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627A - 렌즈 요소 - Google Patents

렌즈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627A
KR20230023627A KR1020227041459A KR20227041459A KR20230023627A KR 20230023627 A KR20230023627 A KR 20230023627A KR 1020227041459 A KR1020227041459 A KR 1020227041459A KR 20227041459 A KR20227041459 A KR 20227041459A KR 20230023627 A KR20230023627 A KR 2023002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ens
elements
pupil
optical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개쿠앙
마티유 기요
브후노 페르미지에
소 질 르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23002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28Consisting of two mould halves joined by an annular gaske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Px)을 가지는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광학 렌즈로서, 광학 렌즈는 2개의 대향되는 광학 면 및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을 포함하고,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착용자의 눈의 망막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지 않는 광학 기능을 가지며, - 직경이 적어도 4 mm인 동공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에 상응하는 평면에서 0.1 초과의 광학 렌즈를 통해 0 내지 20 cyc/deg의 변조 전달 함수를 측정할 수 있고, - 상기 동공에 걸쳐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대부분은 복수의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며, - 인접 광학 요소의 각각은 공식 (I)를 확인하고, d는 mm 단위의 상기 광학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P|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광학 요소의 특성 광학적 굴절력의 절대 값이고, K는 0.9 이상 및 1.7 이하의 수이다.
Figure pct00023

Description

렌즈 요소
본 개시 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Px)을 가지는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광학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광학 렌즈는 2개의 대향되는 광학 면 및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사람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렌즈 요소를 위한 몰드에 관한 것이다.
눈의 근시는, 눈이 원거리 물체를 그 망막의 전방에서 포커싱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근시는 일반적으로 오목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되고, 원시는 일반적으로 볼록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된다.
통상적인 단초점 광학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되는 경우, 일부 사람들, 특히 어린이는 근거리로 떨어져서 위치되는, 즉 근거리 시력 조건에서 물체를 관찰할 때, 부정확하게 포커싱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원거리 시력이 교정되는 근시 어린이 일부에서의 이러한 포커싱 결함으로 인해서, 가까운 물체의 이미지가 그 망막 뒤에도 형성되며, 심지어 중심와 영역에도 형성된다.
그러한 포커싱 결함은 그러한 사람들의 근시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사람들의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시 결함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중심와 시력은, 관찰 물체의 이미지가 중심와 구역으로 지칭되는 망막의 중앙 구역 내에서 눈에 의해서 형성되는 관찰 조건에 상응한다.
주변 시력은 바라보는 물체에 대해서 측면으로 오프셋된 장면(scene) 요소의 인식에 상응하며, 상기 요소의 이미지는 중심와 구역으로부터 먼 망막의 주변 부분에 형성된다.
굴절이상 대상에게 제공되는 안과 교정은 일반적으로 그 중심와 시력에 맞게 구성된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이, 교정은 중심와 시력에 대해서 결정된 교정에 비해서 주변 시력에서 감소되어야 한다. 특히, 원숭이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중심와 구역으로부터 먼 곳에서 일어나는, 망막 뒤의 광의 강력한 디포커싱(defocusing)이 눈의 세장화(elongation)를 유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근시 결함의 증대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근시 또는 원시와 같은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적어도 늦출 수 있는 렌즈 요소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 본 개시 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Px)을 가지는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광학 렌즈를 제안하고, 이러한 광학 렌즈는 2개의 대향되는 광학 면 및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을 포함하고,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착용자의 눈의 망막상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지 않는 광학 기능을 가지며,
- 직경이 적어도 4 mm인 동공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에 상응하는 평면에서 0.1 초과의 광학 렌즈를 통해 0 내지 20 cyc/deg의 변조 전달 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를 측정할 수 있고,
- 상기 동공에 걸쳐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대부분은 복수의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며,
- 인접 광학 요소의 각각은
Figure pct00001
를 확인하고(verify),
d는 mm 단위의 상기 광학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P|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광학 요소의 특성 광학적 굴절력(optical power)의 절대 값이고,
K는 0.9 이상 및 1.7 이하의 수이다.
유리하게는, 치수와 광학적 굴절력 사이의 특정 관계를 확인하는 광학 요소를 가지는 것은, 광학 렌즈를 착용할 때, 처방된 굴절력을 착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인접 광학 요소들이 광학 렌즈의 표면 부분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는, 처방된 굴절력을 착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인접 광학 요소들을 이용하여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출 수 있게 한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 상기 동공에 걸쳐, 광학 렌즈는 제1 광학 경로 차이(OPD1)를 생성하고, 최고 구면 피팅 광학 렌즈(best spherical fitting optical lens)는 제2 광학 경로 차이(OPD2)를 생성하며, 차이 광학 경로 맵(differential optical path map)(DOP)은 상기 제1 광학 경로 차이(OPD1)와 상기 제2 광학 경로 차이(OPD2) 사이의 차이로서 구성되고, 차이 광학 경로(DOP)는 0이 아니고/아니거나;
- 광학 요소들은, 상기 동공 위의 광학 렌즈가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독립적 섬-형상 영역으로 구성된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할 때, 상기 동공 위에서 인접하고/하거나;
- 상기 동공에 걸쳐, 범위[DOP의 최소 레벨, DOP의 최소 레벨 + 진폭의 10%] 내의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의 일부가 상기 동공에 걸쳐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의 30% 미만을 나타내고, 상기 진폭에서 상기 동공에 걸친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가 최대 레벨이고/이거나;
- 각각의 광학 요소의 특성 치수는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의 레벨에 의해서 규정되는 윤곽 플롯(contour plot) 내의 내접 원의 가장 큰 직경에 상응하고, 상기 레벨은 상기 동공에 걸쳐 일정하고 범위[DOP의 최소 레벨, DOP의 최소 레벨 + 진폭의 10%] 이내이며, 상기 진폭에서 상기 동공에 걸친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가 최대 레벨이고/이거나;
-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20 D 이하, 예를 들어 10 D 이하, 예를 들어 6 D 이하의 특성 광학적 굴절력을 가지고/가지거나;
- 5 mm 직경의 동공은 광학 렌즈의 기준점, 예를 들어 피팅 크로스(fitting cross) 또는 광학적 중심을 포함하고/하거나;
- 상기 광학 요소가 정사각형 메시 또는 육각형 메시 또는 삼각형 메시 또는 팔각형 메시 또는 무작위 메시인 구조화된 메시 상에 위치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가, 표준 착용 조건에서 망막 이외의 위치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는 광학 기능을 가지고/가지거나;
- 광학 요소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전부가 광학 축을 가지고, 상기 광학 요소들의 광학 축은 하나의 지점에서 교차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전부가 적어도 하나의 포컬 지점을 가지고, 각각의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포컬 지점이 일치되고/되거나;
- 광학 광학 요소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전부가 공통 위치에서 이미지를 포커스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가, 표준 착용 조건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지 않는 광학 기능을 가지고/가지거나;
- 상기 동공에 걸쳐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적어도 80%가 복수의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광학 렌즈의 전방 표면에 위치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광학 렌즈의 후방 표면에 위치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광학 렌즈의 전방 표면과 후방 표면 사이에 위치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예를 들어 굴절 영역 주위에서 환형 형상을 가지고/가지거나;
- 광학 요소는 0.2 mm 이상, 예를 들어 0.4 mm 이상, 예를 들어 0.6 mm 이상, 및 2.0 mm 이하, 예를 들어 1.0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 내에 내접될 수 있는 윤곽 형상을 가지고/가지거나;
- 광학 요소들이 복수의 동심적인 링들을 따라서 위치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들이 구조화된 메시 상에 위치되고/되거나;
- 메시 구조가 무작위적 메시, 예를 들어 Voronoi 메시이고/이거나;
- 각각의 광학 요소를 통과하는 광선들의 평균 포커싱이 망막에 대한 동일 거리에 위치되도록 광학 요소들이 구성되고, 공차는 2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이고/이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가 표준 착용 조건에서 비-구면 광학 기능을 가지고/가지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가 원주 굴절력(cylindrical power)을 가지고/가지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2개의 인접하는 광학 요소들 사이에서 일정한 광학적 굴절력 및 불연속적인 1차 도함수(first derivative)를 가지고/가지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2개의 인접하는 광학 요소들 사이에서 가변적인 광학적 굴절력 및 굴절력 부호 변화를 가지고/가지거나;
-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mean sphere)가 상기 섹션의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되고/되거나;
-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실린더(cylinder)가 상기 섹션의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되고/되거나;
-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가 상기 섹션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고 이어서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되고/되거나;
- 광학 렌즈는, 광학 요소가 없고 처방된 굴절력(Px)에 상응하는 광학 기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하고/하거나;
- 광학 렌즈는 광학 요소에 의해서 완전히 덮이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에 상응하는 평면 내에서, 렌즈의 주변 구역보다 중앙 구역에서 더 큰, 20 cy/degree의 변조 전달 함수 값을 가지고/가지거나;
- 굴절 영역은 복수의 광학 요소로서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형성되고/되거나;
- 굴절 영역이 광학 중심을 포함하고, 렌즈의 광학 중심을 통과하는 임의의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가 광학 중심으로부터 렌즈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경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고 이어서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되고/되거나;
굴절 지역이 원거리 시력 기준 지점, 근거리 시력 기준, 및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기준 지점들을 결합시키는 경선(meridian)을 포함하고, 표준 착용 조건에서, 렌즈의 임의의 수평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가 상기 수평 섹션과 경선의 교차부로부터 렌즈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고 이어서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되고/되거나;
- 섹션을 따른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 증가 함수가 경선을 따른 상기 섹션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고/지거나;
- 섹션을 따른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 증가 함수는 비대칭적이고/이거나;
- 표준 착용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수평 섹션이 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는 상기 섹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고, 예를 들어 증가되고, 상기 섹션의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고, 예를 들어 감소되며,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보다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에 더 근접하고/하거나;
-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른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 증가 함수는 가우스 함수이고/이거나;
-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른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 증가 함수는 2차 함수이고/이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의 평균 구체가 편심률을 가지고 상기 광학 요소 내에서 변화되고, 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되고/되거나;
- 상기 광학 요소는 인접 광학 요소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구성되고/되거나;
- 인접 광학 요소의 각각의 그룹은 동일 중심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동심적인 링으로 구성되고, 인접 광학 요소의 각각의 그룹의 동심적인 링은, 상기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에 접하는 가장 작은 원에 상응하는 내경 및 상기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에 접하는 가장 큰 원에 상응하는 외경에 의해서 형성되고;
- 광학 요소들의 동심적인 링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는, 상기 광학 요소가 위에 위치되는 렌즈 요소의 표면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되고/되거나;
- 광학 요소들의 동심적인 링들이 9.0 mm 내지 60 mm의 직경을 가지고/가지거나;
- 광학 요소는 2개의 동심적인 링들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되는 광학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가 다초점 굴절 마이크로-렌즈이고/이거나;
- 적어도 하나의 다초점 굴절 마이크로-렌즈가 원주 굴절력을 포함하고/하거나;
- 적어도 하나의 다초점 굴절 마이크로-렌즈가 임의의 회전 대칭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비구면 표면을 포함하고/하거나;
-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가 원환체 굴절 마이크로-렌즈이고/이거나;
- 적어도 하나의 다초점 굴절 마이크로-렌즈가 원환체 표면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를 몰딩하도록 구성된 몰딩 요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은, 곡률을 가지는 주 표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접 표면 요소들(surfacic elements)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을 포함하는 렌즈 요소를 위한 몰딩 요소에 관한 것이고, 각각의 표면 요소는 주 표면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며,
적어도 4 mm 직경의 디스크에 걸쳐:
- 인접 표면 요소들이 주 표면의 대부분을 덮고,
- 인접 표면 요소들의 각각이
Figure pct00002
를 확인하고,
d는 mm 단위의 상기 표면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C|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표면 요소의 특성 곡률의 절대 값이고,
L은 1 이상 및 7.6 이하의 수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이제, 본 개시 내용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전반적인 프로파일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요소의 위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TABO 협약(convention)에서의 렌즈의 비점수차 축(γ)을 도시한다.
도 5는 비구면 표면을 특성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협약에서의 실린더 축(γAX)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눈 및 렌즈의 광학 시스템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요소를 위한 몰드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면 내의 요소는 간결함 및 명료함을 위해서 도시된 것이며, 반드시 실제 축척(scale)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 내의 요소의 일부의 치수가 다른 요소에 비해서 과장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광학 렌즈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서, ≪상부≫, ≪하부≫, ≪수평≫, ≪수직≫, ≪위≫, ≪아래≫, ≪전방≫, ≪후방≫과 같은 용어 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다른 단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렌즈 요소의 착용 조건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맥락에서, "렌즈 요소"라는 용어는 미가공 광학 렌즈(uncut optical lens) 또는 특정 안경 프레임에 피팅되도록 연부가 가공된 안경 광학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및 안과 렌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광학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광학 장치는 안과 렌즈의 전면 또는 후면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장치는 광학 패치일 수 있다. 광학 장치는, 예를 들어 안과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 상에 클립 고정되도록 구성된 클립과 같이, 안과 렌즈 상에 착탈식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는 착용자에 맞춰 구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10)는 2개의 대향 광학 면(F1 및 F2) 및 복수의 인접한 광학 요소(12)를 포함한다.
광학 요소는, 이들이 공통 주변 경계를 공유할 때, 인접한 것으로 간주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렌즈 요소(10)는, 물체 측을 향해서 도 1의 볼록하게 곡선화된 표면으로 형성된 물체 측 표면(F1), 및 물체 측 표면(F1)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도 1의 오목 표면으로서 형성된 눈 측 표면(F2)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렌즈 요소의 전방 표면에 위치된다.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렌즈 요소의 후방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렌즈 요소의 전방 표면과 후방 표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요소는 광학 요소를 형성하는 상이한 굴절률들을 갖는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는 적어도 처방된 굴절력(Px)을 가지는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처방된 굴절력은 구면 및/또는 원주 광학 굴절력에 상응할 수 있다.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광학 렌즈(10)의 광학 요소(12)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는 착용자의 눈의 망막 상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지 않는 광학 기능을 갖는다.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광학 요소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적어도 80%, 예를 들어 전부는 착용자의 눈의 망막 상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지 않는 광학 기능을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포커싱"은, 초점 평면 내의 지점으로 또는 회절 스폿의 크기로 감소될 수 있는 원형 단면을 갖는 포커싱 스폿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광학 요소의 그러한 광학 기능은 주변 시력에서 착용자의 눈의 망막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렌즈 요소를 착용한 사람의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춘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는 망막 이외의 위치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는 광학 기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요소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적어도 80%, 예를 들어 전부가 망막 이외의 위치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는 광학 기능을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주변 시력에 대해서, 각각의 광학 요소를 통과하는 광선들의 평균 포커싱이 착용자의 망막에 대한 동일 거리에 위치되도록 모든 광학 요소들이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은 복수의 독립적인 인접 광학 요소들(12)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2개의 광학 요소는, 독립적인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경우에, 독립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중앙 시력"에서 평행 빔에 의해서 조사될 때, 각각의 "독립적인 인접 광학 요소"는 이미지 공간 내의 평면 상에서 그와 연관된 스폿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광학 요소" 중 하나가 은폐될 때, 이러한 광학 요소가 다른 광학 요소와 인접하는 경우에도, 스폿은 나타나지 않는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는 메시 상에 위치된다.
도 2에 정확하게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광학 요소가 위치되는 메시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화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는, 정사각형 메시 또는 육각형 메시 또는 삼각형 메시 또는 팔각형 메시 또는 무작위 메시와 같은, 구조화된 메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a는 육각형 메시에 따라 위치된 광학 요소를 도시한다.
도 3b는 정사각형 메시에 따라 위치된 광학 요소를 도시한다.
광학 요소들은 또한 복수의 동심적인 링들을 따라서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요소의 동심적인 링들은 환형 링들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렌즈 요소는 적어도 2개의 동심적인 링, 바람직하게는 5개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0개 초과의 동심적인 링으로 위치된 광학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학 요소들은 렌즈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된 11개의 동심적인 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광학 요소는, 도 3c에 도시된 Voronoi 메시와 같은, 무작위적 구조물 메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무작위적 구조물 상에 위치된 광학 요소들을 갖는 것은 광 산란 또는 굴절 위험을 제한한다.
착용 조건은, 예를 들어, 범초점 각도, 각막 대 렌즈 거리, 동공-각막 거리, 눈의 회전 중심(CRE) 대 동공 거리, CRE 대 렌즈 거리, 및 랩 각도(wrap angle)로 규정되는, 착용자의 눈에 대한 광학 렌즈의 위치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각막 대 렌즈 거리는 주 위치에서의 눈의 시축(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취해진다)을 따른 각막과 렌즈의 후방 표면 사이의 거리이고; 예를 들어 12 mm이다.
동공-각막 거리는, 동공과 각막 사이의 눈의 시축을 따른 거리이며, 일반적으로 2 mm이다.
CRE 대 동공 거리는 눈의 시축을 따른 눈의 회전 중심(CRE)과 각막 사이의 거리이고; 예를 들어 11.5 mm이다.
CRE 대 렌즈 거리는 주 위치에서의 눈의 시축(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취해진다)을 따른 눈의 CRE와 렌즈의 후방 표면 사이의 거리이고, 예를 들어 25.5 mm이다.
경사각은,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에 대한 법선과 눈의 시축 사이의,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취해지는)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과 눈의 시축 사이의 교차부에서의 수직 평면 내의 각도이고; 예를 들어 예를 들어 -8°이다.
랩 각도는,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에 대한 법선과 눈의 시축 사이의,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취해지는) 주 위치에서의 렌즈의 후방 표면과 눈의 시축 사이의 교차부에서의 수평 평면 내의 각도이고, 예를 들어 예를 들어 0°이다.
표준 착용 조건의 예가, -8°의 범초점 각도, 12 mm의 각막 대 렌즈 거리, 2 mm의 동공-각막 거리, 11.5 mm의 CRE 대 동공 거리, 25.5 mm의 CRE 대 렌즈 거리, 및 0°의 랩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처방"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위치된 렌즈를 사용하여, 눈의 시력 결함을 교정하기 위해 안과 의사 또는 검안사에 의해 결정되는 광학 굴절력, 비점수차, 프리즘 편차의 광학 특성의 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근시안에 대한 처방은 원거리 시력에 대한 축에서의 광학 굴절력 및 비점수차의 값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은 누진 렌즈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는 누진 렌즈에 대한 문헌 WO2016/146590의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그러한 규정을 단초점 렌즈에 대해서 맞출 수 있다.
광학 렌즈 또는 광학 요소는 비-회전 대칭적 비구면 표면, 예를 들어 누진 표면, 퇴행성(regressive) 표면, 원환체 또는 비원환체(atoric)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알려진 바와 같이, 최소 곡률(CURVmin)은 비구면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이하의 수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pct00003
여기에서 Rmax는 미터로 표현되는 국소적인 최대 곡률 반경이고, CURVmin은 디옵터로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최대 곡률(CURVmax)은 비구면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이하의 수식으로 규정될 수 있고:
Figure pct00004
여기에서 Rmin은 미터로 표현되는 국소적인 최소 곡률 반경이고, CURVmax는 디옵터로 표현된다.
표면이 국소적으로 구면일 때, 국소적 최소 곡률 반경(Rmin)및 국소적 최대 곡률 반경(Rmax)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최소 및 최대 곡률(CURVmin및 CURVmax)도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면이 비구면일 때, 국소적 최소 곡률 반경(Rmin)및 국소적 최대 곡률 반경(Rmax)은 상이하다.
최소 및 최대 곡률(CURVmin및 CURVmax)의 이러한 표현으로부터, SPHmin및 SPHmax로 표시되는 최소 및 최대 구면은 고려되는 표면의 종류에 따라 추정될 수 있다.
고려되는 표면이 물체측 표면(전방 표면으로도 지칭됨)일 때, 수식은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005
, 및
Figure pct00006
이고,
여기에서, n은 렌즈의 구성 재료의 지수이다.
고려되는 표면이 안구측 표면(후방 표면으로도 지칭됨)인 경우에, 수식은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이고
여기에서, n은 렌즈의 구성 재료의 지수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구면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평균 구면(SPHmean)은 다음의 수식으로도 규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따라서, 평균 구면의 표현은 고려되는 표면에 따라 좌우된다:
표면이 물체측 표면인 경우,
Figure pct00010
표면이 안구측 표면인 경우,
Figure pct00011
실린더(CYL)가 또한 수식
Figure pct00012
에 의해서 규정된다.
렌즈의 임의의 비구면 면의 특성은 국소적 평균 구면 및 실린더로 표현될 수 있다. 실린더가 적어도 0.25 디옵터일 때, 표면은 국소적으로 비구면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구면 표면의 경우, 국소적 실린더 축(γAX)이 더 규정될 수 있다. 도 4는 TABO 협약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비점수차 축(γ)을 도시하며, 도 5는 비구면 표면을 특성화하기 위해서 규정된 협약에서의 실린더 축(γAX)을 도시한다.
실린더 축(γAX)은 기준 축에 대한 그리고 선택된 회전 방향으로의 최대 곡률(CURVmax)의 배향 각도이다. 위에 정의된 협약에서, 기준 축은 수평이며(이러한 기준 축의 각도는 0°이다), 회전 방향은 착용자를 보았을 때, 각각의 눈에 대해 반시계 방향이다(0°≤γAX≤180°). 따라서, +45°의 실린더 축(γAX)에 대한 축 값은 그에 따라 비스듬히 배향된 축을 나타내고, 이는, 착용자를 보았을 때, 우측 상부에 위치된 사분체로부터 좌측 하부에 위치된 사분체로 연장된다.
또한, 누진 다초점 렌즈는,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의 상황을 고려하여, 광학 특성으로 또한 규정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눈 및 렌즈의 광학 시스템의 개략적 도면이고, 이에 따라 설명에 사용된 규정을 보여준다. 더 정확하게, 도 6은 응시 방향을 규정하는 데 사용되는 매개변수(α 및 β)를 예시하는 이러한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매개변수(β)가 0인 경우에, 착용자의 머리의 전후 방향 축에 평행하고 눈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 내의 도면이다.
눈의 회전 중심은 Q'로 표시된다.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축(Q'F')은 눈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착용자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축이고, 즉 주 응시 시야에 상응하는 축(Q'F')이다. 이러한 축은, 안경사가 렌즈를 프레임 내에 위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렌즈 상에 존재하는, 피팅 크로스(fitting cross)로 지칭되는 지점 상에서 렌즈의 비구면 표면과 교차된다. 렌즈의 후방 표면과 축(Q'F')의 교차 지점은 지점(O)이다. O은, 후방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피팅 크로스가 될 수 있다. 중심(Q') 및 반경(q')의 정점 구면은 수평 축의 지점에서 렌즈의 후방 표면에 접한다. 예로서, 25.5 mm의 반경(q')의 값이 일반적인 값에 상응하고, 렌즈를 착용할 때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한다.
도 6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주어진 응시 방향은, Q'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서의 눈의 위치 및 정점 구면의 지점(J)에 상응하고; 각도(β)는, 축(Q'F')과 축(Q'F')을 포함하는 수평 평면 상의 직선(Q'J)의 투영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이고; 이러한 각도는 도 6의 도시 내용에서 나타난다. 각도(α)는 축(Q'J)과 축(Q'F')을 포함하는 수평 평면 상의 직선(Q'J)의 투영 사이에 형성된 각도이고; 이러한 각도는 도 6 및 도 7의 도시 내용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주어진 응시 시야는 정점 구면의 지점(J) 또는 커플(α, β)에 상응한다. 아래쪽 응시 각도의 값이 더 큰 양의 값일수록 응시는 더 아래쪽이 되고, 값이 더 큰 음의 값일수록 응시는 더 상승한다.
주어진 응시 방향에서, 주어진 물체 거리에 위치되는 물체 공간 내의 지점(M)의 이미지는, 시상 및 접선 국소 초점 거리일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거리(JS 및 JT)에 상응하는 두 개의 지점(S 및 T) 사이에 형성된다. 무한대에서 물체 공간 내의 지점의 이미지는 지점(F')에 형성된다. 거리(D)는 렌즈의 후방 정면 평면(rear frontal plane)에 상응한다.
"에르고라마"(ergorama)는 각각의 응시 방향에 물체 지점의 일반적인 거리를 연관시키는 함수이다. 일반적으로, 주 응시 방향을 따르는 원거리 시력에서, 물체 지점은 무한대에 있다. 근거리 시력에서, 본질적으로 비강 측을 향해서 절대값으로 약 35°의 각도(α) 및 약 5°의 각도(β)에 상응하는 응시 방향을 따를 때, 물체 거리는 약 30 cm 내지 50 cm이다. 에르고라마의 가능한 정의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US-A-6,318,859를 고려할 수 있다. 이 문헌은 에르고라마, 그 정의, 및 그 모델링 방법을 설명한다. 본 개시 내용의 방법에서, 지점은 무한대에 위치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에르고라마는 착용자의 비정시안 또는 착용자의 도수(addition)의 함수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를 이용하여, 각각의 응시 방향으로, 착용자의 광학 굴절력과 비점수차를 규정할 수 있다. 에르고라마에 의해 주어진 물체 거리에 있는 물체 지점(M)은 응시 방향(α, β)에 대하여 고려된다. 물체 근접도(ProxO)는 물체 공간 내의 상응 광선 상의 지점(M)에 대해서 정점 구면의 지점(M)과 지점(J) 사이의 거리(MJ)의 역수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13
이는 정점 구면의 모든 지점에 대한 얇은 렌즈 근사치 내에서 물체 근접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에르고라마의 결정을 위해서 사용된다. 실제 렌즈의 경우, 물체 근접도는, 상응 광선에서의, 물체 지점과 렌즈의 전방 표면 사이의 거리의 역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동일한 응시 방향(α, β)에서, 주어진 물체 근접도를 갖는 지점(M)의 이미지는, (시상 및 접선 초점 거리일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초점 거리에 각각 상응하는 두 개의 지점들(S 및 T) 사이에 형성된다. 수치 Proxl은 지점(M)의 이미지 근접도로 지칭된다:
Figure pct00014
그에 따라, 얇은 렌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는 주어진 응시 방향에 대해서 그리고 주어진 물체 근접도에 대해서, 즉 상응 광선 상의 물체 공간의 지점에 대해서, 광 굴절력(Pui)을 이미지 근접도와 물체 근접도의 합으로 규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15
동일한 표기를 사용하여, 비점수차(Ast)는 모든 응시 방향 및 주어진 물체 근접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Figure pct00016
이러한 규정은 렌즈에 의해 생성되는 광선 빔의 비점수차에 상응한다. 이러한 규정이, 주 응시 방향으로, 비점수차의 통상적인 값을 제공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축으로 지칭되는 비점수차 각도는 각도(γ)이다. 각도(γ)는 눈과 관련된 프레임{Q', xm, ym, zm}에서 측정된다. 이는 평면{Q', zm, ym}에서의 방향(zm)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협약에 따라 이미지(S 또는 T i)가 형성되는 각도에 상응한다.
따라서, 착용 조건에서, 렌즈의 광학 굴절력 및 비점수차에 대한 가능한 정의는, B. Bourdoncle 등의 "누진 안과 렌즈를 통한 광선 추적"이라는 명칭의 논문(1990 International Lens Design Conference, D.T. Moore ed., Proc. Soc. Photo. Opt. Instrum. Eng.)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에 상응하는 평면에서 0.1 초과, 예를 들어 0.2 초과의 광학 렌즈를 통해 0 내지 20 cyc/deg의 변조 전달 함수가 측정될 수 있는, 직경이 적어도 4 mm, 예를 들어 10 mm인 동공(16)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동공(16)에 걸쳐, 상기 동공(16) 위의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대부분, 예를 들어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80%가 복수의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도록, 인접 광학 요소들의 밀도가 결정된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광선은,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의 레벨에 의해서 규정되는 윤곽 플롯에 상응하는 광학 요소의 가장 큰 내접 원을 통과하는 경우에, 광학 요소를 통과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상기 레벨은 상기 동공에 걸쳐 일정하고 범위[DOP의 최소 레벨, DOP의 최소 레벨 + 진폭의 10%] 이내이며, 상기 진폭에서 상기 동공에 걸친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가 최대 레벨이다.
동공(16)에 걸쳐, 광학 렌즈(10)는 제1 광학 경로 차이(OPD1)를 생성한다. 광학 경로는 광학 시스템을 통해서 광이 따르는 경로의 기하형태적 길이와 상기 광학 시스템의 굴절률의 결과(product)이다. 2개의 경로들 사이의 광학 경로 길이의 차이가 광학 경로 차이(OPD)로 지칭된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제1 광학 경로 차이는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과 공기를 통과하는 광선 사이의 광학 경로 길이의 차이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이하의 협약이 적용된다: 양의 광학 굴절력을 갖는 구면 렌즈의 경우에, OPD는 연부에서보다 그 중심에서 더 크다.
OPD는 3D 공간 내의 표면으로서 간주되고 측정될 수 있으며, (x, y, f(x,y))로 기재될 수 있다. 최고의 구체는, 문헌http://www.sci.utah.edu/~balling/FEtools/doc_files/LeastSquaresFitting.pdf의 챕터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 및 그 반경의 매개변수가 최적화된 구체이다.
최적화 프로세스를 위해서, 비용 함수는, 예를 들어 각각의 지점과 구체 사이의 차이의 제곱의 지점들 모두에 걸친 합계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 Z 차이
- (이전의 문헌(paper)에서와 같은) 수직 방향의 거리.
최고 구면 피팅 광학 렌즈에 상응하는 제2 광학 경로 차이(OPD2)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경로 차이(OPD1)와 상기 제2 광학 경로 차이(OPD2) 사이의 차이로서 구성되는 차이 광학 경로(DOP)가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의 차이 광학 경로(DOP)는 동공에 걸쳐 0과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제1 광학 경로 차이(OPD1)는 구면 광학 렌즈의 광학 경로 차이와 매칭되지 않는다.
광학 요소들은, 상기 동공 위의 광학 렌즈가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독립적 섬-형상 영역으로 구성된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할 때, 상기 동공 위에서 인접한다. 각각의 섬 영역은 개별적인 광학 요소에 의해서 형성된다.
실시형태에서, 광학 요소들은, 상기 동공 위의 광학 렌즈가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때, 상기 동공에 걸쳐 인접한다.
실시형태에서, 광학 요소들은, 상기 동공 위의 광학 렌즈가, 복수의 개별적인 독립적 섬-형상 영역으로 구성되는,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할 때, 상기 동공에 걸쳐 인접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은 착용자의 눈의 처방에 상응하는 굴절력, 특히 처방된 굴절력(Px)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측정은 코팅되지 않은 광학 렌즈에서 실시된다. 코팅되지 않은 광학 렌즈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지만, 그러한 측정은 코팅되지 않은 광학 렌즈에서 더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코팅된 광학 렌즈를 측정할 수 있고,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광학 렌즈가 코팅되지 않았을 때의 측정이 어떠한 값이 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전달 함수의 예가 WO2020/079105에 설명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인접 광학 요소들을 갖는 것은 렌즈 요소의 미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제조가 더 용이해질 수 있게 한다.
적어도 동공(16)에 걸쳐, 예를 들어 광학 렌즈의 모든 표면에 걸쳐, 인접 광학 요소의 각각의 광학 요소는
Figure pct00017
를 확인하고,
d는 mm 단위의 상기 광학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P|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광학 요소의 특성 광학적 굴절력의 절대 값이고,
K는 0.9 이상, 예를 들어 1.2 이상 및 1.7 이하, 예를 들어 1.4 이하의 수이다.
광학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d)는 각각의 광학 요소의 특정 크기에 상응할 수 있다.
각각의 광학 요소의 특성 치수(d)를 정의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차이 광학 경로(DOP)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광학 요소의 특성 치수는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의 레벨에 의해서 규정되는 윤곽 플롯 내의 내접 원의 가장 큰 직경에 상응하고, 상기 레벨은 상기 동공에 걸쳐 일정하고 범위[DOP의 최소 레벨, DOP의 최소 레벨 + 진폭의 10%] 이내이며, 상기 진폭에서 상기 동공에 걸친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가 최대 레벨이다.
특히, 광학 요소는 0.2 mm 이상, 예를 들어 0.4 mm 이상, 예를 들어 0.6 mm 이상, 및 2.0 mm 이하, 예를 들어 1.0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 내에 내접될 수 있는 윤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학 요소의 특성 광학 굴절력은, 광학 요소가 구면인 경우에 구면 광학 굴절력일 수 있거나, 광학 요소가 구면이 아닌 경우에 최고 구면 광학 굴절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구면 광학 요소의 경우에, 특성 광학 굴절력은 광학 요소의 비구면 광학 함수의 평균 굴절력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20 D 이하, 예를 들어 10 D 이하, 예를 들어 6 D 이하의 특성 광학적 굴절력을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2개의 인접하는 광학 요소들 사이에서 일정한 광학적 굴절력 및 불연속적인 1차 도함수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2개의 인접하는 광학 요소들 사이에서 가변적인 광학적 굴절력 및 굴절력 부호 변화를 갖는다.
착용자의 눈의 망막의 일정 거리에서, 특히 주변 시력에서, 포커싱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광학 요소의 광학 기능, 특히 디옵트릭 기능(dioptric function)이 최적화될 수 있다. 그러한 최적화는, 렌즈 요소 상의 위치에 따른 광학 요소의 각각의 디옵트릭 기능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
특히, 본 발명자는, 주변 시력(동공 중심으로부터 30°)에서 분석된 구면 3D 형상 마이크로 렌즈를 통과하는 광의 빔의 스폿 다이어그램이 점이 아니라는 것을 결정하였다.
점을 획득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광학 요소가 원주 굴절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 예를 들어 원환체 형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였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는 표준 착용 조건에서 비-구면 광학 기능을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는 원주 굴절력을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렌즈의 하나의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가 상기 섹션의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부를 향해서 변화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된다.
적어도 렌즈의 하나의 섹션, 예를 들어, 적어도,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가 따라서 변화되는 섹션과 동일한 섹션을 따라서, 실린더가 상기 섹션의 지점으로부터, 예를 들어 평균 구체에 대한 것과 동일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광학 요소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라서,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평균 실린더가 상기 섹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구성된 광학 요소를 가지는 것은, 근시의 경우에 망막의 전방에서 그리고 원시의 경우에 망막의 뒤쪽에서 광선의 디포커싱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자는,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라서,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가 상기 섹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구성된 광학 요소를 가지는 것이, 근시 또는 원시와 같은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가 상기 섹션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고 이어서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감소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표준 착용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수평 섹션이 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된다.
광학 렌즈는 광학 중심을 포함할 수 있고, 렌즈의 광학 중심을 통과하는 임의의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가 광학 중심으로부터 렌즈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될 수 있다.
광학 렌즈는 원거리 시력 기준 지점, 근거리 시력 기준, 그리고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기준 지점들을 결합시키는 경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표준 착용 조건에서, 렌즈의 임의의 수평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가 상기 수평 섹션과 경선의 교차부로부터 렌즈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표준 착용 조건에서, 렌즈의 임의의 수평 섹션을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가 상기 수평 섹션과 경선 라인의 교차부로부터 렌즈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화되도록, 예를 들어 증가되도록 광학 요소가 구성될 수 있다.
경선 라인은 주 응시 방향과 렌즈의 표면의 교차 장소에 상응한다.
섹션을 따른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 변화 함수, 예를 들어 증가 함수가 경선을 따른 상기 섹션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섹션을 따른,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 변화 함수, 예를 들어 증가 함수는 비대칭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 증가 함수는 표준 착용 조건에서 수직 및/또는 수평 섹션을 따라서 비대칭적이다.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섹션을 따라서 증가 함수에 따라 증가될 수 있고, 증가 함수는 가우스 함수이다. 가우스 함수는 렌즈의 비강과 관자놀이 부분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람의 망막의 비대칭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섹션을 따라서 증가 함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증가 함수는 2차 함수이다. 이차 함수는 렌즈의 비강과 관자놀이 부분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람의 망막의 비대칭을 고려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 및/또는 실린더는 상기 섹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경되고, 예를 들어 증가되고 상기 섹션의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을 향해서 변경되고, 예를 들어 감소되며,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보다 상기 섹션의 주변 부분에 더 근접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렌즈 요소의 광학 중심까지의 반경방향 거리에 따른 광학 요소의 평균 구체를 제공하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요소들은 광학 렌즈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된 원들을 따라서 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10 mm 직경의 그리고 광학 렌즈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된 원 상의 광학 요소는 2.75 D의 평균 구체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일 수 있다.
20 mm 직경의 그리고 굴절 영역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된 원 상의 광학 요소는 4.75 D의 평균 구체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일 수 있다.
30 mm 직경의 그리고 굴절 영역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된 원 상의 광학 요소는 5.5 D의 평균 구체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일 수 있다.
40 mm 직경의 그리고 굴절 영역의 광학 중심에 센터링된 원 상의 광학 요소는 5.75 D의 평균 구체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일 수 있다.
상이한 광학 요소들의 실린더가 사람의 망막의 형상을 기초로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적어도 80%, 예를 들어 적어도 95%가 투명하고, 예를 들어 광학 요소의 모두가 투명하다.
유리하게는, 광학 요소들은 렌즈 요소 상에서 보이지 않고, 렌즈 요소의 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광학 요소는, 중심 또는 임의의 다른 영역에서와 같이, 렌즈 요소의 특정 구역을 덮을 수 있다.
광학 요소는 렌즈 요소의 전체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광학 요소의 광학 요소 밀도 또는 광학 굴절력은 렌즈 요소의 구역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시 제어에 미치는 광학 요소의 영향을 개선하여, 예를 들어 망막의 주변 형상으로 인한 주변 탈초점을 보상하기 위해서, 광학 요소 밀도 또는 광학을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는, 사람의 눈의 망막의 전방에서 초면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그러한 광학 요소는, 광 플럭스가 집중되는 모든 섹션 평면(존재하는 경우)이 사람의 눈의 망막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비-구면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는 다초점 마이크로렌즈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다초점 마이크로렌즈"는,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초점 굴절력의, 상기 축 주위에서 회전 대칭적 연속 가변 표면 굴절력을 가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렌즈 회전 대칭적, 예를 들어 비구면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초점 굴절력을 갖는) 이중 초점, (3개의 초점 굴절력을 갖는) 삼중 초점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광학 요소의 5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80% 초과가 비구면 마이크로렌즈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비구면 마이크로렌즈는 그 표면에 걸친 연속적인 굴절력 변화를 갖는다.
비구면 마이크로렌즈는 0.1 D 내지 10 D의 비구면도를 가질 수 있다. 비구면 마이크로렌즈의 비구면도는 광학 요소의 제1 지점에서 측정된 광학 굴절력 및 마이크로렌즈 요소의 제2 지점에서 측정된 광학 굴절력의 차이에 상응하고, 제1 및 제2 지점은 광학 요소의 기하형태적 중심으로부터 상이한 반경방향 거리에 위치된다.
기하형태적 중심은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의 레벨에 의해서 규정되는 윤곽 플롯 내의 가장 큰 내접 원의 중심에 상응하고, 상기 레벨은 상기 동공에 걸쳐 일정하고 범위[DOP의 최소 레벨, DOP의 최소 레벨 + 진폭의 10%] 이내이며, 상기 진폭에서 상기 동공에 걸친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가 최대 레벨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비구면 마이크로렌즈는 절대 값으로 2.0 D 내지 7.0 D의 제1 지점에서의 광학 굴절력, 및 절대 값으로 1.5 D 내지 6.0 D의 제2 지점에서의 광학 굴절력을 갖는다.
광학 요소가 위에 위치되는 렌즈 요소의 표면의 코팅 전의 비구면 마이크로렌즈의 비구면도는 상기 렌즈 요소의 광학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광학 요소가 위에 위치되는 렌즈 요소의 표면의 코팅 후의 비구면 마이크로렌즈의 비구면도는 상기 렌즈 요소의 기하형태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다초점 굴절 마이크로-렌즈의 적어도 하나는 원환체 표면을 갖는다. 원환체 표면은, 곡률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 또는 원호의 회전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는 (결국 무한대에 위치될 수 있는) 회전 표면이다.
원환체 표면 렌즈는 서로에 대한 직각에서 2개의 상이한 반경방향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에 따라 2개의 상이한 초점 굴절력을 생성한다.
원환체 렌즈의 원환체 및 구면 표면 성분은, 단일 지점 포커싱과 대조적으로, 비점수차 광 빔을 생성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비-구면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광학 요소의 전부는 원환체 굴절 마이크로-렌즈이다. 예를 들어, 이는 0 디옵터(δ) 초과 및 +5 디옵터(δ) 이하의 구체 굴절력 값 및 0.25 디옵터(δ) 이상의 실린더 굴절력 값을 갖는 원환체 굴절 마이크로-렌즈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로서, 원환체 굴절 마이크로렌즈는 순수 실린더일 수 있고, 이는 최소 경선 굴절력이 0인 한편, 최대 경선 굴절력이 확실하게 양이라는 것, 예를 들어 5 디옵터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 요소 및/또는 광학 렌즈는 직접적인 표면 가공, 몰딩, 주조 또는 사출, 엠보싱, 필름화(filming), 또는 포토리소그래피 등과 같은 상이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를 몰딩하도록 구성된 몰딩 요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은, 곡률을 가지는 주 표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접 표면 요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을 포함하는 렌즈 요소를 위한 몰딩 요소에 관한 것이고, 각각의 표면 요소는 주 표면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며,
적어도 4 mm 직경의 디스크에 걸쳐:
- 인접 표면 요소들이 주 표면의 대부분을 덮고,
- 인접 표면 요소들의 각각이
Figure pct00018
를 확인하고,
d는 mm 단위의 상기 표면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C|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표면 요소의 특성 곡률의 절대 값이고,
L은 1 이상 및 7.6 이하의 수이다.
그러한 몰드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렌즈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광학 굴절력은 P = dn x C에 의해서 곡률과 관련되고, dn은 디옵터의 양 측면 상의 굴절률의 차이이다. 그러한 관계를 기초로, 0.1 내지 0.5의 K를 갖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를 획득하기 위해서, 1 내지 7.6의 L을 갖는 몰드가 필요하다.
Figure pct00019
이기 때문에, L은 K/√dn의 값이 된다.
dn = 0.05에서, L은 4 내지 7.6이어야 하고, dn = 0.8에서, L은 1 내지 1.9이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를 위한 몰드(20)가 제1 몰딩 요소(21), 제2 몰딩 요소(22), 및 가스켓(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몰딩 요소(21)는 제1 표면 곡률을 갖는 제1 표면(24)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표면(24)은 구면 표면 곡률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1 표면(24)은 비구면 표면 곡률 및/또는 원주 표면 곡률 및/또는 원환체 표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표면(24)은 곡률을 가지는 주 표면 및 복수의 인접 표면 요소(26)를 포함하고, 각각의 표면 요소는 주 표면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의 표면 요소(26)는 제조되는 광학 렌즈의 광학 요소에 상응할 수 있다.
표면 요소(26)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광학 렌즈의 광학 요소와 관련하여 개시된 모든 특징에 상응하는 표면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적어도 4 mm 직경의 디스크에 걸쳐:
- 인접 표면 요소들이 주 표면의 대부분을 덮고,
- 인접 표면 요소의 각각은
Figure pct00020
를 확인하고,
d는 mm 단위의 상기 표면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C|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표면 요소의 특성 곡률의 절대 값이고,
L은 1 이상 및 7.6 이하의 수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표면 요소(26) 중 적어도 2개가 인접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의미에서, 2개의 표면 요소를 연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따라서,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의 제1 표면 곡률을 측정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에, 2개의 표면 요소는 인접한다.
복수의 표면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구조화된 네트워크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1 몰딩 요소의 제1 표면 상에 복수의 표면 요소(26)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를 위치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의 기하형태적 중심에 센터링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표면 요소(16)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의 기하형태적 중심에 센터링된 적어도 하나의 원을 따라서 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표면 요소(26)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적어도,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 상의 링 상에 위치된다.
복수의 표면 요소(26)는 추가적으로 제1 몰딩 요소의 제1 표면 상의 동심적인 링들 상에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면 요소(26)는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 전체에 걸친 11개의 동심적인 링들의 세트를 따라서 위치된다. 표면 요소의 동심적인 링들은 제1 몰딩 요소(21)의 제1 표면(24)의 기하형태적 중심에 센터링될 수 있다.
복수의 표면 요소(26)의 평균 표면 곡률은 동일한 동심적 링의 모든 표면 요소에서 동일할 수 있다. 특히, 동일 동심적 링의 표면 요소들(26)의 중앙 구역의 평균 표면 곡률들이 동일하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표면 요소(26)는 예를 들어 정사각형 형상의 패턴과 같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 렌즈용 몰드(20)는 제2 몰딩 요소(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몰딩 요소(22)는 제2 표면(25)을 갖는다. 도 3에서, 제2 몰딩 요소(22)의 제2 표면(25)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이러한 표면이 제1 몰딩 요소의 제1 표면(24)에 대면되기 때문이다.
광학 렌즈용 몰드(20)는 가스켓(23)을 추가로 포함한다. 가스켓(23)은 내부 표면(23a) 및 외부 표면(23b)을 포함하는 환형 형태를 갖는다. 가스켓(23)은 개구부(27)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스켓(23)은 제1 및 제2 몰딩 요소(21 및 22)를 함께 밀봉하여 몰딩 공동(28)을 형성한다. 몰딩 공동(28)은 제1 몰딩 요소(21)의 표면 요소(26)를 포함하는 제1 표면(24), 제2 몰딩 요소(22)의 제2 표면(25), 및 가스켓(23)의 내부 표면(23a)에 의해서 형성된다.
렌즈 요소(2)를 위한 몰드(20)의 몰딩 공동(28)은 개구부(27)를 통해서 몰딩 재료로 충진된다. 가스켓(23) 내에서 제공되었지만, 개구부(27)는 대안적으로 제1 몰딩 요소 또는 제2 몰딩 요소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딩 재료는, 가스켓(23)의 개구부(27)를 통해서 몰딩 공동 내로 주입되는 주조 재료일 수 있다. 몰딩 공동 내의 주조 재료는 렌즈 재료로 추가적으로 중합되고, 그에 의해서 렌즈 요소(2)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몰딩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일 수 있다. 제1 온도에서 제1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재료가 개구부(27)를 통해서 몰드 공동(28) 내로 주입된다. 냉각 처리 중에, 열가소성 재료는 제1 액체 상태로부터, 렌즈 요소(2)의 렌즈 재료에 상응하는 제2 고체 상태로 변화된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한 많은 추가적인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며,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관사 "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지 서로 다른 특징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 내에서 인용된다는 사실만으로,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청구범위 내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Px)을 가지는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되는 광학 렌즈로서, 상기 광학 렌즈는 2개의 대향되는 광학 면 및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눈의 이상 굴절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상기 착용자의 눈의 망막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지 않는 광학 기능을 가지며,
    직경이 적어도 4 mm인 동공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방된 굴절력에 상응하는 평면에서 0.1 초과의 광학 렌즈를 통해 0 내지 20 cyc/deg의 변조 전달 함수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동공에 위의 상기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대부분은 상기 복수의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며,
    인접 광학 요소의 각각은
    Figure pct00021
    를 확인하고,
    d는 mm 단위의 상기 광학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P|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광학 요소의 특성 광학적 굴절력의 절대 값이고,
    K는 0.9 이상 및 1.7 이하의 수인, 광학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공에 걸쳐, 상기 광학 렌즈는 제1 광학 경로 차이(OPD1)를 생성하고, 최고 구면 피팅 광학 렌즈는 제2 광학 경로 차이(OPD2)를 생성하며, 차이 광학 경로 맵(DOP)은 상기 제1 광학 경로 차이(OPD1)와 상기 제2 광학 경로 차이(OPD2) 사이의 차이로서 구성되고,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는 0이 아닌, 광학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들은, 상기 동공 위의 광학 렌즈가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독립적 섬-형상 영역으로 구성된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처방을 기초로 하는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 영역을 포함할 때, 상기 동공 위에서 인접하는, 광학 렌즈.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광학 요소의 특성 치수는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의 레벨에 의해서 규정되는 윤곽 플롯 내의 내접 원의 가장 큰 직경에 상응하고, 상기 레벨은 상기 동공에 걸쳐 일정하고 범위[DOP의 최소 레벨, DOP의 최소 레벨 + 진폭의 10%] 이내이며, 상기 진폭에서 상기 동공에 걸친 상기 차이 광학 경로(DOP)가 최대 레벨인, 광학 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모두가, 절대 값이 20 D 이하인 특성 광학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렌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 mm 직경의 상기 동공은 상기 광학 렌즈의 기준점, 예를 들어 피팅 크로스 또는 광학적 중심 또는 기하형태적 중심을 포함하는, 광학 렌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는 정사각형 메시 또는 육각형 메시 또는 삼각형 메시 또는 팔각형 메시 또는 무작위 메시인 구조화된 메시 상에 위치되는, 광학 렌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가, 표준 착용 조건에서 상기 망막 이외의 위치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는 광학 기능을 가지는, 광학 렌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부가, 표준 착용 조건에서 상기 망막 이외의 위치에서 이미지를 포커싱하지 않는 광학 기능을 가지는, 광학 렌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공 위의 상기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적어도 50%가 상기 복수의 광학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는, 광학 렌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상기 광학 렌즈의 전방 표면에 위치되는, 광학 렌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상기 광학 렌즈의 후방 표면에 위치되는, 광학 렌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전부가 상기 광학 렌즈의 전방 표면과 후방 표면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렌즈.
  14. 곡률을 가지는 주 표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접 표면 요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접 광학 요소들을 포함하는 렌즈 요소를 위한 몰딩 요소로서, 각각의 표면 요소는 상기 주 표면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고,
    적어도 4 mm 직경의 디스크에 걸쳐:
    - 인접 표면 요소들이 주 표면의 대부분을 덮고,
    - 인접 표면 요소들의 각각이
    Figure pct00022
    를 확인하고,
    d는 mm 단위의 상기 표면 요소의 윤곽의 특성 치수이고,
    |C|는 디옵터로 표현된 상기 표면 요소의 특성 곡률의 절대 값이고,
    L은 1 이상 및 7.6 이하의 수인, 몰딩 요소.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렌즈를 몰딩하도록 구성된 몰딩 요소.
KR1020227041459A 2020-06-12 2021-06-02 렌즈 요소 KR20230023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305651.0 2020-06-12
EP20305651.0A EP3923062A1 (en) 2020-06-12 2020-06-12 Lens element
PCT/EP2021/064793 WO2021249846A1 (en) 2020-06-12 2021-06-02 Lens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627A true KR20230023627A (ko) 2023-02-17

Family

ID=7157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59A KR20230023627A (ko) 2020-06-12 2021-06-02 렌즈 요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213785A1 (ko)
EP (1) EP3923062A1 (ko)
JP (1) JP2023529470A (ko)
KR (1) KR20230023627A (ko)
CN (1) CN115698828A (ko)
BR (1) BR112022023841A2 (ko)
CA (1) CA3184491A1 (ko)
CO (1) CO2022017994A2 (ko)
TW (1) TW202208945A (ko)
WO (1) WO2021249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42005B (zh) * 2024-02-21 2024-05-03 苏州大学 一种带有微结构的眼镜片及其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3805B1 (fr) 1996-09-20 1998-11-13 Essilor Int Jeu de lentilles ophtalmiques multifocales progressives
US8998408B2 (en) * 2013-01-30 2015-04-0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symmetric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CN107407825B (zh) 2015-03-18 2020-08-18 依视路国际公司 用于确定具有不需要的散光的眼科镜片的方法
WO2018076057A1 (en) * 2016-10-25 2018-05-03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Devices, systems and/or methods for myopia control
EP3561578A1 (en) * 2018-04-26 2019-10-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Lens element
JP7117877B2 (ja) * 2018-03-29 2022-08-1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製造精度の評価方法
EP3640712B1 (en) 2018-10-16 2022-08-03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lens
EP3640714A1 (en) * 2018-10-17 2020-04-22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articles comprising encapsulated micro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23841A2 (pt) 2022-12-20
CA3184491A1 (en) 2021-12-16
CN115698828A (zh) 2023-02-03
US20230213785A1 (en) 2023-07-06
WO2021249846A1 (en) 2021-12-16
EP3923062A1 (en) 2021-12-15
CO2022017994A2 (es) 2022-12-20
TW202208945A (zh) 2022-03-01
JP2023529470A (ja)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7820C1 (ru) Элемент в виде линзы
US20210048690A1 (en) Lens element
US20230128895A1 (en) Lens element
WO2022136056A1 (en) An optical lens
US20230213785A1 (en) Lens element
US20230213784A1 (en) Optical lens
KR20230107588A (ko) 렌즈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