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202A -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202A
KR20230020202A KR1020210101996A KR20210101996A KR20230020202A KR 20230020202 A KR20230020202 A KR 20230020202A KR 1020210101996 A KR1020210101996 A KR 1020210101996A KR 20210101996 A KR20210101996 A KR 20210101996A KR 20230020202 A KR20230020202 A KR 2023002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chair
synthetic resin
chair
seat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가영
Original Assignee
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영 filed Critical 박가영
Priority to KR102021010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202A/ko
Publication of KR2023002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12Chairs of special material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기능과 함께, 피로가 누적된 종아리근육이나 발바닥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게 구성한 합성수지제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안락의자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본체 상면에 구성된 좌판에 엉덩이와 양측 허벅지가 닿는 부분에 요입부를 구성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좌판 전면 중앙에 돌부가 구성되게 하고, 본체 전면에 전판을 경사지게 구성한 다음 중앙돌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만곡요입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좌판에 앉으면, 양측 종아리 부분이 만곡요입부에 위치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발이 떨어져 허공에 위치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안락의자{ARMCHAIR MADE OF SYNTHETIC RESINS}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로 사출성형한 안락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안락의자의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종아리는 본체 전판에 구성된 만곡요입부에 위치되게 하고, 양측 발은 바닥으로부터 허공에 들려지게 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종아리와 발의 피로를 해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의자는 여러형태의 의자들이 제공되고 있다.
합성수지제 의자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공고번호 20-1995-0006202호 "포갤 수 있는 합성수지제 팔걸이 의자"(특허문헌 1)와, 실용신안등록 제20-0179563호 "합성수지재 회전간이의자"(특허문헌 2)와,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0-0005132호 "합성수지재 간이의자"(특허문헌 3) 등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ㄱ”자형 네다리가 좌판에서부터 홈이져서 하향으로 확개가되고 후부쪽다리사이에 등판연결대가 상향으로 확대가 되게 부착된 공지의 의자에 있어서 전부쪽의 “ㄱ”자형 다리와 좌판측면으로 "┙"자형 팔걸이지지대를 상향으로 확개가 되게 입설시키고 이들과 별개체로 양쪽팔걸이대가 형성된 등받이를 등판연결대의 걸림홈에 걸림돌기로 연결시키고 양쪽팔걸이대의 전부단내부로 팔걸이지지대의 상부단을 압삽시켜 상부단 내측면의 하단횡돌기가 전부단의 내측벽 내면의 전부종돌기와 후부하단 걸림턱에, 외측면의 하단후부턱은 외측벽내면의 하단횡돌기에 각각 결속되게 결합시켜서된 포갤수 있는 합성수지제 팔걸이 의자이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회전 간이 의자에 있어서, 의자체의 상면에 동심원 상으로 안내레일을 1 ∼ 다수줄 형성하고, 중앙부 삽입관은 상광하협한 관체로 형성하여 상측에 스프링 안착턱을 형성하며, 회전좌판은 저면중앙부에 하단에 걸림돌부를 가진 축관을 형성하여회전좌판을 의자체에 조립시 삽입관에 축관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하고, 회전좌판과 의자체의 스프링 안착턱 사이에 원추형 압축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쿠숀도 양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은, 좌판과 다리가 일체로 되어 사출성형한 합성수지재 간이의자에 있어서, 좌판 상면중앙부에 원형구멍을 형성하되 원형구멍 주연부가 좌판 저면으로 약간 돌출되게 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좌판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과 거리를 유지하여 6-12개정도의 반구형 요홈을 형성한 후 이곳에 볼을 안착시키며, 좌판 위에 회전좌판을 안착시키되, 상기 회전좌판은 일측에 등받이를 일체화시켜 형성하고 저면 중앙부에는 양측에 절개홈을, 그리고 하단부에 걸림돌부를 가진 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가 좌판 중앙부의 원형구멍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간이의자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게재된 의자의 경우, 의자의 기능을 주목적으로 하면서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좌판이 회전되도록 한 것이거나, 적재의 용이성을 위하여, 의자를 포갤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편안히 휴식을 취하면서, 종아리나 발바닥의 피로감까지 풀어줄 수 없는 미흡함도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공고번호 20-1995-0006202호 "포갤 수 있는 합성수지제 팔걸이 의자" 실용신안등록 제20-0179563호 "합성수지재 회전간이의자"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0-0005132호 "합성수지재 간이의자"
본 발명은 의자의 기능과 함께, 피로가 누적된 종아리근육이나 발바닥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게 구성한 합성수지제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안락의자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본체 상면에 구성된 좌판에 엉덩이와 양측 허벅지가 닿는 부분에 요입부를 구성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좌판 전면 중앙에 돌부가 구성되게 하고, 본체 전면에 전판을 경사지게 구성한 다음 중앙돌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만곡요입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좌판에 앉으면, 양측 종아리 부분이 만곡요입부에 위치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발이 허공에 위치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락의자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본체 상면에 구성된 좌판에 엉덩이와 양측 허벅지가 닿는 부분에 요입부를 구성함으로서, 좌판 전면 중앙에 돌부를 구성하고, 본체 전면에 전판을 경사지게 구성한 다음 중앙돌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만곡요입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좌판에 앉으면, 양측 종아리 부분이 만곡요입부에 위치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발이 떨어질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의자의 기능과 함께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근로자나, 달리기나 걷기운동 등으로 피로가 누적된 종아리근육이나 발바닥의 피로감을 풀어줄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 의자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의자의 사시도로서, 등판과 팔걸이가 구성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의 종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횡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안락의자(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락의자(10)에 등판(20)과 팔걸이(30)를 부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것이다.
안락의자(10)의 본체(40)에 구성되는 등판(20)과 팔걸이(30)는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사출성형한 다음 조립할 수도 있다.
안락의자(10)의 본체(40) 상면에 위치한 좌판(50)에 엉덩이와 허벅지모양의 요입부(51)를 구성하여 좌판(50) 전면 중앙에 돌부(52)를 형성시킨다.
본체(40) 전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전판(41)를 구성하되, 전판(41) 중앙부와 양측부에 중앙돌부(42)와 외측돌부(43)를 구성하여 그 사이에 만곡요입부(44)가 구성되게 한다.
상기 전판(41)은 상단부(41-1)와 하단부(41-2)로 구분하되, 도 3에서와 같이 상단부(41-1)의 경사가 하단부(41-2)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구성하여, 사용시 도 5에서와 같이 상단부(41-1)에 종아리가 닿게 하고, 하단부(41-2)에 위치하는 발은 바닥과 전판(41)으로부터 떨어져 허공에 위치될 수 있게 하여 안락감을 더하였다.
상기에서 전판(41) 상단부(41-1)의 경사각은 50~70°, 하단부(41-2)의 경사각은 75~85℃ 정도가 적합하나, 상기 경사각은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락의자(10) 역시 의자의 기능을 한다는 것은 일반의자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의자는 의자의 기능에 더하여 앉아서 편안히 휴식을 취하면서 종아리와 발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서서 일하는 사람이나, 걷기운동이나 산행을 한 사람이나, 농어촌에서 장시간 쪼그리고 앉아 노동하는 사람의 경우 무릎이나 종아리, 발목, 발에 많은 피로감이 쌓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락의자(10)에 앉으면 엉덩이 부분이 뒷쪽으로 깊게 형성된 요입부(51)에 위치하면서, 허벅지, 즉 양측 넓적다리부분이 돌부(52) 양측 요입부(51)에 위치하면서 윗쪽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동시에 양측 종아리는 본체(40)의 전판(41) 상단부(41-1)에 구성된 양측 만곡요입부(44)에 위치하고, 발은 바닥으로부터 들린 상태에서 하단부(41-2)에 구성된 만곡요입부(44)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전판(41) 상단부(41-1)에 구성된 만곡요입부(44) 경사는 완만하게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41-2)에 구성된 만곡요입부(44)는 거의 수직에 가깝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이 상단부(41-1)에 구성된 만곡요입부(44)에 접하게 되면, 발은 자연스럽게 바닥과 하단부(41-2)에 구성된 만곡요입부(44)로부터 떨어진 상태, 즉 허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아리부분은 전판(41)의 만곡요입부(44)에 위치하면서 종아리근육을, 종아리와 발의 무게정도로 가볍게 가압하게 되고, 발은 허공에서 아무런 부담없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양측 종아리가 전판(41)의 양측 만곡요입부(44)에 위치하고, 발은 바닥으로부터 들린 상태에서, 양측 종아리부분을 좌우로 가볍게 흔들거나 윗쪽으로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병행할 경우 종아리근육이나 관절근육, 발의 피로를 쉽게 풀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락의자(10) 성형시 필요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하여 좌판(50)의 높이나 크기를 달리할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안락의자(10)의 본체(40)가 대부분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보강부를 구성하지 않아도 충분한 내구성이 유지된다.
전판(41)에 구성된 중앙돌부(42)와 외측돌부(43)는 종아리부분을 감싸면서 중앙 혹은 외측으로 쏠리는 현상없이 지지하면서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며, 좌판(20)과 팔걸이(30)를 부가할 경우 더욱 안락한 휴식을 기대할 수 있다.
(10)--안락의자 (20)--등판
(30)--팔걸이 (40)--본체
(41)--전판 (41-1)--상단부
(41-2)--하단부 (42)--중앙돌부
(43)--외측돌부 (44)--만곡요입부
(50)--좌판 (51)--요입부
(52)--돌부

Claims (2)

  1.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안락의자의 좌판 상에 엉덩이와 양측 허벅지 형태의 요입부를 구성한 합성수지제 안락의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40) 전면에 전판(41)을 구성하고, 상기 좌판(41) 중앙부와 양측부에, 중앙돌부(42)와 외측돌부(43)를 구성하여, 그 사이에 만곡요입부(44)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40) 전면에 구성된 전판(41)은 경사지게 구성하되, 전판(41)을 상단부(41-1)와 하단부(41-2)로 구분하고, 상단부(41-1)의 경사가 하단부(41-2)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구성함으로서, 상단부(41-1)의 만곡요입부(44)에 사용자의 종아리를 위치시키면 하단부(41-2)에 위치하는 발은 전판(41)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KR1020210101996A 2021-08-03 2021-08-03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KR20230020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996A KR20230020202A (ko) 2021-08-03 2021-08-03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996A KR20230020202A (ko) 2021-08-03 2021-08-03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02A true KR20230020202A (ko) 2023-02-10

Family

ID=8522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996A KR20230020202A (ko) 2021-08-03 2021-08-03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20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02U (ko) 1993-08-06 1995-03-20 김종갑 승물 놀이구의 바퀴 축봉 연결 장치
KR20000005132U (ko) 1998-08-20 2000-03-15 이경철 합성수지재 간이의자
KR200179563Y1 (ko) 1999-04-03 2000-04-15 김석환 합성수지재 회전 간이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02U (ko) 1993-08-06 1995-03-20 김종갑 승물 놀이구의 바퀴 축봉 연결 장치
KR20000005132U (ko) 1998-08-20 2000-03-15 이경철 합성수지재 간이의자
KR200179563Y1 (ko) 1999-04-03 2000-04-15 김석환 합성수지재 회전 간이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20030101514A1 (en) Cushion and method for accommodating multiple body positions
US20060170273A1 (en) Chair for healthy sitting
US9609950B2 (en) Active seating cushion
US10575646B2 (en) Meditation seat
US5374109A (en) Three point cross-legged support seat
KR20230020202A (ko) 합성수지제 안락의자
US20020171283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human body and associated table
US5876098A (en) HI-CHI meditation chair
US6640808B1 (en) Apparatus for sexual intercourse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JP7312339B1 (ja) 座椅子型のシーソー運動用具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US11596243B2 (en) Rocking and bouncing chair
TWM567038U (zh) Foot block group
JP3233882U (ja) 腰痛予防体操用マットおよび腰痛予防体操用いす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KR100899013B1 (ko) 웰빙 발 받침대
KR100651132B1 (ko) 운동 의자
KR20220163594A (ko) 마사지 겸용 발 받침대
KR200292585Y1 (ko)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된 미용의자
TWM637871U (zh) 輔助脊椎正位舒壓之坐墊
JP2022033629A (ja) スツール
EP2280769B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