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304A -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304A
KR20230021304A KR1020210103017A KR20210103017A KR20230021304A KR 20230021304 A KR20230021304 A KR 20230021304A KR 1020210103017 A KR1020210103017 A KR 1020210103017A KR 20210103017 A KR20210103017 A KR 20210103017A KR 20230021304 A KR20230021304 A KR 2023002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passenger
current dr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김연수
이준승
이창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304A/ko
Priority to EP22185890.5A priority patent/EP4129734A1/en
Priority to US17/873,298 priority patent/US20230044733A1/en
Priority to CN202210935454.2A priority patent/CN115703354A/zh
Publication of KR2023002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5Toxicology, e.g. by detection of alcohol, drug or toxic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7Recognising the driver's state or behaviour, e.g. attention or drowsi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2Motor vehicles operators, e.g. drivers, pilots, cap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1Occupants other than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3Identity of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5Occupant per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7Posi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8Braking system

Abstract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 입력부에 이양 의사가 입력된 경우,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음주판단부;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운전자확인부; 음주판단부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측정되고, 운전자확인부에서 동승객과 현재 운전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가 음주 상태의 경우 동승객이 차량을 운전시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자동차가 생활의 필수품으로 정착되어 그 보급 대수가 급속히 증가 추세에 있다.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운전자가 안전에 대한 의식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안전의식 부재로 인한 사고의 한 예로 음주운전 사고를 들 수 있다.
음주운전은 자신의 신체 및 재물의 손괴뿐만 아니라 타인의 목숨까지도 위태롭게 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하며, 이러한 음주운전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그에 대한 벌칙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음주운전을 막아보고자 하여 운전자에게 강력한 법적인 제재가 행하여지고, 또한 음주자가 운전을 행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도 처벌되는 법규가 발효되었으나, 이는 음주운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운전자를 위한 음주측정 테스터기가 최근 발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테스터기의 경우 운전자 본인이 측정결과를 무시하고 운전을 할 수 있고, 이 경우 테스터기는 단순한 테스터기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는 운전자가 음주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려고 할 시 이를 거부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음주상태의 운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었으며, 경찰관에 의해 단속되는 음주운전은 단속시 여러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문화의 양태로 지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차량에 음주 측정 장치가 마련되는 발명이 제안되었으나. 등록된 운전자가 음주시 동승객이 등록된 운전자 대신 운전하는 경우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이 이양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09435 A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등록된 운전자가 제어권 이양 의사를 입력하고 동승객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고, 동승객이 현재 운전자인 것을 파악하여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은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 입력부에 이양 의사가 입력된 경우,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음주판단부;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운전자확인부; 음주판단부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측정되고, 운전자확인부에서 동승객과 현재 운전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운전자확인부에서 차주의 개인 정보가 확인된 경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에 마련된 개인 식별 센서와 연결되어 개인정보를 확인하며, 개인 식별 센서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운전자확인부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지속적으로 현재 운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운전자의 스티어링휠 파지 또는 전방 주시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운전자확인부에서 동승객이 현재 운전자인 것을 확인하고, 상태확인부에서 현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하면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할 수 있다.
음주 측정 장치는 운전자의 호흡을 통해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음주판단부는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현재 운전자가 음주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권을 이양시 음주판단부에서 기준치 미만의 혈중 알콜 농도가 감지시 차량의 브레이크에 예압이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의 외부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안전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방법은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되는 단계에서 이양 의사가 입력된 경우,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판단하는 단계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판단되고,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동승객과 현재 운전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하는 단계 이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차량에 마련된 개인 식별 센서와 연결되어 개인 정보를 확인하며, 개인 식별 센서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현재 운전자의 스티어링휠 파지 및 전방 주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현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하면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할 수 있다.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는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현재 운전자가 음주상태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기준치 미만의 혈중 알콜 농도가 감지되면 제어권을 이양하는 단계 이후 차량의 브레이크에 예압이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의 외부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안전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은 등록된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하고, 동승객이 운전석에 지속적으로 착좌하는 것을 감지하여 타인이 대신 음주 측정하고 음주한 등록된 운전자가 음주운전 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승객이 제어권을 이양 받아 차량을 운전하여 음주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 음주판단부(20), 제어부(30), 운전자확인부(40) 및 상태확인부(5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차량에는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차량의 작동 이전에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확인하는 음주 측정 장치(21)가 마련될 수 있다.
음주 측정 장치(21)는 종래의 음주 측정 장치(21)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호흡을 통해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는 차량의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기등록된 운전자가 음주를 한 상태에서 음주하지 않은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은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10); 입력부(10)에 이양 의사가 입력된 경우,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21)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음주판단부(20);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운전자확인부(40); 음주판단부(20)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측정되고, 운전자확인부(40)에서 동승객과 현재 운전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등록된 운전자가 음주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동승객에게 제어권을 이양하기 위해 운전자는 입력부(10)를 통해 제어권 이양 의사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부(10)는 차량에 마련된 조그 모듈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차량의 시스템 조작장치와 연결되어 등록된 운전자가 동승객에게 차량의 작동에 관련된 모든 제어권을 이양시킬 수 있다.
차량의 운전석에 인접하게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21)에서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음주판단부(20)는 음주 측정 장치(21)에서 측정된 현재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확인부(40)는 차량에 마련된 개인 식별 센서(41)를 통해 운전석에 착좌한 승객이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음주판단부(20)에서 비음주 상태로 판단한 동승객인 것을 확인하여 음주한 등록된 운전자 대신 동승객이 음주 측정을 하고, 등록된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전자확인부(40)에서 현재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음주 측정을 한 동승객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30)는 동승객이 차량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권을 이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가 음주로 인해 동승객이 운전을 할 경우에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시킴에 따라 음주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입력부(10)는 운전자확인부(40)에서 차주의 개인 정보가 확인된 경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확인부(40)에 등록된 운전자가 개인 정보를 식별하고, 이후 입력부(10)에 제어권 이양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권 의사가 입력부(10)에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타인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운전자확인부(40)는 차량에 마련된 개인 식별 센서(41)와 연결되어 개인정보를 확인하며, 개인 식별 센서(41)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43) 또는 지문 인식 센서(42)가 포함될 수 있다.
개인 식별 센서(41)는 운전석에 인접하게 마련된 카메라 센서(43) 또는 지문 인식 센서(42)가 포함되며, 운전석에 인접하게 장착된 카메라 센서(43)는 현재 운전자의 얼굴 또는 홍체를 촬영하여 개인정보를 인식하거나 스티어링휠 또는 운전석에 인접하게 장착된 지문 인식 센서(42)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운전자확인부(4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지속적으로 현재 운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운전자확인은 음주 측정 센서와 동일하게 작동, 지속적으로 인식 또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현재 운전자를 인식하여 현재 운전자 대신 타인이 음주 측정을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현재 운전자의 스티어링휠 파지 또는 전방 주시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확인부(5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30)는 운전자확인부(40)에서 동승객이 현재 운전자인 것을 확인하고, 상태확인부(50)에서 현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하면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할 수 있다.
동승객이 음주 측정을 운전자 대신하고 운전자가 음주운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태확인부(50)가 현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하고, 전방을 지속적으로 주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태확인부(50)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43)를 통해 전방 주시를 확인하고 또는 스티어링 휠에 마련된 압력센서를 통해 스티어링휠 파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를 통해 스티어링휠을 파지하고, 전방을 지속적으로 주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음주 측정 장치(21)는 운전자의 호흡을 통해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음주판단부(20)는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현재 운전자가 음주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음주 측정 장치(21)는 호흡을 불어 넣어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음주판단부(20)는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운전 가능 상태 및 혈중 알콜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운전 불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어권을 이양시 음주판단부(20)에서 기준치 미만의 혈중 알콜 농도가 감지시 차량의 브레이크에 예압이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의 외부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안전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주판단부(20)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판단되었으나, 혈중 알콜 농도가 기준치 보다는 낮지만 조금이라도 감지되게 되면 약간이라도 운전이 위험할 수 있으며, 제어부(30)는 차량을 안전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안전모드는 차량의 외부 충돌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거나 브레이크의 예압을 발생시켜 차량의 충돌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방법은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S11); 입력되는 단계(S10)에서 이양 의사가 입력된 경우,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21)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30); 및 판단하는 단계(S20)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판단되고,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30)에서 동승객과 현재 운전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입력하는 단계(S11) 이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30)는 차량에 마련된 개인 식별 센서(41)와 연결되어 개인 정보를 확인하며, 개인 식별 센서(41)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43) 또는 지문 인식 센서(42)가 포함될 수 있다.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30) 이후 현재 운전자의 스티어링휠 파지 및 전방 주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31);를 더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현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하면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할 수 있다.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에는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21)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21) 및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현재 운전자가 음주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2)가 포함될 수 있다.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에서 기준치 미만의 혈중 알콜 농도가 감지되면(S23) 제어권을 이양하는 단계(S40) 이후 차량의 브레이크에 예압이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의 외부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안전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입력부
20 : 음주판단부
21 : 음주 측정 장치
30 : 제어부
40 : 운전자확인부
41 : 개인 식별 센서
42 : 지문 인식 센서
43 : 카메라 센서
50 : 상태확인부

Claims (13)

  1.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
    입력부에 이양 의사가 입력된 경우,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음주판단부;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운전자확인부;
    음주판단부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측정되고, 운전자확인부에서 동승객과 현재 운전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부는 운전자확인부에서 차주의 개인 정보가 확인된 경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에 마련된 개인 식별 센서와 연결되어 개인정보를 확인하며, 개인 식별 센서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확인부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지속적으로 현재 운전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재 운전자의 스티어링휠 파지 또는 전방 주시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운전자확인부에서 동승객이 현재 운전자인 것을 확인하고, 상태확인부에서 현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하면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주 측정 장치는 운전자의 호흡을 통해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음주판단부는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현재 운전자가 음주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어권을 이양시 음주판단부에서 기준치 미만의 혈중 알콜 농도가 감지시 차량의 브레이크에 예압이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의 외부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안전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8.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동승객으로의 차량 제어권 이양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되는 단계에서 이양 의사가 입력된 경우,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판단하는 단계에서 동승객이 운전 가능 상태로 판단되고,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동승객과 현재 운전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동승객에게 이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주운전 방지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입력하는 단계 이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차량에 마련된 개인 식별 센서와 연결되어 개인 정보를 확인하며, 개인 식별 센서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재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현재 운전자의 스티어링휠 파지 및 전방 주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현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하면 동승객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이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는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현재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현재 운전자가 음주상태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기준치 미만의 혈중 알콜 농도가 감지되면 제어권을 이양하는 단계 이후 차량의 브레이크에 예압이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의 외부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안전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 방법.

KR1020210103017A 2021-08-05 2021-08-05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1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17A KR20230021304A (ko) 2021-08-05 2021-08-05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EP22185890.5A EP4129734A1 (en) 2021-08-05 2022-07-20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of vehicle
US17/873,298 US20230044733A1 (en) 2021-08-05 2022-07-26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of vehicle
CN202210935454.2A CN115703354A (zh) 2021-08-05 2022-08-04 一种用于防止酒后驾驶车辆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17A KR20230021304A (ko) 2021-08-05 2021-08-05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04A true KR20230021304A (ko) 2023-02-14

Family

ID=8294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17A KR20230021304A (ko) 2021-08-05 2021-08-05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44733A1 (ko)
EP (1) EP4129734A1 (ko)
KR (1) KR20230021304A (ko)
CN (1) CN1157033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35A (ko)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0075B2 (en) * 2001-06-19 2005-11-29 Peter Herbert Cherouny Electronic programmable speed limiter
US20080228365A1 (en) * 2006-04-05 2008-09-18 White Steven C Vehicle power inhibiter
US20120112879A1 (en) * 2010-11-09 2012-05-10 Ekchian Caroline 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vehicle safety
US9278696B2 (en) * 2014-06-14 2016-03-08 Ge Yi Vehicle onboard safety system
KR101800508B1 (ko) * 2015-10-06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35A (ko)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3354A (zh) 2023-02-17
US20230044733A1 (en) 2023-02-09
EP4129734A1 (en)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86124A (ja) 飲酒検出装置、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および運転者入れ替わり防止装置
US201600017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 driver of a vehicle
US5934768A (en) Brake control apparatus
JP2009160988A (ja) 検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50466B1 (ko) 차량 내에 위치하는 차량 탑승자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252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JP2008265676A (ja) 車両安全システム
EP18496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engine start in a vehicle depending on driving ability
CN110060676A (zh) 基于语音识别技术的车辆启动控制系统以及车辆
KR20230021304A (ko)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30227B1 (ko) 사용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9435A (ko)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JPH079924A (ja) 自動車制御装置およびそのicカード
CN107323260A (zh) 一种酒精浓度的测量装置
KR20210062768A (ko) 차량의 음주 운전 방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6678975U (zh) 一种车辆安全驾驶辅助系统
KR20170075341A (ko) 긴급상황에서 자동으로 차량을 제동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9193353A (ja) 飲酒検知装置
KR20220112335A (ko) 하차 경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193016A (ja) 自動車用制御装置
KR102144635B1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KR101999541B1 (ko) 자율주행 차량의 오버라이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10039468A1 (en) Control device and process for activating an airbag
US20220105952A1 (en) Method for activating safety features upon detection of driver impairment
JP2003048449A (ja) 運転者の心理状態判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