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001A -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8001A KR20230018001A KR1020210099615A KR20210099615A KR20230018001A KR 20230018001 A KR20230018001 A KR 20230018001A KR 1020210099615 A KR1020210099615 A KR 1020210099615A KR 20210099615 A KR20210099615 A KR 20210099615A KR 20230018001 A KR20230018001 A KR 202300180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electronic device
- disposed
- opening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698 laser cu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3 Reac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5 finger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변형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변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개구 및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제1 경도 부재와;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 및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와; 상기 제1 경도 부재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도 부재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경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는 전자 제품 중 중요한 장치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그 크기가 점차 소형화 되고 있다. 이에 반해 많은 사용자는 큰 화면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자장치 내부에 감거나 화면을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윈도우는 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박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형으로 형성되는 윈도우는 강도 성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강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윈도우에 별도의 코팅막 또는 필름을 적용하게 되면 폴딩 성능이 악화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강도 성능 및 폴딩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윈도우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변형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변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개구 및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제1 경도 부재와;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 및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와; 상기 제1 경도 부재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도 부재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경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는 글라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고경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시 손톱 및 액세서리에 의한 찍힘 및 스크래치 불량, 외부 충격에 의한 깨짐과 같은 파손 불량 및 디스플레이의 명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는 고경도 부재의 복수개의 개구 내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외부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변형(예: 폴딩, 슬라이딩, 롤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I-I'"를 따라 절취한 도면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경도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선"Ⅱ-Ⅱ'"를 따라 절취한 고경도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요철 형태의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요철 형태의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와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에 포함되는 고경도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의 외관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에 포함되는 고경도 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의 고경도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에 도시된 고경도 부재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폼 팩터의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I-I'"를 따라 절취한 도면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경도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선"Ⅱ-Ⅱ'"를 따라 절취한 고경도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요철 형태의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요철 형태의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와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에 포함되는 고경도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의 외관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에 포함되는 고경도 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의 고경도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에 도시된 고경도 부재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폼 팩터의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예: 폴더블 하우징),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예: 도 2의 힌지 커버(165)), 및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 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센서 영역(131d)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하우징(110)과 제1 후면 커버(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과 제2 후면 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폴딩 축(F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F 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펼침 상태(flat stage 또는 unfolding state)인지, 접힘 상태(folding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제2 하우징(12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131d)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 배치 영역(131d)은 제2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제1하우징(110)이 제2하우징(120)에 대하여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고 회전됨으로서 인 폴딩(in-folding) 방식 및/또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힌지 구조(164)는 전자 장치(100)를 위에서 바라 볼 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힌지 구조(164)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힌지 구조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개의 힌지 구조 중에서 일부 힌지 구조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면(111), 제1 면(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112), 및 제1 면(111)과 제2 면(11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측면 부재(113)는 폴딩 축(F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측면(113a), 제1 측면(1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113b) 및 제1 측면(1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F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측면(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 면(121), 제3 면(1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 면(122), 및 제3 면(121) 및 제4 면(12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측면 부재(123)는 폴딩 축(F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측면(123a), 제4측면(1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F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측면(123b) 및 제4 측면(1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F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측면(12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면(121)은 접힘 상태에서 제1 면(111)과 마주보도록 대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구조적 형상 결합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01)는 디스플레이(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으로 인해, 리세스(101)는 폴딩 축(F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01)는 제2 하우징(120) 중 폴딩 축(F 축)에 평행한 제1 부분(120a)과 제1 하우징(110) 중 센서 영역(131d)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부분(110a) 사이의 제1 폭(W1), 및 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120b)과 제1 하우징(110) 중 센서 영역(131d)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F 축)에 평행한 제2 부분(1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101)는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110)의 제1 부분(110a)으로부터 제2 하우징(120)의 제1 부분(120a)까지 형성되는 제1 폭(W1)과,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110)의 제2 부분(110b)으로부터 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120b)까지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의 제1 부분(110a) 및 제2 부분(110b)은 폴딩 축(F 축)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01)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의 형태 또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101)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3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 하우징(110)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131d)의 배치, 형상, 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 하우징(11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 영역(131d)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 영역(131d)을 통하거나, 또는 센서 영역(131d)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장치, 리시버,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140)는 제1 하우징(110)의 제2 면(112)에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1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후면 커버(150)는 제2 하우징(120)의 제4 면(1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에 의해 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는 폴딩 축(F 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후면 커버(140)는 제1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커버(150)는 제2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140), 제2 후면 커버(150),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 결합된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 안테나 모듈, 센서 모듈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커버(140)의 제1 후면 영역(141)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후면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후면 커버(150)의 제2 후면 영역(151)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52)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배치되는 스피커 모듈(15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130) 및 디스플레이(130)에 인접한 제1 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및 제2 하우징(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140), 제1 후면 커버(140)에 인접한 제1 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제2 후면 커버(150) 및 제2 후면 커버(150)에 인접한 제2 하우징(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제3 영역(131c), 제3 영역(131c)을 기준으로 일측(예: 제3 영역(131c)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131a) 및 타측(예: 제3 영역(131c)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역(131a)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면(111)에 배치되고, 제2영역(131b)은 제2 하우징(120)의 제3 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1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영역(131c) 또는 폴딩 축(F축)에 의해 디스플레이(1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다른 제3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제3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의한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전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제3 영역(131c)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131a)은, 제2 영역(131b)과 달리, 센서 영역(131d)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 영역(예: 도 3의 노치 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2 영역(131b)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31a)과 제2 영역(13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힌지 커버(165)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complete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서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13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31a) 및 제2 영역(131b)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131c)은 제1 영역(131a) 및 제2 영역(131b)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에 대하여 360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제2 면(112)과 제4 면(1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힐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131a)과 제2 영역(131b)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도 있다. 제3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131a)과 제2 영역(131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 unit)(13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힌지 구조(164)를 기준으로 분할된 제1 플레이트(1321) 및 제2 플레이트(13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힌지 구조(164)를 기준으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가 접힘 및/또는 펼침 상태로 회동될 경우, 함께 접힘이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예: 그라파이트 부재) 및/또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Cu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321)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노치 영역(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제1 지지부재(161), 제2 지지부재(162), 제1 지지부재(161)과 제2 지지부재(1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164), 힌지 구조(1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제1 지지부재(161)와 제2 지지부재(162)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플레이트(1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부재(161)는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131a)과 제1 인쇄 회로 기판(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62)는 디스플레이(130)의 제2 영역(131b)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163)와 힌지 구조(1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제1 지지부재(161)와 제2 지지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제3 영역(131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F))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61) 측에 배치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 지지부재(162) 측에 배치되는 제2 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172)은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172)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제1 지지 부재(161)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171), 배터리(119),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디스플레이(130)의 노치 영역(13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120)은 제2 지지 부재(162)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과 제1 지지 부재(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20)과 제2 지지 부재(16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서브 디스플레이(15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디스플레이(152)는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제1 회전 지지면(1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은 제1 회전 지지면(114)에 대응되는 제2 회전 지지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114)과 제2 회전 지지면(124)은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 지지면(114)과 제2 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를 덮어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 지지면(114)과 제2 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71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선"I-Ⅰ'"를 따라 절취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는 앞선 도면들을 통하여 언급된 전자 장치(100)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 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윈도우 부재(710)는 제1 미폴딩 영역(711), 제2 미폴딩 영역(712) 및 폴딩 영역(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폴딩 영역(711)은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제1 영역(301)과 대면할 수 있다. 제1 미폴딩 영역(711)은 제1 하우징(예: 도 3의 제1 하우징(110))과 대면할 수 있다. 제1 미폴딩 영역(711)의 적어도 일부와,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제1 영역(301)은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미폴딩 영역(712)은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제2 영역(302)과 대면할 수 있다. 제2 미폴딩 영역(712)은 제2 하우징(예: 도 3의 제2 하우징(120))과 대면할 수 있다. 제2 미폴딩 영역(712)의 적어도 일부와,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제2 영역(302)은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폴딩 영역(713)(또는, 변형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제3 영역(303)과 대면할 수 있다. 폴딩 영역(713)은 힌지 구조물(예: 도 3의 힌지 구조(164))과 대면할 수 있다. 폴딩 영역(713)은 제1 미폴딩 영역(711) 및 제2 미폴딩 영역(7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713)은 펼침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고 접힘 상태에서 곡면으로 형성되는 폴딩 가능한 변형 영역일 수 있다.
폴딩 영역(713)은 제1 메인 변형 영역(723)과, 제1 서브 변형 영역(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변형 영역(723)은 제1 서브 변형 영역(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7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변형 영역(723)과, 제1 서브 변형 영역(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은 전자 장치의 폴딩시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으로 굴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변형 영역(723)은 제1 서브 변형 영역(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에 비해 큰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굴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710)는 전자 장치의 전면(예: +Z축을 향하는 면)를 향해 디스플레이 모듈(3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710)는 디스플레이 모듈(3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완충 부재(701), 글라스 부재(702), 충격 보호 부재(730) 및 외부 보호 부재(703)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701)는 글라스 부재(702) 및 디스플레이 모듈(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701)는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보호할 수 있다. 완충 부재(701)는 외부 보호 부재(703)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701)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PO)을 사용할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는 완충 부재(701)와 충격 보호 부재(7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는 윈도우 부재(7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충격 보호 부재(730)는 저경도 부재(770)(또는, 제2 경도 부재), 충진 부재(750) 및 고경도 부재(760)(또는, 제1 경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저경도 부재(770)는 제1 저경도 부재(771) 및 제2 저경도 부재(7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771) 및 제2 저경도 부재(7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점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경도 부재(771)가 점성을 가지는 경우, 글라스 부재(702)는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제1 저경도 부재(771)를 통해 고경도 부재(76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772)가 점성을 가지는 경우, 외부 보호 부재(703)는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통해 고경도 부재(760)와 결합될 수 있다.
고경도 부재(760)의 굴절률은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및 충진 부재(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굴절률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경도 부재(760)는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및 충진 부재(75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및 충진 부재(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고경도 부재(760) 사이의 계면에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광의 반사율이 저감되므로, 외부광의 반사에 따른 시인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고경도 부재(760)는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및 충진 부재(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경도 부재(760)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PO)을 사용할 수 있다. 고경도 부재(760)의 경도는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윈도우 부재(7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및 충진 부재(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경도 부재(760)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및 충진 부재(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도는 고경도 부재(760)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윈도우 부재(710)의 폴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703)는 글라스 부재(702)에 포함된 박형 글라스의 파손시 비산에 의한 사용자의 상해를 차단하기 위해, 윈도우 부재(710)의 최상층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703)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4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703)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PO)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703)는 글라스 소재를 포함하거나, 필름층 또는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703)는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703)는 높은 빛 투과율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7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층들 사이에는 점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부재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 반응 점착제, 광 반응 점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경도 부재(760)는 복수의 개구(7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740)는 제1 서브 개구(741)와, 제2 서브 개구(742)와, 제1 메인 개구(7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741)는 제1 서브 변형 영역(7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개구(742)는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는 제1 메인 변형 영역(723)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변형 영역(723), 제1 서브 변형 영역(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722) 각각의 곡률 반경과 대응하도록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의 배치 밀도가 조절될 수 있다.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메인 변형 영역(723)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메인 개구(743)의 배치 밀도는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적은 서브 변형 영역(721,722)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서브 개구(741) 및 복수의 제2 서브 개구(7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치 밀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제1 메인 개구(743)의 개수는 복수의 제1 서브 개구(741) 및 복수의 제2 서브 개구(7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수보다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경도 부재(760)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깊이는 고경도 부재(76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는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보다 폭이 클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복수의 개구(740) 각각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제1 저경도 부재(771) 및 제2 저경도 부재(7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 부재(750)는 제2 저경도 부재(772)와 동일 재질로 제2 저경도 부재(772)와 일체화될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복수의 개구(740) 각각의 폭, 길이 및 깊이와 대응하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개구(741)에 충진되는 제1 충진 부재(751)의 폭은 제1 서브 개구(741)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서브 개구(742)에 충진되는 제2 충진 부재(752)의 폭은 제2 서브 개구(742)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에 충진되는 제3 충진 부재(753)의 폭은 제1 메인 개구(743)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의 폭은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보다 넓으므로, 제3 충진 부재(753)의 폭은 제1 충진 부재(751) 및 제2 충진 부재(752)보다 넓을 수 있다. 제3 충진 부재(753)는 전자 장치의 폴딩시 부하(또는, 변형)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제1 메인 변형 영역(723)에서 제1 충진 부재(751) 및 제2 충진 부재(752)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 충진 부재(753)는 제1 메인 변형 영역(723)에서 전자 장치(400)의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개구(740)는 폴딩 영역(713)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복수의 개구(740)는 미폴딩 영역(711,7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미폴딩 영역(711,712)에는 폴딩 영역(713)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740)보다 폭이 좁은 별도의 개구가 배치될 수 있다. 미폴딩 영역(711,712)에 배치되는 별도의 개구 내에는 충진 부재(750)가 충진될 수 있다. 미폴딩 영역(711,712)에 배치되는 별도의 개구의 밀도에 비례하여, 미폴딩 영역(711,712)에 배치되는 고경도 부재(760)의 무게가 저감되므로, 전자 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710) 내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의 두께는 윈도우 부재(710)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710) 내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의 두께는 전자 장치의 폴딩시의 곡률 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폴딩되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710)는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폴딩되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71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710) 내에 포함되는 완충 부재(701), 글라스 부재(702),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충진 부재(750) 및 고경도 부재(7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폴딩되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때,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경도 부재(760)는 윈도우 부재(710) 내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저경도 부재(771) 및 제2 저경도 부재(772)는 윈도우 부재(710) 내에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경도 부재(760)는 대략 100㎛의 두께로, 제1 저경도 부재(771) 및 제2 저경도 부재(7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략 10㎛의 두께로, 글라스 부재(702)는 대략 30㎛의 두께로, 완충 부재(701)는 대략 48㎛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경도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선"Ⅱ-Ⅱ'"를 따라 절취한 고경도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고경도 부재(760)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들(741,742,7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들(741,742,743)은 고경도 부재(760)의 길이 방향(예: y 축 방향) 및 길이 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예: x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들(741,742,743) 각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예: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들(741,742,743)은 고경도 부재(760)의 길이 방향(예: y 축 방향)을 따라 장공의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들(741,742,743)은 고경도 부재(760)의 폭 방향(예: x 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일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개구들(741,742,743)은 길이 방향(예: y 축 방향) 및/또는 폭 방향(예: x 축 방향)을 따라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들(741,742,743)은 고경도 부재(760) 내에서 서로 동일한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경도 부재(760)는 복수의 개구들(741,742,743)에 의해 타공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 슬릿(slit) 구조 또는 오프닝(open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은 나머지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의 폭(w3)은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w1,w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741)의 폭(w1) 및 제2 서브 개구(742)의 폭(w2)은 제1 메인 개구(743)의 폭(w3)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741)의 폭(w1) 및 제2 서브 개구(742)의 폭(w2)는 서로 다르거나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개구(743)의 폭(w3)은 서로 동일한 폭(w1=w2)을 가지는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의 폭(w3)의 최소폭은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대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인 개구(743)의 제3 폭(w3)은 제1 메인 변형 영역(723)의 중심에서 제1 서브 변형 영역(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722) 각각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개구(741)의 제1 폭(w1)은 제1 미폴딩 영역(711)과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제2 서브 개구(742)의 제2 폭(w2)은 제2 미폴딩 영역(712)과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741)는 제1 메인 변형 영역(723)과 인접한 제1 서브 변형 영역(721)의 일측(예: +x축을 향하는 측)에서 제1 미폴딩 영역(711)과 인접한 제1 서브 변형 영역(721)의 타측(예: -x축을 향하는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제2 서브 개구(742)는 제1 메인 변형 영역(723)과 인접한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의 타측에서 제2 미폴딩 영역(712)과 인접한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의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C1의 상태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의 접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C2는 윈도우 부재(710)의 제1 미폴딩 영역(711), 제2 미폴딩 영역(712) 및 폴딩 영역(713)(또는, 변형 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5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710)에 포함되는 충진 부재(750)는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충진 부재(751,752,7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경도 부재(760)와 접촉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전자 장치는 윈도우 부재(710)의 외부 보호 부재(703)가 외부로 노출되는 아웃 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아웃 폴딩될 때, 윈도우 부재(710)는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비해 곡률 반경이 크게 변경되어 윈도우 부재(710)에는 인장 응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인장 응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외부 보호 부재(703)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인장 응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00)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 부재(750)는 폴딩 영역(713)에서 역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충진 부재(751), 제2 충진 부재(752) 및 제3 충진 부재(7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향하는 상부폭(wu1,wu2,wu3)이 제1 저경도 부재(771)를 향하는 하부폭(wd1,wd2,wd3)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충진 부재(751)는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향하는 제1 상부폭(wu1)이 제1 저경도 부재(771)를 향하는 제1 하부폭(wd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충진 부재(752)는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향하는 제2 상부폭(wu2)이 제1 저경도 부재(771)를 향하는 제2 하부폭(wd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충진 부재(753)는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향하는 제3 상부폭(wu3)이 제1 저경도 부재(771)를 향하는 제3 하부폭(wd3)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향하는 상부폭(wu1,wu2,wu3)이 넓은 충진 부재(750)는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폴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전자 장치는 윈도우 부재(710)의 외부 보호 부재(70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인 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인 폴딩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윈도우 부재(710)에 비해 곡률 반경이 크게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윈도우 부재(710)에 비해 인장 응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인장 응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인장 응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외부 보호 부재(703)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폴딩 영역(713)에서 정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충진 부재(751), 제2 충진 부재(752) 및 제3 충진 부재(7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저경도 부재(771)를 향하는 하부폭(wd1,wd2,wd3)이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향하는 상부폭(wu1,wu2,wu3)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 부재(750)는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폴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 폴딩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9b에서, C1의 상태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의 접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C2는 윈도우 부재(710)의 제1 미폴딩 영역(711), 제2 미폴딩 영역(712) 및 폴딩 영역(713)(또는, 변형 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a 내지 도 9b에서,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5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710)는 제1 저경도 부재(771) 및 제2 저경도 부재(772)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고 나머지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의 제1 면(781) 및 제2 면(782) 중 어느 하나는 고경도 부재(760)와 접촉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의 제1 면(781) 및 제2 면(782) 중 나머지 하나는 제1 저경도 부재(771) 및 제2 저경도 부재(772)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충진 부재(750)가 충진되는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경도 부재(760)의 일부를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아웃 폴딩 방식의 전자 장치는 폴딩시 곡률 반경이 크게 변형되는 외부 보호 부재(703)와 인접한 제2 저경도 부재(7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772)에 비해 곡률 반경이 작게 변형되는 제1 저경도 부재(예: 도 5의 제1 저경도 부재(771))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772)는 외부 보호 부재(703)와 고경도 부재(7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772)에 비해 인장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하는 글라스 부재(702)는 별도의 제1 저경도 부재없이 고경도 부재(76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가 생략된 윈도우 부재(710)는 박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인 폴딩 방식의 전자 장치는 폴딩시 곡률 반경이 크게 변형되는 글라스 부재(702)와 인접한 제1 저경도 부재(7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771)에 비해 곡률 반경이 작게 변형되는 제2 저경도 부재(예: 도 5의 제2 저경도 부재(772))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771)는 글라스 부재(702)와 고경도 부재(7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저경도 부재(771)에 비해 인장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하는 외부 보호 부재(703)는 별도의 제2 저경도 부재없이 고경도 부재(76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가 생략된 윈도우 부재(710)는 박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경도 부재(760)의 제1 면(761)에서 글라스 부재(702)를 향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경도 부재(760)의 제2 면(762)에서 외부 보호 부재(703)를 향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개구(741), 제2 서브 개구(742) 및 제1 메인 개구(743)는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에 충진되는 제3 충진 부재(753)는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진 부재(751) 및 제2 충진 부재(752)와 동일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인 개구(743)는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보다 깊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에 충진되는 제3 충진 부재(753)는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진 부재(751) 및 제2 충진 부재(752)와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변형 영역(723)에 배치되는 제3 충진 부재(753)의 두께(t2)는 제1 서브 변형 영역(721)에 배치되는 제1 충진 부재(75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에 배치되는 제2 충진 부재(7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요철 형태의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일 예이며,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요철 형태의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710)는 요철 표면을 가지는 글라스 부재(702)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는 완충 부재(701)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 미폴딩 영역(711) 및 제2 미폴딩 영역(712)에서, 글라스 부재(702)의 두께는 완충 부재(701)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폴딩 영역(713)에서 글라스 부재(702)의 최소 두께는 완충 부재(701)의 두께보다 얇거나 두꺼울 수 있다. 폴딩 영역(713)에서 글라스 부재(702)의 최대 두께는 완충 부재(701)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의 두께 증가로 인해, 윈도우 부재(710)는 내충격 성능을 보강할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는 제1 미폴딩 영역(711) 및 제2 미폴딩 영역(712)에서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는 폴딩 영역(713)에서 요철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의 요철 표면은 제1 저경도 부재(771)와 접촉할 수 있다.
폴딩 영역(713)에서 요철 표면을 가지는 글라스 부재(702)는 제1 요부 영역(1201), 제2 요부 영역(1202) 및 제3 요부 영역(1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부 영역(1201), 제2 요부 영역(1202) 및 제3 요부 영역(1203)은 제1 저경도 부재(771)와 접촉하는 글라스 부재(702)의 제1 면(7021)으로부터 글라스 부재(702)의 제2 면(7022)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글라스 부재(702)의 제1 면(7021)은 제1 방향(예: +Z축을 향하는 방향)을 향하며, 글라스 부재(702)의 제2 면(7022)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Z축을 향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1 요부 영역(1201), 제2 요부 영역(1202) 및 제3 요부 영역(1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깊이는 글라스 부재(702)의 최대 두께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부 영역(1201), 제2 요부 영역(1202) 및 제3 요부 영역(1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깊이는 제1 서브 개구들(741), 제2 서브 개구들(742) 및 제1 메인 개구들(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깊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부 영역(1201)들은 제1 서브 변형 영역(721)의 제1 개구들(741)과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제2 요부 영역(1202)들은 제2 서브 변형 영역(722)의 제2 개구들(742)과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제3 요부 영역(1203)은 메인 변형 영역(723)의 제3 개구들(743)과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부 영역(1201)들과 제1 서브 개구들(741)은 동일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부 영역(1202)들과 제2 서브 개구들(742)은 동일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요부 영역(1203)들과 제1 메인 개구들(743)은 동일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부 영역(1201), 제2 요부 영역(1202) 및 제3 요부 영역(1203) 내에는 제1 저경도 부재(771)가 충진될 수 있다. 제1 요부 영역(1201)에는 제1 저경도 부재(771)의 제1 충진 영역(79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부 영역(1201)에 형성되는 제1 충진 영역(791)은 제1 서브 개구(741) 내에 충진되는 제1 충진 부재(751)와 중첩될 수 있다. 제2 요부 영역(1202)에는 제1 저경도 부재(771)의 제2 충진 영역(79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부 영역(1202)에 형성되는 제2 충진 영역(792)은 제2 서브 개구(742) 내에 충진되는 제2 충진 부재(752)와 중첩될 수 있다. 제3 요부 영역(1203)에는 제1 저경도 부재(771)의 제3 충진 영역(79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요부 영역(1203)에 형성되는 제3 충진 영역(793)은 제1 메인 개구(743) 내에 충진되는 제3 충진 부재(753)와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인 개구(743)의 깊이는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개구(743)의 깊이는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 내에 충진되는 제3 충진 부재(753)의 두께는 제1 서브 개구(741) 내에 충진되는 제1 충진 부재(751) 및 제2 서브 개구(742) 내에 충진되는 제2 충진 부재(752) 각각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개구(743)의 깊이는 제1 서브 개구(741) 및 제2 서브 개구(742)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743) 내에 충진되는 제3 충진 부재(753)의 두께는 제1 서브 개구(741) 내에 충진되는 제1 충진 부재(751) 및 제2 서브 개구(742) 내에 충진되는 제2 충진 부재(752) 각각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인폴딩 및 아웃 폴딩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는 인폴딩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와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5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그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1320)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320)은 전자 장치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인 펜촉(1310)을 포함할 수 있다. 펜촉(1310)은 스타일러스 펜(132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펜촉(1310)의 반지름(R)보다, 충진 부재(750)의 폭(w)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충진 부재(예: 도 5의 제1 충진 부재(751)), 제2 충진 부재(예: 도 5의 제2 충진 부재(752)) 및 제3 충진 부재(예: 도 5의 제3 충진 부재(7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w)은 펜촉(1310)의 반지름(R)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 부재(750)는 폴딩 부위에 스타일러스 펜(1320) 사용시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350㎛이하의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1320) 사용시, 펜촉(1310) 가압에 의한 눌림에 의해 글라스 부재(70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글라스 부재(702)에 인장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는 고경도 부재(760)를 구비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1320) 사용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폴더블 전자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는 3개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1410), 제2 하우징(1420) 및 제3 하우징(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10)과 제2 하우징(1420) 사이에는 제1 힌지 구조물(1414)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420)과 제3 하우징(1430) 사이에는 제2 힌지 구조물(1415)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하우징들(예: 3개 이상의 하우징들)이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교번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 구조물(1414)은 인-폴딩 방식(예: 표시 장치(160)가 마주보는 형태로 접히는 방식)으로 접힐 수 있고, 제2 힌지 구조물(1415)은 아웃-폴딩 방식(예: 후면 커버가 마주보는 형태로 접히는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힌지 구조물(1414) 및 제2 힌지 구조물(1415)이 모두 완전히 접힌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3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힌지 커버(1460)는 제1 하우징(1410) 및 제2 하우징(14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힌지 커버(1460)는, 전자 장치(1400)의 상태(펼쳐진 상태(flat status),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us)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us))에 따라, 제1 하우징(1410), 및 제2 하우징(14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후면 커버(1440)의 지정된 후면 영역(1490)을 통해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48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0)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us)(예: 도 2)인 경우, 제1 하우징(1410), 제2 하우징(1420) 및 제3 하우징(1430)은 실질적으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30)의 제1 영역(1401)의 표면, 제2 영역(1402)의 표면 및 제4 영역(1404)의 표면은 서로 180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1 힌지 구조물(1414)과 대응되는 제3 영역(1403)과 제2 힌지 구조물(1415)과 대응되는 제5 영역(1505)은 제1 영역(1401), 제2 영역(1402) 및 제4 영역(1404)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0)가 접힌 상태(folded status)(예: 도 2)인 경우, 제1 하우징(1410) 및 제2 하우징(14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400)가 접힌 상태(folded status)인 경우, 제2 하우징(1420) 및 제3 하우징(143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30)의 제1 영역(1401)의 표면 및 제2 영역(1402)의 표면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3 영역(1403) 및 제5 영역(1405)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에는 복수의 개구를 통해 격자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경도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예: 도 5의 윈도우 부재(71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에 포함되는 고경도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c에서는 고경도 부재만이 도시화되어 있으나,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고경도 부재는 도 5에 도시된 글라스 부재(702), 제1 저경도 부재(771), 제2 저경도 부재(772), 충진 부재(750) 및 외부 보호 부재(7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에는 인 폴딩 방식 및 아웃 폴딩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1 내지 제 3 미폴딩 영역(1511,1512,1513)과, 제1 폴딩 영역(1514)(또는, 제1 변형 영역) 및 제2 폴딩 영역(1515) (또는, 제2 변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폴딩 영역(1511)은 디스플레이(예: 도 14의 디스플레이(1330))의 제1 영역(예: 도 14의 제1 영역(1401)) 및 제1 하우징(예: 도 13의 제1 하우징(1410))과 대면할 수 있다. 제2 미폴딩 영역(1512)은 디스플레이(예: 도 14의 디스플레이(1330))의 제2 영역(예: 도 14의 제2 영역(1402)) 및 제2 하우징(예: 도 13의 제2 하우징(1420))과 대면할 수 있다. 제3 미폴딩 영역(1513)은 디스플레이(예: 도 14의 디스플레이(1330))의 제4 영역(예: 도 14의 제4 영역(1404)) 및 제3 하우징(예: 도 13의 제3 하우징(1430))과 대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 3 미폴딩 영역(1511,1512,1513)은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1514)은 디스플레이(예: 도 14의 디스플레이(1330))의 제3 영역(예: 도 14의 제3 영역(1403)) 및 제1 힌지 구조물(예: 도 14의 제1 힌지 구조물(1414))과 대면할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1514)은 제1 서브 변형 영역(1521), 제2 서브 변형 영역(1522) 및 제1 메인 변형 영역(15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변형 영역(1521)은 제1 미폴딩 영역(1511)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서브 변형 영역(1522)은 제2 미폴딩 영역(151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변형 영역(1531)은 제1 서브 변형 영역(15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15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변형 영역(1531)은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 제1 서브 변형 영역(15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1522)에 비해 변형률이 클 수 있다.
제2 폴딩 영역(1515)은 디스플레이(예: 도 14의 디스플레이(1330))의 제5 영역(예: 도 14의 제5 영역(1405)) 및 제2 힌지 구조물(예: 도 14의 제2 힌지 구조물(1415))과 대면할 수 있다. 제2 폴딩 영역(1515)은 제3 서브 변형 영역(1523), 제4 서브 변형 영역(1524) 및 제2 메인 변형 영역(1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변형 영역(1523)은 제2 미폴딩 영역(1512)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4 서브 변형 영역(1524)은 제3 미폴딩 영역(151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인 변형 영역(1532)은 제3 서브 변형 영역(1523) 및 제4 서브 변형 영역(15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인 변형 영역(1532)은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 제3 서브 변형 영역(1523) 및 제4 서브 변형 영역(1524)에 비해 변형률이 클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1514) 및 제2 폴딩 영역(1515)은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고 접힘 상태에서 곡면으로 형성되는 폴딩 가능한 변형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의 고경도 부재(1560)는 제1 폴딩 영역(1514) 및 제2 폴딩 영역(1515)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1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1540) 각각에는 충진 부재(예: 도 5의 충진 부재(750))가 채워질 수 있다. 충진 부재(750)는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1514)에서, 고경도 부재(1560)는 제1 서브 변형 영역(1521)에 배치되는 제1 서브 개구(1541)와, 제2 서브 변형 영역(1522)에 배치되는 제2 서브 개구(1542)와, 제1 메인 변형 영역(1531)에 배치되는 제1 메인 개구(15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1551)의 폭(w21)은 제1 서브 개구(1541)의 폭(w11) 및 제2 서브 개구(1542)의 폭(w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1551)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예: 도 5의 충진 부재(750))는 제1 서브 개구(1541) 및 제2 서브 개구(15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폴딩 영역(1515)에서, 고경도 부재(1560)는 제3 서브 변형 영역(1523)에 배치되는 제3 서브 개구(1543)와, 제4 서브 변형 영역(1524)에 배치되는 제4 서브 개구(1544)와, 제2 메인 변형 영역(1532)에 배치되는 제2 메인 개구(15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개구(1552)의 폭(w22)은 제3 서브 개구(1543)의 폭(w13) 및 제4 서브 개구(1544)의 폭(w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제2 메인 개구(1552)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예: 도 8의 충진 부재(750))는 제3 서브 개구(1543) 및 제4 서브 개구(15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영역(1514)과 제2 폴딩 영역(1515)은 인 폴딩 방식 및 아웃 폴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일하게 폴딩될 수 있다. 이 때, 제2 메인 개구(1552)의 폭(w22)은 제1 메인 개구(1551)의 폭(w21)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서브 개구(1543)의 폭(w13) 및 제4 서브 개구(1544)의 폭(w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서브 개구(1541)의 폭(w11) 및 제2 서브 개구(1542)의 폭(w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영역(1514)과 제2 폴딩 영역(1515)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폴딩 영역(1514)은 인 폴딩 방식으로 폴딩되고, 제2 폴딩 영역(1515)은 아웃 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아웃 폴딩 방식의 제2 폴딩 영역(1515)은 인 폴딩 방식이 적용되는 제1 폴딩 영역(1514)에 비해 변형률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폴딩 영역(1515)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는 제1 폴딩 영역(1514)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인 개구(1552)의 폭(w22)은 제1 메인 개구(1551)의 폭(w21)보다 클 수 있다. 제3 서브 개구(1543)의 폭(w13) 및 제4 서브 개구(1544)의 폭(w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서브 개구(1541)의 폭(w11) 및 제2 서브 개구(1542)의 폭(w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클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의 외관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600)는 디스플레이(1630)(예: 적어도 일부가 가용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1 하우징(1610) 및 제2 하우징(1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610)은 디스플레이(1630)의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620)은 제1 하우징(1610)을 기준으로 제1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제2 방향(예: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된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닫힌 상태(S1)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610) 및 제2 하우징(1620)이 제1 폭(Wa)만큼 Z축에 대해 중첩된 경우, 제1 크기(또는 제1 면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이 상측 방향(예: Z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닫힌 상태(S1)에서, 디스플레이(1630)는 외부로 시각적으로 노출된 제1 크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61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의 일측 가장자리(예: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의 상기 제2 방향(예: -X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 제3 방향(예: Y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 제4 방향(예: -Y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 제5 방향(예: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과 반대된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을 포함할 수 있다. 닫힌 상태(S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과 연장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1610) 및 제2 하우징(16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감겨져(또는 롤링(rolling)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펼쳐져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의 픽셀이 광을 조사하는 면이 전면 방향(예: Z축 방향)을 향하고, 픽셀이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는 후면 방향(예: -Z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의 일부는 휘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620)이 제1 하우징(161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디스플레이(1630)의 노출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린 상태(S2)(예: 디스플레이(1630)의 영역 확장을 위해 제2 하우징(1620)이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한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610) 및 제2 하우징(1620)이 제2 폭(Wb)(예: 상기 제1 폭(Wa)보다 작은 크기)만큼 중첩된 경우, 디스플레이(1630)는 외부로 노출된(또는 상기 상측 방향(예: Z축 방향)을 향하는) 제1 크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 및 제2 크기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을 포함할 수 있다. 열린 상태(S2)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의 제1 크기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의 제2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1 크기가 제2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620)의 슬라이딩 동작 거리 또는 이동 거리(예: x2)에 따라 제2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30)는 닫힌 상태(S1)에서 일부가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열린 상태(S2)에서, 감겨진 상태의 적어도 일부가 펼쳐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하우징(1620)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의 상기 제1 방향(예: X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3 방향(예: Y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4 방향(예: -Y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5 방향(예: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과 반대된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620)은 제1 하우징(1610) 내측과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고, 제1 하우징(1610) 내측면을 따라서 상기 제1 방향(예: 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예: -X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610) 및 제2 하우징(1620)이 슬라이딩되는 동안, 제1 하우징(1610) 및 제2 하우징(1620)은 디스플레이(163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610) 및 제2 하우징(1620) 내측에는 디스플레이(1630) 구동과 관련한 다양한 전자 요소, 전자 장치(1600)가 지원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과 관련한 전자 요소, 또는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600)에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해 신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1630)와 연결된 구동 장치(예: 액츄에이터(1680) 또는 모터)로 인해 전자 장치(1600)는 닫힌 상태(S1)에서 열린 상태(S2)로, 또는 열린 상태(S2)에서 닫힌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600)는 디스플레이(1630)와 관련된, 탄력 구조를 기초로 하는 슬라이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1630)가 설정된 거리로 이동되면, 탄력 구조로 인해, 더 이상의 외력 없이도 닫힌 상태(S1)에서 열린 상태(S2)로, 또는 열린 상태(S2)에서 닫힌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에 포함되는 고경도 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1600)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1700)는 미슬라이딩 영역(1710) 및 슬라이딩 영역(1711)(또는, 변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미슬라이딩 영역(1710)은 디스플레이(예: 도 16a의 디스플레이(1630))의 제1 영역(예: 도 16a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1601)) 및 제1 하우징(예: 도 16a의 제1 하우징(1610))과 대면할 수 있다. 미슬라이딩 영역(1710)은 슬라이더블의 전자 장치(1600)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1711)은 디스플레이(예: 도 16a의 디스플레이(1630))의 제2 영역(예: 도 16a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1602)) 및 제2 하우징(예: 도 16a의 제1 하우징(1620))과 대면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1711)의 일부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1600)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1600)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서 롤링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1711)은 제1 서브 변형 영역(1721), 제2 서브 변형 영역(1722) 및 제1 메인 변형 영역(17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변형 영역(1721)은 미슬라이딩 영역(171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 메인 변형 영역(1731)은 제1 서브 변형 영역(1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17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1711)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변형 영역(1721), 제2 서브 변형 영역(1722) 및 제1 메인 변형 영역(1731)은 전자 장치의 슬라이딩시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으로 굴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변형 영역(1731)은 제1 서브 변형 영역(1721) 및 제2 서브 변형 영역(1722)에 비해 큰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굴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1700)의 고경도 부재(1760)는 슬라이딩 영역(1711)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17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경도 부재(1760)는 제1 서브 변형 영역(1721)에 배치되는 제1 서브 개구(1741)와, 제2 서브 변형 영역(1722)에 배치되는 제2 서브 개구(1742)와, 제1 메인 변형 영역(1731)에 배치되는 제1 메인 개구(17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1743)는 제1 서브 개구(1741) 및 제2 서브 개구(17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1743)에 충진되는 제3 충진 부재(1753)는 제1 서브 개구(1741)에 충진되는 제1 충진 부재(1751) 및 제2 서브 개구(1742)에 충진되는 제2 충진 부재(17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충진 부재(1751,1752,1753)는 슬라이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rollable)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의 고경도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에 도시된 고경도 부재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도 20a 및 도 20b에서는 고경도 부재만이 도시화되어 있으나, 도 19,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고경도 부재(1760)는 도 17에 도시된 글라스 부재(1702), 제1 저경도 부재(1771), 제2 저경도 부재(1772), 충진 부재(1751,1752,1753) 및 외부 보호 부재(17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 19,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고경도 부재(176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7 및 도 18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롤러블 전자 장치는 미롤링 영역(1910), 제1 롤링 영역(1911)(또는, 제1 변형 영역) 및 제2 롤링 영역(1912)(또는, 제2 변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미롤링 영역(1910)은 제1 롤링 영역(1911) 및 제2 롤링 영역(19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링 영역(1911)은 미롤링 영역(1910)의 일측과 인접하도록 미롤링 영역(1910)의 일측 방향(예: +X방향 및 -X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링 영역(1912)은 미롤링 영역(1910)의 타측과 인접하도록 미롤링 영역(1910)의 타측 방향(예: +X방향 및 -X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블 전자 장치의 윈도우 부재에 적용되는 고경도 부재(1960)는 제1 롤링 영역(1911) 및 제2 롤링 영역(1912)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19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1940) 각각에는 충진 부재(예: 도 5의 충진 부재(750))가 채워질 수 있다. 충진 부재는 롤링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롤링 영역(1911)에서, 고경도 부재(1960)는 제1 서브 변형 영역(1921)에 배치되는 제1 서브 개구(1941)와, 제2 서브 변형 영역(1922)에 배치되는 제2 서브 개구(1942)와, 제1 메인 변형 영역(1931)에 배치되는 제1 메인 개구(19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1951)의 폭(wb1)은 제1 서브 개구(1941)의 폭(wa1) 및 제2 서브 개구(1942)의 폭(wa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1951)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예: 도 5의 충진 부재(750))는 제1 서브 개구(1941) 및 제2 서브 개구(19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링 영역(1912)에서, 고경도 부재(1960)는 제3 서브 변형 영역(1923)에 배치되는 제3 서브 개구(1943)와, 제4 서브 변형 영역(1924)에 배치되는 제4 서브 개구(1944)와, 제2 메인 변형 영역(1932)에 배치되는 제2 메인 개구(19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개구(1952)의 폭(wb2)은 제3 서브 개구(1943)의 폭(wb3) 및 제4 서브 개구(1944)의 폭(wb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제2 메인 개구(1952)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예: 도 5의 충진 부재(750))는 제3 서브 개구(1943) 및 제4 서브 개구(19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메인 개구(1952)의 폭(wb2)은 제1 메인 개구(1951)의 폭(wb1)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서브 개구(1943)의 폭(wa3) 및 제4 서브 개구(1944)의 폭(wa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서브 개구(1941)의 폭(wa1) 및 제2 서브 개구(1942)의 폭(w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브 개구(1943)의 폭(wa3) 및 제4 서브 개구(1944)의 폭(wa4) 각각은 제1 서브 개구(1741)의 폭(wa1) 및 제2 서브 개구(1942)의 폭(w12) 각각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폼 팩터(예: 싱글 폴더블, 멀티 폴더블, 롤러블 또는 슬라이더블)의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를 참조하면, 제1 서브 개구(2141), 제2 서브 개구(2142) 및 제1 메인 개구(2143)를 포함하는 고경도 부재(216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2141), 제2 서브 개구(2142) 및 제1 메인 개구(2143)는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하여 고경도 부재(2160)를 관통하도록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컷팅기로는 펨토초 레이저(femtosecond laser) 컷팅기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메인 개구(2143)는 제1 서브 개구(2141) 및 제2 서브 개구(2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박형의 글라스 부재(2102) 상에 제1 저경도 부재(2171)가 전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경도 부재(2171)는 슬롯 다이 코터(slot die coater)(2101)를 이용한 코팅 공정을 통해 평탄한 글라스 부재(210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1(c)를 참조하면, 제1 저경도 부재(2171) 상에 제1 서브 개구(2141), 제2 서브 개구(2142) 및 제1 메인 개구(2143)를 포함하는 고경도 부재(2160)가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도 21(d)를 참조하면, 라미네이팅된 고경도 부재(2160) 상에 제2 저경도 부재(2172) 및 제1 내지 제3 충진 부재(2151,2152,21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2172) 및 충진 부재(2151,2152,2153)는 바 코터(bar coater)를 이용한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충진 부재(2151,2152,2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 저경도 부재(2172)와 일체화될 수 있다. 제2 저경도 부재(2172)는 고경도 부재(2160)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제1 충진 부재(2151)는 제1 서브 개구(2141)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제2 충진 부재(2152)는 제2 서브 개구(2142)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제3 충진 부재(2153)은 제1 메인 개구(2143) 내에 충진될 수 있다.
도 21(e)를 참조하면, 제2 저경도 부재(2172) 상에 외부 보호 부재(2103)가 형성됨으로써 윈도우 부재가 완성될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2103)는 제2 저경도 부재 상에 라미네이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글라스 부재(2102), 제1 저경도 부재(2171), 고경도 부재(2160), 제1 내지 제3 충진 부재(2151,2152,2153), 제2 저경도 부재(2172) 및 외부 보호 부재(21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f)를 참조하면, 완성된 윈도우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2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2110) 상에 라미네이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300)와; 상기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713)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부재(710)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영역(713)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변형 영역(723)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변형 영역(7121,722)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710)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7121,722)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개구(741,742) 및 상기 메인 변형 영역(723)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제1 경도 부재(760)와;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 및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750)와; 상기 제1 경도 부재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도 부재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경도 부재(77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741,7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변형 영역은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비해 곡률 반경이 크게 굴곡될 수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과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아웃-폴딩(out-folding) 및 인-폴딩(in-fold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접히도록 변형되며, 상기 아웃-폴딩 형태로 변형되는 상기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충진 부재는 상기 변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역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인-폴딩 형태로 변형되는 상기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충진 부재는 상기 변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정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경도 부재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제1 경도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글라스 부재와; 상기 제1 경도 부재 상에 배치되는 외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아웃-폴딩(out-folding)의 형태로 접히도록 변형되며, 상기 제2 경도 부재는 상기 제1 경도 부재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보호 부재와 상기 고경도 필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는 상기 외부 보호 부재를 향하는 제1 경도 부재의 제1 면에서 상기 글라스 부재를 향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개구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개구보다 깊이가 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인-폴딩(in-folding)의 형태로 접히도록 변형되며, 상기 제2 경도 부재는 상기 제1 경도 부재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글라스 부재와 상기 고경도 필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는 상기 글라스 부재를 향하는 고경도 부재의 제2 면에서 상기 외부 보호 부재를 향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개구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개구보다 깊이가 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2 경도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부재는 상기 메인 개구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요부 영역과; 상기 서브 개구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요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경도 부재는 상기 메인 요부 영역 및 상기 서브 요부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글라스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부재의 최대 두께는 상기 완충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 반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도 부재는 상기 제2 경도 부재 및 상기 충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굴절률이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개구의 밀도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개구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에 포함되는 제1 변형 영역과 대면하는 제1 힌지 구조물과; 상기 제1 힌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힌지 구조물과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상기 제1 변형 영역인 제1 폴딩 영역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1 미폴딩 영역과; 상기 제2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2 미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에 포함되는 제2 변형 영역과 대면하며 상기 제2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2 힌지 구조물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힌지 구조물과 연결되는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제2 메인 개구 및 제2 서브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변형 영역인 제2 폴딩 영역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1 미폴딩 영역과; 상기 제2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2 미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과 대면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체결되어 슬라이딩 동작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과 대면하며 상기 변형 영역인 슬라이딩 영역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미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롤러블 전자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와 대면하며 상기 변형 영역인 롤러 영역과; 상기 롤링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미롤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변형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변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개구 및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제1 경도 부재와;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 및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와;
상기 제1 경도 부재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도 부재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경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서브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변형 영역은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비해 곡률 반경이 크게 굴곡될 수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과 대응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아웃-폴딩(out-folding) 및 인-폴딩(in-fold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접히도록 변형되며,
상기 아웃-폴딩 형태로 변형되는 상기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충진 부재는 상기 변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역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인-폴딩 형태로 변형되는 상기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충진 부재는 상기 변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정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경도 부재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제1 경도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글라스 부재와;
상기 제1 경도 부재 상에 배치되는 외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아웃-폴딩(out-folding)의 형태로 접히도록 변형되며,
상기 제2 경도 부재는 상기 제1 경도 부재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보호 부재와 상기 제1 경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는 상기 외부 보호 부재를 향하는 제1 경도 부재의 제1 면에서 상기 글라스 부재를 향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개구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개구보다 깊이가 깊은 전자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따라서 인-폴딩(in-folding)의 형태로 접히도록 변형되며,
상기 제2 경도 부재는 상기 제1 경도 부재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글라스 부재와 상기 제1 경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는 상기 글라스 부재를 향하는 제1 경도 부재의 제2 면에서 상기 외부 보호 부재를 향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개구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개구보다 깊이가 깊은 전자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2 경도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부재는
상기 메인 개구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요부 영역과;
상기 서브 개구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요부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도 부재는 상기 메인 요부 영역 및 상기 서브 요부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부재의 최대 두께는 상기 완충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 반지름보다 작은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도 부재는 상기 제2 경도 부재 및 상기 충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굴절률이 동일한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개구의 밀도는 상기 서브 변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개구의 밀도보다 높은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에 포함되는 제1 변형 영역과 대면하는 제1 힌지 구조물과;
상기 제1 힌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힌지 구조물과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메인 개구 및 상기 서브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상기 제1 변형 영역인 제1 폴딩 영역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1 미폴딩 영역과;
상기 제2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2 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에 포함되는 제2 변형 영역과 대면하며 상기 제2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2 힌지 구조물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힌지 구조물과 연결되는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제2 메인 개구 및 제2 서브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변형 영역인 제2 폴딩 영역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1 미폴딩 영역과;
상기 제2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2 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과 대면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체결되어 슬라이딩 동작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과 대면하며 상기 변형 영역인 슬라이딩 영역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미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롤러블 전자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와 대면하며 상기 변형 영역인 롤링 영역과;
상기 롤링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미롤링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9615A KR20230018001A (ko) | 2021-07-29 | 2021-07-29 |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EP22849709.5A EP4361758A1 (en) | 2021-07-29 | 2022-06-09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member |
PCT/KR2022/008147 WO2023008730A1 (ko) | 2021-07-29 | 2022-06-09 |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9615A KR20230018001A (ko) | 2021-07-29 | 2021-07-29 |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8001A true KR20230018001A (ko) | 2023-02-07 |
Family
ID=8508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9615A KR20230018001A (ko) | 2021-07-29 | 2021-07-29 |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4361758A1 (ko) |
KR (1) | KR20230018001A (ko) |
WO (1) | WO202300873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2279B1 (ko) * | 2017-12-28 | 2024-05-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
JP2019219545A (ja) * | 2018-06-21 | 2019-12-26 | 彰 平井 | 高硬度フレキシブル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
KR20210047616A (ko) * | 2019-10-22 | 2021-04-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146730B1 (ko) * | 2019-12-23 | 2020-08-24 | (주)유티아이 |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
KR102246919B1 (ko) * | 2020-03-05 | 2021-05-03 | (주)유티아이 |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
-
2021
- 2021-07-29 KR KR1020210099615A patent/KR2023001800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6-09 WO PCT/KR2022/008147 patent/WO202300873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6-09 EP EP22849709.5A patent/EP4361758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361758A1 (en) | 2024-05-01 |
WO2023008730A1 (ko) | 2023-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424272B (zh) | 显示模块和包括该显示模块的电子装置 | |
KR102660605B1 (ko) | 폴더블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장치 | |
US11592865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 |
KR20230074432A (ko)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0620668B2 (en) | Display device | |
CN113906365B (zh) | 包括弹性构件的电子装置 | |
US10429893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 |
EP3739427A1 (en)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coating for protecting window | |
US20220240637A1 (en) | Protective cover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US11432410B2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display | |
KR102690272B1 (ko) |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12789674A (zh) | 包括抗反射层和防眩层的柔性显示装置及包括其的电子装置 | |
KR20210034480A (ko)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12020693A (zh) | 具有用于保护窗口的涂层的电子装置 | |
KR20230018001A (ko) |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20067458A (ko)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716508B1 (ko)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220404871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housing | |
KR20220169672A (ko) | 폴더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40152667A (ko) | 전자 장치 | |
KR20230153203A (ko) | 플렉서블 글래스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40008224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30063998A (ko)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