tx_EIRP_max들(1625)가 동일하여 해당 Tx_EIRP_max(1625)로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도 15와 도 16에서 각각의 BW_RA가 서로 다른 A와 B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BW_U 단위의 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로부터 BW_RA 당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이 BW_RA가 작을수록 출력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이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각 BW_RA에 할당된 출력 레벨의 전체 합이 EIRP_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EPU_max는 규제 당국에서 EIRP_max를 공유 기지국의 가장 작은 대역폭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동작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보다 큰 경우에 BW_RA에 허용된 출력 레벨의 전체 합은 EIRP_max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 기지국은 BW_RA에 허용된 출력 레벨의 전체 합이 EIRP_max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공유 단말의 채널 품질, 요구 전송 속도, 서비스 품질 등의 동작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허용되는 출력 레벨 또는 전송 전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를 기준으로 공유 단말이 사용할 할당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최대 허용 출력 레벨과 공유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기지국은 채널 품질이 좋지 않거나 셀 경계에 위치하는 공유 단말에 최대 EPU_max를 사용 가능한 자원에 할당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채널 품질이 좋을 수 있거나 공유 기지국에 인접할 수 있는 공유 단말에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 레벨로 정의된 BW_U를 포함하는 BW_RA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BW_RA로 자원이 구성이 되는 경우 출력 레벨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거나 모든 BW_RA에 동일한 출력 레벨을 구성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채널 추정 시에 각각의 BW_RA에 포함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채널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공유 기지국과 공유 단말이 사전에 상호 알고 있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파일럿 신호일 수 있다. 공유 단말은 할당된 각각의 BW_RA에 대한 채널 추정을 각각의 BW_RA에 포함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공유 단말은 할당된 모든 BW_RA중에서 2개 이상의 BW_RA의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이 여러 BW_RA의 기준 신호를 동시에 이용하기 위해서 각 BW_RA에 사용된 출력 레벨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또는 공유 단말이 할당된 BW_RA들에서 동일한 출력 레벨이 적용된 BW_RA 그룹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이 2개 이상의 BW_RA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공유 단말은 동일한 출력 레벨을 사용한 BW_RA 그룹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공유 단말은 서로 다른 출력 레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일한 출력 레벨처럼 정규화를 먼저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에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 단말은 각 할당 자원 단위 대역폭에서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적용할 출력 레벨을 공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최대 허용 출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적용할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전체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공유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공유 기지국은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로부터 공유 단말이 사용할 할당 자원 단위 대역폭들을 결정할 수 있거나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할당된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 대역폭에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적용할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할당 자원 위치와 그 위치의 할당 자원에 적용할 출력 레벨을 전체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자원을 할당할 n번째 공유 단말의 각 BW_RA 인덱스 k에 대한 채널 특성 정보를 CHI(n,k)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에서 요구되는 최소 BW_RA의 수를 N_RA(n), 최소 전력 밀도를 PSD_min(n)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PSDmin(n)은 BW_RA당 EIRP가 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할당 자원 위치와 전송 전력 세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원을 할당해야 하는 모든 공유 단말의 CHI(n,k), PSD_min(n), N_RA(n)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자원 할당과 전송 전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최적화의 목적 함수로는 네트워크의 전체 용량을 극대화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이 할당 자원 위치와 전송 전력 세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공유 기지국은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인 중심 주파수 f에 대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에서 n번째 공유 단말에 대한 CHI(n,k)을 선형적으로 감산한 값을 X(n,k)라 정의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X(n,k)값이 PSD_min(n)이상인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n번째 공유 단말에 할당하는데 선택 가능한 자원의 수가 많은 공유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각 할당 자원에 대한 출력 레벨의 전체 선형 합의 dBm 값이 EIRP_max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X(n,k)를 조절해 가면서 전송 전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할당 자원 위치와 전송 전력 세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동작 대역폭 전체에 대한 제2 절차에 따른 공유 정보의 선형 합의 dBm 값이 EIRP_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높은 공유 정보는 주파수 기반(Freq-based(f))의 형태로 각 단위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f에 대한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정의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중심 주파수 기반의 최대 출력 레벨을 가지는 BW_RA에서부터 전송 전력 세기를 줄여 수정된 공유 정보인 수정 최대 출력 레벨 M_Freq_based(f)를 결정할 수 있다. 수정 최대 출력 레벨 M_Freq_based(f)는 최대 출력 레벨 Freq_based(f)에서 주파수 마진값인 Delta(f)를 차감한 값일 수 있다. 주파수 마진값 Delta(f)는 각 중심 주파수 f의 BW_RA에서 결정된 감쇄값을 의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ERIP_max 보다 크지 않는 조건에서 수정 최대 출력 레벨 M_Freq_based(f)에서 CHI(n,k)를 선형적으로 감산한 값을 X(n,k)라 정의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X(n,k)값이 PSD_min(n)이상인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n번째 공유 단말에 할당하는데 선택 가능한 자원의 수가 많은 공유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7은 도 3의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할당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들의 CHI와 EIRP_max를 고려하여 제2 절차 공유 정보로부터 공유 단말들이 사용할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단말 A의 N_RA는 4일 수 있고, 공유 단말 B의 N_RA는 3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 A의 CHI(1710)와 공유 정보 등을 고려하여 공유 단말 A에 할당할 자원의 위치를 점선 위치(1730)로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 A의 전송 출력 레벨을 EIRP_max를 고려하여 EIRP_max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 B의 CHI(1720)와 공유 정보 등을 고려하여 공유 단말 B에 할당할 자원의 위치를 실선 위치(1740)로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 B의 출력 레벨을 EIRP_max를 고려하여 EIRP_max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마지만 BW_RA의 값이 일부 감소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BW_RA에 대한 출력 레벨 정보를 자원 제어 정보(RCI)로 정의할 수 있다. 공유 무선국들 사이의 네트워크 구성과 동작에 대한 제어는 상위 계층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거나, 물리적 프레임 구조의 자원 제어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상위 계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자원 제어 채널의 정보 또는 메시지는 링크 제어 정보(link control information, LCI)일 수 있다.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제어 정보는 공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도 3의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로 RRC 메시지를 통하여 자원 제어 정보(RCI)를 전달할 수 있다(S1810). 이와 달리, 공유 기지국은 자원 제어 채널 메시지를 통하여 자원 제어 정보(RCI)를 전달할 수 있다(S1820). RRC 메시지는 모든 공유 단말에 적용할 RCI 또는 각 공유 단말에 적용할 RC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동일한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거나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 기지국은 자원들에 출력 레벨의 적용 방법을 알려주는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를 자원 제어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는 0 또는 1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공유 단말은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가 0이면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동일한 출력 레벨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단말은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가 1이면 할당 자원마다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공유 기지국은 시스템의 운영 정보를 방송하는 시스템 구성 RRC 메시지를 구성하여 모든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시스템 구성 RRC 메시지에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를 포함하여 모든 단말들에 방송할 수 있다. 각 공유 단말은 공유 기지국에 접속하여 동작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이 공유 기지국에 접속하여 동작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RRC 연결(RRC connection) 과정 또는 RRC 설정(configuration)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있어서, 공유 기지국은 각 공유 단말에 서로 다른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RRC 설정 과정에서 공유 단말에 특정된 RCI를 RRC 메시지에 포함하여 해당 공유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RRC메시지와 서로 다른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가 공유 단말에 특정된 RRC메시지를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에 공유 단말은 특정된 RRC메시지의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를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9는 도 3의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910).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RRC 연결 응답 메시지를 공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920). 이때, 공유 기지국은 RRC 연결 응답 메시지에 자원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RRC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RRC 연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자원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도 3의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자원 제어 정보의 전달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010). 그리고, 공유 기지국은 RRC 연결 응답 메시지를 공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2020). 공유 단말은 RRC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공유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공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2030). 이때, 공유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자원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RRC 메시지에 포함된 자원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NR-U 또는 LAA에서 공유 단말은 할당 받은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ndicator)를 이용하여 복조를 수행할 LCI를 확인할 수 있다. RNTI는 Wi-Fi에서 도착주소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되는 내용에서 RNTI는 도착주소로 해석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단말마다 서로 다른 RNTI를 할당 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모든 공유 단말에게 모든 공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RNTI 또는 셀 RNTI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공유 기지국은 그룹으로 지정된 일부 공유 단말들에게 그룹에 포함된 공유 단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그룹 RNTI를 할당할 수 있다. 시스템 RNTI 또는 그룹 RNTI로 사용되는 일부 RNTI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경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자원을 할당하는 기본 시간 단위마다 LCI를 공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공유 기지국에서 전송한 LCI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시간 단위는 일 예로 NR-U 또는 LAA에서 슬롯일 수 있거나 서브 프레임일 수 있으며, Wi-Fi에서 프레임일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LCI에 RCI를 포함하여 공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공유 기지국에서 전송한 LCI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LCI에서 RCI를 확인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확인한 RCI에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LCI가 전송된 기본 시간 단위에 대하여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개별 공유 단말에 특정된 RNTI, 시스템 RNTI 또는 그룹 RNTI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복조할 LCI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공유 단말은 RRC메시지에 지정된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와 LCI의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가 다를 경우 LCI에 정의된 출력 레벨 적용 방법 정보를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1는 메시지들에 포함된 RCI들의 우선 순위의 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메시지들에 포함된 RCI들의 우선 순위의 결정 방법에서 공유 단말은 단말 특정 RNTI에 의한 LCI 메시지의 RCI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단말은 셀 또는 그룹 RNTI LCI 메시지의 RCI가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단말은 그 다음으로 단말 특정 RRC 메시지의 RCI를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시스템 구성 RRC 메시지의 RCI를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공유 단말은 서로 다른 RCI 정보 값이 지정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RCI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RCI 정보가 덮어쓰기 되는 우선 순위일 수 있다.
한편, 공유 단말은 매 슬롯마다 시스템 구성 RRC 메시지, 단말 특정 RRC 메시지, 셀 또는 그룹 RNTI LCI 메시지, 단말 특정 RNTI LCI메시지 등의 RCI에서 출력 적용 방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공유 단말은 RCI의 출력 적용 방법 정보가 0인 경우는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동일한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유 단말은 RCI의 출력 적용 방법 정보가 1인 경우는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2는 출력 적용 방법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출력 적용 방법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서 공유 단말은 A는 첫번째 슬롯에서 시스템 구성 RRC메시지에서 RCI가 출력 적용 방법 정보로 0을 지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단말 A는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동일한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단말 A는 두번째 슬롯에서 특정 RRC 메시지에서 RCI가 출력 적용 방법 정보로 1을 지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단말 A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공유 단말 A는 세번째 슬롯에 단말 LCI의 RCI가 출력 적용 방법 정보로 0을 지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단말 A는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동일한 출력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세 번째 슬롯에 적용되는 단말 LCI의 RCI는 해당 슬롯에만 해당할 수 있다. 이후 공유 단말 A는 네번째 슬롯에서 다른 RRC메시지가 없는 경우에 계속하여 특정 RRC 메시지에서 RCI의 출력 적용 방법 정보로 1을 가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 단말 A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을 계속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공유 기지국은 2가지 절차의 공유 정보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기존 기지국의 채널과 공유 기지국의 채널의 중첩 조건을 이용하여 공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이 기존 기지국의 동작 채널에 모두 포함될 수 있거나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 제1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유 기지국은 공유 기지국의 동작 채널의 일부에 기존 기지국의 동작 채널에 있을 수 있거나 일정 비율 이하로 포함될 수 있는 경우에 제2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BW_RA의 대역폭 크기에 따라서 중첩 비율과 함께 중첩되는 위치에 따라 제1 절차 공유 정보와 제2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기지국은 공유 기지국의 전체 BW_RA 수에서 기존 기지국의 대역폭과 중첩되는 수 또는 비율인 상대 중첩 비율((relative overlap ratio, ROR)에 따라 제1 절차 공유 정보와 제2 절차 공유 정보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공유 기지국은 전체 BW_RA수 K와 중첩된 BW_RA수 M의 상대 중첩 비율인 M/K 또는 퍼센트 상대 중첩 비율인 (M/K)*100가 지정됨 값인 일정 임계값 Th 보다 크면 제1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작으면 제2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23은 도 3의 공유 정보 선택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공유 정보 선택 방법에서 공유 기지국은 기존 기지국의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고, 공유 기지국의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다(S2310). 공유 기지국은 확인된 기존 기지국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과 공유 기지국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이용하여 공유 기지국의 채널이 기존 기지국의 채널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320). 공유 기지국은 판단 결과 공유 기지국의 채널이 기존 기지국의 채널에 포함되면 제1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S2350). 이와 달리, 공유 기지국은 판단 결과 공유 기지국의 채널이 기존 기지국의 채널에 포함되지 않으면 공유 기지국의 BW_RA의 전체 수에 대비하여 기존 무선 채널과 중첩된 BW_RA 수 비율인 상대 중첩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S2330). 여기서, 상대 중첩 비율은 공유 무선국의 BW_RA의 전체 수가 K일 수 있고, 기존 무선 채널과 중첩된 BW_RA 수가 M 인 경우에 M/K일 수 있다. 퍼센트 상대 중첩 비율은 (M/K)*100일 수 있다. 이후에, 공유 기지국은 상대 중첩 비율이 일정 임계값 Th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40). 공유 기지국은 판단 결과 상대 중첩 비율이 일정 임계값보다 크면 제1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S2350). 이와 달리, 공유 기지국은 판단 결과 상대 중첩 비율이 일정 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제2 절차 공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S2360).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통신 시스템의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기존 기지국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을 세분화한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동작 대역폭의 정보와 상기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정보와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공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기존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에서 상기 간섭 저감 인자를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상기 동작 대역폭의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이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 레벨을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이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에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의 차이를 감산한 값을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와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서 상기 간섭 저감 인자를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신호대 잡음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동작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해당하는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에서 최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별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해당하는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신호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대 잡음 비율들을 기준 신호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 레벨을 상기 단위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이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송신 전력들에서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과 상기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의 차이를 감산한 값들을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서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동작 대역폭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단위 대역폭들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들과 상기 기존 기지국들의 단위 대역폭들의 수신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중첩 영역들을 이용하여 간섭 저감 인자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들에서 해당하는 상기 간섭 저감 인자들을 감산하여 상기 공유 기지국의 단위 대역폭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호 대 잡음 비율들에서 최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 신호 대 잡음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10. 통신 시스템의 공유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공유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동작 대역폭과 상기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이루어진 제1 공유 정보와 단위 대역폭들과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이루어진 제2 공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과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중첩 조건을 이용하여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공유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 단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면 상기 제1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지 않으면 상대 중첩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을 기반으로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기지국의 할당 자원 단위들의 전체 수에 대비하여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과 중첩된 비율인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이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상대 중첩 비율이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2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들을 지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중첩되는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을 상기 공유 정보로부터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에 마진값을 감산한 값을 상기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단말로 시스템 구성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상기 공유 단말 특정 RRC 메시지 및 자원 제어 채널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상기 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공유 기지국으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공유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동작 대역폭과 상기 동작 대역폭의 최대 허용 출력 레벨로 이루어진 제1 공유 정보와 단위 대역폭들과 단위 대역폭별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로 이루어진 제2 공유 정보를 수신하고;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과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의 중첩 조건을 이용하여 공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공유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 단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전송 전력 세기를 지정하고; 그리고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공유 기지국.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고;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확인하고;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면 상기 제1 공유 정보를 선택하고; 그리고
    판단 결과, 상기 기존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에 상기 공유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이 포함되지 않으면 상대 중첩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공유 기지국.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공유 단말에 할당한 자원인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들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중첩되는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을 상기 공유 정보로부터 확인하고; 그리고
    확인된 상기 단위 대역폭들의 상기 최대 허용 출력 레벨들의 최소값에 마진값을 감산한 값을 상기 각각의 할당 자원 단위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로 지정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공유 기지국.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공유 기지국이,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과 상기 할당 자원 단위들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공유 단말로 시스템 구성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상기 공유 단말 특정 RRC 메시지 및 자원 제어 채널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자원 제어 정보를 상기 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공유 기지국.
KR1020210108040A 2021-08-17 2021-08-17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26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040A KR20230026084A (ko) 2021-08-17 2021-08-17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040A KR20230026084A (ko) 2021-08-17 2021-08-17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84A true KR20230026084A (ko) 2023-02-24

Family

ID=8533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040A KR20230026084A (ko) 2021-08-17 2021-08-17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60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969B2 (en) Resource allocation design for low cost machine-type communication UE
KR102245957B1 (ko) 누적 간섭 할당
CN109983808B (zh) 上行链路功率控制
CN110447270B (zh) 针对飞行器的基于高度路径损耗的功率控制
CN107071879B (zh) 共享频谱网络中的上行链路干扰管理
US10485004B2 (en) Optimizing network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P35524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terference connection types in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devices band
EP29181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oper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105553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to communication devices
CN110945893A (zh) 控制设备、无线设备、方法和记录介质
WO2018173418A1 (ja) 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10142990B2 (en) Radio node,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in
CN112544101B (zh) 调度方法、装置、存储介质及通信系统
JP2020511810A (ja) 既存のものおよびppa保護によって課される制約要因を使用してチャネルを評価およびランク付け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58628A (ko) 업링크 전송 대역폭 제어 및 지원
US9426814B2 (en) Radio base station and a method therein for scheduling radio resources based on a path loss fraction
JP2019533401A (ja) アクティブに使用されるスペクトル内での干渉を緩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996339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09196830A (zh) 混合的授权/非授权载波聚合中的互调失真减轻
KR20230026084A (ko)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1771338A (zh) 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pusch)跳频分配
US8638661B2 (en) Partitioning resources with soft reuse in a wireless network
US9167586B1 (en) Interference mitigation at cell edge region of enhanced node B of LTE wireless network
WO2024023155A1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KR20200103569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 기반 채널 점유 방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