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020A -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 Google Patents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020A
KR20230026020A KR1020210107896A KR20210107896A KR20230026020A KR 20230026020 A KR20230026020 A KR 20230026020A KR 1020210107896 A KR1020210107896 A KR 1020210107896A KR 20210107896 A KR20210107896 A KR 20210107896A KR 20230026020 A KR20230026020 A KR 2023002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case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397B1 (ko
Inventor
방응철
Original Assignee
방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응철 filed Critical 방응철
Priority to KR102021010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97B1/ko
Priority to PCT/KR2021/016937 priority patent/WO2023022301A1/ko
Publication of KR2023002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0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leg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91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중심 바, 상기 중심 바의 양 단에 축 결합하며, 상단부에는 중심홈이 측면부에는 관통구와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굴곡면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연결축 및 상기 케이스 하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중심홈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턱과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굴곡면이 상기 다리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중심홀 및 굴곡면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Double-joint A-shaped foldable support}
본 발명은 베이킹 재료의 저장 및 측정을 하나의 장비로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과 휴가를 균형있게 조절하는 워라벨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식을 위해 여행,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 중 고중량의 물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또는 테이블은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이 단단하게 결합되어야 하지만, 이 경우 부피가 커서 이동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5341호에서는 2개의 상판이 포개어지는 형태와 다리부재가 같이 접혀지는 기능을 구현하는 테이블을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6242호에서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물건 수납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캠핑용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들은 접이 또는 변형이 가능하여 편리성은 우수하나 각 구성간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각 구성간 결합을 나사, 핀, 나사면 등으로 체결할 경우, 분해가 불편하여 자유롭게 변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유롭게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을 나사, 핀, 나사면 등이 아닌 끼움 결합으로 구성하여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테이블 또는 지지대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5341호(2014.11.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6242호(2018.06.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 사용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 시 각 구성이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어 핀이나 나사면 없이 편리하게 결합 가능한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지지대 상부에 상판을 추가하여 테이블 용도로 사용 가능한 이중으로 결합되는 접이식 A형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중심 바, 상기 중심 바의 양 단에 축 결합하며, 상단부에는 중심홈이 측면부에는 관통구와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굴곡면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연결축 및 상기 케이스 하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중심홈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턱과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굴곡면이 상기 다리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중심홀 및 굴곡면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 및 일 단은 상기 제1 홈과 연통되며 타 단은 상기 케이스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은 상기 연결축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리 고정대의 일 단은 상기 다리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다리에 회전 결합되며, 상기 다리 고정대의 타단은 상기 다리부 중 다른 하나의 다리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 고정대와 상기 다리 고정대와 회전 결합되는 다리 사이의 각도를 a 상기 다리 고정대와 상기 다리 고정대에 끼움 고정되는 다리 사이의 각도를 b로 정의할 때, 상기 a는 90° ≤ a ≤ 110°, 상기 b 는 70° ≤ b ≤ 90°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나사와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는 조립 시 각 구성이 끼움 결합하고, 이중으로 결합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중량의 물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대를 접힘 상태로 운송 및 보관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지지대를 이중으로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부(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직립 상태일 때 도 1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직립 상태일 때 연결축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와 케이스가 분리될 때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와 케이스가 분리될 때 연결축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직립 상태일 때 도 1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힘 상태일 때 연결축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힘 상태일 때 지지대와 케이스가 결합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접힘 상태일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중으로 끼움 결합하는 지지대에 있어서,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중심 바, 상기 중심 바의 양 단에 축 결합하며, 상단부에는 중심홈이 측면부에는 관통구와 굴곡면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 한 쌍의 결합축으로 상기 지지대의 관통구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지지대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연결축 및 상기 케이스 하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중심홈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턱과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굴곡면이 상기 다리부의 다리와 결합되어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 시 서로 다른 두 방법으로 이중 결합하여 상기 A형 지지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에 큰 하중이 부과 되어도 견고하게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연결축의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를 상기 케이스 하단부로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대를 회전하여 상기 중심 바를 기준으로 상기 다리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접어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상기 케이스 상부를 덮는 상판 및/또는 상기 케이스 양 끝단에 폴대등의 구조물과 결합 가능한 결합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테이블로서의 기능과,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행, 캠핑 등 야외 활동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폴대를 통해 지지대, 빨래 건조기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부(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는 중심바(10), 한 쌍의 지지부(20), 한 쌍의 케이스(30), 및 다리부(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바(10)는 사각 또는 원형의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방의 양 단에는 지지부(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중심 바(10) 양 단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 바(10)와 축 결합되어 상기 중심 바(10)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0)는 상단부에 중심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부에는 굴곡면(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홈(21)은 상기 지지부(20) 상단부, 즉 도 2의 X축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깊이로 새겨진 홈을 의미한다.
상기 굴곡면(25)은 상기 지지부(20)의 양 측면과 상면, 즉 도 2의 Y축 방향과 Z축 방향에 걸쳐 형성되는 하나의 면을 의미하며,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의 측면에는 관통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H)를 통해 연결축(2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23)은 상기 지지부(20)을 관통한 상태로 후술할 케이스(3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연결축(23)을 축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관통구(H)가 상기 지지부(20)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구(H)에 하나의 연결축(23)이 관통되는 모습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관통구(H)가 상기 지지부(20)의 양 측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양 측면에 연결축(23)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하나의 지지부(20)에 두개의 연결축(23)이 연결되는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지지부(20)의 하단면, 즉 도 2의 -X축 방향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 바(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30)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20)이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20)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30)의 중심부에는 상기 지지부(20)과 결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20)과 결합하는 홈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30)의 내부에는 고정턱(31)이 소정 길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1 홈(35a) 및 제2 홈(3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31)은 상기 케이스(30)의 내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20)의 상단부와 접하는 일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턱(31)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홈(21)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20)를 상기 케이스(30)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 바(10)를 통해 전달받는 응력을 상기 케이스(30) 및 후술할 다리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35a) 및 상기 제2 홈(35b)는 상기 케이스(30)의 내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20)의 측면부와 접하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홈(35a)와 상기 제2 홈(35b)는 상기 연결축(23)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축(23)이 하나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연결축(23)은 상기 지지부(20)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30) 양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홈(35a) 또는 상기 제2 홈(35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축(23)이 두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연결축(23)의 일 단면은 상기 상기 제1 홈(35a) 또는 상기 제2 홈(35b)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23)의 다른 일 단면은 상기 지지부(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는 상기 연결축이 하나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홈(35a)는 상기 케이스의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35b)는 일 단은 상기 제1홈(35a)와 연통되며, 타 단은 상기 케이스(30)의 수직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홈(35a)과 상기 제2홈(35b)은 하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홈(35a)는 상기 케이스(30)의 후면 방향, 상기 제2 홈(35b)는 상기 케이스(30)의 하단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홈(35a) 및 제2 홈(35b)은 상기 연결축(23)이 상기 케이스(30)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23)이 상기 케이스(30)내부에서 이동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케이스 하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30)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41), 다리 고정대(45) 및 고정핀(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41)는 상기 케이스(30)의 양 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30) 양 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서 상기 케이스(30)의 하단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리(41)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0)을 축으로 하단부가 이격되어, A자 형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다리(41)가 이격되면, 상기 다리(41)의 상단과 상기 지지부(20)의 특면에 형성된 굴곡면(25)이 접촉하여 상기 굴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중간 바(10), 상기 지지부(20) 및 상기 케이스(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 바(10)를 통해 전달받는 응력을 양 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다리(40)로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A형 지지대는 상기 고정턱(31)과 중심홈(21)의 결합, 그리고 상기 다리(41)와 상기 굴곡면(25)의 결합을 통해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 고정대(45)는 상기 한 쌍의 다리(4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41)가 이격되는 경우, 상기 다리 사이에 공간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리 고정대(45)는 고정핀(47)을 통해 상기 다리부(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다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47)을 축으로 상기 다리에 회전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리 고정대(45)의 타단은 상기 다리에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을 통해 나머지 하나의 다리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리부가 제1 다리 제2 다리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리 고정대(45)는 상기 고정핀(47)을 통해 상기 제1 다리에 회전 결합되며,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제2 다리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리 고정대(45)와 상기 다리 고정대와 회전 결합되는 다리 사이의 각도를 a, 상기 다리 고정대와 상기 다리 고정대에 끼움 고정되는 다리 사이의 각도를 b로 정의할 때, 상기 a는 90 ≤ a ≤ 110, 상기 b 는 70 ≤ b ≤ 90 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핀(47)을 통해 결합된 제1 다리와 상기 다리 고정대(45)사이 각도는 90 내지 11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 고정대(45)의 홈을 통해 결합된 제2 다리와 상기 다리 고정대(45)사이 각도는 70 내지 9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리와 상기 다리 고정대(45)사이 각도가 90°미만 또는 110°를 초과하면 상기 다리 고정대(45)가 안정되고 고정되지 못하여 상기 제1 다리와 상기 제2 다리의 이격된 거리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2 다리와 상기 다리 고정대(45)사이 각도가 70°미만 또는 90°를 초과하면 상기 다리 고정대(45)가 중력으로 인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제2 다리를 이탈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다리와 상기 다리 고정대(45)는 서로 수직하게 고정되는가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상기 제2 다리와 상기 다리 고정대(45)사이 각도는 75°내지 8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턱(31)과 중심홈(21)의 결합, 그리고 상기 다리(41)와 상기 굴곡면(25)의 결합을 통해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결합부에 집중될 수 있는 응력을 분산할 수 있으며, 응력을 안정적으로 분산하여 상기 지지대가 더욱 무거운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심 바(10), 지지부(20), 케이스(30) 및 다리부(40)의 주요 결합을 나사, 핀, 나사면이 아닌 끼움 결합을 채용함으로써 분해와 조립이 손쉽게 될 수 있고, 핀을 끼우거나 나사면을 돌리는 작업을 생략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직립 상태일 때 도 1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직립 상태일 때 연결축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와 케이스가 분리될 때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와 케이스가 분리될 때 연결축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직립 상태일 때 도 1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힘 상태일 때 연결축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힘 상태일 때 지지대와 케이스가 결합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접힘 상태일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연결축(23)이 케이스(30) 내부에 형성된 제1 홈(35a)및 제2 홈(35b)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가 직립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립 상태는 도 1과 같이 양 측면의 다리가 A자 형상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직립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접힘 상태는 도 10과 같이 양 측면의 다리가 상기 중심 바(10)를 중심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가 ‘N’자 형식으로 접힌 상태를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가 직립 상태인 경우, 상기 지지부(20)에 형성된 중심홈(21)과 상기 케이스(30)에 형성된 고정턱(31)과 서로 맞물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한 쌍의 다리(41) 또한 상기 지지부(20)의 측면에 형성된 굴곡면(25)과 끼움 결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축(23)은 상기 케이스(30) 내부에서 상기 제1 홈(35a)의 일 단,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홈(35a)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일 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에서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M1)하여 상기 중심홈(21)과 상기 고정턱(31)을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축(23)은 상기 케이스(30) 내부에서 상기 제1 홈(35a)의 일 단에서 상기 제1 홈(35a)과 상기 제2 홈(35b)이 연통되는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홈(35a)은 사용자가 상기 중심홈(21)과 상기 고정턱(31)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20)이 -X축 방향으로 이동(M1)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23)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케이스(30)에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23)을 축으로 상기 케이스(30)의 하단부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회전(R)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지지부(20)는 케이스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 (M2)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축(23)은 상기 제1 홈(35a)과 상기 제2 홈(35b)이 연통되는 지점에서 회전 후 상기 제2 홈(35b)를 따라 상기 케이스(30)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홈(35b)은 상기 지지부(20)가 상기 케이스(30)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23)에게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를 직립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가 접힘 상태일 때,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케이스(30)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30)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지지부(20)와 상기 케이스(30)는 완벽히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부(20)의 상단이 상기 연결축(23)을 통해 상기 케이스(30)의 하단부와 결합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중심 바(10)과 상기 한 쌍의 다리(41a, 41b)는 상기 케이스(30) 하단부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중심 바(10)의 타단의 연결된 지지부(20) 및 케이스(30) 또한 앞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접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립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 바(10)를 중심으로 지지부(20)가 회전하여 도 10과 같이 양 측면의 다리가 상기 중심 바(10)를 중심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중심 바(10)를 중심으로 지지부(20), 케이스(30) 및 다리부(40)가 ‘N’자 형태로 접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의 변환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는 상판(51) 및 결합 나사(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51)은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결합 나사(53)는 상기 케이스(30)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30) 상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 11에는 상기 결합 나사(53)가 상기 케이스(30) 상부에 2개 형성된 상태인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나사(53)는 밑면은 상기 케이스(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30)에서 노출된 상면을 통해 상기 상판(51)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51)의 양 단에는 소정의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결합 나사(53)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는 결합턱(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턱(37)은 상기 케이스(30)의 뒷면 즉, 상기 케이스의 양 끝단, 다시 말해 YZ 평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100)는 상기 결합턱(37)을 통해 소정의 구조물, 예를 들어 폴대 등의 구조물을 측면에 장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이중으로 결합되는 접이식 A형 지지대(100)를 테이블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폴대 등의 소정의 구조물을 측면에 장착하여 행거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10: 중심 바
20: 지지부
23: 연결축
30: 케이스
40: 다리부
45: 다리 고정대

Claims (5)

  1.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중심 바;
    상기 중심 바의 양 단에 축 결합하며, 상단부에는 중심홈이 측면부에는 관통구와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굴곡면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연결축; 및
    상기 케이스 하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는 다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중심홈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턱과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굴곡면이 상기 다리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중심홀 및 굴곡면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 및
    일 단은 상기 제1 홈과 연통되며 타 단은 상기 케이스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은 상기 연결축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리 고정대의 일 단은 상기 다리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다리에 회전 결합되며, 상기 다리 고정대의 타단은 상기 다리부 중 다른 하나의 다리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고정대와 상기 다리 고정대와 회전 결합되는 다리 사이의 각도를 a
    상기 다리 고정대와 상기 다리 고정대에 끼움 고정되는 다리 사이의 각도를 b로 정의할 때,
    상기 a는 90° ≤ a ≤ 110°, 상기 b 는 70° ≤ b ≤ 90°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나사와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KR1020210107896A 2021-08-17 2021-08-17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KR10255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96A KR102556397B1 (ko) 2021-08-17 2021-08-17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PCT/KR2021/016937 WO2023022301A1 (ko) 2021-08-17 2021-11-18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96A KR102556397B1 (ko) 2021-08-17 2021-08-17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20A true KR20230026020A (ko) 2023-02-24
KR102556397B1 KR102556397B1 (ko) 2023-07-14

Family

ID=8523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896A KR102556397B1 (ko) 2021-08-17 2021-08-17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6397B1 (ko)
WO (1) WO2023022301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0987B2 (ja) * 1991-06-14 1998-04-15 サンタニー 株式会社 ホームごたつ用脚
KR20100002033U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창화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KR20120057868A (ko) * 2010-11-29 2012-06-07 유수원 작업대용 발판의 다리 잠금장치
KR200475341Y1 (ko) 2014-08-29 2014-11-26 (주)블루힐 야외 테이블
KR101554111B1 (ko) * 2014-11-06 2015-09-17 김성권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KR101866242B1 (ko) 2016-05-18 2018-06-11 한호준 캠핑용 테이블
KR102266791B1 (ko) * 2020-09-03 2021-06-17 신용락 지지구조물인 다리부재와 보부재의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834U (ja) * 1993-06-30 1995-05-16 株式会社サンベスト東信 携帯用組立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0987B2 (ja) * 1991-06-14 1998-04-15 サンタニー 株式会社 ホームごたつ用脚
KR20100002033U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창화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KR20120057868A (ko) * 2010-11-29 2012-06-07 유수원 작업대용 발판의 다리 잠금장치
KR200475341Y1 (ko) 2014-08-29 2014-11-26 (주)블루힐 야외 테이블
KR101554111B1 (ko) * 2014-11-06 2015-09-17 김성권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KR101866242B1 (ko) 2016-05-18 2018-06-11 한호준 캠핑용 테이블
KR102266791B1 (ko) * 2020-09-03 2021-06-17 신용락 지지구조물인 다리부재와 보부재의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397B1 (ko) 2023-07-14
WO2023022301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3614S1 (en) Stand
US8091160B2 (en) Foldable bed frame
US7854444B2 (en) Convertible utility cart
US6158361A (en) Foldable table frame
US20090199746A1 (en) Table
US8931840B2 (en) Composite frame
US20060150870A1 (en) Dual U-leg table frame
KR102556397B1 (ko)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GB2441966A (en) Furniture support with detachable legs
KR101903878B1 (ko)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CN109640740B (zh) 可折叠桌
US8820828B2 (en) Foldable artist bench
KR20180033918A (ko) 캠핑용 옷걸이
US20050269851A1 (en) Pendulous support
KR101097100B1 (ko) 의자 일체형 조립식 테이블
CN106594027B (zh) 婴儿床
KR20090003383U (ko) 착탈식 걸이대 및 이를 장착한 빨래 건조대
EP0226230A1 (en) Mobile structure for display purposes such as shows and exhibitions
KR102279091B1 (ko) 포터블 접이테이블
KR200390986Y1 (ko) 디스플레이용 사다리꼴 이젤 스탠드
JPH0434735Y2 (ko)
KR20150001244U (ko) 접철식 테이블 프레임
KR20190108803A (ko) 조립식 테이블
KR200294309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0399398B1 (ko) 세탁물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