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05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056A
KR20230022056A KR1020210104199A KR20210104199A KR20230022056A KR 20230022056 A KR20230022056 A KR 20230022056A KR 1020210104199 A KR1020210104199 A KR 1020210104199A KR 20210104199 A KR20210104199 A KR 20210104199A KR 20230022056 A KR20230022056 A KR 20230022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regions
closed caption
candidate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현
김상희
최연호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056A/ko
Priority to PCT/KR2022/011354 priority patent/WO2023014030A1/ko
Publication of KR2023002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2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 H04N21/46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using neural networks, e.g. processing the feedback provid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영상 및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을 수신하고,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인접한 영역들 끼리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관심 영역들 및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고,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상기 폐쇄 자막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과 함께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CC: Closed Caption)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출연자의 말을 자막화한 폐쇄 자막을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방송 화면과 폐쇄 자막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자막은 청각 장애인이 수어없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해주며, 일반 시청자도 폐쇄 자막을 참고하여, 방송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을 수신할 때, 폐쇄 자막에 대한 속성 정보(예를 들어,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 크기, 글자, 색상, 배경 색상, 폰트 등)를 수신하고, 수신한 속성 정보에 따라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는 고정되지 않으며, 방송사에서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송신하게 된다. 다만,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가 실시간으로 변경되지 않는 경우, 방송 화면에 포함된 정보들이 폐쇄 자막과 중첩되어, 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가 폐쇄 자막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 정보 전달 및 가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를 가리지 않도록 폐쇄 자막을 표시함으로써, 중요 정보에 대한 정보 전달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을 수신하고,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인접한 영역들 끼리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상기 폐쇄 자막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지 않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에서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관심 영역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객체들은, 텍스트, 사람, 동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중 제1 관심 영역과 제2 관심 영역의 수직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관심 영역과 상기 제2 관심 영역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중 제1 관심 영역과 제3 관심 영역의 수평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관심 영역과 상기 제3 관심 영역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에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에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의 연속성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과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제1 후보 영역, 제2 후보 영역 및 제3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보 영역과 상기 제2 후보 영역은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3 후보 영역은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후보 영역과 상기 제2 후보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과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제1 후보 영역, 제2 후보 영역 및 제3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후보 영역이 상기 영상에서,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후보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가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에서 상기 폐쇄 자막이 표시되던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가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각각에서,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 상기 중첩되는 부분의 위치, 및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폐쇄 자막의 컬러 및 상기 폐쇄 자막의 배경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을 수신하는 단계,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중요 정보 영역들을 인접한 영역들 끼리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상기 폐쇄 자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를 검출하고, 중요 정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폐쇄 자막을 표시할 수 있어, 중요 정보에 대한 정보 전달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청각 장애인 및 일반 시청자의 방송 이해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폐쇄 자막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또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합 영역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폐쇄 자막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폐쇄 자막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시스템,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개발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영상(image)' 또는 '픽처'는 정지영상, 복수의 연속된 정지영상(또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영상, 또는 비디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10) 및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20)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형 전자 장치 또는 휴대 가능한 형태를 갖는 이동형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특히, 실시예들은 TV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영상(10)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영상(10)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20)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한 폐쇄 자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자막에 대한 정보는 폐쇄 자막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폐쇄 자막의 속성 정보는 폐쇄 자막의 크기, 표시 위치, 글자 색상, 배경 색상, 폰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의 속성 정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에 따라,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에 대한 별도의 조정없이, 디코딩된 속성 정보에 따라 제1 영역(30)에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 폐쇄 자막에 의해 영상의 중요 정보가 가려지게 된다. 예를 들어, 영상에 포함되는 하단의 텍스트 영역(예를 들어, 오픈 자막)의 일부(40)가 표시된 폐쇄 자막에 의해 가려지며, 가려진 텍스트에 의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디코딩된 속성 정보에 따라 폐쇄 자막의 배경을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표시한다 하더라도 폐쇄 자막과 중첩되는 텍스트 영역(40)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10)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요 정보들이 폐쇄 자막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치가 조정된 제2 영역(50)에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폐쇄 자막은 영상(10)에 포함되는 하단의 텍스트 영역을 가리지 않게 되며, 시청자에게 텍스트에 의한 정보 전달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들을 가리지 않고, 폐쇄 자막을 출력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및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을 수신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과 함께, 영상과 관련된 음성 내용을 문자로 보여주는 폐쇄 자막을 수신할 수 있으며, 폐쇄 자막에 대한 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폐쇄 자막에 대한 정보는 폐쇄 자막에 대한 속성 정보(예를 들어,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 크기, 글자, 색상, 배경 색상, 폰트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에 대한 속성 정보에 따라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폐쇄 자막은 오픈 자막(Open caption)과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자(시청자)가 자막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폐쇄 자막의 온/오프 기능을 이용하여, 폐쇄 자막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 표시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상태이면, 영상과 함께 수신한 폐쇄 자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 폐쇄 자막 표시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상태이면, 폐쇄 자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온 또는 오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폐쇄 자막의 위치를 자동 조절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 수신한 폐쇄 자막의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에 따라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폐쇄 자막의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는, 폐쇄 자막을 전송한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에서 설정한 위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 설정된 위치에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기 설정된 위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반면에,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 영역을 최대한 가리지 않는 위치에 폐쇄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할 수 있다(S220).
이때, 관심 영역은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텍스트, 인물(사람), 사물 등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 검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의 크기,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객체 검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들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 포함된 오픈 자막 글자, 로고 글자, 상품명 정보, 출연자 등을 중요 정보로 검출하고, 검출된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영역들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된 관심 영역들을 그룹화하여, 통합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S23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220 (S220)에서 검출된 관심 영역들을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영역들 끼리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관심 영역들의 수평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관심 영역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관심 영역들의 수직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인하인 경우, 관심 영역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240).
이때,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 설정된 영역들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의 일부가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에도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만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거나, 2개 이상의 영역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개수보다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의 개수가 더 많은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속적으로 위치한 영역들 또는 영상의 하단에 위치한 영역에 우선 순위를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에 중첩되는 경우,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폐쇄 자막이 표시되던 영역에 폐쇄 자막이 계속해서 표시되도록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 중첩되는 부분의 위치, 및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출력을 위한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20 단계(S220), 230 단계(S230), 및 240 단계(S240)의 동작을 기 설정된 주기로 수행하거나, 영상 프레임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폐쇄 자막을 표시할 수 있다(S25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종 출력 영역에 폐쇄 자막이 표시되도록 폐쇄 자막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된 폐쇄 자막은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를 가지지 않게 된다.
반면에, 폐쇄 자막을 출력할 최종 출력 영역이 검출된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의 글자 색상, 폐쇄 자막 배경의 투명도 등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또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또는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모듈)(300)는 관심 영역 검출부(310), 통합 영역 생성부(320), 및 폐쇄 자막 출력 영역 결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310)는 영상(1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동작될 수 있는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영역은 영상(10)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텍스트, 인물(사람), 사물 등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310)는 객체 검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의 종류, 크기,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310)는 검출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합 영역 생성부(320)는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인접한 영역들끼리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폐쇄 자막 출력 영역 결정부(33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검출된 관심 영역들 및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출력 영역(350)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는 영상(10)을 입력 받아, 입력된 영상(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뉴럴 네트워크일 수 있다.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는 하나 이상의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1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하나 이상의 객체들에 대응하는 객체 종류(class) 및 객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은 주어진 영상에서 객체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결정하고(object localization), 각 객체가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결정(object classification)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객체 검출 네트워크는 세가지 단계, 즉, 객체 후보 영역을 선택하고, 각 후보 영역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며, 추출한 특징에 분류기를 적용하여, 객체 후보 영역의 종류를 분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방법에 따라 이후 바운딩 박스 리그레션과 같은 후 처리를 통해, localization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는 연산을 수행하는 내부의 레이어가 복수인 딥 뉴럴 네트워크(DNN: Deep Neural Network)일 수 있으며, 내부의 레이어가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는 컨볼루션 레이어로 이루어진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는 영역 제안 모듈(421), CNN(422), 분류기 모듈(423)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제안 모듈(421)은 입력 영상(10)에서 후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후보 영역은 기 설정된 개수로 제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NN(422)은 영역 제안 모듈(421)에서 생성한 영역에서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분류기 모듈(423)은 CNN(422)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분류(class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가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정확하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따라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training)시켜야 한다. 여기서, '학습(training)'은 뉴럴 네트워크로 다양한 데이터들을 입력시키고,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방법,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들에서 결과 데이터 생성에 필요한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 등을 뉴럴 네트워크가 스스로 발견 또는 터득할 수 있도록 뉴럴 네트워크를 훈련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 과정을 통하여, 뉴럴 네트워크는 학습 데이터(예를 들어, 서로 다른 복수의 이미지들)를 학습(training)하여 뉴럴 네트워크 내부의 가중치 값들을 최적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적화된 가중치 값을 가지는 뉴럴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learning)함으로써, 목적하는 결과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학습(training)을 통하여,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가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에 입력된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도록,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 내부의 가중치 값들이 최적화될 수 있다. 이때,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는 영상에서, 텍스트, 인물, 사물 등의 중요 정보를 검출하도록 학습(train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화면 내에 포함된 오픈 자막 글자, 로고 글자, 상품명 정보, 출연자 등을 중요 정보로 검출하도록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가 학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학습(training)이 완료된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는 영상을 입력 받고,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며, 검출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는, 영상 내에 포함된 오픈 자막 글자, 로고 글자, 상품명, 출연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영역들을 검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에서 출력되는 영상(430)은 입력된 영상(10)에서 검출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에 대한 정보는 검출된 객체의 종류(class)에 대한 정보와 검출된 객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바운딩 박스(4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식으로 입력된 영상(10)에서 검출된 객체들이 출력 영상(43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 검출 네트워크(420)에서 검출된 객체 영역들을 관심 영역들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합 영역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 포함되는 관심 영역들을 수평 방향(가로 방향, x축 방향)으로 인접한 영역들 끼리 통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관심 영역들의 수평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관심 영역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심 영역(511)과 제2 관심 영역(512) 사이의 수평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제1 관심 영역(511)과 제2 관심 영역(512)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제1 통합 영역(521)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영역들 사이의 수평 거리는, 관심 영역들 사이의 최단 수평 거리, 관심 영역들 각각의 중심 사이의 거리, 관심 영역들 각각에서의 기준점 사이의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수평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관심 영역(513)과 제4 관심 영역(514)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제4 관심 영역(514)과 제5 관심 영역(515) 사이의 수평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제3 내지 제5 관심 영역(513, 514, 515)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제2 통합 영역(522)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 포함되는 관심 영역들을 수직 방향(세로 방향, y축 방향)으로 인접한 영역들끼리 통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관심 영역들 또는 통합 영역들의 수직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관심 영역들 또는 통합 영역들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관심 영역(516) 및 제7 관심 영역(517) 사이의 수직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제6 관심 영역(516)과 제7 관심 영역(517)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제3 통합 영역(523)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영역들 사이의 수직 거리는, 관심 영역들 사이의 최단 수직 거리, 관심 영역들 각각의 중심 사이의 거리, 관심 영역들 각각에서의 기준점 사이의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수평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8 관심 영역(518)과 제2 통합 영역(522) 사이의 수직 거리 및 제2 통합 영역(522)과 제9 관심 영역(519) 사이의 수직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제8 관심 영역(518), 제2 통합 영역(522) 및 제9 관심 영역(519)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제4 통합 영역(524)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관심 영역들 또는 통합 영역들 사이의 수평 거리 또는 수직 거리를 기준으로 인접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으로 관심 영역들 또는 통합 영역들 사이의 인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최종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 설정된 영역들일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영역들일 수도 있다. 또는, 수신한 폐쇄 자막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폐쇄 자막의 기본 출력 위치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제1 내지 제7 영역들(611, 612, 613, 614, 615, 616, 6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제1 내지 제7 영역들(611, 612, 613, 614, 615, 616, 617)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영역들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서로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각각이 검출된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폐쇄 자막 후보 영역의 일부가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에도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7 영역들(611, 612, 613, 614, 615, 616, 617) 각각이 영상에서 검출된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 영역(612)은 제1 관심 영역(631)및 제1 통합 영역(632)과 중첩되며, 제6 및 제7 영역들(616, 617)은 제2 통합 영역(633) 및 제3 통합 영역(634)과 중첩된다.
반면에, 제1 영역(611), 제3 내지 제5 영역들(613, 614, 615)은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제1 영역(611), 제3 내지 제5 영역들(613, 614, 615)) 중 폐쇄 자막 출력을 위한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만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거나, 2개 이상의 영역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개수보다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의 개수가 더 많은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속적으로 위치한 영역들 또는 영상의 하단에 위치한 영역에 우선 순위를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역만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611), 제3 내지 제5 영역들(613, 614, 615)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제5 영역(615)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2개의 영역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611), 제3 내지 제5 영역들(613, 614, 615) 중 연속적으로 위치한 영역들인 제3 내지 제5 영역들(613, 614, 615)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제3 내지 제5 영역들(613, 614, 615) 중 하단에 위치하는 제4 영역(614) 및 제5 영역(615)을 최종 출력 영역(62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기준과 방법에 의해,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영역들이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폐쇄 자막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최종 출력 영역이 결정되면, 폐쇄 자막을 최종 출력 영역에 표시되도록 폐쇄 자막의 출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자막은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폐쇄 자막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기본 출력 위치에 따라 제1 영역(710)에 폐쇄 자막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자막이 기본 출력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 영상에 포함되는 오픈 자막 등의 중요 정보를 가리게 된다.
반면에,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온 상태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방법에 따라, 폐쇄 자막의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종 출력 영역에 폐쇄 자막이 표시되도록 폐쇄 자막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위치를 조정하여, 제2 영역(720)에 폐쇄 자막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영역(720)에 표시된 폐쇄 자막은 영상에 포함되는 오픈 자막 등의 중요 정보를 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폐쇄 자막은 결정된 최종 출력 영역에서 롤업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롤업 방식은 자막을 한 줄씩 위로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방식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관심 영역들 중 인접한 영역들을 통합하여, 통합 영역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8 객체 영역들(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은 검출된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8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후보 영역들(811, 812, 813, 814, 81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5 후보 영역들(811, 812, 813, 814, 815) 각각이 검출된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후보 영역들(811, 812, 813, 814, 815) 모두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폐쇄 자막이 표시되던 영역에 폐쇄 자막이 계속해서 표시되도록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 중첩되는 부분의 위치, 및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출력을 위한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가 가장 작은 제3 후보 영역(813)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개의 영역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고자 하는 경우,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가 가장 작은 제3 후보 영역(813)과, 제3 후보 영역 다음으로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가 작은 제1 후보 영역(811) 및 제2 후보 영역(812) 중 제1 후보 영역(811)보다 영상의 하단에 위치한 제2 후보 영역(812)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내지 제3 후보 영역들(811, 812, 813)은 배경 화면에 포함되는 객체를 포함하는 제1 객체 영역(821)과 중첩되고, 제4 후보 영역(814) 및 제5 후보 영역(815)은 영상의 오픈 자막을 포함하는 제2 객체 영역(822)과 중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후보 영역(814) 및 제5 후보 영역(815)의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가 제1 내지 제3 후보 영역(811, 812, 813)의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보다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후보 영역들(811, 812, 813)을 최종 출력 영역(8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폐쇄 자막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폐쇄 자막을 출력할 최종 출력 영역(910)이 검출된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의 글자 색상, 폐쇄 자막 배경의 투명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의 배경(920)을 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폐쇄 자막이 표시되는 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폐쇄 자막의 글자 색상, 글자 크기 등도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 장치 또는 서버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와이- 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LAN 모듈, 이더넷(Ethernet)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 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 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PC por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영상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수신부(110)는 폐쇄 자막 및 폐쇄 자막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 크기, 글자, 색상, 배경 색상, 폰트 등)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구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CPU(Ce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 Processing Unit) 및 VPU(Video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CPU, GPU 및 VPU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경우, 메모리(130)는 도 3에 도시된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도 3의 관심 영역 검출부(310), 통합 영역 생성부(320), 및 폐쇄 자막 출력 영역 결정부(3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 모듈의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3의 관심 영역 검출부(310), 통합 영역 생성부(320), 및 폐쇄 자막 출력 영역 결정부(3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 수신한 폐쇄 자막의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에 따라 폐쇄 자막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폐쇄 자막의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는, 폐쇄 자막을 전송한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에서 설정한 위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면에,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 영역을 최대한 가리지 않는 위치에 폐쇄 자막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폐쇄 자막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영역은 영상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텍스트, 인물(사람), 사물 등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객체 검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의 크기,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객체 검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들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영상에 포함된 오픈 자막 글자, 로고 글자, 상품명 정보, 출연자 등을 중요 정보로 검출하고, 검출된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영역들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검출된 관심 영역들을 그룹화하여, 통합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검출된 관심 영역들을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영역들 끼리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관심 영역들의 수평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관심 영역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관심 영역들의 수직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인하인 경우, 관심 영역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기 설정된 영역들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의 일부가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에도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만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거나, 2개 이상의 영역을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최종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개수보다 검출된 관심 영역 및 통합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의 개수가 더 많은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연속적으로 위치한 영역들 또는 영상의 하단에 위치한 영역에 우선 순위를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에 중첩되는 경우,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폐쇄 자막이 표시되던 영역에 폐쇄 자막이 계속해서 표시되도록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 중첩되는 부분의 위치, 및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폐쇄 자막 출력을 위한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프로세서(12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3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영상을 표시하고, 프로세서(120)에 의해 결정된 최종 출력 영역에 폐쇄 자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출력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 또는 통합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40)는 폐쇄 자막의 글자 색상, 폐쇄 자막 배경의 투명도 등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튜너부(1140), 프로세서(1110), 디스플레이부(1120), 통신부(1150), 감지부(1130), 입/출력부(1170), 비디오 처리부(1180), 오디오 처리부(1185), 오디오 출력부(1160), 메모리(1190), 전원부(11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튜너부(1140), 통신부(1150), 및 입/출력부(1170)는 도 10의 영상 수신부(110)에 대응하는 구성이고, 도 11의 프로세서(1110)는, 도 10의 프로세서(120)에 도 11의 메모리(1190)는 도 10의 메모리(130)에, 도 11의 디스플레이부(1120)는 도 10의 디스플레이(140)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1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1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8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감지부(11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1131), 카메라부(1132) 및 광 수신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1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1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1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광 수신부(113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20)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133)는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영상 처리 장치(1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처리 장치(1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1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8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18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18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60)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160)는 통신부(1150) 또는 입/출력부(1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160)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60)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95)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195)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메모리(1190)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11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1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자 장치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제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제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3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제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제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7)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을 수신하고,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인접한 영역들 끼리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상기 폐쇄 자막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지 않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에서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관심 영역들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은,
    텍스트, 사람, 동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중 제1 관심 영역과 제2 관심 영역의 수직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관심 영역과 상기 제2 관심 영역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중 제1 관심 영역과 제3 관심 영역의 수평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관심 영역과 상기 제3 관심 영역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에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에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의 연속성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과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제1 후보 영역, 제2 후보 영역 및 제3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보 영역과 상기 제2 후보 영역은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3 후보 영역은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후보 영역과 상기 제2 후보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과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제1 후보 영역, 제2 후보 영역 및 제3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후보 영역이 상기 영상에서,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후보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가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에서 상기 폐쇄 자막이 표시되던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가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각각에서,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 상기 중첩되는 부분의 위치, 및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폐쇄 자막의 컬러 및 상기 폐쇄 자막의 배경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폐쇄 자막을 수신하는 단계;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중요 정보 영역들을 인접한 영역들 끼리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이,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상기 폐쇄 자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지 않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에서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은,
    텍스트, 사람, 동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들 중 제1 관심 영역과 제2 관심 영역의 수직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관심 영역과 상기 제2 관심 영역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합 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들 중 제1 관심 영역과 제3 관심 영역의 수평 방향으로의 인접 거리가 제2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관심 영역과 상기 제3 관심 영역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폐쇄 자막의 표시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에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에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의 연속성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과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제1 후보 영역, 제2 후보 영역 및 제3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보 영역과 상기 제2 후보 영역은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3 후보 영역은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후보 영역과 상기 제2 후보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과 중첩되지 않는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은, 제1 후보 영역, 제2 후보 영역 및 제3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후보 영역이 상기 영상에서, 상기 제1 후보 영역 및 상기 제2 후보 영역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후보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가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에서 상기 폐쇄 자막이 표시되던 영역을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모두가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각각에서, 상기 관심 영역들 및 상기 통합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 상기 중첩되는 부분의 위치, 및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자막 후보 영역들 중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상기 폐쇄 자막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폐쇄 자막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폐쇄 자막의 컬러 및 상기 폐쇄 자막의 배경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7. 제14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04199A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22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99A KR20230022056A (ko)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2/011354 WO2023014030A1 (ko) 2021-08-06 2022-08-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99A KR20230022056A (ko)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56A true KR20230022056A (ko) 2023-02-14

Family

ID=8515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99A KR20230022056A (ko)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2056A (ko)
WO (1) WO20230140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364A (ko) * 2009-09-22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방송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78493B1 (ko) * 2011-12-30 2014-04-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데이터에 동기화된 텍스트 데이터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390561B1 (ko) * 2013-02-15 2014-05-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막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96045A (ja) * 2014-04-03 2015-11-09 Hoya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20180059030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막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030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843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70124814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52135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160300595A1 (en) Playback device for playing video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6064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텍스트 인식 방법
US95259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map managing method thereof
US990498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159838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US116273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7582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99602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1478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220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12490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302101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fingerprint database,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EP4362453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467798B2 (en) Display apparatus for changing an advertisement area, server,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240037802A (ko) 프로젝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501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327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59029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318378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24576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4012959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564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