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947A - 장작 패는 기구 - Google Patents

장작 패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947A
KR20230018947A KR1020210101027A KR20210101027A KR20230018947A KR 20230018947 A KR20230018947 A KR 20230018947A KR 1020210101027 A KR1020210101027 A KR 1020210101027A KR 20210101027 A KR20210101027 A KR 20210101027A KR 20230018947 A KR20230018947 A KR 2023001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ree
firewood
slid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득
정원교
Original Assignee
정영득
정원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득, 정원교 filed Critical 정영득
Priority to KR102021010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947A/ko
Publication of KR2023001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7/00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 B27L7/06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using wedges, knives or spr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3/00Axes; H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7/00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 B27L7/08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using chopping blocks

Abstract

본 발명은 장작 패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날이 형성된 도끼 헤드(100); 상기 도끼 헤드(100)에 구비된 수평 지지구(200); 상기 수평 지지구(200)가 결합된 슬라이더(300); 상기 슬라이더(30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0); 상기 가이드(4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소정길이로 절단된 나무 위에 도끼 헤드를 고정한 후 이를 타격용 공구로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작 패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작 패는 기구{Device for splitting firewood}
본 발명은 장작 패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길이로 절단된 나무 위에 도끼 헤드를 고정한 후 이를 타격용 공구로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작 패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장작 패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장작은 소정길이의 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잘게 쪼개서 만든 땔감을 말한다.
이러한 장작은 환경보호 및 에너지절약의 일환으로 사용되는 화목 보일러의 연료, 캠핑 등 야외활동시 보온과 음식조리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화로의 연료, 음식점에서 구이나 훈연 요리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훈연기나 구이기의 연료, 찜질방용 연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장작은 통상 나무를 소정길이 단위로 절단한 후, 절단된 나무를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축에 수직방향으로 1회이상 도끼로 타격하여 쪼개서 제작하였다.
이때, 도끼로 나무를 쪼개기 위해서는. 소정 길이로 잘라진 쪼개지지 않은 나무 혹은 이미 소정 굵기로 쪼개진 나무를 세우거나 눕혀서 흔들리지 않도록하여야 하지만, 나무의 절단면 등이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서 흔들리지 않도록 세우기가 쉽지 않아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세운 후에 균형이 맞지 않아 나무가 넘어지거나 도끼날이 나무의 일측에 잘못 맞아서 나무가 넘어질 경우, 작업자가 부상을 입거나 도끼날이나 손잡이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나무를 안정적으로 세웠다고 하더라도 도끼날로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타격하여야 하지만, 사람이 도끼자루를 휘둘러서 나무상에 도끼날을 맞춰야 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타격하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장작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거나 도끼날 혹은 작업자가 다치는 일이 발생되고, 나무가 완전히 쪼개지지 않고 상부 일부만 쪼개지는 경우 도끼날이 해당 나무에 끼어서 이를 다시 빼낸후 재작업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작을 매우 잘게 쪼개기 위해서는 그 대상이 되는 나무 역시 두께가 얇아서 세우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타격점을 정확하게 맞추기도 어려워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작업 효율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공개실용신안 20-2016-0003721호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무를 내리쳐 쪼갤 수 있는 한 쌍의 날이 형성된 도끼 헤드(11)가 교차형 상태로 용접되는 구성이며, 상기 한 쌍의 도끼 헤드(11) 상단에 수직으로 긴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3)의 내부로는 항타부(14)가 삽입되어 상기 도끼 헤드(11)의 방향으로 항타력을 전이시키도록 구성된 도끼(10)가 제시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a와 11b는 교차형 상태로 용접된 제 1 도끼 헤드와 제 2도끼 헤드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끼는 한번에 여러조각으로 쪼갤수 있고, 타격점을 정확하게 조준할 수는 있지만 상하방향으로 스윙동작을 하여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직선운동을 하여 타격하도록 한 것으로 스윙동작에 비해 직선운동은 타격점에 힘이 적게 들어가서 나무를 쪼개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무를 세운 상태에서 도끼의 제 1도끼 헤드날이 나무의 타격점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한 후,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수용부 등을 잡은채로 항타부를 아래로 내려서 타격하여야 하지만, 항타부를 내리는 과정에서 나무와 제 1도끼 헤드간 접촉부분을 지지해주는 구성이 없어서 수용부가 항타부를 내리는 과정에서 비틀어지면서 나무의 중심축과 수용부가 직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 경우 도끼 헤드가 미끄러지면서 작업자가 다치거나 원하는 두께로 쪼개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날이 형성된 도끼 헤드를 슬라이더와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가이드를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하여 도끼 헤드의 날을 나무상에 원하는 위치로 위치시킨 후 도끼 헤드를 타격용 공구로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타격을 정확하게 하여 세밀하게 쪼개기가 가능하고 타격과정에서 나무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및 도끼의 손상을 방지한 장작 패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가이드의 하부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도끼 헤드가 나무를 쪼갠 후 날이 바닥 등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도끼 날을 보호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스톱퍼로 고정 혹은 해제되도록 하여 나무를 두 손으로 잡는 등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경우 상기 도끼 헤드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측에 날이 형성된 도끼 헤드; 상기 도끼 헤드에 결합된 수평 지지구; 상기 수평지지구가 결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끼 헤드의 날이 도끼 헤드의 하중에 의하여 나무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도끼 헤드의 상부면 즉 타격면을 타격용 공구로 타격함으로써 도끼용헤드가 가이드와 슬라이더의 작용에 의하여 직선으로 하강하면서 나무를 쪼개도록 하는 장작 패는 기구에 있다.
상기 가이드의 하부에는 슬라이더의 하강을 제한하고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이 더 구비되어 도끼날이 바닥이나 베이스와 접하지 않도록 하여 날을 보호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가 더 구비되어 도끼 헤드를 부양시킨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쪼개진 나무가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모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장작 패는 기구에는 소정폭을 가진 링형의 나무고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끼 헤드의 날이 도끼 헤드의 하중에 의하여 나무를 지지한 상태로 타격용 공구의 타격에 의하여 직선으로 하강하면서 나무를 쪼개게 되므로 원하는 굵기로 정확하게 쪼갤 수 있어 장작의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고, 매우 잘게 장작을 쪼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도끼 헤드가 잘못맞으면서 나무가 쓰러지는 일이 발생하지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도끼 헤드가 수평 지지구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도끼헤드가 작업자를 해할 수 없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수단에 의하여 도끼날은 바닥이나 베이스와 접하지 않게 되므로 날이 보호되어 장치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원하는 시점에 고정 혹은 해제할 수 있어 도끼 헤드를 부양시킨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무거운 나무를 위치시키는 등 작업자가 두 손을 모두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장작 패는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작 패는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작 패는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작 패는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작 패는 기구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에 날이 형성된 도끼 헤드(100); 상기 도끼 헤드(100)에 구비된 수평 지지구(200); 상기 수평 지지구(200)가 결합된 슬라이더(300); 상기 슬라이더(30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0); 상기 가이드(4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도끼 헤드(100)는 하부에 날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데, 타격용 공구의 타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면의 넓이를 가능한 넓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끼 헤드(100)는 수평 지지구(200)상에서 고정설치되거나, 나무의 두께 등에 따라 쪼개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 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동된 위치는 고정수단(고정나사 등)(110)으로 고정한다.
상기 수평 지지구(200)는 슬라이더(300)에 일체로 고정되는데, 도끼 헤드(100)가 하강하면서 나무를 쪼개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200)가 그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끼 헤드(100)의 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급적 평면상 폭이 얇도록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300)는 가이드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비되는데, 승강시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310)가 더 구비되어 도끼 헤드(100)를 부양시킨 상태로 고정시켜, 작업자가 두손을 모두 사용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스톱퍼(310)는 슬라이더(300)에 나선결합되고 그 종단은 슬라이더(300)를 관통하여 종단이 가이드(400)와 접촉되는 협지구(312), 상기 협지구(312)를 회전시키는 레버(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400)의 하부에는 완충수단(600)이 더 구비되어 슬라이더(400)의 하강을 제한하고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완충수단(600)에 의하여 도끼 헤드(10)의 날은 바닥이나 베이스(500)와 접하지 않게 되므로 날이 보호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작 패는 기구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슬라이더(300) 혹은 수평 지지구(200) 등을 잡고 도끼 헤드(100)를 승강시킨 상태로, 상기 도끼 헤드(100) 하부에 나무(70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스톱퍼(310)는 상승시킨 도끼 헤드(100)가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해준다.
이후 슬라이더(300) 등을 잡고 있던 손을 높거나 스톱퍼(310)를 해제하면 도끼 헤드(100)가 하강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이 나무(700)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도께 헤드(100)의 하중으로 나무(700)가 넘어지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끼 헤드(100)의 상부면을 타격용 공구로 타격하면 도끼 헤드(100)의 날이 나무를 쪼개면서 슬라이더(300)가 가이드(400)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완충수단(600)에 의하여 하강위치가 제어되므로 날이 베이스 등과 접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400)는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00)는 가이드(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도끼 헤드(100)와 이에 연결된 수평 지지구(200)를 스톱퍼(310)가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나무(700)를 쪼개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 세우는 과정에서는 도끼 헤드(100)를 옆으로 밀어놓음으로써 작접자가 두손으로 나무를 잡고 세울 수 있도록 하고, 나무를 세운 후 도끼 헤드(100)는 나무의 측부로 승강된 후 타격위치인 나무의 상부로 다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작 패는 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도끼 헤드(100)를 복수개의 슬라이더(300), 가이드(400)를 완충수단(600)을 통해서 지지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수평 지지구(200)는 복수개의 슬라이더(300)에 결합된 것으로, 타격시 장작 패는 기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장작 패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작 패는 기구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500) 중심에 턴테이블(800)을 구비하여 장작을 쪼개기 편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800)은 베이스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500)와 분리가능하도록 별도로 구성하여 턴테이블(80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할 수도 있다.
상기 턴테이블(800)은 상판(810)이 베어링이나 부시 등의 회전결합수단(820)을 통해서 베이스(500) 또는 턴테이블을 베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턴테이블 지지구(830)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쪼개진 나무가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모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폭을 가진 링형의 나무고정수단(9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800)상부에 나무고정수단(900)을 위치시키고, 나무(700)를 나무고정수단(900)내부에 위치시킨 후 타격용 공구(H)로 도끼 헤드(100)를 치면 나무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쪼개지지만 사방으로 흩어지지않고 모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턴테이블(800)을 회전시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무가 다음 쪼갤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턴테이블(800)은 360°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고, 소정각도(에를 들면 10°)씩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턴테이블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끼 헤드(100)의 날은 직선형이거나, 사선형이거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타격시 최초 접촉면적을 줄여 나무가 더 원활하게 쪼개지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도끼 헤드(100)의 날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로 뾰족하게 돌출부(120)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120)에 의하여 날이 나무와 점접촉을 통해서 고정되어 타격과정에서 그 충격으로 나무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작용은 상기 사선형이나 '∧'형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 즉 사선형은 날의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형은 날의 양측가장자리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타격용 공구로 나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위치된 도끼 헤드를 가격하여 나무를 쪼개므로 도끼헤드가 비틀어지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장작을 패는 데 힘이 적게 들며, 원하는 두께의 장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 도끼 헤드 200 : 수평 지지구
300 : 슬라이더 400 : 가이드
500 : 베이스 600 : 완충수단
700 : 나무 800 : 턴테이블
900 : 나무고정수단

Claims (6)

  1. 일측에 날이 형성된 도끼 헤드(100);
    상기 도끼 헤드(100)와 결합되며, 도끼 헤드(100)의 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 수평 지지구(200);
    상기 수평 지지구(200)가 결합된 슬라이더(300);
    상기 슬라이더(30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0);
    상기 가이드(4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패는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0)에는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3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패는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끼 헤드(100)의 날에는 하부로 뾰족하게 돌출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패는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0)는 가이드(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패는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작 패는 기구에는 베이스(500) 중심에 턴테이블(8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패는 기구.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작 패는 기구에는 쪼개진 나무가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모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나무고정수단(9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 패는 기구.
KR1020210101027A 2021-07-30 2021-07-30 장작 패는 기구 KR20230018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27A KR20230018947A (ko) 2021-07-30 2021-07-30 장작 패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27A KR20230018947A (ko) 2021-07-30 2021-07-30 장작 패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947A true KR20230018947A (ko) 2023-02-07

Family

ID=8525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027A KR20230018947A (ko) 2021-07-30 2021-07-30 장작 패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9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612A (en) Safety attachment for a table saw
CN204450725U (zh) 一种木材切割装置
US4535980A (en) Log holder for use in splitting logs
US4326703A (en) Cut log section holder for log splitting operation
US4033390A (en) Wood splitter
US4294298A (en) Impact cutting tool
US6453958B1 (en) Log splitting device
KR20230018947A (ko) 장작 패는 기구
US4350192A (en) Wood splitting device
CN104441170A (zh) 一种用于劈开木板的夹具
CN2891677Y (zh) 贝类开具
US4274458A (en) Log splitters
RU1696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калы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CN207267298U (zh) 一种石材加工切割机
CN107803864A (zh) 一种刀片式切管机
JP2016022361A (ja) 打撃式くるみ割器
CN111451993B (zh) 一种便于将钉子垂直作用面的护手固定器及其使用方法
US20090133557A1 (en) Sheet positioning device for table saw
CN109382883A (zh) 一种安全劈柴装置
KR20240000360U (ko) 장작절단용 기구
KR20120103949A (ko) 장작 패는 장치
KR102315692B1 (ko) 장작 패는 장치
JPH0428721Y2 (ko)
CN204772862U (zh) 一种圆盘锯防护罩结构
CN220146355U (zh) 建筑材料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