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079A -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079A
KR20230023079A KR1020210104394A KR20210104394A KR20230023079A KR 20230023079 A KR20230023079 A KR 20230023079A KR 1020210104394 A KR1020210104394 A KR 1020210104394A KR 20210104394 A KR20210104394 A KR 20210104394A KR 20230023079 A KR20230023079 A KR 20230023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over
frames
fram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162B1 (ko
Inventor
이조원
Original Assignee
이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조원 filed Critical 이조원
Priority to KR102021010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1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6Restraining en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8Apparatus for transporting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이동식 구난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식 구난침대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베드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에서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베드부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들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중첩되는 2 이상의 덮개프레임 및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에 연결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이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접히고 1 이상의 덮개프레임이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돔 형태로 펼쳐져서 상기 베드부 전체를 덮거나 개방하는 베드덮개부; 및 상기 베드프레임들에서 상기 제1 측면들에 수직한 제2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운반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REMOVABLE RESCUE BED, MEDICAL ELECTRIC BED WITH COVER AND MEDICAL ELECTRIC BED WITH REMOVABLE RESCUE BED}
본 발명은 이동식 구난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현장에서 구난자를 안전하게 구난할 수 있는 이동식 구난침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현장에서 환자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구난침대 및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가 결합된 형태의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처치용 구조대라 함은 교통사고, 재해, 재난, 화재, 산악사고 등에서 발생한 상해자를 긴급 이송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주로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양측의 지지봉(A1)에 천(A2)을 연결한 들것(A)으로 상해자를 옮기는 것이 대부분이다.
종래와 같은 들것은 지지봉 사이에 천으로 된 침대부를 장치한 것으로 침대부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현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해자 및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대피시킬 때 화재 현장의 유독 가스 및 화염에 그대로 노출되어서 유독 가스로 인한 질식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병원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환자를 대피시키기 위해 부피가 큰 의료 침대로는 환자의 대피가 어렵고, 일부 환자를 의료 침대로 대피시키고자 하는 경우라도 환자가 화재 현장에서 유독 가스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질식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현장에서 유독 가스에 의한 질식의 위험 없이 구난자를 안전하게 구난할 수 있는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베드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에서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베드부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들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중첩되는 2 이상의 덮개프레임 및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에 연결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이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접히고 1 이상의 덮개프레임이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돔 형태로 펼쳐져서 상기 베드부 전체를 덮거나 개방하는 베드덮개부; 및 상기 베드프레임들에서 상기 제1 측면들에 수직한 제2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운반손잡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을 향해 접힌 2 이상의 덮개프레임은 상기 베드프레임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프레임은 6개이면서 3개씩 중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베드덮개부는, 서로 중첩된 각각의 덮개프레임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6개의 덮개프레임 중 중첩된 3개의 베드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6개의 덮개프레임 중 다른 중첩된 3개의 베드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부재는 그 길이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간격보다 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의 제1 측면들은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각각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제1 슬라이딩홈 및 제2 슬라이딩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2 슬라이딩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각각의 안쪽면에 마주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바깥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슬라이딩돌기 및 제2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제2 슬라딩돌기가 체결되어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가 체결되어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이 회전하지 않는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의 제1 측면들에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드부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드수평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2 이상의 수평유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는,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일치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어긋나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중 외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바깥면에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수평유지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는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가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의 수평유지바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기는 고정식 또는 분리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산소공급기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은 자동 및 수동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는 비상전원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드부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및 상기 온열장치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내측에 수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열장치는 상기 매트리스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트리스는 내부에 음압 및 양압을 제공하는 마사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침대의 베드를 구성하기 위한 수평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장자리가 아치 형상을 갖는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제2 덮개가이드부;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침대덮개부재;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덮개가이드부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덮개부재가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침대덮개부재를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덮개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침대의 베드를 구성하기 위한 수평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 방향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장자리가 아치 형상을 갖는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제2 덮개가이드부;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침대덮개부재;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덮개가이드부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덮개부재가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침대덮개부재를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덮개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의료용 전동침대의 베이스프레임 상에 상기 이동식 구난침대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구난침대는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의 베이스프레임 상에 자동 및 수동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는 건물의 실내에 설비되어 있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유선 및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화재 탐지설비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그 감지 신호가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의 덮개구동부가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화재 현장으로부터 이동시 유독 가스로 인한 구난자의 질식을 방지하여 구난자를 안전하게 구난할 수 있고, 구난자를 싣고 이동할 때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베드프레임이 회전하는 오류 없이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서 구난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베드덮개부가 베드프레임 내에 수용되므로 침대의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침대를 사용하는 중에 화재가 발생되면 침대에 누운 사용자, 예를 들어, 환자를 유독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이동식 구난침대의 덮개와 의료용 전동침대의 덮개를 통해 사용자를 이중으로 보호하여 화재 현장에서 더욱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식 구난침대를 분리하면 사용자를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들것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베드부의 각각의 베드프레임이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베드덮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베드수평유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베드부에 매트리스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베드덮개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베드수평유지부재가 베드프레임들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해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침대덮개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베드부의 각각의 베드프레임이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베드덮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베드수평유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베드부(100), 베드덮개부(200), 복수의 운반손잡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드부(100)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회전 가능한 연결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고 조절된 각도가 고정될 수 있는 기계적 힌지 구조 및 전기적 구동장치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기적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식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전기적 구동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수동식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은 사각틀 구조의 바닥부(110),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며 베드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120)들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에 평행하는 제2 측면(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120)들은 제1 측면프레임(121), 상기 제1 측면프레임(121)과 평행하여 상기 제1 측면프레임(12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는 외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면프레임(121)이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130)들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122) 중 내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예를 들어, 제2 측면프레임(122)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3 측면프레임(1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베드부(100)는 상기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4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을 배열 순서에 따라 제1 베드프레임(101), 제2 베드프레임(102), 제3 베드프레임(103) 및 제4 베드프레임(104)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4개인 경우,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베드프레임(101) 및 제4 베드프레임(104)은 서로 평행하는 2개의 제2 측면(130) 중 베드부(100)의 상부 또는 하부를 구성하는 제2 측면(130)은 상기 제3 측면프레임(131) 및 제3 측면프레임(13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감프레임(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 각각의 제1 측면(120)들 및 제2 측면(130)들 내측에 제1 매트리스(10)가 수납되고,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을 덮도록 상기 제1 매트리스(10) 위로 제2 매트리스(20)를 포개어서 베드부(100)에 사용자, 예를 들어,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드덮개부(200)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에서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베드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들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중첩되는 2 이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 및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에 연결된 덮개(207)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이 상기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접히고 1 이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이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돔 형태로 펼쳐져서 상기 베드부(100) 전체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각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은 뒤집힌 U자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은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6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은 3개씩 중첩되게 구비되어,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 및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3개씩 중첩되는 덮개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덮개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수용되는 형태로 중첩될 수 있고, 3개의 덮개프레임이 중첩된 상태의 높이는 상기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제2 측면프레임(122)의 높이보다 낮고, 6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이 접힐 때 상기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 및 상기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포개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들은 상기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들의 제1 측면(120)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들 각각은 제1 슬라이딩홈(1231) 및 제2 슬라이딩홈(12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드덮개부(200)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 및 한 쌍의 제2 슬라이딩부재(2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홈(1231)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1232)은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 각각의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제2 측면프레임(122)의 안쪽면에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슬라이딩홈(1231)은 상기 제2 슬라이딩홈(1232)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는 서로 중첩된 각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6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 중 중첩된 3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는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을 구성하는 3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는 바닥판(2081), 상기 바닥판(208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의 양측에 수직하게 세워지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1 측벽(2082) 및 제2 측벽(20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2081) 및 상기 제2 측벽(2082) 사이에는 회전중심축(2084)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중심축(2084)에 상기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2082) 및 상기 제2 측벽(2083)의 바깥면에는 제1 슬라이딩돌기(2085) 및 제2 슬라이딩돌기(2086)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 각각은 그 길이가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간격보다 길고,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제2 측면프레임(122)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측벽(2082) 및 상기 제2 측벽(2082)이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제2 측면프레임(122)의 안쪽면에 마주하며, 이때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2085)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2086)는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제2 측면프레임(122)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1 슬라이딩홈(1231) 및 제2 슬라이딩홈(123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슬라이딩부재(209)는 서로 중첩된 각각의 덮개프레임(204, 205, 206)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6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 중 중첩된 3개의 덮개프레임(204, 205, 206)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 슬라이딩부재(209)는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을 구성하는 3개의 덮개프레임(204, 205, 206)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제2 슬라이딩부재(209)는 그 길이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간격보다 길고, 바닥판(2091), 제1 측벽(2092) 및 제2 측벽(2093), 제1 슬라이딩돌기(2095) 및 제2 슬라이딩돌기(2096), 회전중심축(209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슬라이딩부재(209)가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에 결합되는 구조 및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123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제2 슬라이딩부재(209)는 상기 제2 슬라이딩홈(123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은 상기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의 위로 포개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207)는 2 이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 예를 들어 상기 6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들에 연결되며,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이 펼쳐지거나 접힐 때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는 것이 용이하도록 덮개(207)의 높이 방향에 평행하는 다수의 루버(louver)를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덮개(207)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덮개(207)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난연성 직물 소재일 수 있다.
복수의 운반손잡이(300)는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들에서 제1 측면(120)들에 수직한 제2 측면(130)들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 중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의 양 끝측에 배치되는 제1 베드프레임(101) 및 제4 베드프레임(104) 각각의 제2 측면(130)을 구성하는 마감프레임(132)들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운반손잡이(300)는 제1 베드프레임(101)의 마감프레임(132)에 3개, 제4 베드프레임(104)의 마감프레임(132)에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복수의 베드수평유지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드수평유지부재(400)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회전하지 않는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제1 측면(120)들에 상기 베드부(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드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400)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2 이상의 수평유지바(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400)는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410)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일치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410)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어긋나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의 수평유지바(410)를 포함할 수 있고, 4개의 수평유지바(410)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제1 내지 제4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일치하는 제1 위치 및 4개의 수평유지바(410)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제1 내지 제4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어긋나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41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절첩 가능한 조작손잡이(4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드수평유지부재(400)가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은 제1 측면프레임(121) 및 제2 측면프레임(122) 중 외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측면프레임(121)의 바깥면에 상기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유지바 수용홈(1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평유지바 수용홈(1211)은 상기 제1 내지 제4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 각각의 제1 측면프레임(121)의 바깥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수평유지바(410)는 제1 내지 제4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 각각의 수평유지바 수용홈(12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내지 제4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 중 베드부(100)의 양측 끝측에 위치하는 제1 베드프레임(101) 및 제4 베드프레임(104)의 저면에는 바퀴(50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침대를 이동시키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되, 베드부(100)는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을 포함하고,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은 6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베드부에 매트리스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베드덮개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베드수평유지부재가 베드프레임들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해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평상시 정해진 위치에 놓여서 사용될 수도 있고, 화재시 구난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평상시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은 수평 상태로 놓여서 사용될 수 있고,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4와 같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화재시 구난 침대로써 사용되는 경우, 4개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수평 상태로 놓인 상태에서 구난자를 눕히고, 화재 현장의 유독 가스로부터 구난자를 보호하기 위해 베드덮개부(200)를 펼친다.
이때,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을 구성하는 3개의 덮개프레임(204, 205, 206) 중 최상부의 덮개프레임(204)을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과 함께 당기면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을 구성하는 3개의 덮개프레임(204, 205, 206) 중 2개는 최하부의 1개의 덮개프레임(206)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펼쳐지고, 이어서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을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기면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의 하단부의 제1 슬라이딩부재(208)는 제1 슬라이딩홈(12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은 제2 덮개프레임묶음(220)과 멀어지고, 이어서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을 구성하는 3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덮개프레임(201)을 나머지 2개의 덮개프레임(202, 203)과 이격되도록 당기면 제1 덮개프레임묶음(210)의 각각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은 이격되면서 덮개(207)를 펼치게 되고, 펼쳐진 덮개(207)는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져서 베드부(100)에 누운 구난자를 덮개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도 8과 같이 덮개(207)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구난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베드부(100)의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을 회전되지 않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9와 같이 베드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베드수평유지부재(400) 각각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베드수평유지부재(400)의 수평유지바(410)들은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은 회전되지 않고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시킨 후 구난요원, 예를 들어, 소방대원은 베드부(100)의 양측 끝에 배치되는 운반손잡이(300)들을 잡고 구난침대를 들어서 화재 현장으로부터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구난자를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킨 후 구난자를 베드덮개부(200)로 덮힌 침대의 내측으로부터 꺼내기 위해, 펼쳐진 6개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 중 구난자의 머리 위치에 위치하는 덮개프레임을 그 후방의 덮개프레임들에 포개어지도록 회전 또는 이동시켜서 구난자의 머리 위치에서 베드덮개부(200)의 일부를 열고 구난자를 꺼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화재시 덮개(207)를 펼쳐서 베드부(100)에 누운 구난자를 유독 가스로부터 보호하여, 화재 현장으로부터 이동시 유독 가스로 인한 구난자의 질식을 방지하여 구난자를 안전하게 구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드부(100)를 구성하는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회전되지 않는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베드부(100)의 측면에 결합된 바(bar) 타입의 복수의 베드수평유지부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베드수평유지부재(400)를 베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신속하게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이 회전되지 않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한 과정이 용이하고, 나아가 구난자의 구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들 사이의 힌지 연결 구조, 예를 들어, 기어의 맞물림과 같은 구조로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경우보다 오류 없이 더 안전하게 2 이상의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서 구난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드덮개부(200)의 덮개프레임(201, 202, 203, 204, 205, 206)들이 서로 중첩되어 베드프레임(101, 102, 103, 104) 내에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침대의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기는 고정식 또는 분리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산소공급기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는 베드부(100)의 일측에 비상전원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비상전원장치는 상기 전기적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의 베드부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및 상기 온열장치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내측에 수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열장치는 상기 매트리스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는 내부에 음압 및 양압을 제공하는 마사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침대덮개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베이스프레임(1100),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제2 덮개가이드부(1300), 침대덮개부재(1400), 덮개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0)은 침대의 베드를 구성하며, 베이스프레임(1100) 상에 매트리스가 놓일 수 있다.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제2 덮개가이드부(1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구비되며 가장자리가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제2 덮개가이드부(1300)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정면 및 배면, 정면 및 배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막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침대덮개부재(1400)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1300)에 연결되고,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을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침대덮개부재(1400)는 시트 형태로 구비되는 덮개(207) 및 상기 덮개(207)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다수의 봉 형태의 덮개골조(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1300)의 정면에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구멍(1210)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덮개골조(1420)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1300) 각각의 가이드구멍(1210)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1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덮개(207)는 난연성 직물 소재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덮개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하부 및 상기 각각의 덮개가이드부(1200, 1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덮개부재(1400)가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상기 침대덮개부재(1400)를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덮개구동부는 체인, 상기 체인을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프라킷,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덮개골조(1420) 중 상기 덮개(207)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하나의 덮개골조(1420)는 상기 체인의 일측에 연결되어 체인을 따라 이동하여 다수의 덮개골조(1420)들이 상기 가이드구멍(1210) 내에서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이동하여 덮개(207)가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상기 침대덮개부재(1400)가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도록 상기 덮개구동부를 구동시키면 침대덮개부재(1400)의 덮개(207)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을 덮게 된다.
따라서, 침대를 사용하는 중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침대덮개부재(1400)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을 덮어서 침대에 누운 사용자, 예를 들어, 환자를 유독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의료용 전동침대의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제2 덮개가이드부(130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1200)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1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폭 방향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덮개부재(140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덮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식 구난침대(2001)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의료용 전동침대(2002)의 베이스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를 이용하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동식 구난침대(2001)의 베드덮개부(200)를 펼쳐서 사용자를 1차적으로 보호하고,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의료용 전동침대(2002)의 침대덮개부재(1400)를 펼치면 침대덮개부재(1400)가 이동식 구난침대(2001)를 덮을 수 있으므로 의료용 전동침대(2002)의 침대덮개부재(1400)를 통해 사용자를 2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화재 현장에서 사용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침대의 사용 중 사용자를 신속히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이동식 구난침대(2001)를 전동침대(2002)로부터 분리하면 사용자를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식 구난침대(2001)는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의 베이스프레임(1100) 상에 자동 및 수동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는, 건물의 실내에 설비되어 있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유선 및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화재 탐지설비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그 감지 신호가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의 덮개구동부가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베드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에서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베드부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들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중첩되는 2 이상의 덮개프레임 및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에 연결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이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접히고 1 이상의 덮개프레임이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돔 형태로 펼쳐져서 상기 베드부 전체를 덮거나 개방하는 베드덮개부; 및
    상기 베드프레임들에서 상기 제1 측면들에 수직한 제2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운반손잡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구난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을 향해 접힌 2 이상의 덮개프레임은 상기 베드프레임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구난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덮개프레임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식 구난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은 6개이면서 3개씩 중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베드덮개부는,
    서로 중첩된 각각의 덮개프레임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6개의 덮개프레임 중 중첩된 3개의 베드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6개의 덮개프레임 중 다른 중첩된 3개의 베드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부재는 그 길이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간격보다 긴,
    이동식 구난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의 제1 측면들은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각각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제1 슬라이딩홈 및 제2 슬라이딩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2 슬라이딩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각각의 안쪽면에 마주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바깥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슬라이딩돌기 및 제2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제2 슬라딩돌기가 체결되어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가 체결되어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식 구난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이 회전하지 않는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의 제1 측면들에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드부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드수평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구난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2 이상의 수평유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는,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일치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가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의 힌지 연결된 각 마디와 어긋나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식 구난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중 외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바깥면에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수평유지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베드수평유지부재는 상기 2 이상의 수평유지바가 상기 각각의 베드프레임의 수평유지바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식 구난침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기는 고정식 또는 분리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산소공급기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이동식 구난침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은 자동 및 수동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는 비상전원장치가 구비되는,
    이동식 구난침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는,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및
    상기 온열장치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2 이상의 베드프레임 내측에 수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열장치는 상기 매트리스에 열을 전달하는,
    이동식 구난침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내부에 음압 및 양압을 제공하는 마사지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구난침대.
  13. 침대의 베드를 구성하기 위한 수평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장자리가 아치 형상을 갖는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제2 덮개가이드부;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침대덮개부재;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덮개가이드부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덮개부재가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침대덮개부재를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덮개구동부를 포함하는,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14. 침대의 베드를 구성하기 위한 수평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 방향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장자리가 아치 형상을 갖는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제2 덮개가이드부;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제1 덮개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덮개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침대덮개부재;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덮개가이드부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덮개부재가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침대덮개부재를 상기 아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덮개구동부를 포함하는,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15. 제13항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의 베이스프레임 상에 제1항에 따른 이동식 구난침대가 마련되는,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구난침대는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의 베이스프레임 상에 자동 및 수동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는 건물의 실내에 설비되어 있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유선 및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화재 탐지설비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그 감지 신호가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의료용 전동침대의 덮개구동부가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KR1020210104394A 2021-08-09 2021-08-09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KR10265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394A KR102657162B1 (ko) 2021-08-09 2021-08-09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394A KR102657162B1 (ko) 2021-08-09 2021-08-09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079A true KR20230023079A (ko) 2023-02-17
KR102657162B1 KR102657162B1 (ko) 2024-04-12

Family

ID=8532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394A KR102657162B1 (ko) 2021-08-09 2021-08-09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1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650B1 (ko) * 2001-09-05 2004-05-17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척추관리기를 겸한 수면용 매트
KR100808231B1 (ko) * 2007-07-09 2008-03-07 (주)코리아베드 병원용 침대의 프레임 각도조절장치
KR100946194B1 (ko) * 2007-10-23 2010-03-08 임재용 커버링수단을 구비하는 들것
KR20130062126A (ko) * 2011-12-02 2013-06-12 정운황 재난 대비용 침대
KR101274221B1 (ko) * 2010-12-28 2013-06-17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온돌침대 보온막의 개폐장치
KR101509011B1 (ko) * 2013-03-29 2015-04-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폐 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
KR20190132493A (ko) * 2017-04-06 2019-11-27 시크리스트 인더스트리스 아이엔씨 전동 륜 들것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650B1 (ko) * 2001-09-05 2004-05-17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척추관리기를 겸한 수면용 매트
KR100808231B1 (ko) * 2007-07-09 2008-03-07 (주)코리아베드 병원용 침대의 프레임 각도조절장치
KR100946194B1 (ko) * 2007-10-23 2010-03-08 임재용 커버링수단을 구비하는 들것
KR101274221B1 (ko) * 2010-12-28 2013-06-17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온돌침대 보온막의 개폐장치
KR20130062126A (ko) * 2011-12-02 2013-06-12 정운황 재난 대비용 침대
KR101509011B1 (ko) * 2013-03-29 2015-04-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폐 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
KR20190132493A (ko) * 2017-04-06 2019-11-27 시크리스트 인더스트리스 아이엔씨 전동 륜 들것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162B1 (ko)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9103B2 (en) Portable isolation enclosure
US20030066132A1 (en) Bed timer
CA2415021C (en) Foldable spa cover and lift unit
CA1276053C (en) Stretcher
JP2018519032A (ja) 患者支持装置
KR101932212B1 (ko) 낙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의료용 침대
CA2660252A1 (en) A rescuing and carrying device
US20060000017A1 (en) Ramp and rail system for a child's crib or bed
KR20230023079A (ko) 이동식 구난침대, 덮개가 구비된 의료용 전동침대 및 이동식 구난침대가 장착된 의료용 전동침대
ES2754365T3 (es) Conjunto de elevador de techo inclinable de paciente
KR100946194B1 (ko) 커버링수단을 구비하는 들것
KR20160127595A (ko)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JP2016168098A (ja) ベッドに取り付けられる側柵
KR102006856B1 (ko) 가림막 및 그 가림막을 이용한 들것
KR101518183B1 (ko) 인명구조용 침구
JP2023528497A (ja) 身体の検査、診断および治療、ならびにレクリエーションに使用する保護バリア
KR102011325B1 (ko) 환자보호용 에어매트
TWM286260U (en) Movable negative-pressure isolation tent
KR102324746B1 (ko) 환자 이송장치
ES2918550B2 (es) Grua medica de elevacion de un paciente en posicion horizontal
NL2028419B1 (en) Mobile unit comprising a collapsible dome-shaped hood
TWI641403B (zh) 火場避難裝置
KR101329940B1 (ko) 재해지역을 위한 접이식 간이 병동
EP4335425A1 (en) Foldable device for isolating a patient
JP3060880U (ja) 防毒マスクを備えた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