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446A -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446A
KR20230025446A KR1020237001555A KR20237001555A KR20230025446A KR 20230025446 A KR20230025446 A KR 20230025446A KR 1020237001555 A KR1020237001555 A KR 1020237001555A KR 20237001555 A KR20237001555 A KR 20237001555A KR 20230025446 A KR20230025446 A KR 2023002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measurement
cell
network node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에 첸
산탄 탄가라사
리테쉬 슈리바스타브
무함마드 알리 카즈미
카즈요시 우에사카
리핑 장
엠레 야부즈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3002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8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는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방법은,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S101)하는 것;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S102)하는 것,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S103)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은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하에서 수행 또는 정지될 수 있다. 관련 시간 및 전력은 세이브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일반적으로, 본 발명 개시는 무선 통신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본 발명 개시의 이해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면들을 도입한다. 따라서, 이 섹션의 진술은 종래 기술에 있는 것 또는 종래 기술에 있지 않은 것에 관한 입장으로서 이해되지 않고, 이들을 참고하는 것으로서 읽혀진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 네트워크(즉, 기지국과 같은 소정의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와의 불량한 통신 품질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재수립 절차와 같은 셀 변경 절차를 개시하고, 액세스할 이웃 셀(때때로, 현재 서빙 셀을 포함하는)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요약은,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의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형태 또는 필수적인 형태를 식별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불량한 통신 품질 하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면, 재수립 절차는 무선 링크 실패(RLF)와 같은 소정의 트리거 후 개시될 수도 있는데, 따라서, 레이턴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시간 소비적이고 전력 소비적이다.
본 발명 개시 및 그들의 실시예의 소정의 측면은, 이들 또는 다른 도전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이슈를 해결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개시에서 제안된다.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측정은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 하에서 수행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시간 및 전력(power)은 세이브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제1 측면은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방법은: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것;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셀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측정의 타입.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전력(RSRP) 임계치;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품질(RSRQ) 임계치; 타깃 셀 RSRP 임계치; 타깃 셀 RSRQ 임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시스템 정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제1 조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동작 모드, 커버리지 레벨, 및 네트워크 커패시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규칙에 기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의 통신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서빙 셀의 통신 품질은, 협대역 기준 신호(NRS);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SSS) 및; 협대역 물리적인 브로드캐스트 채널(NPB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제1 이벤트가 트리거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건은 제1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적어도 제1 주기가 제1 이벤트의 트리거링 이래 경과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타이머 및/또는 제1 카운터는 제1 이벤트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시작되고; 및 제1 주기는 제1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및/또는 제1 카운터가 설정 값에 도달할 때 경과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통신 품질이 제1 임계치 이하일 때 트리거되고; 및 제1 임계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아웃 오브 동기화(out of synchronization)인 것을 표시하는 값 이상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 취소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이벤트는 통신 품질이 제2 임계치 이상일 때 트리거되고, 제2 임계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인 동기화(in synchronization)인 것을 표시하는 값 이상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적어도 측정의 결과에 기반해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및 셀 변경 절차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수립; 리디렉션을 갖는 RRC 릴리스; 및 핸드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이 수행되는 것에 관한 제1 리포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측정이 수행되는 셀;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수행되고 있는 또는 수행되는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조건은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조건은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적어도 제2 주기가 제2 이벤트의 트리거링 이래 경과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타이머 및/또는 제2 카운터는 제2 이벤트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시작되고; 및 제2 주기는 제2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및/또는 제2 카운터가 설정 값에 도달할 때 경과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진행 중인 측정 활동이 완료된 후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진행 중인 측정 활동은: 셀의 검출; 또는 레이어 1 측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 진행 중인 측정이 정지되는 것에 관한 제2 리포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진행 중인 측정이 관련되는 셀; 및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는 통신 패턴 파라미터에 의해서 표시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적이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이면,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반복 수(Rmax)는 연장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제2 측면은,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셀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측정의 타입.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전력(RSRP) 임계치;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품질(RSRQ) 임계치; 타깃 셀 RSRP 임계치; 타깃 셀 RSRQ 임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시스템 정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제1 조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동작 모드, 커버리지 레벨, 및 네트워크 커패시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규칙에 기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정이 수행되는 것에 관한 제1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측정이 수행되는 셀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된 리소스를 감소시키는 것; 및/또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제1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가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된 리소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진행 중인 측정이 정지되는 것에 관한 제2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진행 중인 측정이 관련되는 셀; 및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2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서 스케줄된 리소스를 개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는 통신 패턴 파라미터에 의해서 표시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적이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이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반복 수(Rmax)는 연장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제3 측면은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고;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된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한다.
본 발명 개시의 제4 측면은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노드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된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한다.
본 발명 개시의 제5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 개시의 제6 측면은,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유닛,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정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측면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한다.
본 발명 개시의 제7 측면은,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측면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하에서 수행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시간 및 전력은 세이브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에 따라서 추가적인 형태 및 장점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상기 및 다른 측면, 특징 및 이득은,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문자가 동일 또는 등가의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 설명한 설명으로부터, 예로서, 보다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스케일대로 그려질 필요는 없다.
도 1은 MSG3에서 DL 채널 품질 리포트를 리포팅하기 위한 UE 절차를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된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아웃-오브 동기화(Qout)와 인-동기화(Qin)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도 4B는 아웃-오브 동기화(Qout), 인-동기화(Qin), 이벤트1(QE1out), 이벤트2(QE2out)의 관계를 더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도 5는 DCQR 및 AS RAI MAC 제어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타입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의 분리의 액션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적합한 예시적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실시하기 위해서 적합한 예시적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terminal device), 네트워크 노드를 위한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에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전기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서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기술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 개시를 더 잘 이해하고 따라서 구현하게 할 수 있는 것만을 목적으로 논의되는 것일뿐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소정의 제한을 제안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형태(feature), 장점 또는 유사한 언어에 대한 본 명세서를 통한 참조는, 본 개시와 함께 실현될 수 있는 모든 형태 및 장점이 본 개시의 소정의 단일 실시예가 되어야 하거나 이 실시예에 있어야 한다. 오히려, 형태 및 장점을 언급하는 언어는,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된 특정 형태, 장점, 또는 특징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내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더욱이, 본 개시의 기술된 형태, 장점, 및 특징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소정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관련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특별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정 형태 또는 장점 없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에 있어서, 추가적인 형태 및 장점은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에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소정의 실시예에서 인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다른 의미가 이것이 사용되는 콘텍스트로부터 명확히 주어지지 않는 한 및/또는 이로부터 의미되지 않는 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그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서 해석될 것이다. "a/an/the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언급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방법의 단계는,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는 또는 선행하는 것으로서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및/또는, 암시적으로 단계는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거나 또는 선행해야 한다.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실시예의 소정의 형태는, 적합한 경우,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정의 실시예 중 소정의 장점은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될 수 있다. 포함된 실시예의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는 소정의 적합한 무선 통신 표준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표준은, 5세대(5G), 뉴 라디오(NR), 4세대(4G), 롱 텀 에볼루션(LTE), LTE-어드밴스드, 와이드밴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고속 패킷 액세스(HSPA),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ddr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네트워크 내의 2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표준 조직에 의해서 규정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소정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기능 또는 소정의 다른 디바이스(물리적인 또는 가상의)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서버 노드/기능(SCS/AS(service capability server/application server), 그룹 통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서버(GCS AS), 애플리케이션 기능(AF)과 같은), 노출 노드/기능(SCEF(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네트워크 노출 기능(NEF)과 같은), 통합 데이터 관리(UDM), 홈 가입자 서버(HSS), 세션 관리 기능(SMF),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제어기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소정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BS는, 예를 들어,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B(eNodeB 또는 eNB), 차세대 NodeB(gNodeB 또는 gNB), 원격 무선 유닛(RRU), 무선 헤더(RH), 원격 무선 헤드(RRH), 릴레이, 펨토, 피코와 같은 저전력 노드 등이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또 다른 예로는, MSR BSS와 같은 멀티-표준 무선(MSR) 무선 장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 기지국 송수신기(BTS),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포지셔닝 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티티(물리적 또는 가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소정의 적합한 기능을 언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시스템(5GS)은, AMF(액세스 및 이동성 기능), SMF(세션 관리 기능), AUSF(인증 서비스 기능), UDM(통합 데이터 관리), PCF(정책 제어 기능), AF(애플리케이션 기능), NEF(네트워크 노출 기능), UPF(사용자 평면 기능) 및 NRF(네트워크 리포지토리 기능), RAN(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SCP(Service Communication Proxy) 등과 같은 복수의 NF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능은, 예를 들어, 특정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다른 타입의 NF(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과 같은)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단말 디바이스(terminal device)"는,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이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소정의 엔드 디바이스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이에 제한하지 않고, 단말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 사용자 장비(UE),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UE는 가입자 스테이션(SS), 포터블 가입자 스테이션, 이동국(MS), 또는 액세스 터미널(AT)이 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포터블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게임 단말 장치, 뮤직 스토리지 및 재생 기기와 같은 이미지 캡처 단말 디바이스, 모바일 폰, 셀룰러 폰, 스마트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태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PDA), 포터블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웨어러블 단말 디바이스, 차량-탑재된 무선 단말 디바이스,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mobile station), 랩탑 매립된 장비(LEE), 랩탑 탑재된 장비(LME), USB 동글, 스마트 디바이스, 무선 고객 구내 장비(CP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단말 디바이스", "단말", "사용자 장비" 및 "UE"는 상호 교환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단말 디바이스는, 3GPP의 LTE 표준 또는 5G 표준과 같은 3GPP에 의해서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서 통신을 위해서 구성된 UE를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됨에 따라서,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관련 디바이스를 소유 및/또는 동작하는 휴먼 사용자의 의미에서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휴먼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해서, 트리거될 때, 미리 결정된 스케줄 상에서 네트워크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대신, UE는, 특정 휴먼 사용자와 초기에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휴먼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동작을 의도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IoT(Internet of Things) 시나리오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나타내고, 이러한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 결과를 또 다른 단말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는 3GPP 콘텍스트에서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로서 언급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한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일 수 있다. 이러한 머신 또는 디바이스의 특정 예는, 센서, 파워 미터와 같은 미터링 디바이스, 산업 머신, 또는 홈 또는 퍼스널 기기, 예를 들어, 냉장고, 텔레비전, 시계와 같은 퍼스널 웨어러블 기기 등이다. 다른 시나리오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자체의 동작 상태 또는 그 동작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모니터 및/또는 리포트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참조, "일실시예", "실시예", "일례의 실시예"의 등은, 기술된 실시예가 특별한 형태, 구조 또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할 수 있지만, 모든 실시예가 특별한 형태, 구조 또는 특징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더욱이, 이러한 문구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한 형태, 구조 또는 특징이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될 때,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이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징에 영향을 미치도록 이것이 통상의 기술자의 지식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제시된다.
용어 "제1" 및 "제2" 등이 다양한 엘리먼트를 기술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엘리먼트는 이들 용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엘리먼트를 다른 엘리먼트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엘리먼트는 제2 엘리먼트로서 언급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엘리먼트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1 엘리먼트로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된 열거된 용어의 소정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어구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A만, B만, 또는 A 및 B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구 "A 및/ 또는 B"는 "A만, B만, 또는 A 및 B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만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상 명확히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has)", "가지는(having)", "포함(includes)" 및/또는 "포함하는(including)"은 명시된 특징, 엘리먼트 및/또는 구성 엘리먼트 등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엘리먼트, 구성 엘리먼트 및/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더 이해할 것이다.
본 문헌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이들 용어는 노드,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등에서 구별 및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기술의 개발과 함께, 유사한/동일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 및 청구항에 있어서, 다르게 규정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시스템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일례의 환경으로서 도시될 것이지만,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제한 없이,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릴리스 13에 있어서, 3GPP(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을 개발했었다. 이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은, 낮은 시스템 복잡성 및 최적화된 전력 소비와 조합해서 신뢰할 수 있는 인도어 커버리지 및 높은 커패시티와 같은 품질을 요구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성을 제공한다.
이하, NB-IoT 설계의 예시적인 측면의 세트가 오로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의 양호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시된다.
최대 배치 유연성을 전달하기 위해서, NB-IoT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 3개의 기본 모드를 지원한다.
스탠드-어론(stand-alone) 동작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GSM 캐리어의 대체로서 GSM/EDGE(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시스템에 의해서 현재 사용 중인 스펙트럼을 사용한다. 원리적으로, 이는, 또 다른 시스템의 캐리어 내에 또는 또 다른 시스템의 동작 캐리어의 가드-밴드 내에 있지 않은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동작한다.
가드 밴드 동작은 LTE 캐리어의 가드 밴드 내에서 사용되지 않은 리소스 블록을 활용한다. 또한, 용어 가드-밴드는 가드 대역폭으로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불릴 수 있다.
인-밴드(in-band) 동작은 정상 LTE 캐리어 내의 리소스 블록을 사용한다. 또한, 인-밴드 동작은 인-대역폭 동작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불릴 수 있다.
NB-IoT 내의 최소 시스템 대역폭은 200kHz이다. 이 기본 셋업에 있어서, NB-IoT 앵커 캐리어가 셀에서 전송된다. 이는, 동기화, 시스템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전송만 아니라 페이징 및 랜덤 액세스와 같은 기본 셀룰러 기능성을 지원한다. 또한, 앵커 캐리어는, 아이들 모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신호 강도(협대역 기준 신호 수신된 전력(NRSRP)) 및 신호 품질(협대역 기준 신호 수신된 품질(NRSRQ) 측정과 같은 아이들 모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디바이스에 의해서 사용된다.
시스템 커패시티를 개선하기 위해서, NB-IoT는, 앵커 캐리어가 각각이 200kHz인 비-앵커 캐리어의 세트에 의해서 보완되는 멀티-캐리어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비-앵커 캐리어는 릴리스 13으로부터 RRC_CONNECTED에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만, 릴리스 14로부터 또한 RRC_IDLE에서 페이징 및 랜덤 액세스를 지원한다. 그런데, 이들은, 디바이스가 비-앵커 상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페이징을 리슨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아이들 모드 측정에 대해서 사용될 수 없다. NRS(협대역 기준 신호)와 같은 얼외이즈 온(always-on) 시그널링으로부터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을 때, NRS가 비-앵커 상에서 생략될 수 있도록 RRC_IDLE의 UE는 앵커 캐리어 상에서 측정을 수행할 것을 3GPP에서 합의했었다.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절차의 목적은, UE의 서빙 셀의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하고 UE가 그 서빙 셀에 대해서 인-싱크(in-sync) 또는 아웃-오브-싱크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그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다. LTE에서, RLM은 RRC_CONNECTED 상태에서 다운링크 기준 심볼(셀-특정 기준 신호(CRS))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UE에 의해서 수행된다. 무선 링크 모니터링의 결과가 연속적인 OOS(Out of Sync)의 수를 표시하면, UE는 RLF 절차를 시작하고 RLF 시간의 만료 후(예를 들어, T310) 무선 링크 실패(RLF)를 선언한다. 실제 절차는 추정된 다운링크 기준 심볼 측정과 일부 임계치, Qout 및 Qin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Qout 및 Qin은 서빙 셀로부터의 가상적인 PDCCH/PCIFCH(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물리적인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 ePDCCH(향상된 PDCCH), MPDCCH(머신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전송의 블록 에러 레이트(BLER; Block Error Rate)에 대응한다. Qout 및 Qin에 대응하는 타깃 BLER의 예는 각각 10% 및 2%이다. RLM에서 무선 링크 품질은, LTE UE에 대한 제어 채널 대역폭(예를 들어, PDCCH 및 PCFICH))이 또한 되는 전체 셀 대역폭을 통해서, 또는 머신 타입 통신(MTC) UE에 대한 UE 대역폭을 통해서, 무선 프레임마다 적어도 한 번(불연속 수신(DRX)으로 구성되지 않을 때) 또는 DRX 사이클과 함께 주기적으로(DRX로 구성될 때), CRS에 기반해서, 수행된다(예를 들어, Cat-M1, Cat-M2 UE).
TS 36.331 v14.4.0의 절 5.3.11에 특정된 바와 같이 T310 타이머 또는 T313 타이머의 시작에 따라서, UE는, T310 타이머 또는 T313 타이머의 만료 또는 정지까지 비-DRX 모드에 대응하는 평가 주기 및 레이어 1 인디케이션 인터벌을 사용해서 복구를 위해서 서빙 셀(예를 들어, 1차 셀(PCell) 또는 1차 2차 셀(PSCell))의 링크를 모니터할 것이다. TS 36.331 V16.0.0 내의 절 5.3.11에 특정된 바와 같이, UE의 전송기 전력은 T310 타이머의 만료 후 40ms 내에서 턴 오프될 것이고, 구성되었으면, PSCell의 전송기 전력은 T313 타이머의 만료 후 40ms 내에서 턴 오프될 것이다. 또한, T310은, RLF를 트리거함에 따라서 RLF 절차가 시작하는 점에서 RLF 타이머로서 언급되는데, 이는, 자체의 하위 레이어로부터 연속적인 아웃-오브-싱크 인디케이션의 N310 수를 수신함에 따라서 트리거된다. T310이 만료되면, RLF가 선언된다. 하지만, N310은 자체의 하위 레이어로부터 연속적인 인-싱크 인디케이션의 N311 수를 수신함에 따라서 리셋된다. 네트워크 구성된 UE 타이머(T310 및 T313)는 TS36.331 v16.1.1에 특정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통합된다:
타이머 시작 정지 만료 시
T310
노트1
노트2
PCell에 대한 물리적인 레이어를 검출함에 따라서, 즉, 하위 레이어로부터 N310 연속적인 아웃-오브-싱크 인디케이션을 수신함에 따라서 PCell에 대한 하위 레이어로부터 N311 연속적인 인-싱크 인디케이션을 수신함에 따라서, 핸드오버 절차를 트리거하고 접속 재-수립 절차를 개시함에 따라서 보안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RRC_IDLE로 진행: 그렇지 않으면: 접속 재-수립 절차를 개시
T311
노트1
RRC 접속 재-수립 절차를 개시함에 따라서 적합한 E-UTRA 셀 또는 또 다른 RAT를 사용하는 셀의 선택. RRC_IDLE을 입력
T313
노트2
PSCell에 대한 물리적인 레이어 문제를 검출함에 따라서, 즉, 하위 레이어로부터 N313 연속적인 아웃-오브-싱크 인디케이션을 수신함에 따라서 PSCell에 대한 하위 레이어로부터 N314 연속적인 인-싱크 인디케이션를 수신함에 따라서, 접속 재-수립 절차를 개시함에 따라서, SCG 릴에 따라서 및 MobilityControlInfoSCG를 포함하는 RRC_CONnectionReconfiguration을 수신함에 따라서 5.6.13에 특정된 바와 같이 SCG 실패 정보 절차를 개시함으로써 SCG 무선 링크 실패에 관한 E-UTRAN에 알린다.
노트1: "노트1"로 마크된 타이머만이 NB-IoT에 적용 가능하다.
노트2: 7.3.2에 특정된 바와 같은 행동을 적용
타이머는,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서 구성된다. 타이머는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0, 50ms, 100ms, 200ms, 500ms, 1000ms 및 2000ms.
RLF 타이머(예를 들어, T310)의 만료에 따라서, UE는 이웃 셀에 대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 재-수립을 개시하고 또 다른 타이머(T311)를 시작한다. RRC 접속 재-수립의 완료 전에 T311이 만료되면, UE는 RRC 아이들 상태에 진입한다.
Rel-14에서, 3GPP는 MSG3-기반 채널 리포트 기능성을 도입했었는데, 이는, MSG3에 대한 품질 측정 및 리포팅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MSG1)에 앞서서, UE는, 먼저, 어떤 물리적인 랜덤 액세스 채널(NPRACH) 리소스가 프리앰블 전송(T1)에 대해서 사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커버리지 향상(CE) 레벨을 추정한다. eNB가 프리앰블을 검출할 수 있으면, eNB는 협대역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NPDCCH) 및 협대역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NPDSCH)로 이루어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일명, MSG2))을 전송한다. 그 후, UE는 RRC 접속 요청을 위한 협대역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된 채널(NPUSCH) 포맷 1을 전송하는데, 여기서, NPUSCH 전송 타이밍(k0)은 eNB에 의해서 특정된다. 이 다운링크(DL) 채널 품질 리포팅을 지원하는 UE는, Msg3에서 1%의 BLER로 N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해서 요구된 반복의 수의 추정을 리포트할 것이다.
도 1은 MSG3에서 DL 채널 품질 리포트를 리포팅하기 위한 UE 절차를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는, 먼저, T1 동안 DL 캐리어 상에서 기준 신호에 기반해서 NRSRP를 추정하고, 그 다음, 액세스에 대한 요청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협대역 물리적인 랜덤 액세스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T2 동안,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NPDCCH 및 NPDSCH 상에서 정보를 수신하고 DL 채널 품질을 추정한다.
채널 품질을 리포트하기 위해서, UE는, RRC 메시지에 의존해서, 채널 품질 인디케이터-협대역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협대역(CQI-NPDCCH-NB) 및 CQI-NPDCCH-Short-NB를 리포트할 것이다. 테이블 1 및 테이블 2는 각각의 정보 엘리먼트에 대해서 리포트된 값을 나타낸다. UE가 CQI-NPDCCH-NB를 사용해서 채널 품질을 리포트할 때, UE는 1%의 NPDCCH BLER을 달성하는 NPDCCH 반복 레벨을 리포트할 수 있다. UE가 CQI-NPDCCH-Short-NB를 사용해서 리포트할 필요가 있으면, UE는 구성된 Rmax, 최대 가능한 NPDCCH 반복 레벨에 상대적인 NPDCCH 반복 레벨을 리포트한다.
테이블 1: CQI-NPDCCH-NB의 다운링크 채널 품질 측정 리포트 매핑
리포트된 값 NPDCCH 반복 레벨
noMeasurement 측정 리포팅 없음
candidateRep-A 1
candidateRep-B 2
candidateRep-C 3
candidateRep-D 8
candidateRep-E 16
candidateRep-F 32
candidateRep-G 64
candidateRep-H 128
candidateRep-I 256
candidateRep-J 512
candidateRep-K 1024
candidateRep-L 2048
테이블 2: CQI-NPDCCH-Short-NB의 다운링크 채널 품질 측정 리포트
리포트된 값 NPDCCH 반복 레벨
noMeasurements 측정 리포팅 없음
candidateRep-1 Rmax/8 (Note 1)
candidateRep-2 Rmax
candidateRep-3 4×Rmax (Note 2)
노트 1: Rmax가 8 미만이면, cndidateRep-1을 1로 설정.
노트 2: Rmax가 512 초과이면, cndidateRep-3을 2048로 설정.
네트워크는, 리포트된 반복 레벨을 사용해서, RRC 파라미터 "Rmax", 최대 가능한 반복 레벨을 구성하거나, 또는 나중의 접속된 모드에서 가능하게는 RRC 재구성 절차를 트리거한다.
3GPP Rel-16에서는, IDLE 모드에서 비-앵커 캐리어에서 DL 채널 품질 리포트를 도입하는 것에 합의한다. 또한, CONNECTED 모드에서 앵커/비-앵커 캐리어에 DL 채널 품질 리포트를 도입하기로 합의했었다. CONNECTED 모드에서 채널 품질 리포트의 경우, MAC CE는 IDLE 모드의 비-앵커 채널 품질 리포트가 Rel-14와 동일한 Msg3을 사용하더라도, MAC CE는 이를 트리거/리포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CONNECTED 모드에서, UE는 서빙 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서빙 셀의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이 평가에 기반해서, UE는 무선 링크 실패(RLF)를 선언한다. 정상 및 확장된 커버리지에서 동작할 수 있는 NB-IoT의 경우, 아웃-오브-싱크(out-of-sync)에 대한 RLM 평가는 상당히 길게 될 수 있고(예를 들어, 향상된 커버리지에서 4000ms), 무선 링크 실패 타이머 동안 UE에서 N310 연속적인 아웃-오브-싱크 인디케이션이 도달한 후, UE는 무선 링크 실패(RLF)를 선언하고 전송기를 턴 오프한다. 그 다음, UE는 동일 또는 다른 셀 상에서 RRC 재수립 타이머 T311을 시작하고 RRC 재수립을 시도한다. 이 행동의 문제는, NB-IoT UE가 소정의 이웃 셀 측정을 식별하거나 또는 CONNECTED 모드에서 이들에 대한 소정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RLF가 선언되면, RRC 재수립 온(on)을 위한 적합한 셀을 발견하는데 긴 시간이 걸릴 것이고, 이 시간 동안 UE는 NW에 도달할 수 없다.
추가적으로, 이웃 셀 측정은 전력 소비적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핸드휴대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덜 문제가 되지만, 충전 없이 배터리로 동작하도록 상정되는 NB-IoT 같은 IoT 디바이스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정의 불필요한 또는 중복(redundant) 측정/전송은 회피되어야 한다.
더욱이, RLF는 UE가 정적일 때 또는 UE가 이동성일 때도 발생할 수 있다(모바일 사용 케이스의 경우: NB-IoT 디바이스가 고정된 시티 바이크(city bikes) 또는 자산 추적 등). 재수립 절차가 작은 셀 또는 다른 셀 상에서 수행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UE 이동성 상태에 기반해서 분리의 핸들링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핸들링을 식별 및 구별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인접 셀과 관련된 정보로 사전 구성되는 UE에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제1 타입을 트리거함에 따라서, 사전 구성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이웃 셀 상에서 측정을 개시한다. 또한, UE는 그 이벤트를 네트워크 노드에, 예를 들어, 서빙 네트워크(NW), 예를 들어, 제1 NW(NW1)에 리포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측정을 개시하는 것은 동기화 신호(예를 들어,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SSS) 협대역 물리적인 브로드캐스트 채널(NPBCH))에 기반한 셀 식별을 수행 및/또는 기준 신호(예를 들어, NRS, NSSS, NPBCH)에 기반해서 신호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이웃 셀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서 UE를 트리거하는 이벤트의 제1 타입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 절차, 예를 들어, 이벤트 E1과 관련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는 이벤트 E1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이웃 셀 측정을 개시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웃 셀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있는 또는 수행하도록 구성된 UE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제2 타입을 트리거함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셀 상의 진행 중인 측정을 유보 또는 정지 또는 취소한다. UE는, 이벤트 E1에 기반해서 이웃 셀 측정의 시작을 트리거했을 수도 있고 또는 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또한, UE는 그 이벤트를 NW 노드에, 예를 들어, NW1에 리포트할 수 있다. UE가 진행 중인 이웃 셀 측정을 정지하기 위해서 트리거하는 일례의 이벤트는, 무선 링크 모니터링 절차, 예를 들어, 이벤트 E2 또는 RLM 인-싱크 인디케이션과 관련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는 이벤트 E2 또는 인-싱크 인디케이션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이웃 셀 측정을 정지 또는 유보한다.
또한, 이벤트 E1 및 E2는 각각 earlyQout 및 earlyQin 이벤트 또는 향상된 RLM 이벤트로도 상호 교환 가능하게 불린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RLF 이후 새로운 셀들을 더 빨리 검출하고 새로운 셀에 대한 접속을 훨씬 빠르게 수립할 수 있다.
NW는 UE의 RLF를 미리 알 수 있고, NW는 파라미터를 재구성 하는 것 또는 재수립을 기다리는 것과 같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NW는, UE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를 식별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한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UE 전력 소비, UE 복잡성 및 프로세싱을 감소시킨다.
이 메커니즘은 UE가 주기적으로 이웃 셀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셀 변경, 예를 들어, RRC 재-수립을 수행하는 시간은, UE가 이웃 셀 상에서 소정의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때의 경우와 비교해서, 감소된다.
도 2는,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이다. 점선 블록은 옵션이 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방법은: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S101)하는 것;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S102)하는 것,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S103)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은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 하에서 수행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시간 및 전력은 세이브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획득(S104)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성은 이전에 획득될 수 있고, 따라서, 측정에 대한 시간 소비는 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셀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측정의 타입.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전력(RSRP) 임계치;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품질(RSRQ) 임계치; 타깃 셀 RSRP 임계치; 타깃 셀 RSRQ 임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시스템 정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제1 조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동작 모드, 커버리지 레벨, 및 네트워크 커패시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동작 모드, 커버리지 레벨, 및/또는 네트워크 커패시티 하에서, 측정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규칙에 기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의 통신 품질을 결정(S105)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서빙 셀의 통신 품질은, 협대역 기준 신호(NRS);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SSS) 및; 협대역 물리적인 브로드캐스트 채널(NPB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건은 제1 이벤트가 트리거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건은 제1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적어도 제1 주기가 제1 이벤트의 트리거링 이래 경과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타이머 및/또는 제1 카운터는 제1 이벤트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시작되고; 및 제1 주기는 제1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및/또는 제1 카운터가 설정 값에 도달할 때 경과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통신 품질이 제1 임계치 이하일 때 트리거되고; 및 제1 임계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아웃 오브 동기화(out of synchronization)인 것을 표시하는 값 이상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아웃 오브 동기화일 때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아웃 오브 동기화 전에만 수행될 수 있고, 측정에 대한 레이턴시는 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 취소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이벤트는 통신 품질이 제2 임계치 이상일 때 트리거되고, 제2 임계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인 동기화(in synchronization)인 것을 표시하는 값 이상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은, 통신 품질이 복구될 때 취소될 수 있고,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은 더 세이브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적어도 측정의 결과에 기반해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S106)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및 셀 변경 절차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수립; 리디렉션을 갖는 RRC 릴리스; 및 핸드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의 결과는 셀 변경 절차에 대한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는 셀이 더 양호한 통신 품질을 갖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셀이 선택될 수 있고, 셀 변경 절차의 레이턴시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이 수행되는 것에 관한 제1 리포트를 전송(S107)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측정이 수행되는 셀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수행되고 있는 또는 수행되는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조건은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조건은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적어도 제2 주기가 제2 이벤트의 트리거링 이래 경과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타이머 및/또는 제2 카운터는 제2 이벤트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시작되고; 및 제2 주기는 제2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및/또는 제2 카운터가 설정 값에 도달할 때 경과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진행 중인 측정 활동이 완료된 후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진행 중인 측정 활동은: 셀의 검출; 또는 레이어 1 측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 진행 중인 측정이 정지되는 것에 관한 제2 리포트를 전송(S108)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진행 중인 측정이 관련되는 셀; 및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에 관한 정보(수행된 또는 정지된)는 네트워크 노드에 리포트되고, 이에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절차가 시간 및/또는 전력 소비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서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는 통신 패턴 파라미터에 의해서 표시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적이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정적이면,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반복 수(Rmax)는 연장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적인 또는 이동적인 NB-IoT 디바이스는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된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트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S201)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셀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측정의 타입.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전력(RSRP) 임계치;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품질(RSRQ) 임계치; 타깃 셀 RSRP 임계치; 타깃 셀 RSRQ 임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시스템 정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에 관한 구성은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측정에 대한 시간 소비는 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제1 조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동작 모드, 커버리지 레벨, 및 네트워크 커패시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은 규칙(rule)에 기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정이 수행되는 것에 관한 제1 리포트를 수신(S202)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측정이 수행되는 셀;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된 리소스를 감소(S203)시키는 것; 및/또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제1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가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된 리소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S204)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된 측정에 관한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에 리포트되고, 이에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절차가 시간 및/또는 전력 소비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서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을 변경하려는 단말 디바이스는, 리소스의 사용량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재 셀에서 더 적은 통신 리소스로 스케줄될 것이다. 더욱이, 단말 디바이스가 나중에 액세스할 수 있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는, 미리 알려지고 준비될 것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진행 중인 측정이 정지되는 것에 관한 제2 리포트를 수신(S205)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진행 중인 측정이 관련되는 셀; 및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2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서 스케줄된 리소스를 개선(S206)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된 측정에 관한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에 리포트되고, 이에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셀에 머물려는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 셀에서 더 많은 통신 리소스로 스케줄될 것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는 통신 패턴 파라미터에 의해서 표시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적이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이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반복 수(Rmax)는 연장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일부 더 상세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 더 도시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더 일반적인 용어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가 사용되고, 이는, UE와 및/또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NodeB, 마스터 진화된 노드 B(MENB), 2차 eNB(SeNB), 마스터 셀 그룹(MCG) 또는 2차 셀 그룹(SCG)에 속하는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BS), MSR BS와 같은 멀티-표준 무선(MRS) 무선 노드, eNodeB, gNodeB, 네트워크 제어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 릴레이, 도너 노드 제어 릴레이, 기지국 송수신기(BTS), 액세스 포인트(AP),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무선 원격 유닛(RRU), 무선 원격 헤드(RRH), 분산된 안테나 시스템(DAS) 내의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이동 스위칭 센터(MSC), 이동 관리 엔티티(MME) 등), 오퍼레이션 및 메인터넌스(O&M), 동작 지원 시스템(OSS), 자체 구성 네트워크(SON), 포지셔닝 노드(예를 들어,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MDT(Minimization Drive Test) 테스트 장비(물리적 노드 또는 소프트웨어) 등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비제한하는 용어 사용자 장비(UE) 또는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이는, 셀룰러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및/또는 또 다른 UE와 통신하는 소정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로 언급한다. UE의 예는, 타깃 디바이스, D2D(device to device) UE, 머신 타입 UE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이 가능한 U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AD(Portable Device), 태블릿, 이동 단말, 스마트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Universal Serial Bus dongle), ProSe(Proximity-based services) UE, V2V(vehicle to vehicle) UE, V2X(vehicle to everything) UE 등이다.
실시예는 LTE, 예를 들어, MTC 및 NB-IoT에 대해서 설명된다. 그런데, 실시예는, 예를 들어, LTE FDD/TDD(Frequency Division Duplex/Time Division Duplex), WCDMA/HSP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High-Speed Packet Access), GSM/GERAN(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Wi-Fi,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5G(5세대), NR(new radio) 등과 같은 소정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또는 멀티-RAT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데, 여기서, UE는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시간 리소스는, 시간의 길이의 면에서 표현된 소정 타입의 물리적인 리소스 또는 무선 리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시간 리소스의 예는: 심볼, 미니-슬롯, 시간 슬롯, 서브프레임, 무선 프레임, 전송 시간 인터벌(TTI), 짧은 TTI, 인터리빙 시간 등이다.
제1 셀(셀1)에 의해서 서빙된 UE를 포함하는 시나리오. 셀1은 네트워크 노드(NW1),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서 관리 또는 서빙 또는 동작된다. UE는 소정의 셀에 관한, 예를 들어, 셀1에 관한 소정의 커버리지 향상(CE) 레벨에서 동작한다. UE는 적어도 셀1로부터 신호(예를 들어, 페이징, 웨이크 업 서비스(WUS), NPDCCH, NPDCCH, PDSCH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UE는, 셀1 상에서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셀, 예를 들어, 이웃 셀 상에서 하나 이상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을 개시하기 위한 UE에서의 방법이 더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는 무선 링크 모니터링 절차 동안 이웃 셀 측정을 트리거 또는 개시하기 위한 UE에서의 방법을 개시한다. 전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웃 셀을 표시하는 측정 구성을 획득하는 것; DL 링크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서 서빙 셀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 서빙 셀 측정을 사용해서 하나 이상의 RLM 관련된 이벤트를 추정하는 것; 평가 결과에 기반해서 이웃 셀 측정을 개시하는 것; 및 옵션으로,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평가의 결과를 리포팅하는 것.
상기된 UE에서의 방법은, 또한, 무선 링크 모니터링 절차 동안 현재 서빙 셀을 트리거 또는 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유사한 단계는 다시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이웃 셀을 표시하는 측정 구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UE는, 예를 들어, RLM 관련된 이벤트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될 때, UE가 하나 이상의 측정을 수행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이웃 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이 정보는 측정 구성으로 불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가 서치 및 측정하기 위한 캐리어의 세트, UE가 서치 및 측정하기 위한 이웃 셀의 세트 등. 예를 들어, 측정 구성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이 수행되는 이웃 셀의 캐리어 주파수의 식별자(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 수 채널 수, 절대 RF 채널 수(ARFCN), E-UTRA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수(EARFCN) 등), 이웃 셀의 식별자(예를 들어, 물리적인 셀 식별자(PCI), 셀 글로벌 식별자(CGI) 등), 수행되는 측정의 타입(예를 들어, NRSRP, NRSRQ 등) 등.
또한, 구성은, 예를 들어, UE가 서빙 셀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시나리오 또는 모드(예를 들어, 독립형의 모드, 인-밴드 모드, 가드밴드 모드 등), 셀에 관련된 UE의 커버리지 향상 레벨(예를 들어, 정상 커버리지, 향상된 커버리지 등), 네트워크 커패시티(예를 들어, 셀 당 UE의 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팩터에 의존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측정 구성은 네트워크 노드(NW)로부터,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의 시그널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UE에 의해서 획득된다. 이는, 또한, UE에 의해서 요청될 수 있고, 이 경우, NW는 UE의 요청에 응답해서 UE에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측정 구성은,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는 규칙에 기반해서 UE에 의해서 획득된다. 이러한 규칙의 예는 다음을 표시한다: UE의 서빙 셀의 캐리어의 셀을 포함하는 이웃 셀; 및/또는 낮은 활동 상태, 예를 들어, RRC 아이들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등에서 측정을 위해서 구성되었던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셀을 포함하는 이웃 셀. 이러한 캐리어는 인접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오프셋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주파수 캐리어 내에 위치된 모든 가능한 셀이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측정 구성은 통계치 또는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해서 UE에 의해서 획득된다. 예를 들어, 마지막 T0 주기(임의)에서, 예를 들어, 마지막 30분에서, UE가 최근에 측정을 수행한 이웃 셀.
DL 링크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서 서빙 셀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UE)는 서빙 셀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RLM 절차는, UE가 링크의 품질(QL)로서 표시되는 다운링크 링크 품질을 추정하는 것을 요구한다. UE는, 전형적으로, 소정의 주기성으로 소정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앵커 캐리어 상에 있는 NRS 같은 다운링크 기준 심볼 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한편, 이들은 소정의 이벤트(예를 들어, 페이징 중인 UE)에 따라서 비-앵커 캐리어 상에서 전송된다. 전형적으로, NRS 측정은 다운링크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또한, NRSRP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단계가 NRS 신호에 대해 예시되어 있지만, 동일한 방법이 또한 NSSS, NPBCH 같은 다른 타입의 기준 신호에 적용된다. 전형적으로, 측정은 서빙 셀 무선 링크의 신호 대 노이즈 비율을 표시하는 신호 품질(예를 들어,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SINR), 신호 노이즈 비율(SNR), RSRQ 등)이다.
서빙 셀 신호 품질을 사용하는 RLM 이벤트를 평가하기 위해서, UE는 RLM 절차에서 이전 단계로부터의 측정 결과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NPDCCH 전송, PDCCH 전송 등인 가상적인 DL 제어 채널의 X1% 블록 에러 레이트 및 Y1% 블록 에러 레이트(BLER)에 대응하는 2개의 타깃 임계치가 있다. 제1 BLER 타깃(X1%)은 아웃-오브-싱크, 즉, 다운링크 무선 링크가 신뢰할 수 있게 수신될 수 없는 BLER 레벨에 대응한다. 제2 타깃 BLER(Y1%)는 다운링크 무선 링크가 신뢰할 수 있게 수신될 수 있게 수신될 수 있는 BLER 레벨에 대응한다. X1의 예는 가상적인 제어 채널의 10% 블록 에러 레이트에 대응하고, Y1의 예는 가상적인 제어 채널의 2% 블록 에러 레이트에 대응한다. UE는 향상된 RLM 이벤트, 예를 들어, 초기의 Qout(이벤트 E1) 및 초기의 E2(이벤트 E2)를 트리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향상된 RLM 이벤트는, UE가 아웃-오브-싱크 및 인-싱크 검출 전에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트리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벤트 E1은, 신호 품질이 아웃-오브-싱크 임계치에 대응하는 것보다 약간 높을 때 트리거될 수 있다(즉, 실제 OOS 검출 전에 트리거됨). 유사하게, 예를 들어, 이벤트 E2는 신호 품질이 인-싱크 임계치에 대응하는 것보다 약간 높을 때 트리거될 수 있다. 이벤트 E1 및 E2에 대한 RLM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례의 전송 파라미터를 테이블 3에 나타낸다.
테이블 3 UE 카테고리 NB1에 대한 이벤트 E1 및 이벤트 E2에 대한 NPDCCH 전송 파라미터의 예 [3GPP TS 36.133 v16.6.0]
속성 이벤트 E1 이벤트 E2
DCI 포맷 포맷 N1 포맷 N1
정보 비트의 수 23 비트 23 비트
시스템 대역폭 200kHz 200kHz
안테나 구성 2x1 2x1
최대 NPDCCH 반복 레벨 Rmax / 2 Note1 Rmax/8 Note1
애그리게이션 레벨 2 2
DRX OFF OFF
노트 1: Rmax는 구성 가능한 파라미터이다. 이는, 3GPP TS 36.331 v16.1.1에서 규정된 구성 가능한 파라미터 NPDCCH-NumRepetition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4A는 아웃-오브 동기화(Qout)와 인-동기화(Qin)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도 4B는 아웃-오브 동기화(Qout), 인-동기화(Qin), 이벤트1(QE1out), 이벤트2(QE2out)의 관계를 더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가 Qout 임계치 이하일 때, UE는 아웃-오브-동기화이다. UE가 Qin 임계치 이상일 때, UE는 인-동기화이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벤트 E1 및 E2(향상된 RLM 이벤트 모니터링이라고도 함)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UE가 Qout 임계치 초과인 'X' dB일 때 트리거되는 이벤트 E1, 여기서, X는 Qout이 트리거되는 SNR/SINR 값보다 높은 SNR/SINR 값이다(즉, X = QE1out - Qout, 도 4B). 이는, 이벤트 E1(때때로, 초기의 Qout라고도 함)이 기술된 바와 같이 레거시 RLM 절차에서 Qout 이벤트보다 더 초기에 트리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X는 제어 채널의 가상적인 BLER(예를 들어, 머신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MPDCCH), PDCCH, NPDCCH)을 표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벤트는 측정된 또는 추정된 BLER에 기반해서 트리거되며, 이는, 차례로, 기준 신호 측정의 SNR/SINR에 기반한다. 이 경우, X 값은 Qout 이벤트(10%)가 레거시 RLM 절차에서 트리거되는 가상적인 BLER 타깃에 비교해서 더 작게 될 수 있다(예를 들어, 7% 또는 8%).
UE가 Qin 임계치 초과인 'Y' dB일 때 트리거되는 이벤트 E2, 여기서 Y는 Qin이 트리거되는 SNR/SINR 값보다 높은 SNR/SINR 값이다(즉, Y = QE2in - Qin, 도 4B).이는, 이벤트 E2(때때로, 초기의 Qin라고도 함)가 기술된 바와 같이 레거시 RLM 절차에서 Qin 이벤트 후에 트리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Y는 제어 채널의 가상적인 BLER(예를 들어, MPDCCH, PDCCH, NPDCCH)을 표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벤트는 측정된 또는 추정된 BLER에 기반해서 트리거되며, 이는, 차례로, 기준 신호 측정의 SNR/SINR에 기반한다. 이 경우, Y의 값은 Qin 이벤트(2%)가 레거시 RLM 절차에서 트리거되는 가상적인 BLER 타깃에 비교해서 더 작게 될 수 있다(예를 들어, 1%).
네이버 셀 측정을 개시하기 위한 조건은 아래에 기술된다.
평가가 이벤트 E1의 트리거링으로 귀결되면, UE는 그 구성이 더 초기의 단계에서 UE에 의해서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셀에 대해서 측정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이 누락되면, UE는, 신호 강도, 블라인드 서치, 히스토리 정보, ANR(Automatic Neighbor Relation) 정보 등에 기반해서 셀에 대해서 서치함으로써, 이웃 셀 상에서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실제로, 이벤트 E1은, 인-싱크 인디케이션에 비교해서 낮은 신뢰성으로 또는 불량하게 되도록 채널 조건을 시작할 때, 트리거된다. 이는, UE가 서빙 셀의 커버리지 밖으로 이동하고 있거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이격해서 이동하고 있거나, 또는 간섭이 셀 내에서 증가했을 수 있을 때의 경우일 수 있다. 이는, NPDCCH의 가상적인 BLER이 범위 내가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2% ≤ 가상적인 NPDCCH BLER ≤ 10%. 이는, 결국, 무선 링크 실패로 이어지고, 그러므로, 서빙 셀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UE가 이웃 셀 상에서 측정하는 것을 시작하는 장점이 있는데, 이것은 이웃 셀에 대한 RRC 접속의 가능한 재-수립을 위해서 준비하도록 UE를 도울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UE는 이벤트 E1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이웃 셀 측정을 개시한다. 이 접근은, UE가 주기적으로 이웃 셀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회피하고 그러므로, UE 배터리 전력을 세이브하고, UE 복잡성 및 프로세싱을 감소시킨다. UE는, 이벤트 E1을 리포트하기 위해서 또는 나타낸 바와 같이 품질 리포트(QR)에 대한 MAC CE에 기반해서 채널 품질 리포트의 절차를 사용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는 초기의 Qout 이벤트, 예를 들어, E1을 트리거리하는 것에 따라서 즉시 이웃 셀 측정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UE는 이벤트 E1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이웃 셀 측정을 시작한다. 이웃 셀의 측정은 NB-IoT 같은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소비가 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불필요한 또는 중복(redundant) 측정이 회피되어야 한다. E1 이벤트에 링크된 타이머를 갖는 것은, 측정이 필요할 때만 시작되는 것을 보장하는 추가적인 메커니즘이다. 타이머 값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사전 규정될 수 있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는,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될 때, 리셋될 수 있다(예를 들어, 소정 값으로 초기화됨,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됨). 이러한 조건의 예는: 인-싱크의 M1 수를 검출함에 따라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예를 들어, SNR, SINR 등)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크게 될 때, 이벤트(예를 들어, 이벤트 E2)를 트리거함에 따라서, RLF 타이머가 정지 또는 리셋될 때(예를 들어, T310이 정지되는 등)이다.
이벤트 E1을 트리거함에 따라서 또는 이벤트 E1이 뒤따르는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UE는 하나 이상의 이웃 셀 상에서 측정을 시작한다. 측정은 셀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신호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가 측정을 위해 구성된 캐리어 상에서 소정의 셀을 검출할 수 없으면, UE는 셀 선택, 예를 들어, 소정의 캐리어 상의 소정의 셀의 검출, 셀 선택을 위해서 사전 구성된 캐리어 상에서 셀의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이웃 셀로의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해서 측정 결과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셀 변경의 예는 RRC 접속 재-수립, 리디렉션으로 RRC 릴리스, 핸드오버 등이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UE는 Qout(out-of-sync) 조건이 충족될 때 하나 이상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시작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Qout 인디케이션에 따라서, UE는 타이머를 시작하고 그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이웃 셀 측정을 시작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Qout 인디케이션에 따라서, OOS(out-of-sync) 인디케이션의 K1 수 후 이웃 셀 측정을 시작한다(예를 들어, 카운터가 이 수를 카운트하기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옵션으로, NW 노드에 측정을 트리거하는 평가의 결과를 리포팅하기 위해서, UE는 이것이 이웃 셀 측정을 개시한(초기화한) 것을 네트워크 노드에 더 알릴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정보는 이것이 측정을 개시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정보는 이것이 측정을 개시한 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을 트리거한 이벤트(예를 들어, 이벤트 E1)의 결과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해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태스크의 예는: UE에 신호의 스케줄링을 적응하는 것, UE의 잠재적인 새로운 서빙 셀이 될 수 있는 이웃 셀에 UE 콘텍스트를 전송하는 것 또는 전송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NW는 리소스의 선택적인 스케줄링을 위해서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W 노드는, UE가 이웃 셀 측정을 행하고 있는 동안 서빙 셀에서 소정의 듀티 사이클 이하로(시간 리소스의 X% 이하) UE를 스케줄할 수 있다. X의 값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사전 규정될 수 있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이는, UE 전력 소비 및 복잡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는, 또한, UE가 이웃 셀로 RRC 재-수립을 해야하는 경우,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것이다.
더욱이, 진행 중인 이웃 셀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UE에서의 방법이 도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이것이 하나 이상의 셀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향상된 RLM 이벤트에 기반해서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한다.
진행 중인 이웃 셀 측정을 결정하기 위해서, UE는, UE가 하나 이상의 이웃 셀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있는지 또는 수행하려고 하는지를 결정한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UE는, 이웃 셀 측정의 시작으로 귀결된 조건 또는 기준의 트리거링에 기반해서 이를 결정한다. 이러한 조건의 예는, 이벤트 E1,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예를 들어, RLF 타이머의 만료), RLF 타이머의 시작, OOS 검출의 M2 수, 서빙 셀의 신호 레벨(예를 들어, NRSRP, NRSRQ, CQI 등)이 소정의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등이다. 조건의 트리거링과 이웃 셀 측정의 시작 사이의 관계는 규칙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는 새로운 셀, 예를 들어, 이웃 셀을 검출함에 따라서 이를 결정한다.
평가 결과에 기반해서 이웃 셀 측정을 정지하기 위해서, 이웃 셀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조건이 아래에 기술된다.
이웃 셀 측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및, 이에 의해서, UE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서빙 셀의 무선 조건이 개선되었을 때, 이들 측정을 정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평가가 이벤트 E2의 트리거링으로 귀결되었으면, UE는 이웃 셀 측정을 정지한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이벤트 E2가 트리거될 때 UE는 모든 진행 중인 측정 활동(예를 들어, 샘플의 필터링, 샘플의 수집)을 즉시 정지, 취소, 유보 또는 연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는 진행 중인 측정 활동을 완료하고, 그 후, 측정을 정지, 취소, 유보 또는 연기한다. 예를 들어, UE는 셀의 검출을 완료할 수 있고, 그 후, 이는, 측정을 정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는 검출된 셀의 L1 측정을 완료할 수 있고, 그 후, 이는, 측정을 정지할 수 있다. L1 측정의 예는 신호 강도(예를 들어, NRSRP), 신호 품질(예를 들어, NRSRQ) 등이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는 이벤트 E2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이웃 셀 측정을 정지, 취소, 유보 또는 연기한다. 타이머의 값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사전 규정될 수 있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의 사용은, UE가 이웃 셀 상에서 측정을 측정을 수행하는 것과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 사이의 빈번한 스위칭을 회피함으로써 핑 퐁 효과를 방지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UE가 Qin(인-싱크) 조건을 이행한 것으로 평가가 귀결되었으면, UE는 이웃 셀 측정을 정지한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인-싱크가 트리거될 때, UE는 모든 진행 중인 측정 활동(예를 들어, 샘플의 필터링, 샘플의 수집)을 즉시 정지, 취소, 유보 또는 연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인-싱크 인디케이션의 K2 수 후, UE는 모든 이웃 셀 측정 활동을 정지, 취소, 유보 또는 연기할 수 있다(예를 들어, 카운터가 사용될 수 있음).
실제로, 이벤트 E2는, UE가 서빙 셀을 향해서 양호한 커버리지 하에서 동작하고 있고(예를 들어, 높은 SNR), UE가 아웃-오브-싱크 또는 초기의 Qout을 검출할 때의 시나리오와 비교해서 더 높은 신뢰성으로 제어 채널을 UE가 수신할 수 있을 때, 트리거된다. 이는, UE가,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더 근접한 개선된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또는 셀 내의 간섭 레벨이 감소되었을 때의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채널(예를 들어, NPDCCH)의 가상적인 BLER은 이벤트 E1(초기의 Qout)이 트리거될 때보다 낮게 될 수 있다.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는, 채널 품질 리포트의 절차를 사용해서, 이벤트 E1을 리포트하거나 또는 QR에 대해서 MAC CE에 기반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이웃 셀 측정 활동을 정지하는 것은, 측정 성능이 유지되는 동안 UE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이는, 차례로, UE 배터리 전력 및 UE의 복잡성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이동성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5는 다운링크 채널 품질 리포트(DCQR) 및 액세스 스트레이텀 릴리스 어시스턴스 인디케이션 매체 액세스 제어(AS RAI MAC; Access Stratum Release Assistance Indication 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이다.
옵션으로,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평가의 결과를 리포팅하기 위해서, UE는 이것이 진행 중인 이웃 셀 측정을 정지 또는 취소 또는 유보 또는 연기 또는 지연한 것을 네트워크 노드에 더 알릴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정보는 이것이 측정을 정지 또는 유보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정보는 이것이 측정을 정지 또는 유보한 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의 정지 또는 유보를 트리거한 이벤트(예를 들어, 이벤트 E2)의 결과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해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태스크의 예는: UE에 대한 신호의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것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NW는 소정의 리소스의 스케줄링을 위해서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W 노드는 소정의 제한없이, 예를 들어, 서빙 셀 내의 소정의 시간 리소스에서 UE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 CE에서 사용 가능한 2개의 예약된 비트가 있다. QR 대신; earlyQin/Qout이 사용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R(예약된) 비트 중 하나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따라서, 이는 16개의 코드 포인트를 제공한다.
테이블 4에서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QR 및 또한 이벤트 E1/E2 인디케이션에 대해서 대안이 사용된다. 테이블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에 사용될 수 있는 사용 가능한 4개의 코드 포인트가 있다.
테이블 4: EarlyQout/Qin 이벤트(E1/E2)에 대한 값
코드포인트/인덱스
00 EarlyQout/Qin 정보 없음
01 정적인 UE 이벤트 E1/E2
10 이동 UE 이벤트 E1/E2
11 예약된
제1 시간의 경우; 이는 UE가 통지하는 이벤트 E1이고; 더욱이, UE는 이것이 정적 또는 이동 UE인지를 알릴 수 있다. 제2 시간의 경우, UE가 E2(또는 인-싱크)를 충족하면, UE는, 이를 NW에 리포트한다. 정적/이동 UE 차별화는, 또한, UE 가입 정보에 기반해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UE가 정적/이동의 인디케이션 없이 이벤트만을 알리도록 UE 리포팅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입-기반 정보가 아래에 제공된다.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개시에 통합되는 TS 23.682 V16.6.0에서, 정적인 인디케이션에 대한 가입-기반 정보는 아래와 같이 특정된다.
"통신 패턴 파라미터 제공 절차"와 "통신 패턴 파라미터"에 관해서, 통신 패턴(CP) 파라미터의 세트가 아래의 테이블에서 규정된다. 모든 CP 파라미터는 옵션이다.
이들 CP 파라미터는 UE 또는 UE의 그룹에 대해서 특정된다. 이들 CP 파라미터의 세트는 SCEF에 의해서 HSS로 제공되는데, HSS는 이들을 관련 가입자 데이터와 함께 대응하는 MME에 분배한다. MME는, 파라미터를 사용하기 전에, CP 파라미터의 세트를 고려한다(예를 들어, 다수의 세트가 존재하면, CP 파라미터 당 병합함으로써). 각각의 CP 파라미터 세트는 관련된 유효성 시간을 가질 것이다. 유효성 시간은, CP 파라미터 세트가 만료되고 HSS/MME에 의해서 삭제될 때를 표시한다. 유효성 시간은 특별한 CP 파라미터 세트가 만료 시간을 갖지 않는 것을 표시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유효성 시간이 만료할 때, 포함된 노드(SCEF, HSS, 및 MME)는 포함된 노드들 사이의 추가적인 시그널링 없이 관련된 CP 파라미터를 자율적으로 삭제한다.
노트: 스테이지 3에 의해서 규정되는 유효성 시간의 포맷이, SCEF, HSS, MME/SGSN이 관련된 CP 파라미터 세트의 만료를 일관되게 및 균일하게 해석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규정되는 것이 기대된다.
테이블 5.10.1-1: CP 파라미터(TS 23.682 V16.6.0의)
CP 파라미터 설명
1) 주기적 통신 인디케이터 UE가 주기적으로 통신하는지 여부를 식별, 예를 들어, 온 디맨드(On-Demand)만).[옵션]
2) 통신 지속 기간 시간 주기적 통신의 지속 기간 시간 [옵션, 1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예: 5분
3) 주기적 시간 주기적 통신의 인터벌 시간 [옵션, 1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
예: 매 시간
4) 스케줄된 통신 시간 UE가 통신을 위해서 사용 가능한 주의 시간 존 및 요일(Day) [옵션]
예: 시간: 13: 00-20: 00, 요일: 월요일
5) 정적인 인디케이션 UE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를 식별 [옵션]
6)     배터리 인디케이션 UE에 대한 전력 소비 중요도를 식별: UE가 재충전 가능하지 않은/대체 가능하지 않은 배터리로 충전된 배터리이면, 재충전 가능한/대체 가능한 배터리로 충전된 배터리이면, 또는 충전된 배터리가 아니면.[옵션]
도 6은 다른 타입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의 분리의 액션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이다.
정적인 것과 이동 UE 사이의 이러한 구별에 기반해서, eNB는 분리의 액션을 취한다.
예를 들어, 정적인 경우, 서빙 셀 Rmax는 연장/확장될 수 있고, 이동 UE에 대해서 이웃 셀 측정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웃 셀 측정을 위한 이웃 셀 파라미터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주파수 EARFCN, 잠재적인 이웃 셀;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전 소스 셀 RSRP 임계치; 소스 셀 또는 절대 값에 비교된 타깃 셀 RSRP 임계치 마진; 잠재적인 타깃 셀의 시스템 정보. 이러한 정보와 함께, 이웃 셀 측정이 더 빨리 수행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적합한 예시적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실시하기 위해서 적합한 예시적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프로세서(101)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고;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하도록 동작한다.
더욱이, 단말 디바이스(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중 소정의 것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동작될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21)는: 프로세서(201); 및 메모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2)는 프로세서(201)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노드(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중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동작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 201)는 소정 종류의 프로세싱 컴포넌트가 될 수 있는데, 이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특별한-목적의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 202)는 ROM(read-only memory), 랜덤-액세스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광학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소정 종류의 스토리지 컴포넌트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700) 또는 소정의 다른 종류의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중 소정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701)을 저장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 개시는,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중 하나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는, 예를 들어, 광학 콤팩트 디스크 또는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ROM(리드 온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마그네틱 테이프, CD-ROM,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전자적인 메모리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위한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1)는: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8101);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유닛(8102),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정지 유닛(8103)을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된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한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2)는,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82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된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한다.
용어 '유닛'은 전자, 전기 디바이스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의미하는 것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 디바이스, 모듈, 프로세서, 메모리, 로직 고체 상태 및/또는 이산 디바이스, 본 개시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각각의 태스크, 절차, 컴퓨테이션,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및/또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유닛과 함께, 단말 디바이스(1) 및 네트워크 노드(2)는 고정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고, 소정의 컴퓨팅 리소스 및 스토리지 리소스는 통신 시스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디바이스/엔티티/장치로부터 배열될 수 있다. 가상화 기술 및 네트워크 컴퓨팅 기술(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이 더 도입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 리소스의 사용 효율 및 네트워크의 유연성을 개선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로 기술된 대응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는 종래 기술의 수단만 아니라 실시예로 기술된 대응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이는 각각의 분리 기능을 위한 분리 수단 또는 2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은 하드웨어(하나 이상의 장치), 펌웨어(하나 이상의 장치), 소프트웨어(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구현은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을 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이들 기능 유닛은, 전용의 하드웨어 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서, 전용의 하드웨어 상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인스턴스로서, 또는 적합한 플랫폼, 예를 들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상에서 인스턴트화된 가상화된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특히, NB-IoT를 위한 이웃 셀 측정을 적응해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단락 276
54]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가 소정의 적합한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소정의 적합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예의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해서 기술된다. 단순화를 위해서, 도 10의 무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1006), 네트워크 노드(1060 및 1060b)(네트워크 노드(2)에 대응) 및 WD(1010, 1010b, 및 1010c)(단말 디바이스(1)에 대응)만을 묘사한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의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랜드라인 전화기,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엔드 디바이스와 같은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적합한 소정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포넌트 중, 네트워크 노드(1060) 및 무선 디바이스(WD)(1010)가 더 상세히 도시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한 또는 이를 통해서 제공된 서비스의 사용 및/또는 이에 대한 무선 디바바이스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및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타입의 통신, 전기 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 및/또는 이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 표준 또는 다른 타입의 사전 규정된 규칙 또는 절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실시예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범용 이동 전기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롱 텀 에볼루션(LTE) 및/또는 다른 적합한 2G, 3G, 4G, 또는 5G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 IEEE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표준, 및/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블루투스 Z-웨이브(Wave) 및/또는 지그비(ZigBee) 표준과 같은 소정의 다른 적합한 무선 통신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1006)는 하나 이상의 백홀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 및 WD(1010)는 이하 더 상세히 기술된 다양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함께 작업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제어기, 무선 디바이스, 중계국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한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이에 참가할 수 있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관리)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와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장비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장비를 언급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액세스 포인트(AP)(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BS)(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B) 및 NR 노드B(gNB))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이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또는, 달리 말하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에 기반해서 분류될 수 있고, 그러면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으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릴레이 노드 또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도너 노드가 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화된 디지털 유닛 및/또는 때때로 RRH(Remote Radio Head)로도 언급되는 RRU(Remote Radio Unit)와 같은 분배된 무선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또는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 무선 유닛은, 안테나 통합된 무선(antenna integrated radio)으로서 안테나와 통합되거나 또는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분배된 무선 기지국의 부분은 분배된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에서 노드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또 다른 예는, MSR BS와 같은 다중 표준 무선(MSR) 장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 기지국 송수신기(BTS),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다중-셀/멀티캐스트 코디네이션 엔티티(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SC, MME), O&M 노드, OSS 노드, SON 노드, 포지셔닝 노드(예를 들어, E-SMLC) 및/또는 MD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아래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가상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그런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액세스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무선 디바이스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제공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소정의 적합한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의 그룹)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1060)는 처리 회로(1070),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 인터페이스(1090), 보조 장비(1084), 전력 소스(1086), 전력 회로(1087), 및 안테나(1062)를 포함한다. 도 10의 예의 무선 네트워크 내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1060)가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도시된 조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음에도, 다른 실시예는 다른 조합의 컴포넌트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본 개시에 개시된 태스크, 형태(features), 기능 및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소정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노드(1060)의 컴포넌트가 더 큰 박스 내에 위치된, 또는 다수의 박스 내에 안착된 단일 박스로서 묘사되지만, 실재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도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다른 물리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는 다수의 분리의 하드 드라이브만 아니라 다수의 RA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1060)는, 각각이 그들 자체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는, 다수의 물리적인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노드B 컴포넌트 및 RNC 컴포넌트, BTS 컴포넌트 및 BSC 컴포넌트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가 다수의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BTS 및 BSC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소정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리의 컴포넌트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 중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RNC는 다수의 Node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고유 NodeB 및 RNC 쌍은 단일의 별개의 네트워크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1060)는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는 듀플리케이트될 수 있고(예를 들어, 다른 RAT에 대해서 분리의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 일부 컴포넌트는 재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1062)가 RAT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는, 또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1060) 내에 통합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다양한 도시된 컴포넌트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및 네트워크 노드(1060) 내에서 다른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다.
처리 회로(10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하는, 계산하는,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1070)에 의해 수행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 내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107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을 한다.
처리 회로(107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컴퓨팅 디바이스, 리소스, 또는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1060) 컴포넌트 단독으로 또는 이와 함께 네트워크 노드(1060)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070)는,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 또는 처리 회로(107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논의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기능, 또는 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070)는 시스템 온 어 칩(SOC: system on a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07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0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0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74)는 분리의 칩(또는 칩의 세트), 보드(boards), 또는 무선 유닛 및 디지털 유닛과 같은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10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74)는 동일한 칩 또는 세트의 칩, 보드(board), 또는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eNB 또는 다른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 또는 처리 회로(1070) 내의 메모리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107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은 분리의 또는 이산된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107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 하던지, 처리 회로(1070)는 상기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1070) 단독 또는 네트워크 노드(106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체로서 네트워크 노드(106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는, 제한 없이, 영구 스토리지, 고체 상태 메모리, 원격 탑재된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CD(Compact Disk)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및/또는 처리 회로(10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107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및, 네트워크 노드(1060)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는 처리 회로(1070)에 의해서 이루어진 소정의 계산 및/또는 인터페이스(1090)를 통해서 수신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070) 및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8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90)는, 네트워크 노드(1060), 네트워크(1006) 및/또는 WD(1010) 사이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90)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예를 들어, 유선 접속을 통해서 네트워크(1006)에 송신 및 이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포트(들)/단말(들)(109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090)는, 또한, 안테나(1062)에 결합될 수 있는, 또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 부분이 될 수 있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필터(1098) 및 증폭기(109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안테나(1062) 및 처리 회로(1070)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는 안테나(1062)와 처리 회로(107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어야 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필터(1098) 및/또는 증폭기(1096)의 조합을 사용해서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그 다음, 무선 신호는 안테나(1062)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062)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1070)로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1060)는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대신, 처리 회로(107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 없이 안테나(1062)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또는 일부 RF 송수신기 회로(1072)는 인터페이스(1090)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1090)는 무선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단말(1094),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 및 RF 송수신기 회로(1072)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1090)는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74)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이다.
안테나(1062)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062)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0)에 결합될 수 있고,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1062)는, 예를 들어, 2 GHz와 66 GHz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방향의,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성 안테나는 소정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정 영역 내에서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패널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사용은 MIMO로서 언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1062)는 네트워크 노드(106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네트워크 노드(106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1062), 인터페이스(1090), 및/또는 처리 회로(10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동작 및/또는 소정의 획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테나(1062), 인터페이스(1090), 및/또는 처리 회로(10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 전송될 수 있다.
전력 회로(1087)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 또는 이에 결합될 수 있고,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으로 네트워크 노드(1060)의 컴포넌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회로(1087)는 전력 소스(1086)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소스(1086) 및/또는 전력 회로(1087)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적합한 형태로(예를 들어,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필요한 전압 및 전류 레벨에서) 네트워크 노드(106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소스(1086)는 전력 회로(1087)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060)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60)는 입력 회로 또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에 접속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 전력 소스는 전력을 전력 회로(1087)에 공급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력 소스(1086)는 전력 회로(1087)에 접속된 또는 이것 내에 통합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 형태의 전력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외부 전력 소스 실패시 백업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광전지의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에서 기술된 소정의 기능성 및/또는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를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기능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소정의 측면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는 도 10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60)는, 네트워크 노드(1060) 내로의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고 네트워크 노드(1060)로부터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노드(1060)에 대한 진단, 메인터넌스, 수리, 및 다른 관리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WD: wireless device)"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를 언급한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WD는 사용자 장비(UE)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파, 무선파, 적외선의 파, 및/또는 에어를 통해서 정보를 운반하기 적합한 다른 타입의 신호를 사용해서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D는, 직접적인 휴먼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D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해서, 트리거될 때, 사전 결정된 스케줄 상에서 네트워크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WD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스마트 폰, 모바일 폰, 셀 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데스크탑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PDA), 무선 카메라, 게이밍 콘솔 또는 디바이스, 뮤직 스토리지 디바이스, 재생 기기, 웨어러블 단말 디바이스,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태블릿, 랩탑, 랩탑 매립된 장비(LEE), 랩탑 탑재된 장비(LME), 스마트 디바이스, 무선 고객 구내 장비(CPE), 차량-탑재된 무선 단말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WD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써 D2D(device-to-device) 통신,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X(vehicle-to-everything)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경우, D2D 통신 디바이스로서 언급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예로서, IoT(internet of Things)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및, 이러한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의 결과를 또 다른 WD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하는 머신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WD는, 이 경우,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가 될 수 있고, 이는, 3GPP 콘텍스트에서 MTC 디바이스로서 언급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한 예로서, WD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머신 또는 디바이스의 특별한 예는, 센서, 전력 미터와 같은 미터링 장치, 산업 기계, 또는,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텔레비전 등의), 퍼스널 웨어러블(예를 들어, 시계,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 등)이다. 다른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그 동작 상태 또는 그 동작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모니터링 및/또는 리포팅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무선 접속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디바이스는 무선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이동(mobile; 모바일)일 수 있고, 이 경우, 이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또는 이동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010)는 안테나(1011), 인터페이스(1014), 처리 회로(1020),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 보조 장비(1034), 전력 소스(1036) 및 전력 회로(1037)를 포함한다. WD(1010)는, 소수만을 언급해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WiMAX,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WD(1010)에 의해서 지원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도시된 컴포넌트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WD(1010) 내의 다른 컴포넌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안테나(1011)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인터페이스(1014)에 접속된다. 소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1011)는 WD(10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WD(101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1011), 인터페이스(1014), 및/또는 처리 회로(10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WD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및/또는 안테나(1011)는 인터페이스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14)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 및 안테나(1011)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하나 이상의 필터(1018) 및 증폭기(101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4)는 안테나(1011) 및 처리 회로(1020)에 접속되고, 안테나(1011)와 처리 회로(1020) 사이에서 통신된 신호를 컨디셔닝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안테나(1011) 또는 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D(101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처리 회로(102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011)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1022)는 인터페이스(1014)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어야 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필터(1018) 및/또는 증폭기(1016)의 조합을 사용해서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그 다음, 무선 신호는 안테나(1011)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011)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1020)로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10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조합, 리소스, 또는 단독으로 또는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30)와 같은 다른 WD(1010) 컴포넌트와 함께 WD(1010)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논의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또는 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020)는, 본 개시에 개시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30) 또는 처리 회로(102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1020)는 하나 이상의 RF 송수신기 회로(10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02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1010)의 처리 회로(1020)는 SO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0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026)의 일부 또는 모두는 하나의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1022)는 분리의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24)의 일부 또는 모두는 동일한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0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026)의 일부 또는 모두는 동일한 칩 세트 또는 칩의 세트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는 인터페이스(1014)의 부분이 될 수 있다. RF 송수신기 회로(1022)는 처리 회로(1020)에 대한 RF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에 의해서 제공되는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가 될 수 있는,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30)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10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이 분리의 또는 이산된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102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 하던지, 처리 회로(1020)는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1020) 단독 또는 WD(101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로서 WD(101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처리 회로(10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하는, 계산하는,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1020)에 의해 수행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WD(1010)에 의해서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102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을 한다.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3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알고리즘,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30)는,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CD(Compact Disk) 또는 DVD), 및/또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처리 회로(10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020) 및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103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휴먼 사용자가 WD(1010)와 상호 작용하도록 허용하는 컴포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같은 많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사용자에 대한 출력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WD(1010)에 대한 입력을 제공하게 허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호 작용의 타입은 WD(1010) 내에 인스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의 타입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D(1010)가 스마트폰이면, 상호 작용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될 수 있고; WD(1010)가 스마트 미터이면, 상호 작용은 사용량(예를 들어, 사용된 갤런 수)을 제공하는 스크린 또는 가청 경보(예를 들어, 스모크가 검출되면)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통해서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입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WD(1010) 내로의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회로(1020)가 입력 정보를 처리하게 허용하도록 처리 회로(1020)에 접속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근접 또는 다른 센서, 키/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다른 입력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또한, WD(101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고, 처리 회로(1020)가 WD(1010)로부터 정보를 출력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바이브레이팅 회로, USB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의,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를 사용해서, WD(1010)는 엔드 사용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이들이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으로부터 이익을 갖도록 허용한다.
보조 장비(1034)는, 일반적으로, WD에 의해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더 특정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측정을 행하기 위한 특화된 센서, 유선 통신과 같은 추가적인 타입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비(1034)의 컴포넌트의 포함 및 타입은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전력 소스(1036)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 광전지의 디바이스 또는 전력 셀과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WD(1010)는, 본 개시에 기술된 또는 표시된 소정의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 소스(1036)로부터 전력을 필요로 하는 WD(1010)의 다양한 부분으로 전력 소스(1036)로부터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 회로(10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WD(1010)는 입력 회로 또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전기 출구와 같은)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 소스(1036)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1036)의 차징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전력이 공급되는 WD(1010)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적합한 전력을 만들기 위해서, 전력 소스(1036)로부터의 전력에 대한 소정의 포맷팅, 변환, 또는 다른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측면에 따른 UE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관련 디바이스를 소유 및/또는 동작하는 휴먼 사용자의 의미에서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그 대신, UE는, 특정 휴먼 사용자와 관련될 수 없거나 또는 초기에 관련될 수 없지만, 휴먼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의도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스프링쿨러 제어기)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사용자의 이익과 관련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위해서 동작될 수 있지만, 엔드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의도하지 않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전력 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UE(1100)는, NB-IoT UE, 머신 타입 통신(MTC) UE, 및/또는 향상된 MTC(eMTC) UE를 포함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서 식별된 소정의 UE가 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00)는, 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과 같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서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서 통신을 위해서 구성된 하나의 예의 WD이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어 WD 및 UE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가 UE임에도, 본 개시에 기술된 컴포넌트는 WD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반대도 가능하다.
도 11에 있어서, UE(1100)는, 인터페이스(1105),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1109),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111),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7), 리드-온리 메모리(ROM)(1119), 및 스토리지 매체(112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1115), 통신 서브시스템(1131), 전력 소스(1133), 및/또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에 입력/출력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1101)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매체(11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25), 및 데이터(112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1121)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UE는 도 11에 나타낸 모든 컴포넌트, 또는 서브세트의 컴포넌트만을 활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합의 레벨은 하나의 UE로부터 또 다른 UE로 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소정의 UE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전송기, 수신기 등과 같은 다수의 예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처리 회로(1101)는 컴퓨터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11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구현된 상태 머신(예를 들어, 이산 로직, FPGA, ASIC 등)과 같은 메모리 내에 머신 판독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 머신 명령; 적합한 펌웨어와 함께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하나 이상의 저장된 프로그램, 적합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일반 목적 프로세서; 또는 상기 소정의 조합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순차적인 상태 머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101)는 2개의 중앙 처리 유닛(CPU)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적합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는,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또는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1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를 통해서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입력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E(1100)에 대한 입력 및 이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액추에이터, 에미터, 스마트카드, 또 다른 출력 디바이스,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UE(1100)는, 사용자가 UE(1100) 내에 정보를 캡처하게 허용하기 위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를 통해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터치 민감한 또는 존재 민감한 디스플레이, 카메라(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등), 마이크로폰, 센서,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패드, 스크롤 휠, 스마트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 검출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해서 용량성 또는 저항성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틸트(tilt) 센서, 포스(force) 센서, 자력계, 광학 센서, 근접 센서, 다른 유사 센서,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광학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RF 인터페이스(1109)는 전송기(송신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컴포넌트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111)는 네트워크(1143a)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143a)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43a)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111)는, 이더넷(Ethernet), TCP/IP, SONET, ATM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수신기 및 전송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1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예를 들어, 광학, 전기적 등)에 적합한 수신기 및 전송기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은 회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RAM(1117)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의 스토리지 또는 캐싱을 제공하기 위해서 처리 회로(1101)에 버스(1102)를 통해서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OM(11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 회로(11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1119)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의 키스트로크의 기본 입력 및 출력(I/O), 스타트업, 또는 수신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에 대한 불변의 낮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121)는 RAM, ROM,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EEPROM), 마그네틱 디스크, 광학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 내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11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2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위젯 또는 가젯 엔진 또는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25), 및 데이터 파일(11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121)는, UE(1100)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소정의 다양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121)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USB 플래시 드라이브,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thumb) 드라이브, 펜 드라이브, 키 드라이브, HD-DVD(high-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광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Blu-Ray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HDDS) 광 디스크 드라이브, 외부 DIMM(mini-dual in-line memory module), 동기의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외부 마이크로-DIMM SDRAM, 구독자 아이덴티티 모듈 또는 제거 가능한 사용자 아이덴티티(SIM/RUIM) 모듈과 같은 스마트카드 메모리, 다른 메모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인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121)는, UE(1100)가, 데이터를 오프로드, 또는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해서, 일시적인 또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제품은, 스토리지 매체(1121) 내에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디바이스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처리 회로(1101)는 통신 서브시스템(1131)을 사용해서 네트워크(11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143a) 및 네트워크(1143b)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이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네트워크(1143b)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IEEE 802.11, CDMA, WCDMA, GSM, LTE, UTRAN, WiMax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또 다른 WD, UE,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또 다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원격 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RAN 링크(예를 들어, 주파수 할당 같은)에 적합한, 전송기 또는 수신기 기능성 각각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송기(1133) 및/또는 수신기(1135)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송수신기의 전송기(1133) 및 수신기(1135)는 회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113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보이스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블루투스, 니어-필드 통신과 같은 단거리 통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사용과 같은 위치 기반 통신, 또 다른 유사 통신 기능,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셀룰러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GPS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43b)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43b)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및/또는 니어 필드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전력 소스(1113)는 UE(1100)의 컴포넌트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UE(1100)의 하나의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UE(1100)의 다수의 컴포넌트를 가로질러 파티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소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처리 회로(1101)는 버스(1102)를 통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는, 처리 회로(1101)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기능성은 처리 회로(1101)와 통신 서브시스템(1131) 사이에서 파티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비계산적으로 집중적인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계산적으로 집중적인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될 수 있는 가상화 환경(120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화는, 가상화 하드웨어 플랫폼, 스토리지 디바이스 및 네트워킹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가상의 버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가상화는 노드(예를 들어, 가상화 기지국 또는 가상화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UE, 무선 디바이스 또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 컴포넌트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처리 노드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기능, 가상의 머신 또는 컨테이너를 통해서) 기능성의 적어도 부분이 하나 이상의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되는 구현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노드(1230)에 의해서 호스팅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환경(1200)에서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에 의해서 실행된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가상의 노드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아닌 또는 무선 접속성을 요구하지 않는 실시예에 있어서(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노드는 전적으로 가상화될 수 있다.
기능은, 일부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의 일부 형태, 기능, 및/또는 이익을 구현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220)(이는,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인스턴스, 가상의 기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의 노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 등으로 불릴 수 있다)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20)은 처리 회로(1260) 및 메모리(129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1230)를 제공하는 가상화 환경(1200)에서 구동한다. 메모리(1290)는, 이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1220)이 본 개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처리 회로(12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1295)을 포함한다.
가상화 환경(1200)은, 세트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회로(1260)를 포함하는 일반 목적 또는 특별한 목적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디바이스(1230)를 포함하는데, 이 디바이스는, COTS(commercial off-the-shelf) 프로세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ASIC), 또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처리 회로가 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1260)에 의해서 실행된 명령(1295) 또는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지속적인 메모리가 될 수 있는 메모리(129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서도 공지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1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또한, 내부에 처리 회로(12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295)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지속적인, 머신-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1290-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1295)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 레이어(1250)(또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로서 언급된)를 예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소정의 타입의 소프트웨어, 가상의 머신(1240)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만 아니라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된 기능, 형태 및/또는 이익을 실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머신(1240)은, 가상의 처리, 가상의 메모리, 가상의 네트워킹 또는 인터페이스 및 가상의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가상화 레이어(1250) 또는 하이퍼바이저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가상의 기기(1220)의 예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1240) 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구현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작 동안, 처리 회로(1260)는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화 레이어(1250)를 예시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1295)를 실행하는데, 가상화 레이어는, 때때로, 가상의 머신 모니터(VMM: virtual machine monitor)로서 언급될 수 있다. 가상화 레이어(1250)는 가상의 머신(1240)에 대한 네트워킹 하드웨어 같이 보이는 가상의 오퍼레이팅 플랫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웨어(1230)는 일반적인 또는 특정 컴포넌트를 갖는 독립형의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하드웨어(1230)는 안테나(12225)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화를 통해서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드웨어(1230)는 하드웨어의 더 큰 클러스터의 부분이 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 또는 고객 구내 장비(CPE)에서와 같이), 여기서 많은 하드웨어 노드는 함께 작업하고,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MANO)(12100)을 통해서 관리되고, 이는, 다른 것 중에서, 애플리케이션(1220)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감독한다.
하드웨어의 가상화는, 일부 콘텍스트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로서 언급된다. NFV는, 데이터 센터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및 고객 구내 장비가 될 수 있는, 산업 표준 대용량 서버 하드웨어, 물리적인 스위치, 및 물리적인 스토리지 상에 많은 네트워크 장비 타입을 통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머신(1240)은, 이들이 물리적인, 비가상화 머신 상에서 실행되었던 것 같이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물리적인 머신의 소프트웨어 구현이 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의 머신(1240), 및 가상 머신을 실행하는 하드웨어(1230)의 부분은, 그 가상의 머신에 전용인 하드웨어 및/또는 그 가상 머신에 의해서 다른 가상의 머신(1240)과 공유된 하드웨어이면, 분리의 가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VNE)를 형성한다.
여전히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VNF)은 하드웨어 네트워킹 인프라스트럭처(1230)의 상단에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1240)에서 구동하는 특정 네트워크 기능을 핸들링하는 것을 담당하고, 도 12의 애플리케이션(1220)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전송기(1222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1221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122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12225)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유닛(12200)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드웨어 노드(1230)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능력을 가상의 노드에 제공하기 위해서 가상의 컴포넌트와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시그널링은 하드웨어 노드(1230)와 무선 유닛(12200)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시스템(12230)의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에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전기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1311) 및 코어 네트워크(1314)를 포함하는, 3GPP-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13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311)는 N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복수의 기지국(1312a, 1312b, 1312c)을 포함하고, 각각은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1313a, 1313b, 1313c)을 규정한다. 각각의 기지국(1312a, 1312b, 1312c)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1315)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1314)에 접속 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1313c)에 위치된 제1 사용자 장비(UE, 1391)는 대응하는 기지국(1312c)에 무선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1313a) 내의 제 2UE(1392)는 대응하는 기지국(1312a)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다. 복수의 UE(1391, 1392)가 이 예에서 도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유일한 UE가 커버리지 영역에 있거나 또는 유일한 UE가 대응하는 기지국(1312)에 접속하고 있는 상황에 동동하게 적용 가능하다.
전기 통신 네트워크(1310)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된 서버, 분산형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 팜(server farm) 내의 처리 리소스로서 구현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1330)에 자체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13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권 또는 제어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또는 서비스 제공자 대신 동작될 수 있다. 전기 통신 네트워크(1310)와 호스트 컴퓨터(1330) 사이의 접속(1321, 1322)은 코어 네트워크(13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330)로 직접 연장하거나 또는 옵션의 중간 네트워크(1320)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1320)는 공공,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있다면, 중간 네트워크(1320)는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 네트워크(1320)는 2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 도 13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UE(1391, 1392)와 호스트 컴퓨터(1330) 사이의 접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성은 OTT(over-the-top) 접속(1350)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330) 및 접속된 UE(1391, 1392)는, 액세스 네트워크(1311), 코어 네트워크(1314), 소정의 중간 네트워크(1320) 및 가능한 또 다른 인프라스트럭처(도시 생략)를 중간자로서 사용해서, OTT 접속(1350)을 통해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1350)은 OTT 접속(1350)이 통과하는 참가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하는 의미에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312)은 접속된 UE(1391)에 포워딩(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호스트 컴퓨터(1330)로부터 기원하는 데이터를 갖는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관해서 통지받지 않거나 통지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1312)은 호스트 컴퓨터(1330)를 향해서 UE(1391)로부터 기원하는 인출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인식할 필요는 없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서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선행하는 문단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에 따른, 예의 구현이, 이제 도 14를 참조해서 기술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1400)에서, 호스트 컴퓨터(1410)는 통신 시스템(1400)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4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14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1410)는 스토리지 및/또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14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처리 회로(1418)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410)는 호스트 컴퓨터(141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141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4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4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은 UE(1430) 및 호스트 컴퓨터(14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1450)을 통해서 접속하는 UE(14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은 OTT 접속(1450)을 사용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0)은, 전기 통신 시스템 내에 제공되고 이것이 호스트 컴퓨터(1410) 및 UE(143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1425)를 포함하는 기지국(14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1425)는 통신 시스템(1400)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426)만 아니라 기지국(1020)에 의해서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도 10에서 도시 생략)에 위치된 UE(1430)와 적어도 무선 접속(1470)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14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26)는 호스트 컴퓨터(1410)에 대한 접속(14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1460)은 직접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는 전기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14에 도시 생략)를 통과 및/또는 전기 통신 시스템 외측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1420)의 하드웨어(142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1428)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1420)은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 접속을 통해서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1421)를 더 갖는다.
통신 시스템(1400)은 이미 언급된 UE(1430)를 더 포함한다. 그 하드웨어(1435)는 UE(1430)가 현재 위치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과 무선 접속(1470)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1437)를 포함할 수 있다. UE(1430)의 하드웨어(143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1438)를 더 포함한다. UE(1430)는 UE(143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143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4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4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은, 호스트 컴퓨터(1410)의 지원과 함께, UE(1430)를 통해서 휴먼 또는 비휴먼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410)에 있어서, 실행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은 UE(1430) 및 호스트 컴퓨터(14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1450)을 통해서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클라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14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해서 이것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1410), 기지국(1420) 및 UE(1430)가, 각각 도 13의 호스트 컴퓨터(1330), 기지국(1212a, 1312b, 1312c) 중 하나 및 UE(1391, 1392) 중 하나와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즉, 이들 엔티티의 내부 작업은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3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OTT 접속(1450)은, 소정의 중간 디바이스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및 이들 디바이스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 없이, 기지국(1420)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410)와 UE(1430)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기 위해서 추상적으로 그려졌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UE(1430)로부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1410)를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또는 모두로부터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OTT 접속(14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해서) 이것이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행할 수 있다.
UE(1430)와 기지국(1420) 사이의 무선 접속(1470)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른다.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접속(1470)이 최종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접속(1450)을 사용해서 UE(1430)에 제공된 OTT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더 정확하게는, 이들 실시예의 교시는는 레이턴시, 네트워크 접속의 재활성화를 위한 전력 소비를 개선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대기 시간, 향상된 레이트 제어와 같은 이익을 제공한다.
측정 절차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하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팩터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해서, 호스트 컴퓨터(1410)와 UE(1430) 사이의 OTT 접속(14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옵션의 네트워크 기능성이 더 있을 수 있다. OTT 접속(14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성은 호스트 컴퓨터(1410)의 소프트웨어(1411) 및 하드웨어(1415)로 또는 UE(1430)의 소프트웨어(1431) 및 하드웨어(1435), 또는 모두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도시 생략)는 OTT 접속(1450)이 통과하는 통신 디바이스 내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해서 배치될 수 있고, 센서는 상기 예시된 모니터링된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또는 소프트웨어(1411, 1431)가 모니터링된 양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인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 OTT 접속(14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 선호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1420)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1420)에 알려지지 않거나 또는 검출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 및 기능성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고 실시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14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인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은, 이것이 전파 시간, 에러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OTT 접속(1450)을 사용해서 메시지, 특히, 빈(empty) 또는 '더미(dummy)'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소프트웨어(1411, 143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14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5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15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510의 서브단계 15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5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15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전송에서 반송되었던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전송한다. 단계 154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14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6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단계 16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옵션의 서브단계(도시 생략)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6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전송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해서 통과할 수 있다. 단계 16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14를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7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171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1720에 있어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720의 서브단계 172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710의 서브단계 17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반응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되었던 특정 방식에 관계 없이, UE는, 서브단계 1730에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방법의 단계 174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14를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8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1810(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에서,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182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18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서 개시된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그 소정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측면은 하드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측면은,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지 않더라도,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측면은 블록도, 흐름도, 또는 다른 도면적인 표현을 사용해서 도시 및 기술될 수 있지만, 본 개시에 기술된 이들 블록, 장치, 시스템, 기술 또는 방법은, 비제한하는 예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 또는 로직, 일반 목적 하드웨어 또는 제어기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그 일부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역시 이해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적어도 일부 측면은 집적된 회로 칩 및 모듈과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에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집적된 회로로서 구현되는 장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데, 집적된 회로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하게 구성 가능할 수 있는 데이터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베이스밴드 회로 및 무선 주파수 회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적어도 일부 측면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에서와 같이,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특별한 태스크 또는 특별한 추상적인 데이터 타입을 수행하는, 루틴, 프로그램, 개체,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은 하드 디스크, 광학 디스크, 제거 가능한 저장 매체, 고체 상태 메모리, RAM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합되거나 또는 분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능은, 집적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같은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등가물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명시적으로 또는 소정의 일반화에서, 소정의 신규한 형태 또는 본 개시에 개시된 형태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적응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상기 설명의 관점에서 관련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소정의 및 모든 수정은 본 개시의 비제한하는 및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 내에 여전히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방법 및 장치의 블록도 및 흐름도를 참조해서 상기되었다. 블록도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 블록도 내의 블록 및 흐름도 도시의 조합 각각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일반 목적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 로딩되어 머신를 생성할 수 있어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더욱이, 동작이 특정 순서로 묘사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러한 동작이 도시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된 모든 동작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소정의 환경에 있어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장점이 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특정 구현 세부 사항이 상기 논의에 포함되지만 이들은 여기에 기술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특정 실시예에 특정될 수 있는 특징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분리의 실시예의 콘택스트로 기술된 소정의 형태는,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해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콘택스트로 기술된 다양한 형태는, 또한 다수의 실시예에서 분리적으로 또는 소정의 적합한 서브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많은 특정 구현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소정의 구현 또는 청구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특정 구현의 특정 실시예로 특정될 수 있는 형태들의 설명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분리 실시예의 콘택스트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해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콘택스트로 기술된 다양한 특징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에서 분리적으로 또는 소정의 적합한 서브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특징들이 소정의 조합으로 작용하고, 심지어 그 자체로 초기에 청구된 것으로서 기술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일부 경우에 있어서 그 조합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의 서브조합은 서브조합 또는 서브조합의 변형으로 유도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한정된다.
약어 표현
CRS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s
LTE Long Term Evolution
NB-IoT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PBCH Narrow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DCCH Narrowb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NPDSCH Narrow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RACH Narrow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NPSS Narrow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equence
NRS Narrowband Reference Signals
NSSS Narrow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equence
SNR Signal to noise ratio

Claims (55)

  1.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S101)하는 단계;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S102)하는 단계,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S103)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획득(S104)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음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셀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측정의 타입인,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다음은: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전력(RSRP) 임계치;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품질(RSRQ) 임계치;
    타깃 셀 RSRP 임계치;
    타깃 셀 RSRQ 임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시스템 정보인,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은 제1 조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음은:
    동작 모드;
    커버리지 레벨; 및
    네트워크 커패시티인,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을 제공하는, 방법.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은 규칙에 기반해서 결정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의 통신 품질을 결정(S105)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서빙 셀의 통신 품질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고, 다음은:
    협대역 기준 신호(NRS);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SSS) 및;
    협대역 물리적인 브로드캐스트 채널(NPBCH)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조건은 제1 이벤트가 트리거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조건은 제1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적어도 제1 주기가 제1 이벤트의 트리거링 이래 경과한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타이머 및/또는 제1 카운터는 제1 이벤트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시작되고; 및
    제1 주기는 제1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및/또는 제1 카운터가 설정 값에 도달할 때 경과된,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통신 품질이 제1 임계치 이하일 때 트리거되고; 및
    제1 임계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아웃 오브 동기화(out of synchronization)인 것을 표시하는 값 이상인,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 취소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이벤트는 통신 품질이 제2 임계치 이상일 때 트리거되고; 및
    제2 임계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동기화인 것을 표시하는 값 이상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측정의 결과에 기반해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S106)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및
    셀 변경 절차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음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수립;
    리디렉션을 갖는 RRC 릴리스; 및
    핸드오버인,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이 수행되는 것에 관한 제1 리포트를 전송(S107)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다음은:
    측정이 수행되는 셀;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인,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수행되고 있는 또는 수행되는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제2 조건은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2 조건은 제2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적어도 제2 주기가 제2 이벤트의 트리거링 이래 경과한 것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제2 타이머 및/또는 제2 카운터는 제2 이벤트의 트리거링에 따라서 시작되고; 및
    제2 주기는 제2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및/또는 제2 카운터가 설정 값에 도달할 때 경과되는,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진행 중인 측정 활동이 완료된 후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진행 중인 측정 활동은:
    셀의 검출; 또는
    레이어 1 측정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에, 진행 중인 측정이 정지되는 것에 관한 제2 리포트를 전송(S108)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은:
    진행 중인 측정이 관련되는 셀; 및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인,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는 통신 패턴 파라미터에 의해서 표시되는, 방법.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적이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반복 수(Rmax)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이면 연장되는, 방법.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33.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S201)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음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셀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측정의 타입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구성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다음은: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전력(RSRP) 임계치;
    재수립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셀 기준 신호 수신된 품질(RSRQ) 임계치;
    타깃 셀 RSRP 임계치;
    타깃 셀 RSRQ 임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시스템 정보인, 방법.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은 제1 조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음은:
    동작 모드;
    커버리지 레벨; 및
    네트워크 커패시티인, 방법.
  38. 제3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빙 셀을 제공하는, 방법.
  39. 제3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은 규칙에 기반해서 결정되는, 방법.
  40. 제3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정이 수행되는 것에 관한 제1 리포트를 수신(S202)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은:
    측정이 수행되는 셀;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인, 방법.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된 리소스를 감소(S203)시키는 단계; 및/또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제1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가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된 리소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S204)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33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진행 중인 측정이 정지되는 것에 관한 제2 리포트를 수신(S205)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제1 리포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다음은:
    진행 중인 측정이 관련되는 셀; 및
    진행 중인 측정을 정지하기 위한 트리거링 조건인, 방법.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제2 리포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된 리소스를 개선(S206)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8. 제3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인지 또는 이동적인지는 통신 패턴 파라미터에 의해서 표시되는, 방법.
  49. 제3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적이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반복 수(Rmax)는, 단말 디바이스가 정적이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연장되는, 방법.
  50. 제33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51. 단말 디바이스(1)로서: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2)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품질에 기반해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고;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될 때,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정지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
  52. 제51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청구항 제2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
  53. 네트워크 노드(2)로서:
    프로세서(201); 및
    메모리(202)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어시스티드하기 위한 구성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네트워크 노드.
  54. 제53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청구항 제34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동작하는, 네트워크 노드.
  5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701)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700).
KR1020237001555A 2020-08-06 2021-07-16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254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20/107504 2020-08-06
CN2020107504 2020-08-06
CN2020110093 2020-08-19
CNPCT/CN2020/110093 2020-08-19
PCT/CN2021/106812 WO2022028229A1 (en) 2020-08-06 2021-07-16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associated to resour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446A true KR20230025446A (ko) 2023-02-21

Family

ID=8011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555A KR20230025446A (ko) 2020-08-06 2021-07-16 리소스에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00655A1 (ko)
EP (1) EP4193677A1 (ko)
KR (1) KR20230025446A (ko)
CN (1) CN116235554A (ko)
WO (1) WO2022028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2217A (zh) * 2022-05-30 2023-12-08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感知测量方法、装置、设备、终端和存储介质
CN116816696B (zh) * 2023-08-30 2023-11-07 四川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基于5g的太阳能智慧提水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1015B (zh) * 2015-12-31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性管理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7820286A (zh) * 2016-09-14 2018-03-2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切换参数选取方法、基站及终端设备
CN107046696B (zh) * 2017-04-14 2020-08-07 南京寰嘉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网络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US11363514B2 (en) * 2018-06-21 2022-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nditional cell change based on channel occupa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07593B (zh) * 2019-01-23 2022-07-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链路失败恢复的方法、用户侧设备和网络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35554A (zh) 2023-06-06
US20230300655A1 (en) 2023-09-21
WO2022028229A1 (en) 2022-02-10
EP4193677A1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6863A1 (en) Radio Link Monitoring/Radio Link Failure Reconfiguration Upon Bandwidth Parts Switching
CN112956230A (zh) Nr-dc中的测量配置
CN118054818A (zh) 用于执行无线电链路监视的方法
US11510133B2 (en) System information update for NR-U
CN112075096B (zh) 能够进行测量报告的无线设备、网络节点及其方法
WO2022130273A1 (en) Mobility procedure for multi-sim
US20230284145A1 (en) Rlm for scg in power-saving mode
US11589201B2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for handling communication in a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network
US20220210681A1 (en) Radio Link Monitoring
WO2022028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associated to resource
EP4055903A1 (en) Power saving signal monitoring occasions configuration and capability signaling
US20210385801A1 (en) Self-Optimizing Repetitions in Power Limited RATs
EP4158992B1 (en) Reconnection cell id in rlf report
WO2022086388A1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relating to conditional reconfigurations in wireless networks
EP4154581A1 (en) Request to stor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ells
US20220095143A1 (en) ANR Configuration, Measurements and Reporting for Power Limited Devices
US20230397282A1 (en) Methods for adapting a radio link procedure for ue power saving
US20210409992A1 (en) Enhancements to MDT
WO2021076030A1 (en) Selection and consent for mdt activation
US2021040063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de of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US20210243832A1 (en) Handling Re-Establishment Rejection
US20220346021A1 (en) PSM and ANR Handling for Power Limited Devices
WO20220282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ment of connection betwee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US20220167371A1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relating to uplink transmissions
CN116076112A (zh) 用于新无线电(nr)的用户设备定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