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291A -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291A
KR20190138291A KR1020190066030A KR20190066030A KR20190138291A KR 20190138291 A KR20190138291 A KR 20190138291A KR 1020190066030 A KR1020190066030 A KR 1020190066030A KR 20190066030 A KR20190066030 A KR 20190066030A KR 20190138291 A KR20190138291 A KR 2019013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dfunding
project
investor
cryptocurrency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형
Original Assignee
정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형 filed Critical 정지형
Publication of KR2019013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프로젝트의 투자금을 모집하고 펀딩 진행 내역을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개시 및 관리함으로써, 현물 자산의 지분율 및 해당 지분내역 등의 중요정보에 대한 위, 변조를 방지함으로써 크라우드 펀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CROWD FUNDING SYSTEM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을 통해 프로젝트의 투자금을 모집하고 펀딩 진행 내역을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소규모 후원을 받거나 투자 등의 목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플랫폼을 통래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행위이다.
크라우드 펀딩은 온라인에서 모든 절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프라인을 이용한 펀딩에 비해 비용 절감을 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금융권의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투자를 받는 입장에서는 대출을 받는 것이 훨씬 수월하며 낮은 이율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는 투자를 원하는 신청자가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에 투자를 요청하고,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에서 신청자의 신청을 본 투자자들 중에서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신청자가 투자를 요청한 후에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모집하고 있으므로, 신청자가 원하는 투자금을 바로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청자의 신청에 대하여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가 적은 경우, 신청자가 오랜 시간을 기다려도 투자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청자가 투자자에게 투자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대안이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투자를 원하는 대상에게 빠르게 투자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투자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대비가 있는 투자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9043호(공개일자: 2017.08.31.)
본 발명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크라우드 펀딩 방식으로 투자자를 모집하고자 하는 발행인이 시스템을 통해 프로젝트를 등록하면, 시스템 측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의 현물가격을 측정한 후, 암호화폐를 측정 금액만큼 발행하여 클라우드 펀딩의 참여자 지분율에 맞게 분배 및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절차를 진행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암호화폐를 투자금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 및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와 연동하고, 스마트 콘트랙트를 실행하여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상기 투자금의 거래내역과 함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는, 발행인 단말로부터 의뢰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프로젝트 등록부, 온라인상에 게시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요청에 따라 명목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암호화폐 환전부,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투자자로부터 참여비율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지급받아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절차를 진행하는 펀딩 관리부 및 상기 투자자로부터 제공되는 투자금인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을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연계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블록체인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는,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에 대한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투자자 등록부, 진행중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및 완료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펀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펀딩정보를 아카이브 형태로 상기 블록체인 연동부를 통해 별도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아카이브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는, 투자자간 암호화폐 거래를 모니터링하고, 투자자간 암호화폐 보유량 변동에 따라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참여지분의 비율을 조정하는 지분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원장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은 각각 블록의 버전 및 기간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헤더,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값이 저장된 해시 및 승인된 복수의 트랜잭션 및 해당 트랜잭션의 암호화폐가 투자금으로 설정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 및 참여지분을 포함하는 펀딩 스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서버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 방법은, 발행인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의뢰받는 단계, 의뢰된 프로젝트를 등록 및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로부터 게시된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를 요청받는 단계,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암호화폐의 거래내역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로부터 게시된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명목화폐를 통한 암호화폐로의 환전을 요청받는 단계 및 현재 환율에 따라, 명목화폐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투자자에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암호화폐의 거래내역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단계는, 현재부터 프로젝트 기한까지 일 또는 주 단위로 프로젝트 주체자로부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행상황의 기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크라우드 펀딩 서버의 권한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분산원장에 상기 진행상황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개시 및 관리함으로써, 현물 자산의 지분율 및 해당 지분 등의 주요정보의 위, 변조를 방지함으로써 크라우드 펀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는 투자금을 암호화폐의 발행을 통해 조달하고, 투자자간 암호화폐의 양도를 통해 지분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투자의 유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크라우드 펀딩 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이용되는 분산원장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본 발명의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소유 또는 이용하는 투자자 단말(100)과, 크라우드 펀딩을 위한 프로젝트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고,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크라우드 펀딩의 투자자를 모집 및 목표를 달성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절차를 수행 및 관리하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와, 및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가 진행하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절차에 따른 진행상황 및 그 결과를 저장함과 아울러, 투자금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자자 단말(100)은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대하여 투자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 - 이하, '투자자'라 함 - 이 소지하거나 이용하는 단말장치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에 접속하여 공개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및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를 위한 투자금을 암호화폐를 통해 모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투자자 단말(100)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유통하는 암호화폐를 저장하는 전자지갑 및 보유한 암호화폐의 송금 및 수금 등의 거래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요청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자자 단말(1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1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크라우드 펀딩의 주체, 즉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투자금을 모금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자 - 이하, '발행인'이라 함. - 로부터 등록 요청된 프로젝트를 등록 및 온라인 상에 게시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크라우드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함으로써 그 투자지분 내역의 변동내용 및 각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 등을 저장하고, 온라인을 통해 투자자들이 언제든지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별도로 운용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서비스 운영자의 권한을 갖는 일 노드로서 참여할 수 있고,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각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기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로는 다수의 투자자 단말(100) 및 진행중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 갱신에 대한 요청에 지연 및 오류없이 신속하게 응답하기 위해,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대용량의 저장소 및 메모리가 탑재된 서버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과는 별도로, 등록되는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 진행예정이거나 목표액의 달성에 따라 진행되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복수의 일반노드와, 트랜잭션 요청된 즉, 암호화폐 거래 또는 투자금 추가 등에 대하여 대하여 검증이 완료되면, 그 트랜잭션(transaction) 또는 펀딩 스테이트(funding state)를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오더노드 및 검증 완료된 정보가 누적 기록되는 다수의 분산원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서 추가되는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일반노드들은 상기의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SDK 형태로 삽입되거나, 또는 별도의 검증을 위한 컨소시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일반노드에 저장되는 분산원장에 암호화폐의 트랜잭션 이외에도, 그 암호화폐에 의해 투자된 펀딩 스테이트를 연관하여 함께 저장함으로써, 현재 진행중이거나 진행완료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결과를 무결성이 보장된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지분확인이 용이한 동시에 그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크라우드 펀딩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크라우드 펀딩 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발행인 단말로부터 의뢰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프로젝트 등록부(210), 온라인상에 게시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요청에 따라 명목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암호화폐 환전부(220),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투자자로부터 참여비율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지급받아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절차를 진행하는 펀딩 관리부(230), 투자자로부터 제공되는 투자금인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을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기록 요청하는 블록체인 연동부(240),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에 대한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투자자 등록부(250), 진행중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및 완료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펀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60), 펀딩정보를 아카이브 형태로 블록체인 연동부(240)를 통해 별도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아카이브 관리부(270) 및 투자자간 암호화폐 거래를 모니터링하고, 투자자간 암호화폐 보유량 변동에 따라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참여지분의 비율을 조정하는 지분 관리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 등록부(210)는 단말을 통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거나, 시스템 측에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발행인의 요청에 따라, 의뢰된 프로젝트의 적합성 검증을 만족한 프로젝트를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등록부(210)는 등록된 프로젝트를 웹 페이지 등을 통해 온라인상에 게시함으로써 투자자를 모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100)은 온라인 상에서 웹 페이지에 등록된 프로젝트 및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암호화폐 환전부(220)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참여 의사를 밝히고 투자를 위한 암호화폐를 구입, 즉 명목화폐를 본 발명의 암호화폐로 환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별도의 결제수단을 통해 프로젝트에 대하여 발행된 암호화폐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고, 암호화폐 환전부(220)는 이에 응답하여 현재 시세에 따라 암호화폐를 투자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호화폐 환전부(220)는 투자자 단말(100)에 본 발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와 연동하는 전자지갑의 설치파일을 제공하거나, 설치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구매된 암호화폐는 전자지갑의 잔액형태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 환전부(220)는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을 블록체인 연동부(24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요청할 수 있다.
펀딩 관리부(230)는 등록된 프로젝트의 펀딩 모집에 관한 절차 및 펀딩에 성공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완료시까지의 관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펀딩 관리부(230)는 일정기간 내 암호화폐 환전부(220)에서 각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한 경우 이를 펀딩 성공으로 판단하고, 그 프로젝트를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펀딩 관리부(230)는 발행인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른 관리기능으로서, 진행상황, 현재까지 발생한 비용, 비용지출내역, 현재까지의 결과물, 문제점 및 일정변경 등의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된 정보를 일정 주기별로 업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행인은 작업일정 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투자자는 자신이 투자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연동부(240)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의 운영에 따라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정보 중, 중요한 내용을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와 연동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연동부(240)는 투자자에 의해 암호화폐가 거래되거나,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에 갱신내용이 발생하는 경우, 각 구성부의 요청에 따라 그 내용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중, 시스템 운영권한을 갖는 일 노드로서 참여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트랜잭션 검증 과정을 거쳐 해당 내용을 분산원장에 반영하게 된다.
투자자 등록부(250)는 본 발명의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요청에 따라, 그에 대한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함과 아울러, 회원 등록된 투자자 단말(100)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투자자 등록부(250)는 투자자 단말(100)로부터 투자자에 대한 회원정보 등을 입력받아 계정을 부여하고, 그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26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60)는 투자자의 회원정보, 등록된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베이스(260)에는 진행중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및 완료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펀딩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중 공개 가능하고, 위, 변조가 우려되는 중요한 정보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포함되는 분산원장과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260)는 기타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의 구동과 관련하여 필요한 각종 설정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아카이브 관리부(270)는 데이터 베이스(260)에 저장된 정보 중, 분산원장의 형태로 관리되어야 하는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서, 현재 완료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내역 및 결과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의 관리가 요구되지 않으나, 이후 타 발행인 및 투자자들의 참조정보로서의 가치를 갖게 될 수 있으며, 아카이브 관리부(270)는 이러한 이전의 펀딩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260)가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분산원장에 아카이브(archive)형태로 남겨둘 수 있고, 블록체인 연동부(240)를 통해 별도의 분산원장에 기록 요청할 수 있다.
지분 관리부(280)는 진행중인 각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지분의 변동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는 펀딩 성공 이후에도 별도의 약정변경 등의 절차 없이 투자자간 참여지분 양도가 자유로우며, 이러한 참여지분 조정은 투자자간 암호화폐의 양도에 의해 자연발생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행인 등의 이해관계자들은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완료 후 보상절차 등을 수행하기 위해 투자자 및 그의 참여지분 비율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필요가 있으나, 별도의 보고없이 진행된 투자자간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이해관계자들이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지분 관리부(280)는 분산원장을 검색하여 해당 크라우드 펀딩에 연계된 암호화폐를 보유한 투자자를 식별 및 추출함과 아울러, 투자자간 암호화폐 거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암호화폐 보유량 변동에 따라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참여지분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서버에 의하면, 온라인을 통해 발행인들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의뢰받아 투자자를 모집하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펀딩액 지급, 분산원장을 활용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진행상황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발행인은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금을 온라인을 통해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투자자는 신뢰성 있는 투자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분조정 등의 작업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는 경우 전술한 본 발명의 크라우드 펀딩 서버 및 이의 구성부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방법은, 발행인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의뢰받는 단계(S100), 의뢰된 프로젝트를 등록 및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단계(S110),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로부터 게시된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20),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크라우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S130) 및 크라우드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암호화폐의 거래내역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발행인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의뢰받는 단계(S100)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준비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고자 하는 발행인이 크라우드 펀딩 서버에 자신의 프로젝트를 업로드하여 의뢰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측에서 펀딩의 적합성을 판단하도록 한다.
의뢰된 프로젝트를 등록 및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단계(S110)는 펀딩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프로젝트에 대하여 시스템 운영측의 승인에 따라 해당 프로젝트를 크라우드 펀딩 서버에 등록하고, 그 내용을 온라인 상에 게시함으로써 투자자를 모집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로부터 게시된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20)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가 온라인상에 공개됨에 따라, 이를 확인한 투자자들이 자신의 투자자 단말을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 의사를 밝히는 단계이다.
투자자로부터 참여비율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지급받아 크라우드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절차를 진행하는 단계(S140)에서는 프로젝트에 대하여 측정된 현물 금액만큼 책정된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투자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참여는 명목화폐를 시스템 운영측에 입금하고 이에 대한 별도의 증권 등의 발행을 통해 증명하는 것이 아닌, 발행된 암호화폐를 투자자가 구입하는 행위 자체가 해당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투자 행위로 갈음하게 된다. 이러한 암호화페에 대한 양도내역은 시스템에 포함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원장에 기록된다.
이에 따라, S130 단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명목화폐를 통한 암호화폐로의 환전을 요청받는 단계 및 현재 환율에 따라, 명목화폐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투자자에 지급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크라우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S130)는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 즉, 발행된 암호화폐가 일정수준 이상 판매된 경우, 해당 프로젝트의 크라우드 펀딩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가 완료될 때까지 관리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크라우드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암호화폐의 거래내역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단계(S140)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른 현재 상황을 주기적으로 분산원장에 반영함으로써 투자자들이 자신이 투자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서, 현재부터 프로젝트 기한까지 일 또는 주 단위로 프로젝트 주체자로부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진행상황의 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의 권한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분산원장에 진행상황을 반영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적용된 분산원장의 블록 구조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이용되는 분산원장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블록이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분산원장을 구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분산원장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일반노드의 저장소에 동일한 내용으로 분산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블록(BLK)은 헤더(HD)와, 해시값(HS) 및 트랜잭션(TJ)을 포함하는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디는 투자금에 해당하는 암호화폐에 대한 다수의 트랜잭션(TJ)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소정의 해싱함수(hashing function)에 의해 해싱되어 그 해시값(HS)이 차기 블록(BLK)에 반영됨으로써 각 블록(BLK)들의 데이터 정합성, 무결성 등을 보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원장의 블록(BLK)에 기록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암호화폐의 송금 및 수금에 대한 거래내역에 대한 트랜잭션(TJ)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암호화폐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금의 성격을 가지며, 그 보유량이 곧 해당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지분이 된다.
이에, 현재 암호화폐의 소유주는 그 암호화폐와 연관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발행된 암호화폐는 소유주에 의해 타인에게 자유롭게 양도가 가능함에 따라, 현재 암호화폐 소유주는 타인에게 보유한 암호화폐를 매도를 통해 양도함으로써, 단지 전자화폐로서의 가치를 갖는 암호화폐를 양도하는 것이 아닌, 연계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참여지분을 양도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펀딩 모집 중, 또는 펀딩 종료이후에도 투자자간에 자유로운 지분양도가 가능한 특징이 있고, 이러한 참여지분 변동 내역은 예시된 각 블록(BLK)에 트랜잭션(TJ) 형태로 기록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블록(BLK)에는 트랜잭션(TJ)과 더불어 해당 트랜잭션(TJ)에 연계된 현재 크라우드 펀딩의 진행상황에 대한 펀딩 스테이트(FS)가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펀딩 스테이트(FS)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에 의해 현재 진행중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이 갱신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을 요청함에 따라 블록에 반영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잭션(TJ) 및 펀딩 스테이트(FS)는 각각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시점에 따라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투자자 및 기타 사용자들은 공개된 분산원장을 검색하여 이에 기록된 트랜잭션(TJ) 및 펀딩 스테이트(FS)를 확인하여 자신 또는 특정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참여지분 또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개발, 배포한 전용 암호화폐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투자금을 모집하는 토큰으로서 공지의 암호화폐, 일례로서 비트코인 및 이오스 등의 플랫폼에 따른 토큰을 암호화폐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서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아래와 같이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는 투자자 단말(100)에 의한 착오송금 방지를 위한 전자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추출부, 요청부, 진행부, 랜덤선택부, 랜덤배열부, 일치확인부, 위치확인부 및 얼굴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투자자 단말(100)로 착오송금 방지를 위한 전자 금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투자자 단말(100)은, 착오송금 방지를 위한 전자 금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투자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추출부는, 투자자 단말(100)에서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계좌번호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 계좌번호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수취자의 이름을 추출할 수 있다.
요청부는, 추출된 이름이 투자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영역을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선택 이벤트를 투자자 단말(100)로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제스처의 종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수취인의 이름이 홍길동이고, 수취인의 이름이 출력되는 위치가 (x1,y1), (x2, y2), (x3, y3), (x4, y4)의 좌표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내부라고 가정하면, 해당 좌표의 내부 영역에 드래그, 터치, 클릭 등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이름이 출력된 영역을 선택한다면 그 영역에 포함된 이름도 보았을 것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이때, 요청부는, 이름을 출력할 때, 계좌이체 또는 송금 화면의 수취인의 이름은 모두 회색처리하고 수취인의 이름만 반전되는 색상으로 화면 상에 오버레이함으로써 수취인의 이름이 직관적으로 인식이 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요청부는 수취인의 이름을 출력할 때, 그 크기를 다른 텍스트보다 증가시켜서 표시함으로써 눈에 띄도록 할 수도 있고, 요청부는, 수취인의 이름을 소리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송금 또는 이체 화면의 많은 텍스트 중에서 수취인의 이름을 찾지 않아도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요청부에서 추출된 이름이 투자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영역을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선택 이벤트를 투자자 단말(100)로 요청할 때, 추출된 이름이 투자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영역에 이름을 드래그하여 완성하도록 안내선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안내선을 따라 투자자 단말(100)에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켜 이름에 대응하는 라인을 완성하는 경우, 완성된 라인과 이름에 대응하는 라인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방향과 이름에 대응하는 라인이 그려지는 순서와 획순을 저장하여 투자자 단말(100)의 필체 데이터로 저장하고, 투자자 단말(100)에서 수취자 확인을 할 때 저장된 순서와 획순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안내선을 따라 그린다고 할지라도 개인마다의 고유필체가 드러나고 그 획순도 개인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요청부는, 추가인증과정을 필체나 획순으로 개인을 식별하는 과정으로 대체함으로써 수취인을 확인함과 동시에 추가인증까지 할 수 있는 필체감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요청부에서 안내선을 따라 수취인의 이름을 입력받는 과정으로 터치 또는 클릭하는 과정을 대체할 수도 있다.
진행부는, 투자자 단말(100)로부터 수취자의 이름이 출력된 영역에서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이름을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한 번 더 거치는 것보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출력된 이름만 한 번 더 확인을 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이름을 혼동하여 송금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진행부에서 투자자 단말(100)로부터 수취자의 이름이 출력된 영역에서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수취자를 재선택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수취자를 재선택하기 전까지의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프로세스는 디폴트로 저장하여 재실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취자 이름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는 수취자 이름이 잘못된 경우라서 수취자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인데, 수취자를 변경하는 단계에 그 전에 입력했던 모든 정보, 예를 들어, 공인인증서 로그인, 계좌 비밀번호 입력, 이체 금액 입력, 보안카드 비밀번호 입력, ARS 인증 등을 모두 수행해야 한다면 사용자는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뱅킹의 사용을 포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단계만을 재수행하도록 이전에 입력했던 내용은 그대로 유지하고 진행할 수 있다. 물론, 그 이전에 입력했던 내용을 모두 널(Null) 값으로 초기화시키고 재진행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랜덤선택부는, 추출부에서 투자자 단말(100)에서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계좌번호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 계좌번호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수취자의 이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이름을 구성하는 복수의 글자 중 하나의 글자를 랜덤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하나의 글자와, 추출된 이름을 투자자 단말(100)에서 출력하며, 추출된 하나의 글자가 이름 중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확인받기 위하여 투자자 단말(100)로부터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이벤트로 선택받을 수 있다.
랜덤배열부는, 추출부에서 투자자 단말(100)에서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계좌번호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 계좌번호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수취자의 이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이름을 구성하는 복수의 글자의 배열을 랜덤하게 변경하고, 변경된 복수의 글자의 배열을 원배열로 재정렬하도록 투자자 단말(100)로부터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선택 이벤트를 투자자 단말(100)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랜덤배열부는, 투자자 단말(100)로부터 수취자의 이름이 출력된 영역에서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복수의 글자의 배열이 원배열로 재정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복수의 글자의 배열이 원배열로 재정렬된 경우,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일치확인부는, 추출부에서 투자자 단말(100)에서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계좌번호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 계좌번호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수취자의 이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이름을 구성하는 복수의 글자 중 어느 하나의 글자의 명도 또는 채도를 증감시킬 수 있고, 명도 또는 채도가 증감된 어느 하나의 글자를 투자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으며, 입력된 텍스트와 어느 하나의 글자가 일치하는 경우,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는, 추출부에서 투자자 단말(100)에서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계좌번호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 계좌번호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수취자의 이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이름을 구성하는 복수의 글자 중 어느 하나의 글자를 선택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글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글자를 투자자 단말(100)에서 출력하고, 투자자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글자를 복수의 글자 내의 확인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터치, 드래그 및 클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는, 투자자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글자를 이동시킨 위치가, 복수의 글자 내의 어느 하나의 글자가 배열된 위치인 경우,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얼굴확인부는, 추출부에서 투자자 단말(100)에서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계좌번호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 계좌번호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수취자의 이름을 추출한 이후, 수취자의 이름이 투자자 단말(100)의 주소록에 저장된 경우, 투자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와 매핑된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고 투자자 단말(100)에서 수취인을 확인하는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체 또는 입금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동명이인의 경우에는 이름을 확인할지라도 계좌번호가 다를 수 있고, 결국에는 착오송금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얼굴이나, 수취인과 주고받은 메일이 있다면 해당 메일을, 수취인과 주고받은 메신저 예를 들어, 카카오톡 내용을, 메세지가 있다면 해당 메세지 내용을 출력해줌으로써 수취인을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취인 1과 수취인 2는 이름이 동일하고, 수취인 1 및 수취인 2 모두 사용자의 주소록에 사진과 함께 저장되어 있거나, 메일을 주고받은 히스토리가 있거나, 메세지나 카카오톡 내용이나 연결된 소셜미디어 계정이 존재한다면, 전화번호로 구분된 수취인 1 또는 수취인 2의 얼굴을 계좌이체 또는 송금 화면에 출력하거나 상술한 히스토리 로그를 제공함으로써, 수취인 1이 수취인 2는 아닌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수취인이 회사나 법인인 경우에는 회사 로고를 출력할 수도 있고 회사와 주고받은 이메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동명이인이 아닌 경우에는 이름을 기반으로, 얼굴, 메일, 메세지 등을 출력하고, 동명이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름으로 추출되는 동명이인의 얼굴 등을 출력함으로써 어느 사람인지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서,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투자자 단말(100)이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랩탑(Laptop)과 스마트폰이 등록되고, 스마트폰에서 이체시도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랩탑의 화면에 수취인의 이름을 출력하되, 모든 백그라운드 및 포어그라운드 실행 프로그램을 후순위로, 수취인의 이름은 화면에 우선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그 역도 성립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에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200)는, 음성으로 수취인의 이름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투자자 단말 200 : 크라우드 펀딩 서버
210 : 프로젝트 등록부 220 : 암호화폐 환전부
230 : 펀딩 관리부 240 : 블록체인 연동부
250 : 투자자 등록부 260 : 데이터 베이스
270 : 아카이브 관리부 280 : 지분 관리부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8)

  1. 암호화폐를 투자금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크라우드 펀딩 서버; 및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와 연동하고, 스마트 콘트랙트를 실행하여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상기 투자금의 거래내역과 함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는,
    발행인 단말로부터 의뢰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프로젝트 등록부;
    온라인상에 게시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요청에 따라 명목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암호화폐 환전부;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투자자로부터 참여비율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지급받아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절차를 진행하는 펀딩 관리부; 및
    상기 투자자로부터 제공되는 투자금인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을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연계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블록체인 연동부
    를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는,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에 대한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투자자 등록부;
    진행중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및 완료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펀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펀딩정보를 아카이브 형태로 상기 블록체인 연동부를 통해 별도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아카이브 관리부
    를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우드 펀딩 서버는,
    투자자간 암호화폐 거래를 모니터링하고, 투자자간 암호화폐 보유량 변동에 따라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참여지분의 비율을 조정하는 지분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원장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은,
    각각 블록의 버전 및 기간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헤더;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값이 저장된 해시; 및
    승인된 복수의 트랜잭션 및 해당 트랜잭션의 암호화폐가 투자금으로 설정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 및 참여지분을 포함하는 펀딩 스테이트
    를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6. 청구항 1 에 기재된 크라우드 펀딩 서버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 방법에 있어서,
    발행인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의뢰받는 단계;
    의뢰된 프로젝트를 등록 및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로부터 게시된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를 요청받는 단계;
    투자자가 일정수준 이상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암호화폐의 거래내역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로부터 게시된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명목화폐를 통한 암호화폐로의 환전을 요청받는 단계; 및
    현재 환율에 따라, 명목화폐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투자자에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암호화폐의 거래내역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요청하는 단계는,
    현재부터 프로젝트 기한까지 일 또는 주 단위로 프로젝트 주체자로부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행상황의 기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크라우드 펀딩 서버의 권한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분산원장에 상기 진행상황을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방법.
KR1020190066030A 2018-06-04 2019-06-04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8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474 2018-06-04
KR20180064474 2018-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291A true KR20190138291A (ko) 2019-12-12

Family

ID=6900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030A KR20190138291A (ko) 2018-06-04 2019-06-04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82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4488A (zh) * 2021-02-22 2021-06-01 湖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防欺诈众筹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043A (ko) 2016-02-23 2017-08-31 김해동 P2p 가상 화폐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043A (ko) 2016-02-23 2017-08-31 김해동 P2p 가상 화폐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4488A (zh) * 2021-02-22 2021-06-01 湖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防欺诈众筹方法及系统
CN112884488B (zh) * 2021-02-22 2024-03-22 湖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防欺诈众筹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141B2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US2022012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US20200394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rivate sector monetary authority
KR102619524B1 (ko) 디지털 화폐를 사용하는 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75536A1 (en) Multiparty reconcili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347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math-based currency exchange
WO2019246627A1 (en) Blockchains for facilitating decentralized fund transfer
US20120116972A1 (en) Electronic Payment Orders
US20180268483A1 (en) Programmable asset systems and methods
KR102120539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US202102247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urrency Guaranteed By An Investment Vehicle
US202200278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fining, creating, managing, and transacting multiple classes of digital objects
US20200058018A1 (en) Financial investment algorithm tra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chain smart contract
EP3918745A2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20173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uthenticating, implementing, brokering data transfers, and collecting fees for data transfers among distributed electronic devices and servers
US10140658B1 (en) Commodity backed virtual currency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transactions
WO2010033081A2 (en) Secure server system for online transactions
Van Oerle et al.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for the financial industry
KR20190138291A (ko)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US11829962B2 (en) Payment delegation and linking system
KR102111711B1 (ko) 블록체인 및 에스크로 기반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제공 방법
Byrum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payment system as trusted broker and the implications for banking
KR20210017568A (ko)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Benedetti et al. Blockchain trading and exchange
Morgan et al. Fintech in ASEAN+ 3 and implications for financial inclusion and financial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