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691A -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691A
KR20230017691A KR1020210099521A KR20210099521A KR20230017691A KR 20230017691 A KR20230017691 A KR 20230017691A KR 1020210099521 A KR1020210099521 A KR 1020210099521A KR 20210099521 A KR20210099521 A KR 20210099521A KR 20230017691 A KR20230017691 A KR 2023001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 interval
learning
biosign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831B1 (ko
Inventor
박준상
안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to KR102021009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8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3Detecting tachycardia or bradycar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8Artificial waveform generation or derivation, e.g. synthesising signals from measure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2Knowledge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 G06N5/022Knowledge engineering; Knowledge acquis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길이가 다른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시간 축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TRAINING DATA OF ANALYSIS MODEL FOR BIO-SIGNAL}
본 발명은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인류 전체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있으며, 의료 환경에서도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병원에 가지 않고 일상 생활 중에 심전도를 분석하여 부정맥을 판별할 수 있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대중들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탑재하게 되는데, 인공지능 모델의 판별의 대상이 되는 부정맥의 유형 중에는 빈맥성 부정맥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빈맥성 부정맥은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면서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빈맥성 부정맥과 무관하게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는 중에도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달리기와 같은 심한 육체적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는 중에도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다만, 종래의 인공지능 모델은 위와 같은 정상적인 상태에 관하여 단지 심장 박동 수가 증가하였다는 이유만으로 빈맥성 부정맥으로 잘못 판별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고, 이러한 인공지능 모델의 잘못된 판별 결과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심장 박동 수를 빈맥성 부정맥에서 나타나는 심장 박동 수와 동등한 수준으로 스케일링(또는 리사이징)함으로써, 인공지능 모델이 심장 박동 수가 아닌 빈맥성 부정맥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특징(파형, 패턴, 특징점 등)을 기준으로 빈맥성 부정맥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길이가 다른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시간 축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길이가 다른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시간 축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심장 박동 수를 빈맥성 부정맥에서 나타나는 심장 박동 수와 동등한 수준으로 스케일링(또는 리사이징)함으로써, 인공지능 모델이 심장 박동 수가 아닌 빈맥성 부정맥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특징(파형, 패턴, 특징점 등)을 기준으로 빈맥성 부정맥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셀룰러(LTE 등) 통신, 블루투스 통신(더 구체적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은,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위의 제1 시간 구간과 길이가 다른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도록 위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하고, 위의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위의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시간 축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패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인체로부터 소정의 생체 신호(예를 들어, 심전도)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 수단(예를 들어, 접촉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사용자가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성격은 후술할 바와 같은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데이터 관리부(210), 학습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은 데이터 관리부(210), 학습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데이터 관리부(210), 학습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300) 또는 서버(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210)는,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위의 제1 시간 구간과 길이가 다른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도록 위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심전계(예를 들어, 12 리드 심전계, 홀터 심전계, 웨어러블 심전계 등)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데이터는, 12 리드 심전도(12-lead ECG)에 관한 데이터로서 lead Ⅰ, lead Ⅱ, lead Ⅲ, lead aVR, lead aVL, lead aVF, lead V1, lead V2, lead V3, lead V4, lead V5 및 lead V6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210)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길이로서 형성되는 시간 구간(이하, "제1 시간 구간"이라 한다.)마다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부(210)가 적어도 하나의 심전계로부터 획득한 생체 신호 데이터는 각각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210)는, 제1 시간 구간(A)마다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 생체 신호 데이터가 차지하는 제1 시간 구간(A)의 길이는 't1'일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210)는,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또는 리사이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210)는,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 축상에서 압축함으로써, 생체 신호 데이터가 차지하는 시간 축상 길이를 제1 시간 구간의 길이보다 짧게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부(210)에 의하여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는, 제1 시간 구간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서 형성되는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210)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시간 구간(A)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제2 시간 구간(B)을 차지할 수 있도록 위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가 차지하는 제2 시간 구간(B)의 길이는, 스케일링하기 이전의 생체 신호 데이터가 차지하는 제1 시간 구간(A)의 길이(t1)보다 짧은 't2'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부(220)는, 위의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위의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시간 축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부(220)는, 데이터 관리부(210)에 의하여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간 축상에서 조합함으로써 그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서 나타나게 되는 심장 박동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위의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시간 축상 길이는 제1 시간 구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부(220)는, 제1 시간 구간(A)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스케일링되어 제2 시간 구간(B)을 차지하게 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전부를 조합함으로써, 그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심장 박동 수가 제1 시간 구간(A)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심장 박동 수보다 2배 더 크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관리부(220)에 의하여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시간 축상 길이(2*t2)는 제1 시간 구간(A)의 길이(t1)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시간 구간(A)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와 위의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는, 시간 축상 길이는 동일하고 심장 박동 수의 비율은 1 대 2의 비율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부(220)는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조합할 수 있으므로,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와 학습 관리부(220)에 의하여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 사이의 심장 박동 수의 비율은 다양한 비율로서 형성될 수 있음(예를 들어, 1 대 1.5 등)이 이해되어야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관리부(220)에 의하여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는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 모델의 판별의 대상이 되는 타겟 부정맥은 빈맥성 부정맥(tachyarrhythmi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빈맥성 부정맥은,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면서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일반적으로, 분당 60회에서 100회까지로 정의됨) 이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심실상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SVT) 및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관리부(220)에 의하여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위의 분석 모델을 학습시킴으로써, 분석 모델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심장 박동 수가 빨라진다는 이유만으로 그 정상적인 상태를 빈맥성 부정맥으로 판별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즉, 분석 모델은 심장 박동 수가 아닌 빈맥성 부정맥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특징(파형, 패턴, 특징점 등)을 기준으로 빈맥성 부정맥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부(220)는, 위의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 소정의 잡음(noise)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부(220)는, 위의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 백색 가우시안(white gaussian) 잡음, 스파이크성(spikes) 잡음, 전력선(powerline) 잡음, 기저선 변동(baseline wander) 잡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관리부(220)는 위의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 소정의 잡음을 추가함으로써, 위의 분석 모델이 잡음 환경에 강인한(robust)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데이터 관리부(210) 및 학습 관리부(22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데이터 관리부(210), 학습 관리부(220) 및 통신부(2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40)는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관리부(210), 학습 관리부(220) 및 통신부(23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
210: 데이터 관리부
220: 학습 관리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9)

  1.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길이가 다른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시간 축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구간의 길이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의 길이보다 짧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시간 축상 길이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의 길이와 동일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부정맥은 빈맥성 부정맥(tachyarrhythmia)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6.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시간 구간을 차지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상기 제1 시간 구간과 길이가 다른 제2 시간 구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링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상기 스케일링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시간 축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타겟 부정맥을 판별하기 위한 분석 모델에 대한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구간의 길이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의 길이보다 짧은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시간 축상 길이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의 길이와 동일한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부정맥은 빈맥성 부정맥(tachyarrhythmia)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10099521A 2021-07-28 2021-07-28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7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21A KR102576831B1 (ko) 2021-07-28 2021-07-28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21A KR102576831B1 (ko) 2021-07-28 2021-07-28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691A true KR20230017691A (ko) 2023-02-06
KR102576831B1 KR102576831B1 (ko) 2023-09-11

Family

ID=8522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21A KR102576831B1 (ko) 2021-07-28 2021-07-28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8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516A (ko) 2015-06-15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정맥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90141326A (ko) * 2018-06-14 2019-12-24 한국과학기술원 심층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심전도 부정맥 분류 방법 및 장치
KR20200144688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추정 모델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과, 생체정보 추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516A (ko) 2015-06-15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정맥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90141326A (ko) * 2018-06-14 2019-12-24 한국과학기술원 심층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심전도 부정맥 분류 방법 및 장치
KR20200144688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추정 모델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과, 생체정보 추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831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941B2 (en) Discordance monitoring
US1185734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patial filtering for measuring electrical signals
Marsili et al. Implementation and validation of real-time algorithms for atrial fibrillation detection on a wearable ECG device
US202003375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electrocardiogram
CN112971798B (zh) 心电信号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23236689A1 (zh) 高频qrs波形曲线分析方法、装置、计算机设备与存储介质
KR102576831B1 (ko)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52452A (ko)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부정맥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2021128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identifying and selecting the best photoplethysmography sensor channel during monitoring
KR102579962B1 (ko)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50482B1 (ko) 의료 데이터 제공 장치, 의료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40153646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output data of biosignal analysis model
US20230172564A1 (en) Technologies for determining a risk of developing atrial fibrillation
JP7255670B2 (ja) 脈拍判定装置、ストレス判定装置、脈拍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18544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00954B1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73416B1 (ko)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출력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50568B1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JP7254399B1 (ja) プログラム、出力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20210111636A (ko)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6919411A (zh) 心率管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JP2022172458A (ja) 心電図信号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169852A (ko) 생체 신호 분석 모델의 신뢰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353400A (zh) 心拍分类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7796819A (zh) 心电信号数据的获取方法、自学习方法及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