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487A -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487A
KR20230022487A KR1020210104310A KR20210104310A KR20230022487A KR 20230022487 A KR20230022487 A KR 20230022487A KR 1020210104310 A KR1020210104310 A KR 1020210104310A KR 20210104310 A KR20210104310 A KR 20210104310A KR 20230022487 A KR20230022487 A KR 20230022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control
barn
monitoring system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줌바이오텍
박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줌바이오텍, 박광철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줌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1010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487A/ko
Publication of KR2023002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ulphides, e.g. H2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4Ammoni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mmu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축사 내외부 환경 모니터링과 이력 정보의 관리, 축사 위치 지점별 악취 모니터링, 악취 저감 제어 신호 생성과 유무선 전송, 악취 종합 관리를 관리하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축사 여러 곳이나 장소에 악취를 스스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악취측정 모듈이 준비되고, 원격지 서버와 통신으로 악취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표준 데이터와 통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지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역별, 지리적 다양한 환경의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 관련 정보들을 수집하여 저장 및 빅데이터화하고, 이를 미리 입력된 표준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축사 내외부 환경에 따른 분석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발생 또는 가공,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제어신호는 별도 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악취 저감에 필요한 물 분사, 경고음 발생 등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별도 제어장치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Smart livestock odor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with odor sensor and ICT convergence technology applied}
본 발명은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축사 내외부 환경 모니터링과 이력 정보의 관리, 축사 위치 지점별 악취 모니터링, 악취 저감할 수 있는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제어 신호 생성과 유무선 전송, 악취 종합 관리를 관리하고 데이터를 저장 한다.
이를 위해 축사 여러 곳이나 장소에 악취를 스스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악취측정 모듈이 준비되고, 원격지 서버와 통신으로 악취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표준 데이터와 통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지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역별, 지리적 다양한 환경의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 관련 정보들을 수집하여 저장 및 빅데이터화 하고, 이를 미리 입력된 표준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축사 내외부 환경에 따른 분석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발생 또는 가공,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제어신호는 별도 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악취 저감에 필요한 물 분사, 경고음 발생 등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별도 제어장치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축사의 악취 현황 정보를 자동 획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표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 분석하고, 그 차이만큼의 정보나 생성된 정보를 ICT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서버에 자료의 저장 및 시스템 자동화로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어 시스템 간 상호 정보통신을 구축 또는 실현하고, 축사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악취 원격 제어 신호 발생과 전송 시스템들을 상호 연동하여 축사 환경 및 악취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대내외 악취 민원이 없도록 축사 환경을 위한 별도 악취 저감 제어 신호도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악취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는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을 일정한 장소에 매우 많은 가축을 동시에 수용하여 사육하며, 가축 관리의 능률화와 자연의 기상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축사는 대량의 먹이 공급과 시설이 필요하고, 또 가축의 분뇨 역시 대량 배출되기에 악취 발생은 필연적이며, 위생 관리 등에 적절한 환경 조건이나 조성이 필요하면서 대내외 악취 민원 발생이 없도록 지속적인 악취 관리가 필요하다. 즉, 축사의 환경은 대량의 악취 발생 조건이 최적화 되었기 때문에 축사에 적합한 악취의 모니터링 환경을 조성하여 표준 데이터로 비교 평가하여 일정 수준의 악취 농도 이하로 지속적인지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이를 관리할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통상의 축사는 좁은 공간에 많은 두수의 가축이 함께 존재하므로, 날씨, 지리적 위치 환경의 변화에 의해 축사의 배설물이 쉽게 부패하여 곳곳이 악취 발생 원인이 된다.
특히, 가축의 분뇨에 의해 축사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는 축사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켜 가축들의 성장발육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과 함께 주변 주민에게 피해를 주기도 한다. 따라서, 가축들의 질병을 예방하며 악취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사 내외부를 능동적으로 악취 농도를 체크하여 날씨 변화와 축사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환풍기, 물 공급, 문 개방 등을 적절하게 자동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으나, 아직까지는 신뢰할 만한 정확한 센서 측정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종합적인 시스템이 미비하거나 고비용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 활용과 모니터링 그리고 현장 악취 저감에 개별 제어에 따른 높은 비용과, 조작 방법과 이용에 많은 시간과 전문성 요구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어 축사 관리자에게 불편함이나 악취 발생에 대한 정보의 신뢰성에 공유하고 합리적인 축사 관리를 위한 시스템들은 자동화가 안 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날씨, 계절, 이상현상, 바람의 방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악취 저감에 위치와 원인 분석 그리고 악취 저감 해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기술을 이용하여 축사의 내외 악취 발생 주요 지점 및 악취 저감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악취 저감을 위한 스마트 통합 제어 신호와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스마트폰 또는 별도 제어장치 제어에 필요한 자료를 전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입력된 해당 축사별 표준화된 데이터를 저장 또는 메모리하여 외부 악취 센서로부터 통신으로 전송되어 오는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축사 내외 주요 악취 발생 지점의 확인 및 악취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간 상호 비교 평가분석을 통해 신규 제어 신호 발생 및 악취 저감을 위한 제어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사 내외부의 측정 위치 지점의 악취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축사를 자동으로 효율적 악취 저감 관리하기 위한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축사의 관리자에게 축사의 여러 곳의 악취 농도나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원격으로 확인하고 제어 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정보 제공 또는 모니터링과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여러개의 유, 무선 통신기능의 악취 센서가 있는 악취측정 모듈을 여러 지점에 설치하여 바람, 기후, 날씨, 날짜에 따라 악취의 농도 상황을 측정하고 통신으로 원격지 서버에 자동 전송하는 ICT 융합 기술을 적용하여 축사 악취 환경을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에 전송할 신호를 전송 제어하고, 축사 내외 주변의 악취를 자동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축사 악취 환경과 악취 상태를 바탕으로 기존 입력된 메모리부의 데이터와 자동으로 비교, 처리하여 즉시 측정값과 비교 결과 값을 축사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 신호로 악취를 사전에 저감할 수 있도록 환기 팬 가동, 문 개방용 서보 모터 제어신호 전송, 이상 악취 농도 시엔, 경고 램프 및 비상벨 작동, 물 분사 시스템 가동 및 제어, 악취 저감 미생물 자동 공급 즉시 가동 등 축사의 악취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외부 단말기나 제어장치를 통합 관리 가능하므로, 유,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으로 축사의 악취 저감에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당 축사의 고도, 지리, 위치, 구조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축사 내부 또는 외부에 각각 여러개의 독립된 악취를 측정할 수 있는 악취측정 모듈들 이들 여러 곳에 구비되어 축사 주변의 악취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으로 전송하는 또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독립되게 악취를 측정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악취측정센서 모듈, 그리고 모듈과 통신으로 서버나 별도 제어장치들이 본 발명의 악취센서모듈이나 악취 센서로부터 축사 주변의 악취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축사 주변 악취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축사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창문, 물공급 펌프, 악취 저감 미생물 공급장치 등 축사 환경 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곳에 기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생성한 제어신호를 축사 환경 조절 장치에 자동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상기 악취 센서 노드로부터 축사의 악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축사의 주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감시하며, 축사의 악취 상태 모니터링 중 악취의 상태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별하는 제어 시스템,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자동 전송하고, 서버에 자동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 및 통신망을 통해 외부 관리자에게 축사 주변 악취 환경 상태에 따른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기 악취 측정 모듈이나 통신 기능의 악취센서는. 축사의 내부, 외부 서로 다른 여러 장소나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 내외부의 주변 일사량, 온도, 습도, 암모니아량, 황화수소, 질소산화물 등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호 통신으로 연동하는 통합 관리 서버 그리고 관리자의 스마트폰이나 축사 환경 제어 기능의 장치에 제어 신호를 자동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축사 여러 곳의 다양한 실내외 장소에서 악취를 센싱하여 통합적 악취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악취 취약 지점이나 위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집중적으로 고효율로 악취 저감 노력이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축사의 내외 및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축사 주변의 악취 관련 정보들을 실시간 수집하고 저장하여 축사 내외부 악취 환경 상태, 날짜별, 기후별 상태 등의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축사에 최적화된 악취 저감 관리 시스템의 효율적 통합 제어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빅데이터 개념의 광범위한 자료 축척을 이용한 축사 간 악취 저감의 문제점과 현황 분석에 따른 날씨별, 계절별, 기후별 악취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자료를 확보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순 환경 제어가 아닌 축사 내외부 악취의 이동 경로, 모여지는 장소의 상태도 모니터링 하여 자동으로 특정 장소를 알려주거나 알게 되어 해당 지역을 집중 악취 저감 하는 노력으로 고효율 악취 저감 기술을 구현 가능하게 하므로, 효율적 악취 저감 축사 관리가 가능하고, 저장된 기본 데이터를 바탕으로 악취 상황에 따른 통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축사 시간 제어 및 장소 관리가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축사의 지리적, 장소별, 지역별 상태와 인터넷을 통한 기후나 날씨와 연동된 축사 악취 저감 예방 시스템의 구현이나 제어 가능하고, 자동화에 따른 인력난과 악취 민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전문성이 필요없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게도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악취측정 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악취 측정 모듈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율적 저감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축산 또는 축사 시설에서 악취 저감을 목적으로 시공 또는 설치된 시설은, 축사에 공기를 강제 공급 또는 순환시킬 수 있는 환풍기나 송풍시설, 축사에 물을 공급하거나 분무하도록 하여 악취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물 공급 시설이나 물 펌프, 창문이나 환기 시설 등이다. 이러한 시설이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100)이나 제어장치(100)에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버(40)이다.
도 2는 도 1의 악취측정 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악취 센서(23)로 측정한 측정값이나 데이터를 유, 무선 통신으로 서버에 전송을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악취 측정 모듈(10)은, 내부 공간(13)을 갖는 일정 크기의 케이스(11)가 구비되고, 케이스(11) 일부분에는 측정용 공기 흡입구(15) 그리고 또 다른 일부분에는 내부공간(1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5)가 일정길이 파이프 형태(15, 25)로 구성된다. 공기 흡입구(15)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연장되어, 측정 장소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11) 내부의 내부공간(13) 및 다양한 센서(23)가 악취 측정이 가능하게 하고 난후, 내부공간(13)의 공기를 케이스(1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배출구(25)를 통해서 외부 다른 곳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1) 내부공기(13)를 외부로 멀리 배출하는 구성이거나 구조이다.
당연히 공기의 흐름은, 강제 팬(17)에 의해 흡입구(15)를 통해 내부공간(13) 그리고 센서들(23)과 일정시간 접촉되게 하고 난 후에는, 배출구(25)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게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케이스(11) 일부분에는 측정할 공기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팬(17)이 구비되고, 악취센서(23) 그리고 악취 측정 모듈(1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19)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어장치(19)에는 암호화된 번호에 고유 어드레스, 위치지점 정보와 함께 측정한 악취데이터를 통합하여 함께 통신으로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의 악취측정모듈(10)이다.
그리고 악취측정모듈(10)에서 통신전송 방식은 유선통신케이블(22)이나 무선통신 안테나(21)로 서버(40)로 전송하는 구조나 구성이다.
그리고 악취 센서(23)의 종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유기화합물, 온도, 습도 등 측정할 수 다양한 센서(23) 적용 또는 사용된다.
이렇게 자기위치정보와 고유어드레스 그리고 다양한 센서(23)로 수집한 데이터를 일정시간마다 통신으로 서버(40)에 전송한다.
이때, 사용 전원 공급시설이 없는 곳에서는 제어장치(19)에 배터리(미도시)나 태양전지(미도시)로 별도 전원 공급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축사(미도시) 주변 여러 곳에 악취측정 모듈(10)을 여러 개 설치 한다. 즉,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하여 악취를 측정하여 서버(4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시스템은 동시에 축사 여러곳으로부터 동시에 악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40)에서는 악취측정모듈과 개별적으로 통신하고, 축사 또는 복수개 이상 그룹 단위 등 전체적 통합관리 가능하며, 축사 환기나 축사 방역, 악취저감 제어장치(100)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신부(47)을 통하여 인터넷이나 관리자 스마트폰(101)으로도 정보를 전송하게 연결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기능을 포함한다.
이렇게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도록 통신부(47)는 예를 들어, 휴대전화 서비스 통신망, 내부 네트워크, 유선 통신망, 근거리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하여 축사 환경 제어장치(100)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는 구조나 구성이다.
이러한 서버(40)는 메모리부(45) 기능이 있는데, 메모리부(45)에는 축사 고유의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개별 악취 측정 모듈(10)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구분, 구획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제어부(43)와 양방향 통신으로 데이터를 공유한다.
또한, 축사 관리에 필요한 수치정보나 데이터 또는 악취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되, 입력패널(53)로 관리자가 입력하게 하거나 스마트폰(101)이나 인터넷과 통신부(47)로 축사 관리 데이터나 관리 수치 등 입력되게 하여 이를 근거로 기준 정보로 이용한다. 그리고 악취측정모듈(10)이나 서버(40)의 메모리부(45)는 서로 데이터나 정보의 공유함에 있어서, 고유 식별 정보에는 예를 들어, 축사 주인, 주소, 해발 정보, 지리적 정보, 축사 부동산이나 건축도면, 축사의 종류,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품종, 가축의 수, 악취측정 모듈들의 위치 정보, 센서 측정 모듈 이력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전원부(51)는 서버(40) 전체적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정전시에도 일정시간 서버(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예비 배터리가 적용되게 전원부(51)를 구성한다.
도 4는 도 2의 악취 측정 모듈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먼저 제어장치(19)에서 일정시간 팬(17)을 동작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주변의 공기를 일정길이 흡입구(15)로 안내하여 센서(23)에 공급하는, 팬 작동으로 측정공기흡입단계(S101)와, 그리고 케이스(11)의 내부 공기(13)의 흐름이 안정화할 수 있는 일정시간을 대기하는 일정 시간 대기 단계(S103)와, 다음으로 악취측정센서(23)로 악취 측정하는 악취측정 단계(S105)와, 측정된 정보를 유,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악취 측정 정보 전송단계(S107)의 순서로 실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러 곳에 위치한 악취측정 모듈(10)이 동작하여 악취 측정모듈로 악취 정보 수집하는, 악취측정모듈로 악취 정보 수집단계(S111)로 악취를 수집하고,
악취측정모듈(10)들이 악취 측정으로 수집된 정보를 서버(40)에 전송하는, 악취 정보 서버에 전송 단계(S113)와, 서버(40)에서는 통신으로 수집된 데이터나 정보를 내부 메모리부(45)의 데이터로 모듈의 위치 정보와, 입력된 축사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악취 지수, 모듈의 위치별, 악취 변화율 정보를 판단하고 비교, 처리하는 모듈의 위치 정보와, 입력된 축사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악취 지수, 악취측정모듈(10)의 위치별, 악취 변화율 정보를 비교, 처리 단계(S115)와, 다음으로, 악취 제어 신호 생성 및 통신부를 통해, 인터넷, 제어장치에 제어 정보 전송 단계(S117) 순서로 작동할 수 있는 특징인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특정 어드레스의 악취측정모듈(1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수치나 값이 미리 메모리부(45)에 해당 값이 차이가 나거나 관리범위의 오염 수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서버(40)에서 '00축사 **지점에서 악취 오염이 경고 수준에 도달하였습니다. 즉시 조치를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등등 여러 가지 미리 기억된 내용을 특정 스마트폰(101)으로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자동으로 악취를 측정하고, 관리자 스마트폰(101)으로 문자나 이메일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축사 내외 위치별 악취 변화율이나 악취 지수를 서버(40)에서는 자동 생성하여, 생성된 악취 분석 정보나 관리해야 할 수치나 정보를 통신부(47)를 통해서 인터넷이나 제어장치(100)나 고객의 스마트폰(101)으로도 통신으로 정보를 자동 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악취측정모듈
11 : 케이스
13 : 내부공간
15 : 흡입구
17 : 팬
19 : 제어장치
21 : 안테나
23 : 센서(악취, 기온, 습도 등)
25 : 배출구
40 : 서버
43 : 제어부
100 : 제어장치
101 : 스마트폰

Claims (4)

  1.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축사 내외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악취측정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악취측정 모듈에서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악취 센서로 악취 정보를 획득하고 측정된 악취 정보를 원격지 서버로 전송하는 악취측정 모듈과;
    상기 악취측정 모듈로부터 통신으로 악취 정보를 전송받아서 악취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서버 메모리부의 데이터와 비교, 처리하여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서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인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 모듈에 수용된 센서는 온도, 습도, 암모니아량, 황화수소 센세가 사용 또는 적용되며, 일정크기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측정할 장소의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일정길이 흡입구가 형성되고, 팬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센서로 공급하되,
    제어장치에 의해 흡입동작 그리고 일정시간 대기하는 작동구성과 측정한 공기를 배출구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특징의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축사 악취 저감시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인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축사 악취 저감시설을 제어할 수 있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인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04310A 2021-08-09 2021-08-09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22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310A KR20230022487A (ko) 2021-08-09 2021-08-09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310A KR20230022487A (ko) 2021-08-09 2021-08-09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487A true KR20230022487A (ko) 2023-02-16

Family

ID=8532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310A KR20230022487A (ko) 2021-08-09 2021-08-09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24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461B1 (ko) * 2023-04-06 2023-09-27 동문이엔티(주) Tdlas 광학방식의 센서를 적용한 악취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102625155B1 (ko) * 2023-04-06 2024-01-16 동문이엔티(주) 축사 악취 측정 및 차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461B1 (ko) * 2023-04-06 2023-09-27 동문이엔티(주) Tdlas 광학방식의 센서를 적용한 악취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102625155B1 (ko) * 2023-04-06 2024-01-16 동문이엔티(주) 축사 악취 측정 및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797B1 (ko) 복합센서 통합모듈을 이용한 축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22487A (ko) 악취 센서와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축사 악취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49860B1 (ko) 축사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00038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of climate in greenhouses
KR20180060980A (ko) 스마트팜 운용장비의 오류 진단 방법 및 장치
CN104181877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农业管理系统
US105794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rror of operating equipment in smart farm
KR20170084834A (ko)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에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지능형 축사 관리 환경 시스템
US11272681B2 (en) Network of IoT sensors for monitoring harmful gas in animal stables
CN103676886A (zh) 标准化鸡舍环境与养殖信息监控及管理系统
KR20160080889A (ko) 다수의 온실 환경 정보를 이용한 클라우드 온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0442661U (zh) 一种基于Lora的牛舍远程监控系统
CN205193637U (zh) 基于云牧场的智能环境控制系统
KR20180087890A (ko) 축사 환경 최적화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30096597A (ko) 유비쿼터스 지능형 축사 환기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90027284A (ko) 온실 무선경보 감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감시방법
CN104503387A (zh) 粮库管理系统
CN102662376A (zh) 一种畜禽舍环境采集分析控制系统
CN112711223A (zh) 一种智能化生猪养殖集成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70001044A (ko) 고온 스트레스 지수를 이용한 축사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CN114384884A (zh) 一种智能监控系统
CN210895155U (zh) 一种养殖环境综合控制系统
KR102381222B1 (ko) LoRA 통신을 이용한 축사 제어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Ezem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mbedded Poultry Farm
CN209824500U (zh) 一种粮仓智能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