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090A -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090A
KR20230025090A KR1020210107151A KR20210107151A KR20230025090A KR 20230025090 A KR20230025090 A KR 20230025090A KR 1020210107151 A KR1020210107151 A KR 1020210107151A KR 20210107151 A KR20210107151 A KR 20210107151A KR 20230025090 A KR20230025090 A KR 2023002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cent
user
vo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티팩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티팩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티팩츠
Priority to KR102021010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090A/ko
Publication of KR2023002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2Preprocessing operations, e.g. segment selection; Pattern representation or modelling, e.g. based on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or principal components; Feature selection or extra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4Training, enrolment or model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와 상이한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계되어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슨트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슨트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도슨트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도슨트 정보를 딥 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통해 생성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음성 도슨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성 정보는 유명인의 음성에서 추출한 음성 특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선호하는 유명인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docent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연예인과 같은 유명인들의 예술 작품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예술 작품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도슨트(docent)는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서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을 설명하는 안내인을 말하며, 쉬운 용어로 작품과 전시를 설명하여 일반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이러한, 미술 작품의 상세 정보와 함께 이에 대한 설명을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도슨트 서비스가 종래 제안된 바 있다. 다만, 종래의 도슨트 서비스는 입력된 텍스트를 기계음으로 출력하거나, 준비된 텍스트를 성우가 낭독한 것을 녹음한 음성 파일을 출력하는 것에 불과하였으며, 도슨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와 상이한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계되어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슨트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슨트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도슨트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도슨트 정보를 딥 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통해 생성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음성 도슨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성 정보는 유명인의 음성에서 추출한 음성 특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선호하는 유명인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딥 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통해 다양한 유명인이 다양한 도슨트 정보를 낭독하는 복수의 음성 도슨트 정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음성 도슨트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더욱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예술 작품에 대한 관심 및 흥미가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음성기반 도슨트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과 각각 연계되어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행 주체가 된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서로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복수의 작품의 정보와 해당 작품의 도슨트 정보를 보관하는 인벤토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저장된 작품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작품 검색에 대응하여 작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작품 검색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도슨트 정보를 추천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상술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제1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한다. 제1 사용자는 예술 작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려는 일반 사용자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1 사용자와 상이한 제2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서버(100)의 상술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한다. 제2 사용자는 서버(100)를 운영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작품 정보 및 전시 정보를 서버(100)에 제공하여, 작품 정보 제공 서비스의 운용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작품 정보는 작품의 이름, 작가, 사이즈, 재료, 작품의 이미지, 작품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시 정보는 전시회의 이름, 참여 작가, 참여 작품, 전시회장 위치, 전시회 기간, 전시회 가격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는 도슨트 정보, 음성 정보를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슨트 정보는 작품별 도슨트 정보, 전시별 도슨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품별 도슨트 정보는 작품 별로 해당 작품과 관련된 설명을 위한 정보로 텍스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시별 도슨트 정보는 해당 전시회와 관련된 설명을 위한 정보로 텍스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정보는 유명인의 음성에서 추출한 음성 특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명인은 연예인, 셀레브리티와 같이 일반 대중들이 관심을 가지는 인사를 의미하며, 특히, 예술 작품의 전시, 관람 및 예술 작품의 창작에 관심을 가지는 인사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작품 정보 및 전시 정보는 유명인이 관심을 가지는 작품 및 전시에 대한 정보인 유명인 관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유명인의 음성 정보와 작품별 도슨트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도슨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유명인의 음성 정보와 전시별 도슨트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도슨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음성 도슨트 정보는 유명인의 음성으로 도슨트 정보를 낭독하는 음성 파일일 수 있다. 서버(100)는 입력된 음성 정보와 입력된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여 음성 도슨트 정보를 생성하는 딥 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음성 정보의 음성 특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특성에 기반하여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낭독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축된 상태일 수 있다.
서버(100)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도슨트 정보와 음성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되는 도슨트 정보와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도슨트 정보를 딥 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유명인이 다양한 도슨트 정보를 낭독하는 복수의 음성 도슨트 정보를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작품 정보, 전시 정보, 도슨트 정보 및 음성 도슨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도슨트 제공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작품이 전시된 갤러리 또는 전시회장을 방문한 관람객일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관심이 있는 작품을 작품의 검색을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된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작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입력한 텍스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Open CV 기반의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된 이미지와 종래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작품의 이미지의 유사도 판단을 통해 매칭되는 작품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서버(100)는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검색된 작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작품의 검색의 요청 시 현재 위치 정보를 검색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작품의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한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가진 작품을 검색하여 검색된 작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관심이 있는 전시회, 갤러리에 대한 검색을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된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전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입력한 텍스트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제1 사용자에게 도슨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하는 도슨트 정보는 작품 도슨트 정보, 전시 도슨트 정보와 같이 텍스트 형식뿐만 아니라, 음성 도슨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작품, 특정 전시회, 특정 음성에 선택하는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도슨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제1 사용자가 검색한 작품의 이력 및 검색한 전시회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어떠한 유명인을 좋아하는 지 유명인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작품 도슨트 정보, 전시 도슨트 정보 및 음성 도슨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A 작품에 대한 검색 이력과 B 유명인을 좋아하는 제1 사용자에게, A 작품에 대해 B 유명인의 음성 특징을 병합하여 생성된 음성 도슨트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C 전시회에 대한 검색 이력을 고려하여 제1 사용자에게 C 전시회에 대한 도슨트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추천 및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딥 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통해 다양한 유명인이 다양한 도슨트 정보를 낭독하는 복수의 음성 도슨트 정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음성 도슨트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더욱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예술 작품에 대한 관심 및 흥미가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서버
110: 제1 사용자 단말
120: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1)

  1.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와 상이한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계되어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슨트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슨트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도슨트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도슨트 정보를 딥 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통해 생성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음성 도슨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성 정보는 유명인의 음성에서 추출한 음성 특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선호하는 유명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07151A 2021-08-13 2021-08-13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25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1A KR20230025090A (ko) 2021-08-13 2021-08-13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1A KR20230025090A (ko) 2021-08-13 2021-08-13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090A true KR20230025090A (ko) 2023-02-21

Family

ID=8532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51A KR20230025090A (ko) 2021-08-13 2021-08-13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0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3122B2 (ja) 認知的洞察を使用したビデオ・シーンの移動
CN107251006B (zh) 具有共享兴趣的消息的图库
KR101123217B1 (ko) 네트워크 및 기기 기능성으로의 액세스를 단순화하는스케일러블 시각 검색 시스템
JP5671557B2 (ja) 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含むシステム、メディア・オブジェクトにタグ付けする方法、および音声タグ付きメディア・オブジェクトを含むデジタル・データベースをサーチする方法
US8370358B2 (en) Tagging content with metadata pre-filtered by context
CN109522480B (zh) 一种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531700A (zh) 通过扩充服务的内容的自动扩充
US8538948B2 (en) Personal mashups
KR101462348B1 (ko) 모바일 메신저에 적용 가능한 태그를 이용한 재능 교환 및 공통 관심 사용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TWI316799B (ko)
JP2006031379A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
CN105453077A (zh) 用于应用启动的搜索结果上下文
US202000268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a marker in a graphical object
JP2005115867A (ja) 私的情報蓄積装置及び私的情報蓄積方法、並びに、私的情報管理装置及び私的情報管理方法
KR20150045236A (ko)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25090A (ko) 사용자 맞춤형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7207543B2 (ja) 情報推薦装置、情報推薦システム、情報推薦方法及び情報推薦プログラム
JP200705880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CN110598009B (zh) 查找作品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834536B1 (ko)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표시 방법
EP3702929A1 (en)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JP6178960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Rosa et al. An ubiquitous mobile multimedia system for events agenda
KR20130065867A (ko) 개인화된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KR101896479B1 (ko) 메모 등록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