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763A -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763A
KR20230018763A KR1020210100667A KR20210100667A KR20230018763A KR 20230018763 A KR20230018763 A KR 20230018763A KR 1020210100667 A KR1020210100667 A KR 1020210100667A KR 20210100667 A KR20210100667 A KR 20210100667A KR 20230018763 A KR20230018763 A KR 20230018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command
user
input segm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525B1 (ko
Inventor
이정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10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5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은, 명령어 아이콘이 나열되는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과 다수의 입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아이콘 조합개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에서 선택된 명령어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조합개체의 입력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고, 선택된 복수의 명령어 아이콘은 서로 다른 입력 세그먼트에 각각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입력 세그먼트 중 상기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해당 입력 세그먼트를 판별하는 단계;
해당 입력 세그먼트와 상기 해당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된 명령어 아이콘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명령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METHOD FOR RUNNING USER-WRITTEN PROGRAM USING IC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아이콘을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화면에서 명령어 아이콘을 명령어 아이콘 조합개체의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의 작성이 쉽게 이루어지고,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된 명령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딩 교육은 주어진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논리력, 창의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근래에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코딩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지능형 로봇, 빅 데이터 분석 및 활용 등과 같이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변하는 것들을 바탕으로 하기에, 코딩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코딩 교육은 소스코드를 직접 타이핑하거나, 소스코드에 대응한 퍼즐 등을 맞추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를 경우 입력과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의 변화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어 코딩의 원리를 교육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3833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 중 어떤 명령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그래픽으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명령어 아이콘이 나열되는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과 다수의 입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아이콘 조합개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에서 선택된 하나의 명령어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조합개체의 입력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입력 세그먼트 중 상기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해당 입력 세그먼트를 판별하는 단계;
해당 입력 세그먼트와 상기 해당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된 명령어 아이콘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명령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제1 입력 세그먼트에서 제N 입력 세그먼트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명령을 실행한 후, 다시 제1 입력 세그먼트부터 제N 입력 세그먼트로 반복적으로 명령을 실행하거나, 먼저 명령이 실행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명령이 실행중인 해당 명령어 아이콘이 해당 입력 세그먼트에서 점핑하거나 1회 이상 깜박이는 제1 표시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은 RGB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RGB 제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 시, 명령의 실행에 따른 LED의 색을 명령의 실행 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이퀄라이져창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은 모터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모터 제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 시, 명령의 실행에 따른 모터의 속도를 명령의 실행 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다이얼창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은, 그림판 아이콘; 및 상기 그림판 아이콘의 선택 시, 제공되는 상,하,좌,우 이동키;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판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 시, 상기 이동키를 이용하여 점, 선,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할 수 있는 그림판창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해당 입력 세그먼트 중 임의의 입력 세그먼트를 선택적으로 조합하고, 선택된 입력 세그먼트의 명령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화면에 명령어 아이콘을 제공하고,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이콘 조합개체로 이동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작성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 중 어떤 명령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해당 아이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구동 보드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의 연결이나 설치 없이도, 자신이 작성한 프로그램의 동작 결과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 작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구동 시,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 화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3 내지 도 5는 LED 제어 아이콘을 이용하여 LED 점등 명령과 LED 소등 명령을 구현하는 예시도
도 6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을 확인할 수 있는 제1 표시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LED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는 실행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모터 제어 아이콘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설정하는 예시도
도 11은 그림판 아이콘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작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작성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작성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에 전송하여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 상에서 작성된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은 소정의 목적 달성을 위한 처리 방법과 순서를 기술한 일련의 명령문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가령 주변 조도에 따라 LED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문 집합체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문 집합체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환경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경우, 실행 결과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에서 실행되는 경우, 실행 결과가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령 휴대폰, 노트북, PDA, 태블릿 PC 및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가 휴대폰인 경우,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휴대폰에 설치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와 같은 외부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120)가 생성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가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생성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Zigbee, wi-fi direct 및 NFC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통신부(110)는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와 다양한 규격의 유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통신 방식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모리(13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장치일 수 있다. 가령 메모리(130)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메모리(130)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40)는 가령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LED(Light-Emitting Diode)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는 가령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및 버튼 중 어느 하나이거나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입력을 수행하는 터치 감지 수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 모터 연결 터미널(210), DC 모터 연결 터미널(220), 아날로그 출력 터미널(231), 디지털 출력 터미널(232), RGB LED 연결 터미널(233)과 같은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는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LED(240) 및 Dot-Matrix(250)와 같은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버튼(261, 2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는,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프로그램의 구동 시,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 화면(300)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은,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나열되는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과 다수의 입력 세그먼트(321)로 이루어지는 아이콘 조합개체(320)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선택된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을 상기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배치하고, 선택된 복수의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은 서로 다른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각각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입력 세그먼트(321) 중 상기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배치된 해당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를 판별하는 단계; 해당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와 상기 해당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배치된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연결되어야 하고, 상호 간의 블루투스로 연결된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기(100)에 프로그램 화면(30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100)와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 간의 통신연결은 상술한 블루투스 통신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NFC, 전력선 통신 또는 사용자 인증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의 통신연결이 성공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300)에 다수의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나열되는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과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입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아이콘 조합개체(320)가 제공된다.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은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명령을 실행하고자 하는 다수의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나열되어 있는 것으로,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100) 화면(300)의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프로그램 작성에 사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을 선택하고, 선택한 해당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을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은, LED 제어(점등/소등) 아이콘(311), RGB 제어 아이콘(312), 모터 제어 아이콘(313) 및/또는 그림판 아이콘(314)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나열한 명령어 아이콘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추가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LED의 점등 또는 소등의 제어 명령을 구현하기 위해 LED 제어 아이콘(311)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LED 제어 아이콘(311)을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에 드래그하거나 입력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드랍방식으로 이동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LED 제어 아이콘(311)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300)에는 LED 점등 아이콘(311a)과 LED 소등 아이콘(311b)이 더 제공된다.
상기 LED 점등 아이콘(311a)은 LED 점등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고, LED 소등 아이콘(311b)은 LED 소등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단말기 사용자는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LED 제어 아이콘(311)을 선택하고, 여기서 추가로 LED 점등 아이콘(311a) 또는/및 LED 소등 아이콘(311b)을 선택하며, 선택한 LED 점등 아이콘(311a) 또는/및 LED 소등 아이콘(311b)을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배치한다.
선택한 LED 점등 아이콘(311a) 또는/및 LED 소등 아이콘(311b)은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제1 입력 세그먼트(321)부터 제N 입력 세그먼트(325)에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순번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명령어 아이콘이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되고, 복수의 명령어 아이콘은 서로 다른 입력 세그먼트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상기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다수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 중 상기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입력 세그먼트를 판별한다.
상기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입력 세그먼트를 판별하는 단계에서는, 각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 시, 해당 입력 세그먼트에 명령어 아이콘의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판별할 수 있고, 첫번째 제1 입력 세그먼트(321)부터 제N 입력 세그먼트(325)까지 순차적으로 명령어 아이콘의 입력신호를 탐지하여 명령어 아이콘의 유무를 판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 중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배치되는 해당 입력 세그먼트를 판별한 후에는, 상기 명령어 아이콘과 해당 입력 세그먼트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하나의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배치되었지, 또는 복수의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이 서로 다른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각각 배치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실행버튼(360) 선택(터치 또는 클릭)에 의해, 해당 명령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다.
즉, 단말기 사용자는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LED 점등 아이콘(311a)과 LED 소등 아이콘(311b)을 선택하고, 선택한 LED 점등 아이콘(311a)과 LED 소등 아이콘(311b)을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각각 배치하며, 이로써 LED 점등 및 소등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작성되고, 이후 실행버튼(360)을 터치(선택)할 경우, 상기 LED 점등 명령과 LED 소등 명령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명령의 실행에 있어서,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서 마지막 또는 N번째의 제N 입력 세그먼트(325)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명령이 실행될 수 있고, 이후 제1 입력 세그먼트(321)부터 다시 제N 입력 세그먼트(325)로 반복적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LED 점등 아이콘(311a)과 LED 소등 아이콘(311b)이 도 5와 같이 배치되고 명령이 실행되면, 제1 입력 세그먼트(321)로부터 차례로 LED 점등-점등-소등-소등-점등의 명령이 실행되고, 이후 다시 제1 입력 세그먼트(321)부터 LED 점등-점등-소등-소등-점등의 명령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명령의 실행에 있어서,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서 N번째의 제N 입력 세그먼트(325)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명령이 실행되고, 이후 먼저 명령이 실행되었던 방향의 역방향으로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LED 점등 아이콘(311a)과 LED 소등 아이콘(311b)이 도 5와 같이 배치되면, 제1 입력 세그먼트(321)로부터 순차적으로 LED 점등-점등-소등-소등-점등의 명령이 실행되고, 이후 제N 입력 세그먼트(325)부터 제1 입력 세그먼트(321) 방향으로 LED 점등-소등-소등-점등-점등의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명령의 실행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가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복수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를 조합하여 실행순서를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예로 LED 점등 아이콘(311a)과 LED 소등 아이콘(311b)이 도 5와 같이 배치되고 사용자가 1번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된 1번 LED 점등 아이콘(311a)과 3번 입력 세그먼트(323)에 배치된 1번 LED 소등 아이콘(311b)을 선택하여 명령을 실행한 경우, LED 점등-소등 명령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을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배치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작성이 쉽게 완료되고 이후, 실행버튼(360)을 누르거나 터치하면 작성된 프로그램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에 배치된 명령어 아이콘(311a,311b) 중 현재 어느 명령어 아이콘(311a,311b)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중 인가를 실시간으로 단말기 화면(3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명령의 실행 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명령에 대응하는 해당 명령어 아이콘(311a)이 해당 입력 세그먼트(321,325)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점핑하거나, 1회 이상 깜박이는 제1 표시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 화면(300)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제1 표시방식에 의해 단말기 화면(300)과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의 실행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프로그램 보드(200)의 정상작동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 중 어떤 명령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제1 표시방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음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실행되는 명령의 표시를 상기 제1 표시방식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표시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행되는 명령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명령어 아이콘(311a,311b)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3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입력 세그먼트(321,323)에 배치되어 상기 명령어 아이콘(311a,311b) 간의 간격이 형성된 경우, 상기 명령어 아이콘(311a,311b)에 대응하는 명령의 실행 시점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고, 동일한 복수의 명령어 아이콘(311a 또는 311b)을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명령어 아이콘(311a,311b)에 대응하는 명령의 실행시간을 연장하거나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LED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는 실행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단말기 사용자가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RGB 제어 아이콘(312)을 선택하고, 상기 RGB 제어 아이콘(312)을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에 드레그하여 배치 시, LED 빛의 색 또는 밝기를 명령의 실행 전 미리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는 이퀄라이져창(330)이 단말기 화면(300)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RGB 제어 아이콘(312)과 상기 RGB 제어 아이콘(312)이 배치되는 해당 입력 세그먼트(321)를 판별하는 단계와, RGB 제어 아이콘(312)과 상기 해당 입력 세그먼트(321)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퀄라이져창(330)은, 명령의 실행에 따른 LED 빛의 색을 미리 표시하는 표시창(331); 및 붉은색(Red), 초록색(Green) 또는 파란색(Blu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가지 색을 혼합하여 상기 표시창(331)의 색을 조절 또는/및 설정하는 R,G,B 조절바(332a,333a,334a);를 포함한다.
상기 이퀄라이져창(330)은 단말기 화면(300)에서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의 하측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창(331)은 소정 면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표시창(331)의 우측 공간에는 R(RED) 조절바(332a), G(Green) 조절바(333a) 및 B(Blue) 조절바(334a)가 상,하로 배치된다.
상기 이퀄라이져창(330), 표시창(331) 및/또는 조절바(332a,333a,334a)의 위치와 형태는 상술한 위치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조절바(332a,333a,334a)에는 조절키(332b,333b,334b)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조절키(332b,333b,334b)를 조절바(332a,333a,334a) 내부에서 좌,우측으로 이동하여 LED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을 완성하게 된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 제어 아이콘(312)이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된 경우, 최초 R,G,B 조절바(332a,333a,334a)의 조절키(332b,333b,334b)는 좌측단에 위치하고, 표시창(331)의 색은 검정 또는 투명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R 조절바(332a)의 조절키(332b,333b,334b)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표시창(331)의 색은 점점 빨강(Red)로 조절 및 변경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하나의 RGB 제어 아이콘(312)이 제3 입력 세그먼트(323)에 배치되고, 이때 R,G,B 3개의 조절바(332a,333a,334a)의 조절키(332b,333b,334b)는 좌측단에 위치하여 표시창(331)의 색이 검정 또는 투명한 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G 조절바(333a)의 조절키(333b)를 우측 끝까지 이동시킬 경우, 표시창(331)의 색은 녹색(GREEN)으로 변경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하나의 RGB 제어 아이콘(312)을 제N 입력 세그먼트(325)에 배치하고, 이때 R,G,B 조절바(332a,333a,334a)의 조절키는 좌측단에 위치하여 표시창(331)의 색이 검정 또는 투명한 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B 조절바(334a)의 조절키(332b,333b,334b)를 우측 끝까지 이동시킬 경우, 표시창(331)에 색은 파랑(BLUE)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R 조절바(332a), G 조절바(333a) 또는 B 조절바(334a)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조절바를 조절하여 R,G,B 3개의 색을 혼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표시창(331)의 색을 다양한 색으로 쉽게 조절 및 설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퀄라이져창(330)을 이용하여 LED 빛의 색을 설정한 후, 실행버튼(360)을 클릭하면, LED 빛의 색이 사용자가 미리 이퀄라이져창(330)을 통해 설정한 색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RGB 제어 아이콘(312)을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하고, 각각의 표시창(331)에 표시되는 색을 이퀄라이져창(330)을 이용하여 설정한 후 실행버튼(360)의 터치 전,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RGB 제어 아이콘(312)을 클릭하게 되면, 클릭한 상기 RGB 제어 아이콘(312)의 현재의 색 상태를 실시간으로 재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속하여 색의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퀄라이져창(330)을 이용하여 LED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작성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실행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은, 모터를 구동시키고 모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아이콘(3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모터 제어 아이콘(313)을 선택 시, DC 모터 제어 아이콘(313)과 팬 제어 아이콘(313a)을 더 제공하고 있다.
상기 DC 모터 제어 아이콘(313)은 DC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아이콘이고, 팬 제어 아이콘(313a)은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아이콘이다.
단말기 사용자가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에서 모터(313)와 팬 제어 아이콘(313a)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모터 제어 아이콘(313)과 팬 제어 아이콘(313a)은 동일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팬 제어 아이콘(313a)을 선택하고, 상기 팬 제어 아이콘(313a)을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한 경우, 단말기 화면(300)에 다이얼창(340)(조그셔틀,Jog & shuttle)이 표시된다.
상기 다이얼창(340)은 모터 제어 아이콘(313)의 실행에 따른 모터 또는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 및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반경으로 형성되고, 일측부에 기준점이 형성되는 제1 다이얼(341); 및 상기 제1 다이얼(341)의 외주연에서 회전하고, 일측부에 기준점이 형성되는 제2 다이얼(342)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팬 제어 아이콘(313a)을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 시, 단말기 화면(300)에 다이얼창(340)이 제공되고,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창(340)의 제1 다이얼(34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팬 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다이얼(341)은 최초 기준점이 12시 방향에 위치하고, 이때 모터 또는 팬은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팬(또는 모터) 제어 아이콘(313a)이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되고 팬의 속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또 하나의 팬(또는 모터) 제어 아이콘(313a)을 또 다른 제4 입력 세그먼트(324)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4 입력 세그먼트(324)에 배치되는 팬 제어 아이콘(313a)은 제2 다이얼(342)을 사용하여 팬의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창(340)을 통해 팬 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제1 다이얼(341)의 기준점과 제2 다이얼(342) 기준점의 벌어진 각도 차를 이용하여 팬 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 다이얼(341)의 기준점과 제2 다이얼(342)의 기준점이 180도의 각으로 벌어진 경우(예를 들어, 제1 다이얼(341)의 기준점은 12시 방향에 위치하고, 제2 다이얼(342)의 기준점은 6시 방향에 위치한 경우) 팬 또는 모터의 회전속도가 최대로 증가하도록 실행할 수 있고,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간의 벌어진 각도가 "0"인 경우 팬 또는 모터의 회전속도가 "0"이 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리기 실행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은, 그림판 아이콘(314); 및 상기 그림판 아이콘(314)의 선택 시, 제공되는 상,하,좌,우 이동키(314a);를 포함한다.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에는 그림판 아이콘(314)이 제공되고, 상기 그림판 아이콘(314)을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하,좌,우 4개의 이동키(314a)가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에 더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그림판 아이콘(314)을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하게 되면, 단말기 화면(300)의 하부에 도트-메트릭스(DOT-MATRIX) 방식의 그림판창(350)이 제공된다.
상기 그림판창(350)은, 다수의 칸(351)(또는 도트)이 열과 행 또는 메트릭스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림판창(350) 내에서 상기 이동키(314a)를 이동하여 임의의 칸(351)에 점을 찍거나 상기 점이 연속되면서 선, 문자, 형상 또는 그림 등이 실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음,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세그먼트(321)로부터 제N 세그먼트(325)에 순차적으로 단말기 화면(300)에 제공되는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310)의 모터 제어 아이콘(313), 그림판 아이콘(314), LED 점등 아이콘(311a), 그림판 아이콘(314) 및 LED 소등 아이콘(311b)을 차례로 배치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명령어 아이콘(311a,311b,313,314)이 배치되는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를 판별하고, 상기 명령어 아이콘(311a,311b,313,314)과 해당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 모터 제어 아이콘(313)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다이얼창(340)이 제공되고, 다이얼창(340)을 통해 실행될 모터의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그림판 아이콘(314)을 제2 입력 세그먼트(322)에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그림판창(350)이 제공되고, 그림판창(350)을 통해 실행될 그림을 미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행버튼(360)을 터치하게 되면,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 제어 아이콘(313)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되고, 이때 상기 모터 제어 아이콘(313)이 제1 표시방법으로 제1 입력 세그먼트(321)에서 점핑하여 현재 명령이 실행되고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 화면(300)에 명령어 아이콘을 제공하고,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 아이콘(311,312,313,314)을 선택하여 아이콘 조합개체(320)의 입력 세그먼트(321,322,323,324,325)로 이동함으로써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떤 명령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해당 아이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구동 보드(200)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의 연결이나 설치 없이도, 자신이 작성한 프로그램의 동작 결과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이콘 조합개체(320)를 다수 제공할 수 있고, 다수의 아이콘 조합개체(320)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으며, 다수의 아이콘 조합개체(320)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메모리
140: 디스플레이부 200: 프로그램 구동 보드
210: 서보 모터 연결 터미널 220: DC 모터 연결 터미널
231: 아날로그 출력 터미널 232: 디지털 출력 터미널
233: RGB LED 연결 터미널 240: 상태 표시 LED
250: Dot-Matrix 261, 262: 버튼
300 : 단말기 화면 310 :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
311 : LED 제어 아이콘 311a : LED 점등 아이콘
311b : LED 소등 아이콘 312 : RGB 제어 아이콘
313 : 모터 제어 아이콘 314 : 그림판 아이콘
320 : 아이콘 조합개체 321,322,323,324,325 : 입력 세그먼트
330 : 이퀄라이져창 340 : 다이얼창
350 : 그림판창 360 : 실행버튼

Claims (8)

  1. 명령어 아이콘을 갖는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과 입력 세그먼트를 갖는 아이콘 조합개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에서 선택된 하나의 명령어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조합개체의 입력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입력 세그먼트 중 상기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해당 입력 세그먼트를 판별하는 단계;
    해당 입력 세그먼트와 상기 해당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된 명령어 아이콘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명령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제1 입력 세그먼트에서 제N 입력 세그먼트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명령을 실행한 후, 다시 제1 입력 세그먼트부터 제N 입력 세그먼트로 반복적으로 명령을 실행하거나, 먼저 명령이 실행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실행 중인 명령에 대응하는 해당 명령어 아이콘이 해당 입력 세그먼트에서 점핑하거나 1회 이상 깜박이는 제1 표시방식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은 RGB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RGB 제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 시, LED 빛의 색을 명령의 실행 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이퀄라이져창이 단말기 화면에 제공되고,
    상기 이퀄라이져창은,
    명령의 실행에 따른 LED 빛의 색을 미리 표시하는 표시창; 및
    붉은색, 초록색 또는 파란색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가지 색을 혼합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색을 조절 또는 설정하는 R,G,B 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은 모터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모터 제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 시, 명령의 실행에 따른 모터의 속도를 명령의 실행 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다이얼창이 단말기 화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아이콘 목록창은, 그림판 아이콘; 및 상기 그림판 아이콘의 선택 시, 제공되는 상,하,좌,우 이동키;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판 아이콘을 입력 세그먼트에 배치 시, 상기 이동키를 이용하여 점, 선,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할 수 있는 그림판창이 단말기 화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판창은 소정 면적의 칸이 열과 행으로 다수 나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키를 이동하여 임의의 칸에 점을 찍거나 상기 점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선,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명령어 아이콘이 배치된 해당 입력 세그먼트 중 임의의 입력 세그먼트를 선택적으로 조합하고, 선택된 입력 세그먼트의 명령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KR1020210100667A 2021-07-30 2021-07-30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KR10259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667A KR102595525B1 (ko) 2021-07-30 2021-07-30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667A KR102595525B1 (ko) 2021-07-30 2021-07-30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63A true KR20230018763A (ko) 2023-02-07
KR102595525B1 KR102595525B1 (ko) 2023-10-30

Family

ID=8525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667A KR102595525B1 (ko) 2021-07-30 2021-07-30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5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508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그래픽 기반 로봇 프로그래밍 시스템
KR20180060376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휴인텍 교육용 무선 이동 로봇의 구동을 위한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및 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컴퓨터
KR20180128196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큐브로이드 코딩 교육 로봇용 구동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1913833B1 (ko) 2016-11-16 2018-12-06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508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그래픽 기반 로봇 프로그래밍 시스템
KR101913833B1 (ko) 2016-11-16 2018-12-06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KR20180060376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휴인텍 교육용 무선 이동 로봇의 구동을 위한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및 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컴퓨터
KR20180128196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큐브로이드 코딩 교육 로봇용 구동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525B1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39458A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команды пользователя 3-х мерным способом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ующий это устройство
US10191568B2 (en) Deformable input device
KR101037901B1 (ko) 텐저블 프로그래밍 블록에 기반한 로봇 시스템
CN110647248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JP5646685B2 (ja) 照明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60949B1 (ko)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0679634B1 (ko) 아이콘 기반 로봇제어 프로그램 작성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095178A1 (en) Electronic block kit system for scratch programming
KR101101945B1 (ko) 터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리모컨 및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30083195A (ko) 터치를 이용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95525B1 (ko)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방법
US10503279B2 (en) Stylus with visible light regions
JP2011216065A (ja) 入力装置、制御回路、電子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CN103280186A (zh) 一种led汉字显示屏
KR102289915B1 (ko)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KR20130027252A (ko) 리모트 컨트롤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광터치 스크린 시스템, 및 상기 광터치 스크린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0437349B2 (en) Display device for interfacing by using smaller number of buttons of key pad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CN114503067A (zh) 使用手持式控制器选择属性
KR102419562B1 (ko)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KR20170036307A (ko) 소프트웨어 교육 로봇 시스템
KR102442163B1 (ko)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KR20220006347A (ko) 블록코딩 장치
JP2010049453A (ja) メニュー選択ウインドウ表示装置およびメニュー選択ウインドウ表示プログラム
US20160018809A1 (en) Ladder chart creation device, monitor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achine control device
US11249732B2 (en) GUI controller design support device,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