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317A -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 Google Patents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317A
KR20230023317A KR1020210105334A KR20210105334A KR20230023317A KR 20230023317 A KR20230023317 A KR 20230023317A KR 1020210105334 A KR1020210105334 A KR 1020210105334A KR 20210105334 A KR20210105334 A KR 20210105334A KR 20230023317 A KR20230023317 A KR 20230023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atte effect
layer
mat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480B1 (ko
Inventor
이영민
이재열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10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roll)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종래의 고가의 무광도료를 사용하지 않고, 패턴을 가지고 롤(roll) 탁본 공정을 통해 무광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무광필름을 경제적으로 대량 양산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데코레이션 필름의 전면에 무광효과에 따른 내지문 효과, 슬립성이 우수한 질감 효과, 디자인 헤이즈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은 다양한 모양을 사용함으로써 무광효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 상에 무광효과 패턴을 갖는 상도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생활 스크래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필름 배면에 UV 패턴층이 형성되어, 무광효과와 UV 패턴 층의 효과가 어우러져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Matt decoration film using roll rubbing}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ㆍ전자제품ㆍ건축자재 등은 인테리어 목적으로 다양한 문양이 인쇄된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을 부착하고 있으며, 래핑 가공용ㆍ유리창용ㆍ각종 전자제품의 표면 마감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글래스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글래스를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외관 미감 형성 등의 효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글래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또는 데코레이션 시트(이를 '장식 필름 또는 장식 시트'라 지칭하기도 함)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부착하면, 전자기기의 외관을 통해 금속 질감 또는 입체감 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자동차 디자인 분야는 점점 동적이며 극적인 효과를 구현하는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 폰 또는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자인은 전면 윈도우는 단순하게 단일의 컬러(예: 블랙 등)로 하고, 백 커버(back cover) 디자인을 다양한 컬러와 다양한 입체 패턴 등으로 변화를 주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백 커버에 차별화를 주기 위한 다양한 데코레이션 구현 방법이 모색되고 있으나, 종래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예컨대, 데코레이션 필름에 있어서, 배면에 성형된 각종 입체 패턴의 형상과 깊이감이 다양하게 구현되는 차별화된 장식 미감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무광(matt) 필름은 외부의 빛을 난반사 시킴으로써, 유광 필름에서 보이는 눈의 피로함 및 포장된 내용물의 공개를 방지하고 제품의 우아함을 줄 수 있어, 점차 사용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경화형 무광 필름은 광택도가 5% 이하인 제품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부분적으로 표면에 있는 소광제가 탈리되면서 주변과 현격한 광택 차이(흄 현상)을 나타내 스크래치가 일어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31508호, 제10-1534621호).
이러한 분위기에 의해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키고 흄 현상이 없는 경제성이 우수한 무광 필름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1508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462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방식으로 형성된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형성되는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에 형성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에 형성되는 차폐인쇄 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무광효과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은 롤 탁본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PC(Polycarbonate) 시트 또는 PCPMMA(Polyca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0.5~0.8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경화시키는 단계(S51); 가경화된 상도 코팅층에 패턴 슬레이브를 놓고 롤러에 의해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하는 단계(S52);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이 탁본된 상도 코팅층을 반경화시키는 단계(S53); 및 상도 코팅층에서 패턴 슬레이브를 제거하고 완전 경화시켜 무광효과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54);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도 코팅층은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한 UV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상도 코팅층은 10~15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경화는 IR(적외선)을 이용하여 60~80℃에서 3~7분 동안 건조시켜 상도 코팅층을 성형 가능한 젤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반경화는 LED 등을 이용하여 광량 100~150 mJ/cm2 및 조도 50~8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완전 경화는 수은등을 이용하여 950~1200 mJ/cm2 및 조도 200~25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종래의 고가의 무광도료를 사용하지 않고, 패턴을 가지고 롤(roll) 탁본 공정을 통해 무광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무광필름을 경제적으로 대량 양산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데코레이션 필름의 전면에 무광효과에 따른 내지문 효과, 슬립성이 우수한 질감 효과, 디자인 헤이즈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은 다양한 모양을 사용함으로써 무광효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 상에 무광효과 패턴을 갖는 상도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생활 스크래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필름 배면에 UV 패턴층이 형성되어, 무광효과와 UV 패턴 층의 효과가 어우러져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패턴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탁본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을 포함하는 백커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일 측면은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은
베이스 필름(10);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형성되는 UV 패턴층(20);
상기 UV 패턴층에 형성되는 증착층(30);
상기 증착층에 형성되는 차폐인쇄 층(40);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무광효과 패턴층(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0)은 PC(Polycarbonate) 시트 또는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PC(Polycarbonate) 시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의 대용재이자 일반 판유리의 보완재로 많이 쓰인다.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는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한 것으로 특수 수지(樹脂)의 일종이다.
PMMA는 특수 수지(樹脂)의 일종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폴리머(중합체) 성분이며, 뛰어난 광학 특성, 내후성, 표면강도, 경도, 성형성 등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필름은 그 두께는 0.5~0.8 mm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가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후 포밍 공정시, 필름 외각의 성형 가능한 곡률반경이 제한되어 다양한 디자인 구현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UV패턴층 및 증착층에서 갈라짐 현상(Creack)이 발생된다.
상기 UV 패턴층(20)은 입체적인 디자인 패턴을 나타내는 역할, 또는 추후 형성되는 무광효과 패턴층(50)의 시인성 및 다채로운 굴절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UV 패턴층(20)은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도록 UV 몰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패턴 형상에는 초정밀기계가공(super precision machine) 패턴, 홀로그램 패턴을 포함한 다양한 패턴 형상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UV 패턴 형상이라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조방법은 마이크로 광학 금형을 이용한 UV 몰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UV 몰딩 방식으로 UV 패턴 층이 형성될 경우, 빛의 각도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UV 패턴 성형용 도료는 바인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물질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패턴층(20)은 제1 반투명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UV 패턴층(20)은 소정의 수용 홈이 구비되어, 제1 반투명 컬러와 다른 색상의 틴트 컬러인 제2 반투명 컬러를 갖는 잉크가 메워지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패턴층(20)은 UV 몰딩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한 후, 표면에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색상 및 패턴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투톤 색상, 멀티 색상, 깊이감이 다양한 색상 등 다양한 색상 및 패턴 표현이 가능하여, 심미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증착층(30)은 상기 UV 패턴 층을 보호하고, 상기 UV 패턴 층에 의한 입체 효과가 선명하게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상기 증착층(30)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증착 방법, 예컨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증착 방법을 포함하는 비전도 증착(Non Conductive Vacuum Metallization; NCVM) 방법을 이용하여 UV 패턴층(20)에 무기 박막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물리적 증착 방법은 산화물 반도체나 GaAs 등을 기판에 증착시킬 때 화합물들을 녹여서 고체 상태의 타겟으로 제조해 열이나 전자빔으로 휘발시켜서 기판에 증착시킨다. 이때 원료물질은 열, 레이저, 전자빔 등을 통해 기체상태로 날려서 보내고 날아간 기체 상태의 원료 물질이 기판에 닿았을 때 고체 상태로 변화된다.
화학적 증착 방법은 IC 등의 제조공정에서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기판 위에 실리콘 등의 박막을 만드는 공업적 방법이다.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소막, 아모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박막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에 열이나 빛으로 에너지를 가하거나, 고주파로 플라스마화시키면 원료 물질이 라디칼화되어 반응성이 크게 높아져서 기판 위에 흡착되어 퇴적한다.
또한, 상기 증착층(30)은 투톤 색상, 멀티 색상, 깊이감이 다양한 색상 등 다양한 색상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컬러 증착 층, 예를 들면 그라데이션 증착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그라데이션 증착 층은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 내에 설치되는 증발원; 상기 증발원과 인접한 곳에 배치되고, 편향된 전자빔을 상기 증발원으로 주사하는 전자총; 상기 증발원과 대향되는 위치의 진공챔버내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원으로부터 증발된 입자가 증착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고, 진공챔버 내에 반응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부를 포함하는 전자빔 증착 장비에서 증착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부는 그라데이션 증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를 로딩할 수 있는 로딩부 및 기판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그의 각도조절부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증발원과 대향되는 기판부의 각도가 30 내지 90 도를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그라데이션 증착층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금속성분 및 산소가스와의 반응정도가 상이한 금속산화층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금속산화층의 산화정도 및 두께 차이는 금속산화층의 색상의 차이를 나타내게 하고, 이로써, 다양한 금속 그라데이션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컬러 증착 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발원은 Si, Ti, Cr, Zr 및 이들의 혼합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응가스는 산소가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데이션 증착 층은 전자총으로부터 상기 증발원으로 전자빔을 주사하여, 금속성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증착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1.0×10-5 내지 8.0×10-5 Torr 범위의 진공을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 상기 가스 주입부로 반응가스로서의 산소가스를 주입하여, 1.0×10-1 내지 10 Torr 범위의 압력을 유지하는 산소가스 주입단계; 1.0×10-5 내지 8.0×10-5 Torr 범위의 진공을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 및 상기 가스 주입부로 반응가스로서의 산소가스, 질소 및 이산화탄소를 각각 5: 5: 1 부피 비율로 혼합한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1.0×10-1 내지 10 Torr 범위의 압력을 유지하는 혼합가스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증착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유지단계; 산소가스 주입단계; 진공유지단계; 및 혼합가스 주입단계의 사이클을 2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여, 상기 금속성분 및 산소가스와의 반응정도가 상이한 금속산화층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금속 그라데이션 색상의 표현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유지단계; 산소가스 주입단계; 진공유지단계; 및 혼합가스 주입단계의 1 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지단계는 5 내지 3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산소가스 주입단계는 10 내지 120초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진공유지단계는 5 내지 30초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혼합가스 주입단계는 10 내지 12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가스 주입단계에서 상기 산소가스는 5 내지 100 sccm의 유량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혼합가스 주입단계에서 상기 혼합가스는 5 내지 30 sccm의 유량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인쇄 층(40)은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어두운 색상을 인쇄하여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상측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차폐인쇄 층(40) 하측이 투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폐인쇄 층(40)은 일례로서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된 실크인쇄 층일 수 있다. 상기 차폐인쇄 층(40)은 15~25 μ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50)은 패턴을 통해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베이스 필름 전면에 형성된다.
종래에는 무광도료를 사용한 코팅층으로 무광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상기 무광도료 자체가 고가이다 보니 양산하는데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롤 탁본을 이용하여 패턴을 통해 무광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은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한 UV 코팅층에 롤 탁본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은 10~15 μ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롤 탁본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은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UV 패턴층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상기 증착층에 차폐인쇄 층을 형성하는 단계(S40);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롤 탁본을 이용하여 무광효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S10 내지 S40 단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50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롤 탁본을 이용하여 무광효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롤 탁본을 이용하여 무광효과 패턴층이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이하,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의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패턴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의 제조방법은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경화시키는 단계(S51);
가경화된 상도 코팅층에 패턴 슬레이브를 놓고 롤러에 의해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하는 단계(S52);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이 탁본된 상도 코팅층을 반경화시키는 단계(S53); 및
상도 코팅층에서 패턴 슬레이브를 제거하고 완전 경화시켜 무광효과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54);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S51 단계는 베이스 필름(10) 전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상도 코팅층은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한 UV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UV 패턴 성형용 도료는 바인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물질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도 코팅층은 슬롯다이 등의 코팅방법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도 코팅층은 다음 공정인 롤(roll) 탁본단계에서 탁본이 가능한 정도의 두께, 일례로서 10~15 μ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도 코팅층은 코팅을 위한 도포 후, 다음 공정인 롤(roll) 탁본단계에서 탁본이 가능하도록 성형 가능한 젤 상태로 가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경화는 IR(적외선)을 이용하여 60~80℃에서 3~7분 동안 건조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화가 불충분하여 이후 탁본 슬레이브가 상도 코팅층에 달라붙거나, 너무 경화가 진행되어 탁본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S52 단계는 롤 탁본에 의해 상도 코팅층에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하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탁본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경화된 상도 코팅층(50)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10)가 투입되면, 패턴 슬레이브 롤(61)에서 패턴 슬레이브(60)가 압력 롤러(7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패턴 슬레이브(60)는 열가소성이 좋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0.15~0.2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패턴 슬레이브(60)는 다양한 패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패턴 슬레이브(60)는 보호필름 제거기(62)를 통해 전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이 제거되면서 패턴 형상이 노출된 상태로 상부 압력 롤러(7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압력 롤러(70)에 투입되는 베이스 필름(10) 상의 가경화된 상도 코팅층(50) 상에 패턴 슬레이브가 접촉되고, 상부 압력 롤러 및 하부 압력 롤러(70)에 의해 베이스 필름과 패턴 슬레이브가 접촉된 상태로 함께 가압됨으로써 상도 코팅층(50) 상에 패턴이 탁본된다.
다음으로, S53 단계는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이 탁본된 상도 코팅층을 반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패턴이 탁본된 상도 코팅층은 탁본 후 바로 LED 등(80)에 의해 반경화되어 탁본된 패턴이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때, 완전 경화를 시키게 되면 패턴 슬레이브가 코팅층 상에 접착되어 경화되므로, 추후 패턴 슬레이브가 용이하게 제거되기 위하여 반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화는 LED 등을 이용하여 광량 100~150 mJ/cm2 및 조도 50~8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반경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패턴 슬레이브를 제거할 때 탁본된 패턴이 변형되거나, 패턴 슬레이브가 상도 코팅층과 접합되어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S54 단계는 상도 코팅층에서 패턴 슬레이브를 제거하고 완전 경화시켜 무광효과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반경화된 상도 코팅층에서 패턴 슬레이브의 제거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패턴 슬레이브 제거 후 상도 코팅층은 완전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전 경화는 수은등을 이용하여 950~1200 mJ/cm2 및 조도 200~25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완전 경화 공정은 2회 이상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회 정도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50 단계를 통해 무광효과 패턴층이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은 커팅하는 단계(S6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팅하는 단계(S60)는 S50 단계가 완료된 다음, 피착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레이저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을 갖는 백커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렇게 제조된 데코레이션 필름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색상이 표현되고, UV 패턴 층의 효과가 어우러져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종래의 고가의 무광도료를 사용하지 않고, 패턴을 가지고 롤(roll) 탁본 공정을 통해 무광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무광필름을 경제적으로 대량 양산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데코레이션 필름의 전면에 무광효과에 따른 내지문 효과, 슬립성이 우수한 질감 효과, 디자인 헤이즈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다양한 모양을 사용함으로써 무광효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색상이 표현되고, UV 패턴 층의 효과가 어우러져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 상에 무광효과 패턴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생활 스크래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필름 20 : UV 패턴층
30 : 증착층 40 : 차폐인쇄 층
50 : 무광효과 패턴층 60 : 패턴 슬레이브
70 : 롤러 80 : LED 등

Claims (9)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형성되는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에 형성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에 형성되는 차폐인쇄 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무광효과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은 롤(roll) 탁본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PC(Polycarbonate) 시트 또는 PCPMMA(Polyca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0.5~0.8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효과 패턴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경화시키는 단계(S51);
    가경화된 상도 코팅층에 패턴 슬레이브를 놓고 롤러에 의해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하는 단계(S52);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이 탁본된 상도 코팅층을 반경화시키는 단계(S53); 및
    상도 코팅층에서 패턴 슬레이브를 제거하고 완전 경화시켜 무광효과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54);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 코팅층은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한 UV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 코팅층은 10~15 μ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경화는 IR(적외선)을 이용하여 60~80℃에서 3~7분 동안 건조시켜 상도 코팅층을 성형 가능한 젤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는 LED 등을 이용하여 광량 100~150 mJ/cm2 및 조도 50~8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경화는 수은등을 이용하여 950~1200 mJ/cm2 및 조도 200~25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KR1020210105334A 2021-08-10 2021-08-10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KR10253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334A KR102537480B1 (ko) 2021-08-10 2021-08-10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334A KR102537480B1 (ko) 2021-08-10 2021-08-10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317A true KR20230023317A (ko) 2023-02-17
KR102537480B1 KR102537480B1 (ko) 2023-05-26

Family

ID=8532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334A KR102537480B1 (ko) 2021-08-10 2021-08-10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5857A (ja) * 2008-05-27 2009-12-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231508B1 (ko) 2009-06-25 2013-02-07 (주)엘지하우시스 데코시트용 무광 코팅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2014154731A (ja) * 2013-02-08 2014-08-25 Tokyo Ohka Kogyo Co Ltd パターン形成装置
KR101534621B1 (ko) 2013-12-31 2015-07-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멤브레인 성형이 가능한 무광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광 데코시트
KR20200119146A (ko) * 2019-04-09 2020-10-19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윈도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233237B1 (ko) * 2020-03-09 2021-03-30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플라스틱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성형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5857A (ja) * 2008-05-27 2009-12-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231508B1 (ko) 2009-06-25 2013-02-07 (주)엘지하우시스 데코시트용 무광 코팅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2014154731A (ja) * 2013-02-08 2014-08-25 Tokyo Ohka Kogyo Co Ltd パターン形成装置
KR101534621B1 (ko) 2013-12-31 2015-07-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멤브레인 성형이 가능한 무광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광 데코시트
KR20200119146A (ko) * 2019-04-09 2020-10-19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윈도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233237B1 (ko) * 2020-03-09 2021-03-30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플라스틱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480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067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urved casing formed from thermoplastic resin and film having a polarizing effect
US20100297407A1 (en) Plastic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003102A1 (en) Method for making housing and housing thereof
TW201429754A (zh) 一種具立體效果的印刷裝飾膜及其裝飾產品
US20130022791A1 (en) Method for coated product and product manufactured by same
US20110250400A1 (en) Method of fabricating injection-molded product
US20110097560A1 (en) Devic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971489B2 (ja) 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KR102537480B1 (ko)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KR102516642B1 (ko)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KR102516653B1 (ko) 진공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백 커버의 제조방법
KR102516654B1 (ko) 진공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백 커버의 제조방법
KR20230015559A (ko)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US20100330343A1 (en) Method for making key panel and key panel thereof
KR102509978B1 (ko) 복합시트와 이중층을 가지는 휴대통신기기 하우징용 백커버의 제조방법
US20100330344A1 (en) Method for making key panel and key panel thereof
KR102498074B1 (ko) 시트의 양면에 uv 광학패턴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하우징용 백커버의 제조방법
KR102516651B1 (ko) 진공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KR101395673B1 (ko) 장식무늬 인쇄방법
KR20240007835A (ko) 분할 디자인 패턴이 구현된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KR102537486B1 (ko) 패브릭 원단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KR20230172754A (ko) 경화시간이 단축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KR20230172755A (ko)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시트 전면 패터닝 공법
KR102540869B1 (ko) 패브릭 원단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CN216466325U (zh) 透光加饰成型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