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574A -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574A
KR20230017574A KR1020210099238A KR20210099238A KR20230017574A KR 20230017574 A KR20230017574 A KR 20230017574A KR 1020210099238 A KR1020210099238 A KR 1020210099238A KR 20210099238 A KR20210099238 A KR 20210099238A KR 20230017574 A KR20230017574 A KR 20230017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
module
token
creditor
n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호
Original Assignee
배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지호 filed Critical 배지호
Priority to KR102021009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574A/ko
Publication of KR2023001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는 채권생성모듈로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채권생성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는 채권자 토큰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반의 채권거래 마켓모듈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며, 제3자는 상기 양도채권카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채권자로부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을 양도시키는 채권거래 마켓모듈; 을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Bond transfer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2009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반을 둔 비트코인(bitcoin)이 공개된 이후, 블록체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전자화폐 시스템뿐만 아니라 스마트 계약을 위한 플랫폼 제공 서비스,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블록체인 컴퓨팅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주요구성인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블록체인을 탈중앙화된 시스템으로 만들어 주는 핵심기술로서, 거래기록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중앙화된 서버가 소유하는 것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가 동일한 원장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2015년에는 리눅스재단에서 기업용 블록체인 개발을 위해 하이퍼 레저(Hyper ledger)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오픈소스 형태의 프로젝트로서 전 세계 기업과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비즈니스 목적에 알맞은 형태로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금융, 물류, 부동산, 특허 및 의료 등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데이터를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고, 비즈니스 시스템에 적합한 블록 생성 알고리즘이나 트랜잭션 보증 정책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다수의 노드가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탈중앙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소수의 노드가 참여하는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무결성을 유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존재한다.
채권과 관련하여, 기존의 투자중개 방식은 단순히 투자 관련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처리한다는 특징을 가지는 것에 불과하는 수준이다. 즉, 블록체인 기술이 나날이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과 결합하지 못하고, 단순한 투자중개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채권 투자와 관련하여, 기존 투자중개 시스템의 문제점은, 투자자가 소정의 투자조건(특히 투자 기간)을 정하여 투자한 경우, 단순히 투자중개만 수행한다는 그 특성상 직접적인 채권/채무 관계는 투자자와 채무자 사이에 발생하므로, 원칙적으로 투자 원금의 회수는 투자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투자자가 여러 가지 사정에 의하여 투자 기간 이전에 투자금을 회수하여야 하는 경우, 변제 기간으로 정하여진 투자 기간 이내에 채권의 변제를 강제할 수 없기에 투자금의 회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투자자의 상황에 따라 투자자가 채권자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자신의 채무 변제 등을 하지 못하여 부도를 맞거나 하는 경우마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투자자 자신의 투자 채권을 다른 투자자에게 채권을 양도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하게 되나, 이러한 채권 양도를 위하여 적절한 다른 투자자를 중개하여 매칭(matching) 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행 민법 체계상, 채권 양도에 있어서, 채무자를 강하게 보호하는 측면이 있는 바, 소정의 대항요건을 갖춰야하며, 채권 양도의 특성상 다수에게 양도될 수 있으므로, 양수인들 사이에 법률적 지위가 경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채권 양도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개인채권은 현실적으로 그 자체에 대한 가치평가가 어려운 바, 많은 개인채권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인채권의 유동화는 실질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80740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202246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채권 양도의 이중양도시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채권자, 채무자 및 채권 양수인 사이의 법률관계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채권 양도의 복잡한 절차를 간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채권자(채권 양도인) 및 제3자(채권 양수인)의 절차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채권 거래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거래성 및 보안성이 향상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채권을 합리적인 방식으로 가치평가함으로써, 개인채권이 갖는 불안정성은 제거하여 개인채권의 유동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는 채권생성모듈로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채권생성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는 채권자 토큰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반의 채권거래 마켓모듈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며, 제3자는 상기 양도채권카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채권자로부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을 양도시키는 채권거래 마켓모듈; 을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인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완료된 제3자에게 부여되며, NFT토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자 토큰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은, 상기 제3자가 상기 채권에 대한 양수의사표시를 완료한 경우,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NFT토큰을 상기 채권자 토큰모듈로부터 상기 제3자 토큰모듈로 전송시키는 토큰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자 토큰모듈은, 상기 제3자에게 상기 NFT토큰의 전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블록체인 저장모듈과 연동되는 분산형 저장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채권생성모듈은,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시키되, 상기 채권을 양수한 제3자는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액세스하여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채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태정보 제공모듈로서, 독립적으로 구분된 상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채권에 대한 NFT토큰을 대상으로, 상기 상태정보의 개수와 대응되는 분산형 저장모듈의 주소를 부여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상태정보의 변동을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태정보 제공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채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에 각각에 대응되는 주소를 부여하며, 상기 주소 각각은, 독립적으로 데이터업로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주소부여부; 상기 주소 각각을 대상으로, 데이터업로드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주소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주기로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구성된, 업로드감지부; 및 상기 업로드감지부에 의해, 상기 주소에 데이터업로드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에 등록된 양도채권카드의 상태정보를 변경시키는, 상태변경처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권에 대한 상기 상태정보는, (a) 상기 채권에 관한 법률상 분쟁(소송, 조정, 중재 등의 각 절차를 의미함)의 존재 및 그 진행 상황; (b) 상기 채권에 관한 복수의 채권자의 존재 여부; (c) 상기 채권에 관한 복수의 채무자의 존재 여부; (d) 상기 채권에 대한 집행권원의 존재 여부; (e) 상기 채권에 관한 대항요건의 구비 여부 및 구비된 대항요건의 종류; (f) 상기 채권의 양도 여부; (g) 상기 채권의 소멸 여부(단, 소멸 사유는 변제로 제한되지 않음); 및 (h) 상기 채권의 시효 완성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집합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상태정보의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채권의 가치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채권가치평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권가치평가부에 의한 상기 채권의 평가가치는,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의 양도채권카드 상에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채무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의 변동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NFT토큰에 채권의 상태변동의 발생을 반영하도록 형성된, 채무자 토큰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무자 토큰모듈은, 상기 채권이 제3자에게 양도된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채권의 양도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권생성모듈은, 상기 채권에 대한 특약정보를 입력하는 특약정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특약정보부에 입력된 특약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되며, 상기 특약정보는, (a)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한 사전승낙의 특약; (b)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한 사후승낙의 특약; (c)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사전승낙의 특약; (d)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사후승낙의 특약; (e) 상기 (a) 내지 (d)에 해당하는 각 승낙에 관하여 상대방을 특정하지 않는 포괄적승낙의 특약; (f) 상기 (a) 내지 (e)에 해당하는 각 승낙에 관하여 이의를 보류하거나, 보류하지 않는 경우의 특약; (g) 채권양도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한 확정일자에 의한 채권자의 양도통지의 특약; (h) 채권양도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한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채권자의 양도통지의 특약; (i) 상기 (g) 및 (h)에 해당하는 각 양도통지에 관하여 채권자의 위임에 따른 제3자(양수인 포함)에 의한 양도통지의 특약; (j) 상기 (a) 내지 (i)의 각 승낙 또는 양도통지에 관하여 NFT토큰을 보유한 제3자만을 상기 채권의 양수인으로 인정하는 특약; 및 (k) 위 (a) 내지 (i)의 각 승낙 또는 양도통지에 관하여 NFT토큰을 보유한 제3자에 대한 변제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특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채권자 토큰모듈로부터 발행된 NFT토큰에 미리 설정된 계좌를 결합시키며, 상기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채권의 채권금액은, 상기 계좌를 통해서만 변동되도록 약정된 계좌결합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계좌결합모듈은, 상기 약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약정설정부; 및 미리 설정된 함수에 상기 NFT토큰을 적용하여, 상기 계좌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된 계좌확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3자는, 상기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채권의 현재상태를 확인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NFT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사이의 미리 체결된 계약에 의해 발생된 채권내용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시켜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시키는 채권입력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는 채권자 토큰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반의 채권거래 마켓모듈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며, 제3자는 상기 양도채권카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채권자로부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을 양도시키는 채권거래 마켓모듈; 을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채권입력모듈을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기 이전에, 상기 채권자가 제1 양수인에게 채권을 양도한 후,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에 의해 상기 채권이 제2 양수인으로 양도된 경우, 미리 설정된 규칙을 이용하여, 법률적 지위가 경합하는 상기 제1 및 제2 양수인 사이에서, 상기 채권에 대한 양수인을 결정하는, 양수인결정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a) 개인인증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단계; (b) 채권생성모듈에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 (c) 해쉬데이터 연산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d) 채권자 토큰모듈에서,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단계; (e) 채권거래 마켓모듈에서,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가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는 단계; (f) 상기 제3자가 상기 (e) 단계에서 등록된 양도채권카드를 열람한 후, 상기 채권의 양수의사표시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완료하는 단계; (g)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상기 채권의 채권자로부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이 양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채권양도 플랫폼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며,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시키며,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고,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하되,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상기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수행하되,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를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시키며, 상기 제3자가 상기 등록된 양도채권카드를 열람한 후, 상기 채권의 양수의사표시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완료할 때,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상기 채권자로부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을 양도시키는, 채권양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권 양도의 이중양도시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채권자, 채무자 및 채권 양수인 사이의 법률관계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종래의 채권 양도의 복잡한 절차를 간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채권자(채권 양도인) 및 제3자(채권 양수인)의 절차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채권 거래 시장(특히, 개인 간의 P2P 채권거래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거래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채권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개인채권의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가능한 바, 개인채권이 갖는 불안정성을 제거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개인채권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인채권의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상태정보 제공모듈을 통해, 채권의 상태변화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 인자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계좌결합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미리 계약이 체결된 상태를 전제로 함)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및 9는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3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논리식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이 스마트폰에 구현된 상태에서의 UI 예시를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원을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모듈(module)'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를 의미하나, 상기 기능으로만 모듈이 제한되지는 않고, 모듈이 특정된 그 기능 이외에, 상기 기능 수행을 위한 보조적 기능 및 추가적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든 무선통신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의 분산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바,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플랫폼 시스템과의 연동을 전제로 하는 바, 다수의 사용자들이 본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개인인증모듈(110), 채권생성모듈(120),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 채권자 토큰모듈(140), 블록체인 저장모듈(220), 분산형 저장모듈(210), 상태정보 제공모듈(150), 제3자 토큰모듈(170), 채무자 토큰모듈(150) 및 채권거래 마켓모듈(160)을 포함한다.
개인인증모듈(110)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을 허용한다. 채권은 그 특성상 본인인증의 절차가 필수적이다. 여기서, 로그인의 방식은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인증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채권거래 마켓모듈(160)의 확장성을 위해, 제3자는 개인인증모듈(110)을 거치지 않더라도, 양도채권카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해당 채권에 대한 채권자 및 채무자의 본인인증은 필수적이다. 현실적으로 채무자의 인증을 득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일괄적인 인증처리를 위해, 채무자의 인증은 채무자로부터 채권자가 위임을 받아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채무자 인증에 대한 위임사항은 계약체결 당시의 특약사항으로 반영될 수 있으며, 특약정보부(122)에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채권생성모듈(120)은, 채권자-채무자 사이의 계약체결을 통해, 채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계약체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포맷이 정형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계약은 사적자치의 영역인 바, 상기의 정형화된 포맷 이외에 양당사자 간의 협의에 따라, 계약의 특성을 반영하여, 포맷을 일부 수정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채권생성모듈(120)은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한다.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는 채권과 관련된 모든 정보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채권자/채무자의 인적정보, ID, 채권내용(이행기, 금액, 특약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들이 하나의 데이터세트로 형성된 상태를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라고 칭한다.
채권생성모듈(120)은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분산형 저장모듈(210) 상에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시키되, 채권을 양수한 제3자는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액세스하여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는 '원본데이터'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양도채권카드는 제공되는 UI에 적합하게 가공처리된 것인 바, 원본데이터를 열람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채권생성모듈을 통해 계약이 체결되는 바, 원본데이터와 양도채권카드는 형태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채권생성모듈(120)은 채권에 대한 특약정보를 입력하는 특약정보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당사자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특약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특약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다수의 채무자 및 양수인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특약정보는 다음과 같으며, 양당사자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a)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한 사전승낙의 특약
(b)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한 사후승낙의 특약
(c)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사전승낙의 특약
(d)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사후승낙의 특약
(e) 상기 (a) 내지 (d)에 해당하는 각 승낙에 관하여 상대방을 특정하지 않는 포괄적승낙의 특약
(f) 상기 (a) 내지 (e)에 해당하는 각 승낙에 관하여 이의를 보류하거나, 보류하지 않는 경우의 특약
(g) 채권양도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한 확정일자에 의한 채권자의 양도통지의 특약
(h) 채권양도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한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채권자의 양도통지의 특약
(i) 상기 (g) 및 (h)에 해당하는 각 양도통지에 관하여 채권자의 위임에 따른 제3자(양수인 포함)에 의한 양도통지의 특약
(j) 관련 법령 등에 따라 채권양도와 대항요건 구비 등에 관한 별도의 특약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내용에 따른 특약
(k) 관련 법령 등에 따라 채권양도와 대항요건 구비 등에 관한 요건이 완화될 경우 해당 특별법의 내용을 반영한 특약
(l) 국제계약의 준거법에 따른 내용을 반영한 특약
(m) 외국법이 적용될 경우 해당 외국법에 따른 내용을 반영한 특약
(n) 기타 채권양도 및 대항요건과 관련된 법률상 효력을 제한 또는 확장하는 일체의 특약
(o) 상기 (a) 내지 (n)의 각 승낙 또는 양도통지에 관하여 NFT토큰을 보유한 제3자만을 상기 채권의 양수인으로 인정하는 특약
(p) 위 (a) 내지 (n)의 각 승낙 또는 양도통지에 관하여 NFT토큰을 보유한 제3자에 대한 변제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특약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은,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모듈이다. 설계자는 본 발명에 최적화된 해쉬함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공지된 해쉬함수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에 의해, 채권에 매칭되는 고유의 해쉬데이터가 도출된다. 본 발명에서 해쉬데이터 생성은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SHA(Secure Hash Algorithm) 등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채권자 토큰모듈(140)은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한다. 또한, 채권자 토큰모듈(140)은 '채권자갤러리'를 포함하며, 채권자는 상기의 채권자갤러리를 통해, 현재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채권자갤러리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채권의 주요정보를 채권자에게 적절한 UI로 제공할 수 있다.
채권자 토큰모듈(140)은,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token)을 발행하며, 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해쉬데이터(TxHash)가 기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큰에 대한 정보는 블록체인 저장모듈(150)에 저장되면서 블록형태로 온체인(on-chain)된다. 발행되는 토큰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더리움(ERC-20, ERC-721) 기반의 스마트컨트랙트 기술(Solidity), 탈중앙화 웹(Web 3.0)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파일 저장소 기술인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IPDB(InterPlanetary DataBase)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채권거래 마켓모듈(160)은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반의 모듈이다. 서버 또는 클라우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채권자가 소유하고 있는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를 매개체로 하여 구현된다. 양도채권카드는 상기 채권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 유닛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된다. 채권자는 본인이 소유한 모든 채권을 양도 대상으로 설정하지 않을 수 있는 바, 해당 채권에 대해 양도채권카드의 등록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권거래 마켓모듈(160) 상에 공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제3자 토큰모듈(170)은 개인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완료된 제3자에게 부여되는 제3자의 계정을 의미한다. 제3자는 잠재적인 채권 양수인의 지위에 있으며, 제3자 역시 제3자 토큰모듈(170)을 통해, 본인의 보관하고 있는 NFT토큰의 조회가 가능하다.
상기의 채권거래 마켓모듈(160)은 채권양도를 위해, 토큰전송부(162)를 포함한다.
토큰전송부(162)는 제3자가 채권에 대한 양수의사표시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완료한 경우, 채권에 매칭되는 NFT토큰을 채권자 토큰모듈(140)로부터 상기 제3자 토큰모듈(170)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토큰전송부(162)는 해당 채권에 매칭되는 NFT토큰(단일의 토큰인 것이 바람직함)의 전송을 담당한다. 제3자의 양수의사표시는 편의상 양도채권카드 상에 설정된 UI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자가 양수의사표시를 완료한 경우라도, 채권자는 거절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채권자에게 소정의 패널티를 부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양도채권카드 상에는 해당 채권에 대해 채권자-제3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채권 양도의 가격은 별도로 협의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만, 채권자는 양도채권카드 최초 등록시, 채권 양도의 가격을 '협의불가'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결제수단 역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채권에 대한 이자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이자정보(이자액수 및 이자일을 포함함)를 원금정보와 구분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이자정보는 제3자 토큰모듈(170) 및 채무자 토큰모듈(150)에도 동일하게 공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자정보뿐만 아니라, 소멸시효정보 등과 같이, 당해 채권의 속성과 상태에 관한 정보라면 모든 정보가 양도채권카드를 통해 공유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적인 변화상태는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산정하여 기록 내지는 갱신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채무자 토큰모듈(150)은 채무자에게 부여되는 계정을 의미한다. 본인의 채무에 대한 상태정보의 변동상태(또는 현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채무자 역시, 해당 채무에 대한 NFT토큰을 소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채권자-채무자가 각각 한 쌍의 NFT토큰을 소유하는 것으로써, 상기 한 쌍의 NFT토큰은 상호 정합관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둘 중 어느 하나가 소멸하면, 다른 하나 역시 자동으로 소멸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 사이의 법률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채무자 토큰모듈(150)에 의해, 채무자는 채권의 양도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정보인 채권자의 변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채권이 양도된 경우, 양수인 이외의 타인으로부터 채무이행의 최고 등을 받더라도, 이를 정당하게 거부할 수 있다.
한편, 채권거래 마켓모듈(160)은 경매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권자는 해당 채권의 거래방식을 '경매'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양도채권카드에 공시되는 것이 필요하며(마감기한정보의 공시가 필요함), 해당 채권의 양수를 원하는 복수의 제3자들이 경매에 참가할 수 있다. 제3자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가격정보를 기재하여, 양수의사표시를 수행하며,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경매규칙을 기반으로, 양수인이 결정된다. 채권자는 채권데이터 어셈블리 상에 경매의 상한가 또는 하한가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태정보 제공모듈(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는 도 4에 나열된다. 도 4에 나열된 상태정보 이외에도 채권과 관련된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도 고려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는 전술한 양도채권카드에 실시간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권은 높은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제3자의 보호 및 채권양수 판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양도채권카드에 이를 공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제공을 통해 '가장채권'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채권의 상태정보를 정확하게 공시함으로써, 가장채권의 구분이 가능해지며, 제3자를 가장채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태정보 제공모듈(150)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하여, 가장채권을 선별하는 별도의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3자에게 가장채권임을 안내하거나, 가장채권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NFT토큰을 폐기하는 등과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분산형 저장모듈(210)을 이용하여,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채권이 특정된 후, 상기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들이 선별된다. 이러한 상태정보들은 독립적으로 구분된다. 채권에 대한 NFT토큰을 대상으로, 상태정보의 개수와 대응되는 분산형 저장모듈의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상태정보 제공모듈(150)은 주소부여부(152), 업로드감지부(154) 및 상태변경처리부(156)를 포함한다.
주소부여부(1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채권을 대상으로, 각각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주소를 부여하며, 상기 주소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소정의 데이터가 업로드되도록 구성된다.
업로드감지부(154)는 상기 주소 각각을 대상으로, 데이터업로드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주소에 액세스(access)를 시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세스에 대한 피드백(response)를 기반으로 소정의 함수를 통해 업로드 여부를 감지한다.
상태변경처리부(156)는 양도채권카드와 연동되는 바, 업로드감지부(154)에 의해 업로드-on 상태를 감지한 경우, 양도채권카드의 상태정보를 갱신한다. 만약, 업로드-off 상태로 감지된 경우, 이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상태변경처리부(156)는,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등급으로 구분하며, 상태정보의 등급을 기반으로, 채권의 가치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채권가치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상태정보들은 각각 위험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채권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8 및 9는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3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논리식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상태정보의 등급을 평가하기 위한 일 예시를 설명한다.
위험이 없는 할인대상 채권과 위험이 있는 할인대상 개인간 채권에 관하여 특정한 시점인 x에서 equivalent martingale measure(eqm)
Figure pat00001
가 존재하고 그에 의한 조건부 기대치를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라 하고, x시점에서 계산한 만기 시점 기준의 본 솔루션에 의한 할인 대상 개인간 채권의 가격을 p(x, T)라 한다. 만기에 n원 편의상 (n=1원으로 가정)이 지급되는 위험이 없는 할인 대상 채권의 현재 가치를 M(x)라 하면, p(x, T)와 M(t)의 관계는 아래의 식(1)과 같다.
Figure pat00004
[식 (1)]
만기가 T시점인 위험이 있는 할인 대상 개인간 채권의 x시점에서 계산한 가격을 v(x, T)라고 하면 만기에 완전하게 변제를 받을 경우 전액인 1원을 상환받고 만기 전에 채권이자가 지급되지 않아 부도처리되면 1원에 대한 회수가 이루어져 1원에 회수율
Figure pat00005
을 곱한 가격만큼을 상환받게 된다. 만약 위 시점이
Figure pat00006
일 경우, v(x, T)는 아래 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Figure pat00007
[식 (2)]
이 경우 eqm 하에서 회수율
Figure pat00008
를 상수로서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면 개인 채권이 부도처리되지 않고 변제기 이후에도 정상 변제될 확률
Figure pat00009
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전이행렬
Figure pat00010
가 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개인간 채권의 경우 현재 위험등급별 등급에 관한 행렬을 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각 채권별로 상태정보에 따라 위험등급을 분류함으로써, eqm 가정 하에서 시점 t에서 t+1에 이르는 전이행렬을 구성할 수 있고, 실제 전이확률 Q와 eqm 하의 전이행렬은 위험평가율
Figure pat00011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위험 평가를 가능함으로써,
Figure pat00012
에 관한 시간함수에
Figure pat00013
에 해당하는 실제 확률을 위험중립확률로 변환할 수 있는데, 대수적 표현 및 행렬식에 의한 표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4
[식 (3)]
Figure pat00015
[식 (4)]
위험등급이 분류된 경우, 최종적으로 변제기 이후에도 정상 변제될 확률인
Figure pat00016
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7
[식 (5)]
위와 같이 정상변제 확률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본 솔루션에 의한 개인간 채권에 관한 특정한 인증 정도(등급 i)에 해당하는 채권의 가격을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8
[식 (6)]
즉 eqm 가정 하에 등급 i에 해당하는 개인간 채권이 T까지 정상 변제되면 전액(n=1)을 변제받고(그 가치를 V normal 라 함) 그렇지 않은 경우, 회수율
Figure pat00019
만큼 변제받는다면(그 가치를 V failed 라 함), 개인간 채권이 위 전제 하에 일정한 등급이 매겨진 후, 할인될 가치는 V normal V failed 에 대한 기대확률을 위험도가 0인 채권에 관한 이율로 할인한 가격과 같은 액수가 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등급이 분류된 채권들에 관하여 T시점에 미래 무작위적인 지불이 이루어진다면, 시점 x에서의 가치 Φ는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20
[식 (7)]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계좌결합모듈(180)을 설명한다.
계좌결합모듈(180)은 채권자 토큰모듈(140)로부터 발행된 NFT토큰에 미리 설정된 계좌를 결합시키며,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채권의 채권금액은, 상기 계좌를 통해서만 변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채권자, 채무자 및 양수인 사이의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계좌결합모듈(180)은 채권자, 채무자 및 양수인을 기준으로 계좌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채권에 대응되는 계좌가 생성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채권에 대한 변제 등을 상기의 계좌를 통해서만 진행하도록 설계되며, 해당 계좌는 블록체인 저장모듈(220)과 연동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계좌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계좌결합모듈(180)은 약정설정부(182) 및 계좌확인부(184)를 포함한다. 약정설정부(182)는 전술한 사항인 해당 채권에 대한 계좌를 특정하는 약정이 입력되며, 계좌확인부(184)는 미리 설정된 함수에 상기 NFT토큰을 적용하여, 계좌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된 구성을 의미한다. 계좌결합모듈(180)은 오픈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등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금융기관의 계좌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계좌는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암호화폐계좌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당사자들 사이의 약정된 암호화폐를 통해 채권에 대한 변제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의 해당 채권에 매칭되는 계좌가 암호화폐계좌일 경우,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암호화폐계좌 자체적으로 이자, 소멸시효 등과 같은 사항들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채권에 매칭되는 계좌는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화폐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화폐가 향후에 적용되는 경우, 국제적으로도 채권거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현재보다는 훨씬 더 진보된 형태로 간이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계좌결합과 관련하여, 일 예시로 다음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계좌결합은 대여금 약정(대여금 약정에 꼭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금전채권이면 모두 가능함)이 체결되고 NFT토큰이 발행된 경우 해당 NFT토큰에 특정한 계좌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대여금 약정을 하면서 '해당 대여금의 변제는 의 소유자와 하기로 하는 특약'을 체결하고 그 내용을 IPFS에 저장하여 token_uri값을 통해 NFT토큰과 연결시킴으로써, NFT토큰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NFT토큰과 연결된 계좌를 '결합계좌'라 한다. 결합계좌의 잔액은 여러가지 수준(전체공개, 부분공개, 일부시점 공개, 당사자에게만 공개 등)에서 여러가지 방법(오픈API 활용, 은행의 계좌정보 활용, 블록체인 관련 스마트컨트랙트 기술 활용, 디지털화폐 기술의 활용 등)을 이용하여 조회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대여약정이 체결되고 대여금이 채권자로부터 채무자에게 지급될 때 결합계좌로부터 채무자의 계좌로 대여금이 이체되며, 향후 채무자는 상기의 결합계좌를 통해서만 대여금을 변제하기로 약정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위와 같은 NFT토큰을 기반으로 발행된 채권에 관하여 지속적으로 그 채권의 내용을 계산하여 NFT토큰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이 때, IPFS를 활용함과 동시에, 'IPNS'라는 'hyperlink'를 연결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IPNS는 '파일'이 아닌 '웹페이지 링크'에 관한 IPFS서비스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상시 변할 수 있어서 IPFS와 활용용도가 상이하다. 즉, 변동하는 현 시점의 웹페이지 링크 내용을 NFT토큰에 결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특정 주소에 특정 해시데이터가 결합되므로 해당 서버가 제공하는 공개키 및 서버의 주소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채권의 변동내용을 산정하는 함수'를 조합하면, 특정시점의 채권에 관한 상태를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2021.1.1 이자율 단리 연12% 대여금 100만원으로 계약이 체결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2021.3.1에 10만원이 변제된 경우, 그 변제시점까지 발생한 이자[=대여금*(12%*(변제일-차용일+1)*1/365)]를 산정하여, 그 이자에 먼저 변제금을 충당하면, 2021.3.1 기준의 채권에 관한 상태(채권잔액을 의미함)는 '원금100만원 및 이자10만원(20만원 중 10만원은 변제됨)=합계 110만원'임을 IPNS(해당 링크는 반응형 웹페이지로 구성 가능)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PNS를 통해 미리 정확하게 규정된 함수(해당 함수 자체를 NFT토큰 발행 당시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으나 IPFS로 내용이 확인되므로 필수적인 것은 아님)에 의한 계산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그 계산 결과에 기초가 되는 거래 내역은 결합계좌를 통해 모두 확인 가능하다.
또한, 해당 NFT토큰에 연결된 IPFS정보를 통해 계약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연결된 계좌가 블록체인 또는 IPFS등을 통해 특정되며 그 정보와 결합 계좌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NFT토큰의 현 상태를 산정하는 미리 정의된 함수(블록체인 또는 IPFS 등을 통하여 그 내용이 변조불가능하도록 발행 당시 동시에 특정하되,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를 활용하는 방법도 병행가능함)를 적용하여, IPNS 또는 기타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그 결과값을 지속적으로(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 계약이 체결된 상태(즉, 채권이 발생된 상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약이 체결되는 구조이나, 본 실시예는 이미 체결된 상태의 계약을 채권입력모듈(190)을 통해 입력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채권양도는 그 특성상 양수인의 법률적 지위를 확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양수인들 사이에서 법률적 지위가 경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양수인결정모듈(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계약 자체가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바, 이러한 리스크가 다소 낮다. 본 실시예는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기 이전에 채권이 다른 제3자에게 양도될 수 있는 바, 이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채무자를 함께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채무자의 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NFT토큰을 보관하는 제3자를 진정 양수인으로 인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규칙들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양도 플랫폼을 이용하는 방법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70)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110)은 개인인증모듈(110)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단계이다.
단계(S120)은 채권생성모듈(120)에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단계(S130)은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에서,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이다.
단계(S140)은 채권자 토큰모듈(140)에서,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단계(S150)은 채권거래 마켓모듈(160)에서,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가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는 단계이다.
단계(S160)은 상기 제3자가 상기 단계(S150)에서 등록된 양도채권카드를 열람한 후, 상기 채권의 양수의사표시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완료하는 단계이다.
단계(S170)은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상기 채권의 채권자로부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이 양도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10: 개인인증모듈
120: 채권생성모듈
130: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140: 채권자 토큰모듈
150: 채무자 토큰모듈
160: 채권거래 마켓모듈
170: 제3자 토큰모듈
180: 계좌결합모듈
190: 채권입력모듈

Claims (15)

  1.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는 채권생성모듈로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채권생성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는 채권자 토큰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반의 채권거래 마켓모듈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며, 제3자는 상기 양도채권카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채권자로부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을 양도시키는 채권거래 마켓모듈; 을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완료된 제3자에게 부여되며, NFT토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자 토큰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은,
    상기 제3자가 상기 채권에 대한 양수의사표시를 완료한 경우,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NFT토큰을 상기 채권자 토큰모듈로부터 상기 제3자 토큰모듈로 전송시키는 토큰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자 토큰모듈은,
    상기 제3자에게 상기 NFT토큰의 전송 정보를 제공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블록체인 저장모듈과 연동되는 분산형 저장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채권생성모듈은,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시키되, 상기 채권을 양수한 제3자는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액세스하여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된,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채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태정보 제공모듈로서, 독립적으로 구분된 상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채권에 대한 NFT토큰을 대상으로, 상기 상태정보의 개수와 대응되는 분산형 저장모듈의 주소를 부여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상태정보의 변동을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태정보 제공모듈; 을 더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채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에 각각에 대응되는 주소를 부여하며, 상기 주소 각각은, 독립적으로 데이터업로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주소부여부;
    상기 주소 각각을 대상으로, 데이터업로드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주소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주기로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구성된, 업로드감지부; 및
    상기 업로드감지부에 의해, 상기 주소에 데이터업로드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에 등록된 양도채권카드의 상태정보를 변경시키는, 상태변경처리부; 를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권에 대한 상기 상태정보는,
    (a) 상기 채권에 관한 법률상 분쟁(소송, 조정, 중재 등의 각 절차를 의미함)의 존재 및 그 진행 상황;
    (b) 상기 채권에 관한 복수의 채권자의 존재 여부;
    (c) 상기 채권에 관한 복수의 채무자의 존재 여부;
    (d) 상기 채권에 대한 집행권원의 존재 여부;
    (e) 상기 채권에 관한 대항요건의 구비 여부 및 구비된 대항요건의 종류;
    (f) 상기 채권의 양도 여부;
    (g) 상기 채권의 소멸 여부(단, 소멸 사유는 변제로 제한되지 않음); 및
    (h) 상기 채권의 시효 완성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집합군으로 구성된,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상태정보의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채권의 가치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채권가치평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권가치평가부에 의한 상기 채권의 평가가치는,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의 양도채권카드 상에 기재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채무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에 대한 상태정보의 변동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NFT토큰에 채권의 상태변동의 발생을 반영하도록 형성된, 채무자 토큰모듈; 을 더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채무자 토큰모듈은,
    상기 채권이 제3자에게 양도된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채권의 양도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된,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권생성모듈은,
    상기 채권에 대한 특약정보를 입력하는 특약정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특약정보부에 입력된 특약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되며,
    상기 특약정보는,
    (a)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한 사전승낙의 특약;
    (b)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한 사후승낙의 특약;
    (c)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사전승낙의 특약;
    (d) 채권양도에 관한 채무자의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사후승낙의 특약;
    (e) 상기 (a) 내지 (d)에 해당하는 각 승낙에 관하여 상대방을 특정하지 않는 포괄적승낙의 특약;
    (f) 상기 (a) 내지 (e)에 해당하는 각 승낙에 관하여 이의를 보류하거나, 보류하지 않는 경우의 특약;
    (g) 채권양도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한 확정일자에 의한 채권자의 양도통지의 특약;
    (h) 채권양도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한 확정일자에 의하지 않은 채권자의 양도통지의 특약;
    (i) 상기 (g) 및 (h)에 해당하는 각 양도통지에 관하여 채권자의 위임에 따른 제3자(양수인 포함)에 의한 양도통지의 특약;
    (j) 상기 (a) 내지 (i)의 각 승낙 또는 양도통지에 관하여 NFT토큰을 보유한 제3자만을 상기 채권의 양수인으로 인정하는 특약; 및
    (k) 위 (a) 내지 (i)의 각 승낙 또는 양도통지에 관하여 NFT토큰을 보유한 제3자에 대한 변제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특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채권자 토큰모듈로부터 발행된 NFT토큰에 미리 설정된 계좌를 결합시키며, 상기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채권의 채권금액은, 상기 계좌를 통해서만 변동되도록 약정된 계좌결합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계좌결합모듈은,
    상기 약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약정설정부; 및
    미리 설정된 함수에 상기 NFT토큰을 적용하여, 상기 계좌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된 계좌확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3자는, 상기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채권의 현재상태를 확인 가능한,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12. NFT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사이의 미리 체결된 계약에 의해 발생된 채권내용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시켜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시키는 채권입력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는 채권자 토큰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반의 채권거래 마켓모듈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며, 제3자는 상기 양도채권카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채권자로부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을 양도시키는 채권거래 마켓모듈; 을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채권입력모듈을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기 이전에, 상기 채권자가 제1 양수인에게 채권을 양도한 후, 상기 채권거래 마켓모듈에 의해 상기 채권이 제2 양수인으로 양도된 경우, 미리 설정된 규칙을 이용하여, 법률적 지위가 경합하는 상기 제1 및 제2 양수인 사이에서, 상기 채권에 대한 양수인을 결정하는, 양수인결정모듈; 을 더 포함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14.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a) 개인인증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시키는 단계;
    (b) 채권생성모듈에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
    (c) 해쉬데이터 연산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d) 채권자 토큰모듈에서,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단계;
    (e) 채권거래 마켓모듈에서,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가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가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되는 단계;
    (f) 상기 제3자가 상기 (e) 단계에서 등록된 양도채권카드를 열람한 후, 상기 채권의 양수의사표시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완료하는 단계;
    (g)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상기 채권의 채권자로부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이 양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채권양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채권양도 플랫폼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채권자, 채무자 및 제3자를 포함함)를 인증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 의사표시의 합치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어 채권을 발생시키며, 상기 채권자 및 채무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에 관한 채권내용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어 채권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시키며,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고,
    상기 채권자에게 부여하되, 상기 채권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상기 채권자 및 제3자 사이의 채권 거래를 수행하되, 상기 채권에 대응되는 양도채권카드를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등록시키며,
    상기 제3자가 상기 등록된 양도채권카드를 열람한 후, 상기 채권의 양수의사표시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완료할 때, 상기 채권에 매칭되는 상기 NFT토큰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상기 채권자로부터 상기 제3자에게 상기 채권을 양도시키는,
    채권양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210099238A 2021-07-28 2021-07-28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30017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38A KR20230017574A (ko) 2021-07-28 2021-07-28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38A KR20230017574A (ko) 2021-07-28 2021-07-28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574A true KR20230017574A (ko) 2023-02-06

Family

ID=8522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238A KR20230017574A (ko) 2021-07-28 2021-07-28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5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401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Savelyev Contract law 2.0:‘Smart’contracts as the beginning of the end of classic contract law
US2019019762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nique identifiers in security blockchain-based tokens
US20190066206A1 (en) Peer-to-peer trading with blockchain technology
US20180075527A1 (en) Credit score platform
US737662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contingency-dependent payments via secure electronic bank drafts supported by online letters of credit and/or online performance bonds
Essaghoolian Initial coin offerings: Emerging technology's fundraising innovation
US82247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verification and management
US20150220892A1 (en) Platform for the purchase and sale of digital currency
AU20022503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contingency-dependent payments via secure electronic bank drafts supported by online letters of credit and/or online performance bonds
Astuti et al. Cryptocurrency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digital revolution era
Barth et al. Cryptocurrency valuation and ethics: A text analytic approach
JP2021514507A (ja) 相手方の信用性を値に基づいて証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Okeke et al. Benefits and risks associated with the use of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as a form of payment in Ghana: A Case Study of Selected Bitcoin Trading Companies
CN113435996A (zh) 基于区块链的通证抵押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offano et al. E-shekels across borders: a distributed ledger system to settle payments between Israel and the West Bank
Motsi-Omoijiade Cryptocurrency regulation: a reflexive law approach
Clark et al. Why private cryptocurrencies cannot serve as international reserves but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an
Solinas Investors’ Rights in (Crypto) Custodial Holdings: Ruscoe v Cryptopia Ltd (in Liquidation)
KR20230017574A (ko) 채권양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shfaq et al.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and the Global Financial System: Theory and Practice
WO2003012714A1 (en) A security system for transactions
KR20190138291A (ko)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Ortlepp A feasibility study on using the blockchain to build a credit register for individuals who do not have access to traditional credit scores
KR102527162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원리금수취권 거래 중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