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610A -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610A
KR20230020610A KR1020210101940A KR20210101940A KR20230020610A KR 20230020610 A KR20230020610 A KR 20230020610A KR 1020210101940 A KR1020210101940 A KR 1020210101940A KR 20210101940 A KR20210101940 A KR 20210101940A KR 20230020610 A KR20230020610 A KR 20230020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rf
implant
user
bal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선
Original Assignee
김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선 filed Critical 김상선
Priority to KR102021010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610A/ko
Publication of KR2023002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0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1Metallising, e.g. infiltration of sintered ceramic preforms with molten metal
    • C04B41/5111Ag, Au, Pd, Pt or Cu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7Ceram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7Iron group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72Iron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hematite, magne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27Silicates other than clay, e.g. water glass
    • C04B2235/3463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mullite
    • C04B2235/3472Alkali metal 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spodumene, alkali feldspars such as albite or orthoclase, micas such as muscovite, zeolites such as natr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0Metallic constituents or additives not added as binding phase
    • C04B2235/401Alkaline earth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카프 내측에 보형물을 삽입함으로써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형물에 기능성 키트를 탑재함으로써, 항산화, 살균, 산소 공급, 공기 정화, 냄새 제거, 피부노화 방지 등 각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 또는 목 부위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카프 본체부와; 상기 스카프 본체부 내측에 삽입되는 보형물;을 포함하며, 상기 스카프 본체부는 상기 스카프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보형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된 보형물 수용부와;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스카프 본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귀걸이 홀부와; 상기 귀걸이 홀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귀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sunscreen scarf}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관한 것이다.
멀티 스카프는 얼굴에 써서 얼굴의 일부를 가리는 천(직물지)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스카프(10)는 신축성 있는 직물지를 상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목과 입 주변, 그리고, 귀를 커버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멀티 스카프(10)는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탈 때나 등산 내지는 조깅할 때 주로 사용하는데, 원통형이라서 턱 아래로 내려 코와 입을 노출할 수도 있고, 코 위로 올려서 코와 입을 덮을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멀티 스카프(10)는 코와 입뿐만 아니라, 귀와 목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자외선에 얼굴 피부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방한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심에서는 매연이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소 불편하기는 하나, 마스크보다는 멀티 스카프(10)가 매연 차단에 유리할 수 있다.
이처럼 멀티 스카프(10)는 여러 기능, 즉 자외선 차단 기능, 방한 및 보온 기능, 매연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그 구조적 혹은 재질적인 한계로 인해 최근에 유행하는 전염성 바이러스, 즉 메르스, 코로나 등의 전염성 바이러스를 차단하거나 미세먼지의 호흡기 유입을 방지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멀티 스카프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1938호에 스카프 본체; 상기 스카프 본체의 내면에서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포켓부; 및 상기 한 쌍의 포켓부에 그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스카프 본체의 내면에서 코와 입 주변에 배치되어 전염성 바이러스, 미세먼지 또는 분진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하는 교체식 부직포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교체식 부직포 필터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필터 본체부; 및 상기 필터 본체부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제1 착탈식 벨크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포켓부 모두는 상기 스카프 본체에 융착되어 상기 스카프 본체와 일체로 고정되는 융착 고정부; 상기 융착 고정부의 단부에서 상기 스카프 본체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이격부; 상기 이격부의 단부에서 상기 융착 고정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날개부; 상기 융착 고정부, 상기 이격부 및 상기 날개부 내에 인서트되어 마련되되 굽힘이 가능한 굽힘 가능 와이어; 및 상기 날개부의 내면에 마련되되 상기 교체식 부직포 필터의 제1 착탈식 벨크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착탈식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멀티 스카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스카프의 경우 교체식 부직포 필터를 통해 바이러스 등의 유입 차단 기능을 제공하지만, 부직포 필터가 사용자 안면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답답함을 느끼게 되고 활동적인 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땀이 부직포 필터에 스며들어 호흡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193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66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카프 내측에 보형물을 삽입함으로써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형물에 기능성 키트를 탑재함으로써, 항산화, 살균, 산소 공급, 공기 정화, 냄새 제거, 피부노화 방지 등 각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형물을 접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보형물을 마스크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스카프에 삽입하기 때문에 마스크부재가 땀에 젖어 호흡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목 부위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카프 본체부와; 상기 스카프 본체부 내측에 삽입되는 보형물;을 포함하며, 상기 스카프 본체부는 상기 스카프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보형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된 보형물 수용부와;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스카프 본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귀걸이 홀부와; 상기 귀걸이 홀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귀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있어서, 보형물은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좌우 한 쌍의 보형물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를 접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접철부와; 상기 보형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내부에 기능성 충진재를 수용하는 기능성 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있어서, 기능성 충진재는 수소발생볼, 살균볼, 산소발생볼, 원적외선발생볼 및 음이온발생볼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발생볼은 마그네슘 50~70중량부와, 세피올라이트 10~30중량부와, 자철광 5~15중량부와, 토르말린 또는 제올라이트 2~7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을 성형 및 소성하여 얻어지고, 상기 살균볼은 세피올라이트 60~80중량부와, 제올라이트 20~40중량부를 혼합한 분말을 성형 및 소성하여 세라믹볼을 만든 다음, 상기 세라믹볼을 은 이온이 함유된 이온용액에 함침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있어서, 마스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부재는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의 좌우측 단부가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끼움 주머니가 형성되고, 항균 기능을 제공하도록 이온용액에 함침한 다음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의하면, 스카프 내측에 보형물을 삽입함으로써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형물에 기능성 키트를 탑재함으로써, 항산화, 살균, 산소 공급, 공기 정화, 냄새 제거, 피부노화 방지 등 각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에 의하면, 보형물을 접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보형물을 마스크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스카프에 삽입하기 때문에 마스크부재가 땀에 젖어 호흡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의 귀 커버부가 착탈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스카프 본체부에 보형물이 탑재된 모습과 분리된 모습을 각각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부재에 보형물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다른 방식으로 마스크부재에 보형물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형물이 접철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형물에서 기능성 키트에서 착탈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소발생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살균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은 종래의 멀티 스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의 귀 커버부가 착탈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스카프 본체부에 보형물이 탑재된 모습과 분리된 모습을 각각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부재에 보형물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5와 다른 방식으로 마스크부재에 보형물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형물이 접철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보형물에서 기능성 키트에서 착탈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100)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목 부위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카프 본체부(110)와, 상기 스카프 본체부(110) 내측에 삽입되는 보형물(130)과, 상기 보형물(130)과 결합된 상태로 스카프 본체부(110)에 삽입되는 마스크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스카프 본체부(110)는 직물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머리를 통과해서 착용하기 때문에 신축성이 있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카프 본체부(110)에는 보형물 수용부(111)와, 귀걸이 홀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보형물 수용부(111)는 보형물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주머니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카프 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보형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스카프 본체부(110)는 한 겹의 직물로 이루어지지만, 보형물 수용부(111)는 스카프 본체부(110)에 삽입홀이 형성된 직물을 봉제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귀걸이 홀부(113)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서 스카프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귀걸이 홀부삽입홀만 형성되면 사용자의 귀가 자외선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귀걸이 홀부에는 귀 커버부삽입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귀 커버부(114)는 봉제를 통해 고정할 수도 있으나, 귀걸이 홀부(113)와, 귀 커버부(114)에 한 쌍의 벨크로 테잎(115)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착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카프 본체부(110)는 사용자의 목까지 커버할 수 있는 상하 폭을 가지게 되는데, 목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길이 차이에 맞추어 상기 스카프 본체부도 전면 하단은 후면 하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스카프 본체부의 뒷목 부위는 위로 볼록하게 요입된 홈 구조로 이루어져 스카프 후면 하단이 사용자의 옷에 쓸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형물(130)은 스카프 본체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게재되어 스카프 본체부(110)가 안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좌우 한 쌍의 보형물 본체(131)와,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131)를 접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접철부(133)와, 상기 보형물 본체(1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기능성 키트(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보형물 본체(131)는 외곽 테두리부(131a)와, 중앙부(131b)와, 상기 외곽 테두리부(131a)와 중앙부(131b)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131d)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131)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쳤을 때 안면 윤곽에 맞추어 소정 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연결 부위에는 접철부(133)가 형성되는데, 접철부(133) 전방 중앙에는 절개라인(133a)이 형성되어 보관시에는 도 7의 (a)와 같이 접을 수 있도록 해주고, 스카프 사용시에는 도 7의(b)와 같이 펼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중앙부(131b)의 중심에는 기능성 키트가 결합하도록 결합홀(131c)이 형성된다.
상기 기능성 키트(135)는 항산화, 살균, 산소 공급, 공기 정화, 냄새 제거, 피부노화 방지 등 각종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소발생볼, 살균볼, 산소발생볼, 원적외선발생볼 및 음이온발생볼 등의 기능성 충진재(137) 중 적어도 하나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키트(135)는 단수 또는 복수의 볼이 충진되는 팩부재(135a)와, 팩부재(135a)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31c)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돌기(135b)로 구성된다.
상기 팩부재(135a)는 통기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볼을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이며, PP, PE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키트(135)는 단독으로 상기 보형물 수용부(111)에 삽입될 수도 있으나, 최근과 같이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상황에서는 바이러스 차단과, 항균 효과를 제공하도록 마스크부재(150)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부재(150)는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여러 겹의 부직포를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항균 성능을 위해 부직포를 이온이 함유된 이온용액에 함침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온용액은 은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을 전해조에 설치한 다음 통전시키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은 이온의 농도가 10~100ppm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부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에 한 쌍의 끼움 주머니(151)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끼움 주머니(151)에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131)의 좌우측 단부가 삽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재(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가 없는 구조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보형물 본체(131)의 좌우 단부에 클립부(13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132)에 마스크부재(150)의 양단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소발생볼은 마그네슘과, 세피올라이트와, 자철광과, 토르말린, 제올라이트 분말들로 이루어지고, 평균 직경은 0.5~1.5mm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슘은 사용자가 배출하는 호흡에 함유된 수분 등과 반응하여 아래 반응식과 같이 수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50~70중량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는데, 5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수소 발생량이 극히 적고 70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량이 되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식 1]
Mg + H2O → Mg(OH)2 + H2
수소의 항산화 효과는 혈액에 포함되어 있는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의 활성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J.clin.Biochem Nutr 46,140-149,2010,3), 수소가 상기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의 기능을 충분히 보완해줄 수 있으며, 세포에 손상을 주는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의 세포독성을 선택적으로 줄이는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아래 반응식 2와 같이 마그네슘이 산화된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마그네슘 표면에 백색의 탄산마그네슘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반응식 1에서 수소를 발생시키는 반응을 억제하게 된다.
[반응식 2]
(1) 2Mg + O2 → 2MgO
(2) MgO + CO2 → MgCO3
상기 세피올라이트, 토르말린 및 제올라이트는 무수한 기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응식 1, 2에서 발생한 Mg(OH)2 및 MgCO3을 흡착하여 반응식 1의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피올라이트는 10~30중량부이고, 토르말린 또는 제올라이트는 각각 2~7중량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자철광(Fe3O4)은 반응식 2의 (1)에서 마그네슘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5~15중량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수소발생볼(132a)은 상기 마그네슘과, 세피올라이트와, 자철광과, 토르말린, 제올라이트 분말을 볼 형태로 성형한 다음, 1,000~1,300℃에서 소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0930호 등에 이미 공지된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소발생볼은 1 내지 12개월 정도의 장기간 동안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반응식 1, 2에서 발생하는 Mg(OH)2 및 MgCO3을 흡착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수소 발생 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살균볼(132b)은 세피올라이트 60~80중량부와, 제올라이트 20~40중량부를 혼합한 분말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 및 소성하여 평균 직경 0.5~1.5mm의 세라믹볼을 만든 다음, 상기 세라믹볼을 은 이온이 함유된 이온용액에 함침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이온용액은 은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을 전해조에 설치한 다음 통전시키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은 이온의 농도가 10~1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소발생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934호 및 제10-1169557호의 조성물에 이미 공지된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원적외선발생볼 및 음이온발생볼은 토르마린,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숯과 같이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수소발생볼 및 살균볼 제조에 대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그네슘 60중량부와, 세피올라이트 20중량부와, 자철광 10중량부와, 토르말린 3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분말을 회전 드럼에 넣고 볼 형태로 성형하고, 1,200℃에서 소성하여 도 9와 같은 수소발생볼을 제조하였다.
세피올라이트 70중량부와, 제올라이트 30중량부를 혼합한 분말을 볼 형태로 성형 및 소성하여 세라믹볼을 만든 다음, 은 이온의 농도가 80ppm인 이온용액에 함침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총 3회 반복하여 도 10과 같은 살균볼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110 : 스카프 본체부
111 : 보형물 수용부 112 : 삽입홀
113 : 귀걸이 홀부 114 : 귀 커버부
115 : 벨크로 테잎 130 : 보형물
131 : 보형물 본체 131a : 외곽 테두리부
131b : 중앙부 131c : 결합홀
131d : 리브 132 : 클립부
133 : 접철부 133a : 절개라인
135 : 기능성 키트 135a : 팩부재
135b : 결합돌기 137 : 기능성 충진재
150 : 마스크부재 151 : 끼움 주머니

Claims (5)

  1. 스카프 또는 마스크에 장착되는 보형물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좌우 한 쌍의 보형물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를 접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접철부와;
    상기 보형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내부에 기능성 충진재를 수용하는 기능성 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또는 마스크용 보형물.
  2. 사용자의 안면 또는 목 부위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카프 본체부와;
    상기 스카프 본체부 내측에 삽입되는 보형물;을 포함하며,
    상기 스카프 본체부는,
    상기 스카프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보형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된 보형물 수용부와;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스카프 본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귀걸이 홀부와;
    상기 귀걸이 홀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귀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좌우 한 쌍의 보형물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를 접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접철부와;
    상기 보형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내부에 기능성 충진재를 수용하는 기능성 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충진재는 수소발생볼, 살균볼, 산소발생볼, 원적외선발생볼 및 음이온발생볼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발생볼은,
    마그네슘 50~70중량부와, 세피올라이트 10~30중량부와, 자철광 5~15중량부와, 토르말린 또는 제올라이트 2~7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을 성형 및 소성하여 얻어지고,
    상기 살균볼은,
    세피올라이트 60~80중량부와, 제올라이트 20~40중량부를 혼합한 분말을 성형 및 소성하여 세라믹볼을 만든 다음, 상기 세라믹볼을 은 이온이 함유된 이온용액에 함침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5. 제1항에 있어서,
    마스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부재는,
    상기 한 쌍의 보형물 본체의 좌우측 단부가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끼움 주머니가 형성되고,
    항균 기능을 제공하도록 이온용액에 함침한 다음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KR1020210101940A 2021-08-03 2021-08-03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KR20230020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940A KR20230020610A (ko) 2021-08-03 2021-08-03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940A KR20230020610A (ko) 2021-08-03 2021-08-03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610A true KR20230020610A (ko) 2023-02-13

Family

ID=8520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940A KR20230020610A (ko) 2021-08-03 2021-08-03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6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661U (ko) 2011-04-28 2012-11-07 강은경 착용이 용이한 원통형 스카프
KR200491938Y1 (ko) 2020-05-06 2020-07-03 조현근 기능성 멀티 스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661U (ko) 2011-04-28 2012-11-07 강은경 착용이 용이한 원통형 스카프
KR200491938Y1 (ko) 2020-05-06 2020-07-03 조현근 기능성 멀티 스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45B1 (ko) 고체산소를 구비한 마스크
KR100936050B1 (ko) 다용도 방진 마스크
KR101074601B1 (ko) 방진마스크
KR20070117880A (ko) 마스크
KR20100132661A (ko) 부착형 코마스크
KR20160094153A (ko) 필터 마스크
KR100678716B1 (ko) 필터를 갖는 마스크
WO2021208907A1 (zh) 新型口罩
CN109105981A (zh) 一种面罩
KR20200057555A (ko)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마스크
KR20230020610A (ko) 자외선 차단용 스카프
CN213404934U (zh) 一种分腔式呼吸口罩
CN210094734U (zh) 一种静电纺丝纳米纤维口罩
KR20210087847A (ko) 기능성 마스크
KR200304097Y1 (ko) 공기청정 마스크
CN211983950U (zh) 一种全脸罩型口罩
CN212233223U (zh) 一种防护口罩
KR19990039443U (ko) 마스크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KR101314798B1 (ko) 원통형 스카프
CN111213926A (zh) 一种分腔式呼吸口罩
CN218921772U (zh) 一种带过滤功能的防晒面罩
CN212325524U (zh) 一种口罩
CN206079127U (zh) 一种释放负离子的口罩
KR20160109208A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