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698A -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698A
KR20230023698A KR1020230015741A KR20230015741A KR20230023698A KR 20230023698 A KR20230023698 A KR 20230023698A KR 1020230015741 A KR1020230015741 A KR 1020230015741A KR 20230015741 A KR20230015741 A KR 20230015741A KR 20230023698 A KR20230023698 A KR 2023002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tems
user
sen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070B1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트라이큐빅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이큐빅스 인크. filed Critical 트라이큐빅스 인크.
Priority to KR102023001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0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weight of goods in commercial establishments, e.g. supermarket, P.O.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2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a temporal dimension, e.g. time-based feature extraction; Pattern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 부근에 위치하는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아이템에 대한 구매행위를 인식하고, 결제를 청구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 부근에 위치하는 포토 센서, 카메라 및 로드셀 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여부, 개봉 여부, 정위치 여부 또는 반환 여부 등과 같은 아이템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GOODS SALES SYSTEM USING SENSO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 부근에 위치하는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아이템에 대한 구매행위를 인식하고, 결제를 청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매업자, 도매업자 및 기타 제품의 대리점은 일반적으로 고객이나 거래처 등에 의해 주문 및 구입이 가능한 다양한 상품의 재고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마트의 모습을 살펴보면, 사용자(고객)가 마트에 진입하여 상품을 고르고, 상품이 담긴 카트를 들고 계산대에 줄을 선다. 이후, 마트 직원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별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품에 대한 계산을 수행한다.
최근에 각광받는 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과 딥러닝 등의 대표 키워드를 포함한다.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은 우리의 실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기술은 우리의 삶에 편의적인 도구가 되는 것을 넘어 학습과 분석을 통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따라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이 적용된 오프라인 쇼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아마존(Amazon)은 이러한 기술 변화에 따라 새로운 오프라인 마트인 '아마존고(Amazon Go)'를 오픈했다. 아마존고는 식료품과 잡화 등을 판매하는 일반 마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아마존고 내의 사용자는 상품을 선택한 후, 따로 계산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아마존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사용자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청구한다.
이에 아마존이 출원한 특허인 미국공개특허 US 2015/0012396는 'TRANSITIONING ITEMS FROM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에 관한 기술로, 상품의 제거 또는 배치를 추적하여 사용자 상품 리스트의 배치 및 갱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다만, 미국공개특허 US 2015/0012396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상품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상품(이하에서는 '아이템(item)'이라 칭함)의 제거 또는 배치를 추적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즉, 상기 특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함을 기재하고 있으나, 센서의 적용에 대한 실시예 또는 권리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주로 Wi­Fi, NFC, RFID 및 카메라의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상품 구매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구매행위에 대한 정확도가 낮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미국공개특허 US 2015/0012396(2015.01.08 공개), "TRANSITIONING ITEMS FROM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 부근에 위치하는 포토 센서, 카메라 및 로드셀 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여부, 개봉 여부, 정위치 여부 또는 반환 여부 등과 같은 아이템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셀 센서 보다 더 많은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의 수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공간에 진입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감지하거나, 딥러닝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3D 얼굴 인식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복수의 행들 및 복수의 열들에 의해 구획되는 진열대, 상기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셀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모듈,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이미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 및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여 청구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모듈은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포토 센서 및 상기 로드셀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 센서 보다 상기 포토 센서의 수가 더 많은 것이 특징일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인식부는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이미지 모듈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픽 업(pick up) 또는 풋 다운(put down)의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모듈을 최소 수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행들 및 복수의 열들에 의해 구획되는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물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센서 모듈 및 이미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여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 부근에 위치하는 포토 센서, 카메라 및 로드셀 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여부, 개봉 여부, 정위치 여부 또는 반환 여부 등과 같은 아이템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셀 센서 보다 더 많은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의 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공간에 진입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감지하거나, 딥러닝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3D 얼굴 인식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이 포함된 진열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센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셀 센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또는 상품, 물품 등) 부근에 위치하는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아이템에 대한 구매행위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결제를 청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아이템 인식부(110) 및 결제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아이템 인식부(110)는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위치 및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모듈(30)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아이템을 인식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진열대는 냉장고일 수 있으며, 아이템(상품)을 진열하는 가구의 일종일 수 있다.
이 때, 감지 모듈(30)은 특정 공간 내 복수의 선반 각각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와 복수의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인 이미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로드셀 센서 보다 포토 센서의 수가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공간은 쇼핑몰, 대형 마트, 매장, 음식점 또는 기타 상업 시설의 특정 공간일 수 있으며, 상품 또는 물품을 판매하는 공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포토 센서는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 각각에 위치하여 아이템을 감지하고,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포토 센서는 광 센서(photo sensor)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는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손 또는 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셀 센서는 무게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는 포토 센서 및 로드셀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오프(off) 또는 대기모드(sleep mode) 상태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포토 센서 또는 로드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의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on)되어 해당 위치에서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를 최소화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의 아이템 인식부(110)는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 부근에 위치하는 복수의 포토 센서, 로드셀 센서 및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아이템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센서 및 카메라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의 아이템에 대한 구매행위를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며, 기기의 오작동 및 오류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인식부(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픽 업(pick up) 또는 풋 다운(put down)의 아이템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픽 업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집어 올리는 동작일 수 있고, 풋 다운은 사용자가 들고 있는 아이템을 내려놓는 동작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진열된 아이템을 픽 업하여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으며, 장바구니에 담긴 아이템을 다시 진열대에 풋 다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진열대에 진열된 아이템을 픽 업한 뒤, 바로 풋 다운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아이템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아이템 인식부(110)는 감지 모듈(30)을 통해 전술한 상황에 따른 아이템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후, 결제 처리부(120)는 복수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여 청구한다.
예를 들면, 결제 처리부(120)는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결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여 청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공간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물품 리스트에 대한 결제를 청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은 사용자에 의해 픽 업된 아이템일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부(12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에 포함된 결제 수단,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외부의 결제 서버(미도시)를 통해 물품 리스트에 대한 결제를 청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이체의 형식으로 결제를 청구할 수도 있다. 즉, 결제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의 결제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한 체크카드, 신용카드, 계좌이체 및 자동이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을 통해 물품 리스트에 대한 결제 및 청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 수단 및 처리 방법은 기존 기술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사용자 감지부(140) 및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140)는 특정 공간에 진입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감지부(140)는 특정 공간의 입구 부근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얼굴 인식 모듈(20)을 이용하여 특정 공간에 진입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감지부(14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감지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 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얼굴 인식 모듈에 의한 사용자의 얼굴을 3D 입체 형상으로 획득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감지부(140)는 특정 공간을 진입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특정 공간을 퇴출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고객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 이름, 나이, 핸드폰 번호, 주소, 구매 히스토리, 적립 정보, 얼굴 이미지 및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제어부(1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결제 정보를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인벤토리(inventory)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결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저장되어 유지되는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감지 모듈(3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아이템의 위치 및 무게와, 이미지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움직임 여부, 개봉 여부, 정위치 여부 또는 반환 여부 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아이템에 대한 판매 현황 및 재고 현황을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아이템에 대한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공간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이템의 상표, 가격, 할인 정보, 무게, 크기, 카테고리, 유통기한, 입고일, 재고일, 식별 정보, 배급회사 정보, 관리자 정보, 주의 사항, 개봉 전 이미지, 개봉 후 이미지 및 상/하/좌/우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는 제어부(1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사용자 감지부(140)로부터 특정 공간을 퇴출하는 사용자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결제 처리부(120)를 통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된 아이템에 대한 청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60)을 매개로, 모바일 디바이스(10),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얼굴 인식 모듈(20) 및 감지 모듈(30)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아이템 및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며, 수신 완료된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부(150)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얼굴 인식 모듈(20) 및 감지 모듈(30)은 단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0),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얼굴 인식 모듈(20) 및 복수의 감지 모듈(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 장치로, 특정 공간 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와 통신하여 특정 공간에 관련된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결제, 청구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내부 메모리를 구비하여 연산 및 저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의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교환기,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미도시), Wi­Fi(Wireless LA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Downlink Packet Access) 등에 기반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모듈(미도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구현 예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Infra­red) 등 근거리에서 전달 가능한 공지의 통신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30)의 세부구성과, 감지 모듈(30) 및 물품 판매 시스템(100) 간의 통신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30)은 로드셀 센서(31), 카메라(32) 및 포토 센서(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USB, USB­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로드셀 센서(31), 카메라(32) 및 포토 센서(33) 각각으로부터 아이템의 위치 정보, 무게 정보 및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움직임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로드셀 센서(31), 카메라(32) 및 포토 센서(33)와 유무선통신채널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200)은 특정 공간(1) 내의 진열대에 포함된 복수의 로드셀 센서(230), 카메라(240) 및 포토 센서(250, 26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특정 공간(1) 내에 위치하는 진열대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며, 선반 각각에는 영역(220) 마다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선반의 아이템을 구분하는 영역(220)은 하나의 선반 상에 복수 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아이템(210)이 진열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영역(2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선반 상에 로드셀 센서(230)가 적층되고, 적층된 로드셀 센서(230) 상에 복수의 아이템(210)이 진열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템(210)이 진열된 영역(220)의 하단에는 복수의 아이템(210)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23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진열대 각각에는 복수의 아이템(210)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24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템(210)의 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행 위치의 포토 센서(250) 및 복수의 아이템(210)의 열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열 위치의 포토 센서(26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200)은 로드셀 센서(230) 보다 포토 센서(250, 260)의 수가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드셀 센서(230)는 영역(220) 마다 단일로 배치되며, 카메라(240) 및 포토 센서(250, 260)는 복수의 아이템(210)의 부근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영역(220)은 카테고리, 종류 또는 상표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210)을 분류할 수 있으며, 영역(220)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이 포함된 진열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진열대(300)는 복수의 선반(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열대(300)의 상위 선반을 제1 선반(310)으로, 하위 선반을 제2 선반(320)이라 칭할 경우, 제1 선반(310)은 복수의 영역(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영역(311)은 제1 선반(310)에서 아이템(312)을 카테고리, 종류 또는 상표 별로 구분하기 위한 트레이 또는 파티션일 수 있으며, 하기의 도 5에 도시된 격벽(530)에 의해 분류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영역(311)에는 복수의 아이템(312)이 진열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선반(310)을 예로 들면, 두 개의 영역(311)을 포함하며, 영역(311)에는 서로 다른 종류, 카테고리, 상표, 개수, 크기의 복수의 아이템(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역(311)의 하단에는 복수의 아이템(312)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313)가 위치하며, 복수의 아이템(312)의 상단에는 복수의 카메라(316) 및 열 위치의 포토 센서(315)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영역(331)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선반(310) 상에 로드셀 센서(313)가 적층되고, 적층된 로드셀 센서(313) 상에 복수의 아이템(312)이 진열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 카메라(316)는 제1 선반(310)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312)을 감지하기 위한 좌측 카메라(316L), 중심 카메라(316C), 우측 카메라(316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 위치의 포토 센서(315)는 복수의 아이템(312)의 하나의 열 또는 두 개의 열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열의 포토 센서(3151), 제2 열의 포토 센서(3152), 제3 열의 포토 센서(3153) 및 제4 열의 포토 센서(31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316) 및 열 위치의 포토 센서(315)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열 위치의 포토 센서(315)의 수는 복수의 아이템(312)의 종류, 카테고리, 상표, 개수, 크기에 따라 변동 가능하며, 열 위치의 포토 센서(315)가 감지하는 아이템의 수 및 배열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로드셀 센서(313)는 영역(311) 당 하나이거나, 제1 선반(310) 상에 포함된 격벽(미도시)에 의해 분류된 영역 당 하나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포토 센서(314, 315) 및 카메라(316)의 수 보다 적은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로드셀 센서(313)의 수를 줄이면서도 카메라(316) 및 포토 센서(314, 315)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아이템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에서의 제2 선반(320)을 예로 들면, 제2 선반(320)에 복층의 아이템(322)이 진열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아이템(322)은 영역(321)에 2층으로 진열되며, 영역(321)의 하단에는 로드셀 센서(323)가 위치하고, 복수의 아이템(322)의 상단에는 복수의 카메라(326) 및 열 위치의 포토 센서(325)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템(322)의 측면에는 행 위치의 포토 센서(324)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행 위치의 포토 센서(324)는 2층으로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322)을 감지하기 위해 제1 행의 포토 센서(3241) 및 제2 행의 포토 센서(32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행 위치의 포토 센서(314, 324) 및 열 위치의 포토 센서(315, 325)는 행 위치 및 열 위치에 존재하는 아이템(312, 322)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해당 아이템(312, 322)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진열대(300)의 복수의 선반(310, 320)에 위치하는 로드셀 센서(313, 323), 카메라(316, 326) 및 포토 센서(314, 324, 315, 325)에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부가할 수 있으며, 로드셀 센서(313, 323), 카메라(316, 326) 및 포토 센서(314, 324, 315, 325)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와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312, 322)의 변동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센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보드(sensor board)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센서 보드가 적용된 진열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센서 보드(410)는 복수의 발광부(411) 및 수광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발광부(411) 및 수광부(412)를 포함하여 포토 센서라 칭한다.
발광부(411) 및 수광부(412)는 일정 간격에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간격은 진열대의 크기 및 종류 또는 아이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도 4a에 도시된 발광부(411) 및 수광부(412)의 종류, 형태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부(411) 및 수광부(412)를 포함하는 센서 보드(410)의 재질, 기판 종류 및 형태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센서 보드(410)는 진열대의 사방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하네스(420)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복수의 센서 보드(410) 각각에 포함된 포토 센서(411, 412)로부터 아이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아이템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센서 보드(410) 각각은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100)은 포토 센서(411, 412)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 및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움직임이 발생된 영역을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셀 센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열대(500)는 복수의 선반(510)으로 분류되며, 복수의 선반(510) 상에는 복수의 로드셀 센서(5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 선반(510)에는 아이템을 분류하기 위한 격벽(530)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로드셀 센서(520)는 선반(510) 상에 넓은 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선반(510) 상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미도시) 각각의 하단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영역(220) 또는 도 3에 도시된 영역(313, 323)은 격벽(530)에 의해 분류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역은 포함되거나, 불 포함될 수도 있다.
로드셀 센서(520)는 선반(510) 상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해당 선반(510)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개수에 따른 무게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해당 선반(510) 상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생수라 가정할 때, 사용자가 하나의 생수를 픽 업(pick up)하여 섭취 후, 풋 다운(put down)하는 경우, 로드셀 센서(520)는 해당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물품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물품 판매 시스템은 카메라 및 포토 센서로부터 아이템의 개수 및 움직임을 파악하여 무게 변동에 따른 아이템의 개봉 여부, 정위치 여부 또는 반환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판단 결과에 따른 결제를 청구할 수 있다.
즉, 로드셀 센서(520)는 아이템의 개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섭취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로드셀 센서(520)를 복수의 아이템 마다 배치하지 않고, 선반(510) 상의 일정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적은 개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로드셀 센서(520)는 사용자에 의한 아이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최상위 선반에 진열된 생수의 아이템을 픽 업한 후, 최하위 선반에 풋 다운하는 경우, 최상위 선반의 로드셀 센서(520)는 무게의 감소를 감지하고, 최하위 선반의 로드셀 센서(520)는 무게의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소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구매행위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로드셀 센서(520)는 무게 변화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에 전송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카메라 및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각 선반에서의 무게 변동에 따른 아이템의 움직임 및 구매 여부를 판단하며, 아이템이 정위치에 진열되지 않은 경우, 특정 공간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해당 아이템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열대(600)의 벽면에 복수의 카메라(6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610)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720P급 PC CA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610)는 오프(off) 또는 대기모드(sleep mode) 상태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포토 센서 또는 로드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의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on)되어 해당 위치에서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를 최소화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타임(Image Processing Time)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포토 센서 및 로드셀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움직임 또는 아이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은 움직임이 감지된 해당 위치에서의 카메라(610)를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카메라(61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움직임 및 아이템의 움직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6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움직임 및 아이템의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미지 처리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처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특정 공간에 진입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단계 7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공간에 진입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감지하거나, 얼굴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7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얼굴 인식 모듈에 의한 사용자의 얼굴을 3D 입체 형상으로 획득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고객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 이름, 나이, 핸드폰 번호, 주소, 구매 히스토리, 적립 정보, 얼굴 이미지 및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근접을 인식한다.
단계 720은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로부터 진열대에 근접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토 센서는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 각각에 위치하여 아이템을 감지하고,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포토 센서는 광 센서(photo sensor)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는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손 또는 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방법은 단계 720에 의해 사용자의 근접이 인식되는 경우, 진열대에 위치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인 이미지 모듈을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을 인식한다.
단계 730은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와 복수의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인 이미지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모듈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이용하여 픽 업(pick up) 또는 풋 다운(put down)의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픽 업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집어 올리는 동작일 수 있고, 풋 다운은 사용자가 들고 있는 아이템을 내려놓는 동작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로드셀 센서 보다 포토 센서의 수가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방법은 단계 730에 의해 아이템의 움직임이 인식되는 경우, 진열대에 위치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인 이미지 모듈을 활성화하여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740에서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추출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여 청구한다.
단계 740은 저장되어 유지되는 인벤토리(inventory)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결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여 청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특정 공간
100, 200: 물품 판매 시스템
300, 500, 600: 진열대
210, 312, 322: 아이템
220, 311, 321: 영역
230, 313, 323, 520: 로드셀 센서
240, 316, 326, 610: 카메라
250, 260, 314, 324, 315, 325: 포토 센서
310, 320, 510: 선반
410: 센서 보드
411: 발광부
412: 수광부
420: 하네스
530: 격벽

Claims (1)

  1. 복수의 행들 및 복수의 열들에 의해 구획되고, 서로 다른 층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선반들을 갖는 진열대;
    상기 선반들 각각에 진열된 복수의 아이템의 행 위치 및 열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 또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모듈;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이미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인식하는 아이템 인식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여 청구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결제 정보를 상기 물품 리스트에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템 인식부는
    상기 로드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모듈의 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픽 업(pick up) 또는 풋 다운(put down이 발생된 아이템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모듈의 조합을 이용하여 아이템의 개봉 전 이미지 및 개봉 후 이미지와 아이템의 무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에 대한 개봉 여부 및 아이템이 원래의 선반에 정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로드셀 센서는 각각의 선반에서 둘 이상의 아이템들이 배치되는 특정 영역별로 하나씩 배치되는 물품 판매 시스템.
KR1020230015741A 2017-08-16 2023-02-0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741A KR102637070B1 (ko) 2017-08-16 2023-02-0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314A KR20190020206A (ko) 2017-08-16 2017-08-1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30015741A KR102637070B1 (ko) 2017-08-16 2023-02-0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314A Division KR20190020206A (ko) 2017-08-16 2017-08-1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698A true KR20230023698A (ko) 2023-02-17
KR102637070B1 KR102637070B1 (ko) 2024-02-16

Family

ID=655844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314A KR20190020206A (ko) 2017-08-16 2017-08-1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30015741A KR102637070B1 (ko) 2017-08-16 2023-02-0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314A KR20190020206A (ko) 2017-08-16 2017-08-16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202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7825B (zh) * 2019-03-15 2021-06-2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物品识别方法及装置
CN112304410A (zh) * 2019-07-31 2021-02-02 梅特勒-托利多(常州)测量技术有限公司 具有物体识别的称重装置和称重方法
KR102272654B1 (ko) * 2020-11-10 2021-07-05 이소정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693A (ko) * 2011-06-03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장 관리/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331923B1 (ko) * 2010-10-19 2013-11-22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우편창구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63821A1 (en) * 2011-08-30 2016-03-03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bjects
KR20170049219A (ko) * 2015-10-28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923B1 (ko) * 2010-10-19 2013-11-22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우편창구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34693A (ko) * 2011-06-03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장 관리/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20160063821A1 (en) * 2011-08-30 2016-03-03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bjects
KR20170049219A (ko) * 2015-10-28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특허 US 2015/0012396(2015.01.08 공개), "TRANSITIONING ITEMS FROM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06A (ko) 2019-02-28
KR102637070B1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774B1 (ko) 구매행위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7070B1 (ko)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02280B1 (en) System to search three-dimensional object data
US20210398067A1 (en) Dynamic planograms in a retail store
US10882692B1 (en) Item replacement assistance
KR20190093733A (ko) 무인 점포에서의 아이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93213B2 (en) Tracking persons in an automated-checkout store
CN114040153B (zh) 用于在环境内计算机视觉驱动应用的系统
US9916561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devices for tracking inventory
US11373320B1 (en) Detecting inventory changes by comparing image data
US115212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objects in an automated-checkout store based on distributed computing
US10520353B1 (en) System to process load cell data
US10824924B2 (en) Electronic label, electronic label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87231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objects in a retail store utilizing mobile RFID tag transmitter systems
US11853961B1 (en) Customized neural network for item recognition
JP65806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物品提供システム
KR100935341B1 (ko) 온/오프라인 매장 통합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9165895A1 (zh) 自动售货方法和系统以及自动售货装置和自动贩售机
US11741447B1 (en) Automated purchasing systems and methods
JP2020508275A (ja) 商品をピッキングおよび購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88471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9779302B1 (en) System for optimizing storage location arrangement
US9412085B2 (en) Management of an object
US20190139057A1 (en) Sensorized retail items and methods
WO2017064319A1 (en) System for determining customer and product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