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423A -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423A
KR20230022423A KR1020230016846A KR20230016846A KR20230022423A KR 20230022423 A KR20230022423 A KR 20230022423A KR 1020230016846 A KR1020230016846 A KR 1020230016846A KR 20230016846 A KR20230016846 A KR 20230016846A KR 20230022423 A KR20230022423 A KR 2023002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user
recognition module
mobile communication
portabl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165B1 (ko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102023001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50Maintenance of biometric data or enrolment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인증하여 인증된 사용자만 무인상점에 출입하거나 결제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식 모듈;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app.)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말기 인식 모듈;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PATMENT}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점, 자판기, 키오스크 등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주문, 결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상점 직원의 도움 없이 물건의 구매부터 결제까지 직접 진행하는 무인상점이 국내외에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는 최저임금의 인상으로 직원의 고용에 어려움이 있는 상점주가 결제 시스템의 발전으로 사람이 없어도 물건 판매가 가능한 무인상점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물건을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거나 음식, 음료 등을 섭취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나아가 상점 물건이 도난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인상점의 운영에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무인상점에 출입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858530호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개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 저장된 개인 정보와 상기 획득한 개인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인 점포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해킹될 가능성도 있으며, 무인상점의 인증 장치와 서버와 통신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803397호 한국등록특허 제1858530호 한국등록특허 제1970003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무인상점에 출입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인증하여 인증된 사용자만 무인상점에 출입할 수 있는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상점에 출입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무인상점에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식 모듈;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app.)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말기 인식 모듈;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의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무인상점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door)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상기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 중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생체정보 선택부; 및 상기 생체정보 선택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스캐너를 동작시키는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상기 스캐너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는 상기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지문 스캐너, 지정맥 스캐너, 홍채 스캐너, 얼굴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의 생체정보 선택부에서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제1 생체정보 매칭부; 및 상기 제1 생체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는 제1 생체정보 추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제2 생체정보 추출부; 상기 제2 생체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생체정보 중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의 생체정보 선택부에서 선택된 생체정보를 매칭하는 제2 생체정보 매칭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출된 생체정보 중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매칭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생체정보와 별도로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물건 구매 결제에 사용되는 결제정보를 추출하는 결제정보 추출부; 및 상기 결제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결제정보를 무인상점의 결제 시스템에 전달하는 결제정보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상점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은,
a) 사용자 인식 모듈이 무인상점에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단말기 인식 모듈이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사용자 인증 모듈이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인증 모듈에 의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무인상점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들 중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스캐너를 동작시켜 상기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한 생체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이 상기 생체정보와 별도로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물건 구매 결제에 사용되는 결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결제정보를 무인상점의 결제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인증된 사용자만이 무인상점에 출입함으로써, 무인상점에서의 물품 파손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인증 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별도의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사용자와 직접 매칭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없다.
셋째,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생체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저장 수단에 생체정보를 저장할 필요 없이 무인상점을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사용자의 출입 인증 단계에서 사용자의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정보도 추출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무인상점에서 상품 구매 시 결제절차가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인식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단말기 인식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10)은 사용자 인식 모듈(100), 단말기 인식 모듈(200), 사용자 인증 모듈(300), 도어(door) 제어 모듈(400)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식 모듈(100)은 무인상점에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말하는 것으로,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 모듈(100)은 무인상점의 출입문 근처에 설치되어, 무인상점에 출입하려는 사용자의 얼굴을 스캐너를 통하여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 즉 앱(app.)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소위 '스마트폰'이라고도 함)는 결제 기능이 포함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결제 수단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저장되어 단말기 인식 모듈(200)로 생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2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앱은 사용자가 무인상점의 출입을 위한 인증 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활성화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인식 모듈(200)에 접근시키면, 단말기 인식 모듈(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을 활성화시켜 생체정보 인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증 모듈(300)은 사용자 인식 모듈(100)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단말기 인식 모듈(200)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모듈(300)은 사용자 인식 모듈(200)에서 실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한 결과와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교 결과, 두 개의 생체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모듈(300)은 도어 제어 모듈(400)에 출입문 개방을 지시한다.
사용자 인증 모듈(300)이 두 개의 생체정보를 비교한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무인상점의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 모듈(300)은 전달받은 생체정보에 오류가 있거나 이상이 있으면, 사용자 인식 모듈(100), 단말기 인식 모듈(200)에 생체정보 획득 및 추출을 다시 하도록 할 수 있다.
도어 제어 모듈(400)은 사용자 인증 모듈(300)의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무인상점의 출입문을 개폐한다. 즉, 도어 제어 모듈(400)은 사용자 인증 모듈(300)에서 비교한 사용자의 실제 생체정보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된 생체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무인상점의 출입문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서버에 저장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직접 추출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개인의 정보가 제3의 영역에 저장되어 유출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인식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단말기 인식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식 모듈(100)은 생체정보 선택부(110),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120), 스캐너(130)를 포함한다.
생체정보 선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 중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정보 선택부(110)는 사용자에게 선택의 옵션을 제공해주고, 사용자 본인이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선택부(110)는 지문 인식 모드, 지정맥 인식 모드, 홍채 인식 모드, 얼굴 인식 모드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생체정보 선택부(110)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제공하여 버튼 또는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음성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음성 회신 등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인식하는 생체정보에 관한 정보를 안내해 주고, 사용자가 인식되기를 원하는 생체정보 스캐너를 직접 동작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생체정보 선택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120)와 단말기 인식 모듈(200)의 제1 생체정보 매칭부(210),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에 전달한다.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120)는 생체정보 선택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 즉 사용자가 인식되기를 원하는 생체정보를 인식하도록 스캐너(130)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캐너(130)는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지문 스캐너, 지정맥 스캐너, 홍채 스캐너, 얼굴 스캐너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생체정보 선택부(110)를 통하여 홍채 인식을 선택하면,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120)는 홍채 스캐너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식 모듈(100)은 스캐너(130)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사용자 인증 모듈(300)로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제1 생체정보 매칭부(210),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를 포함한다.
제1 생체정보 매칭부(210)는 사용자 인식 모듈(100)의 생체정보 선택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 즉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것으로 선택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1 생체정보 매칭부(210)는 위 생체정보를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로 전달한다.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는 제1 생체정보 매칭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사용자가 제공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가 홍체인 경우,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는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 중 홍채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는 코드화 되어 있으며, 해당 코드의 헤더 또는 특정 생체정보마다 별도의 ID를 부여하여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가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생체정보 별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저장되어 있어,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가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쉽게 추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가 얼굴인 경우에는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인식하여 얼굴에 대한 생체정보를 추출하거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특징에 대하여 코드화(디지털화)된 생체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에 추출한 생체정보를 사용자 인증 모듈(3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를 포함한다.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는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모두 추출한다. 여기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상기 열거한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는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에서 추출한 생체정보 중 사용자 인식 모듈(100)의 생체정보 선택부(110)에서 선택된 생체정보를 매칭한다. 즉,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가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출한 생체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인식되기를 원하는 생체정보를 매칭하여 이를 사용자 인증 모듈(3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가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홍채, 얼굴, 지문, 지정맥 정보를 추출하여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에 전달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식 모듈(100)에서 홍채를 인식하는 것으로 선택하고 홍채를 인식했다면,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는 홍채에 대한 생체정보를 사용자 인증 모듈(300)에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인증 모듈(300)은 단말기 인식 모듈(200)의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 또는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와 사용자 인식 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결제정보 추출부(230)와 결제정보 전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정보 추출부(230)는 생체정보와 별도로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물건 구매 결제에 사용되는 결제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결제정보가 저장된 앱은 상기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동일한 앱일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앱과 연동하거나, 결제정보만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정보 추출부(230)는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 중 상기 생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앱, 또는 결제정보만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앱을 통해 결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생체정보 추출부(210) 또는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가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서 생체정보를 추출할 때 결제정보도 같이 추출하거나, 앱에서 서로 구분되지 않는 생체정보와 결제정보를 모두 같이 추출한 다음에 생체정보는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하고, 결제정보는 결제정보 추출부(2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결제정보 전달부(240)는 결제정보 추출부(230)로부터 추출된 결제정보를 무인상점의 결제 시스템에 전달한다.
이에 무인상점에서 별도의 결제 단계 없이 사용자가 인증 시 제공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품을 가판대에서 가져가거나, 무인상점에서 그냥 나오더라도 결제되도록 하여, 무인상점에서 제품이 도난되거나 무인상점 내에서 결제 없이 제품을 손상하거나 제품의 사용 또는 음식물의 섭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a) 사용자 인식 모듈(100)이 무인상점에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단말기 인식 모듈(200)이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사용자 인증 모듈(300)이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증 모듈(300)에 의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무인상점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사용자 인식 모듈(100)의 생체정보 선택부(110)가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들 중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
그리고,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120)는 생체정보 선택부(110)에서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아, 선택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스캐너(130)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b) 단계에서는, 단말기 인식 모듈(200)의 제1 생체정보 매칭부(210)는 사용자 인식 모듈(100)의 생체정보 선택부(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다.
단말기 인식 모듈(200)의 제1 생체정보 추출부(220)가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은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인위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인식 모듈(200)에 접근시키면, 단말기 인식 모듈(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사용자 인식 모듈(100)이 획득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앱으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인증 모듈(300)로 전달한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b) 단계에서, 단말기 인식 모듈(200)의 제2 생체정보 추출부(250)는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전용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말기 인식 모듈(200)의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는 사용자 인식 모듈(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다. 제2 생체정보 매칭부(260)는 상기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한 생체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매칭된 생체정보를 사용자 인증 모듈(300)에 전달한다.
한편, 단말기 인식 모듈(200)은 결제정보 추출부(230)를 통하여 상기 생체정보와 별도로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물건 구매 결제에 사용되는 결제정보를 추출하고, 결제정보 전달부(240)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결제정보를 무인상점의 결제 시스템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인증된 사용자만이 무인상점에 출입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제시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사용자에게 직접 인식(스캔)하는 생체정보와 직접 매칭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시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결제 정보도 함께 추출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무인상점에서 상품 구매 시 별도의 결제 절차를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무인상점의 출입문 외측에 키오스크(kiosk) 구조로 구현되거나,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100 : 사용자 인식 모듈 110 : 생체정보 선택부
120 :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 130 : 스캐너
200 : 단말기 인식 모듈 210 : 제1 생체정보 매칭부
220 : 제1 생체정보 추출부 230 : 결제정보 추출부
240 : 결제정보 전달부 250 : 제2 생체정보 추출부
260 : 제2 생체정보 매칭부 300 : 사용자 인증 모듈
400 : 도어(door) 제어 모듈

Claims (6)

  1.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식 모듈;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app)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말기 인식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상기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생체정보 선택부; 및
    상기 생체정보 선택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스캐너를 동작시키는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상기 스캐너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의 생체정보 선택부에서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제1 생체정보 매칭부; 및
    상기 제1 생체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는 제1 생체정보 추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2.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식 모듈;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app)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말기 인식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상기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생체정보 선택부; 및
    상기 생체정보 선택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스캐너를 동작시키는 생체정보 인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상기 스캐너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제2 생체정보 추출부;
    상기 제2 생체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생체정보 중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의 체정보 선택부에서 선택된 생체정보 매칭하는 제2 생체정보 매칭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출된 생체정보 중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매칭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생체정보와 별도로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물건 구매 결제에 사용되는 결제정보를 추출하는 결제정보 추출부; 및
    상기 결제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결제정보를 결제 시스템에 전달하는 결제정보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4.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인식 모듈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단말기 인식 모듈이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인증 모듈이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들 중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스캐너를 동작시켜 상기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 방법.
  5.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인식 모듈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단말기 인식 모듈이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인증 모듈이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획득한 생체정보와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에서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은
    지문, 지정맥, 홍채, 얼굴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들 중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스캐너를 동작시켜 상기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의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식 모듈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추출한 생체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식 모듈은
    상기 생체정보와 별도로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으로부터 물건 구매 결제에 사용되는 결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결제정보를 결제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 방법.
KR1020230016846A 2020-02-11 2023-02-08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62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846A KR102627165B1 (ko) 2020-02-11 2023-02-08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66A KR102499808B1 (ko) 2020-02-11 2020-02-11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0016846A KR102627165B1 (ko) 2020-02-11 2023-02-08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66A Division KR102499808B1 (ko) 2020-02-11 2020-02-11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423A true KR20230022423A (ko) 2023-02-15
KR102627165B1 KR102627165B1 (ko) 2024-01-22

Family

ID=774926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66A KR102499808B1 (ko) 2020-02-11 2020-02-11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0016846A KR102627165B1 (ko) 2020-02-11 2023-02-08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66A KR102499808B1 (ko) 2020-02-11 2020-02-11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980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553A (ja) * 2008-01-12 2009-07-30 Japan Port & Harbour Association 出入管理システムの認証手段
KR101803397B1 (ko) 2017-05-08 2017-12-01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얼굴과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858530B1 (ko)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20180128627A (ko) * 2017-05-24 2018-12-04 창신정보통신(주) 생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속한 출입 인증이 가능한 출입 제어 방법, 출입 제어 기기 및 출입 제어 시스템
KR101970003B1 (ko) 2018-04-30 2019-08-13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20190135833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완판고 고정식 생체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36178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씨브이티 생체 인식 기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3970B2 (en) * 2001-04-17 2009-11-24 Panasonic Corporation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2467468B1 (ko) * 2016-08-05 2022-11-15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태그 인증과 결합된 생체 인식을 사용한 자동화된 물리적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41338A (ko)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영양제 판매용 밴딩머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553A (ja) * 2008-01-12 2009-07-30 Japan Port & Harbour Association 出入管理システムの認証手段
KR101803397B1 (ko) 2017-05-08 2017-12-01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얼굴과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80128627A (ko) * 2017-05-24 2018-12-04 창신정보통신(주) 생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속한 출입 인증이 가능한 출입 제어 방법, 출입 제어 기기 및 출입 제어 시스템
KR101858530B1 (ko)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101970003B1 (ko) 2018-04-30 2019-08-13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20190135833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완판고 고정식 생체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36178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씨브이티 생체 인식 기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808B1 (ko) 2023-02-14
KR102627165B1 (ko) 2024-01-22
KR20210101875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6895B2 (en) Single action mobile transaction device
WO2018040770A1 (zh) 一种基于指纹识别和nfc的移动终端开锁方法及系统
US20170264608A1 (en) Visual biometric authentication supplemented with a time-based secondary authentication factor
KR20120053897A (ko) 차량내 운전자 얼굴 인증을 통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225669A1 (en) Financial transaction relay system having multi-safety lock function of processing user authentication by scanning both finger pulse and fingerpri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e
US11188893B2 (en) Access control bypass on mobile for mass transit
US11170372B2 (en) Method for valida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and system thereof
US20140143860A1 (en) Two tier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22154B1 (ko)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20150106864A (ko) 지정맥과 지문을 동시에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갖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617855B1 (ko) 지정맥 인증을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20150227938A1 (en) Transaction authorisations method and system
KR101717754B1 (ko) 지정맥 인증을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KR101916250B1 (ko)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CN104301295A (zh) 一种近距离无线通讯交易认证方法和系统
KR102499808B1 (ko)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1989A (ko) 생체정보와 터치 패턴을 조합한 복합 인증 장치 및 방법
WO2016200084A1 (ko) Otp 기능을 이용한 홍채인식 usb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867002A (zh) 一种开门方式设置方法、智能锁及存储介质
CN106156573A (zh) 一种控制智能终端的方法及控制智能终端的装置
KR20170052903A (ko) 원격 대면 인증과 비대면 인증의 융합 인증 방법
CN108960840A (zh) 一种基于面部、声音同步识别的安全支付系统及其方法
KR20210075833A (ko) 무인상점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7463815A (zh) 鉴权方法及装置
KR101226645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