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424A -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424A
KR20230023424A KR1020210105552A KR20210105552A KR20230023424A KR 20230023424 A KR20230023424 A KR 20230023424A KR 1020210105552 A KR1020210105552 A KR 1020210105552A KR 20210105552 A KR20210105552 A KR 20210105552A KR 20230023424 A KR20230023424 A KR 20230023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anned
unmanned
transportation system
unmanned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193B1 (ko
Inventor
여태경
박대길
이영준
한종부
홍섭
정인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0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arth Drill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체계는, 승객과 화물을 싣고 수중에서 이동 가능한 유무인수중이동체, 수중에 설치되며 내부로 유무인수중이동체가 이동할 수 있는 튜브, 유무인수중이동체에 승객이 승하선하거나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및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이동을 원격 제어 및 감시하는 중앙관제소를 포함하고, 튜브의 단부는 스테이션의 외부를 향해 설치되는 튜브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공사 비용 및 유지 비용이 비교적 적게 소요되고 비교적 간단한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용될 수 있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AQUA LOOP - MANNED-UNMANNED UNDERWATER VEHICLE BASED SUBMARINE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수중 교통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상교량 및 해저터널과 같은 교통시설을 대체할 수 있는 해저 노출식 수중 튜브 교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일정한 폭원 이상의 강이나 바다 및 협만 등을 건너기 위한 교통시설물로는 해상장대교량(Oversea grand bridge) 및 해저터널 (Underwater tunnel)이 주로 적용되어왔다. 해상교량 및 해저터널은 지금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어왔던 기술이므로 많은 이론 및 기술이 축적되어왔으나 무수히 많은 교각의 건설 및 해저지반굴착-안정화 공사가 필요하다는 시공기간 및 비용 측면의 단점이 명확히 나타난다. 여기에 더하여 이러한 기존의 시설물은 근본적으로 일정 수심 이상의 해역에 있어서는 적용이 굉장히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가 뚜렷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교통 시설물로써 부유식 수중 튜브 교통 시스템(Submerged floating tube transportation system)의 개념이 제시되었다. 부유식 수중 튜브 시스템은 자유수면 이하 일정한 깊이에 계류되는데, 계류된 튜브 내에 차량 및 철도가 운행하는 시스템으로, 지형적인 특성에 따라 노르웨이 및 일본 그리고 미국에서 주도적으로 그 개념이 꾸준히 제안되어 왔다. 수중 튜브 교통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기존의 해양교통시스템과 달리 많은 해저지반 굴착공사 및 해상교각 공사 없이, 튜브 본체 및 계류시스템을 육상에서 미리 제작하여 대상 해역에서 바로 조립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튜브 내부의 공기 마찰을 최소화한다면 최근 미국에서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하이퍼 루프 고속철도와 같은 시속 1,000km/h 수준의 초고속 열차 시스템 적용이 가능하다.
교통시설물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A. 구조물의 안전성 및 안정성, B. 주행차량 및 철도의 주행안정성 및 사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고정식 육상 교통 설비는 구조물의 자중(self-weight), 환경하중(바람 및 지진하중 등) 그리고 차량하중에 대한 구조 안정성 및 사용성을 검토하여 설계 및 시공을 한다. 부유식 수중 구조물이 교통 시설물로 사용될 경우에도 근본적인 설계 철학은 동일하다.
그러나 부유식 수중 구조물은 육상 고정식 구조물에 비해 구조물 거동의 예측에 있어서 난해하거나 다른 거동에 대한 평가를 확인해야 한다. 먼저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는 육상 구조물에 비해 다양한 환경하중이 작용하는데, 바람, 파도, 조류, 쓰나미 등의 해양 환경 하중들은 모두 동적 거동을 유발하는 매체들로써, 이러한 하중성분은 부유식 수중 구조물의 복잡한 동적 거동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에 차량 및 철도가 지속적으로 주행할 때 구조물 전체 질량 분포가 수시로 변화하고 이 때 불규칙한 환경하중이 작용하면 구조물의 동적 거동 특성의 변화뿐만 아니라 주행중인 차량 및 기차의 주행안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거동특성은 기존의 육상 고정식 교통 시스템과 전혀 다른 성질로 나타나고 이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해석기법이 없다면 부유식 수중 교통 시스템의 설계 및 사용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적 난해함에 따라 노르웨이, 일본, 미국 등 해양구조물 설계 및 시공경험이 무수히 많은 나라들도 수중 교통 시스템의 실제 건설사례는 아직 없다. (2016년 7월, 노르웨이는 총 공사비 250억 달러가 투입되는 2035년 완공을 목표로 한 피오르드 해안 신설고속도로 노선에 수중 튜브 교통시스템을 해안교통시스템으로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연구 중이다.)
혁신적인 교통시스템인 부유식 수중 튜브 교통시스템의 안전하고 합리적인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합리적인 전체계 성능 평가 기술이 필요하다. 이것은 구조공학과 해양공학, 교통공학 등 관련된 많은 학문의 핵심기술이 융합되어 수행되어야 목표로 하는 연구성과 창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학문적 융합을 토대로 부유식 수중 튜브 교통시스템의 유체-구조 동역학 해석기법, 이를 바탕으로 한 주요 구조물의 강도 및 피로 성능 평가, 사용성 평가기술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개발해석기법 및 모형실험을 통해 수중 교통 시스템의 주요 동적 거동 특성이 규명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태풍 및 강한 조류 수중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유식 수중 튜브 시스템은 부적합하며, 튜브를 해저 지면에 노출 및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 내부를 진공 또는 아진공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하이퍼 루프 또는 초전도 자석을 이용하는 초고속 열차 시스템을 튜브 내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사 비용 및 유지 비용이 과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열차의 이동 제어 기법 및 알고리듬 역시 새로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부담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0638호( 명칭: 초고속 튜브철도용 튜브 쉴드와 콘크리트 슬래브구조체를 일체화시킨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등록일: 2018.02.1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345호( 명칭: 반발 부상 및 안내 식 튜브 운송 장치, 등록일: 2011.05.03.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내부에 물이 차 있으므로 시공 시 내부로의 침수를 경계할 필요가 없어, 초기 공사 비용 및 유지 비용이 비교적 적게 소요되고 비교적 간단한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용될 수 있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은, 승객과 화물을 싣고 수중에서 이동 가능한 유무인수중이동체, 수중에 설치되며 내부로 유무인수중이동체가 이동할 수 있는 튜브, 유무인수중이동체에 승객이 승하선하거나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및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이동을 원격 제어 및 감시하는 중앙관제소를 포함하고, 튜브의 단부는 스테이션의 외부를 향해 설치되는 튜브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는, 각 튜브 내에서의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운항은 단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고 특정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사이에는 적어도 한 쌍의 튜브를 설치함으로써 각 스테이션 사이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의 내부에는,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중앙관제소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위치 확인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는 수중표지판 및 어쿠스틱모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스테이션은, 수면 상에 선박이 정박할 수 있게 하는 정박시설을 구비하는 동시에, 승객이 승하선하거나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는 승하선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스테이션은, 정박시설 또는 승하선시설의 상단 또는 상측에 드론이착륙장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 공사 비용 및 유지 비용이 비교적 적게 소요되고 비교적 간단한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용될 수 있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전체를 개괄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가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가 수중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 내부로 유무인수중이동체가 운용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전체를 개괄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체계(1000)는, 승객과 화물을 싣고 수중에서 이동 가능한 유무인수중이동체(제1실시예(11), 제2실시예(22)), 수중에 설치되며 내부로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가 이동할 수 있는 튜브(310, 360),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에 승객이 승하선하거나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하는 스테이션(200) 및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의 이동을 원격 제어 및 감시하는 중앙관제소를 포함하고, 튜브(310, 360)의 단부는 스테이션(200)의 외부를 향해 설치되는 튜브결합부(210, 26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원문자 ②, ③, ④는 각각 해당 구성요소를 각 번호의 도면에 보다 자세하게 나타내었음을 이르기 위한 표시이다.
따라서, 원문자 ②의 스테이션(2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도면은 도 2와 그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고, 원문자 ③의 해저 터널(튜브)에 대한 보다 자세한 도면 및 설명은 도 3과 그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면 되며, 원문자 ④의 터널(튜브) 내부에 대한 보다 자세한 도면 및 설명은 도 4와 그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가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스테이션(200)은, 수중의 외부에 튜브(310, 36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튜브결합부(210, 2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분을 통하여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가 스테이션(200)의 내부로 들어가 정박할 수 있다.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가 스테이션(200) 내부에 정박하는 동안, 스테이션(200)에 포함되는 승객 승하선용 설비, 화물 상하역용 설비를 이용하여 승객이 승하선하거나,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의 수면 상부의 스테이션 표면 상에는 화물 상하역용 장비와 화물, 작업자 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스테이션(200) 구현에 있어서, 구현 가능한 여러 형태 중 한 가지 예를 상상하여 표현한 것이므로, 스테이션(200) 구현 및 어떤 실시예가 반드시 도 2와 같은 형태가 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스테이션(200)의 한 가지 실시예로서, 수중으로는 스테이션(200)에 연결되는 튜브(310, 360) 내부로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가 운항되고, 수면 위로는 선박이 정박하여 승객을 승하선하게 하거나 또는 화물을 상하역 할 수도 있으며, 스테이션(200)의 상단 또는 상측에 드론 이착륙장을 마련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드론을 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스테이션(200) 및 드론 이착륙장의 규모 및 여러 조건들을 감안하여 헬기 이착륙장을 함께 마련하거나 겸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스테이션(200)의 구현 시에 유무인수중이동체 전용이 아닌 선박과 드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200)이 해상 물류, 관광 거점으로 이용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가 수중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1000)의 해저 터널(튜브)(31, 360)이 해저면에 설치되는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근래의 추세에 따르면, 교통체계 등 해저 수중에 설치되는 구조물들을 부유식 시설에 의하여 지지되게 하여 수중에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서는 해당 시스템의 설치, 유지, 보수 등과 관련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저 터널(튜브)(31, 360)는 두 가지 색상을 갖고 있으며, 각각 흰색 튜브는 상행튜브(310), 청색 튜브는 하행튜브(360)이다. 이와 같이 상하행튜브를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1000)의 튜브는, 각 튜브(310, 360) 내에서의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의 운항을 단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고 특정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사이에는 적어도 한 쌍의 튜브(310, 360)를 설치함으로써 각 스테이션 사이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하행튜브(310, 360)의 표면 색상을 각각 상행-흰색, 하행-청색으로 정한 것은 한 가지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할 뿐, 다른 실시예에서도 반드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색을 적용하여야만 하는 것으로 강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튜브의 표면 색상은 해당 실시예와 연관된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상행튜브(310) 및 하행튜브(360) 쌍을 서로 결속되게 하기 위하여 상하행상호결속구(377)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상행튜브(310) 및 하행튜브(360)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저 수중에 설치된다는 환경을 고려할 때,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적일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함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해저면에 튜브(310, 36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튜브지반 고정부(399) 및 링형튜브고정구(388)가 설치된다.
또한, 상행튜브(310) 또는 하행튜브(360) 어느 한 쪽에서 운항 중이던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에 어떤 이유로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운항 중이던 튜브로부터 탈출하거나 반대편 튜브로 이동하여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튜브 간 이동을 위하여 상행튜브(310) 및 하행튜브(360) 사이에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가 비상 시 반대편 튜브로 이동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중간연통로(366)를 군데군데 마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비상 시 튜브(310, 360)로부터의 탈출에 사용될 수 있는 비상탈출구(369) 역시 군데군데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상탈출구(369)의 개폐 제어는 평상시 중앙관제센터에서 행하게 하되, 튜브(310, 360) 내부에서 운항 중이던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의 비상 요청이 있을 경우에 중앙관제센터를 거치지 않고 비상탈출구(369)를 개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해저면에 튜브(310, 360)를 설치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은 한 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으로서, 상술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 및 구현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의 튜브 내부로 유무인수중이동체가 운용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1000)의 터널(튜브)는, 내부에서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가 운항될 수 있으며, 튜브(310, 360) 내부에는 사전 설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중앙관제소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위치 확인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는 수중표지판(330) 및 어쿠스틱모뎀(3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튜브(310, 360) 내부에는 물이 차 있으며, 이는 튜브 내부를 아진공 또는 진공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하이퍼루프 등의 튜브를 이용한 고속 철도와는 다른 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따르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1000)의 튜브(310, 360) 내부에는 물이 차 있으므로, 초기 설치시 건설 비용이 과다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튜브(310, 360) 내부로의 침수를 심각하게 경계할 필요가 없어지고 튜브(310, 360) 내외부간 압력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 또한 상당히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수중표지판(330) 및 어쿠스틱모뎀(320)을 튜브(310, 360)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중앙관제소와 통신 가능하게 하며 각 수중표지판(330)에 위치에 따른 식별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앙관제소에서 현재 운항 중인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의 대수와 각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의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인으로 운항되는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 각각에 포함되는 제어기에서도 자체적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재 운항되고 있는 유무인수중이동체(11, 22)의 중앙 관제 및 자체 제어가 보다 용이하게 되어 운항 계획을 수립하기 쉽게 된다는 장점이 생기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 : 유무인수중이동체-제1실시예
22 : 유무인수중이동체-제2실시예
200 : 스테이션
210 : 상행튜브결합부
260 : 하행튜브결합부
300 : 수중튜브부
310 : 상행튜브
320 : 어쿠스틱모뎀
330 : 수중표지판
360 : 하행튜브
377 : 상하행상호결속구
388 : 링형튜브고정구
399 : 튜브지반고정부
1000 :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Claims (5)

  1. 승객과 화물을 싣고 수중에서 이동 가능한 유무인수중이동체;
    수중에 설치되며 내부로 상기 유무인수중이동체가 이동할 수 있는 튜브;
    상기 유무인수중이동체에 승객이 승하선하거나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및
    상기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이동을 원격 제어 및 감시하는 중앙관제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단부는 상기 스테이션의 외부를 향해 설치되는 튜브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내에서의 상기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운항은 단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고,
    특정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사이에는 적어도 한 쌍의 튜브를 설치함으로써
    각 스테이션 사이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는,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중앙관제소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무인수중이동체의 위치 확인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는 수중표지판 및 어쿠스틱모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수면 상에 선박이 정박할 수 있게 하는 정박시설을 구비하는 동시에,
    승객이 승하선하거나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는 승하선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정박시설 또는 상기 승하선시설의 상단 또는 상측에 드론이착륙장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KR1020210105552A 2021-08-10 2021-08-10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KR10264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52A KR102646193B1 (ko) 2021-08-10 2021-08-10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52A KR102646193B1 (ko) 2021-08-10 2021-08-10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424A true KR20230023424A (ko) 2023-02-17
KR102646193B1 KR102646193B1 (ko) 2024-03-11

Family

ID=8532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552A KR102646193B1 (ko) 2021-08-10 2021-08-10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1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84A (ko) * 2002-05-06 2003-1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is를 이용한 인터넷 차량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34345B1 (ko) 2008-12-31 2011-05-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반발 부상 및 안내 식 튜브 운송 장치
KR20110069392A (ko) * 2009-12-17 2011-06-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튜브철도시스템의 튜브 선로와 대기압 선로의 인터페이스 정거장 시스템
KR20170125340A (ko) * 2015-02-08 2017-11-14 하이퍼루프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수송 시스템
KR101830638B1 (ko) 2016-12-12 2018-0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속 튜브철도용 튜브 쉴드와 콘크리트 슬래브구조체를 일체화시킨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141572A (ko) * 2019-06-10 2020-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저 튜브 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84A (ko) * 2002-05-06 2003-1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is를 이용한 인터넷 차량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34345B1 (ko) 2008-12-31 2011-05-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반발 부상 및 안내 식 튜브 운송 장치
KR20110069392A (ko) * 2009-12-17 2011-06-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튜브철도시스템의 튜브 선로와 대기압 선로의 인터페이스 정거장 시스템
KR20170125340A (ko) * 2015-02-08 2017-11-14 하이퍼루프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수송 시스템
KR101830638B1 (ko) 2016-12-12 2018-0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속 튜브철도용 튜브 쉴드와 콘크리트 슬래브구조체를 일체화시킨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141572A (ko) * 2019-06-10 2020-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저 튜브 운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193B1 (ko)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713B1 (ko) 부잔교 및 이와 연관된 근해 풍력 에너지 설비
Rognaas et al. Mobile offshore base concepts. Concrete hull and steel topsides
US7469859B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1713500B1 (ko) 통합 복합수송 부유식 터미널
KR102646193B1 (ko) 아쿠아루프-유무인수중이동체 기반 해저교통시스템
Engebretsen et al. A submerged floating tube bridge concept for the bjørnafjord crossing: Marine operations
GB2105392A (en) Docking facilities associated with off-shore installations
LaNier et al. New technologies proven in precast concrete modular floating pier for US Navy
US3339511A (en) Marine platforms and sea stations
CN208530806U (zh) 一种依大堤建设的大型船舶移船下水系统
CN219707274U (zh) 一种水下建筑物检测系统
Hart et al. Hutton TLP marine operations
CN108532547B (zh) 海底真空管道人工岛塔防撞击防偏移装置
Li Research on Roll-on and Roll-off transportation of large-scale equipment in Dalian
Alliot et al. Riser Tower Installation
Crowle Floating offshore turbines-installation methods
Steinke et al. Design methodology and numerical analysis of a cable ferry
Hoog et al. Engagement in the Arctic: The ‘Modular Arctic Hub (MODARC)’Facilitates the ‘Kick-Off’
BRPI0906112A2 (pt) sistema de transporte aero naval, para plataformas, integrado com terminal oceánico
Matsko et al. Annotated Bibliography on Relative Motion
Denolfo et al. South TOTO acoustic measurement facility (STAFAC) in-water systems installation autec andros island, bahamas
Jack et al. Risk Reduction in Towing Offshore Structures
Roti Sea state limitations for the deployment of subsea compression station modules
CN116374098A (zh) 一种水下建筑物检测系统
Sueoka et al. Phase H research of mega-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