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412A - 리파이너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 - Google Patents

리파이너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412A
KR20230020412A KR1020227041874A KR20227041874A KR20230020412A KR 20230020412 A KR20230020412 A KR 20230020412A KR 1020227041874 A KR1020227041874 A KR 1020227041874A KR 20227041874 A KR20227041874 A KR 20227041874A KR 20230020412 A KR20230020412 A KR 2023002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eed groove
segment
refining
sid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로이야스
토미 이사킬라
Original Assignee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3002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1/00Methods of beating or refining; Beaters of the Hollander type
    • D21D1/20Methods of refining
    • D21D1/30Disc mills
    • D21D1/306Dis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1/00Methods of beating or refining; Beaters of the Hollander type
    • D21D1/20Methods of refining
    • D21D1/22Jordans
    • D21D1/24Jordan roll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refining)하기 위한 리파이너(refiner)(1)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blade segment)(4, 8)가 제공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는 제1 단부 에지(edge)(20) 및 제2 단부 에지(21), 및 제1 측면 에지(22) 및 이 제1 측면 에지(22)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면 에지(23), 및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전면(25) 상의 블레이드 바아(bar)(27, 27a, 27b) 및 그 사이의 블레이드 홈(28, 28a, 28b)을 포함하는 리파이닝 표면(5, 9)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22, 23)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4, 15) ― 개구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됨 ― , 및 리파이닝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피드(feed) 홈(29) ― 피드 홈(29)은 리파이닝 표면을 가로질러 리파이닝될 재료를 피딩(feeding)하기 위해 개구로부터 연장되어 블레이드 바아 및 블레이드 홈을 가로지름 ― 을 더 포함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블레이드 바아(27, 27a, 27b)는 피드 홈에서 인터레이싱(interlace)된다.

Description

리파이너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 발명은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refining)하기 위한 리파이너(refin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하기 위한 리파이너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blade segment)에 관한 것이다.
기계 펄프(mechanical pulp)를 제조하거나 또는 임의의 낮은 일관성 리파이닝에 사용되는 리파이너와 같은,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파이너는, 일반적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는 2 개의 리파이닝 요소를 포함하고, 이들은 그 사이에 리파이닝 갭(gap) 또는 리파이닝 챔버(chamber)를 형성하고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데, 즉,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회전한다. 리파이닝 요소는, 블레이드 바아(bar) 및 그 사이의 블레이드 홈이 제공된 리파이닝 표면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바아는 리파이닝될 재료를 디파이버링(defibre) 및 리파이닝하도록 의도되고, 블레이드 홈은 리파이닝 표면을 따라 리파이닝될 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의도된다. 리파이닝 요소의 리파이닝 표면은 일반적으로 개개의 리파이닝 요소의 본체에 체결된 여러 개의 블레이드 세그먼트로 형성된다. 따라서, 리파이닝 요소의 완전한 리파이닝 표면은 리파이닝 요소에서 서로 옆에 체결된 여러 개의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리파이닝 표면으로 형성된다.
리파이너의 한 유형은, 리파이닝될 재료가 리파이너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를 향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으로부터도, 즉, 리파이닝 요소(들)를 통해 리파이닝 갭으로 피딩되는 소위 스루-피드(through-fed) 또는 스루-플로우(through-flow) 리파이너이다. 이러한 유형의 리파이너는 EP 2326767 B1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리파이닝 요소는 그 리파이닝 영역의 5 내지 70 %의 개방 영역을 제공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예가 EP 3401439 B1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개구는 리파이닝 세그먼트의 측면 에지 상의 인덴트(indent)이고, 재료 흐름은 피드 홈에 의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하기 위한 신규한 리파이너, 및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하기 위한 리파이너를 위한 신규한 블레이드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드 홈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블레이드 바아들을 인터레이싱(interlacing)하는 사상에 기초한다.
피드 홈에서 블레이드 바아들을 인터레이싱하면, 피드 홈에서,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이 서로 지지됨으로써, 피드 홈에서 블레이드 바아들의 좌굴을 방지하는 강한 블레이드 바아 구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단면에서 볼 때 원추형 리파이너의 개략적인 일반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웃하는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 세트의 일부의 개략적인 상부 경사도이다.
도 3은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개략적인 상부 경사도이다.
도 4는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피드 홈의 개략적인 상부 경사도이다.
도 5는 다른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개략적인 상부 평면도이다.
도 6a는 피드 홈의 제1 단부에서 블레이드 바아들의 인터레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b는 피드 홈의 제2 단부에서 블레이드 바아들의 인터레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도면들은 단순화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들을 식별한다.
도 1은 단면에서 볼 때 리파이너(1)의 일반적인 구성의 개략적인 일반 측면도이고, 이 리파이너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판지를 제조하도록 사용되기에 적합한 리그노셀룰로오스(lignocellulose)를 포함하는 목재 재료 또는 다른 섬유 재료와 같은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리파이너(1)는 원추형 유형이지만, 그러나 디스크-리파이너, 원추형 디스크 리파이너 및 원통형 리파이너가 여기서 예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파이너는 실질적으로 반대편에 위치된 적어도 2 개의 리파이닝 요소 ― 이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함 ― , 및 실질적으로 반대편에 위치된 각각의 2 개의 리파이닝 요소 사이에 형성된 리파이닝 챔버를 포함한다. 다음에서는 회전 가능한 리파이닝 요소가 하나만 있는 리파이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리파이너(1)는 프레임(frame; 2) 및 프레임(2) 상에 지지되는 정지된 고정된 리파이닝 요소(3), 즉, 고정자(3)를 포함한다. 고정자(3)는 2 개 이상의 고정자 블레이드 세그먼트(4)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블레이드 바아 및 그 사이의 블레이드 홈을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자 블레이드 세그먼트(4)의 블레이드 바아 및 블레이드 홈은 개개의 블레이드 세그먼트(4)의 리파이닝 표면(5)을 형성하고, 각각의 고정자 블레이드 세그먼트(4)의 리파이닝 표면(5)은 이로써 고정자(3)의 리파이닝 표면의 일부를 제공한다. 고정자(3)의 완전한 리파이닝 표면은 고정자(3)에서 서로 옆에 체결된 필요한 개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4)의 리파이닝 표면(5)으로 형성되어, 고정자(3)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완전한 리파이닝 표면(5)이 제공된다. 명료함을 위해, 각각의 단일의 고정자 블레이드 세그먼트(4)의 리파이닝 표면 및 고정자(3)의 완전한 리파이닝 표면 모두는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 5로 표시된다.
리파이너(1)는 리파이너(1)의 회전 가능한 리파이닝 요소(6), 즉, 회전자(6)를 더 포함한다. 회전자(6)는 허브(7)를 포함한다. 회전자(6)는 허브(7)에 지지된 2 개 이상의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블레이드 바아 및 그 사이의 블레이드 홈을 포함한다. 각각의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블레이드 바아 및 블레이드 홈은 개개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을 형성하고, 각각의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은 이로써 회전자(6)의 리파이닝 표면의 일부를 제공한다. 회전자(6)의 완전한 리파이닝 표면은 회전자(6)에서 서로 옆에 체결된 필요한 개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으로 형성되어, 회전자(6)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완전한 리파이닝 표면(9)이 제공된다. 명료함을 위해, 각각의 단일의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 및 회전자(6)의 완전한 리파이닝 표면 모두는 여기서 동일한 참조 부호 9로 표시된다.
회전자(6)의 허브(7)는 샤프트(11)에 의해 구동 모터(10)에 연결되어, 회전자(6)는 예를 들어 화살표(RD)의 방향으로 고정자(3)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화살표(RD)는 따라서 회전자(6)의 의도된 회전 방향(RD)을 나타낸다.
리파이너(1)는 또한 명료함을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로딩(loading)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 장치는 섬유 재료가 실제로 리파이닝되는, 고정자(3)와 회전자(6) 사이의 리파이닝 갭(12), 즉, 리파이닝 챔버(12)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화살표(A)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에 부착된 회전자(6)를 앞뒤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리파이닝될 섬유 재료는 화살표(F)로 도시된 방식으로 피드 채널(13)을 통해 리파이너(1) 내로 피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리파이너(1) 내로 피딩되는 섬유 재료의 대부분은, 화살표(P)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방식으로,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에 형성된 개구(14)를 통해, 섬유 재료는 리파이닝되는 리파이닝 챔버(12) 내로 통과한다. 또한, 이미 리파이닝된 섬유 재료의 대부분은 차례로 고정자 블레이드 세그먼트(4)에 형성된 개구(15)를 통해 리파이너(1)의 프레임(2)과 고정자(3) 사이의 중간 공간(16) 내로 배출되며, 여기로부터 리파이닝된 재료는 화살표(D)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파이너(1)로부터 배출 채널(17)을 통해 제거된다.
도 1의 리파이너(1)의 회전자(6)와 프레임(2)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폐쇄되지는 않기 때문에, 리파이너(1) 내로 피딩되는 섬유 재료의 일부는 리파이닝 챔버(12)의 우측 단부로부터, 즉,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리파이너(1)의 제1 단부(18) 또는 내부 단부(18)로부터 리파이닝 챔버(12) 내로 이송될 수 있다. 상응하게, 이미 리파이닝된 재료의 일부는 또한 리파이닝 챔버(12)의 좌측 단부로부터,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직경을 갖는 리파이너(1)의 제2 단부(19) 또는 외부 단부(19)로부터 리파이닝 챔버(12)를 빠져나갈 수 있고, 여기로부터 중간 공간(16)에 대한 연결이 제공된다.
리파이너(1)의 도 1의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피드 채널(13)만이 제공되고, 이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리파이너(1)의 제1 단부(18)에 배열된다. 리파이너의 실제 구현은 또한 더 큰 직경을 갖는 리파이너(1)의 제2 단부(19)에 배열된 제2 피드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리파이너(1)의 배출 채널(17)은 예를 들어 리파이너(1)의 제1 단부(18)와 제2 단부(19) 사이의 어딘가에 배열될 수 있다. 다음에서, 참조 부호(18) 및 용어 제1 단부(18) 또는 용어 내부 단부(18)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리파이너(1)의 제1 단부(18) 또는 내부 단부(18) 및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리파이닝 챔버(12) 또는 리파이닝 요소(3, 6)의 제1 단부(18) 또는 내부 단부(18) 둘 모두를 나타낼 수 있다. 대응하게, 참조 부호(19) 및 용어 제2 단부(19) 또는 용어 외부 단부(19)는 더 큰 직경을 갖는 리파이너(1)의 제2 단부(19) 또는 외부 단부(19) 및 더 큰 직경을 갖는 리파이닝 요소(3, 6) 또는 리파이닝 챔버(12)의 제2 단부(19) 또는 외부 단부(19) 둘 모두를 나타낼 수 있다.
위에 개시된 원추형 리파이너 외에, 여기에 설명된 솔루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가 다른 종류의 원추형 리파이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된다. 원추형 리파이너 외에, 여기에 설명된 솔루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는 디스크 리파이너 및 원통형 리파이너 그리고 원추형 부분 및 디스크 부분 둘 모두를 포함하는 리파이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이웃하는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 세트의 일부의 개략적인 상부 경사도이고, 도 3은 회전자(6)의 리파이닝 표면(9)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기 위해 적용 가능한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개략적인 상부 경사도이다. 다음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 구조는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관점에서 더 자세히 고려되지만, 그러나 고정자 블레이드 세그먼트(4)의 구조는 달리 개시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자(6)의 내부 단부(18)를 향해 지향되는 내부 단부 에지(20) 또는 제1 단부 에지(2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더 큰 직경을 갖는 회전자(6)의 외부 단부(19)를 향해 지향되는 외부 단부 에지(21) 또는 제2 단부 에지(21)를 더 포함한다. 원추형 및 원통형 리파이너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내부 단부 에지는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축방향 내부 단부를 제공하고,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외부 단부 에지는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축방향 외부 단부를 제공하며, 축방향 내부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부 단부를 향하는 방향은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길이방향 축을 제공하고,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길이방향 축은 도 3에서 화살표(LA)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디스크 리파이너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내부 단부 에지는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내부 단부를 제공하고,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외부 단부 에지는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외부 단부를 제공하며, 반경 방향 내부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부 단부를 향하는 방향은 따라서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길이방향 축을 제공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내부 단부 에지(20)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외부 단부 에지(21)까지 연장되고 카운터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에지와 가장 먼저 만나는, 따라서 회전자(6)의 의도된 회전 방향(RD)을 향해 지향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측면 에지를 제공하는 제1 측면 에지(22) 또는 선단 측면 에지(22)를 더 포함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내부 단부 에지(20)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21)의 외부 단부 에지(21)까지 연장되고 카운터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에지와 마지막으로 만나는, 따라서 회전자(6)의 의도된 회전 방향(RD)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지향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측면 에지를 제공하며 제1 측면 에지(22) 반대편에 있는 제2 측면 에지(23) 또는 후미 측면 에지(23)를 더 포함한다. 내부 단부 에지(20) 및 외부 단부 에지(21)는 제1 측면 에지(22) 및 제2 측면 에지(23)와 함께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주변을 정의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리파이너(1)의 리파이닝 챔버(12) 쪽으로 지향되는 전면(25) 및 회전자(6)의 허브(7) 쪽으로 지향되는 백그라운드 표면(26)을 갖는 본체(24)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전면(25)에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을 함께 제공하는 블레이드 바아(27) 및 블레이드 홈(28)이 제공된다. 블레이드 바아(27)는 리파이닝될 재료를 디파이버링 및 리파이닝하도록 의도되고, 블레이드 홈(28)은 리파이닝 표면(9)을 따라 전방으로 리파이닝될 재료를 이송하도록 의도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를 회전자(6)의 허브(7), 또는 임의의 지지 구조에 직접 또는 고정 링(33)과 같은 지지 수단을 통해 체결하기 위한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체결 구멍(31, 32)을 더 포함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그 코너에, 블레이드 세그먼트(8)가 이웃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와 측방향으로 상호 접촉하여 가능하게는 서로 지지되는 연장부 또는 숄더(shoulder) 부분(34, 35, 36, 37)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솔루션에 따른 블레이드 세그먼트는 스루-피드 리파이너에서 사용되므로, 고정자 및/또는 회전자의 리파이닝 표면을 통해 펄프 피딩/배출을 허용하도록 개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개구는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부분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에 배열된다.
도 2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에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의 측면 상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단부 에지(20)에 있는 숄더 부분(34)과,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의 측면 상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2 단부 에지(21)에 있는 숄더 부분(36) 사이에 중단 없이 연장되는 연속적인 슬릿이 존재한다. 이 연속적인 중단되지 않는 슬릿 또는 베이(bay)는 베벨(bevel)(22c)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긴 에지 부분(22a, 22b)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긴 에지 부분(22a, 22b)의 방향은, 제1 측면 에지(22)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으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중앙 부분을 향해, 즉,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편위되도록 배열된다. 베벨(22c)은, 차례로, 제1 측면 에지(22)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으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즉,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길이방향 축(LA)에 대해 긴 측면 에지 부분(22a, 22c)과 반대 방향으로 편위되도록 배열된다. 도 2 및 도 3에 묘사된 것과 달리, 측면 에지(들)를 따라 하나 이상의 숄더 부재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슬릿이 군데군데에서 중단되어, 2 개의 숄더 부재 사이에 인덴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베벨(22c)은 이웃 세그먼트와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의 슬릿 또는 베이는, 제1 측면 에지(22)가 내부 단부 에지(20) 및 외부 단부 에지(21)의 숄더 부재들(34, 36) 사이에 완전한 직선을 형성하지 않고 완만한 지그재그 또는 번개 형상 에지를 갖는 길이방향 슬릿 또는 베이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에 있는 이 슬릿 또는 베이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에 개구(14)를 제공한다. 이 개구(14)는 블레이드 세그먼트(24)의 전면(25)으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후면 또는 백그라운드 표면(26)까지 연장되며, 따라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 또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된다.
또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양쪽 측면 에지(22, 23)에 실질적으로 유사한 개구(14)를 포함하여, 제2 측면 에지(23)가 또한 내부 단부 에지(20)과 외부 단부 에지(21) 사이에 완전한 직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제2 측면 에지(23)의 개구는 제2 측면 에지(23)로부터 반대쪽 제1 측면 에지(22)를 향해 연장된다.
고정자(3) 또는 회전자(6)의 리파이닝 표면(5, 9)을 형성하도록 위에 개시된 블레이드 세그먼트들을 서로 인접하는 조립할 때, 연속적인 길이방향 슬릿형 개구 또는 불연속적인 길이방향 슬릿형 개구가 인접한 블레이드 세그먼트들 사이에 제공된다.
도 5는 다른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개략적인 상부 평면도이다. 도 5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는 다수의 개구(14)를 포함하고, 각각은 제1 측면 에지(22)로부터 반대쪽 제2 측면 에지(23)를 향해 연장되는 인덴트의 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해,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에 개구(14)가 있어서, 제1 측면 에지(22)는 내부 단부 에지(20)과 외부 단부 에지(21) 사이에서 완전한 직선을 형성하지 않는다. 개구(14)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전면(25)으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후면 또는 백그라운드 표면(26)까지 연장되며, 따라서 개구(14)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 또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된다. 또한, 블레이드 세그먼트(8)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개구(14), 즉, 인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인덴트는 제2 측면 에지(23)가 또한 내부 단부 에지(20)와 외부 단부 에지(21) 사이에서 완전한 직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제2 측면 에지(23)로부터 반대쪽의 제1 측면 에지(22)를 향해 연장된다.
도 3 및 도 5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 또는 도 3 및 도 5의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은 피드 홈(29)을 더 포함한다. 피드 홈(29)은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에 배열된 개구(14)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에지를 향해,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2 측면 에지(23)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열되어, 피드 홈(29)이 블레이드 바아(28) 및 블레이드 홈(29)을 가로지른다. 피드 홈(29)은 개구(14)에서의 제1 단부(29a) 및 개구(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2 단부(29b)를 갖는다. 제1 측면 에지(22), 즉,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선단 측면 에지에 있는 개구(14) 및 피드 홈(29)은 흐름 연결을 형성하여, 개구(14)를 통해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백그라운드 표면(26)의 측면으로부터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전면(25)을 향해 리파이닝되어 공급되는 재료가 피드 홈(29)으로 들어가고,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중앙 부분을 향해 피드 홈(29)을 따라 흐르며, 따라서 리파이닝 표면(9)을 가로질러 리파이닝될 재료를 피딩한다. 동시에, 블레이드 세그먼트(8)가 회전자(6)와 함께 회전할 때, 피드 홈(29)에서 흐르는 재료에 영향을 미치는 힘은 재료를 피드 홈(29)으로부터 블레이드 바아들(27) 사이에 유지되는 블레이드 홈(28) 내로 강제하고, 따라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 상에 리파이닝될 재료를 분배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측면 에지(22)에 있는 개구(14)를 통한 재료의 피드 또는 공급에 의해,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파이닝 표면(9)의 주변 방향을 따라 즉시 리파이닝 표면(9) 상에서 흐르게 되고, 재료의 피드 또는 공급이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내부 단부 에지 위에서 이루어지는 리파이너에서 발생할 때 공급된 재료의 흐름을 축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부터 리파이닝 표면의 주변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는 운동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예를 들어 리파이닝의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 않는 리파이닝 작업 상의 특징을 피함으로써 리파이너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피드 홈(29)은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측면 에지(22) 상의 슬릿 또는 베이에 제1 단부(29a)를 갖고,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2 측면 에지(23), 즉,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반대쪽 측면 에지(23) 상의 슬릿 또는 베이에 또는 이에 근접한 제2 단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는 고정 링 부근에,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 세그먼트가 개개의 리파이닝 요소에 조립되는 고정 링 바로 앞 또는 뒤에 위치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피딩 홈(29)은 구체적으로 고정 링이 그렇지 않다면 연속적인 슬릿을 중단하는 슬릿의 해당 영역 부근에서 리파이닝 표면 위의 펄프 흐름을 향상시켜, 이에 따라 펄프가 볼트 구멍 주위뿐만 아니라 리파이닝 표면에도 자유롭게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슬릿이 숄더 부재에 의해 중단되어 불연속적이라면,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는 바람직하게는 숄더 부근에 위치할 것이고, 홈(29)은 볼트 구멍 위로 연장될 것이다.
피드 홈(29)에서 리파이닝 표면(9)의 구조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블레이드 바아(27)는 피드 홈(29)에서 인터레이싱된다. 피드 홈(29)에서 블레이드 바아들(27)의 인터레이싱은, 도 4의 실시예를 더 자세히 참조하면,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길이방향 축(LA)에 대해 피드 홈(29)의 일 측에 있는 블레이드 바아(27)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길이방향 축(LA)에 대해 피드 홈(29)의 반대쪽 측면에 있는 블레이드 바아들(27) 사이의 블레이드 홈(28) 내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블레이드 바아들(27)의 인터레이싱의 실시예가 도 4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도 4는 회전자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피드 홈(29)의 개략적인 상부 경사도이다. 블레이드 바아들(27)의 유사한 인터레이싱이 또한 도 5의 블레이드 세그먼트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피드 홈의 경로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레이드 바아(27)는 피드 홈(29)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4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길이 방향의 피드 홈(29)과 관련하여,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내부 단부 에지(20)의 방향으로부터 피드 홈(29)을 향해 그리고 피드 홈(29)까지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 바아(27a) 그리고 제1 블레이드 바아들(27a) 사이의 제1 블레이드 홈(28a)이 존재한다고 명시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길이 방향의 피드 홈(29)과 관련하여, 피드 홈(29)의 방향으로부터, 즉, 피드 홈(29)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외부 단부 에지(21)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블레이드 바아(27b) 그리고 제2 블레이드 바아들(27b) 사이의 제2 블레이드 홈(28b)이 존재한다고 명시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 바아(27a)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외부 단부 에지(21)를 향하고, 즉, 제2 블레이드 바아(27b)를 향하고 이웃하는 2 개의 제2 블레이드 바아들(27b) 사이에서 제2 블레이드 홈(28b) 내로 연장되는 단부(27a')를 갖는다. 제2 블레이드 바아(27b)는,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내부 단부 에지(20)를 향하고, 즉, 제1 블레이드 바아(27a)를 향하고 2 개의 이웃하는 제1 블레이드 바아들(27a) 사이에서 제1 블레이드 홈(28a) 내로 연장되는 단부(27b')를 갖는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바아(27a, 27b)의 단부(27a', 27b')는 서로 부분적으로 인터레이싱되도록 배열된 선형 하향 하강 경사 표면이어서,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a')는 2 개의 이웃하는 또는 인접하는 제2 블레이드 바아(27b)와 그의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b') 사이에서 제2 블레이드 홈(28b)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그에 상응하게,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b')는 2 개의 이웃하는 또는 인접하는 제1 블레이드 바아(27a)와 그의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a') 사이에서 제1 블레이드 홈(28a)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블레이드 바아(27a) 및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반대로 지향되는 단부(27a', 27b')는 따라서 반대로 위치된 블레이드 바아들(27a, 27b) 사이의 반대로 위치된 블레이드 홈(28a, 28b) 내로 차례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제1 블레이드 바아(27a) 및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반대로 지향되는 선형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a', 27b')는 상향 개방 V자형 피드 홈(29)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공한다.
도 4의 실시예와 다르게, 블레이드 바아(27a, 27b)의 단부(27a', 27b')는, 선형 하향 하강 경사 표면 대신에, 대안적으로 제1 블레이드 바아(27a)와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반대로 지향되는 단부(27a', 27b) 사이에 상향 개방 피드 홈(29)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공하도록 예를 들어 볼록한 방식의 또는 오목한 방식의 하향 하강 경사 표면일 수 있다. 따라서, 피드 홈(29)은 U자형 프로파일 또는 심지어 비행하는 조류 실루엣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피드 홈(29)에서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27, 27a, 27b)은 더 강한 블레이드 바아 구성을 만들고, 여기서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27, 27a, 27b) 또는 그 단부들은 피드 홈(29)에서 서로 지지되어, 이에 의해 피드 홈(29)에서 블레이드 바아들의 좌굴을 방지한다. 피드 홈(29)에서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27)은 또한 블레이드 바아가 마모될 때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절단-에지 길이를 균등화시킨다. 추가적으로, 피드 홈(29)에는 마모될 블레이드 바아 재료가 더 많이 있으므로, 따라서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리파이닝될 재료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백그라운드 표면(26) 측면으로부터 개구(14)를 통해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로부터 피드 홈(29) 내로 피딩된다. 재료는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로부터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를 향해 피드 홈(29)을 따라 흐르고, 동시에, 재료는 피드 홈(29)으로부터 블레이드 바아들(27) 사이의 블레이드 홈(28) 내로 그리고 블레이드 바아(27)의 상부에서 고정자(4)와 회전자(8) 블레이드 요소들 사이의 리파이닝 챔버(12) 내로 분배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 홈(29)의 체적은 피드 홈(29a)의 제1 단부(29a)로부터 제2 단부(29b)를 향해 그 경로를 따라 감소하도록 배열된다. 피드 홈(29)의 감소하는 체적은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로부터 그 제2 단부(29)를 향해 피드 홈의 감소하는 단면적을 의미한다. 제2 단부를 향해 피드 홈(29)의 감소하는 체적은 리파이닝되어 피드 홈(29) 내로 피딩되는 재료를 효과적으로 강제하여, 피드 홈(29)으로부터 블레이드 바아들(27) 사이의 그리고 블레이드 바아들(27) 상부의 블레이드 홈(28) 내로 고정자(4) 및 회전자(8) 블레이드 요소들 사이의 리파이닝 챔버(12) 내로 배출되게 한다. 피드 홈(29)의 체적은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로부터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를 향해 선행하는 블레이드 바아로부터 후속하는 블레이드 바아까지 피드 홈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감소하는 피드 홈의 체적은 피드 홈의 제1 단부로부터 피드 홈의 제2 단부를 향해 피드 홈을 따라 감소하도록 피드 홈에서 리파이닝 표면의 법선에 대해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의 하향 하강 경사 단부들의 각도를 배열함으로써 제공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예가 도 6a 및 도 6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 6a는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에서의 블레이드 바아들(27a, 27b)의 인터레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6b는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에서의 블레이드 바아들(27a, 27b)의 인터레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6a 및 도 6b에서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레이드 바아(27b) 및 그 단부(27b') 뒤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제1 블레이드 바아(27a) 및 그 단부(27a')를 도시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피드 홈(29)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의 법선(30)을 도시하고, 도 6a에서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에서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a')와 법선(30) 사이의 각도(a1) 및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하향 하강 단부(27b')와 법선(30) 사이의 각도(b1), 그리고 도 6b에서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에서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a')와 법선(30) 사이의 각도(a2) 및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하향 하강 단부(27b')와 법선(30) 사이의 각도(b2)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로부터,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에서 법선(30)과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a') 사이의 각도(a1)는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에서 법선(30)과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a') 사이의 각도(a2)보다 더 크고, 유사하게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에서 법선(30)과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하향 하강 단부(27b') 사이의 각도(b1)는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에서 법선(30)과 제2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b') 사이의 각도(b2)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드 홈(29)의 단면적 및 이에 따라 피드 홈(29)의 체적은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로부터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를 향해 감소한다.
도 6a 및 도 6b의 피드 홈(29)의 실시예는 피드 홈 외부로의 재료의 흐름을 감속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의해 피드 홈 외부로 재료가 파열과 같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드 홈 외부로 재료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흐름을 허용한다. 동시에, 이는 블레이드 바아의 총 절단-에지 길이를 증가시키므로, 따라서 전체 리파이닝 표면의 총 절단-에지 길이를 증가시킨다. 이들 특징은, 개시된 블레이드 세그먼트와 함께, 즉, 블레이드 세그먼트가 그 측면 에지 위에 재료의 공급을 갖고 따라서 그 주변 방향으로 재료의 현저한 흐름을 갖는 특징과 함께, 리파이닝될 재료에 대한 개선된 리파이닝 처리를 가져온다.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 피드 홈(29)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리파이닝 표면(9)의 법선(30)은, 법선(30)과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a') 사이의 각도 및 법선(30)과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하향 하강 단부(27b') 사이의 각도가 피드 홈(29)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피드 홈(29)의 중심선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각도들(a1 및 b1)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각도들(a2 및 b2)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법선(30)과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a') 사이의 각도 및 법선(30)과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하향 하강 단부(27b') 사이의 각도는 서로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각도들(a1 및 b1)은 서로 다소 상이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각도들(a2 및 b2)은 서로 다소 상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 홈(29)으로부터 외부로 리파이닝될 재료의 흐름은 법선(30)과 제1 블레이드 바아(27a)의 하향 하강 단부(27a') 사이의 각도 및 법선(30)과 제2 블레이드 바아(27b)의 하향 하강 단부(27b') 사이의 각도를 피드 홈(29)을 따라 상이한 부분들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서로 상이하도록 의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피드 홈(29)을 따라 상이한 부분들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의 하향 하강 경사 단부의 입사 평면의 수직 위치는 피드 홈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예는 또한 도 6a 및 도 6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도면들은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27a, 27b)의 대향하는 하향 하강 경사 단부들(27a', 27b')의, 참조 부호(PI)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는 입사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입사 평면(plane of incidence; PI)은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본체(24)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거리(H)에 배열되고,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본체(24)의 상단 표면은 참조 부호(24')로 표시된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본체(24)의 상단 표면(24')으로부터 입사 평면(PI)의 거리(H)가 피드 홈(29)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배열될 때,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작동 수명이 끝나기 전에 입사 평면(PI)이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리파이닝 표면(9)의 상단이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 홈은 블레이드 바아 및 블레이드 홈을 각도를 이루어 가로지르도록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 홈(29)은 바람직하게는 90도 내지 90도에서 ± 45도인 각도로 블레이드 바아(27) 및 홈(28)을 가로지른다. 이 실시예의 효과로서, 피드 홈(29)으로부터 블레이드 홈(28) 내로 그리고 블레이드 바아(27)의 상단 표면 상으로, 즉, 리파이닝 챔버(12) 내로 리파이닝될 재료가 더 양호하게 분배될 수 있다.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 홈은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만곡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는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와 다른,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길이방향 축(LA)을 따른 위치에 있다. 즉, 피드 홈의 단부들(29a, 29b)은 길이방향 축(LA)에 대해 동일한 법선 레벨에 위치하지 않고, 제1 단부(29a)는 하나의 법선 레벨에,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단부 에지(2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단부(29b)는 다른 법선 레벨에, 즉,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제1 단부 에지(2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로서, 펄프 흐름은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측면 에지(들)(22, 23)의 인덴트와 일치하지 않는 리파이닝 표면(9)의 부분 상으로 또는, 블레이드 세그먼트(8)의 체결 구멍 주위의 영역과 같이, 펄프 흐름에 덜 액세스 가능할 수 있는 리파이닝 표면(9)의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4)

  1.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refining)하기 위한 리파이너(refiner; 1)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blade segment; 4, 8)로서,
    상기 블레이드 세그먼트(4, 8)는
    제1 단부 에지(edge; 20) 및 제2 단부 에지(21),
    제1 측면 에지(22) 및 상기 제1 측면 에지(22)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면 에지(23) ― 상기 제1 측면 에지(22) 및 상기 제2 측면 에지(23)는 상기 제1 단부 에지(20)와 상기 제2 단부 에지(21) 사이에서 연장됨 ― ,
    상기 블레이드 세그먼트(4, 8)의 전면(25) 상의 블레이드 바아(bar; 27, 27a, 27b) 및 블레이드 바아 사이의 블레이드 홈(28, 28a, 28b)을 포함하는 리파이닝 표면(5, 9),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22, 23)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4, 15) ― 상기 개구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본체(24)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됨 ― , 및
    상기 리파이닝 표면(5, 9) 상의 적어도 하나의 피드 홈(feed groove; 29) ― 상기 피드 홈(29)은 상기 리파이닝 표면(5, 9)을 가로질러 리파이닝될 상기 재료를 피딩(feeding)하기 위해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 바아(27, 27a, 27b) 및 상기 블레이드 홈(28, 28a, 28b)을 가로지름 ― 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세그먼트(4, 8)의 상기 블레이드 바아들(27, 27a, 27b)은 상기 피드 홈(29)에서 인터레이싱(interlac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4, 15)는 상기 블레이드 세그먼트(4, 8)의 코너(corner)들에 배열된 연장부들 사이의 상기 측면 에지(22, 23)에서 연속적인 슬릿(sl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4, 15)는 상기 측면 에지(22, 23)의 인덴트(indent)이고, 반대쪽의 상기 측면 에지(22, 23)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바아들(27, 27a, 27b)은 상기 피드 홈(29)에서 반대 방향으로 지향되는 단부 부분들에서 인터레이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27a, 27b)의 반대 방향으로 지향되는 인터레이싱된 단부들(27a', 27b')은 상향으로 개방되는 상기 피드 홈(29)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a', 2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27, 27a, 27b)의 상기 단부(27a', 27b')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V자형 피드 홈(29)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선형 하향 경사 단부(27a', 27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홈(29)의 체적은 상기 개구(14, 15)에서의 상기 피드 홈(29)의 제1 단부(29a)로부터 상기 피드 홈(29)의 제2 단부(29b)를 향해 감소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홈(29)에서 상기 리파이닝 표면(5, 9)의 법선(30)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 바아(27, 27a, 27b)의 상기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a', 27b')의 각도(a1, a2, b1, b2)는 상기 피드 홈(29)의 상기 제1 단부(29a)로부터 상기 피드 홈(29)의 상기 제2 단부(29b)를 향해 상기 피드 홈(29)을 따라 감소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홈(29)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상기 블레이드 바아들(27, 27a, 27b)의 상기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a', 27b')와 상기 리파이닝 표면(5, 9)의 상기 법선(30) 사이의 상기 각도(a1, b1; a2, b2)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이싱된 블레이드 바아들(27, 27a, 27b)의 상기 인터레이싱된 하향 하강 경사 단부(27a', 27b')의 입사 평면(PI)의 수직 위치는 상기 피드 홈(29)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홈(29)은 상기 블레이드 바아(27, 27a, 27b) 및 상기 블레이드 홈(28, 28a, 28b)을 각도를 이루어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홈(29)은 상기 블레이드 바아(27, 27a, 27b) 및 상기 블레이드 홈(28, 28a, 28b)을 90도 내지 90도에서 ± 45도의 각도로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홈(29)은 연장 방향을 따라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세그먼트.
  14. 섬유 재료를 리파이닝하기 위한 리파이너로서,
    상기 리파이너(1)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4, 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이너.
KR1020227041874A 2020-06-08 2021-06-03 리파이너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 KR20230020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205590A FI130763B1 (fi) 2020-06-08 2020-06-08 Teräsegmentti jauhimeen
FI20205590 2020-06-08
PCT/FI2021/050413 WO2021250315A1 (en) 2020-06-08 2021-06-03 Blade segment for ref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412A true KR20230020412A (ko) 2023-02-10

Family

ID=7666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874A KR20230020412A (ko) 2020-06-08 2021-06-03 리파이너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20624A1 (ko)
EP (1) EP4162108A1 (ko)
JP (1) JP2023527923A (ko)
KR (1) KR20230020412A (ko)
CN (1) CN115702273A (ko)
BR (1) BR112022023677A2 (ko)
FI (1) FI130763B1 (ko)
WO (1) WO20212503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677B (fi) 2008-06-19 2014-11-28 Valmet Technologies Inc Jauhin, jauhinpinta, teräsegmentti ja menetelmä kuitumaisen materiaalin jauhamiseksi
FI121817B (fi) * 2009-03-18 2011-04-29 Metso Paper Inc Jauhimen jauhinpinta
SE538142C2 (sv) * 2014-03-05 2016-03-15 Valmet Oy Raffinörsegment och raffinöranordning för utjämning av fiberflöde i en raffinör
FI20175426A (fi) 2017-05-11 2018-11-12 Valmet Technologies Oy Teräsegmentti jauhim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0624A1 (en) 2023-07-13
EP4162108A1 (en) 2023-04-12
FI20205590A1 (en) 2021-12-09
CN115702273A (zh) 2023-02-14
FI130763B1 (fi) 2024-03-01
BR112022023677A2 (pt) 2022-12-20
WO2021250315A1 (en) 2021-12-16
JP2023527923A (ja)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942B2 (en) Refiner
US6024308A (en) Conically tapered disc-shaped comminution element for a disc refiner
CN109778581B (zh) 纤维精磨机中的精磨机区段
EP3401439B1 (en) Blade segment for a refiner
US9222219B2 (en) Blade element
EP2198082B1 (en) Refiner
AU721789B2 (en) Feeding element for fibrous material
KR20230020412A (ko) 리파이너를 위한 블레이드 세그먼트
FI129833B (en) Blade segments for a refiner
US11732587B2 (en) Blade element
CN112501940A (zh) 精磨机刀片元件
EP3919675A1 (en) Blade segment for a refiner
FI20216057A1 (en) REFINERS SEGMENT FOR REFINERS
WO2021229153A1 (en) Blade element for refiner
CN118076779A (en) Abrasive sheet for ref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