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624A -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624A
KR20230022624A KR1020210104621A KR20210104621A KR20230022624A KR 20230022624 A KR20230022624 A KR 20230022624A KR 1020210104621 A KR1020210104621 A KR 1020210104621A KR 20210104621 A KR20210104621 A KR 20210104621A KR 20230022624 A KR20230022624 A KR 2023002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opod
house
cap
arthropods
found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449B1 (ko
Inventor
황윤국
Original Assignee
황윤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국 filed Critical 황윤국
Priority to KR102021010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44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046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4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고정 배치되되 하우스의 기초를 이루는 기초 구조물; 상기 기초 구조물에 체결되고 상기 기초 구조물을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스터드 앙카; 및 상기 하우스의 베이스에 접하게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터드 앙카로 상기 기초 구조물에 일체로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기초 구조물을 통해 상기 하우스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Structure for preventing arthropoda from entering}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큰 구조 변경이나 복잡한 장치의 적용 없이도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에 침입한 절지곤충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술적으로 절지동물(節肢動物)이란 요약 등뼈가 없는 무척추동물 중 몸이 딱딱한 외골격으로 싸여 있으며, 몸과 다리에 마디가 있는 동물 무리를 일컫는다.
동물 중 종류가 가장 많은 무리로서 현재까지 약 90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종류로는 곤충류, 갑각류, 거미류, 다지류가 있다.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나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종수와 개체 수가 많고 서식처가 다양하므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절지동물 중에서도 특히 곤충류가 많은데, 곤충의 몸은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에는 눈과 더듬이, 입 등이 있고, 가슴에는 다리가 있다. 대부분 곤충은 3쌍의 다리와 2쌍의 날개를 갖는다.
전술한 것처럼 절지동물 특히 곤충이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맞지만, 이러한 곤충, 즉 개미, 노린재, 지네 등의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에 침입하면 실질적으로 방해가 될 수 있다.
더욱이, 개미, 노린재, 지네 등의 절지곤충을 매우 싫어하거나 혐오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주거공간에 침입한 상기 절지곤충으로 인해 두려움과 공포감을 느낄 수도 있다.
한편, 도심지의 주거공간, 예컨대 아파트나 빌라 등의 주거공간에는 환경상 절지곤충의 침입이 많지 않다.
하지만, 공사 현장이나 들판, 언덕 등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하우스나 간이 하우스, 또는 원두막, 농막, 소형 하우스, 냉동/냉장창고 등의 경우에는 그 환경상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172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1234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0619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116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큰 구조 변경이나 복잡한 장치의 적용 없이도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에 침입한 절지곤충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면에 고정 배치되되 하우스의 기초를 이루는 기초 구조물; 상기 기초 구조물에 체결되고 상기 기초 구조물을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스터드 앙카; 및 상기 하우스의 베이스에 접하게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터드 앙카로 상기 기초 구조물에 일체로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기초 구조물을 통해 상기 하우스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은,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바디; 상기 캡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 앙카가 체결되는 장소를 이루는 앙카 체결부; 및 상기 기초 구조물의 폭보다 넓게 상기 캡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기초 구조물을 통해 상기 하우스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캡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날개는, 평탄한 밑면부; 상기 밑면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상기 밑면부보다 연장 길이가 짧은 평탄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밑면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되 상기 하우스의 베이스와 접하지 않고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바디에는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 영역 일부가 삽입되면서 결합하는 삽입 보스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보스부 내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보스부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삽입 보스부를 보강하는 보강 철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큰 구조 변경이나 복잡한 장치의 적용 없이도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에 침입한 절지곤충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가 적용된 하우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도시된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의 분리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의 분리 단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가 적용된 하우스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도시된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의 확대 구조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4는 도 3의 분리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100)의 경우, 큰 구조 변경이나 복잡한 장치의 적용 없이도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에 침입한 절지곤충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100)는 기존 제품이나 장치와 달리 초기에 저렴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개미, 노린재, 지네 등의 절지곤충 근접을 불가능하게, 또는 최대한 어렵게 함으로써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을 방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100)는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100)는 기초 구조물(110), 스터드 앙카(120) 및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과 같은 구조로 하우스(10)에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100)가 적용된 하우스(10)의 일 예이다.
이러한 하우스(10)는 내부에 주거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스 본체(11)와, 하우스 본체(11)에 마련되는 오픈(open) 가능한 윈도(12)와, 하우스 본체(11)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13)와, 하우스 본체(11)의 상부를 이루는 지붕(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대략 직육면체 구조의 하우스(10)를 개시하였는데, 주거공간이 반드시 도 1과 같은 구조의 하우스(10)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주거공간은 도 1의 하우스(10)를 포함해서, 공사 현장이나 들판, 언덕 등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하우스나 간이 하우스, 또는 원두막, 농막, 소형 하우스, 냉동/냉장창고 등에도 마련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기초 구조물(110)은 지면(20)에 고정 배치되되 하우스(10)의 기초를 이룬다. 도면에는 1단의 기초 구조물(110)을 개시했다.
하지만, 2단 이상의 기초 구조물(110)을 적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단수가 높을수록 절지곤충의 침입 방지에 유리할 수 있다.
기초 구조물(110)에는 스터드 앙카(120)가 통과하면서 체결되는 앙카공(111)이 형성된다. 앙카공(111)은 단순한 홀(hole)로서, 나사산일 필요는 없다.
스터드 앙카(120)는 기초 구조물(110)에 체결되고 기초 구조물(110)을 지면(20)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스터드 앙카(120)가 금속 재질이므로, 접지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한편,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은 하우스(10)의 베이스에 접하게 기초 구조물(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스터드 앙카(120)로 기초 구조물(110)에 일체로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기초 구조물(110)을 통해 하우스(10)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은 기초 구조물(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바디(131)와, 캡 바디(131)에 형성되고 스터드 앙카(120)가 체결되는 장소를 이루는 앙카 체결부(133)와, 기초 구조물(110)의 폭보다 넓게 캡 바디(13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기초 구조물(110)을 통해 하우스(10)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캡 날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을 캡 바디(131), 앙카 체결부(133) 및 캡 날개(135)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명한다. 하지만,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은 외면이 매끈하게 형성된 보울 형태로써 밑면만 평평한 모양의 구조물이여됴 무방하다. 이럴 경우,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을 뒤집어 설치하면 절지곤충(혹은 절지곤충류)이 상부로 이동하는 중에 표면 돌기가 없는 매끄러운 금속면 오버행구간에서 자중에 의한 지구중력이 가해져서 지면으로 낙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로 기어 올라가지 못한다. 이때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은 원형, 사각, 삼각 등등의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이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보울(bowl) 형태을 구조로써 전술한 것처럼 절지곤충(혹은 절지곤충류)의 상부 이동을 저지할 수만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이 캡 바디(131), 앙카 체결부(133) 및 캡 날개(135)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캡 바디(131)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캡 바디(131)에는 기초 구조물(110)의 상부 영역 일부가 삽입되면서 결합하는 삽입 보스부(132)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캡 바디(131)에 삽입 보스부(132)가 형성되면, 삽입 보스부(132)에 기초 구조물(110)의 상부 영역 일부가 삽입되면서 결합하게 한 상태에서 스터드 앙카(120)를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캡 날개(135)는 평탄한 밑면부(135a)와, 밑면부(135a)의 상부를 형성하되 밑면부(135a)보다 연장 길이가 짧은 평탄한 상면부(135b)와, 상면부(135b)와 밑면부(135a)를 경사지게 연결하되 하우스(10)의 베이스(13)와 접하지 않고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135c)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기존처럼 기초 구조물(110)을 단독으로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기초 구조물(110) 상에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을 덧씌워 사용함으로써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즉 절지곤충이 설사 기초 구조물(110)을 타고 올라가더라도 기초 구조물(110)보다 넓은 구조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130)이 마련되어 있는 관계로, 절지곤충은 더 이상 오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큰 구조 변경이나 복잡한 장치의 적용 없이도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에 침입한 절지곤충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의 분리 단면 구조도이고, 도 6은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200) 역시, 앙카공(111)을 구비하는 기초 구조물(110), 스터드 앙카(120) 및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구조에 있어서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230)이 전술한 것과 약간 차별화를 이룬다.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230)은 기초 구조물(1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삽입 보스부(232)를 구비하는 캡 바디(131)와, 캡 바디(131)에 형성되고 스터드 앙카(120)가 체결되는 장소를 이루는 앙카 체결부(133)와, 기초 구조물(110)의 폭보다 넓게 캡 바디(13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기초 구조물(110)을 통해 하우스(10)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캡 날개(2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캡 날개(235)는 평탄한 밑면부(235a)와, 밑면부(235a)의 상부를 형성하되 밑면부(235a)보다 연장 길이가 짧은 평탄한 상면부(235b)와, 상면부(235b)와 밑면부(235a)를 경사지게 연결하되 하우스(10)의 베이스(13)와 접하지 않고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235c)를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캡 날개(235)를 이루는 부분들 중 밑면부(235a)에는 요철 패턴부(235d)가 형성된다.
이처럼 캡 날개(235)에 요철 패턴부(235d)가 마련되면, 미세한 돌기와 홈의 반복된 구조의 요철 패턴부(235d)로 인해 이 부분에서 절지곤충의 이동을 강제로 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삽입 보스부(232) 내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삽입 보스부(232)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삽입 보스부(232)를 보강하는 보강 철물(232a)이 더 마련된다.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230)은 플라스틱이라 사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출 성형 시 보강 철물(232a)을 삽입 보스부(232)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하면 보강 철물(232a)이 마련된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230)을 제작할 수 있다. 이처럼 삽입 보스부(232)에 보강 철물(232a)이 마련되면 보강 철물(232a)이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삽입 보스부(232)가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구조 변경이나 복잡한 장치의 적용 없이도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에 침입한 절지곤충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의 분리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300) 역시, 앙카공(111)을 구비하는 기초 구조물(310), 스터드 앙카(120) 및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330)은 곤충 기피용 패드(340)가 캡 날개(235)에 추가적으로 더 마련된다는 점에서만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곤충 기피용 패드(340)는 절지곤충이 싫어하는 향기를 갖는 링(ring) 타입의 고체형 소재가 케이스에 들어간 형태로서,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330)의 캡 날개(235) 영역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에 끼워지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곤충 기피용 패드(340)가 더 마련되면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시간이 흘러 곤충 기피용 패드(340)의 고체형 소재가 소진되면 다시 새로운 곤충 기피용 패드(340)로 교체하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300)는 전술한 구성들 외에 기초 구조물(310)에 결합하는 곤충 이동 강제 저지링(350)이 더 적용된다.
곤충 이동 강제 저지링(350)은 단부로 갈수록 뾰족해지고 일단부가 기초 구조물(310)의 링홈(310a)에 끼워져 조립되는 링 바디(351)와, 링 바디(35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복수 개로 마련되고 해당 위치에서 절지곤충의 접근을 1차로 차단하는 복수 개의 접근 차단용 바늘(352)이 마련된다.
이처럼 접근 차단용 바늘(352)들이 곤충 이동 강제 저지링(350)에 마련되면, 접근 차단용 바늘(352)에서 절지곤충의 상향 이동이 1차로 저지되고,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330)에서 여러 구성으로 인해 절지곤충의 상향 이동이 2차로 저지되기 때문에, 또한 곤충 기피용 패드(340)가 더 마련되는 관계로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큰 구조 변경이나 복잡한 장치의 적용 없이도 절지곤충이 주거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에 침입한 절지곤충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하우스 13 : 베이스
20 : 지면 100 :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110 : 기초 구조물 111 : 앙카공
120 : 스터드 앙카 130 :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
131 : 캡 바디 132 : 삽입 보스부
133 : 앙카 체결부 135 : 캡 날개
135a : 밑면부 135b : 상면부
135c : 경사부

Claims (5)

  1. 지면에 고정 배치되되 하우스의 기초를 이루는 기초 구조물;
    상기 기초 구조물에 체결되고 상기 기초 구조물을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스터드 앙카; 및
    상기 하우스의 베이스에 접하게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터드 앙카로 상기 기초 구조물에 일체로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기초 구조물을 통해 상기 하우스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지곤충 침입 방지캡은,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바디;
    상기 캡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 앙카가 체결되는 장소를 이루는 앙카 체결부; 및
    상기 기초 구조물의 폭보다 넓게 상기 캡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기초 구조물을 통해 상기 하우스의 주거공간으로 향하는 절지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캡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날개는,
    평탄한 밑면부;
    상기 밑면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상기 밑면부보다 연장 길이가 짧은 평탄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밑면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되 상기 하우스의 베이스와 접하지 않고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에는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 영역 일부가 삽입되면서 결합하는 삽입 보스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스부 내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보스부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삽입 보스부를 보강하는 보강 철물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KR1020210104621A 2021-08-09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KR10267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21A KR102670449B1 (ko) 2021-08-09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21A KR102670449B1 (ko) 2021-08-09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24A true KR20230022624A (ko) 2023-02-16
KR102670449B1 KR102670449B1 (ko) 2024-05-3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286A (ko) 2010-04-21 2011-10-27 김경희 다태 임신 애완동물의 경제적인 복제 방법
KR20120123410A (ko) 2010-01-08 2012-11-0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전력 공급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410A (ko) 2010-01-08 2012-11-0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전력 공급 디바이스
KR20110117286A (ko) 2010-04-21 2011-10-27 김경희 다태 임신 애완동물의 경제적인 복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523A (en) Pest preventer for location on a structural foundation support or a structure supporting a food source
US4793093A (en) Feeding station for vermin
US4648201A (en) Elongated baffled tunnel opening for a rodent tamper-resistant bait station
US4277907A (en) Slug trap
US20050160659A1 (en) Apparatus for killing insects by trapping larvae
US20100313466A1 (en) Tamper Resistant Weighted Rodent and Insect Bait Station
US50976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rmites, crawling insects or other crawling pests from entering residential structures, commercial structures and industrial structures
EA200400099A1 (ru) Ограждение
US6739087B2 (en) Garden pest trap
US5622001A (en) Slug and snail trap
KR20230022624A (ko)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US20180184634A1 (en) Insect control device
US5287648A (en) Electrical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rawling insects or other crawling pests from entering electrical devices mounted on support structures above ground
KR102670449B1 (ko) 주거공간의 절지곤충 침입 방지장치
US8082691B2 (en) System for repelling small mammals
US9326458B1 (en) Tree trunk snail shield and method of preventing snails from accessing the upper portions of a tree
US20190000068A1 (en) Wire bristle pest control apparatus
JP4303780B1 (ja) 電気柵用支柱
GB2563317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US20190350190A1 (en) Bait Station With Internal Weight
GB2563320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JP4518837B2 (ja) ペット等のフェンス越え防止装置
JP3223280U (ja) 埋設式の柵柱及び柵柱の配置構造
KR102533700B1 (ko)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GB2563318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