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277A -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277A
KR20230025277A KR1020210107622A KR20210107622A KR20230025277A KR 20230025277 A KR20230025277 A KR 20230025277A KR 1020210107622 A KR1020210107622 A KR 1020210107622A KR 20210107622 A KR20210107622 A KR 20210107622A KR 20230025277 A KR20230025277 A KR 2023002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ored
door
displa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태
정기륜
박대웅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277A/ko
Priority to EP22855946.4A priority patent/EP4286778A1/en
Priority to CN202280033661.7A priority patent/CN117321364A/zh
Priority to PCT/KR2022/004152 priority patent/WO2023017944A1/ko
Priority to US17/740,985 priority patent/US20230047137A1/en
Publication of KR2023002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냉장고는, 도어와, 도어에 배치되며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 선반과, 도어 선반에 설치되어 감지된 무게를 전송하는 무게 전송 장치와, 디스플레이와 입력부를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게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품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수납품 관리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refrigerator having door with weight sensible storage area and method to manage items stored in weight sensible storage area}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도어에 수납된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와, 감지 결과에 따라서 수납품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장 보관 또는 냉동 보관을 요하는 수납품, 예를 들어 식품을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본체와,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본체에는 본체를 가로지르는 수납 선반이 마련되며, 수납 선반 상에 수납품을 올려놓는다. 도어에는 도어 선반이 마련되며, 도어 선반에 수납품을 올려놓는다.
냉장고 내부에 수납품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납 선반 상에 수납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수납품의 존재 여부는 수납 선반 자체의 무게를 감지하거나, 수납 선반 상에 설치된 무게 감지 저울을 이용하여 수납품의 무게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판단될 수 있다
냉장고 본체 내부의 수납 선반들은 상하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는데, 수납 선반에 무게 감지 저울을 다시 장착하는 경우 무게 감지 저울의 높이로 인하여 다수의 수납 선반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져서 수납 선반 상에 수납할 수 있는 수납품의 높이가 더욱 제한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저울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냉장고 내부의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배터리 효율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번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수납 선반 전체 무게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수납 선반 위에 올려지는 수납품의 종류와 개수에는 관계 없이 선반 위에 올려진 전체 수납품의 무게만을 감지하므로 실질적으로 수납 선반에 수납품이 있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을 뿐이다.
본 개시는 도어 선반에 수납되는 수납품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도어 선반에 다양한 종류의 수납품을 수납하고, 수납 여부와 무게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냉장고는 도어 선반 내의 무게 감지 영역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게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수납품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수납품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 선반; 상기 도어 선반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무게 전송 장치; 디스플레이와 입력부를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무게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품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수납품 관리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은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할 ㅅ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은, 상기 도어 선반에 지지되는 제1부재; 각각 무게 감지 센서를 개재하여 상기 제1부재에 지지되며, 수납품이 놓이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 감지 센서는 상기 무게 전송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냉장고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부재로부터 상기 제2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냉장고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제2부재 사이에서 수납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전환 가능한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도어 선반은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하지 않는 단순 수납 영역과,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과 상기 단순 수납 영역을 구분하는 분리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은 서로 독립적으로 무게 감지가 가능한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고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 중 인접하는 두 섹션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상기 분리벽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냉장고의 일 실시예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무게 전송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 상기 무게 전송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선반이 상기 도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수신부는, 상기 무게 전송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선반이 상기 도어에 장착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와 대향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장고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수분으로부터 수분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상기 도어 선반의 외곽을 형성하는 벽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몰입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무게 전송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하여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입력부와 통합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선반에 마련된 무게 감지 수납 영역에 수납될 수납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수납품 초기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설정된 무게와 동일한 경우,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전송된 날짜를 입고일로 설정하고; 상기 입고일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납품의 수납 경과 기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이 제1잔량 이하가 되면, 수납품의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이 제2잔량 이하가 되면, 쇼핑 싸이트에서 상기 수납품과 동종의 물품을 검색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이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접하는 둘 이상의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하나의 무게 감지 수납 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에 따르면, 도어 선반에 수납되는 수납품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선반에 수납된 다양한 종류의 수납품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수납품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의 외부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선반 내의 무게 감지 영역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수납품의 안정적인 무게 감지와 수납품에 관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일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어 선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선반의 일 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어 선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로서, 도 5는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6은 차단 부재가 도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7은 도어 선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전력 수신부와 전력 공급부의 유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전력 수신부와 전력 공급부의 접촉 단자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전력 수신부와 전력 공급부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전력 수신부와 전력 공급부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전력 수신부와 전력 공급부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전력 수신부와 전력 공급부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어 선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어 선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7과 도 18은 도어 선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19는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0b는 제1탭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0c는 제2탭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1은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의 일 예를 보여주는 GUI 화면이다.
도 22는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의 일 예를 보여주는 GUI 화면이다.
도 23은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보여주는 GUI 화면이다.
도 2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냉장실(11)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21)(22)와, 냉동실(1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23)(24)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11)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납 선반(31)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11)에는 서랍형 수납함(32)이 마련될 수 있다. 서랍형 수납함(32)은 냉장실(11)의 가장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냉동실(12)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납 선반(41)이 마련될 수 있다. 냉동실(12)에는 서랍형 수납함(42)이 마련될 수 있다. 서랍형 수납함(42)은 냉동실(12)의 가장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어(20), 예를 들어 냉장실(11)의 도어(21)(22)에는 수납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도어 선반(50)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선반(50)은 수납 공간(50s)을 형성하는 외벽(51)과 바닥(52)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 선반(50)은 예를 들어 도어(21)에 착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1)의 폭방향의 양 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 돌기(21a)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 선반(50)의 외벽(51)에는 장착 돌기(21a)와 맞물리도록 내측으로 몰입된 장착 홈(50a)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 홈(50a)과 장착 돌기(21a)을 정렬시키고 도어 선반(50)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도어 선반(50)를 도어(21)에 장착할 수 있다. 다수의 도어 선반(50)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냉장실(11)의 다수의 수납 선반(31)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도어 선반(50)에는 상대적으로 키가 큰 수납품, 예를 들어 병에 수용된 음료수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어(21)(22)(23)(24)를 구분하지 않고 도어(20)으로 지칭한다. 도어 선반(50)은 도어(20)에 착탈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의 일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어 선반(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선반(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도어 선반(50)은 수납품(100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을 구비한다. 도어 선반(50)에는 감지된 수납품(1000)의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무게 전송 장치(14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예를 들어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10)와, 냉장고(1)에 대한 조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920)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수신한 무게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품 정보를 관리하고, 수납품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9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수신한 무게 정보를 외부 장치(990)로 전송할 수 있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예를 들어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에 의하여 무게 정보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방식은 블루투스, 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서(80)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수납품에 관한 기본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납품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무게 전송 장치(14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외부 장치(990)로 무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예를 들어, 냉장고(1) 자체, 예를 들어 도어(20)에 마련된 조작 패널(29)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910)로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채용함으로써 입력부(920)가 디스플레이(910)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외부 장치(990)는 디스플레이와 입력부를 구비하고, 냉장고(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외부 장치(99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이 가능한 구조, 예를 들어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구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외부 장치(990)는 예를 들어, 냉장고(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 등일 수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일 수 있다.
냉장실(11)의 수납 선반(31)에 별도의 무게 감지 장치, 예를 들어 저울을 올려놓고, 저울 상에 수납품을 올려놓는 구조가 상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수납 선반들(31) 사이의 간격은 도어 선반들(50)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수납 선반(31)에 올려놓은 저울로 인하여 수납 선반들(31) 사이의 간격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선반들(31)에는 키가 큰 수납품을 수납하기 어렵다. 또한, 수납품을 저울 위에 고정하는 구조가 없어서 수납품이 저울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울에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배터리가 장착되는데, 냉장실(11) 내부의 온도가 낮아서 배터리의 효율이 좋지 않으며,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교환되어야 한다.
수납 선반(31) 전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안이 상정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수납 선반(31)에 수납된 수납품이 다양한 경우 다양한 수납품 각각에 대한 무게 정보를 알 수 없으며, 수납 선반(31)에 한 종류의 수납품 만을 수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예의 냉장고(1)에 따르면, 도어(20)에 장착되는 도어 선반(50)에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을 마련한다. 도어 선반들(50)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냉장실(11) 내의 수납 선반들(31)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키가 큰 수납품을 도어 선반(50)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에 수납된 수납품의 무게 정보가 냉장고(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900) 또는 외부 장치(990)로 전달되므로, 도어(20)를 열지 않고도 수납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거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은 하나 일 수 있다.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은 독립적으로 수납품(100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 예를 들어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을 구비할 수 있다.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의 크기, 예를 들어 길이와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수납품(1001)(1002)을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의 크기, 예를 들어 길이와 폭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수납품(1001)(1002)은 무게 감지 섹션(101)(102)에 수납될 수 있는 최대 크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무게 감지 섹션(101)에는 수납품(1001)보다 크기가 작은 여러 개의 수납품이 수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게 감지 섹션(102)에도 수납품(1002)보다 크기가 작은 여러 개의 수납품이 수용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을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으로 구분함으로써, 다종의 수납품을 개별적으로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에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900) 및/또는 외부 장치(990)를 통하여 다종의 수납품 각각에 관한 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은 필요에 따라서 둘 또는 셋 이상이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수납품을 도어 선반(50)의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에 수납하고, 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900) 및/또는 외부 장치(99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의 다양한 예들을 설명한다. 일 예로서,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은 도어 선반(50)에 지지되는 제1부재(110)와, 무게 감지 센서(130)를 개재하여 제1부재(110)에 지지되며 수납품(1000)이 놓이는 제2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 각각에 대응되는 두 개의 제2부재(121)(122)가 각각 무게 감지 센서(130)를 개재하여 제1부재(110)에 지지된다. 무게 감지 센서(130)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게 감지 센서(13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하는 로드 셀(load cell)일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130)는 인가되는 무게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예에서 제2부재(121)와 제2부재(122) 각각에 대하여 4개씩의 무게 감지 센서(130)가 마련된다. 무게 감지 센서(130)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부재(121)와 제2부재(122)에 각각 놓인 수납품(1001)(1002)의 무게를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갯수의 무게 감지 센서(130)가 채용될 수 있다. 제2부재(121)와 제2부재(122)에 수납품(1001)(1002)이 각각 놓이면, 무게 감지 센서(130)에 수납품(1001)(1002)의 무게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제2부재(121)에 놓인 수납품(1001)의 무게는 제2부재(121)에 대응되는 4개의 무게 감지 센서(130)에 분산되어 작용되며, 4개의 무게 감지 센서(130)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들의 총합으로부터 수납품(1001)의 무게가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부재(122)에 놓인 수납품(1002)의 무게는 제2부재(122)에 대응되는 4개의 무게 감지 센서(130)에 분산되어 작용되며, 4개의 무게 감지 센서(130)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들의 총합으로부터 수납품(1002)의 무게가 결정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섹션(101)에 수납된 수납품(1001)이 무게 감지 섹션(102)으로 부분적으로 넘어가는 경우, 또는 반대로 무게 감지 섹션(102)에 수납된 수납품(1002)이 무게 감지 섹션(101)으로 부분적으로 넘어가는 경우, 수납품(1001)(1002)의 무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예의 냉장고는,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190)를 구비할 수 있다. 차단 부재(190)는 도어 선반(50)에 마련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는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 즉 제2부재(121)(122) 사이에 위치되어 수납품(1001)(1002)의 이동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190)는 제2부재(121)(122) 사이로 돌출되도록 제1부재(110)에 지지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의 상면(191)은 제2부재(121)(122)의 수납면(121a)(122b)보다 높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어(20)를 여닫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수납품(1001)(1002)이 차단 부재(190)에 의하여 차단되어 한 쌍의 제2부재(121)(122) 사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납품(1001)(1002)의 무게가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다수의 무게 감지 센서(130)는 무게 전송 장치(140)에 연결된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예를 들어 다수의 무게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달된 다수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다수의 무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141)와, 다수의 무게 신호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하는 전송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신호는 예를 들어 각각의 무게 감지 센서(130)에 작용하는 무게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처리부(141)는 무게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패스 필터, 및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전송부(142)는 신호 처리부(141)에 의하여 생성된 다수의 무게 신호를 예를 들어, 유선 연결을 통하여 프로세서(8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142)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다수의 무게 신호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송부(142)와 프로세서(8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Wi-Fi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무게 전송 장치(14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하여 무게 정보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한다.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는 경우에 따라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선반(50)에 큰 수납품(1003)을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차단 부재(190)는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이 통합되고, 큰 수납품(1003)이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에 걸쳐서 수납될 수 있다.
수납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되어 두 무게 감지 섹션의 통합을 허용하는 도피 위치로 전환 가능한 차단 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은 도어 선반(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로서, 도 5는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6은 차단 부재가 도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의 도어 선반(50)은 인접하는 두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에서 수납품(1001)(1002)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되어 수납품(1001)(1002)의 이동을 허용하는 도피 위치로 전환 가능한 차단 부재(190a)를 한다. 즉, 차단 부재(190a)는 인접하는 한 쌍의 제2부재(121)(122) 사이에서 수납품(1001)(1002)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전환은 예를 들어 슬라이딩, 회동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단 부재(190a)는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a)는 도어 선반(50)의 외벽(5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벽(51)의 상측 가장자리(51a)가 레일로서 기능하며, 차단 부재(190a)에는 외벽(51)의 상측 가장자리(51a)와 슬라이딩될 수 있게 맞물리는 물림부(19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190a)는 한 쌍의 제2부재(121)(122) 사이의 차단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품(1001)(1002)은 각각 무게 감지 섹션(101)(102) 내에, 즉 각각 제2부재(121)(122) 상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도어(20)를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수납품(1001)(1002)이 흔들리거나 이동되더라도 차단 부재(190a)에 의하여 무게 감지 섹션(101)(102)을 벗어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190a)는 한 쌍의 제2부재(121)(122) 사이로부터 벗어나서 도어 선반(50)의 가장자리로 슬라이딩된 도피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품(1001)(1002)보다 큰 수납품(1003)이 무게 감지 섹션(101)(102)에 걸쳐서 수납될 수 있다. 수납품(1003)의 무게는 한 쌍의 제2부재(121)(122)에 대응되는 예를 들어 8개의 무게 감지 센서(13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0) 및/또는 외부 장치(990)를 통하여 무게 감지 섹션(101)(102)의 통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어 선반(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예의 도어 선반(50)은 차단 부재(190b)가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회동되는 점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어 선반(50)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선반(50)의 외벽(51)에 힌지(51b)가 마련된다. 힌지(51b)는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 즉 한 쌍의 제2부재(121)(12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b)는 힌지(51b)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 즉 한 쌍의 제2부재(121)(122)의 사이에서 수납품(1001)(1002)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큰 수납품(1003)의 수납을 허용하기 위한 도피 위치(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도피 위치는 예를 들어 차단 부재(190b)가 힌지(51b)가 설치된 도어 선반(50)의 외벽(51)과 나란한 위치일 수 있다. 차단 부재(190b)가 차단 위치에 위치되면, 수납품(1001)(1002)는 무게 감지 섹션(101)(102) 내에, 즉 제2부재(121)(122) 상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수납품(1001)(1002) 각각의 무게가 안정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b)가 도피 위치에 위치되면, 수납품(1003)이 무게 감지 섹션(101)(102)에 걸쳐서 수납될 수 있으며, 수납품(1003)의 무게는 한 쌍의 제2부재(121)(122)에 대응되는 예를 들어 8개의 무게 감지 센서(13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0) 및 또는 외부 장치(990)를 통하여 무게 감지 섹션(101)(102)의 통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의 일 예는, 도어 선반(5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구조를 구비한다. 전력 공급 구조는 도어(20)에 마련되는 전력 공급부(70)와, 무게 전송 장치(140)와 연결되며 도어 선반(50)에 마련되는 전력 수신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70)는 냉장고(1)의 전원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50)는 도어 선반(50)이 도어(20)에 장착될 때에 전력 공급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와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는 유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의 유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예의 유선 방식 연결 구조는 커넥터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20)의 벽체(20a)에 수납 구멍(20b)이 마련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70)는 수납 구멍(20b)을 통하여 도어(20)의 벽체(20a) 외부로 인출 가능한 제1커넥터(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71)는 전원부(도 2: 60)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50)는 무게 전송 장치(도 2: 14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도어 선반(50)의 외부로 인출된 제2커넥터(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151)는 커버(152)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제1커넥터(71)와 제2커넥터(151)는 서로 암수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71)와 제2커넥터(151)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1커넥터(71)와 제2커넥터(151)를 수납 구멍(20b)을 통하여 도어(20)의 벽체(20a) 내부로 밀어 넣고 커버(151)를 수납 구멍(20b)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어 선반(50)를 도어(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커넥터(71)와 제2커넥터(151)가 도어(20)의 벽체(20a)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제1커넥터(71)와 제2커넥터(151)가 냉장고(1) 내부의 습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력 공급부(70)와 전력 수신부(150)는 접촉 단자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의 접촉 단자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부(70)는 도어(20)의 벽체(20a)에 마련되는 제1접촉 단자(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촉 단자(72)는 전원부(도 2: 60)와 연결된다. 제1접촉 단자(72)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진 탄력 단자일 수 있다. 전력 수신부(150)는 무게 전송 장치(도 2: 14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도어(20)의 벽체(20a)와 마주보는 도어 선반(50)의 외벽(51)에 마련되는 제2접촉 단자(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선반(50)를 도어(20)에 장착하면, 제2접촉 단자(153)가 제1접촉 단자(72)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부(70)는 도어(20)에 마련되는 무선 전력 송신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73)는 냉장고(1)의 전원부(도 2: 6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50)는 무게 전송 장치(도 2: 140)와 연결되며 도어 선반(50)에 마련되는 무선 전력 수신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54)는 도어 선반(50)이 도어(20)에 장착되면 무선 전력 송신부(73)와 대향된다. 무선 전력 송신부(73)는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부(154)는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전력을 받는 수신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부(73)는 도어(20)의 하측 내벽(20c)에 마련된다. 무선 전력 수신부(154)는 도어 선반(50)에 탑재된 제1부재(110)의 하부판(112) 상에 마련된다. 도어 선반(50)이 도어(20)에 장착되면, 무선 전력 송신부(73)와 무선 전력 수신부(154)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도어(20)의 하측 내벽(20c)은 수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73)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송신부(73)는 보호 커버(74)의 오목부(74a)에 수납된다. 오목부(74a)는 도어 선반(50)의 바닥(52)과 대향된 대향판(74e)으로부터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을 향하여 돌출된 내측벽(74c)과 대향판(74e)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74a)에는 에폭시 등의 방수성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도어(20)의 하측 내벽(20c)에는 수분이 맺힐 수 있다. 수분이 무선 전력 송신부(73)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20)에는 수분 차단벽(20d)이 마련될 수 있다. 수분 차단벽(20d)은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으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부(73)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다. 수분 차단벽(20d)은 무선 전력 송신부(73)의 가장자리를 에워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차단벽(20d)은 내측벽(74c)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무선 전력 송신부(73)가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의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나아가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74)는 무선 전력 송신부(73)를 에워싸는 홈(74b)을 구비할 수 있다. 홈(74b)은 예를 들어 내측벽(74c)과 외측벽(74d)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외측벽(74d)은 대향판(74e)으로부터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을 향하여 돌출되며, 내측벽(74c)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홈(74b)을 형성한다. 수분 차단벽(20d)은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으로부터 홈(74b) 내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의 수분은 보호 커버(74)의 외측벽(74d), 도어(20)에 마련된 수분 차단벽(20d), 및 보호 커버(74)의 내측벽(74c)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73)와 무선 전력 수신부(154)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무선 전력 송수신 효율이 높다. 도 11은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예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부(154)가 도어 선반(50)의 외곽을 형성하는 벽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몰입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벽체는 도어 선반(50)의 바닥(52)일 수 있다. 도어 선반(50)의 바닥(52)에 개구부(52a)가 형성된다. 제1부재(110)의 하부판(112)에는 개구부(52a) 내부로 몰입된 몰입부(113)가 마련된다. 무선 전력 수신부(154)는 몰입부(113)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무선 전력 수신부(154)가 무선 전력 송신부(73)에 더 가까이 위치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전력 송수신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부(73)는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에 몰입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전력 송신부(73)가 도 10에 도시된 보호 커버(74)와 함께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에 몰입될 수도 있다. 나머지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부(73)는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에 몰입되고, 무선 전력 수신부(154)는 도어 선반(50)의 바닥(52)에 마련된 개구부(52a) 내부로 몰입되도록 제1부재(110)에 형성된 몰입부(113)에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부(73)가 도어(20)의 하부 내벽(20c)에 마련되어 있으나, 무선 전력 송신부(73)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전력 수신부(150)와 전력 공급부(70)의 무선 방식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부(73)는 도어(20)의 측부 내벽(20c)에 몰입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전력 송신부(73)가 도 10에 도시된 보호 커버(74)와 함께 도어(20)의 측부 내벽(20c)에 몰입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54)는 무선 전력 송신부(73)와 대향되도록 제1부재(110)의 측벽(1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개구부(52a), 몰입부(113) 구조는 도 14에 도시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섹션의 갯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는 도어 선반(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은 3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103)을 구비할 수 있다.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 및 무게 감지 섹션(102)(103) 사이에는 차단 부재(1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1부재(110) 상에 무게 감지 센서(130)을 개재하여 서로 구분된 세 개의 제2부재(121)(122)(123)를 배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 대신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선반(50)의 외벽(51)을 따라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슬라이딩가능한 두 개의 차단 부재(190a)가 채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차단 부재(190a)는 각각 제2부재(121)(122) 사이와 제2부재(122)(123)의 차단 위치와, 그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도어 선반(50)의 외벽(5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선반(50)에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회동 가능한 두 개의 차단 부재(190b)가 적용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차단 부재(190b)는 각각 제2부재(121)(122) 사이와 제2부재(122)(123) 사이의 차단 위치와, 그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도 16은 도어 선반(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어 선반(50)은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과, 무게를 감지하지 않는 단순 수납 영역(200)을 구비할 수 있다.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단순 수납 영역(200)에 수납된 수납품(1004)이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 영역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은 분리벽(210)에 의하여 단순 수납 영역(200)과 구분된다. 무게 감지 섹션(101)과 무게 감지 섹션(102) 사이에 차단 부재(19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은 도어 선반(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분리벽(210)에는 인접하는 두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를 차단하는 위치로 전환 가능한 차단 부재(190c)가 설치된다. 일 예로서, 차단 부재(190c)는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c)는 분리벽(2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벽(210)의 상측 가장자리(210a)가 레일로서 기능하며, 차단 부재(190c)에는 분리벽(210)의 상측 가장자리(210a)와 슬라이딩될 수 있게 맞물리는 물림부(193)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차단 부재(190d)가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회동된다. 예를 들어, 분리벽(210) 힌지(210b)가 마련된다. 힌지(210b)는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 즉 한 쌍의 제2부재(121)(12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차단 부재(190d)는 힌지(210b)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무게 감지 섹션(101)(102) 사이, 즉 한 쌍의 제2부재(121)(122)의 사이에서 수납품(1001)(1002)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도 18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큰 수납품(1003)의 수납을 허용하기 위한 도피 위치(도 18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도피 위치는 예를 들어 차단 부재(190d)가 힌지(210b)가 설치된 분리벽(210)과 나란한 위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냉장고의 외측, 예를 들어 도어(20), 다시 말하면, 도어(21) 또는 도어(22)의 외측에 마련되는 조작 패널(도 1: 23)일 수 있다. 조작 패널(29)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910)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받는 입력부(9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채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910)와 입력부(920)가 통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80)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입력부(920)를 통하여 입력된 수납품 정보와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전송된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910)에 수납품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910)를 통하여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수납품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고 관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입력부(920)를 통하여 도어 선반(50)에 마련된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에 수납될 수납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수납품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설정된 수납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9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무게 전송 장치(140)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에 수납된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한다. 프로세서(80)는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감지된 무게 정보를 전송을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감지된 무게 정보가 설정된 무게와 동일한 경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전송된 날짜를 입고일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수납품의 수납 경과 기간을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품의 잔량을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품의 잔량이 제1잔량 이하가 되면 수납품의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을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품의 잔량이 제2잔량 이하가 되면 쇼핑 싸이트에서 수납품과 동종의 물품을 검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이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하는 경우, 입력부(920)를 통하여 인접하는 둘 이상의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하나의 무게 감지 수납 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전송된 무게 정보를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99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990)는 예를 들어 수납품 관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및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80)에 의하여 수행되는 수납품 관리 프로세스는 무게 정보를 전송받는 외부 장치(990)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된 도어 선반에 마련된 무게 감지 수납 영역에 수납될 수납품에 관한 입력받아 수납품 초기 정보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수납품의 무게 정보를 냉장고의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설정된 무게와 동일한 경우,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전송된 날짜를 입고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납품의 수납 경과 기간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또는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이 제1잔량 이하가 되면 수납품의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이 제2잔량 이하가 되면 쇼핑 싸이트에서 상기 수납품과 동종의 물품을 검색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이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하여 인접하는 둘 이상의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하나의 무게 감지 수납 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냉장고 자체의 조작 패널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냉장고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9는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0a, 20b, 20c, 21, 22, 23, 2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디스플레이(910)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예들을 보여준다. 이하에서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전술한 냉장고 자체의 조작 패널(29)일 수 있으며, 냉장고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990),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조작 패널(29), 퍼스널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냉장고와 연결될 수 있다. 조작 패널(29), 퍼스널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프로세서(140)와 연결될 수 있다.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는, 냉장고(1)와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를 통하여 냉장고 도어(20)의 도어 선반(50)에 마련된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에 수납될 수납품에 관한 기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으로부터 수납품의 무게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로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이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두 개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은 각각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으로 표기한다.
도어 선반(50)에 수납품이 수납된다(S801). 프로세서(80)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91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910) 및 입력부(920)를 통하여 수납품의 초기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초기 설정 단계(S802)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디스플레이(910)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0a를 참조하면, GUI 화면은 냉장실(11) 내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1상태창(2001)과 냉동실(12) 내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2상태창(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태창(2001)에는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에 해당되는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2상태창(2002)에는 냉동실(12)에 수납된 수납품의 정보가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제1상태창(2001)에는 수납품의 초기 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선택가능한 다수의 탭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탭(TAB1)은 수납품이 수납될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탭이다. 도 20b는 제1탭(TAB1)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디스플레이(910)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0b를 참조하면, 제1탭(TAB1)을 선택하면, 예를 들어,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을 선택할 수 있는 서브 선택창(2101)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터치 또는 입력부(920)를 이용하여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의 통합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탭(TAB2)은 선택된 선반에 수납될 수납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탭이다. 도 20c는 제2탭(TAB2)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디스플레이(910)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제2탭(TAB2)을 선택하여 수납품의 종류, 수량, 수납품 한 개 당의 무게, 수납품의 보관 용기의 종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탭(TAB2)을 선택하면, 수납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서브 선택창(2102)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또는 입력부(920)를 이용하여 수납품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수납품의 종류 설정이 완료되면, 수납품의 용량을 선택할 수 있는 서브 선택창(2103)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터치 또는 입력부(920)를 이용하여 수납품의 용량을 선택하거나 수납품의 용량을 직접 기입할 수 있다. 서브 선택창의 형태, 갯수 등은 설정 가능한 수납품의 성질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1상태창(2001)에는 도어 선반(50)의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에 수납된 수납품의 정보가 이미지 및/또는 문자 정보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제1상태창(2001)을 보면, 예시적으로, 좌측 선반(101)에는 1L 용량의 우유가 수납되고, 우측 선반(102)에는 800mL 용량의 콜라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준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S803)하고, 감지된 무게 정보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한다.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에 수납된 수납품의 무게에 따라서 대응되는 무게 감지 센서들(130)에서 전기 신호들이 발생되며, 전기 신호들은 무게 전송 장치(140)로 전달된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신호처리 과정을 통하여 전기 신호들을 예를 들어 디지털 형태의 무게 신호들로 변환한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좌측 선반(101)의 무게 신호들과 우측 선반(102)의 무게 신호들을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하여 프로세서(80)에 전송한다.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는, 감지된 무게 정보가 설정된 무게와 동일한 경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전송된 날짜를 입고일로 설정하는 단계(S8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수신된 무게 신호로부터 좌측 선반(101)의 수납품의 무게와 우측 선반(102)의 수납품의 무게를 산출한다. 프로세서(80)는 감지된 무게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수납품의 무게와 동일한 경우, 수납품의 감지된 무게 정보가 전송된 날짜를 입고일로 설정할 수 있다. 입고일은 디스플레이(910)에 표시될 수 있다.
입고일은 수납품의 수납 경과 기간 산출의 기준이 된다.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는,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수납품의 수납 경과 기간을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하는 단계(S80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수납품의 수납 경과 기간을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제1상태창(2001)을 보면, 예시적으로, 좌측 선반(101)에 수납된 우유의 수납 경과 기간이 2일로, 우측 선반(102)에 수납된 콜라의 수납 경과 기간은 5일로 표시되어 있다.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는,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품의 잔량을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하는 단계(S8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품의 잔량을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품의 잔량의 표시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품의 잔량은 수납품의 현재의 무게(체적), 수납품의 원래 무게(체적)에 대한 잔량의 비율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제1상태창(2001)을 보면, 예시적으로,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에 각각 수납된 우유와 콜라의 최초 용량과 잔량이 숫자로 표시되고, 막대그래프의 형태로 최초 용량에 대한 잔량의 비율이 표시된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1시간, 1일 등 정해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무게 정보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할 수 있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도어(20)가 개폐될 때마다 무게 정보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무게 전송 장치(140)는 무게 정보에 변화가 있을 때에 무게 정보를 프로세서(8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시기 조건을, 예를 들어 주기적 전송 모드, 도어(20) 개폐시 전송 모드, 무게 변화시 전송 모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는,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품의 잔량이 기준 잔량(제1잔량) 이하가 되면 수납품의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에 표시하는 단계(S807)(S8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의 일 예를 보여주는 GUI 화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전송된 감지된 무게 정보로부터 예를 들어 좌측 선반(101)에 수납된 우유의 잔량이 기준 잔량인 초기 용량의 10% 이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프로세서(80)는 디스플레이(910)에 예를 들어 좌측 선반(101)에 수납된 우유의 소진이 임박하였음을 표시하는 알림창(210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수납품, 예를 들어 우유의 구매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알림창(2104)의 내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 21에서는 우유가 거의 소진되어 쇼핑몰 카트에 추가하였다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알림창(2104)에는 쇼핑 싸이트로 연결 가능한 연결 탭(220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 탭(2201)을 선택함으로써 쇼핑 싸이트를 통한 구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도 22는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의 일 예를 보여주는 GUI 화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전송된 감지된 무게 정보로부터 예를 들어 좌측 선반(101)에 수납된 우유의 잔량이 기준 잔량인 초기 용량의 10% 이하에 도달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프로세서(80)는 디스플레이(910)의 제1상태창(2001)에 예를 들어 좌측 선반(101)의 그래픽 이미지 부근에 쇼핑 싸이트의 동일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연결 탭(2202)을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연결 탭(2202)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쇼핑 싸이트에서 현재 수납된 수납품과 동일한 물품을 구매하는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는,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품의 잔량이 기준 잔량(제2잔량) 이하가 되면 쇼핑 싸이트에서 수납품과 동종의 물품을 검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하는 단계(S80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보여주는 GUI 화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기준 잔량(제2잔량)은 예를 들어 소진 임박을 알리는 기준 잔량(제1잔량)과 동일할 수 있으며, 그보다 작을 수도 있다. 본 예에서 제1잔량과 제2잔량은 동일하다.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전송된 감지된 무게 정보로부터 예를 들어 좌측 선반(101)에 수납된 우유의 잔량이 기준 잔량인 초기 용량의 10% 이하에 도달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프로세서(80)는 디스플레이(910)에 예를 들어 좌측 선반(101)에 수납된 우유와 동종의 상품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창(2105)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내용은 예를 들어 쇼핑 싸이트, 상품의 종류, 상품의 용량, 상품의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창(2104)에는 검색된 상품의 구매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표시자(2203)와, 선택된 상품의 구매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구매 연결 탭(2204)이 표시될 수 있다.
냉장고의 수납품 관리 방법의 일 예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100)이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를 통하여 인접하는 둘 이상의 무게 감지 섹션(101)(102)을 하나의 무게 감지 섹션으로 설정하는 단계(S8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b를 참조하면, 제1탭(TAB1)을 클릭하면 좌측 선반(101), 우측 선반(102), 및 통합을 선택할 수 있는 서브 선택창(2101)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터치 또는 입력부(920)를 이용하여 통합을 선택하면,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이 하나의 무게 감지 수납 영역으로 통합된 것을 취급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20)를 열고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 사이의 차단 부재(190)를 제거하거나, 차단 부재(190a, 190b, 190c, 190d)를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80)는 무게 전송 장치(140)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무게 정보 전체를 합산하여 통합 무게 감지 수납 영역에 수납된 수납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디스플레이(910)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4를 참조하면, 좌측 선반(101)과 우측 선반(102)이 하나의 통합 무게 감지 수납 영역으로 통합된다. 제2탭(TAB2)을 통하여 통합 무게 감지 영역에 수납된 수납품의 종류, 용량 등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합 무게 감지 수납 영역에는 2L 용량의 우유가 수납되고, 잔량은 1000ml 인 것을 표시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통합 무게 감지 수납 영역에 수납된 우유의 수납 경과 기간이 2일로 표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 선반;
    상기 도어 선반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무게 전송 장치;
    디스플레이와 입력부를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무게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품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수납품 관리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은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은,
    상기 도어 선반에 지지되는 제1부재;
    각각 무게 감지 센서를 개재하여 상기 제1부재에 지지되며, 수납품이 놓이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 감지 센서는 상기 무게 전송 장치에 연결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부재로부터 상기 제2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된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부재 사이에서 수납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전환 가능한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선반은 수납품의 무게를 감지하지 않는 단순 수납 영역과,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과 상기 단순 수납 영역을 구분하는 분리벽을 구비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은 서로 독립적으로 무게 감지가 가능한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 중 인접하는 두 섹션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상기 분리벽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무게 전송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
    상기 무게 전송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선반이 상기 도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수신부는, 상기 무게 전송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선반이 상기 도어에 장착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와 대향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수분으로부터 수분 차단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상기 도어 선반의 외곽을 형성하는 벽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몰입된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전송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하여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입력부와 통합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인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선반에 마련된 무게 감지 수납 영역에 수납될 수납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수납품 초기 정보로서 설정하고,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설정된 무게와 동일한 경우,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가 전송된 날짜를 입고일로 설정하고,
    상기 입고일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납품의 수납 경과 기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이 제1잔량 이하가 되면, 수납품의 소진 임박을 표시하는 알림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냉장고.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품의 잔량이 제2잔량 이하가 되면, 쇼핑 싸이트에서 상기 수납품과 동종의 물품을 검색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냉장고.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이 복수의 무게 감지 섹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접하는 둘 이상의 상기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하나의 무게 감지 수납 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냉장고.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무게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냉장고.
KR1020210107622A 2021-08-13 2021-08-13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KR20230025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22A KR20230025277A (ko) 2021-08-13 2021-08-13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EP22855946.4A EP4286778A1 (en) 2021-08-13 2022-03-24 Refrigerator including door having weight-sensing storage region, and stored article management method thereof
CN202280033661.7A CN117321364A (zh) 2021-08-13 2022-03-24 包括具有重量感测存储区域的门的冰箱及其存储物品管理方法
PCT/KR2022/004152 WO2023017944A1 (ko) 2021-08-13 2022-03-24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US17/740,985 US20230047137A1 (en) 2021-08-13 2022-05-10 Refrigerator having door with weight-sensitive storage area and method of managing items stored in weight-sensitive storage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22A KR20230025277A (ko) 2021-08-13 2021-08-13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77A true KR20230025277A (ko) 2023-02-21

Family

ID=8520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622A KR20230025277A (ko) 2021-08-13 2021-08-13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5277A (ko)
WO (1) WO20230179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654A (ko) * 2009-06-08 201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946367B1 (ko) * 2012-09-26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잔여량을 통지하기 위한 방법
KR102024595B1 (ko) * 2013-04-25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GB201600104D0 (en) * 2016-01-04 2016-02-17 Smarter Applic Ltd Sensing pad
JP6473523B2 (ja) * 2016-07-22 2019-0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収容庫の在庫管理システムおよび在庫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7944A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72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372029B2 (en)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650536B1 (en) Container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6095551B2 (ja) 冷蔵庫
JP3748369B2 (ja) 食品管理保存庫
JP2007010208A (ja) 冷蔵庫
US9860491B2 (en) Refrigerator having a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based on position of a door
CN111492190B (zh) 冰箱
KR100773178B1 (ko) 냉장고
CN104199335A (zh) 一种发送、接收物品信息的方法和装置
US1149326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weight-detecting drawer assembly
KR20230025277A (ko) 무게 감지 수납 영역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수납품 관리 방법
CN116848362A (zh) 具有可重量检测的搁架组件的冰箱
CN106895634B (zh) 冰箱
EP4286778A1 (en) Refrigerator including door having weight-sensing storage region, and stored article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090020935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215945246U (zh) 一种储物容器
WO2019109491A1 (en) Refrigerator icemaking console
CN115388601A (zh) 冰箱
CN108709496A (zh) 容量测量装置及智能家电、智能储物柜
KR20180097406A (ko) 냉장 기능을 구비한 카트
US20230375245A1 (en) Ice maker appliance leak detection
JP2006090608A (ja) 冷蔵庫
CN113551474A (zh) 一种储物设备及其控制方法
JP2024039220A (ja) 貯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