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618A -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 Google Patents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618A
KR20230022618A KR1020210104604A KR20210104604A KR20230022618A KR 20230022618 A KR20230022618 A KR 20230022618A KR 1020210104604 A KR1020210104604 A KR 1020210104604A KR 20210104604 A KR20210104604 A KR 20210104604A KR 20230022618 A KR20230022618 A KR 2023002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top flange
main beam
we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5017B1 (en
Inventor
황규범
Original Assignee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특장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17B1/en
Publication of KR2023002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84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by increasing the friction between the load and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frame, for a flatbed trailer. The anti-slip struc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main beams;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connected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s; floors arrang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main beams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and side members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main bea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loor, and sides of the floor arranged on the outermost sides thereof. The main beam includes: a top flange having both sides coupled to the floor; a web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 flange; and a bottom flang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web while facing the top flange. The floor includes: a center floor arranged between the top flanges of the main beam; and side floors arranged between the top flange of the main beam and the side member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flan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paced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each other to prevent slipping of cargo seated on an upper part thereof.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side floors. Anti-slip plates ar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s to prevent the cargo seated on the upper part from slipping.

Description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본 발명은, 차량에 연결되어, 화물을 적재시 화물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frame for a flatbed trailer that is connected to a vehicle and prevents slipping of cargo when loading cargo.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에는 그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 대별하여 코일을 적재할 수 있는 코일트레일러와 콘테이너 및 보통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평판트레일러로 구분된다.In general, trailers are divided into coil trailers capable of loading coils and flatbed trailers capable of loading containers and ordinary cargoes, which are rough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판 트레일러가 그 일반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For example, flatbed trailers as shown in Figs. 1 and 2 are common,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종래의 평판 트레일러(PT)는 마스터빔(MB)과 크로스 멤버(CM)와 사이드 멤버(SM)와 플로어(FR)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MF)을 포함한다. 마스터빔(MB)은 그 단면이 공지의 "H" 비임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 하측에 톱, 바텀 플랜지(TF)(BF)가 배치되고, 이러한 톱, 바텀 플랜지(TF)(BF)의 단면상 중간부분에 웨브(WB)의 단면상 상, 하단이 용접 장착되는 구조이다.A conventional flatbed trailer (PT) includes a main frame (MF) composed of a master beam (MB), a cross member (CM), a side member (SM), and a floor (FR). The master beam (MB) has a top and a bottom flange (TF) (BF)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known "H" beam, and the top and bottom flange (TF) (BF)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ross-section of the web (WB) are weld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cross-section.

이와 같은 마스터빔(MB)의 웨브(WB) 상측으로는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HL)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크로스멤버(CM)가 관통상태로 장착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L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eb WB of the master beam MB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ross member CM described later is mounted in a penetrating state.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FR)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는 마스터빔(MB)의 톱 플랜지(TF)와 플로어(FR)의 상부에 별도로 판재를 추가로 설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slipping of loads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FR), a plate material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p flange (TF) and the floor (FR) of the master beam (MB).

그러나, 종래에는 메인 프레임(FR)의 상면에 판재를 단순히 안착 상태로 추가 결합되게 한 구조로 인해 메인 프레임(FR)과 판재를 포함한 전체 설치두께가 두꺼워지게 됨에 따라 적재물의 적재 가능한 부피가 줄어듬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설치된 판재 자체 중량 및 판재를 고정하기 위해 추가 설치되는 체결부재로 인한 중량 증대 및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재가 적재물의 적재시 간섭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적재물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simp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FR), the total installation thickness including the main frame (FR) and the plate becomes thicker, reducing the loadable volume of the load 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 due to the additionally installed fastening member to fix the weight of the plate and the additionally installed pla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may cause interference during loading of the load, which causes damage to the load.

이같은, 평판 트레일러에 대한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268호(2006.06.12)에 제시된다.Such a related technology for flatbed trailers is present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9268 (June 12, 2006).

본 발명은, 설치두께를 최소화하여 화물 적재량을 증대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재되는 화물의 미끄러짐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frame for a flatbed trailer, which can increase the load capacity 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thickness and stably block slippage of loaded cargo.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비임과, 상기 메인 비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결 배치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와, 상기 메인 비임의 양측에 메인 비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플로어와, 상기 메인 비임의 길이방향 양단 및 플로어의 길이방향 양단과 최외측에 배치된 플로어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로 구성된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메임 비임은, 양측이 플로어에 결합되는 톱 플랜지, 상단이 톱 플랜지의 저면에 결합되는 웨브, 톱플랜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웨브의 하단에 결합되는 바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는 메인 비임의 톱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플로어, 메인 비임의 톱 플랜지와 사이드 멤버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로어를 포함하며, 상기 톱 플랜지의 상면부 및 플로어의 상면부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돌출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 플로어의 상면부 및 사이드 플로어의 상면부에는 미끄럼판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판 삽입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판을 구비하는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 프레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main beams dispos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connected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on both sides of the main beam. In the main frame for a flatbed trailer composed of floors arranged side by sid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and side members coupled to side parts of the outermost floor, the main beam is A top flange coupled to the floor, a web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op flange, and a bottom flang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eb in a state facing the top flange, wherein the floor is between the top flanges of the main beam. It includes a center floor disposed, a side floor disposed between the top flange of the main beam and the side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flan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cargo seated on the upper part from slipp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are formed, and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loors, and are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s to prevent sliding of cargo seated on the top. A main frame for a flatbed trailer having a prevention plate is provided.

또한, 상기 메인 비임과 크로스 멤버와 플로어 및 사이드 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미끄럼방지판은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eam, cross member, floor, and side members may be made of aluminum, and the anti-slip plate may be made of wood or plastic.

또한, 상기 웨브의 상단이 결합되는 톱 플랜지의 저면부에는 웨브의 상단을 삽입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삽입보강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웨브의 하단이 결합되는 바톰 플랜지의 상면부에는 웨브의 하단을 삽입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삽입보강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보강부가 형성된 톱 플랜지의 저면부 내측에는 톱 플랜지의 측면부나 상면부보다 두께가 두껍도록 톱연결 두께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for coupling the upper end of the web in an inserted stat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flange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web is coupled, protruding downward, and the bottom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eb is coup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 second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web in an inserted state protrudes upward,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top flange on which the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p flange. The top connection thickness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portion or the upper surface portion.

또한, 상기 메인 비임의 톱 플랜지와, 플로어의 센터 플로어와 사이드 플로어 및, 사이드 멤버는 내측에 파형 단면의 보강재가 마련된 각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센터 플로어에 마주보는 톱 플랜지의 일측면에는 제1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 플랜지에 마주보는 센터 플로어의 양측면에는 제1결합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 플랜지에 마주보는 사이드 플로어의 일측면에는 제2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로어에 마주보는 톱 플랜지의 타측면에는 제2결합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에 마주보는 사이드 플로어의 타측면 상측에는 사이드 멤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의 상측에는 제1돌출판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1연결홈부가 형성되며, 사이드 플로어에 마주보는 사이드 멤버의 면부 일측에는 사이드 플로어를 지지하는 제2돌출판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flange of the main beam, the center floor and side floors of the floor, and the side members have a square tube shape with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corrugated cross-section on the inside, and one side of the top flange facing the center floor has a first coupling. Grooves are formed, first coupling protrusion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floor facing the top flange,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floor facing the top flang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op flange facing the side floor,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ide floor facing the side member. A first protruding plate portion is formed, a first connection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member to insert the first protruding plate portion, and a second stone supporting the side flo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ide member facing the side floor. A publishing department may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 프레임은, 톱 플랜지의 상면부 및 플로어의 상면부에 복수의 돌출돌기부가 형성되며, 센터 플로어의 상면부 및 사이드 플로어의 상면부에는 미끄럼판 삽입홈부를 형성시킨 상태로 미끄럼판 삽입홈부에 미끄럼방지판을 삽입 배치한 바, 톱 플랜지와 플로어의 두께 증대를 최소화한 상태로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의 미끄러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In the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flan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and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loor. As a non-slip plate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the cargo from slipping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top flange and floor.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평판 트레일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터 플로어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사이드 플로어의 확대도이다.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flatbed trailer.
3 is a plan view of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shown in FIG. 3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shown in FIG. 4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center floor shown in FIG. 6 .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side floor shown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나타낸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는, 메인 비임(100), 크로스 멤버(200), 플로어(300), 사이드 멤버(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의 전방에는 차량에 체결되는 견인수단(도면미도시)을 구비하고, 메인프레임의 후방에는 도로 상에서 주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복수의 바퀴가 장착된 주행 휠수단(10)을 연결 구비한다. 그리고, 메인 비임(100)과, 크로스 멤버(200)와, 플로어(300) 및, 사이드 멤버(4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메인 비임(100)과, 크로스 멤버(200)와, 플로어(300) 및, 사이드 멤버(400)는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된 후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메인 비임(100)과, 크로스 멤버(200)와, 플로어(300) 및, 사이드 멤버(400)를 일체상태로 성형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20은 에어탱크 부분이며, 도면부호 30은 라이트를 장착할 수 있게 하는 라이트브라켓이다.3 is a plan view of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S. 3 to 6 ,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eam 100, a cross member 200, a floor 300, and a side member 400. In front of the main frame, a traction means (not shown) fastened to the vehicle is provided, and in the rear of the main frame, a driving wheel means 10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is connected to enable driving on the road. . In addition, the main beam 100, the cross member 200, the floor 300, and the side member 400 may be made of aluminum. At this time, the main beam 100, the cross member 200, The floor 300 and the side members 400 are individually molded and then join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beam 100, the cross member 200, and the floor 300 and the side member 400 may be molded integrally, of course. Here,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n air tank portion, and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light bracket enabling a light to be mounted.

상기 메인 비임(100)은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를 이격되게 배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도록 한 쌍을 구비한다. 이러한, 메인 비임(100)은 톱 플랜지(110), 웨브(120), 바텀 플랜지(130)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main beams 100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nd more specifically, a pair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in beam 100 includes a top flange 110, a web 120, and a bottom flange 130.

상기 톱 플랜지(110)는 메인 비임(100)의 상측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톱 플랜지(110)의 폭방향 양측은 플로어(300)와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톱 플랜지(110)는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사각 구조의 각관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톱 플랜지(110)의 내측에는 톱 플랜지(11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110a)가 형성되는데, 이때, 보강재(110a)는 산과 골이 마련된 파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며, 보강재(110a)의 산과 골 부분은 톱 플랜지(110)의 상면 내측 및 저면 내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재(110a)는 톱 플랜지(110)와 압출을 통해 일체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p flange 110 is a part constituting the upper side of the main beam 100, and both sides of the top flange 110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floor 300 in a connected state. Such, the top flange 110 has a square tube shape of a rectangular structure provided with a space on the inside. In addition, a reinforcing material 110a for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top flange 110 is formed inside the top flange 11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aterial 110a has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a wave with peaks and valleys, The peaks and valleys of 110a)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op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flange 110. Here, the reinforcing member 110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flange 110 through extrusion.

그리고, 상기 톱 플랜지(110)의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이후 설명될 플로어(300)의 센터 플로어(310)에 마주보는 면부에는 제1결합홈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홈부(111)는 센터 플로어(310)의 제1결합돌기부(311)를 대응되게 삽입 배치될 수 있게 하는 바, 톱 플랜지(110)와 센터 플로어(31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상하방향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대시키고,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Also, a first coupling groove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flange 110, more specifically, on a surface facing the center floor 310 of the floor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upling groove 111 allow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11 of the center floor 310 to be inserted and disposed correspondingl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op flange 110 and the center floor 310. In addition, the bonding str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creased, and a stable bonding state is maintained when bonding is perform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또한, 상기 톱 플랜지(110)의 타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어(300)의 사이드 플로어(320)에 마주보는 면부에는 제2결합돌기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결합돌기부(112)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제2결합홈부(321)에 대응되게 삽입 배치되는 바, 톱 플랜지(110)와 사이드 플로어(32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상하방향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대시키고,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op flange 110, more specifically, on the side facing the side floor 320 of the floor 300.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2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1 of the side floor 320,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op flange 110 and the side floor 320. Increases the bonding str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intains a stable combined state when combin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그리고, 상기 톱 플랜지(110)의 저면부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웨브(120)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1삽입보강부(113)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삽입보강부(113)에는 웨브(120)의 상단을 삽입되게 할 수 있도록 제1삽입홈(11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삽입보강부(113)는 웨브(120)의 상단이 결합되는 톱 플랜지(110)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고, 제1삽입홈(113a)은 웨브(120) 상단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113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flange 110, more specifically,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web 120 is coupled. A first insertion groove 113a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113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eb 120 can be inserted. The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113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top flange 110 portion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web 120 is coupled,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3a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upper end of the web 120. increases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state.

그리고, 제1삽입보강부(113)에 형성된 톱 플랜지(110)의 저면부 내측에는 톱 플랜지(110)의 측면부나 상면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톱연결 두께보강부(113b)가 형성된다. 이러한, 톱연결 두께보강부(113b)는 웨브(120)의 상단을 연결 결합시키는 톱 플랜지(110) 저면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And, inside the bottom portion of the top flange 110 formed on the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ortion 113, a top connection thickness reinforcement portion 113b thicker than the side surface or top portion of the top flange 110 is formed. The top connection thickness reinforcing portion 113b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top flange 110 connecting and coupling the upper end of the web 120.

더불어, 상기 톱 플랜지(110)의 상면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돌출돌기부(114)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돌기부(114)는 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톱 플랜지(110) 상부에 화물을 배치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돌출돌기부(114)는 톱 플랜지(110)의 상부에 화물을 바로 안착 배치하지 않고 화물을 지지하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 부재(도면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시, 별도의 고정을 위한 수단없이도 판 부재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되게 한다. 이같이, 톱 플랜지(110)의 상면부에 형성된 돌출돌기부(114)는 톱 플랜지(110)의 두께를 증대되게 하면서 톱 플랜지(110)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돌출돌기부(114)의 내측에는 자력을 통해 화물을 부착되게 하도록 자력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부(114)의 상단에는 화물을 적재시 화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면서도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지지캡(도면미도시)을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캡의 저면에는 돌출돌기부(114)의 상단을 삽입되게 하도록 홈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11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flange 110 to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se protruding protrusions 114 may be formed in a horn shape and prevent slipping when placing cargo on top of the top flange 110 . Here, the protruding portion 114 is a means for separate fixing when additionally installing a plate member (not shown) made of wood or plastic that supports the cargo without directly seating and arranging the cargo on top of the top flange 110. Even without it, the plate member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slip. In this way, the protruding portion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flange 110 serve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top flange 110 whil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top flange 110. At this time, a magnetic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114 so as to attach cargo through magnetic force. In addition, a support cap (not shown) made of ductile rubber or synthetic resin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114 to prevent damage to the cargo while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argo when loading the cargo. there is. At this time, a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cap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114 is inserted.

상기 웨브(120)는 톱 플랜지(110)와 바텀 플랜지(130) 사이를 연결하는 판 부분이다. 즉, 웨브(120)의 상단은 톱 플랜지(110)의 저면부에 결합되고, 웨브(120)의 하단은 바텀 플랜지(130)의 상면부에 결합된다.The web 120 is a plate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top flange 110 and the bottom flange 130 .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web 12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flange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web 1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lange 130.

이러한, 상기 웨브(120)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체결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121)은 크로스 멤버(200)를 설치시 크로스 멤버(200)의 단부가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로 체결되게 하거나, 사이드 플로어(310)와 웨브(120)를 연결하는 보강프레임(500)을 설치시 보강프레임(500)의 단부를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평판 트레일러에 필요한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in the web 120 . Here, the fastening groove 121 allows the end of the cross member 200 to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composed of bolts and nuts when the cross member 200 is installed, or reinforcement connecting the side floor 310 and the web 120. When installing the frame 500, a fastening member composed of bolts and nuts can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reinforcing frame 500, and accessories necessary for the flat trailer can be mounted.

상기 바텀 플랜지(130)는 웨브(120)의 하단에 결합 설치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바텀 플랜지(130)의 상면부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웨브(120)의 하단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2삽입보강부(131)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삽입보강부(131)에는 웨브(120)의 하단을 삽입되게 할 수 있도록 제2삽입홈(13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삽입보강부(131)는 웨브(120)의 하단이 결합되는 바텀 플랜지(130)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고, 제2삽입홈(131a)은 웨브(120)의 하단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bottom flange 130 is a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eb 120.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lange 130, more specifically, a second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13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a por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web 120 is coupled. A second insertion groove 131a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13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web 120 can be inserted. The second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131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bottom flange 130 portion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eb 120 is coupled,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1a has a contact area with the lower end of the web 120. increases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state.

상기 크로스 멤버(200)는 메인 비임(100)의 폭 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는 부재이다. 즉, 크로스 멤버(200)는 메임 비임(100)에 연결 설치되면서 메인 비임(100)의 휨을 방지하는 보강부재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200)는 메인 비임(100)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비임(100)의 웨브(120) 사이에 위치하고, 크로스 멤버(2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웨브(120)에 결합된다. 이때, 크로스 멤버(200)는 'ㄷ'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는 각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크로스 멤버(2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웨브(120)의 체결홈(121)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된 체결판(210)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The cross member 200 is a member connected to and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eam 100 . That is, the cross member 200 serves as a reinforcing member to prevent bending of the main beam 100 while being installed connected to the main beam 100 . The cross member 200 is located between the main beams 100,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webs 120 of the main beams 100, and both ends of the cross member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web 120. do. At this time, the cross member 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tube having a 'c'-shaped vertical cross-section, and fastening members are provided in the fastening grooves 121 of the web 120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member 200. A fastening plate 210 having a coupling groove (not shown) formed thereon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상기 플로어(300)는 메인 비임(100)과 함께 상부에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 부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플로어(300)는 메인 비임(100)의 톱 플랜지(110) 양측에 메인 비임(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한 상태로 메인 비임(100)의 톱 플랜지(110)에 연결 결합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플로어(300)는 센터 플로어(310), 사이드 플로어(320)를 포함한다.The floor 300, along with the main beam 100, is a part that provides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cargo on top. The floor 300 is coupled to the top flange 110 of the main beam 100 in a state where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100 on both sides of the top flange 110 of the main beam 100. install it so Here, the floor 300 includes a center floor 310 and a side floor 320 .

상기 센터 플로어(310)는 메인 비임(100)의 톱 플랜지(11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센터 플로어(310)의 폭방향 양측은 톱 플랜지(110)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센터 플로어(310)는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사각 구조의 각관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센터 플로어(310)의 내측에는 센터 플로어(31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310a)가 형성되는데, 이때, 보강재(310a)는 산과 골이 마련된 파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며, 보강재(310a)의 산과 골 부분은 센터 플로어(310)의 상면 내측 및 저면 내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재(310a)는 센터 플로어(310)와 압출을 통해 일체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nter floor 310 is a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op flanges 110 of the main beam 100, and both sides of the center floor 310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top flange 110 in a connected state. The center floor 310 has a square tube shape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with a space provided therein. In addition, a reinforcing material 310a for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center floor 310 is formed inside the center floor 31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aterial 310a has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a wave with peaks and valleys, The peaks and valleys of 310a)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floor 310 . Here, the reinforcing material 310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enter floor 310 through extrusion.

그리고, 상기 센터 플로어(310)의 폭방향 양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톱 플랜지(110)에 마주보는 면부에는 제1결합돌기부(3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돌기부(311)는 톱 플랜지(110)의 제1결합홈부(111)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바, 톱 플랜지(110)와 센터 플로어(31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상하방향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대시키고,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In addition, first coupling protrusions 311 are protrude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 floor 310 in the width direction, more specifically, from surfaces facing the top flange 110 .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11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1 of the top flange 110, and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op flange 110 and the center floor 310, as well as up and down. It increases the bonding strength in the direction and maintains a stable combined state when combin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터 플로어(310)의 상면부 일측에는 미끄럼판 삽입홈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판 삽입홈부(312)에는 미끄럼방지판(330)을 삽입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판(330)은 센터 플로어(310)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시 화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판 부재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판(330)의 상면에는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미끄러짐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표면패드(도면미도시)을 부착 구비할 수도 있다. 이같이, 미끄럼방지판(330)의 상면이 미끄럼판 삽입홈부(312)에 삽입 설치시, 센터 플로어(310)의 상면보다 조금 높게 돌출되게 배치되게 함으로써, 플로어(300)의 전체적인 설치 두께는 크게 증대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방지판(330)의 두께는 미끄럼방지판(330)을 미끄럼판 삽입홈부(312)에 삽입 설치시, 미끄럼방지판(330)의 상면이 센터 플로어(310)의 상면부보다 0.3mm ~ 0.7mm정도 돌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3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310 . An anti-skid plate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312 . Here, the anti-slip plate 330 is a plate member that prevents the cargo from slipping when the cargo is loa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floor 310, and may be made of wood or plastic. In addition, a surface pad (not shown) made of a rubber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late 330 to prevent damage to cargo and to stably block slipping. In this way,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late 33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312, the overall installation thickness of the floor 300 is greatly increased by protruding slight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310. will not become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non-slip plate 330 is such that when the non-slip plate 330 is inserted into the slip plate insertion groove 312, the upper surface of the non-slip plate 330 is great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310.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about 0.3mm to 0.7mm.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센터 플로어(310)의 상면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돌출돌기부(313)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돌기부(313)는 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터 플로어(310) 상부에 화물을 배치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돌출돌기부(114)는 센터 플로어(310)의 상부에 화물을 바로 안착 배치하지 않고 화물을 지지하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 부재(도면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시, 별도의 고정을 위한 수단없이도 판 부재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박힘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이같이, 센터 플로어(310)의 상면부에 형성된 돌출돌기부(313)는 센터 플로어(310)의 두께를 증대되게 하면서 센터 플로어(310)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돌출돌기부(313)의 내측에는 자력을 통해 화물을 부착되게 하도록 자력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부(313)의 상단에는 화물을 적재시 화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면서도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지지캡(도면미도시)을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캡의 저면에는 돌출돌기부(313)의 상단을 삽입되게 하도록 홈부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31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310 to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se protruding protrusions 313 may be formed in a horn shape and prevent slipping when cargo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floor 310 . Here, the protruding portion 114 is a means for separate fixing when a plate member (not shown) made of wood or plastic is additionally installed to support the cargo without directly seating and arranging the cargo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floor 310. Even without it, the plate member is fixed in a screwed state so that it does not slip. As such, the protrusions 3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or 310 serv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enter floor 310 whil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enter floor 310 . At this time, a magnetic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313 so as to attach cargo through magnetic force. In addition, a support cap (not shown)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having ductility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313 to prevent damage to the cargo while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argo when loading the cargo. there is. At this time, a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cap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313 is inserted.

상기 사이드 플로어(320)는 메인 비임(100)의 톱 플랜지(110)와 사이드 멤버(40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사이드 플로어(320)의 폭방향 양측은 톱 플랜지(110)의 일측면 및 사이드 멤버(400)의 일측면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사이드 플로어(320)는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사각 구조의 각관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사이드 플로어(320)의 내측에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320a)가 형성되는데, 이때, 보강재(320a)는 산과 골이 마련된 파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며, 보강재(320a)의 산과 골 부분은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면 내측 및 저면 내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재(320a)는 사이드 플로어(320)와 압출을 통해 일체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floor 320 is a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op flange 110 of the main beam 100 and the side member 400, and both sides of the side floor 320 in the width direction are one side of the top flange 110 and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ide member 400 in a connected state. The side floor 320 has a square tube shape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with a space provided therein. In addition, a reinforcing material 320a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ide floor 320 is formed inside the side floor 32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aterial 320a has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a wave with peaks and valleys, The peaks and valleys of 320a) ar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ide floor 320 . Here, the reinforcing material 320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floor 320 through extrusion.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로어(320)의 폭방향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톱 플랜지(110)에 마주보는 면부에는 제2결합홈부(3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결합홈부(311)는 톱 플랜지(110)의 제2결합돌기부(112)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바, 톱 플랜지(110)와 사이드 플로어(32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상하방향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대시키고,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In addition, a second coupling groove 3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floor 320 in the width direction, more specifically, on a surface facing the top flange 110 .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1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2 of the top flange 110, and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op flange 110 and the side floor 320, as well as up and down. It increases the bonding strength in the direction and maintains a stable combined state when combin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또한, 상기 사이드 플로어(320)의 폭방향 타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멤버(400)에 마주보는 면부 상측에는 제1돌출판부(32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돌출판부(322)는 사이드 멤버(400)의 상면부에 형성된 제1연결홈부(420)에 대응되게 삽입 배치되는 바, 사이드 플로어(320)와 사이드 멤버(40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사이드 플로어(320)를 사이드 멤버(400)에 안착상태로 배치되게 하고,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In addition, a first protruding plate portion 322 is protruded from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ide floor 320 in the width direction,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side member 400 . The first protruding plate portion 322 is inserted and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portion 4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400,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ide floor 320 and the side member 400.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side floor 320 is arranged in a seated state on the side member 400, and a stable coupling state is maintained when coupl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또한, 상기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면부 일측에는 미끄럼판 삽입홈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판 삽입홈부(323)에는 미끄럼방지판(330)을 삽입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판(330)은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시 화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판 부재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판(330)의 상면에는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미끄러짐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표면패드(도면미도시)을 부착 구비할 수도 있다. 이같이, 미끄럼방지판(330)의 상면이 미끄럼판 삽입홈부(323)에 삽입 설치시,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면보다 조금 높게 돌출되게 배치되게 함으로써, 플로어(300)의 전체적인 설치 두께는 크게 증대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방지판(330)의 두께는 미끄럼방지판(330)을 미끄럼판 삽입홈부(323)에 삽입 설치시, 미끄럼방지판(330)의 상면이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면부보다 0.3mm ~ 0.7mm정도 돌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ide plate insertion groove 32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loor 320 . An anti-slip plate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323 . Here, the non-slip plate 330 is a plate member that prevents the cargo from slipping when cargo is loa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loor 320, and may be made of wood or plastic. In addition, a surface pad (not shown) made of a rubber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late 330 to prevent damage to cargo and to stably block slipping. In this way,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slip plate 33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323, the overall installation thickness of the floor 300 is greatly increased by protruding slight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loor 320. will not become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anti-skid plate 330 is such that when the anti-skid plate 33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insertion groove 323,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kid plate 330 is great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loor 320.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about 0.3mm to 0.7mm.

또한, 상기 사이드 플로어(320)의 저면부에는 평판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나 액세서리를 장착되게 하거나 보강부재를 연결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장착브라켓부(3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브라켓부(420)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bracket 324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ide floor 320 to mount various equipment or accessories installed on the flat trailer or to connect and install reinforcing members. The mounting bracket portion 4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loor 320 .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부(324)에는 장착홈(32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홈(324a)은 각종 장비나 액세서리 또는 보강부재를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도록 'T'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홈(324a)에 체결부재의 볼트 헤드부분을 삽입상태로 걸림되게 배치하고, 너트를 볼트 축부분에 체결되게 하면서 각종 장비나 액세서리 또는 보강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324a is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portion 324 . The mounting groove 324a may be formed to have a 'T'-shaped vertical cross-section so that various equipment or accessories or reinforcing members may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composed of bolts and nuts. That is, the bolt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324a to be hooked, and various equipment, accessories, or reinforcing members can be installed while the nut is fastened to the bolt shaft portion.

더불어, 상기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면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돌출돌기부(325)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돌기부(325)는 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이드 플로어(320) 상부에 화물을 배치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돌출돌기부(325)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부에 화물을 바로 안착 배치하지 않고 화물을 지지하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 부재(도면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시, 별도의 고정을 위한 수단없이도 판 부재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되게 한다. 이같이,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면부에 형성된 돌출돌기부(325)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두께를 증대되게 하면서 사이드 플로어(320)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32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loor 320 so as to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se protruding protrusions 325 may be formed in a horn shape and prevent slipping when cargo is placed on the upper side floor 320 . Here, the protruding portion 325 is a means for separate fixing when a plate member (not shown) made of wood or plastic is additionally installed to support the cargo without directly seating and arranging the cargo on the top of the side floor 320. Even without it, the plate member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slip. As such, the protruding protrusions 32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loor 320 serv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ide floor 320 whil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ide floor 320 .

상기 사이드 멤버(400)는 메인 비임(100)의 길이방향 양단 및 플로어(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되게 배치함과 더불어 최외측에 배치된 플로어(300)의 측면부,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측면부에 연결되게 배치하는 부분이다. 이같이, 사이드 멤버(40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 프레임의 전후 가장자리 및 좌우 가장자리에 배치되면서 직사각 구조를 가지게 한다.The side member 400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100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300, and also the side part of the floor 300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more specifically, the side floor It is a part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side part of (320). As such, the side members 400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while being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edges and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when viewed from a plane.

이러한, 상기 사이드 멤버(400)는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사각 구조의 각관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사이드 멤버(400)의 내측에는 사이드 멤버(40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410)가 형성되는데, 이때, 보강재(410)는 산과 골이 마련된 파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며, 보강재(410)의 산과 골 부분은 사이드 멤버(400)의 양측부 내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재(410)는 사이드 멤버(400)와 압출을 통해 일체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member 400 has a square tube shape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with a space provided therein. In addition, a reinforcing material 410 for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ide member 400 is formed inside the side member 40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aterial 410 has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a wave with peaks and valleys,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 The crest and valley portions of 410)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both sides of the side member 400. Here, the reinforcing member 4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member 400 through extrusion.

그리고, 상기 사이드 멤버(400)의 상면부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1연결홈부(420)가 사이드 멤버(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홈부(420)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제1돌출판부(322)가 대응되게 삽입 배치되게 하는 바, 사이드 플로어(320)와 사이드 멤버(40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사이드 플로어(320)를 사이드 멤버(400)에 안착상태로 배치되게 하고,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groove 420 may be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400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ember 400 . The first connection groove 420 allows the first protruding plate 322 of the side floor 320 to be inserted and disposed correspondingl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ide floor 320 and the side member 400. In addition, the side floor 320 is placed in a seated state on the side member 400, and a stable coupling state is maintained when coupl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또한, 상기 사이드 멤버(400)의 일측면부, 즉, 사이드 플로어(320)에 마주보는 면부에는 사이드 멤버(400)의 면부에는 제2돌출판부(43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2돌출판부(430)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저면부 가장자리를 안착상태로 지지하면서 사이드 플로어(320)와 사이드 멤버(40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In addition, a second protruding plate portion 430 is formed protruding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side member 400, that is, a surface portion facing the side floor 320,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side member 400. Such a second protruding plate portion ( 430)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ide floor 320 and the side member 400 while supporting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floor 320 in a seated state, and provides stable coupling when combined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rivets. keep the state

또한, 상기 사이드 멤버(400)의 저면부에는 평판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나 액세서리를 장착되게 하거나 보강부재를 연결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장착브라켓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브라켓부(440)는 사이드 플로어(3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bracket 44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ide member 400 to mount various equipment or accessories installed on the flat trailer or to connect and install reinforcing members. The mounting bracket portion 44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loor 320 .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부(440)에는 장착홈(44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홈(440a)은 각종 장비나 액세서리 또는 보강부재를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도록 'T'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홈(440a)에 체결부재의 볼트 헤드부분을 삽입상태로 걸림되게 배치하고, 너트를 볼트 축부분에 체결되게 하면서 각종 장비나 액세서리 또는 보강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440a is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portion 440 . The mounting groove 440a may be formed to have a 'T'-shaped vertical cross-section so as to fasten various equipment, accessories, or reinforcing members to a fastening member composed of bolts and nuts. That is, the bolt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440a to be hooked, and various equipment, accessories, or reinforcing members can be installed while the nut is fastened to the bolt shaft portion.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는, 화물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메인 비임(100)의 톱 플랜지(110)와, 플로어(300)의 센터 플로어(310) 및 사이드 플로어(320) 및 사이드 멤버(400)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 상태로 연결 결합되는 바, 설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플로어(300)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미끄럼방지판(300)이 미끄럼삽입홈부(312,323)에 삽입 배치되게 하면서 플로어(300)의 추가적인 두께 증대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anti-slip structure of the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top flange 110 of the main beam 100 on which cargo is seated, the center floor 310 of the floor 300, and the side floor ( 320) and the side member 400 are coupled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making it possible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structure. In addition, the non-slip plate 300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30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insertion grooves 312 and 323, thereby minimizing the additional increase in thickness of the floor 300.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는, 톱 플랜지(110)의 상면부 및 플로어(300)의 상면부에 복수의 돌출돌기부(313,325)가 형성되며, 센터 플로어(310)의 상면부 및 사이드 플로어(320)의 상면부에는 미끄럼판 삽입홈부(313,323)를 형성시킨 상태로 미끄럼판 삽입홈부(313,323)에 미끄럼방지판(330)을 삽입 배치한 바, 톱 플랜지(110)와 플로어(300)의 두께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의 미끄러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nti-slip structure of the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313 and 32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flange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300, and the center floor ( The top flange ( 110) and the floor 300 in a state where the thickness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slipping of cargo seated on the top.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메인 비임 110: 톱 플랜지
120: 웨브 130: 바텀 플랜지
200: 크로스 멤버 300: 플로어
310: 센터 플로어 320: 사이드 플로어
400: 사이드 멤버 500: 보강 프레임
100: main beam 110: top flange
120: web 130: bottom flange
200: cross member 300: floor
310: center floor 320: side floor
400: side member 500: reinforcement frame

Claims (4)

길이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비임과, 상기 메인 비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결 배치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와, 상기 메인 비임의 양측에 메인 비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플로어와, 상기 메인 비임의 길이방향 양단 및 플로어의 길이방향 양단과 최외측에 배치된 플로어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로 구성된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임 비임은, 양측이 플로어에 결합되는 톱 플랜지, 상단이 톱 플랜지의 저면에 결합되는 웨브, 톱플랜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웨브의 하단에 결합되는 바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는 메인 비임의 톱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플로어, 메인 비임의 톱 플랜지와 사이드 멤버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로어를 포함하며,
상기 톱 플랜지의 상면부 및 플로어의 상면부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돌출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 플로어의 상면부 및 사이드 플로어의 상면부에는 미끄럼판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판 삽입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판을 구비하는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
A plurality of main beams dispos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connected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on both sides of the main beam In the non-slip structure of the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composed of a flo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ea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and side members coupled to side parts of the outermost floor,
The main beam includes a top flange coupled to the floor on both sides, a web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 flange, and a bottom flang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eb while facing the top flange,
The floor includes a center floor disposed between the top flange of the main beam and a side floor disposed between the top flange of the main beam and the side member,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flan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cargo seated on the top from slipping.
Slide plat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center floor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side floors,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having an anti-slip plate inserted into the slide plate insertion groove and preventing the cargo from slipp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임과 크로스 멤버와 플로어 및 사이드 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방지판은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eam, cross member, floor and side members are made of aluminum,
The non-slip plate is a non-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made of wood or plasti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상단이 결합되는 톱 플랜지의 저면부에는 웨브의 상단을 삽입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삽입보강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웨브의 하단이 결합되는 바톰 플랜지의 상면부에는 웨브의 하단을 삽입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삽입보강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보강부가 형성된 톱 플랜지의 저면부 내측에는 톱 플랜지의 측면부나 상면부보다 두께가 두껍도록 톱연결 두께보강부가 형성된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ortion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for engaging the upper end of the web in an inserted stat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flange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web is coupled, protruding down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lange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eb is coupled, a second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web in an inserted state is formed protruding upward,
The anti-slip structure of the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is formed with a saw connection thickness reinforcement part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top flange on which the first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side part or the top part of the top fl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임의 톱 플랜지와, 플로어의 센터 플로어와 사이드 플로어 및, 사이드 멤버는 내측에 파형 단면의 보강재가 마련된 각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센터 플로어에 마주보는 톱 플랜지의 일측면에는 제1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 플랜지에 마주보는 센터 플로어의 양측면에는 제1결합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 플랜지에 마주보는 사이드 플로어의 일측면에는 제2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로어에 마주보는 톱 플랜지의 타측면에는 제2결합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에 마주보는 사이드 플로어의 타측면 상측에는 사이드 멤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의 상측에는 제1돌출판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1연결홈부가 형성되며, 사이드 플로어에 마주보는 사이드 멤버의 면부 일측에는 사이드 플로어를 지지하는 제2돌출판부가 형성된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flange of the main beam, the center floor and side floors of the floor, and the side members have a square tube shape with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corrugated cross-section on the inside,
A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flange facing the center floor,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floor facing the top flange,
A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floor facing the top flange,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op flange facing the side floor,
A first protruding plate par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ide floor facing the side member, and a first connec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first protruding plate part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member. An anti-slip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flat trailer having a second protruding plate supporting a side floor formed on one side of a surface of a side member facing a floor.

KR1020210104604A 2021-08-09 2021-08-09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KR102565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04A KR102565017B1 (en) 2021-08-09 2021-08-09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04A KR102565017B1 (en) 2021-08-09 2021-08-09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18A true KR20230022618A (en) 2023-02-16
KR102565017B1 KR102565017B1 (en) 2023-08-09

Family

ID=8532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604A KR102565017B1 (en) 2021-08-09 2021-08-09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01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68Y1 (en) * 2006-04-04 2006-06-16 아이씨피 주식회사 Aluminumn flat board trailer
KR20110077658A (en) * 2009-12-30 2011-07-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Upper plate with non-slip structure for flat bed trailer
JP2012011795A (en) * 2010-06-29 2012-01-19 Nippon Fruehauf Co Ltd Trailer flo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iler floor
US20140284964A1 (en) * 2006-11-03 2014-09-25 East Manufacturing Corporation Platform trailer with extruded floor panel cross memb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68Y1 (en) * 2006-04-04 2006-06-16 아이씨피 주식회사 Aluminumn flat board trailer
US20140284964A1 (en) * 2006-11-03 2014-09-25 East Manufacturing Corporation Platform trailer with extruded floor panel cross members
KR20110077658A (en) * 2009-12-30 2011-07-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Upper plate with non-slip structure for flat bed trailer
JP2012011795A (en) * 2010-06-29 2012-01-19 Nippon Fruehauf Co Ltd Trailer flo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iler fl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017B1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4017A (en) Trailer construction
US8414046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8408638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20220119060A1 (en) Motorcycle seat rail structure
JP3520768B2 (en) Vehicle battery and air tank mounting structure
US20050057075A1 (en) Fastening system with bearing member
US8449022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6883859B2 (en) Fastening system with extension element
KR102565017B1 (en) Anti-slip structure of mainframe for flatbed trailer
CN112158258B (en) Sub vehicle frame mounting structure and car
KR102565018B1 (en) Additional equipment installation structure of main frame for flatbed trailer
KR102565016B1 (en) Aluminum bonded structure flatbed trailer
JP4772094B2 (en) Container chassis towed by tractor
CN112208638A (en) Frame and electric vehicle
US11433841B2 (en) Truck bracket assembly
CN212290036U (en) Semitrailer frame additional strengthening
US7401849B2 (en) Tower structure supporting bed on frame
KR100333280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loading box for truck
CN219619217U (en) Chassis assembly of vehicle and vehicle
US7017925B2 (en) Portable axle and tire assembly
CN116588194A (en) Frame assembly of container transport vehicle
KR0131658Y1 (en) Towing hook reinforcement means of an automobile
KR200163499Y1 (en) A fixing structure of seat for a car
JPH0125682Y2 (en)
JPH022812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