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256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256A
KR20230025256A KR1020210107561A KR20210107561A KR20230025256A KR 20230025256 A KR20230025256 A KR 20230025256A KR 1020210107561 A KR1020210107561 A KR 1020210107561A KR 20210107561 A KR20210107561 A KR 20210107561A KR 20230025256 A KR20230025256 A KR 20230025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electronic device
packets
packe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256A/ko
Publication of KR2023002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인터페이스부; 및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고, 패킷 큐에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과,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송하여,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고, 외부장치에 의해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전자장치는 외부의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트를 수신하여, 그에 기초한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최근 지상파, 케이블, 위성방송과 같은 전통적 방송 서비스뿐 아니라, 공공 인터넷 망을 통한 OTT(Over-The-Top) 서비스나, 1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등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AR/VR 기기, 노트 PC, 스마트 TV 등의 소비자 기기에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 모듈이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있으며, 미러링 또는 캐스팅과 같이 기기간 직접 컨텐트를 스트리밍 하는 서비스로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A/V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는 영상 품질과 지연 시간이 있다. 따라서, 주어진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의 영상 품질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특히 실시간성이 중요한 스포츠 중계, 게임 등의 이벤트에서는 소비자의 체감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IP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자원이므로, 스트리밍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가용 대역폭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링크의 물리적인 최대 속도(Link Capacity)나, 다른 사용자들의 데이터 전송률(Cross Traffic Rate) 등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한다.
그에 따라, 변화하는 가용 대역폭을 실시간으로 추정 즉, 모니터링함으로써,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트림 데이터가 패킷화된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통해 가용 대역폭을 추정함으로써, 최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인터페이스부; 및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고, 패킷 큐에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과,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송하여,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고, 외부장치에 의해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에 저장하고, 스트림 큐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로 읽어 패킷화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패킷 큐에 저장되도록 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시간 간격은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여, 외부장치가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비디오 프레임의 복수의 패킷과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을 식별하여, 식별된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의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패킷 그룹의 복수의 패킷은 비디오 프레임 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한다.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패킷 수신 간격,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 및 패킷 사이즈를 이용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패킷 큐에 저장된 복수의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스트림 큐에 저장하고, 스트림 큐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패킷 큐에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과,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는 동작; 및 외부장치에 의해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에 저장하는 동작; 및 스트림 큐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패킷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패킷 큐에 저장되도록 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간 간격은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여, 외부장치가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 비디오 프레임의 복수의 패킷과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을 식별하는 동작; 식별된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의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패킷 그룹의 복수의 패킷은 비디오 프레임 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한다.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며,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동작은, 패킷 수신 간격,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 및 패킷 사이즈를 이용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다.
패킷 큐에 저장된 복수의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스트림 큐에 저장하는 동작; 및 스트림 큐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패킷 큐에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과,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는 동작; 및 외부장치에 의해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 비디오 프레임의 복수의 패킷과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을 식별하는 동작; 식별된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의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패킷 그룹의 복수의 패킷은 비디오 프레임 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스트림 데이터가 패킷화된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통해 가용 대역폭을 추정함으로써, 최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버스트하게 전송함으로써, 컨텐트 데이터의 비트레이트 이상의 가용 대역폭까지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대역폭의 추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전자장치와 제2전자장치가 구현된 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자장치와 제2전자장치 간 데이터의 송수신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전자장치에서 패킷 송신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전자장치에서 패킷 수신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킷 전송이 이루어지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전자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전자장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가용 대역폭을 측정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대역폭의 추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전자장치와 제2전자장치가 구현된 예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와 제2전자장치(20)는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는 제2전자장치(20)로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공급원, 즉, 소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외부의 신호공급원, 즉, 제1전자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예를 들면 컨텐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트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전자장치(20)를 포함한 다양한 기기로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는 컨텐트 제공장치 또는 서버로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전자장치(10)는 방송신호, 즉, 방송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송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전자장치(10)는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미디어 파일, 즉, 미디어 컨텐트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컨텐트서버 또는 미디어서버, 예를 들면,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OTT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전자장치(10)는 웹컨텐트와 같은 비디오 컨텐트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는 다중 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Access Edge Computing)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을 지원하는 복수의 서버,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TT 에지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자장치(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등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또는 모바일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와 제2전자장치(20) 간 다이렉트 D2D 스트리밍에 의한 컨텐트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자장치(10)와 제2전자장치(20) 사이에서는, 미러링(mirroring) 또는 캐스팅(casting) 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전자장치(10)는 클라우드 게임의 컨텐트를 다이렉트 D2D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전자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와 제2전자장치(20)는,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실시간 스트리밍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는 컨텐트를 제공하는 소스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2전자장치(20)는 제1전자장치(10)로부터 컨텐트를 획득하는 싱크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두 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편의적인 용어일 뿐이며, 장치들의 명칭 또는 역할이 각 장치의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2전자장치(20)는 제1전자장치(10)의 외부장치로, 제1전자장치(10)는 제2전자장치(20)의 외부장치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장치(2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장치(20)에는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2전자장치(2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다른 예로서, 제2전자장치(2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로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박스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전자장치(2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의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단말장치(terminal apparatus)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는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과 같은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모니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가 텔레비전인 경우, 제2전자장치(20)는 직접 또는 제2전자장치(20)와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부가기기, 예를 들면, 셋탑박스(set-top box, STB), OC 박스(one-connect box), 미디어박스 등을 통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전자장치(20)와 부가기기의 연결 방식은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무선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 컨텐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전자장치(20)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에서, 방송 컨텐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 수신 가능하며, 신호공급원, 즉, 소스는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1전자장치(10)를 포함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신호공급원에 포함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전자장치(20)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도 5의 22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DVI,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썬더볼트(Thunderbolt), RGB 케이블,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ecepteurs et Televiseur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전자장치(2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제2전자장치(20)는 내부/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컨텐트 제공을 위한 소스로서 제1전자장치(10)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들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통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전자장치(20)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22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전자장치(20)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컨텐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예를 들면, 웹서버나, O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OTT 서버와 같은 제1전자장치(1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장치(20)에 컨텐트를 제공하는 외부장치, 즉, 제1전자장치(1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장치(20)는 복수의 외부장치 각각에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각 외부장치로부터 다양한 컨텐트를 제공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컨텐트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VO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전자장치(1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 및 그 수신한 컨텐트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컨텐트에 대응하는 영상이 자체 또는 외부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즉,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전자장치(2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제1전자장치(1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는 클라우드 게임, VOD와 같은 미디어 컨텐트, 방송 컨텐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컨텐트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전자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제1전자장치(10)는 상기의 컨텐트 데이터를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패킷 그룹의 데이터로서 제2전자장치(20)로 전송한다. 여기서,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버스트(burst)하게 전송되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제1전자장치(10)로부터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첫번째 패킷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식별된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종단 기기, 즉, 제1전자장치(10)와 제2전자장치(20) 간 가용 대역폭이 추정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빙 패킷(probing packet)이 아닌, 데이터 패킷을 활용하여 가용 대역폭의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로 전송함으로써, 컨텐트 데이터의 비트레이트(bitrate) 이상의 가용 대역폭까지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용 대역폭 추정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6 내지 도 11 등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자장치(10)와 제2전자장치(20)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전자장치(1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전자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전자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4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전자장치(10)는, 도 4에 구성된 구성의 일부가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전자장치(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입력부와 같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자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제1전자장치(10)가 제2전자장치(20)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다양한 HDMI, HDMI-CEC, USB, 컴포넌트(Component), 디스플레이 포트(DP), DVI, 썬더볼트, RGB 케이블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를 더 포함하여,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컨대,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오디오/비디오 신호(AV 신호)를 각각 별개로 전송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유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는 제1전자장치(1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제1전자장치(10)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12)는 제1전자장치(1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부(112)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12)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12)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12)는 억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으로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 사이에 1 대 1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등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전자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 예를 들면, 제2전자장치(20)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전자장치(10)가 공급하는 컨텐트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송 컨텐트, 미디어 컨텐트, 게임 컨텐트,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트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기기 간 다이렉트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는 상기의 컨텐트 데이터를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패킷 그룹의 데이터로서 제1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2전자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버스트(burst)하게 전송되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자장치(10)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1전자장치(1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40)는 제1전자장치(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memory)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하드디스크(HDD),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1전자장치(1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수행된 학습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머신 러닝 어플리케이션 또는 딥 러닝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프로세서(150)가 소정 학습 알고리즘 모델을 적용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전자장치(10)는 장치 자체에 임베디드된 저장부(14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습 및 그 학습에 따른 알고리즘 모델을 적용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AI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전자장치(10)의 실시 형태는 온 디바이스 AI 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전자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접속 가능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습 및 그 학습에 따른 알고리즘 모델을 적용하는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전자장치(10)는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1전자장치(1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50)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 비휘발성의 메모리로부터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휘발성의 메모리로 로드하고,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응용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또는 그 배수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코어가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롬 및 램과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 즉, 인코딩하여 미디어 포맷(예를 들면, MPEG-TS)의 스트림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더(코덱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SD, HD, UHD 급의 대용량 A/V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는 코덱 인코더로서,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H.264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인코더로서 구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하드웨어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전자장치(10)에는 인코더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코더는 각각이 하드웨어 디코더나, 소프트웨어 디코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패킷 송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송신 처리부는 인코더를 통해 압축된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화(packetization)하며, 패킷화된 데이터, 즉, 복수의 패킷은 패킷 그룹 단위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2전자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를 구현하는 일례인 CPU 또는 응용 프로세서는 제1전자장치(1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 (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제1전자장치(10)의 제조 시에 제1전자장치(1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전자장치(1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서버로부터 제1전자장치(1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 외부 서버 등은,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프로그램은 컴퓨터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례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50)의 동작은 제1전자장치(1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1전자장치(10)의 프로세서(150)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인스트럭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전자장치(2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전자장치는 도 5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전자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5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전자장치(20)는, 도 5에 구성된 구성의 일부가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2전자장치(20)의 구성 중 제1전자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제2전자장치(20)가 제1전자장치(10)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HDMI, HDMI-CEC, USB, 컴포넌트(Component), 디스플레이 포트(DP), DVI, 썬더볼트, RGB 케이블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소스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여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지상파/위성방송 등 방송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연결되거나, 케이블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등과 같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전자장치(20)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할 수도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하는 비디오/오디오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수신된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튜너와 디모듈레이터는 통합된 형태의 단일 칩으로 설계되거나, 상호 분리된 2개의 칩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외부 마이크 또는 마이크를 구비한 외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마이크 또는 오디오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헤드셋,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과 같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통해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기기,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서버 등과 1:1 또는 1:N (N은 자연수)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기기에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1)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각각 별개로 전송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제2전자장치(2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억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으로 제2전자장치(20)와 외부장치, 예를 들면, 제1전자장치(10) 사이에 1 대 1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등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가 제1전자장치(10)와 다이렉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40)에는 통신 대상 기기인 제1전자장치(10)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자장치(20)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성능에 따라 무선랜유닛과 무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자기장을 포함하는 EM 통신, 가시광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네트워크 상의 제1전자장치(10) 등의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외부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적외선 통신규격에 따라 IR(Infrared)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하거나, 다른 외부장치로 리모컨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전자장치(2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른 방식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와 리모컨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마이크(microphone)와 같은 음성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음성의 정보로서 소정 데이터를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태/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해당 사용자음성의 처리 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내부 또는 외부의 스피커(loudspeaker)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로서, 사용자음성을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제2전자장치(20)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제2전자장치(20)가 STT(speech to text)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제2전자장치(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음성에 대응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제2전자장치(20)에서, 제1전자장치(10) 등의 외부장치의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자장치(20)는, 제1전자장치(10)와 이더넷 모뎀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리모컨과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제2전자장치(20)에서, 제1전자장치(10)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자장치(2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제1전자장치(10) 및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제2전자장치(2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제2전자장치(20)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디스플레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2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 예를 들면 구동부(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20)에는 소스, 즉, 제1전자장치(1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사용자입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프로세서(25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2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230)는 제2전자장치(20)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230)는 제2전자장치(2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장치(10)로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예를 들면, 리모컨(remote control), 게임콘솔(game console),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등을 포함하며, 제2전자장치(20)와 이격 분리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장치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하다.
입력장치는 제2전자장치(2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가 되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사운드를 수신하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는 사용자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microphone)로서 구현되며, 마이크는 제2전자장치(20)에 마련되거나, 제2전자장치(20)와 이격 분리된 다른 장치, 예를 들면, 리모컨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전자장치(20)는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2전자장치(2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240)는 제2전자장치(2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을 수 있으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2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2전자장치(20)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2전자장치(2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2전자장치(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UI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또는 이미지,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240)에는 제2전자장치(20)가 텔레비전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TV 어플리케이션 또는 TV 클라이언트와, 제1전자장치(1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컨텐트가 재생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VOD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전자장치(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2전자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24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11)를 통해 제2전자장치(2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240), 프로세서(250) 내 롬(ROM)(도시되지 아니함), 램(RAM)(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장치(10)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제2전자장치(20)는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2전자장치(2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25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제1전자장치(1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22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220)에 컨텐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 해제, 즉, 디코딩하는 디코더(코덱 디코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SD, HD, UHD 급의 대용량 A/V 데이터를 압축 해제할 수 있는 코덱 디코더로서, 예를 들면 MPEG, HEVC, H.264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디코더로서 구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하드웨어 디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디코더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전자장치(20)에는 디코더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코더는 각각 하드웨어 디코더나, 소프트웨어 디코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압축 해제된 컨텐트 신호를 디스플레이(22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전자장치(20)에서 수행되는 영상처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와 스케일러 등의 영상처리부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장치(20)에는 튜너,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5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50)는 패킷 수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수신 처리부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역패킷화(de-packetization)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며, 역패킷화된 데이터, 즉, 스트림 데이터는 인코더를 통해 파싱(parsing) 및 압축 해제됨으로써, 디스플레이(220)에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자장치와 제2전자장치 간 데이터의 송수신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전자장치에서 패킷 송신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제2전자장치에서 패킷 수신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킷 전송이 이루어지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전자장치(10)에는, 인코더(611), 패킷 송신 처리부(613), 소켓 통신부(615)가 마련되어,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제2전자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코더(611)와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자장치(10)의 프로세서(150)의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 프로세서, 예를 들면, CPU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소켓 통신부(615)(TX)는 인터페이스부(110)의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계층의 UDP/TCP 소켓을 이용하여 패킷 큐(614)에 저장된 패킷을 읽어들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 즉, 제2전자장치(2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6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원본 A/V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A/V Stream Queue)(612)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611)는 프레임보다 작은 단위(주기)로 스트림 처리를 하는, 이른바 저지연 코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코더(611)는 AV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가 아닌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612)에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단위로, 즉, 1/FPS 마다 1장의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동작하는 인코더의 경우, 압축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지연시간(latency), 예를 들면, 약 33ms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자장치(10)에서는, 프레임 단위의 지연없이 인코더(611)에 의해 즉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실시간성이 중요한 게임, 미디어파일 등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림 큐(62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패킷화한 후 패킷 큐(614)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스트림 큐(612)에 누적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도록 처리하고(Processing Incoming A/V Stream Queue)(711), 읽은 데이터에 대한 패킷화를 수행하며(packetization)(712), 패킷화된 데이터(패킷 데이터)를 전송을 위해 패킷 큐(614)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Processing Outgoing Packet Queue)(713).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스트림 큐(612)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읽어 패킷화하며, 패킷화된 데이터는 패킷 그룹의 단위로 패킷 큐(614)에 저장됨으로써 제2전자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그룹은 프레임 보다 작은 단위로서, 예를 들면, 2 이상의 패킷 그룹의 패킷 데이터들이 모여서 하나의 프레임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하나가 모두 처리되기 전에 일부의 데이터를 수신측, 다시 말해, 제2전자장치(20)에 먼저 전송하여, 제2전자장치(20)가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리밍 과정에서 프레임 단위의 처리 지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에는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714)와 정보 삽입부(Add Timing Info.)(715)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타이머에 의해 패킷 그룹의 각 패킷에 대한 전송 타이밍(송신 타이밍)이 식별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714)는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전송되도록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패킷 큐에 저장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밍 제어부(714)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정해진 주기에 따라 패킷 큐(612)에 저장되도록 하는 시간 간격(tproc)을 설정할 수 있다.
시간 간격(tproc)은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전송 휴지 구간(quiet period 또는 sleep period)으로서,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 예를 들면, 수 밀리 초(millisecond, ms)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간격(tproc)은 스트림 큐(612)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 다시 말해, 인코더(611)의 처리 속도에 기초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간격(tproc)이 짧게 설정되면 한 번에 전송되는 패킷 그룹 내 패킷 개수가 감소하며, 시간 간격(tproc)이 길게 설정되면 패킷 그룹 내 패킷 개수는 증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간 간격(tproc)은, 인코더(611)의 처리 속도를 고려하여, 패킷 그룹이 정해진 범위의 개수의 패킷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스트림 큐(612)로부터 읽은 데이터가, 상기의 설정된 시간 간격(tproc)을 두고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패킷 그룹의 데이터로서 패킷 큐(614)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패킷화된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송신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그룹은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트(burst) 패킷 그룹으로서 정의된다. 패킷 그룹은 프레임 대비 짧은 주기를 가지며, 예를 들면, 33ms의 간격을 가지는 프레임 데이터가, 수 ms의 간격을 가지는 수십 개 (예: 11개, 33개 등)의 패킷 그룹의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로서 패킷 그룹의 주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프레임 길이 대비 패킷 그룹의 길이와 상기와 같이 설정된 시간 간격(tproc)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제2전자장치(10)로 전송되는 타이밍, 즉,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전송 휴지 구간인 시간 간격(tproc) 동안 스트림 큐(61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패킷 그룹의 데이터로서 패킷 큐(614)에 저장 및 제2전자장치(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송신측, 즉, 제1전자장치(10)의 타이머 기준으로 t = T 시점에 스트림 큐(612)에 누적되어 있는 스트림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 패킷화하여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i번째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생성 및 패킷 큐(614)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제2전자장치(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후,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t = T + tproc + tTX 까지 스트림 큐(612)에 데이터가 누적되면, t = T + tproc + tTX 시점에 그 누적되어 있는 스트림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 패킷화하여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i+1번째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생성 및 패킷 큐(615)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제2전자장치(20)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속되는 두 패킷 그룹의 데이터, 예를 들면, i번째 패킷 그룹의 데이터와 i+1번째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처리 주기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간격(tproc)을 두고 전송될 수 있다(도 9 참조).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전송 휴지 구간인 시간 간격(tproc) 동안 스트림 큐(61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그룹의 데이터로서 패킷 큐(614)에 저장하고, 해당 시간 간격(tproc)이 경과된 시점에 패킷 큐에 저장된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제2전자장치(20)로 일괄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 개시 시점에 스트림 큐(61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지정하여 패킷 큐(614)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 처리 주기(예를 들면, i번째, i+1번째, i+2번째 등) 마다 전송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는 인코더(611)의 처리 속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킷 그룹의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 시간 간격(tproc)은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예: 수 밀리 초)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즉, 패킷 큐(614)에는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그 저장된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버스트하게 전송되므로, 스트림 데이터의 비트레이트(bitrate) 보다 빠른 속도로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단위로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 전송 속도가 네트워크 대역폭 범위 이내라면(즉, 네트워크 지연이 없으면) 전송 속도 = 수신 속도이므로, 최대 가용 대역폭이 항상 비트레이트로 측정되어,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의미가 없으며, 정확한 가용 대역폭을 알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스트림 데이터의 비트레이트보다 빠른 속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을 실질적으로 대역폭 추정을 위한 프로빙 패킷과 같이 활용하여, 수시로 변화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정확한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정보 삽입부(715)는 매 처리 주기마다 전송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그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패킷 그룹의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에 대해, 해당 패킷이 첫번째 패킷임을 알리는 1비트 플래그(1-Bit Flag) 정보가 헤더에 부가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부가된 식별 정보는 수신측, 즉, 제2전자장치(20)에서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삽입부(715)는 매 처리 주기마다 전송되는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이 송신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에 의해 복수의 패킷 각각에 대해 패킷 큐(614)에 저장되기 직전의 타이밍이 식별되어, 송신 타이밍 정보로서 각 패킷의 헤더에 부가 또는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는 제2전자장치(20)에서 패킷 그룹 데이터를 구성하는 패킷들의 패킷 수신 간격(tRX)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패킷 그룹의 패킷 전송 간격(tTX)(패킷 송신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그룹의 패킷들에 대한 패킷 전송 간격(tTX)은 매우 짧은 시간 간격으로서,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 각각에 대한 전송 타이밍(송신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패킷 전송 간격(tTX)이 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2전자장치(20)에는, 디코더(621), 패킷 수신 처리부(623), 소켓 통신부(625)가 마련되어, 제1전자장치(10)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 및 파싱하여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코더(621)와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전자장치(20)의 프로세서(250)의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 프로세서, 예를 들면, CPU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소켓 통신부(615)(RX)는 인터페이스부(210)의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계층의 UDP/TCP 소켓을 이용하여 송신측, 다시 말해, 제1전자장치로부터 전달된 IP 패킷을 처리하여 패킷 큐(624)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큐(624)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읽어 역패킷화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622)(A/V Stream Queue)에 저장할 수 있다.
디코더(621)는, 스트림 큐(62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고,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원본 A/V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621)는 프레임보다 작은 단위(주기)로 스트림 처리를 하는, 이른바 저지연 코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코더(621)는 스트림 큐(62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가 아닌 실시간으로 압축 해제하여 AV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AV 데이터가 디스플레이(220)에 표시되도록 처리(예: 스케일링 등)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자장치(20)에서는, 프레임 단위의 지연없이 디코더(621)에 의해 즉시 비디오 프레임의 데이터가 획득되므로, 실시간성이 중요한 게임, 미디어파일 등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수신되어 패킷 큐(624)에 누적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도록 처리하고(Processing Incoming Packet Queue)(821), 읽은 데이터에 대한 역패킷화를 수행하며(De-packetization)(822), 역패킷화된 데이터를 스트림 큐(622)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Processing Outgoing A/V Stream Queue)(813).
여기서,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제1전자장치(10)에서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로 순차 전송되므로, 패킷 수신 처리부(623)에서도 비디오 프레임 대비 짧은 주기, 즉, 숏-텀(short-term) 주기로 처리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패킷 그룹의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수신 처리부(623)에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감지부(Burst Leading Packet Detector)(814)와,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대역폭 추정부(Estimate Available B/W)(815)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타이머에 의해 패킷 그룹의 각 패킷에 대한 수신 타이밍이 식별될 수 있다.
패킷 감지부(814)는 패킷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식별한다(Burst Leading Flag). 패킷 감지부(814)는, 예를 들면, 수신된 패킷들의 헤더를 파싱하여 해당 패킷의 해당 패킷이 패킷 그룹의 첫번째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헤더가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플래그)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패킷이 첫번째 패킷으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패킷 감지부(814)는 수신된 패킷들의 헤더를 파싱하여 각 패킷의 송신 타이밍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타이밍 정보는, 전술한 제1전자장치(10)에서 복수의 패킷 각각이 패킷 큐(614)에 저장되기 직전의 타이밍 정보가 각 패킷의 헤더에 부가 또는 삽입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감지부(814)는 카운터(counter)를 포함하며, 카운터를 통해 각각의 패킷을 카운트함으로써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Ni )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카운터는 패킷 그룹을 이루는 첫번째 패킷의 식별에 따라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별된 정보들은 대역폭 추정부(815)로 전달될 수 있다.
대역폭 추정부(815)는, 수신측, 즉, 제2전자장치(20)의 타이머 기준으로 각 패킷의 수신 타이밍 정보를 기록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대역폭 추정부(815)는 패킷 감지부(814)로부터 전달 받은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패킷 그룹의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의 수신 타이밍과 마지막 패킷의 수신 타이밍을 식별하고, 이들간의 간격을 계산하여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tRX)를 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송신부에서 매우 짧은 간격(tTX) 동안 전송되므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tRX)은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소정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tRX),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N), 패킷 사이즈(L)를 이용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각 패킷 그룹(예를 들면, i번째)의 첫번째 패킷이 감지될 때마다, 이전에 수신된 패킷 그룹(예를 들면, i-1번째)의 패킷 수신 간격(tRX)과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N)를 모니터링하여 가용 대역폭 추정 값을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장치(20)는, 패킷 그룹의 수신 속도 및 전송 속도를 구하고, 양자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1) 전송 속도 = 수신 속도이면, 전송 속도를 더 높이고, (2) 전송 속도 > 수신 속도가 되는 지점을 찾으면 이 지점이 한계 가용 대역폭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위 (1), (2)를 반대로 진행하여도 무방하므로, 전송 속도 > 수신 속도인 상태에서 전송 속도를 낮추어 전송 속도 = 수신 속도인 지점을 찾는 방식으로, 한계 가용 대역폭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용 대역폭 추정 시, 다이렉트(direct) 방식의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이렉트 방식은 두 쌍 이상의 패킷을 통해 가로축을 tTX (또는 송신율 RTX), 세로축을 tRX/tTX (또는 송신율 RTX/수신율 RRX)로 하는 Rate-Response Curve의 기울기와 X-절편을 계산함으로써 가용 대역폭 RA 를 추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 간격(tproc)으로 버스트하게 전송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용 대역폭의 추정이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용 대역폭 추정 시 인터랙티브(interactive) 방식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인터랙티브 방식은 패킷 전송 간격(tTX)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RTX/RRX 가 1보다 커지는 한계 가용 대역폭을 식별하게 된다. 여기서, 수신측, 즉, 제2전자장치(20)는 가용 대역폭의 추정 결과를 송신측, 즉, 제1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측, 다시 말해, 제2전자장치(20)에서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장치가 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송신측, 다시 말해, 제1전자장치(1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전자장치(10)는 제2전자장치(20)로부터 패킷 수신 간격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각 패킷의 헤더에 삽입된 송신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A/V 스트림 데이터의 비트레이트(RTX)를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t1st _TX 는 패킷 그룹의 첫번째 패킷 간의 간격으로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와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Burst Leading Flag)를 활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 값은 이론적으로는 패킷 그룹 간 시간 간격(tproc)에 대응하지만 실제 장치 내 타이머의 정밀도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송신 타이밍 정보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패킷 그룹을 이루는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와, 패킷 그룹의 패킷 개수를 이용하여 패킷 전송 간격(tTX), 즉, 패킷 그룹의 패킷 전송 속도를 식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전자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전자장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장치(10)와 제2전자장치(20) 양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각각 도 10 및 도 11의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자장치(10)에서, 프로세서(150), 즉, 인코더(611)는, 동작 1011에서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원본 A/V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612)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AV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가 아닌 실시간으로 압축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612)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 즉,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동작 1012에서 스트림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614)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스트림 큐(61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처리 주기)에 대응하여 시간 간격(tproc)을 두고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패킷 그룹의 데이터로서 패킷 큐(614)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 즉, 패킷 송신 처리부(613)는, 동작 1013에서, 소정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패킷의 헤더에 해당 패킷이 첫번째 패킷임을 알리는 플래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패깃 그룹의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의 헤더에 각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부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동작 1014에서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2전자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동작 1012에서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따라 패킷화되어 패킷 큐(614)에 누적 저장된 복수의 패킷으로 구성되며, 동작 1013에서 부가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전자장치(10)는 비디오 프레임보다 작은 수 밀리 초의 짧은 주기로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AV 데이터의 비트레이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데이터 패킷을 통한 대역폭 추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패킷 그룹의 첫번째 패킷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프레임보다 작은 단위로 스트림 처리를 하는 저지연 코덱에서도 대역폭 추정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자장치(20)에서, 프로세서(250) 즉,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동작 1111에서 제1전자장치(10)로부터 패킷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큐(624)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도 10의 동작 1012에서 비디오 프레임 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킷을 포함하며, 패킷 큐(624)에는 제1전자장치(10)로부터 수신된 패킷이 누적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 즉,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동작 1112에서 패킷 그룹을 이루는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tRX)을 식별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도 10의 동작 1013에서 부가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식별하고, 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그룹의 첫번째 패킷의 수신 타이밍과 마지막 패킷의 수신 타이밍을 식별 및 이들간의 간격을 계산하여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tRX)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tRX),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N), 패킷 사이즈(L)를 전술한 수학식 1에 적용하여 가용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50)는 패킷 그룹의 각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데이터의 비트레이트(RTX)를 더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 즉, 패킷 수신 처리부(623)는, 동작 1113에서 패킷 큐(624)에 저장된 패킷에 대해 역패킷화를 수행하여 스트림 큐(622)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50)는 패킷 큐(624)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 역패킷화를 수행하며, 역패킷화된 데이터(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622)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 즉, 디코더(621)는, 동작 1114에서 스트림 큐(62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2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50)는 스트림 큐(622)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가 아닌 실시간으로 압축 해제하여 AV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AV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20)에 표시되도록 처리(예: 스케일링 등)할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전자장치(20)는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로 수신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 대비 숏-텀(short-term) 주기로 대역폭 추정이 가능하므로, 실시간 네트워크 변화(예: 지연 등)에 대하여 적응적 대응(예: 어댑티브 스트리밍,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 검색 등)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가용 대역폭을 측정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OTT 스트리밍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에 따른 가용 대역폭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동시 접속 사용자의 수에 따라 실제 가용 대역폭이 다이나믹하게 변화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실제 가용 대역폭이 비트레이트보다 큰 경우(Time-Varying True Available BW > Video bitrate, Average Video bitrate = 약 35 Mbps)(1210)와, 실제 가용 대역폭이 비트레이트보다 작은 경우(Time-Varying True Available BW < Video bitrate, Average Video bitrate = 약 50 Mbps)(1220)를 각각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1210, 1220의 각 케이스에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대역폭(Available BW Estimates)(1212, 1222)이 실제 가용 대역폭(True Available BW)(1211, 1212)을 매우 유사하게 추정하고 있으며, 급격하게 변화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수십 밀리 초 이내로 실제 가용 대역폭 값에 수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이파이에 의해 연결된 다이렉트 D2D 스트리밍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에 따른 가용 대역폭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두 기기(10, 20) 사이의 물리적 거리와 와이파이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실제 가용 대역폭이 달라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실제 가용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Average True Available BW = 약 145 Mbps)(1310)와, 실제 가용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Average True Available BW = 약 193 Mbps)(1320)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1310, 1320의 각 케이스에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대역폭(Available BW Estimates)(1312, 1322)이 실제 가용 대역폭(Average True Available BW)(1311, 1312)을 유사하게 추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프로빙 장치 없이 데이터 패킷을 이용한 대역폭 추정이 가능하므로, 프로빙 과정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에 영향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므로, 측정 샘플이 많아져 추정 정확도가 높아지며, 특히 수 밀리 초 이하의 단기 (Short-Term) 모니터링으로도 정확한 가용 대역폭의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A/V 데이터의 비트레이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자체적으로 패킷 전송 타이밍을 조절하여 전송하므로, 코덱과의 인터페이스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프레임 이하 단위로 스트림 처리하는 저지연 코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장치(1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제1전자장치(10) 및 제2전자장치(2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50, 25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 제1전자장치 110 : 인터페이스부
111 : 유선 인터페이스부 112 : 무선 인터페이스부
140 : 저장부 150 : 프로세서
20 : 제2전자장치 210 : 인터페이스부
211 : 유선 인터페이스부 212 : 무선 인터페이스부
220 : 디스플레이 230 : 사용자입력부
250 : 저장부 250 :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 및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고,
    상기 패킷 큐에 상기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과, 상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에 저장하고,
    상기 스트림 큐에 저장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로 읽어 상기 패킷화를 수행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상기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패킷 큐에 저장되도록 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는 전자장치.
  6. 전자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비디오 프레임의 복수의 패킷과 상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의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 그룹의 복수의 패킷은 비디오 프레임 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는 전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킷 수신 간격, 상기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 및 패킷 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전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킷 큐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스트림 큐에 저장하고
    상기 스트림 큐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패킷 큐에 상기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과, 상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스트림 큐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스트림 큐에 저장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로 읽어 상기 패킷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가 상기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패킷 큐에 저장되도록 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는 방법.
  15.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비디오 프레임의 복수의 패킷과 상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의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패킷 그룹의 복수의 패킷은 비디오 프레임 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패킷의 송신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동작은, 상기 패킷 수신 간격, 상기 패킷 그룹을 구성하는 패킷의 개수 및 패킷 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큐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스트림 큐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스트림 큐에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패킷화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패킷 큐에 상기 비디오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여 저장된 스트림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과, 상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가용 대역폭이 추정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20.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 비디오 프레임의 복수의 패킷과 상기 복수의 패킷 중 첫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큐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그룹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패킷 그룹의 패킷 수신 간격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패킷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의 가용 대역폭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패킷 그룹의 복수의 패킷은 비디오 프레임 보다 짧은 주기에 대응하는 기록매체.
KR1020210107561A 2021-08-13 2021-08-1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5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561A KR20230025256A (ko) 2021-08-13 2021-08-1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561A KR20230025256A (ko) 2021-08-13 2021-08-1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56A true KR20230025256A (ko) 2023-02-21

Family

ID=8532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561A KR20230025256A (ko) 2021-08-13 2021-08-1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2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7728B (zh) 一种一对多同屏方法、装置和系统、同屏设备及存储介质
US10250664B2 (en) Placeshifting live encoded video faster than real time
KR101633100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8076364B (zh) 自适应媒体流传输设备和媒体服务设备
US9532099B2 (en) Distributed media stream synchronization control
CN106664458B (zh) 用于发射视频数据的方法、源装置以及存储媒体
US20070011343A1 (en) Reducing startup latencies in IP-based A/V stream distribution
US20080310825A1 (en) Record quality based upon network and playback device capabilities
US8082507B2 (en) Scalable user interface
US8526882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06381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77206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6016493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daptively adjusted documents
EP3839874A1 (en) Image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21017343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66769A1 (en) Receiving device, screen fram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991298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obtaining media stream with adaptive resolutions
EP3859540A1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154678A1 (en) Receiving device, screen fram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CN110557346A (zh) 一种无线影音传输系统及方法
KR2022001884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525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5367A (ko) 멀티미디어 트랜스코딩 클라이언트 장치 및 방법
KR20140002200A (ko) 무선 디스플레이 소스 장치 및 싱크 장치
KR2023009984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