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893A -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식별(id) - Google Patents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식별(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893A
KR20230024893A KR1020227041913A KR20227041913A KR20230024893A KR 20230024893 A KR20230024893 A KR 20230024893A KR 1020227041913 A KR1020227041913 A KR 1020227041913A KR 20227041913 A KR20227041913 A KR 20227041913A KR 20230024893 A KR20230024893 A KR 2023002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link
zone
information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산탄 라가반
타오 루오
소니 아카라카란
준이 리
정 호 류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a plurality of users or terminals, e.g. group communication or 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pre-organi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7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by reducing handover delay, e.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는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고,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한다. 기지국은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들의 그룹에 송신하고 구역 ID 정보를 그룹에 송신한다. 그룹 웨이크-업 신호 파라미터는 구역 ID 정보의 함수이다. 기지국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고, DMRS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고, 그리고/또는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한다. 사이드링크 UE는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고,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다른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식별(ID)
[0001] 본 출원은, "ZONE ID FOR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S"라는 명칭으로 2020년 6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3/039,392호의 권익을 주장하는, "ZONE ID FOR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S"라는 명칭으로 2021년 3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7/193,40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의 개시내용들은 명백하게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들에서 구역(zone) ID(identification)의 사용을 위한 기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텔레포니(telephony),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원격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널리 배치되어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0004] 이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도시 레벨, 국가 레벨, 지역 레벨, 및 심지어 글로벌 레벨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원격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어 왔다. 예시적인 원격통신 표준은 5세대(5G) NR(new radio)이다. 5G NR은 레이턴시, 신뢰도, 보안, (예컨대, IoT(Internet of Things)에 의한) 확장가능성, 및 다른 요건들과 연관된 새로운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공표된 연속적인 모바일 브로드밴드 에볼루션의 일부이다. 5G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와 연관된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5G NR의 일부 양상들은 4세대(4G)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에 기반할 수 있다. 5G NR 기술에서 추가의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개선들은 또한, 다른 다중-액세스 기술들 및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는 원격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0005]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차량 관련 통신 시스템들(예컨대,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거나 그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 관련 통신 시스템들은, 안전을 증가시키고 차량들의 충돌들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차량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악천후, 인근의 사고들, 도로 상태들에 관한 정보, 및/또는 다른 정보는 차량 관련 통신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차량들과 같은 사이드링크 UE들은 D2D(device-to-device) 무선 링크를 통한 D2D 통신들을 사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들은 사이드링크 통신들로 지칭될 수 있다.
[0006] 사이드링크 통신들에 대한 요구들이 증가함에 따라, 상이한 V2X 통신 시스템들이, 동일한 무선 통신 자원들을 위해 경쟁한다. 더욱이, 일부 사이드링크 UE들은 전력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링크 무선 통신들의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0007]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8]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는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사이드링크 UE는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9] 다른 양상에서,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게 한다. 명령들은 또한,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게 한다.
[0010] 또 다른 양상에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해 실행되며,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0011]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identification)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DMRS 시퀀스를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2] 다른 양상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identification)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포트를 이용하여 DMRS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3] 또 다른 양상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identification)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4]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상이한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5]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는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사이드링크 UE는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다른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6]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WUS(wake-up signal)를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들의 그룹에 송신하게 한다. 명령들은 또한, 장치로 하여금, 구역 ID 정보를 사이드링크 UE들의 그룹에 송신하게 한다. 그룹 웨이크-업 신호 파라미터는 구역 ID 정보의 함수이다.
[0017]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게 한다. 명령들은 또한, 장치로 하여금, DMRS 시퀀스를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게 한다.
[0018] 또 다른 양상에서,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게 한다. 명령들은 또한, 장치로 하여금, 포트를 이용하여 DMRS를 송신하게 한다.
[0019] 또 다른 양상에서,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게 한다. 명령들은 또한, 장치로 하여금,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게 한다.
[0020]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게 한다. 명령들은 또한,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상이한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게 한다.
[0021]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기지국에 의해 실행되며, WUS(wake-up signal)를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들의 그룹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구역 ID 정보를 사이드링크 UE들의 그룹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그룹 웨이크-업 신호 파라미터는 구역 ID 정보의 함수이다.
[0022] 다른 양상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해 실행되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DMRS 시퀀스를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0023] 또 다른 양상에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해 실행되며,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포트를 이용하여 DMRS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0024] 또 다른 양상에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해 실행되며,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0025]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해 실행되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다른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0026]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첨부 도면들 및 명세서에 의해 예시되고 그리고 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방법, 장치,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사용자 장비, 기지국,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0027] 전술한 내용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 장점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요약하였다.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설명될 것이다.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조들을 수정하거나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한 등가의 구성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개시된 개념들의 특성들, 그들의 구조 및 동작 방법 둘 모두는 연관된 장점들과 함께,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경우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 각각은 청구항들의 제한들의 정의로서가 아니라,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된다.
[0028] 본 개시내용의 위에서 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서 간략히 요약된 더 구체적인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양상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단지 특정한 통상적인 양상들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는 본 설명이 다른 균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이한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0029]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0030]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각각 제1의 5세대(5G) NR(new radio) 프레임, 5G NR 서브프레임 내의 DL(downlink) 채널들, 제2의 5G NR 프레임, 및 5G NR 서브프레임 내의 UL(uplink) 채널들의 예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0031] 도 3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UE(user equipment)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0032]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V2X(vehicle-to-everything) 시스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0033]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RSU(road side unit)를 갖는 V2X(vehicle-to-everything) 시스템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34]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UE(user equipment)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0035]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UE(user equipment) 구역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0036]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그룹 WUS(wake-up signal) 및 CHO(conditional handover)와 함께 구역 ID(identification)들을 사용하는 UE(user equipment)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7]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사이드링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8]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9]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40]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41]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사이드링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42]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충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양상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그리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교시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가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또는 임의의 다른 양상과 조합하여 구현되든 간에, 개시된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제시된 양상들 중 임의의 수의 양상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제시되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추가하여 또는 그 외에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와 기능성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개시된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0043] 원격통신 시스템들의 몇몇 양상들은 이제, 다양한 장치들 및 기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 및 기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고, 첨부 도면들에서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집합적으로 "엘리먼트들"로 지칭됨)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0044] 양상들이 5G 및 그 이후의 무선 기술들과 일반적으로 연관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이를테면, 3G 및/또는 4G 기술들과 같은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다른 세대-기반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0045]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테면, 기지국 또는 스케줄링 엔티티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부 네트워크들은, (예컨대, 기지국, 중계기, 또는 다른 노드를 통과하지 않고) 디바이스들 사이의 직접 링크를 사용하여 인근 디바이스들의 발견 및 그들과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D2D(device-to-device)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다. D2D 통신들은 메시 네트워크들 및 디바이스-네트워크 중계 기능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2D 기술의 일부 예들은 블루투스 페어링, Wi-Fi 다이렉트, 미라캐스트, 및 LTE-D를 포함한다. D2D 통신들은 또한, P2P(point-to-point) 또는 사이드링크 통신들로 지칭될 수 있다.
[0046] D2D 통신들은 면허 또는 비면허 대역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D2D 통신들은 기지국으로의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의 라우팅을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D2D 통신들은 스루풋을 개선하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0047] D2D 통신들의 타입은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들은 자율주행 차량들이 서로 통신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예컨대, 자율주행 차량들은 다수의 센서들(예컨대,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레이더, 카메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센서들은 가시선(line of sight) 센서들이다. 대조적으로, V2X 통신들은 자율주행 차량들이 비-가시선 상황들에 대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0048] 구역 ID(identification)는 UE의 물리적 로케이션에 기반하는 사이드링크 통신들의 개념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예컨대, 이를테면, 밀리미터 파(mmWave) 통신들을 이용하여 물리 계층(PHY) 프로토콜 설계들에서 UE의 구역 ID를 레버리징(leverage)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고려되는 일부 양상들은 mmWave(예컨대, 24.25 - 52.6 GHz 및 52.6 - 114.25 GHz에 각각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 2(FR2) 또는 주파수 범위 4(FR4))와 같은 주파수 대역들 내의 UE 노드들에 대한 그룹 WUS(wake-up signal)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WUS 파라미터 설계를 위해 구역 ID 정보를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49] 웨이크-업 신호들은 전력 절감들을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UE는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CDRX(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에 진입함으로써 슬립(sleep)할 수 있다. UE는 주기적으로 슬립으로부터 웨이크 업(wake up)하고 웨이크-업 신호를 리스닝한다. UE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0050] UE들이 상이한 시간들에 웨이크 업하면, 이들 UE들 사이에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설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는, 서로 가까이 있는 UE들에 대한 슬립/웨이크-업 사이클을 정렬한다. 구역 ID는 정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정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그룹 WUS 파라미터는 UE들의 구역 ID의 함수일 수 있다.
[0051]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페이로드 내에서 구역 ID 정보를 UE에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역 ID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의 일부 부분을 스크램블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52]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 및 UE는 다수의 방식들로 WUS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구역 ID 정보를 사용한다. 예컨대, WUS에 대해 모니터링할 탐색 공간 및 시간 로케이션은 구역 ID의 함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함수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일 수 있고, 또한 다른 공통 UE 파라미터들 또는 능력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0053]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역 ID 정보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거나 DMRS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스크램블링은 구역 ID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0054] CHO(conditional handover)는, 구성된 조건(들)에 기반하여 타깃 셀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갖는 UE로서 정의된다. 조건부 핸드오버의 사용은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된다. UE는 조건이 유효할 때, 예컨대 타깃 셀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를 평가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건부 핸드오버는 UE에 의해 그 자신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그리고 상이한/동일한 사이드링크 구역 ID를 통지하는 다른 사이드링크 UE들을 관찰함으로써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웃 UE들을 서빙하는 기지국이, 조건부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트리거링하는 서빙 기지국보다 더 양호한 신호를 갖는다는 간접적인 표시일 수 있다.
[0055]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건부 핸드오버는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다수의 다른 사이드링크 UE들의 통지된 구역 ID들에 기반하여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컨대, 사이드링크 UE와의 이웃 UE의 통신들의 신호 강도가 적절하게 구성된 신호 레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이드링크 UE와 이웃 셀 기지국 사이의 신호 강도가 또한 셀 핸드오버를 보증하기에 충분히 양호할 수 있다고 추론될 수 있다. 임계치는 이웃 UE와 그의 기지국 사이의 신호 강도 및/또는 사이드링크 UE에서 수신된 이웃 사이드링크 UE 송신들의 신호 강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0056]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으로 또한 지칭됨)은 기지국들(102), UE들(104), EPC(evolved packet core)(160), 및 다른 코어 네트워크(190)(예컨대, 5GC(5G core))를 포함한다. 기지국들(102)은 매크로셀들(고전력 셀룰러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들(102')(저전력 셀룰러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셀들은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소형 셀들(102')은 펨토셀들, 피코셀들, 및 마이크로셀들을 포함한다.
[0057] 4G LTE에 대해 구성된 기지국들(102)(집합적으로 E-UTRAN(evolved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으로 지칭됨)은 백홀 링크들(132)(예컨대, S1 인터페이스)을 통해 EPC(160)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5G NR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들(102)(집합적으로 NG-RAN(next generation RAN)으로 지칭됨)은 백홀 링크들(184)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90)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다른 기능들에 추가로, 기지국들(102)은 다음의 기능들: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라디오 채널 암호화 및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헤더 압축, 모빌리티 제어 기능들(예컨대, 핸드오버, 듀얼 연결성), 셀간 간섭 조정, 연결 셋업 및 해제, 로드 밸런싱,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들에 대한 분배, NAS 노드 선택, 동기화,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가입자 및 장비 트레이스, RIM(RAN information management), 페이징, 포지셔닝, 및 경고 메시지들의 전달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은 백홀 링크들(134)(예컨대, X2 인터페이스)을 통해 서로 (예컨대, EPC(160) 또는 코어 네트워크(190)를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백홀 링크들(134)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0058] 기지국들(102)은 UE들(104)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 각각은 개개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중첩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110)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소형 셀(102')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기지국들(102)의 커버리지 영역(110)과 중첩하는 커버리지 영역(110')을 가질 수 있다. 소형 셀 및 매크로셀들 둘 모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이종 네트워크로 알려질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는 또한, CSG(closed subscriber group)로 알려진 제한된 그룹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HeNB들(home eNB(evolved Node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과 UE들(104) 사이의 통신 링크들(120)은 UE(104)로부터 기지국(102)으로의 UL(uplink)(역방향 링크로 또한 지칭됨) 송신들 및/또는 기지국(102)으로부터 UE(104)로의 DL(downlink)(순방향 링크로 또한 지칭됨) 송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링크들(120)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포함하는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링크들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통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UE들(104)은 각각의 방향에서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총 Yx MHz(x 컴포넌트 캐리어들)까지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서 배정되는 캐리어 당 Y MHz(예컨대, 5, 10, 15, 20, 100, 400 MHz 등) 대역폭까지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들은 서로 인접할 수 있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캐리어들의 배정은 DL 및 UL에 대해 비대칭일 수 있다(예컨대, UL보다 DL에 대해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캐리어들이 배정될 수 있음).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1차 컴포넌트 캐리어 및 하나 이상의 2차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컴포넌트 캐리어는 1차 셀(PCell)로 지칭될 수 있고, 2차 컴포넌트 캐리어는 2차 셀(SCell)로 지칭될 수 있다.
[0059] 특정 UE들(104)은 D2D(device-to-device) 통신 링크(158)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D2D 통신 링크(158)는 DL/UL WWAN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 링크(158)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채널들, 이를테면,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및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들은 IEEE 802.11 표준, LTE, 또는 NR에 기반하여, FlashLinQ, WiMedia, Bluetooth, ZigBee, Wi-Fi와 같은 다양한 무선 D2D 통신 시스템들을 통할 수 있다.
[0060] 무선 통신 시스템은 5 GHz의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 링크들(154)을 통해 Wi-Fi 스테이션들(STA들)(152)과 통신하는 Wi-Fi AP(access point)(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하는 경우, STA들(152)/AP(150)는, 채널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통신하기 전에 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할 수 있다.
[0061] 소형 셀(102')은 면허 및/또는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경우, 소형 셀(102')은 NR을 이용할 수 있고, Wi-Fi AP(15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5 GHz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NR을 이용하는 소형 셀(102')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커버리지를 부스팅하고 그리고/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0062] 기지국(102)은 소형 셀(102')이든 또는 대형 셀(예컨대, 매크로 기지국)이든, eNB, gNB(gNodeB), 또는 다른 타입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기지국들, 이를테면, gNB(180)는 UE(104)와의 통신에서 종래의 서브 6 GHz 스펙트럼, 밀리미터 파(mmWave) 주파수들 및/또는 근(near) mmWave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gNB(180)가 mmWave, 또는 근 mmWave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경우, gNB(180)는 mmWave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EHF(extremely high frequency)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RF(radio frequency)의 일부이다. EHF는 30 GHz 내지 300 GHz의 범위 및 1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다. 이 대역의 라디오 파들은 밀리미터 파로 지칭될 수 있다. 근 mmWave는 100 밀리미터의 파장으로 3 GHz의 주파수까지 아래로 확장될 수 있다. SHF(super high frequency) 대역은 3 GHz 내지 30 GHz까지(센티미터 파로 또한 지칭됨) 확장된다. mmWave/근 mmWave 라디오 주파수 대역(예컨대, 3 GHz 내지 300 GHz)을 사용하는 통신들은 극도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갖는다. mmWave 기지국(180)은 극도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보상하기 위해 UE(104)와의 빔포밍(182)을 활용할 수 있다.
[0063] 기지국(180)은 빔포밍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송신 방향들(182')로 UE(104)에 송신할 수 있다. UE(104)는 빔포밍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수신 방향들(182")로 기지국(18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UE(104)는 또한, 빔포밍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송신 방향들로 기지국(180)에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180)은 빔포밍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수신 방향들로 UE(10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80)/UE(104)는 기지국(180)/UE(104) 각각에 대한 최상의 수신 및 송신 방향들을 결정하기 위해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80)에 대한 송신 및 수신 방향들은 동일할 수 있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UE(104)에 대한 송신 및 수신 방향들은 동일할 수 있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0064] EPC(16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62), 다른 MME들(164), 서빙 게이트웨이(166),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게이트웨이(168),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170), 및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172)를 포함할 수 있다. MME(162)는 HSS(home subscriber server)(174)와 통신할 수 있다. MME(162)는 UE들(104)과 EPC(16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MME(162)는 베어러 및 연결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IP(Internet protocol) 패킷들은, 자체로 PDN 게이트웨이(172)에 연결된 서빙 게이트웨이(166)를 통해 전송된다. PDN 게이트웨이(172)는 UE IP 어드레스 배정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PDN 게이트웨이(172) 및 BM-SC(170)는 IP 서비스들(176)에 연결된다. IP 서비스들(176)은 인터넷, 인트라넷, IMS(IP multimedia subsystem), PS 스트리밍 서비스, 및/또는 다른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BM-SC(170)는 MBMS 사용자 서비스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및 전달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BM-SC(170)는 콘텐츠 제공자 MBMS 송신을 위한 엔트리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 있고,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MBMS 베어러 서비스들을 인가 및 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MBMS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BMS 게이트웨이(168)는, 특정 서비스를 브로드캐스트하는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영역에 속하는 기지국들(102))에 MBMS 트래픽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세션 관리(시작/중단)를 담당하고 eMBMS 관련 과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0065] 코어 네트워크(190)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192), 다른 AMF들(193),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194), 및 UPF(user plane function)(195)를 포함할 수 있다. AMF(192)는 UDM(unified data management)(196)과 통신할 수 있다. AMF(192)는 UE들(104)과 코어 네트워크(19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AMF(192)는 QoS(quality of service) 흐름 및 세션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IP(Internet protocol) 패킷들은 UPF(195)를 통해 전송된다. UPF(195)는 UE IP 어드레스 배정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UPF(195)는 IP 서비스들(197)에 연결된다. IP 서비스들(197)은 인터넷, 인트라넷, IMS(IP multimedia subsystem), PS 스트리밍 서비스, 및/또는 다른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66] 기지국(102)은 또한, gNB, 노드 B, eNB(evolved Node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BSS(basic service set), ESS(extended service set), TRP(transmit reception point),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UE(104)에 대해 EPC(160) 또는 코어 네트워크(190)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UE들(104)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랩톱,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태블릿, 스마트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량, 전기 계량기(electric meter), 가스 펌프, 대형 또는 소형 주방 기기, 헬스케어 디바이스, 임플란트, 센서/액추에이터,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들(104) 중 일부는 IoT 디바이스들(예컨대, 주차료 징수기(parking meter), 가스 펌프, 토스터(toaster), 차량들, 심장 모니터 등)로 지칭될 수 있다. UE(104)는 또한, 스테이션,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0067]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특정 양상들에서, 사이드링크 UE, 이를테면, UE(104)는 구역 정보에 기반하여 조건부 핸드오프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UE(104)는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트리거링 컴포넌트(19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 이를테면, 기지국(102)은, 구역 ID에 기반하여 DMRS(data 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거나, 구역ID에 기반하여 DMRS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거나,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거나, 구역 ID에 기반하여 UE들의 그룹을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된 구역 ID 컴포넌트(199)를 포함할 수 있다.
[0068] 다음의 설명은 5G NR에 초점을 맞출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유사한 영역들, 이를테면, LTE, LTE-A, CDMA, GSM, 및 다른 무선 기술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0069] 도 2a는 5G NR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서브프레임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200)이다. 도 2b는 5G NR 서브프레임 내의 DL 채널들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230)이다. 도 2c는 5G NR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서브프레임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250)이다. 도 2d는 5G NR 서브프레임 내의 UL 채널들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280)이다. 5G NR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들의 특정 세트(캐리어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서브캐리어들의 세트 내의 서브프레임들이 DL 또는 UL에 대해 전용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일 수 있거나, 또는 서브캐리어들의 특정 세트(캐리어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서브캐리어들의 세트 내의 서브프레임들이 DL 및 UL 둘 모두에 대해 전용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일 수 있다. 도 2a, 도 2c에 의해 제공되는 예들에서, 5G NR 프레임 구조는 TDD인 것으로 가정되고, 서브프레임 4는 슬롯 포맷 28(주로 DL의 경우)로 구성되고(여기서, D는 DL이고, U는 UL이고, X는 DL/UL 사이에서의 사용을 위해 유연성 있음), 서브프레임 3은 슬롯 포맷 34(주로 UL의 경우)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들 3, 4가 각각 슬롯 포맷들 34, 28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특정 서브프레임이 다양한 이용가능한 슬롯 포맷들 0 내지 61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롯 포맷들 0, 1 모두는 각각 DL, UL이다. 다른 슬롯 포맷들 2 내지 61은 DL, UL 및 유연한 심볼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UE들은 (동적으로 DCI(DL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또는 준-정적/정적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된 SFI(slot format indicator)를 통해 슬롯 포맷을 갖도록 구성된다. 아래의 설명은 TDD인 5G NR 프레임 구조에 또한 적용됨을 주목한다.
[0070]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은 상이한 프레임 구조 및/또는 상이한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 ms)은 10개의 동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들(1 ms)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7개, 4개, 또는 2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는 미니-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슬롯 구성에 따라 7개 또는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 구성 0에 대해, 각각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슬롯 구성 1에 대해, 각각의 슬롯은 7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DL 상의 심볼들은 CP-OFDM(CP(cyclic prefix) OFDM) 심볼들일 수 있다. UL 상의 심볼들은 CP-OFDM 심볼들(높은 스루풋 시나리오들의 경우) 또는 DFT-S-OFDM(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심볼들(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들로 또한 지칭됨)(전력 제한된 시나리오들의 경우; 단일 스트림 송신으로 제한됨)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의 슬롯들의 수는 슬롯 구성 및 뉴머롤로지(numerology)에 기반한다. 슬롯 구성 0의 경우, 상이한 뉴머롤로지들 μ 0 내지 5는 서브프레임마다 각각 1, 2, 4, 8, 16, 및 32개의 슬롯들을 허용한다. 슬롯 구성 1의 경우, 상이한 뉴머롤로지들 0 내지 2는 서브프레임마다 각각 2, 4, 및 8개의 슬롯들을 허용한다. 따라서, 슬롯 구성 0 및 뉴머롤로지 μ의 경우, 14개의 심볼들/슬롯 및 2μ개의 슬롯들/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서브캐리어 간격 및 심볼 길이/지속기간은 뉴머롤로지의 함수이다. 서브캐리어 간격은 2μ*15 kHz와 동일할 수 있고, 여기서, μ는 뉴머롤로지 0 내지 5이다. 따라서, 뉴머롤로지 μ=0은 15 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고, 뉴머롤로지 μ=5는 480 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다. 심볼 길이/지속기간은 서브캐리어 간격과 역으로 관련된다. 도 2a - 도 2d는 슬롯마다 14개의 심볼들을 갖는 슬롯 구성 0 및 서브프레임마다 1 개의 슬롯을 갖는 뉴머롤로지 μ = 0의 예를 제공한다.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kHz이고, 심볼 지속기간은 대략 66.7 μs이다.
[0071] 자원 그리드는 프레임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 각각의 시간 슬롯은 12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확장되는 RB(resource block)(PRB(physical RB)들로 또한 지칭됨)를 포함한다. 자원 그리드는 다수의 RE(resource element)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RE에 의해 반송되는 비트들의 수는 변조 방식에 의존한다.
[0072]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RE들 중 일부는 UE에 대한 RS(reference (pilot) signal)들을 반송한다. RS는 UE에서의 채널 추정을 위해 DM-RS(demodulation RS)(하나의 특정 구성에 대해 Rx로 표시됨, 여기서 100x는 포트 번호이지만, 다른 DM-RS 구성들이 가능함) 및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들을 포함할 수 있다. RS는 또한 BRS(beam measurement RS), BRRS(beam refinement RS), 및 PT-RS(phase tracking RS)를 포함할 수 있다.
[0073] 도 2b는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내의 다양한 DL 채널들의 예를 예시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하나 이상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들 내에서 DCI를 반송하고, 각각의 CCE는 9개의 REG(RE group)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REG는 OFDM 심볼에서 4개의 연속적인 RE들을 포함한다.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는 프레임의 특정 서브프레임들의 심볼 2 내에 있을 수 있다. PSS는 서브프레임/심볼 타이밍 및 물리 계층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해 UE(104)에 의해 사용된다.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는 프레임의 특정 서브프레임들의 심볼 4 내에 있을 수 있다. SSS는 물리 계층 셀 아이덴티티 그룹 번호 및 라디오 프레임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물리 계층 아이덴티티 및 물리 계층 셀 아이덴티티 그룹 번호에 기반하여, UE는 PCI(physical cell identifier)를 결정할 수 있다. PCI에 기반하여, UE는 전술한 DM-RS의 로케이션들을 결정할 수 있다.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반송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는 SS(synchronization signal)/PBCH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PSS 및 SSS와 논리적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MIB는 시스템 대역폭의 다수의 RB들, 및 SFN(system frame number)을 제공한다.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사용자 데이터,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들과 같이 PBCH를 통해 송신되지 않는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들을 반송한다.
[0074]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RE들 중 일부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을 위해 DM-RS(하나의 특정 구성에 대해 R로 표시되지만 다른 DM-RS 구성들이 가능함)를 반송한다. UE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DM-RS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DM-RS를 송신할 수 있다. PUSCH DM-RS는 PUSCH의 처음 하나 또는 2개의 심볼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PUCCH DM-RS는 짧은 PUCCH들이 송신되는지 또는 긴 PUCCH들이 송신되는지에 따라 그리고 사용되는 특정 PUCCH 포맷에 따라 상이한 구성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UE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들을 송신할 수 있다. SRS는 UL 상에서의 주파수-의존적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채널 품질 추정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075] 도 2d는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내의 다양한 UL 채널들의 예를 예시한다. PUCCH는 일 구성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로케이팅될 수 있다. PUCCH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이를테면, 스케줄링 요청들,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피드백을 반송한다. PUSCH는 데이터를 반송하고, 추가적으로 BSR(buffer status report), PHR(power headroom report), 및/또는 UCI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76] 도 3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UE(350)와 통신하는 기지국(310)의 블록도이다. DL에서, EPC(160)로부터의 IP 패킷들은 제어기/프로세서(375)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375)는 계층 3 및 계층 2 기능성을 구현한다. 계층 3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포함하고, 계층 2는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포함한다. 제어기/프로세서(375)는 시스템 정보(예컨대, MIB, SIB들)의 브로드캐스트, RRC 연결 제어(예컨대, RRC 연결 페이징, RRC 연결 설정, RRC 연결 수정, 및 RRC 연결 해제), RAT(radio access technology)간 모빌리티, 및 UE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구성과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보안(암호화,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및 핸드오버 지원 기능들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PDU(packet data unit)들의 전송, ARQ를 통한 에러 정정, 연접, 세그먼트화, 및 RLC SDU(service data unit)들의 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재순서화와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로직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TB(transport block)들 상으로의 MAC SDU들의 멀티플렉싱, TB들로부터 MAC SDU들의 디멀티플렉싱, 스케줄링 정보 보고, HARQ를 통한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로직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0077] 송신(TX) 프로세서(316) 및 수신(RX) 프로세서(370)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 1 기능성을 구현한다. 물리(PHY)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1은 전송 채널들 상에서의 에러 검출, 전송 채널들의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코딩/디코딩, 인터리빙, 레이트 매칭, 물리 채널들 상으로의 맵핑, 물리 채널들의 변조/복조, 및 MIMO 안테나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TX 프로세서(316)는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컨대,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PSK(M-phase-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에 기반하는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로의 맵핑을 핸들링한다. 그런 다음, 코딩되고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스트림은, OFDM 서브캐리어에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준 신호(예컨대, 파일럿)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고, 그런 다음,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OFDM 스트림은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채널 추정기(37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코딩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채널 추정치는, 기준 신호 및/또는 UE(350)에 의해 송신된 채널 조건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별개의 송신기(318TX)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320)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기(318TX)는 송신을 위해 개개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 있다.
[0078] UE(350)에서, 각각의 수신기(354RX)는 자신의 개개의 안테나(352)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354RX)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수신(RX) 프로세서(356)에 제공한다. TX 프로세서(368) 및 RX 프로세서(356)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 1 기능성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356)는 정보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UE(350)를 목적지로 하는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 있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UE(350)를 목적지로 하면, 이들은 RX 프로세서(356)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RX 프로세서(356)는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여 OFDM 심볼 스트림을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기지국(3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 및 복조된다. 이러한 연판정(soft decision)들은, 채널 추정기(358)에 의해 컴퓨팅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연판정들은, 물리 채널 상에서 기지국(310)에 의해 원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그런 다음,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계층 3 및 계층 2 기능성을 구현하는 제어기/프로세서(359)에 제공된다.
[0079] 제어기/프로세서(359)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60)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359)는, 전송 채널과 로직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및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EPC(160)로부터의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359)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80] 기지국(310)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359)는 시스템 정보(예컨대, MIB, SIB들) 포착, RRC 연결들, 및 측정 보고와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및 보안(암호화,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PDU들의 전송, ARQ를 통한 에러 정정, 연접, 세그먼트화, 및 RLC SDU들의 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재순서화와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로직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TB들 상으로의 MAC SDU들의 멀티플렉싱, TB들로부터 MAC SDU들의 디멀티플렉싱, 스케줄링 정보 보고, HARQ를 통한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로직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0081] 기준 신호 또는 기지국(310)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추정기(358)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TX 프로세서(36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TX 프로세서(368)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개의 송신기들(354TX)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352)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기(354TX)는 송신을 위해 개개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 있다.
[0082] UL 송신은, UE(350)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310)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수신기(318RX)는 자신의 개개의 안테나(3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318RX)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RX 프로세서(370)에 제공한다.
[0083] 제어기/프로세서(375)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76)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376)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375)는, 전송 채널과 로직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350)로부터의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375)로부터의 IP 패킷들은 EPC(16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375)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84] TX 프로세서(368), RX 프로세서(356), 및 제어기/프로세서(359)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트리거링 컴포넌트(198) 및/또는 구역 ID 컴포넌트(199)와 관련한 양상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TX 프로세서(316), RX 프로세서(370), 및 제어기/프로세서(375)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트리거링 컴포넌트(198) 및/또는 구역 ID 컴포넌트(199)와 관련한 양상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5] 일부 양상들에서, 기지국(102, 310) 및/또는 UE(104, 350)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송신하기 위한 수단,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생성하기 위한 수단, 선택하기 위한 수단,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수단,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수단은, 도 1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지국(102, 310) 및/또는 UE(104, 35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86]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V2X 통신들을 포함하는 D2D(device-to-device) 통신 시스템(400)의 도면이다. 예컨대, D2D 통신 시스템(400)은 V2X 통신들(예컨대, 제1 UE(450)가 제2 UE(451)과 통신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1 UE(450) 및/또는 제2 UE(451)는 면허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 및/또는 공유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유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은 비면허일 수 있고, 따라서 NR(new radio), LTE, LTE-어드밴스드, LAA(licensed assisted access),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들, MuLTEFire, 4G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기술들이 통신들을 위해 공유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들의 리스트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하며,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0087] D2D 통신 시스템(400)은 NR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이를테면, LTE 라디오 액세스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D2D 통신들(예컨대, V2X 통신들 또는 V2V(vehicle-to-vehicle) 통신들)에서, UE들(450, 451)은 상이한 MNO(mobile network operator)들의 네트워크들 상에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들 각각은 그 자신의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UE(450)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예컨대, Uu 인터페이스)는 제2 UE(451)의 에어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 상에 있을 수 있다. 제1 UE(450) 및 제2 UE(451)는 사이드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예컨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MNO들은 면허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 및/또는 공유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예컨대, 5 GHz 라디오 스펙트럼 대역들)에서 UE들(450, 451) 간의 또는 UE들(450, 451)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0088] 공유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은 비면허일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기술들이 통신들을 위해 공유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UE들(450, 451) 간의 또는 UE들(450, 451) 사이의 D2D 통신들(예컨대, 사이드링크 통신들)은 MNO들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 D2D 통신 시스템(400)은 제3 UE(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89] 예컨대, 제3 UE(452)는 (예컨대, 제1 MNO의) 제1 네트워크(410)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3 UE(452)는 제1 UE(450) 및/또는 제2 UE(451)와 D2D 통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20)(예컨대, gNB)은 다운링크(DL) 캐리어(432) 및/또는 업링크(UL) 캐리어(442)를 통해 제3 UE(452)와 통신할 수 있다. DL 통신들은 다양한 DL 자원들(예컨대, DL 서브프레임들(도 2a) 및/또는 DL 채널들(도 2b))을 사용할 수 있다. UL 통신들은 다양한 UL 자원들(예컨대, UL 서브프레임들(도 2c) 및 UL 채널들(도 2d))을 사용하여 UL 캐리어(44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0090] 제1 네트워크(410)는 제1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고, 예컨대 도 1 -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UE(450)와 통신하는 제1 기지국(420)(예컨대, gNB)을 포함한다. 제1 기지국(420)(예컨대, gNB)은 DL 캐리어(430) 및/또는 UL 캐리어(440)를 통해 제1 UE(450)와 통신할 수 있다. DL 통신들은 다양한 DL 자원들(예컨대, DL 서브프레임들(도 2a) 및/또는 DL 채널들(도 2b))을 사용할 수 있다. UL 통신들은 다양한 UL 자원들(예컨대, UL 서브프레임들(도 2c) 및 UL 채널들(도 2d))을 사용하여 UL 캐리어(44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0091] 일부 양상들에서, 제2 UE(451)는 제1 UE(450)와 상이한 네트워크 상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2 UE(451)는 (예컨대, 제2 MNO의) 제2 네트워크(411) 상에 있을 수 있다. 제2 네트워크(411)는 제2 주파수 스펙트럼(예컨대, 제1 주파수 스펙트럼과 상이한 제2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고, 예컨대 도 1 -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UE(451)와 통신하는 제2 기지국(421)(예컨대, gNB)을 포함할 수 있다.
[0092] 제2 기지국(421)은 DL 캐리어(431) 및 UL 캐리어(441)를 통해 제2 UE(451)와 통신할 수 있다. DL 통신들은 다양한 DL 자원들(예컨대, DL 서브프레임들(도 2a) 및/또는 DL 채널들(도 2b))을 사용하여 DL 캐리어(431)를 통해 수행된다. UL 통신들은 다양한 UL 자원들(예컨대, UL 서브프레임들(도 2c) 및/또는 UL 채널들(도 2d))을 사용하여 UL 캐리어(441)를 통해 수행된다.
[0093] 종래의 시스템들에서, 제1 기지국(420) 및/또는 제2 기지국(421)은 D2D(device-to-device) 통신들(예컨대, V2X 통신들 및/또는 V2V 통신들)을 위해 UE들에 자원들을 할당한다. 예컨대, 자원들은 직교(예컨대, 하나 이상의 FDM 채널들) 및 비-직교(예컨대, 각각의 채널에서의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RSMA(resource spread multiple access)) 둘 모두의 UL 자원들의 풀(pool)일 수 있다. 제1 기지국(420) 및/또는 제2 기지국(421)은 PDCCH(예컨대, 더 빠른 접근법) 또는 RRC(예컨대, 더 느린 접근법)를 통해 자원들을 구성할 수 있다.
[0094] 일부 시스템들에서, 각각의 UE(450, 451)는 D2D 통신들을 위한 자원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예컨대, 각각의 UE(450, 451)는 감지 윈도우 동안 채널 점유를 감지 및 분석할 수 있다. UE들(450, 451)은 감지 윈도우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자원들을 선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논의된 바와 같이, 하나의 UE(451)는 자원 선택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다른 UE(450)를 보조할 수 있다. 보조를 제공하는 UE(451)는 수신기 UE 또는 파트너 UE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송신기 UE(450)에 통지할 수 있다. 송신기 UE(450)는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통해 수신 UE(451)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0095] D2D 통신들(예컨대, V2X 통신들 및/또는 V2V 통신들)은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470, 48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470, 480)은, 하나 이상의 채널들, 이를테면,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및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할 수 있다.
[0096] 일부 예들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들(470, 480)은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1 UE(450)는 제1 사이드링크 캐리어(470)를 통해 제2 UE(451)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예컨대,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UE(451)는 제2 사이드링크 캐리어(480)를 통해 제1 UE(450)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예컨대,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송신할 수 있다.
[0097] 일부 양상들에서, UL 캐리어(440) 및 제1 사이드링크 캐리어(470)는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그리게이팅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1 사이드링크 캐리어(470) 및/또는 제2 사이드링크 캐리어(480)는 (제1 네트워크(410)와) 제1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하고 그리고/또는 (제2 네트워크(411)와) 제2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들(470, 480)은 비면허/공유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다.
[0098] 일부 양상들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상에서의 사이드링크 통신들은 제1 UE(450)와 제2 UE(451)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1 UE(450)는 제1 사이드링크 캐리어(470)를 통해 제2 UE(451)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예컨대,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UE(450)는 제1 사이드링크 캐리어(470)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예컨대, 제2 및 제3 UE들(451, 452))에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UE(451)는 (예컨대, 다른 UE들 사이에서) 그러한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UE(450)는 제1 사이드링크 캐리어(470)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예컨대, 제2 및 제3 UE들(451, 452))에 멀티캐스트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UE(451) 및/또는 제3 UE(452)는 (예컨대, 다른 UE들 사이에서) 그러한 멀티캐스트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송신들은 비-연결형이거나 또는 연결-지향적일 수 있다. 멀티캐스트 송신은 또한, 그룹캐스트 송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0099] 더욱이, 제1 UE(450)는 제1 사이드링크 캐리어(470)를 통해 제2 UE(451)와 같은 디바이스에 유니캐스트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UE(451)는 (예컨대, 다른 UE들 사이에서) 그러한 유니캐스트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UE(451)는 제2 사이드링크 캐리어(480)를 통해 제1 UE(450)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예컨대,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UE(451)는 제2 사이드링크 캐리어(480)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UE(450)는 (예컨대, 다른 UE들 사이에서) 그러한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00100] 다른 예에서, 제2 UE(451)는 제2 사이드링크 캐리어(480)를 통해 멀티캐스트 송신을 다수의 디바이스들(예컨대, 제1 및 제3 UE들(450, 452))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UE(450) 및/또는 제3 UE(452)는 (예컨대, 다른 UE들 사이에서) 그러한 멀티캐스트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UE(451)는 제2 사이드링크 캐리어(480)를 통해 제1 UE(450)와 같은 디바이스에 유니캐스트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UE(450)는 (예컨대, 다른 UE들 사이에서) 그러한 유니캐스트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UE(452)는 유사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00101] 일부 양상들에서, 예컨대, 제1 UE(450)와 제2 UE(451) 사이의 사이드링크 캐리어 상에서의 그러한 사이드링크 통신들은 MNO들이 그러한 통신들을 위해 자원들(예컨대, 사이드링크 캐리어(470, 480)와 연관된 채널, 주파수 대역, 슬롯, 및/또는 RB(resource block)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배정하지 않고서 그리고/또는 그러한 통신들을 스케줄링하지 않고서 발생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들은 트래픽 통신들(예컨대, 데이터 통신들, 제어 통신들, 페이징 통신들 및/또는 시스템 정보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사이드링크 통신들은 트래픽 통신들과 연관된 사이드링크 피드백 통신들(예컨대, 이전에 수신된 트래픽 통신들에 대한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들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심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통신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 구조의 피드백 심볼은, 디바이스들(예컨대, 제1 UE(450), 제2 UE(451), 및/또는 제3 UE(452)) 사이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 시스템(400)에서 통신될 수 있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논의된 바와 같이, UE는 차량(예컨대, UE(450, 451)),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452), 또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UE는 RSU(road side unit)와 같은 특수한 UE일 수 있다.
[00102]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RSU(510)를 갖는 V2X 시스템(500)의 예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 UE(504)는 사이드링크 송신들(512)을 통해 RSU(510) 및 수신 UE(502)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SU(510)는 사이드링크 송신(512)을 통해 송신기 UE(504)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RSU(510)는 송신기 UE(50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UL 송신(514)을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예컨대, gNB)(508)에 포워딩할 수 있다. gNB(508)는 RSU(5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DL 송신(516)을 통해 다른 UE들(506)에 송신할 수 있다. RSU(510)는 교통 인프라구조(traffic infrastructure)(예컨대, 교통 신호등(traffic light), 가로등(light pole) 등)와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U(510)는 도로(520)의 측면에 포지셔닝된 교통 신호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SU들(510)은 독립형 유닛들일 수 있다.
[00103] 5G NR(5G new radio)에서의 밀리미터 파(mmWave) 시스템들은 중계 및 사이드링크 절차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서브-6 GHz, 4G, LTE(long-term evolution), D2D(device-to-device), V2X(vehicle-to-everything) 등과 같은 시스템들에 대해 중계 절차들이 연구되었다. 서브-6 GHz 중계와 대조적으로, mmWave는, 더 많은 안테나 엘리먼트들, 지향성 빔들, 전력 제약들, 열적 제약들, 및 MPE(maximum permissible exposure) 제약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난제들을 야기한다. 본 개시내용이 주로 mmWave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개시내용은 또한 다른 시스템들, 이를테면, 5G-NR의 서브-6 GHz, LTE 등에 적용가능하다.
[00104]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역 ID는 UE의 지리적/물리적 로케이션에 기반하는 사이드링크 통신들의 개념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예컨대, 이를테면, mmWave 통신들을 이용하여 물리 계층(PHY) 프로토콜 설계들에서 UE의 구역 ID를 레버리징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00105] 고려되는 일부 양상들은 mmWave(예컨대, 주파수 범위 2(FR2) 또는 주파수 범위 4(FR4))와 같은 주파수 대역들 내의 UE 노드들에 대한 그룹 WUS(wake-up signal)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WUS 파라미터 설계를 위해 구역 ID 정보를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106] 웨이크-업 신호는 전력 절감들에 도움이 된다. 시스템들, 이를테면, mmWave는 특히 전력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UE는 CDRX(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에 진입할 수 있다. UE와의 통신들을 위해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 UE는 웨이크 업되어야 한다. 따라서, UE는 주기적으로 슬립으로부터 웨이크 업하고 WUS를 리스닝한다. UE가 데이터가 이용가능함을 표시하는 WUS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UE가 WUS를 수신하면, UE는 자신의 슬립 사이클을 중지(suspend)하고 제어/데이터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00107] UE들이 상이한 시간들에 웨이크 업하면, 이들 UE들 사이에 사이드링크를 설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는 서로 가까이 있는 UE들에 대한 슬립/웨이크-업 사이클을 정렬한다. 구역 ID는 정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가까이 있는 UE들은 그들 자신들 사이에 양호한 품질의 사이드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00108]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600) 내의 UE(user equipment)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커버리지 영역(600)은 중앙 기지국/5세대 노드 B(gNB) 기지국(602) 및 다수의 UE들(604a-604g)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도 6이 단일 기지국에 연결된 UE들에 관한 것이지만, UE들 중 일부는 상이한 기지국(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 셀 내의 모든 UE들(604a-604g)은 기지국(602)에 연결된다. 기지국(602)은 각각의 UE(604a-604g)의 식별자들(예컨대,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TMSI(SA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TIN(temporary identifier)) 뿐만 아니라 이들의 대략적인 로케이션들을 알고 있지만, UE들은 그들이 서로를 자율적으로 발견하거나 또는 그들이 기지국(602)에 의해 이웃 UE의 존재를 통지받을 때까지 이웃 UE의 존재를 알지 못한다. 자율적인 발견의 시나리오에서, 일부 UE들(604a-604g)은 빔 스캐닝을 수행하고 (다른 UE들이 리스닝함에 따라)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될 수 있다. 자율적인 발견 및 네트워크-기반 발견 둘 모두에 대해, UE들은 서로 통신들을 설정하기 위해 동일한 시간-기간들에 어웨이크(awake)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6에서, UE1(604a) 및 UE2(604b)가 서로 가까이 있지만, 이들은 서로의 존재를 알지 못할 수 있다. 유사하게, UE3(604c)은 이웃 UE4(604d) 및 이웃 UE5(604e)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 한편, UE6(604f)은 이웃 UE7(604g)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도 6에서, UE1(604a)은 UE2(604b)와 사이드링크를 설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00109] 사이드링크 구역 ID는 잘 정의된 방식으로 인덱싱된 작은 그리드들로 지구(earth)를 분할하며, N-비트 인덱스는 일부 구역들을 후에 랩 어라운드(wrap around)된다. 사이드링크 UE들 사이의 거리는 그들의 개개의 구역 ID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상이한 구역들 내의 UE들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동일한 구역 내의 UE들은 지리적으로 가깝다. 예컨대, UEA와 UEB가 동일한 구역에 있게 한다. 구역 폭이 500 m와 동일하면, 최대의 UE 간(UEA 대 UEB) 분리 거리는 500 m와 동일하다. UEA와 UEB가 4개의 구역만큼 떨어져 있으면, 최대의 UE 간(UEA 대 UEB까지) 분리 거리는 2000 m와 동일하다.
[00110]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르면, 동일한 구역 ID 내의 다수의 UE들(또는 지리적으로 서로 가까운 UE들)은 이들의 상호 발견을 보조하기 위해 동일한 시간 인터벌로 웨이크 업될 수 있다. 인접 구역들 내의 UE들은 지리적으로 서로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역 ID에 대해 별개의 WUS 파라미터를 생성하기보다는, 지리적으로 근접한 UE들에 대한 WUS들이 함께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UE들은 동시에 웨이크 업 및 슬립하여, 그들 사이에 사이드링크를 설정할 확률을 증가시킬 것이다. 기지국은, UE들에 의해 보고된 개략적 포지셔닝 정보(coarse positioning information)로부터 UE들이 서로 가까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00111] 정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그룹 WUS 파라미터는 UE들의 구역 ID의 함수일 수 있다. WUS는 다수의 파라미터들, 예컨대, 사용할 파형, 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 파라미터 등을 갖는다. 이러한 WUS 파라미터들 중 임의의 것은 구역 ID에 기반할 수 있다.
[00112]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UE(user equipment) 구역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 커버리지 영역(700)은 기지국(예컨대, gNB)(702) 및 3개의 상이한 구역 ID들(704a-704c)을 포함한다. 도 7에서, UE1(706a) 및 UE2(706b)는 동일한 구역 ID(704a)(예컨대, 구역 ID 1)를 갖고, 따라서 동일한 웨이크-업 신호(예컨대, WUS 1)를 갖는다. 유사하게, UE3(706c), UE4(706d), 및 UE5(706e)는 동일한 구역 ID(704b)(예컨대, 구역 ID 2) 및 동일한 웨이크-업 신호(예컨대, WUS 2)를 갖는다. UE6(706f) 및 UE7(706g)은 서로 가까이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구역 ID(704c)(예컨대, 구역 ID 3) 및 웨이크-업 신호(예컨대, WUS 3)를 갖는다. 도 7은 단일 기지국(예컨대, gNB)(702)과 통신하는 동일한 셀을 갖는 모든 UE들(706a-706g)을 도시하지만, UE들(706a-706g) 중 임의의 UE는 상이한 기지국(미도시)과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도 7에 묘사되지 않았지만, 상이한 구역들 내의 근접 UE들은 동일한 WUS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UE2(706b)와 UE3(706c)은 동일한 WUS를 가질 수 있다.
[00113]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6 - 도 7은 예들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6 -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00114]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페이로드 내에서 구역 ID 정보를 UE에 전달한다. 대안적으로, 구역 ID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의 일부 부분을 스크램블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CRC 마스크는 구역 ID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00115]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 및 UE는 다수의 방식들로 WUS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구역 ID 정보를 사용한다. 예컨대, WUS에 대해 모니터링할 탐색 공간 및 시간 로케이션은 구역 ID의 함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함수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일 수 있고, 또한 다른 공통 UE 파라미터들(이를테면, 전력, 열적, 또는 노출 파라미터들) 또는 능력 정보(이를테면, 다수의 UE RF 체인들 또는 UE 프로세싱 능력)에 의존할 수 있다. 예컨대, UE가 사이드링크를 설정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그 정보는 WUS 생성에 통합될 수 있다.
[00116]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역 ID 정보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또는 DMRS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스크램블링은 구역 ID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주파수들은 특정 로케이션들(예컨대, 특정 구역 ID들)에서만 이용가능하다.
[00117] CHO(conditional handover)는, 특정 구성된 조건(들)에 기반하여 타깃 셀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갖는 UE로서 정의된다. 조건부 핸드오버의 사용은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된다. UE는 조건이 유효할 때, 예컨대, 타깃 셀의 신호 강도(예컨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를 평가한다.
[00118]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건부 핸드오버는 UE에 의해 그 자신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그리고 상이한 사이드링크 구역 ID를 통지하는 다른 사이드링크 UE들을 관찰함으로써 트리거링될 수 있다. 다른 사이드링크 UE들은 상이한 셀에 있으며, 이는 이웃 UE들을 서빙하는 기지국이, 서빙 기지국보다 더 양호한 신호를 갖는다는 간접적인 표시일 수 있다. 따라서, UE는 조건부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단일 이웃 UE와의 비교가 조건부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기에 충분할 수 있지만, 상이한 구역 ID를 갖는 다수의 이웃 UE들은 조건부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때의 더 양호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00119]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건부 핸드오버는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다수의 다른 사이드링크 UE들의 통지된 구역 ID들에 기반하여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컨대, 사이드링크 UE와의 이웃 UE의 통신들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 이는 셀 핸드오버가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간접적인 표시일 수 있다. 임계치는 이웃 UE와 그의 기지국 사이의 신호 강도 및/또는 사이드링크 UE에서 수신된 이웃 사이드링크 UE 송신들의 신호 강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00120]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그룹 WUS(wake-up signal) 및 CHO(conditional handover)와 함께 구역 ID들을 사용하는 UE(user equipment)들을 예시하는 흐름도(800)이다. 흐름도(800)는, 도 7의 UE들(706a-706g) 중 하나와 같은 UE가 블록(802)에서 슬립으로부터 웨이크 업하고 웨이크-업 신호를 리스닝할 때 시작된다. 블록(804)에서, 웨이크-업 신호(WUS)가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WUS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블록(806)에서, UE는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00121]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블록(808)에서, UE는 블록(808)에서 자신의 슬립 사이클을 중지하고 제어/데이터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제어 및 데이터 신호들은 도 7의 기지국(702)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어 및 데이터 신호들은 PDCCH 페이로드의 일부로서 구역 ID를 포함할 수 있다.
[00122] 이 시점에서, UE(706c)는 다른 사이드링크 UE들(706d, 706e)에 의해 통지된 구역 ID들을 관찰할 수 있다. 관찰된 구역 ID들이 UE(706c)의 구역 ID와 상이한 경우, UE(706c)는 CHO(conditional handover)에 대한 후보일 수 있다. 정보는 다른 사이드링크 UE들(706d, 706e)을 서빙하는 gNB가 서빙 gNB보다 더 양호한 신호를 가져서 CHO 프로세스를 트리거링한다는 간접적인 표시일 수 있다. 블록(810)에서, UE(706c)는 자신의 구역 ID가 다른 UE들(706d, 706e)로부터의 관찰된 구역 ID들과 상이한지 여부에 기반하여 CHO가 발생해야 하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조건부 핸드오버가 필요하지 않으면, 블록(812)에서, 변화가 없다. 그러나, 조건부 핸드오버가 필요하다면, 블록(814)에서 CHO가 수행된다. UE(706c)는 다른 UE들(706d, 706e)과 연관된 그룹 WUS에 추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그룹 WUS에 추가된 UE는 그룹 내의 다른 UE들과 함께 웨이크 업할 것이다.
[00123]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UE(user equipment)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9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900)는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ID의 예시적인 사용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스(900)는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902)). 예컨대, UE는 예컨대, 안테나(352), RX/TX(354), RX 프로세서(356), 제어기/프로세서(359), 및/또는 메모리(360)를 사용하여,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한다. 프로세스(900)는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904)). 예컨대, UE는 예컨대, 안테나(352), RX/TX(354), RX 프로세서(356), 제어기/프로세서(359), 및/또는 메모리(360)를 사용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할 수 있다.
[00124]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0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1000)는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ID의 예시적인 사용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스(1000)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002)). 예컨대, 기지국은 예컨대, 제어기/프로세서(375) 및/또는 메모리(376)를 사용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1000)는 또한, DMRS 시퀀스를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004)). 예컨대, 기지국은 예컨대, 안테나(320), TX/RX(318), TX 프로세서(316), 제어기/프로세서(375), 및/또는 메모리(376)를 사용하여, DMRS 시퀀스를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할 수 있다.
[00125]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1100)는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ID의 예시적인 사용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스(1100)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위한 포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102)). 예컨대, 기지국은 예컨대, 제어기/프로세서(375) 및/또는 메모리(376)를 사용하여,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위한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스(1100)는 또한, 포트를 이용하여 DMRS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104)). 예컨대, 기지국은 예컨대, 안테나(320), TX/RX(318), TX 프로세서(316), 제어기/프로세서(375), 및/또는 메모리(376)를 사용하여, 포트를 이용하여 DMRS를 송신할 수 있다.
[00126]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2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1200)는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ID의 예시적인 사용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스(1200)는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202)). 예컨대, 기지국은 예컨대, 제어기/프로세서(375) 및/또는 메모리(376)를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할 수 있다. 프로세스(1200)는 또한,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204)). 예컨대, 기지국은 예컨대, 안테나(320), TX/RX(318), TX 프로세서(316), 제어기/프로세서(375), 및/또는 메모리(376)를 사용하여,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사이드링크 UE에 송신할 수 있다.
[00127]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컨대 UE(user equipment)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3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1300)는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ID의 예시적인 사용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스(1300)는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302)). 예컨대, 사용자 장비는 예컨대, 안테나(352), RX/TX(354), RX 프로세서(356), TX 프로세서(368), 제어기/프로세서(359), 및/또는 메모리(360)를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스(1300)는 또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다른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1304)). 예컨대, UE는 예컨대, 안테나(352), RX/TX(354), RX 프로세서(356), TX 프로세서(368), 제어기/프로세서(359), 및/또는 메모리(360)를 사용하여, 다른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00128] 구현 예들은 다음의 넘버링된 조항들에서 설명된다:
1.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조항 1의 방법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페이로드에서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 조항 1 또는 조항 2의 방법은, 구역 ID 정보를 이용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의 일부를 디스크램블링함으로써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4.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한 조항의 방법은, 구역 ID 정보의 함수인 탐색 공간 및 시간 로케이션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5. 조항 1 내지 조항 4 중 어느 한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구역 ID 정보는 인접한 구역들로부터의 구역 ID들을 포함한다.
6. 조항 1 내지 조항 5 중 어느 한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UE는 그룹 WUS를 수신하는 하나의 다른 사이드링크 UE와 상이한 셀로부터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
7. 조항 1 내지 조항 6 중 어느 한 조항의 방법은, 구역 ID 정보에 추가하여 공통 UE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8.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포트의 선택, DMRS 시퀀스의 생성, 또는 스크램블링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적용하는 단계; 및
구역 ID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UE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9. 조항 8의 방법에 있어서, 스크램블링 동작은 구역 ID에 기반하여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10. 조항 8 또는 조항 9의 방법에 있어서, 스크램블링 동작은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11.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는 단계; 및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상이한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2. 조항 11의 방법은, 사이드링크 UE와의 이웃 UE의 통신들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3. 조항 11 또는 조항 12의 방법은, 이웃 UE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4.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 및
명령들을 포함하며, 명령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리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15. 조항 14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페이로드에서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게 한다.
16. 조항 14 또는 조항 15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구역 ID 정보를 이용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의 일부를 디스크램블링함으로써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게 한다.
17. 조항 14 내지 조항 16 중 어느 한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구역 ID 정보의 함수인 탐색 공간 및 시간 로케이션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수신하게 한다.
18. 조항 14 내지 조항 17 중 어느 한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구역 ID 정보는 인접한 구역들로부터의 구역 ID들을 포함한다.
19. 조항 14 내지 조항 18 중 어느 한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UE는 그룹 WUS를 수신하는 하나의 다른 사이드링크 UE와 상이한 셀로부터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
20. 조항 14 내지 조항 19 중 어느 한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구역 ID 정보에 추가하여 공통 UE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룹 WUS를 디코딩하게 한다.
21.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 및
명령들을 포함하며, 명령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리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게 하고, 그리고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상이한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22. 조항 21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사이드링크 UE와의 이웃 UE의 통신들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게 한다.
23. 조항 21 또는 조항 22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이웃 UE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게 한다.
[00129] 전술된 개시내용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양상들을 개시된 바로 그 형태로 제한하거나 또는 양상들을 총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수정들 및 변형들은 위의 개시내용에 비추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양상들의 실시로부터 포착될 수 있다.
[00130]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광범위하게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00131] 일부 양상들은 임계치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계치를 만족시키는 것은 맥락에 따라, 임계치 초과이거나, 임계치 이상이거나, 임계치 미만이거나, 임계치 이하이거나,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임계치와 동일하지 않은 등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00132] 설명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이 상이한 형태들의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실제 특수 제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는 양상들에 제한적이지 않다. 따라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의 동작 및 거동은 특정 소프트웨어 코드를 참조하지 않고 설명되었다 ―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는 설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00133] 특징들의 특정 조합들이 청구항들에서 언급되고 그리고/또는 명세서에 개시되지만, 이러한 조합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많은 이러한 특징들은, 구체적으로 청구항들에 기술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명세서에 개시되지 않은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열거되는 각각의 종속항은 오직 하나의 청구항에만 직접적으로 의존할 수 있지만, 다양한 양상들의 개시내용은 청구항 세트의 모든 각각의 다른 청구항과 조합하여 각각의 종속항을 포함한다.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뿐만 아니라 동일한 엘리먼트의 집합들(multiples)과의 임의의 조합(예컨대,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다른 순서)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134] 사용되는 엘리먼트, 액트(act), 또는 명령은 이와 같이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으면, 중대하거나 또는 필수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표현들은 하나 이상의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하나 이상"과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사용되는 바와 같이, "세트" 및 "그룹"이라는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항목들(예컨대, 관련된 항목들, 관련되지 않은 항목들, 관련된 항목들과 관련되지 않은 항목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하나 이상"과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항목이 의도될 경우, "오직 하나"라는 문구 또는 유사한 언어가 사용된다. 또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갖다", "갖고 있다", "갖는" 등의 용어들은 개방형 용어들인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로, "~에 기반하는"이라는 문구는, 명백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3)

  1. 사이드링크(sidelink)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WUS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페이로드에서 상기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ID 정보를 이용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의 일부를 디스크램블링함으로써 상기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ID 정보의 함수인 탐색 공간 및 시간 로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WUS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ID 정보는 인접한 구역들로부터의 구역 ID들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UE는 상기 그룹 WUS를 수신하는 하나의 다른 사이드링크 UE와 상이한 셀로부터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ID 정보에 추가하여 공통 UE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WUS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8.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포트의 선택, DMRS 시퀀스의 생성, 또는 스크램블링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구역 ID에 기반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UE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동작은 상기 구역 ID에 기반하여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동작은 상기 구역 ID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1.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상기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상이한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UE와의 상기 이웃 UE의 통신들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UE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4.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 및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WUS(wake-up signal)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WUS를 디코딩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이드링크 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페이로드에서 상기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사이드링크 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구역 ID 정보를 이용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의 일부를 디스크램블링함으로써 상기 구역 ID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사이드링크 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구역 ID 정보의 함수인 탐색 공간 및 시간 로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WUS를 수신하게 하는,
    사이드링크 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ID 정보는 인접한 구역들로부터의 구역 ID들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UE는 상기 그룹 WUS를 수신하는 하나의 다른 사이드링크 UE와 상이한 셀로부터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사이드링크 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구역 ID 정보에 추가하여 공통 UE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WUS를 디코딩하게 하는,
    사이드링크 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 및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identification)를 이웃 UE의 구역 ID와 비교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UE의 구역 ID가 상기 이웃 UE의 구역 ID와 상이할 때 상이한 셀로의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이드링크 UE와의 상기 이웃 UE의 통신들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게 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이웃 UE의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를 개시하게 하는,
    사이드링크 UE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KR1020227041913A 2020-06-15 2021-06-10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식별(id) KR20230024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9392P 2020-06-15 2020-06-15
US63/039,392 2020-06-15
US17/193,400 2021-03-05
US17/193,400 US11950184B2 (en) 2020-06-15 2021-03-05 Zone identification (ID) for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s
PCT/US2021/036871 WO2021257385A1 (en) 2020-06-15 2021-06-10 Zone identification (id) for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893A true KR20230024893A (ko) 2023-02-21

Family

ID=7882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913A KR20230024893A (ko) 2020-06-15 2021-06-10 무선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구역 식별(id)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50184B2 (ko)
EP (1) EP4165910A1 (ko)
JP (1) JP2023529904A (ko)
KR (1) KR20230024893A (ko)
CN (1) CN115804160A (ko)
BR (1) BR112022024730A2 (ko)
TW (1) TW202201982A (ko)
WO (1) WO2021257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4465A (zh) * 2017-11-02 2018-05-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人机飞行信息的传输方法、装置、基站及核心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319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ceiving messages in connection with lte wakeup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451418B2 (en) * 2012-10-19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Group association based on network determined location
EP3033920A1 (en) * 2013-08-13 2016-06-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Network assisted automatic clustering to enable victim to victim communication
US9578469B2 (en) * 2014-10-02 2017-02-2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within a talkgroup
US10448332B2 (en) * 2014-12-02 2019-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ke-up for D2D communication
CN116709271A (zh) 2017-03-24 2023-09-05 苹果公司 用于机器类型通信和窄带物联网设备的唤醒信号
US11399364B2 (en) * 2017-03-24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31426B2 (en) * 2017-08-10 2021-02-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delink feedback
US10849068B2 (en) * 2017-09-15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wakeup signal design and resource allocation
US10834671B2 (en) * 2017-12-22 2020-11-10 Intel IP Corporation Group identification indication signaling
US20210037470A1 (en) * 2018-02-16 2021-0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Grouping Indication Using Wakeup Signal
US20190349856A1 (en) * 2018-05-11 2019-1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 group wake up signal
US20200037247A1 (en) 2018-07-25 2020-01-30 Mediatek Inc. Wake-up signal operation for ue power saving
US11032766B2 (en) * 2019-06-14 2021-06-08 Silicon Laboratories Inc. Wire-free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with fast pai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0184B2 (en) 2024-04-02
EP4165910A1 (en) 2023-04-19
JP2023529904A (ja) 2023-07-12
CN115804160A (zh) 2023-03-14
US20210392580A1 (en) 2021-12-16
TW202201982A (zh) 2022-01-01
WO2021257385A1 (en) 2021-12-23
BR112022024730A2 (pt)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6726B2 (en) Network assisted sidelink beam failure recovery
US11582720B2 (en) Vehicle-to-everything (V2X) inter-user equipment (UE) coordination
US11778572B2 (en) Lite SL-SS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for on demand S-SSB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US20220006505A1 (en) Sidelink beam failure recovery
US20210368466A1 (en) Demand and response for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sb) transmission
EP4176521A1 (en) Directional sidelink (sl) beam failure detection
US11950184B2 (en) Zone identification (ID) for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s
US11930480B2 (en) Reduced sensing procedure for sidelink communications
US20220141873A1 (en) Channel occupancy information multi-access reporting
US11540224B2 (en) Vehicle-to-everything (V2X) inter-user equipment (UE) coordination
US11831572B2 (en) Vehicle-to-everything (V2X) inter-user equipment (UE) coordination
US20220039145A1 (en) User equipment (ue) assisted uplink (ul) transmission
US20220225072A1 (en) Side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using sidelink discovery signal
EP4150977A1 (en) Vehicle-to-everything (v2x) destination identification sharing for inter-user equipment (ue) coordination
WO2021217679A1 (en) Dynamic switching between transmission resources of common pool and transmission resources of exceptional pool
WO2022036487A1 (en) Resolving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 mismatch for vehicle-to-everything (v2x) transmi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