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224A -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224A
KR20230021224A KR1020210102822A KR20210102822A KR20230021224A KR 20230021224 A KR20230021224 A KR 20230021224A KR 1020210102822 A KR1020210102822 A KR 1020210102822A KR 20210102822 A KR20210102822 A KR 20210102822A KR 20230021224 A KR20230021224 A KR 20230021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sensor
monitoring
activity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809B1 (ko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주식회사 강원대학교기술지주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주식회사 강원대학교기술지주회사 filed Critical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0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8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Zo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rds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nt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위치, 활동상태, 건강 진단 상태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하네스와 같은 장착 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MONITORING APPARATUS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현재위치, 활동상태, 건강 진단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이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써, 개(dog)와 고양이를 들 수 있다.
근래들어, 가족의 형태가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그 원인은 학업이나 직장 생활을 위한 젊은 연령층의 가구의 증가 및 고령화 인구의 증가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핵가족의 특징 중에서 하나가 반려동물을 키운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가구수가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반려동물은 자연 친화적이지 못한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키워지고 있으며, 하루 중에서 주인과 떨어져 생활하는 시간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등으로 인하여 반려동물을 건강한 상태로 키우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생활 변화에 부응하여, 최근 들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기술은 단순히 반려동물의 체온, 맥박 및 혈압 등의 생체정보를 체크하여 주인에게 알려주는 정도이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반려동물 모니터링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고 반려동물을 지속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54189 (2016년5월1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위치, 활동상태, 건강 진단 상태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하네스와 같은 장착 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위치, 활동상태, 건강 진단 상태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의 건강검진, 일반활동 및 미션활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메인보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 메인보드 및 표시부 중에서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검진과 관련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센서 모듈; 상기 반려동물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활동센서 모듈; 및 상기 반려동물의 미션활동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근접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건강검진센서 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센싱하는 체온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혈압을 센싱하는 혈압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체질량을 센싱하는 체질량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호흡수를 센싱하는 호흡센서; 및 상기 반려동물의 심박수를 센싱하는 심박수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활동센서 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움직임센서 및 자이로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용변동작을 모니터링하기 냄새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수면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가속도센서; 및 탑재운반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탑재운반체선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 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센서; 상기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 및 원격지에서 상기 반려동물에 미션을 하달하기 위한 원격통신기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감지신호를 계산 및 분석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하네스 및 벨트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 장치;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반려동물의 건강검진, 일반활동 및 미션활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메인보드;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메인보드 중에서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위치, 활동상태, 건강 진단 상태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하네스와 같은 장착 장치에 설치된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반려동물에 대한 주의를 최소화 하면서도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등을 편리하고 안정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위치, 활동상태, 건강 진단 상태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 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등을 편리하고 안정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위치, 활동상태, 건강 진단 상태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미래의 모니터링 정보를 예측해서 표시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강이 악화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체온 표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호습수 표시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반려동물의 라이트 리치(right reach)에 따른 활동량 그래프이고, (b)는 레프트 리치에 따른 활동량 그래프이고, (c)는 스핀에 따른 활동량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현재 위치 표시 예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장착부로 사용된 하네스의 종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하네스가 반려동물인 반려견에 착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착부로 벨트가 사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벨트가 반려동물인 반려견에 착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 어떠한 의미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건강검진, 일반활동 및 미션활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110), 상기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메인보드(120),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및 모니터링부(100A)가 장착되는 장착부(14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 활동센서 모듈(112) 및 근접센서 모듈(113)을 구비한다.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은 반려동물의 건강검진과 관련하여 반려동물의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은 반려동물의 체온을 센싱하는 체온센서, 반려동물의 혈압을 센싱하는 혈압센서, 반려동물의 체질량을 센싱하는 체질량센서, 반려동물의 호흡수를 센싱하는 호흡센서 및 반려동물의 심박수를 센싱하는 심박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밖에 SPO2센서(펄스옥시메터) 및 심전도센서(ECG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에 구비되는 각각의 센서들의 센싱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반려동물의 목이나 가슴 또는 다리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체온, 혈압, 체질량, 심전도 등을 센싱한다.
체온센서는 하네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피부에 부드럽게 접촉된 상태로 체온을 센싱한다. 체온센서는 적외선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체온센서는 겨드랑이 부위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적외선을 센싱하여 그에 따른 체온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체온센서가 반려동물의 겨드랑이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압센서와 SPO2센서는 근접 터치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PO2센서는
적혈구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양(산소포화도)을 센싱하는 센서로서 반려동물의 발가락, 콧구멍, 귓불 등에 부착되어 적색 파장이나 적외선 파장의 광을 조사한 후 해당 부위를 통과되는 광량을 센싱하여 그에 따른 광량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심전도센서는 반려동물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 ECG)를 센싱하는 것으로, 반려동물의 심장의 심근 활동에 따른 활동 전위에 의해 표피에 전달되는 전류를 센싱하여 그에 따른 전류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의 가슴과 흉곽의 측면에 심전도센서가 각각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질량센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반려동물의 체질량지수(BMA)의 구조적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체질량센서는 체액이 많이 손실되거나 탈수증이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호흡센서는 반려동물이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가슴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그에따른 호흡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심박수센서는 반려동물의 목이나 귀 또는 발목 부위에 녹색광을 출력하고 반사되는 녹색광의 맥파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활동센서 모듈(112)은 반려동물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움직임센서 및 자이로센서, 반려동물의 용변동작을 모니터링하기 냄새센서, 반려동물의 수면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가속도센서, 탑재운반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탑재운반체선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활동센서 모듈(112)에 구비되는 각각의 센서들의 센싱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반려동물의 움직임이나 냄새 검출에 용이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움직임센서는 속도 프로필(velocity profile)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걷기, 달리기, 수영, 기어가기 및 등반 등의 활동을 센싱하여 그에 따른 활동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자이로센서는 반려동물의 활동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3축 자이로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한 자세 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9축 자이로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냄새센서는 반려동물의 배변동작 및 횟수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반려동물의 배변에 의해 배출되는 배변(대변 및 소변)의 냄새를 센싱하여 그에 따른 냄새센싱신호를 출력한다.
가속도센서는 반려동물의 수면에 따른 뒤척임 동작을 센싱하여 그에 따른 수면센싱신호를 출력한다. 반려동물의 수면 패턴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마이크가 추가될 수 있다.
탑재운반체선서는 반려동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할 때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탑재운반체를 센싱하여 그에 따른 탑재운반체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근접센서 모듈(113)은 반려동물의 미션활동을 센싱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센서,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 및 원격지에서 반려동물에 미션을 하달하기 위한 원격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접센서 모듈(113)에 구비되는 각각의 센서들의 센싱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반려동물의 근접 모니터링에 용이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위치센서는 반려동물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GPS 센서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이동거기, 속도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반려동물의 훈련 및 운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는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360도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통신기기는 원격지에서 반려동물에 미션을 하달하고 미션의 성공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20)는 센서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메인보드(120)는 제어부(121), 데이터베이스(Data Base)(122) 및 전원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센서부(110)의 건강검진센서 모듈(111), 활동센서 모듈(112) 및 근접센서 모듈(113)을 통해 각기 검출된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고, 이를 계산 및 분석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21)가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예로써, 제어부(121)는 현재 시점에서 분석된 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두 번째 예로써, 제어부(121)는 현재 시점에서 분석된 값을 표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다. 세 번째 예로써, 일정 시간 이상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정보를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미래의 모니터링 정보를 예측해서 표시하는 것이다.
첫째, 제어부(121)가 현재 시점에서 분석된 값을 표시하는 것을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체온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체온센싱신호를 근거로 현재 반려동물의 체온을 인식하여 표시부(130)에 도 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호흡센서로부터 공급되는 호흡센싱신호를 근거로 현재 반려동물의 호흡수를 인식하여 표시부(130)에 도 3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심전도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센싱신호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심장리듬, 전도장애, 심근의 허혈 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심전도그래프를 생성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심전도센서는 가슴 부위에 부착된 심전도센서와 흉곽 부위에 부착된 심전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심박수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맥파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를 연산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1)는 심박수를 이용하여 심장주기의 시간적 변동을 정량화 한 심박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를 구할 수 있다. 참고로, 높은 심박 수의 변화는 높은심박 변이도를 가져오며 좋은 건강상태와 자율신경 기능의 평형이 잘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낮은 심박수의 변화는 평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자율신경 기능과 생리학적 기능장애가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21)는 활동센서 모듈(112)의 3축 또는 9축 자이로센서로부터 공급되는 각속도를 근거로 활동량을 추정하고, 추정된 활동량을 칼로리로 환산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도 4의 (a)는 반려동물의 라이트 리치(right reach)에 따른 활동량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레프트 리치(Left reach)에 따른 활동량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스핀(Spin)에 따른 활동량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121)는 이와 같은 활동량 정보를 근거로 반려동물의 특이점을 추정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근접센서 모듈(113)의 위치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위치를 표시부(130)에 도 5에서와 같이 표시한다.
둘째, 제어부(121)가 현재 시점에서 분석된 값을 표준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심전도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센싱신호를 근거로 반려동물의 심박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계산 결과치를 표준심박수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양호, 주의 및 경고 중에서 어느 하나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준심박수란 해당 반려동물 예를 들어, 반려견의 종류 및 성별, 연령의 정상적인 심박수를 의미한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체온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체온센싱신호를 근거로 반려동물의 체온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계산 결과치를 근거로 반려동물이 발열, 저체온증 및 열사병의 우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21)는 활동센서 모듈(112)의 자이로센서로부터 공급되는 각속도를 근거로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추정하고, 추정된 활동량을 칼로리로 환산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21)는 환산된 칼로리를 표준칼로리와 비교하여 정상, 주의 및 경고 중에서 어느 하나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21)는 근접센서 모듈(113)의 마이크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신호를 근거로 반려동물의 짖음 시기 및 회수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21)는 짖음 분석 결과를 표준치와 비교하여 정서적으로 볼 때 정상, 주의 및 경고 중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호흡센서로부터 공급되는 호흡센싱신호를 근거로 반려동물의 호흡수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21)는 분석된 호흡수를 표준치와 비교하여 정상, 주의 및 경고 중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세 번째, 제어부(121)가 일정 시간 이상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정보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미래의 모니터링 정보를 예측해서 표시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21)는 건강검진센서 모듈(111)의 심박수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맥파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를 연산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상기와 같이 연산된 심박수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심박수와 심박수 변동성(HRV)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맥박으로 인한 질병 가능성, HRV 감소에 의한 심장 질환, 패혈증, 당뇨병 및 비만 등의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높은 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인공지능은 기계학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계학습에는 선형 회귀, 에스브이엠(SVM Support Vector Machine), 의사결정 트리(tree), 로지스틱(logistic) 회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21)는 활동센서 모듈(112)의 자이로센서로부터 공급되는 각속도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상기와 같이 분석된 활동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일정 기간 동안의 반려동물의 활동 빈도, 시간 및 활동수준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를 근거로 건강 유지에 적합한 활동 목표량을 구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21)는 활동센서 모듈(112)의 3축 자이로센서로부터 공급되는 각속도를 분석하여 분석된 활동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일정 기간 동안의 반려동물의 활동량 정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이상 징후, 수술 후 회복의 진행정도 및 주인이 집을 비웠을 때 반려동물의 정서적 문제 등을 추정하여 그 추정 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긁기, ?C기 등의 행동이 자주 나타나는 경우 관절 질환이 있을 수 있고, 행동의 정도에 따라 충분한 수면을 취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전원부(123)는 1차 전지와 2차 전지 모두를 구비하거나 이들 중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제어부(121)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정상, 주의 및 경고를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할 수 있다.
장착부(140)는 모니터링부(100A)를 반려동물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모니터링부(100A)는 센서부(110), 메인보드(120) 및 표시부(130)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40)는 여러 형태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140)는 하네스(조끼 또는 가슴띠)(Harness) 및 벨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네스는 반려동물의 몸체를 감싸는 겨울철 추위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하거나 반려동물의 산책 또는 외출시 필요한 각종 물품을 설치 내지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하네스는 반려동물의 산책시 견인끈을 묶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장착부로 사용된 하네스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로만 하네스(Roman Harness), (b)는 스텝 인 하네스(Step In Harness), (c)는 워킹 베스트 하네스(Working Vest Harness), (d)는 숄더 컬러 하네스(Shoulder Collar Harness)를 나타낸 것이다.
로만 하네스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의 하네스로써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로만 하네스는 반려동물의 목에서는 목줄을 하고 배쪽에서 한번 더 감아서 반려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하는 특징이 있으며 H형 하네스라고 불리기도하며, 목이 당겨지는 단점이 있다.
스텝 인 하네스는 반려동물의 앞발부터 등으로 입히는 구조의 하네스로써 빨리 입힐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려동물이 버틸 때 벗겨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워킹 베스트 하네스는 반려동물의 가슴부위에서 힘을 써야 할 때 사용하는 하네스 구조로써, 반려동물에게 무언가를 끌게 하는제 적합한 구조이다.
숄더 컬러 하네스는 스텝 인 하네스와 같이 쉽게 입힐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반려동물의 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도 7은 하네스가 반려동물인 반려견에 착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과 같이 반려견(150)에 하네스(141)를 착용하기 전에 하네스(141)의 각부에 센서부(110), 메인보드(120) 및 표시부(130)를 고정 결합한다. 이때, 결합수단으로써, 벨크로(Velcro), 볼트 및 너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착부로 벨트가 사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벨트가 반려동물인 반려견에 착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와 같이 반려견(150)에 벨트(142)를 착용하기 전에 벨트(142)의 각부에 센서부(110), 메인보드(120) 및 표시부(130)를 고정 결합한다. 이때에도, 결합수단으로써, 벨크로(Velcro), 볼트 및 너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는 반려동물의 건강검진, 일반활동 및 미션활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110), 상기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메인보드(120) 및 모니터링부(100A)가 장착되는 장착부(140)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100) 및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유닛(221)을 포함하는 스마트폰(200)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10을 비교할 때 메인보드(120)가 상이하고, 스마트폰(200)이 추가된 것이 다른 점이다.
도 1과 도10을 비교할 때, 도 10에서 메인보드(120)의 제어부(121A)는 센서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근거리무선통신부(122A)를 통해 스마트폰(20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 그리고, 메인보드(120)에 근거리무선통신부(122A)를 구비한 것이 도 1의 메인보드(120)와 차이점이다.
도 1의 각 기능 중 메인보드(120)의 제어부(121)에서 상기와 같이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근거리무선통신부(122A)를 통해 스마트폰(200)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의 기능들은 스마트폰(200)의 제어유닛(221)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근거리무선통신부(122A)는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의 제어유닛(221)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되는 모니터링 정보는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100)에 표시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의 메모리(222)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100)에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어유닛(221)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어플리케이션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은 무선통신단말의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스마트폰(200) 대신 노트북컴퓨터나 태블릿 피씨 등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각 내부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식별되는 장치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인식되는 함수와 같은 것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모니터링 장치 100A : 모니터링부
110 : 센서부 111 : 건강검진 센서부
112 : 활동 센서부 113 : 근접센서부
120 : 메인보드 121,121A : 제어부
122 : 데이터베이스 122A : 근거리무선통신부
123 : 전원부 130 : 표시부
140 : 장착부 141 : 하네스
142 : 벨트 150 : 반려견
200 : 스마트폰 221 : 제어유닛
222 : 메모리

Claims (9)

  1. 반려동물의 건강검진, 일반활동 및 미션활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메인보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 메인보드 및 표시부 중에서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검진과 관련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센서 모듈;
    상기 반려동물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활동센서 모듈; 및
    상기 반려동물의 미션활동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근접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센서 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센싱하는 체온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혈압을 센싱하는 혈압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체질량을 센싱하는 체질량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호흡수를 센싱하는 호흡센서; 및
    상기 반려동물의 심박수를 센싱하는 심박수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센서 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움직임센서 및 자이로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용변동작을 모니터링하기 냄새센서;
    상기 반려동물의 수면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가속도센서; 및 탑재운반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탑재운반체선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 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센서;
    상기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 및 원격지에서 상기 반려동물에 미션을 하달하기 위한 원격통신기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감지신호를 계산 및 분석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하네스 및 벨트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8. 모니터링 장치;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반려동물의 건강검진, 일반활동 및 미션활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메인보드;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메인보드 중에서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KR1020210102822A 2021-08-04 2021-08-04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KR102564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822A KR102564809B1 (ko) 2021-08-04 2021-08-04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822A KR102564809B1 (ko) 2021-08-04 2021-08-04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224A true KR20230021224A (ko) 2023-02-14
KR102564809B1 KR102564809B1 (ko) 2023-08-09

Family

ID=8522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822A KR102564809B1 (ko) 2021-08-04 2021-08-04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8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142A (ko) * 2009-06-09 2010-12-17 배익건 애완동물 장신구
KR101561429B1 (ko) * 2014-05-07 2015-10-20 김민지 애완동물용 표시장치
KR20160054189A (ko) 2014-11-06 2016-05-16 차상훈 동물용 체성분 측정장치
KR20180013230A (ko) * 2016-07-29 2018-02-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운동 센서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8096A (ko) * 2016-12-13 2018-06-21 최선규 반려동물 생체정보 측정장치
KR101992265B1 (ko) * 2017-09-07 2019-06-25 이한영 애완동물용 스마트 목줄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KR20190101002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오션아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142A (ko) * 2009-06-09 2010-12-17 배익건 애완동물 장신구
KR101561429B1 (ko) * 2014-05-07 2015-10-20 김민지 애완동물용 표시장치
KR20160054189A (ko) 2014-11-06 2016-05-16 차상훈 동물용 체성분 측정장치
KR20180013230A (ko) * 2016-07-29 2018-02-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운동 센서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8096A (ko) * 2016-12-13 2018-06-21 최선규 반려동물 생체정보 측정장치
KR101992265B1 (ko) * 2017-09-07 2019-06-25 이한영 애완동물용 스마트 목줄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KR20190101002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오션아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809B1 (ko)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619B2 (en) Intelligent pet monitoring system
US10154655B2 (en) Mobile animal surveillance and distress monitoring
US10898136B2 (en)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US9894885B2 (en) Mobile animal surveillance and distress monitoring
US8560267B2 (en) Identifying one or more activities of an animate or inanimate object
Katayama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predicts the emotional state in dogs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CA3091512A1 (en) Mobile animal surveillance and distress monitoring
KR20180063625A (ko)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000353A1 (en) System for detecting the vital status of animals
US20220183258A1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walking path and for monitoring canine activity
KR102564809B1 (ko)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KR20220111122A (ko)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06909800A (zh) 一种智能鞋垫数据处理系统
US20230293107A1 (en)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Horse Monitoring
KR102612188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그 방법
US20240164349A1 (en) Health tracker device for horses
KR20240081548A (ko) 반려견 웨어러블 하네스
KR20230130343A (ko) 반려동물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77303A (ko)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