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692A -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692A
KR20230024692A KR1020210106759A KR20210106759A KR20230024692A KR 20230024692 A KR20230024692 A KR 20230024692A KR 1020210106759 A KR1020210106759 A KR 1020210106759A KR 20210106759 A KR20210106759 A KR 20210106759A KR 20230024692 A KR20230024692 A KR 2023002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card
transaction details
information
s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589B1 (ko
Inventor
강수향
Original Assignee
강수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향 filed Critical 강수향
Priority to KR102021010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589B1/ko
Priority to PCT/KR2022/004068 priority patent/WO2023017943A1/ko
Publication of KR2023002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5Personalisation of cards for use
    • G06Q20/3552Downloading or loading of personalisation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용/직불카드 등의 발급 시에 기존 개인정보/카드사정보/카드정보에 더하여 추가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카드 소유자가 가맹점/인터넷 등에서 카드를 사용한 거래 시 이 정보를 활용하여 영수증 전달 등의 추가 기능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에 관한 것으로, 신용카드(2)의 마그네틱 스트립이나 카드칩(20) 또는 삼성페이/LG페이와 같은 모바일카드(2')의 모바일 카드칩(20')의 저장공간(21)에, 카드 정보 외에도, 개인 전화번호, E-mail, SNSID 와 같은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결제 시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저장된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에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거래내역을 발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transaction information by us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a card}
본 발명은,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용/직불카드 등의 발급 시에 기존 개인정보/카드사정보/카드정보에 더하여 추가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카드 소유자가 가맹점/인터넷 등에서 카드를 사용한 거래 시 이 정보를 활용하여 영수증 전달 등의 추가 기능을 손쉽게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불 카드(Payment cards)(이하, “카드들” 또는 “카드”라 함) 는, 전세계 수억 명의 사람들이 전자 자금 이체로 지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지불 카드는, 신용 카드, 직불 카드, 포인트 카드, 다중기능장치 (MFD) 카드, 근거리 통신 (NFC)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소비자는, 제휴사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자신의 카드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오프라인 결제의 경우에, 고객은 카드 가맹점 혹은 제휴사(100)의 사업장에 위치한 판매 시점 POS(Point Of Sale) 단말기(1)에 그의 카드(2)를 제시해야 한다. 카드(2)가 POS 단말기/카드 조회기(1)를 통해 삽입되거나 읽혀진다. 선택적으로, 필요한 카드 정보가 입력되거나, POS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비접촉식 트랜잭션을 수락하고, 카드(2) 정보가 POS 단말기(1)에 저장된다. 일단 카드 정보가 수신되고 저장되면, POS 단말기(2)는 제휴사(Merchant) 코드와 같은 제휴사 정보 및 지불 금액 및 통화와 같은 트랜잭션 정보와 함께 트랜잭션의 승인을 위해 결제정보를 VAN사(200)를 통해 유무선 인터넷 또는 표준 전화 회선을 통해 매입사에게 전송한다. 다만, 선택적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VAN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매입사로 전송하기도 한다. 매입사 혹은 VAN사(200)는 승인 프로세스의 일부로 카드사(300)와 통신하는바, 이때 상기 카드사(300)는 결제요청이 승인되어 거래가 완료된 경우, POS 단말기(1)로 승인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POS 단말기(1)에서 고객용 및 제휴사용 종이 영수증(3)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카드의 거래가 기존 Offline 가맹점 외 인터넷/모바일/배달서비스 등에서 활발히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기존과 같이 카드영수증 프린터가 연결된 단말기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카드영수증 프린터가 연결되지 않은 기기에서의 카드 거래의 경우, 거래완료 후 그 거래내역(영수증)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근래에는, 거래 완료시, 상기 카드사(300)에서 고객의 단말기(10)로 직접 모바일 메시지 등의 방식으로 거래 내역을 알려주기도 하지만, 별도로 모바일 메시지 알림을 안내해 주고 카드사로 모바일 영수증의 발급 요청을 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한편. 최근에는 셀룰러 폰,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팅 장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 결제용 앱을 탑재해서, POS 단말기(1)의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어디서나 간편하게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결제용 앱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은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인터넷/모바일 거래 등에서는 영수증 발급이 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나, 별도 관리를 위해서는 다운로드, 스크린 캡쳐 후 원하는 저장소로 개인이 직접 전달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일부 배달서비스의 경우에는 아예 신용카드거래 영수증을 카드사용자가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바일 기기 상의 결제용 앱을 이용한 카드 결제의 경우에, 고객은 결제용 앱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10)에 NFC나 RF 방식 등으로 결제가능한 카드(2)를 갖다 내어 결제를 행하게 되며, 역시 모바일 기기(10)에서 읽혀진 카드(2) 정보가 제휴사 정보 및 지불 금액 및 통화와 같은 트랜잭션 정보와 함께, 트랜잭션의 승인을 위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매입사 혹은 VAN사(200)로 전송된다. 모바일 결제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10)가 직접 카드사(300)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아뭏든, 상기 카드사(300)는 결제요청이 승인되어 거래가 완료된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승인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바, 모바일 결제의 경우에는 대부분 종이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것이다. 물론, 거래 완료시, 상기 모바일 기기(10)에서 고객의 단말기(10)로 모바일 메시지 등의 방식으로 거래 내역을 알려주도록 할 수도 있겠지만,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앱을 이용한 결제가 완료되면, 도 2의 (b) 및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수증 보내기' 메뉴(11)를 선택하여 활성화된 입력창(12)에 영수증을 전송할 단말기 번호(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보내기' 버튼(13)을 클릭하여, 도 2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MMS 전송 방식 등으로 모바일 영수증(14)을 원하는 단말기로 송수신하게 된다. 결국, 영수증 보내기가 일반적인 문자 보내기에 다름없으며, 현관이나 야외에서 한 손으로 배달 음식을 전달하면서 결제하기도 번거로운데, 거기에 다른 손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문자 메시지 보내기란 여간 번거로운 행동이 아닐 수 없으며, 따라서 당사자들은 영수증 요청이나 보내기를 꺼려하게 되고, 영수증을 받지 못한 당사자는 나름대로 불만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특히,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041290호 (고객 개시 지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과 같은, 소비자의 단말기에서 제휴사(판매업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결제를 행하는 기술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
상기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에서는, 고객(소비자)의 모바일 기기가 제휴사(판매업자)의 정보 및 가격 등의 지불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의 카드에 의해 카드 지불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활성화하며, 상기 제휴사 정보 및 상기 지불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을 매입사로 전송 및 매입사로부터 지불 승인 요청의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카드 결제 거래를 처리한다.
상기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은 고객이 직접 결제를 행하게 되므로 신뢰성이 높고, 카드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제휴사에 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한 키 관리가 가능하며, 제휴사 입장에서도 고객이 알아서 결제를 해 주므로 편리하다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단점은, 제휴사의 입장에서는 거래 후 매출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휴사의 입장에서는 고객 단말기나 혹은 카드사로부터 거래 정보를 별도로 요청하여야 하는바, 고객에게 일일이 요청하기가 번거롭고, 또한 카드사에 요청하려면 여러가지 인증 절차와 같은 복잡한 추가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본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용/직불카드 등의 발급 시에 기존 개인정보/카드사정보/카드정보에 더하여 추가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카드 소유자가 가맹점/인터넷 등에서 카드를 사용한 거래 시 이 정보를 활용하여 영수증 전달 등의 추가 기능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카드사나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에서 고객 단말기가 수집하는 제휴사 정보 (QR 코드나 NFC 칩 혹은 OCR/key-in에 미리 추가의 부가정보를 입력하여 두고, 결제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미리 정해진 이메일이나 휴대폰으로 거래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동작을 추가하는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은, 신용카드(2)의 마그네틱 스트립이나 카드칩(20) 또는 삼성페이/LG페이와 같은 모바일카드(2')의 모바일 카드칩(20')의 저장공간(21)에, 카드 정보 외에도, 개인 전화번호, E-mail, SNSID 와 같은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결제 시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저장된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에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거래내역을 발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는 복수개이고, 결제 시 복수개의 발송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는 소비자의 단말기에서 이루어지고, 제휴사측으로 거래 내역을 발송하는 부가정보는, 상기 제휴사측에서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 QR 코드나 NFC Tag 혹은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결제전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은, 상기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칩 저장공간(21)의 칩 데이터를 읽어(S10),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게 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 이후,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가 상기 칩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드 거래 실행 후(S31), 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 상기 S3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상 거래인 것으로 확인되면, 거래내역 발송 방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 및 상기 S3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거래내역 발송방법이 존재하면, 존재하는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실행하고(S40),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 확인 단계(S20)는,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2),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스토리지가 부가정보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3), 지원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4),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레코드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5), 지원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6),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FCI 정보 내에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7), 존재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는(S28)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은, 상기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칩 저장공간(21)의 칩 데이터를 읽어(S51),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도록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애플릿을 선택하도록 하고(S53),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4); 상기 S54 단계 이후 및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EMV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56), EMV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7);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거래가 성공이면, 추가적으로 FCI 나 DataStorage 혹은 record data 내에 거래내역 발행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8); 상기 S5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이면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9); 및 상기 S59 단계 이후 및 상기 S5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은, 상기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마그네틱 스트립의 트랙에서의 MS 데이터를 읽어(S71),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도록, MS 데이터에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2); 상기 S7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MS 데이터에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74); 상기 S74 이후, MS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 거래 처리를 행하고(S75), 거래가 성공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6); 및 상기 S7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카드 거래가 성공이면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은, 상기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QR 코드나 NFC Tag 등의 방식으로 제휴사측 정보를 획득하고(S1),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제휴사측이 거래내역을 수신하고자 하는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는 단계(S3); 상기 S3 단계 이후 및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칩 저장공간(21)의 칩 데이터를 읽어(S51),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도록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애플릿을 선택하도록 하고(S53),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4); 상기 S54 단계 이후 및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EMV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56), EMV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7);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거래가 성공이면, 추가적으로 FCI 나 DataStorage 혹은 record data 내에 거래내역 발행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8); 상기 S5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이면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9); 및 상기 S59 단계 이후 및 상기 S5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은, 상기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QR 코드나 NFC Tag 등의 방식으로 제휴사측 정보를 획득하고(S1),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제휴사측이 거래내역을 수신하고자 하는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는 단계(S3); 상기 S3 단계 이후 및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판독 및 인식하거나 키보드 입력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단계(S4); 상기 S4 단계 후에,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5);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POS(1)나 결제 단말기(10)에 부가정보를 입력하게 되며(S6),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7); 상기 S7 단계 이후 및 상기 S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기존 방식대로 MS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 거래 처리를 행하고(S75), 거래가 성공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6); 및 상기 S76 단계에서 판단 결과, 거래가 성공이면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은, (k1)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k2) 상기 (k1)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었으면, 읽어들인 부가정보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먼저 부가정보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거래내역 발급 방식이 이메일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메일 발송인 경우에는 이메일로 거래내역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와, (k3) 상기 (k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모바일 문자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에는 모바일 문자로 거래내역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와, (k4) 상기 (k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카톡과 같은 SNS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에는 SNS로 거래내역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용/직불카드 등의 발급 시에 기존 개인정보/카드사정보/카드정보에 더하여 추가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카드 소유자가 가맹점/인터넷 등에서 카드를 사용한 거래 시 이 정보를 활용하여 영수증 전달 등의 추가 기능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카드 거래 내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신규하고 유용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에 관한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카드사나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에서 고객 단말기가 수집하는 제휴사 정보 (QR 코드나 NFC 칩 혹은 OCR/key에 미리 추가의 부가정보를 입력하여 두고, 결제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미리 정해진 이메일이나 휴대폰으로 거래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제휴사(판매자)의 입장에서도 카드 거래 내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프라인 상의 카드 지불 결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상의 카드 지불 결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일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응되는 결제정보 전송방법이 선택적인 경우의 신용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또다른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에 대응되는 결제정보 전송방법이 선택적인 경우의 모바일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또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발송 방법별 영수증 발송" 과정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서 "발송 방법별 거래내역 전송" 과정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에서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서 "발송 방법별 거래내역 전송" 과정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에 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예로서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된 발명을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고 이해되어져야 한다.
먼저, 지불 카드로는, 형태, 결제 및 목적에 따라 신용 카드/직불 카드, 포인트 카드, 로열티 포인트 카드, 다중 기능 장치(MFD) 카드, 근거리 통신 (NFC) 카드, 디지털 카드, 듀얼 인터페이스 카드 또는 무선 주파수(RF) 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카드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서는, 크게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e)의 트랙에 자기적으로 저장하는 방식과, IC 칩에 저장하는 방식이 있는바, 한편,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 내에 전자지갑이나 가상 신용카드 등의 지불 수단이 탑재되어, 모바일 기기 자체가 지불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도 하나, 모바일 방식 역시 어디까지나 디지털 저장공간에 앱을 사용하여 저장 및 판독하게 되므로, 이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모바일 기기는 일반적으로 장치 소유자로 하여금 제휴사(Merchant: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가맹점'으로도 호칭된다)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불을 하도록 허용하며, 모바일 기기는 장치 소유자의 지불 계정에 링크되거나, 장치 소유자의 카드 정보가 모바일 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카드칩(20)에는, 일반적인 카드 정보 외에도 추가의 부가정보가 입력되어 있어야 하는바, 일반적인 신용카드 뒷면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e)(보통 3개의 track을 가진 MS를 많이 사용함)의 신용카드 정보가 있는 'track2'에 일반적인 신용카드 정보 외에, 영수증 발송을 위한 정보를 기록하고 결제 시 이 정보를 이용하여 영수증을 발송하게 된다. 다만, 만일 'track2'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아예 사용하지 않는 트랙인 'track1'이나 'track3'에 영수증 발송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Track 데이터는 ISO/IEC 7813 규격을 준수하여 Track1, Track2, Track3 라고 명칭하고, 한국은 주로 'Track2'를 사용하는바, 'Track2' 데이터는 대면 거래(제휴사에서 소비자가 카드를 제시하거나 리더기에 읽는 경우)에 이용되며, 카드 뒷면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e 혹은 Magstripe)에 저장되어 있다.
참고로, 'Track2'는 40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 STX : Start sentinel ";"
- PAN : Primary Account Number, up to 19 digits, as defined in ISO/IEC 7812-1
- FS : Separator "="
- ED : Expiration date, YYMM or "=" if not present
- SC : Service code, 3 digits or "=" if not present
- DD : Discretionary data, balance of available digits
- ETX : End sentinel "?"
- LRC : Longitudinal redundancy check, calculated according to ISO/IEC 7811-2
일례로, VISA카드의 'track2'의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4000340000000506=1225111810200003210
card number, => 4000340000000506
character "=",
card expiry date on 4 characters, => 1225
service Code on 3 characters, => 111
Pin Verification Value on 4 characters, => 8102
Card Verification Value on 3 characters => 321
trailing "0"
참고로, 마그네틱 스트립은, 강력한 자성에 손상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데이터를 읽어들여 복제가 가능하므로, 발급 기능(서비스)을 제공하는 기업 외 모든 기업은 승인 후 Track 전체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대부분의 카드에 마그네틱 스트립과 별도로, 접촉식이든 비접촉식이든, 보안성이 높은 카드칩을 추가하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결제를 행하도록 하고 있는바, 카드칩에도 영수증 발행을 위한 부가정보가 추가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 카드에 부가 정보를 넣는 경우에는, VISA, MasterCard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금융카드(교통카드 포함)에 장착된 Chip을 활용하는 것으로, Contact only, Contactless, Hybrid, combi와 같이 그 형태에 상관없이 모든 Chip을 내장하는 카드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 PC등에 저장된 금융카드 정보에 추가로 부가 정보를 더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대부분의 카드는, 발급 시 발급 기관의 정보, 발급받을 사용자의 정보, 카드의 목적에 따른 카드번호, 만기일 등을 포함하는 수많은 정보를 입력 받아, 카드 사용자가 그 목적에 사용시 상대 단말기에 그 정보를 적절히 전달하여 거래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되는 대부분의 정보(Data)는, 국제/국내/카드서비스 제공자의 표준에 맞추어 카드에 장착된 칩에 저장/관리되며, 정해준 규칙에 따라 사용시 거래 단말기와 통신하며 그 정보를 주고 받아 거래를 수행한다.
이에 추가로, 거래완료 후 사용자가 지정한 방식으로 거래완료내역(영수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자의 전화번호, 이메일, 메신저ID 등의 수신처 정보와 거래내역을 받고자 하는 수신처 선택사항을 카드 발급 시 저장하고, 거래 시 거래 단말기를 통해 거래상대자(가맹점 또는 가맹점 시스템)에 전달하여, 거래내역(영수증)을 카드 소지자가 희망한 곳에 희망한 방식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드사용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SNSID 와, 이들 중에서 영수증을 수신하고자 하는 방식의 선택 사항(전체 선택, 한가지 선택 또는 조합선택 또는 전체 선택하지 않음 가능)을 미리 저장하여 두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Chip을 장착한 카드의 Chip 내 저장소를 이용하는 것을 우선시하지만, Chip을 장착하지 않은 카드 또는 카드정보만 저장한 스마트폰, PC 등을 통한 거래의 경우, 마찬가지의 부가정보는 별도 저장소를 두어 저장 관리하여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MS카드의 경우에는, 'Track3' 또는 신용/직불 data의 뒤에 부가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스마트폰 내의 애플릿에 저장되는 모바일 카드의 경우, 기존 카드 Data에 추가로 부가정보를 저장 및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이들 부가정보는, 기존의 목적하는 거래(신용카드 거래, 직불카드거래, 교통카드 거래 등등)에 지장이 없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이 부가정보를 활용하는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기존 단말기에서의 거래에 이 추가 정보로 인한 거래의 지장이 있어서는 안 된다.
Chip을 사용하는 경우 Chip 내 별도의 저장 공간 (JavaCard의 경우 별도 applet)을 구성하여 이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과, 기존 대부분의 금융카드에 적용된 국제 표준인 EMV, VISA, MasterCard등의 규격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EMV 및 VISA/Mastercard 등의 단말기 규격에는 카드에 정의되지 않은 데이터(Tag)가 존재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오류 처리하도록 하지 않는다. 단말기는 카드 내에 필수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 확인을 하고, 모르는 추가 데이터는 무시하도록 프로그램되어야 한다.
참고로, EMV 카드란, 세계 3대 신용 카드 회사인 벨기에의 유로페이, 미국의 마스터 카드, 비자 카드 등 3개사가 공동으로 결제하는 IC 카드의 표준 규격으로서, 이름은 3개사의 머리글자를 따서 붙여졌다. 아울러, 미국의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 다른 카드 회사도 이 규격을 지지하고 있으며, IC 카드형 전자 화폐를 대표하는 사실상의 표준으로 VISA 현금 등도 이 규격의 카드를 이용한다.
다른 한편, 카드정보를 저장한 스마트폰/태블릿 또는 PC와 같은 경우에는, 기존 정보에 더하여 부가정보 Data를 추가하거나, 카드(Chip) 내 별도의 저장공간을 추가하여 저장하는바, Memory 카드의 경우 비어 있는 섹터(sector)를 사용하고, CPU 카드의 경우 (예를 들어 JavaCard)에는. 별도의 부가정보 전용 Applet을 추가하여 이곳에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카드칩 내의 기존 저장 영역을 활용할 수도 있는바, Applet 선택시에 응답되는 FCI (File Control Information)의 “BF0C”의 FCI 발행자 재량 데이터(FCI Issuer Discretionary Data)에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임의의 Record를 추가하여, 임의의 Record에 부가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으며, VISA, MasterCard, Discover 등 브랜드사의 Chip 카드 표준에 정의된 Data Storage를 활용하여, Data Storage 공간에 부가 정보를 추가해도 된다. 다만, 이는 Data Storage 기능을 지원하는 카드만 가능한 방법이지만, 카드 발급 이후에 Issuer의 도움없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Data Storage 기능은, EMV 공통 표준에 정의된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6개의 전체 브랜드에서 지원하지는 않는다. 현재까지 파악된 바로는 VISA, Mastercard, Discover에서만 지원하며, 각각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다.
일례로, Mastercard에서 Data Storage 기능은 M/Chip Advance에 도입된 신규 기능으로, Mastercard의 카드 규격에는 Data Storage를 지원하는 제품과 지원하지 않는 제품으로 나뉘어져 있다. 즉, 제품 개발 및 인증시에 Data Storage를 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Data Storage를 지원해야 한다. Mastercard Data Storage의 SDS(Stand Alone Data Storage) 방식에서는 Get Data/Put Data 명령어를 통해서 읽고 쓸 수 있다. 5개의 Data 항목(9F75~9F79)은 Read/Write Free 조건이며, 5개의 data 항목(9F70~9F74)은 Write를 위한 key가 필요하다.
다른 예로서, VISA의 경우, VISA의 IDS(Integrated Data Storage)를 위한 별도의 규격이 존재하며, Data Storage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CAP 파일(최종 버전: IDS_281_Server_02_190424.cap)을 탑재하여야 한다. VSDC 애플릿 별로 Data Storage 기능 지원 유무가 상이한바, Data Storage를 지원하는 VSDC 버전은, 2.8.1F, 2.8.1F1, 2.8.1G, 2.9.2 (VISA IDS CAP 이용) 이고, Data Storage를 지원하지 않는 VSDC 버전은, 2.8.1am2, 2.9.0, 2.9.1 이다, 단말기에서도 IDS 지원은 Option 사항이다. 단말기는, Select 명령어의 응답 데이터(FCI)에서 IDS 관련 Record 정보를 알 수 있으며, 필요시 Read Record를 통해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만일 Record Data를 갱신할 필요가 있을 때는 EGPO(Extended Get Processing Option) 명령어로 Data를 수정할 수 있다. IDS Record는 발급시 수정 가능 또는 수정 불가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수정시 별도의 권한은 필요 없다.
마지막 예로서, Discover의 경우, Discover에서 Data Storage 기능 지원은 카드 및 단말기에서 모두 선택 사항이다. 단말기는 Select 명령어의 응답 데이터(FCI) 및 Get Data 명령어를 통해서 Data Storag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Read Record 명령어로 Data Storage용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Data Storge 데이터 수정은 Data Get Processing Option 명령어 또는 Put Data 명령어를 통해서 가능하다. Data Storage의 데이터의 읽기 조건은 Free이다. 다만, 데이터 갱신은 갱신 가능 주체에 따라 3 가지(“모두 가능”, “Operator만 가능”, “Issuer만 가능”)로 나누어진다. 데이터 갱신 작업은 Update Code(Hash 기반)로 통제된다. 즉, 기존 데이터의 Update Code를 알고 있는 Operator 또는 Issuer만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카드에 저장된 부가정보의 데이터 읽기가 가능하여야 하는바, Chip이 탑재되지 않은 카드 (MS카드) 의 경우 및 카드정보를 저장한 스마트폰/태블릿 또는 PC와 같은 경우에는, 기존 정보를 읽은 후 별도로 부가 정보 읽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카드 내 탑재된 Chip을 사용하는 경우 (Contact/Contactless/Combi/Hybrid 포함)로서 카드칩 내의 별도의 저장공간을 추가한 경우에는, 별도로 부가정보가 저장된 Sector의 정보를 읽기하며, CPU 카드의 경우 (예를 들어 JavaCard) 에는, 별도의 부가정보 전용 Applet을 선택한 후 정보 읽기를 행하면 된다.
카드(Chip) 내 기존 저장 영역 활용하는 경우로서, FCI의 경우에는, Applet 선택시에 응답되는 'FCI의 “BF0C” (FCI Issuer Discretionary Data)의 내용을 읽기' 하고, 임의의 Record를 추가한 경우에는, '임의의 부가 정보가 추가된 Record를 읽기' 하면 된다. VISA, MasterCard, Discover 등 브랜드사의 Chip 카드 표준에 정의된 Data Storage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Data Storage의 정보를 읽기' 하면 된다.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이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일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4에 대응되는 결제정보 전송방법이 선택적인 경우의 신용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또다른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5에 대응되는 결제정보 전송방법이 선택적인 경우의 모바일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또다른 개략도이다.
먼저, 도 3에서 보듯이, 신용카드(2)의 카드칩(20) 또는 삼성페이/LG페이와 같은 모바일카드(2')의 모바일 카드칩(20')의 저장공간(21)에는, 애플릿(Applet)(22)에, 카드 정보 외에도, 개인 전화번호, E-mail, SNSID 등의 부가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결제 시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 자동으로 MMS, Messaging App, E-mail 등으로 Applet에 저장된 개인 부가정보를 통해 영수증을 발송하게 된다.
일례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신용카드(2)의 신용카드 Applet에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여 두고, ①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완료하게 되면, '영수증 상세보기' 화면과 함께 ‘영수증 보내기’선택창이 출력되는바, ② 이에 응하여 사용자가 ‘영수증 보내기’메뉴(11)를 클릭하여 선택하게 되면, ③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 혹은 이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에서는, Applet에 저장된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유사하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성페이/LG페이와 같은 모바일카드(2')의 경우, 모바일 카드칩(20')의 Applet에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여 두고, ①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에서 삼성페이/LG페이와 같은 모바일카드 결제를 완료하게 되면, 역시 '영수증 상세보기' 화면과 함께 ‘영수증 보내기’선택창이 출력되는바, ② 이에 응하여 사용자가 ‘영수증 보내기’메뉴(11)를 클릭하여 선택하게 되면, ③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 혹은 이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에서는, Applet에 저장된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카드 소유자는 카드 발급시에 여러 종류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등록하여 둘 수도 있는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신용카드(2)의 신용카드 Applet에 복수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여 두고, ①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완료하게 되면, '영수증 상세보기' 화면과 함께 ‘영수증 보내기’선택창이 출력되는바, ② 이에 응하여 사용자가 ‘영수증 보내기’메뉴(11)를 클릭하여 선택하게 되면, ③ 부가정보로서 미리 등록된 복수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 선택창(12')이 디스플레이되는바,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선택하고 '보내기' 버튼(13')을 클릭하면, ④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 혹은 이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에서는, 전환번호나 이메일 주소와 같은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도 applet에 저장된 선택된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역시 유사하게, 모바일 카드 소유자가 삼성페이/LG페이와 같은 모바일카드(2')에 복수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등록하여 두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①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에서 모바일카드 결제를 완료하게 되면, '영수증 상세보기' 화면과 함께 ‘영수증 보내기’선택창이 출력되는바, ② 이에 응하여 사용자가 ‘영수증 보내기’메뉴(11)를 클릭하여 선택하게 되면, ③ 부가정보로서 미리 등록된 복수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 선택창(12')이 디스플레이되는바,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선택하고 '보내기' 버튼(13')을 클릭하면, ④ 앱 또는 결제 단말기(10) 혹은 이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에서는, 전환번호나 이메일 주소와 같은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도 applet에 저장된 선택된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결제 완료 후에, ②번 단계의 ‘영수증 보내기’메뉴(11)를 클릭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정해진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도 가능하며, 역시 경우에 따라서는,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결제 완료 후에, ②번 단계의 ‘영수증 보내기’메뉴(11)를 클릭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부가정보로서 미리 등록된 복수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 선택창(1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③번 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을 선택하기만 하면, '보내기' 버튼(13')을 클릭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선택된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
이제, 도 3 내지 도 7을 보조적으로 참조하면서 도 8 내지 도 16을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제1 내지 제5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상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발송 방법별 영수증 발송" 과정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는 칩 저장공간(21: 도 3 참조)의 칩 데이터를 읽어(S10),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20).
이후,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가 상기 칩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드 거래 실행 후(S31), 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2), 정상 거래인 것으로 확인되면, 발송 방법이 존재하는지?/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3), 발송방법이 존재하면/선택되면, 존재하는/선택되는 발송방법 별로 영수증을 발송하는 서브루틴을 실행하고(S40),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 확인 단계(S20)에서,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가 상기 칩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카드 거래 실행(S34) 후, 정상거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5), 그에 해당되는 처리를 하고 나서, 전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 확인 단계(S20)를 더 상술하면, 먼저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2),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스토리지가 부가정보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3), 지원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4),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레코드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5), 지원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6),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FCI 정보 내에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7), 존재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8),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카드 거래를 시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발송방법 별 영수증 발송' 서브루틴(S40)을,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발송 방법이 전체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1), 그러한 경우에는 부가정보에 등록된 전체 발송 방법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4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발송 방법이 이메일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3), 그러한 경우에는 이메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44), 상기 S4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문자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5), 그러한 경우에는 문자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46), 마지막으로 상기 S4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카톡과 같은 SNS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7), 그러한 경우에는 SNS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는바(S48), 이외에도 여타 발송 방법을 추가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실시예)
이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상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며,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서 "발송 방법별 거래내역 전송" 과정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는 칩 저장공간(21: 도 3 참조)의 칩 데이터를 읽어(S51),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게 되는바, 먼저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2),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애플릿을 선택하도록 하고(S53),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된다(S54).
그리하여,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한 후, 그리고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이번에는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5), 존재하는 경우에는 EMV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56), EMV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여(S57), EMV 거래가 성공이면, 추가적으로 FCI 나 DataStorage 혹은 record data 내에 영수증 발행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8), 'Yes'이면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된다(S59).
그리하여,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한 후, 그리고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도 12의 거래내역 전송 프로세스(S91~S100)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타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61), 기타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여(S62), 기타 거래가 성공이면, 역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도 12의 거래내역 전송 프로세스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 상기 S57 단계 및 S6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각각 EMV 거래 및 기타 거래가 성공이 아니면, 지불 거래 실패 처리를 진행하고(S63),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
이후 계속해서 상기 S90 단계 이후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거래 완료 처리 후(S90),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91), 세팅되었으면, 상기 S54 단계 및/또는 상기 S59 단계에서 읽어들인 부가정보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게 되는바, 먼저 부가정보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영수증 발급 방식이 이메일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2), 그러한 경우에는 이메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93), 상기 S9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모바일 문자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4), 그러한 경우에는 모바일 문자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95), 계속해서 상기 S9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카톡과 같은 SNS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6), 그러한 경우에는 SNS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며(S97), 마지막으로 상기 S9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기타 제4의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8)(일례로, ARS 음성 정보, 점자 정보 전송, 등), 그러한 경우에는 기타 방식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는바(S99), 이외에도 여타 발송 방법을 추가할 수 있다.
이후, 모든 거래를 완료하고(S100),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91 단계에서 결과,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은 경우에는, 당연히 영수증 발송 프로세스를 행하지 않고 곧바로 모든 거래를 완료하고(S100),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제2 실시예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2 실시예가 "카드칩을 사용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인데 반하여, 본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마그네틱 스트립을 사용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이라는 점이며, 따라서, 도 12의 S90 단계 이후는 동일한바, 도 10에 대응되는 도 11의 프로세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는 마그네틱 스트립의 트랙에서의 MS 데이터를 읽어(S71),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게 되는바, 먼저 MS 데이터에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72),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된다(S74).
그후, 기존 방식대로 MS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 거래 처리를 행하고(S75), 거래가 성공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S76), 성공이면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역시 도 12의 거래내역 전송 프로세스(S91~S100)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 상기 S7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거래가 성공이 아니면, 지불 거래 실패 처리를 진행하고(S77),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S7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MS 데이터에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의 일반적인 방식대로 마그네틱 스트립을 이용한 거래 처리를 행하게 되는바(S73), 당연히 거래 성공 혹은 거래 실패에 대한 처리를 포함한다.
(제4 및 제5 실시예)
마지막으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에서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상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에서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며,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서 "발송 방법별 거래내역 전송" 과정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3을 참조하여 '고객 개시 지불 결제' 방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카드(2) 및 모바일 기기(10)를 사용하는 고객이 스스로 지불 결제를 행하는 시스템이다.
즉, 상기 고객 개시 지불 거래 시스템은, 고객의 모바일 기기(10); 카드 정보를 갖는 고객의 카드(2); 제휴사 정보 및 지불 정보를 갖는 제휴사(100)를 포함한다. 제휴사 정보는, 제휴사 코드 및 제휴사의 POS 또는 다른 단말기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지불 정보는, 고객이 제휴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지불 금액, 통화 또는 트랜잭션 번호를 포함한다.
매입사 혹은 VAN사(200)는 승인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카드사(300)와 통신하며, 이때, 매입사 혹은 VAN사(200)는 일반적으로 제휴사와의 기존 비즈니스 관계를 갖는 상업적인 은행 혹은 카드 결제를 지원하는 사업체이고, 카드사(300)는 일반적으로 소비자에게 카드(2)를 발행하는 은행과 같은 사업체이다. 지불 결제의 승인 또는 그들의 청산(clearance) 및 지급(settlement)은, 매입사 혹은 VAN사(200)와 카드사(300) 간의 통신을 수반할 수 있다. 매입사 혹은 VAN사(200) 및/또는 카드사(300)는 지불 결제를 승인하거나 거부하고, 그러한 결정을 모바일 기기(10)로 다시 전송한다.
모바일 기기(10)는, 제휴사(merchant) 정보 및 지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드 지불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카드(2)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카드 정보, 상기 제휴사 정보 및 상기 지불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을 매입사 혹은 VAN사(200)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매입사 혹은 VAN사(200)로부터 지불 승인 요청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제휴사가 영수증 수신을 원하는 영수증 발급용 부가정보가 제휴사 정보에 포함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카드(2)로부터의 카드 정보에는 소비자가 영수증 수신을 원하는 영수증 발급용 부가정보가 역시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제휴사 정보는, 상기 제휴사가 제공하는 QR 코드, NFC Tag, 바코드, 직접 상기 모바일 기기(10)에 입력하는 정보, 상기 POS 단말기(1)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하는 정보, 혹은 상기 제휴사의 GPS에 기한 위치 추적으로 인하여 미리 서버에 저장된 정보,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사용자 주도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오히려 제휴사의 부가정보가 사용자주도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하여야 하는바, 가맹점 ID, 가맹점상호 등의 가맹점 정보에 더하여, 거래 완료에 대한 통보를 받고자 하는 연락처 (이메일, 제휴사측 스마트폰 번호, SNSID, …등) 를 QR코드 또는 NFC Tag 등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결제용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통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고객이 고객의 폰으로 제휴사의 정보를 받아 결제를 하고, 결제 결과를 제휴사측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다만, 기존에는 제휴사의 정보만 QR Code, NFC Tag 등을 통해 받아 왔지만 제휴사측의 연락처까지 받아온다는 것이며, 그러면 고객이 폰으로 결제 후, 제휴사측에게 결제 결과를 통보하되, 제휴사측의 부가정보를 받아서 자동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것이다.
즉, 본 제4 실시예에서는, QR code나 NFC Tag 칩 거래를 통해 제휴사측의 부가 정보를 취득하여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프로세스가 추가되며, 이를 중심으로 이하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는 먼저 QR 코드나 NFC Tag 등의 방식으로 제휴사측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1). 이후,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제휴사측이 영수증을 수신하고자 하는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 그리하여,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영수증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고(S3), 프로세서는 칩 저장공간(21: 도 3 참조)의 칩 데이터를 읽어(S51), 영수증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게 되는바, 이후 단계는 상기 제2 실시예(도 10 참조)에서와 동일하다.
즉, 먼저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2),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애플릿을 선택하도록 하고(S53),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된다(S54).
그리하여,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한 후, 그리고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이번에는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5), 존재하는 경우에는 EMV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56), EMV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여(S57), EMV 거래가 성공이면, 추가적으로 FCI 나 DataStorage 혹은 record data 내에 영수증 발행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8), 'Yes'이면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된다(S59).
그리하여,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한 후, 그리고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도 16의 거래내역 전송 프로세스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타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61), 기타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여(S62), 기타 거래가 성공이면, 역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도 16의 거래내역 전송 프로세스(S81~S100)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 상기 S57 단계 및 S6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각각 EMV 거래 및 기타 거래가 성공이 아니면, 지불 거래 실패 처리를 진행하고(S63),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
이후 계속해서 상기 S90 단계 이후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거래 완료 처리 후(S90),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81), 세팅되었으면, 상기 S1 단계에서 읽어들인 제휴사측 부가정보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게 되는바, 먼저 제휴사측 부가정보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영수증 발급 방식이 이메일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82), 그러한 경우에는 이메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83), 상기 S8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모바일 문자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84), 그러한 경우에는 모바일 문자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85), 계속해서 상기 S8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카톡과 같은 SNS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86), 그러한 경우에는 SNS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며(S87), 마지막으로 상기 S8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기타 제4의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88)(일례로, ARS 음성 정보, 점자 정보 전송, 등), 그러한 경우에는 기타 방식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는바(S89), 이외에도 여타 발송 방법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S89 단계 이후 및 상기 S8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았으면 곧바로, 상기 프로세서는 소비자측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91), 세팅되었으면, 상기 S54 단계 및/또는 상기 S59 단계에서 읽어들인 부가정보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게 되는바, 먼저 부가정보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영수증 발급 방식이 이메일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2), 그러한 경우에는 이메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93), 상기 S9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모바일 문자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4), 그러한 경우에는 모바일 문자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고(S95), 계속해서 상기 S9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카톡과 같은 SNS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6), 그러한 경우에는 SNS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며(S97), 마지막으로 상기 S9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기타 제4의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98)(일례로, ARS 음성 정보, 점자 정보 전송, 등), 그러한 경우에는 기타 방식으로 영수증 정보를 발송하는바(S99), 이외에도 여타 발송 방법을 추가할 수 있다.
이후, 모든 거래를 완료하고(S100),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91 단계에서 결과,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은 경우에는, 당연히 영수증 발송 프로세스를 행하지 않고 곧바로 모든 거래를 완료하고(S100),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참고로, 본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상기 제휴사측 정보의 일예는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제, 마지막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본 제5 실시예의 경우는, QR code나 NFC/OCR 키 입력에 의한 거래를 통해 제휴사측의 부가 정보를 취득하여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프로세스가 추가되며, 이를 중심으로 이하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는 먼저 QR 코드나 NFC Tag,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의 방식으로 제휴사측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1). 이후,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제휴사측이 영수증을 수신하고자 하는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 그리하여,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영수증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한다(S3).
한편, 상기 S3 단계 이후 추가적으로 및 상기 S2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영수증용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상기 프로세서는,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텍스트를 판독 및 인식하거나 키보드 입력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바(S4),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5),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POS(1)나 결제 단말기(10)에 부가정보를 입력하게 되며(S6), 역시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게 된다(S7).
계속해서 상기 S7 단계 이후 및 상기 S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기존 방식대로 MS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 거래 처리를 행하고(S75), 거래가 성공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S76), 성공이면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6의 거래내역 전송 프로세스(S81~S100)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 상기 S7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거래가 성공이 아니면, 지불 거래 실패 처리를 진행하고(S77),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상이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형태, 세부 사항,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의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 POS (Point-Of-Sale) 단말기/카드 조회기 2 : 카드
2' : 모바일 카드 3 : 종이 영수증
10 : 모바일 기기 11 : '영수증 보내기' 메뉴
12 : 입력창 13 : '보내기' 버튼
14 : 모바일 영수증
20 : 카드칩 20': 모바일 카드칩
21 : 칩 저장공간 22 : 애플릿(applet)
100 : 제휴사(Merchant) (즉, 카드 가맹점) 200 : VAN사
300 : 카드사(Issuer)

Claims (9)

  1. 신용카드(2)의 마그네틱 스트립이나 카드칩(20) 또는 삼성페이/LG페이와 같은 모바일카드(2')의 모바일 카드칩(20')의 저장공간(21)에, 카드 정보 외에도, 개인 전화번호, E-mail, SNSID 와 같은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결제 시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저장된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에서의 "결제 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통신수단(MMS, E-mail, Messaging app 등)으로 자동으로 거래내역을 발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는 복수개이고, 결제 시 복수개의 발송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는 소비자의 단말기에서 이루어지고, 제휴사측으로 거래 내역을 발송하는 부가정보는, 상기 제휴사측에서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 QR 코드나 NFC Tag 혹은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결제전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4. 제1항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칩 저장공간(21)의 칩 데이터를 읽어(S10),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게 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 이후,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가 상기 칩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드 거래 실행 후(S31), 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
    상기 S3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상 거래인 것으로 확인되면, 거래내역 발송 방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 및
    상기 S3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거래내역 발송방법이 존재하면, 존재하는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실행하고(S40),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 확인 단계(S20)는,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2),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스토리지가 부가정보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3), 지원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4),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레코드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5), 지원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고(S26),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FCI 정보 내에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7), 존재하는 경우에는 역시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는(S2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
  5. 제1항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칩 저장공간(21)의 칩 데이터를 읽어(S51),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도록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애플릿을 선택하도록 하고(S53),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4);
    상기 S54 단계 이후 및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EMV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56), EMV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7);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거래가 성공이면, 추가적으로 FCI 나 DataStorage 혹은 record data 내에 거래내역 발행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8);
    상기 S5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이면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9); 및
    상기 S59 단계 이후 및 상기 S5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
  6. 제1항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마그네틱 스트립의 트랙에서의 MS 데이터를 읽어(S71),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도록, MS 데이터에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2);
    상기 S7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MS 데이터에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74);
    상기 S74 이후, MS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 거래 처리를 행하고(S75), 거래가 성공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6); 및
    상기 S7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카드 거래가 성공이면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
  7. 제3항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QR 코드나 NFC Tag 등의 방식으로 제휴사측 정보를 획득하고(S1),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제휴사측이 거래내역을 수신하고자 하는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는 단계(S3);
    상기 S3 단계 이후 및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칩 저장공간(21)의 칩 데이터를 읽어(S51), 거래내역 발송용 부가정보를 확인하도록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 애플릿을 선택하도록 하고(S53), 해당 애플릿의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4);
    상기 S54 단계 이후 및 상기 S5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 애플릿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애플릿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EMV 거래 처리를 진행하고(S56), EMV 거래가 성공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7);
    상기 S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EMV 거래가 성공이면, 추가적으로 FCI 나 DataStorage 혹은 record data 내에 거래내역 발행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8);
    상기 S5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이면 해당 부가정보를 판독 및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59); 및
    상기 S59 단계 이후 및 상기 S5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
  8. 제3항의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으로서,
    QR 코드나 NFC Tag 등의 방식으로 제휴사측 정보를 획득하고(S1),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제휴사측이 거래내역을 수신하고자 하는 부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휴사측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는 단계(S3);
    상기 S3 단계 이후 및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휴사측 정보 내에 거래내역용 부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판독 및 인식하거나 키보드 입력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단계(S4);
    상기 S4 단계 후에,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5);
    상기 S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POS(1)나 결제 단말기(10)에 부가정보를 입력하게 되며(S6), 부가정보 플래그를 세팅하게 되는 단계(S7);
    상기 S7 단계 이후 및 상기 S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추가적인 부가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기존 방식대로 MS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 거래 처리를 행하고(S75), 거래가 성공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6); 및
    상기 S76 단계에서 판단 결과, 거래가 성공이면 지불 거래 완료 처리를 진행하고(S90), 발송방법 별로 거래내역을 발송하는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방법 별 거래내역 발송' 서브루틴은,
    (k1)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k2) 상기 (k1) 부가정보 플래그가 세팅되었으면, 읽어들인 부가정보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먼저 부가정보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거래내역 발급 방식이 이메일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메일 발송인 경우에는 이메일로 거래내역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와,
    (k3) 상기 (k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모바일 문자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에는 모바일 문자로 거래내역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와,
    (k4) 상기 (k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발송 방법이 카톡과 같은 SNS 발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에는 SNS로 거래내역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방법.
KR1020210106759A 2021-08-12 2021-08-12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완료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63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59A KR102634589B1 (ko) 2021-08-12 2021-08-12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완료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2/004068 WO2023017943A1 (ko) 2021-08-12 2022-03-23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59A KR102634589B1 (ko) 2021-08-12 2021-08-12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완료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692A true KR20230024692A (ko) 2023-02-21
KR102634589B1 KR102634589B1 (ko) 2024-02-06

Family

ID=8520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59A KR102634589B1 (ko) 2021-08-12 2021-08-12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완료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4589B1 (ko)
WO (1) WO202301794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32A (ko) * 2005-06-01 2006-12-06 (주) 엘지텔레콤 금융카드의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
KR20090021887A (ko) * 2007-08-28 2009-03-04 주식회사 아이캐시 아이디카드와 스마트 칩 내장 휴대 전화를 같이 사용하는결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08629D0 (en) * 2003-04-14 2003-05-21 Tagboard Ltd Pay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761692B1 (ko) * 2004-05-12 2007-09-28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멤버쉽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50064614A (ko) * 2013-12-03 2015-06-11 이종찬 소유자의 사진과 전화번호가 표시된 지불 카드와 이를 위한 카드조회기 및 이를 이용한 본인 확인 방법
KR20170054648A (ko) * 2015-11-10 2017-05-18 김태리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32A (ko) * 2005-06-01 2006-12-06 (주) 엘지텔레콤 금융카드의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
KR20090021887A (ko) * 2007-08-28 2009-03-04 주식회사 아이캐시 아이디카드와 스마트 칩 내장 휴대 전화를 같이 사용하는결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589B1 (ko) 2024-02-06
WO2023017943A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33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nsaction tokens for mobile devices
US201800682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offline peer-2-peer transactions using exchangeable provisioned tokens
US7926714B1 (en) Context-based card selection device
RU251893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чеков платежей по платежным транзакциям
CN101836216B (zh) 用于在普通业务期间与同一无线智能设备上的iso 14443-4和mifare*应用程序进行交互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AU2009243159B2 (en) Portable device including alterable indicator
US82673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ift card which affords benefits beyond what is purchased
US20140372300A1 (en) Smart card electronic wallet system
US20100057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Promotion of Product(s) and/or Service(s)
US201600488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Funding Options to a User
KR20190047120A (ko) 지불 시스템 및 지불 카드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
JP2013229879A (ja) 携帯型決済デバイス
CN102257524A (zh) 用于在移动设备之间进行支付和非支付虚拟卡传送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1513869A (ja) 動的通貨換算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80100219A (ko) 결제 장치 이용의 인가를 위한 기술
US20230230093A1 (en) Intelligent Management of Authorization Requests
US20200104942A1 (en) Stored Balance with Multi-channel Withdrawal Access
AU2023210585A1 (en) Stored balance with multi-channel withdrawal access
US2014027950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US10878426B2 (en) Value add service for mobile point of sale
US20080135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Purchase of Goods and Services
KR102634589B1 (ko) 카드 내 부가정보를 이용한 거래완료 내역 자동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16056025A (zh) 交互处理中的终端类型标识
US20180181950A1 (en) Electronic payment device transactions
US20210295312A1 (en) Mobile wallets for programming and managing smart c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