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564A -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564A
KR20230017564A KR1020210099218A KR20210099218A KR20230017564A KR 20230017564 A KR20230017564 A KR 20230017564A KR 1020210099218 A KR1020210099218 A KR 1020210099218A KR 20210099218 A KR20210099218 A KR 20210099218A KR 20230017564 A KR20230017564 A KR 20230017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information
stolen
tracking
line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086B1 (ko
Inventor
김권준
조영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9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0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6Anti-theft; Abd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초광대역 연결 기술을 활용하여 전선도난 발생 여부를 사건 발생 즉시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은, 전주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에 각각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전력선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 발신 장치, 및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DCU(Data Concentrator Unit)를 통해 수신받아 도난된 다수의 상기 전력선 중 하나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추적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stolen Copper Wire Cable}
본 발명은 도난 전력선 추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 기술과 초광대역(Ultra Wide Band, 이하 UWB) 기술을 활용하여 전선도난 발생 여부를 사건 발생 즉시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저압 배전계통은 동력용으로 3상 380V, 가정용으로 단상 220V가 3상 4선식으로 주상변압기에서 수용가까지 공급되는데, 이 저압 배전선로의 심선으로 구리(Copper)가 주로 사용된다. 이 구리를 얻기 위하여 배전선로를 무단으로 절취해 가는 도난사고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사람들의 왕래가 드물고 감시가 소홀한 산이나 시골 등지에 농사용으로 공급하는 전력선의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 단지가 산이나 시골에 많이 건설됨에 따라 전력선 도난사고도 늘어가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2011년부터 10년간 약 3,600건, 1,700km의 전선을 도난당했고 그 피해액은 약 34억 원에 달했다.
이러한 전선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설 선로는 알루미늄 전선을 사용하고, 전선도난 발생시에는 전선도난이 발생하였음을 자동으로 알리는 시스템들이 많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도난된 전선을 추적하는 시스템은 갖추어져 있지 않기에 전선도난이 발생하면 경찰에 신고하고 전선과 절도범 추적을 의뢰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선도난 사건이 발생하더라도 도난된 전선을 찾고 절도범을 검거하여 피해보상을 받아내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절도범을 잡지 못했을 때는 전력선 소유주 혹은 전력회사가 고스란히 피해를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선도난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시스템도 여러 가지 센서와 장치들로 이루어져 있고, 대부분 별도의 유/무선 통신회선이 필요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
1.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114883호(등록일자: 2012년02월03일)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초광대역 연결 기술을 활용하여 전선도난 발생 여부를 사건 발생 즉시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소형의 위치 추적 장치 서너 개만으로 시스템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임의 모바일 장치들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통신장치 및 회선 비용 없이 구축할 수 있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초광대역 연결 기술을 활용하여 전선도난 발생 여부를 사건 발생 즉시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은,
전주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에 각각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전력선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 발신 장치; 및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DCU(Data Concentrator Unit)를 통해 수신받아 도난된 다수의 상기 전력선 중 하나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추적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는 다수의 상기 전력선의 외주면 각각에 부착되며 열 수축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발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BLE 모듈;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발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UWB 모듈; 다수의 상기 전력선이 현재 위치하는 현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 및 상기 현재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 또는 상기 제 1 UWB 모듈(340)을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통신 발신 장치에 전송하는 제 1 제어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다수의 상기 전력선 중 하나의 상기 현재 GPS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측정하여 최초 설치시 저장되는 초기 GPS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슬립 모드(Sleep Mode)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GPS 모듈만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비교의 결과, 상기 현재 GPS 정보와 상기 초기 GPS 정보가 다르면 상기 제 1 BLE 모듈 및 제 1 UWB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위치 추적 정보와 함께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 중 하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발신 장치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BLE 모듈;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발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UWB 모듈; 및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DCU(Data Concentrator Unit)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추적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발신 장치는 변압기와 연결되는 상기 DCU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적 관리 서버는, 지도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도난된 다수의 상기 전력선 중 하나의 이동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분석부; 및 상기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람 정보는 음성, 문자 및 그래픽의 조합이며, 상기 그래픽은 상기 지도상에 이동 경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전주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에 각각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전력선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 중 하나로부터 일정거리내에 위치하며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 중 하나와 연결되어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아 도난된 전력선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추적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 1 BLE 모듈;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 1 UWB 모듈; 다수의 상기 전력선이 현재 위치하는 현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 및 상기 현재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 또는 상기 제 1 UWB 모듈을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1 제어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기는, 다수의 상기 전력선 중 하나의 상기 현재 GPS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 간격마다 측정하여 최초 설치시 저장되는 초기 GPS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슬립 모드(Sleep Mode)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GPS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 및 상기 제 1 UWB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 간격으로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주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이 있으면 슬립 모드(Sleep Mode)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슬립모드가 해제되면 미리 정해진 제 3 시간 간격으로 상기 GP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GPS 정보를 획득하여 측정 시간과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 및 상기 제 1 UWB 모듈이 활성화하여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정거리는 반경 200m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a) 전주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가 다수의 상기 전력선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통신 발신 장치가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및 (c) 추적 관리 서버가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DCU(Data Concentrator Unit)를 통해 수신받아 도난된 다수의 상기 전력선 중 하나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a) 전주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가 다수의 상기 전력선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 중 하나로부터 일정거리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및 (c)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 중 하나와 연결되는 추적 관리 서버가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아 도난된 전력선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방식의 전선도난 알림 및 방지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으며, 도난 전선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이고 즉각적인 도난 전선의 회수와 절도범 검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블루투스 모듈과 UWB(Ultra Wide Band) 모듈이 내장된 초소형의 위치 추적 장치 서너 개만으로 시스템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주변의 임의 모바일 장치들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통신장치 및 회선 비용 없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를 전력선에 설치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호 발신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트 프레임 구조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추적 관리 서버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위치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상 표시하고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100)은, 전주(110-1,110-2)의 말단에 배선되는 전력선(101-1,101-2,101-3)에 설치되어 전력선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 발신 장치(111,112),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아 도난된 전력선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추적 관리 서버(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주(110-1,110-2)가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며, 이 전주(110-1,110-2)의 말단에 전력선(101-1,101-2,101-3)이 설치된다. 즉 제 1 전주(110-1)와 제 2 전주(110-2)가 일정 거리로 설치되고, 제 1 전주(110-1)와 제 2 전주(110-2)의 말단에 제 1 내지 제 3 전력선(101-1,101-2,101-3)이 설치된다.
이때,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는 전력선(101-1,101-2,101-3)에 부착되어 전력선(101-1,101-2,101-3)의 도난, 이동시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한다.
부연하면, 제 1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는 제 1 전력선(101-1)상에 설치되고, 제 2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2)는 제 2 전력선(101-2)상에 설치되고, 제 3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3)는 제 3 전력선(101-3)상에 설치된다. 물론, 도 1에서는 3개의 전력선을 예시하였으나, 2개의 전력선의 경우, 2개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가 설치된다. 즉, 각 전력선마다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전주(110-1,110-2)에는 DCU(Data Concentrator Unit)(140-1,140-2)가 설치되며, 이 DCU(140-1,140-2)상에 통신 발신 장치(111,112)가 설치된다. DCU(140-1,140-2)는 전주(110-1,110-2)에 설치되어 수용가의 스마트 미터에 저장된 각종 전력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원격지의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의 서버(미도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CU(140-1,140-2)는 변압기(160-1,160-2)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DCU(140-1,140-2)는 DCU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유닛, DCU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통신방식별로 하나 또는 복수의 모뎀유닛, 배전용 변압기의 부하를 감시하는 변압기 감시유닛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전원유닛은 외부의 AC(Alternating Current) 상용 전원으로부터, DCU 내부의 각 유닛 동작에 필요한 DC(Direct Current) 전원을 생성하는 유닛으로, AC/DC 변환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제어유닛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 스위치 소자 등으로 구성된 유닛으로, DCU 동작에 필요한 각종 소프트웨어(S/W)가 실행된다.
통신 발신 장치(111,112)는 도난 전선 확인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를 활성화하고, DCU(Data Concentrator Unit)(140-1,140-2)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추적 관리 서버(130)에 위치 추적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발신 장치(111,112)와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간 통신은 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 초광대역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DCU(140-1,140-2)와 추적 관리 서버(130)간 통신은 통신망(미도시)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통신망은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중교환 전화망(PSTN), 공중교환 데이터망(PSDN),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SDN),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대도시 지역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LAN: Wide LAN)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망 , 블루투쓰(bluetooth),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이들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의 조합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를 전력선(101-1)에 설치하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는 지름약 3.5cm이고, 두께가 약 10mm이다.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는 도난이 염려되는 전력선(101-1)의 외주면에 부착하고 열 수축 테이프(201)로 감싼후(테이핑), 테이프 표면에 열을 가하여 전력선(101-1)에 접착시킨다. 도 2에서는 제 1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가 제 1 전력선(101-1)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2,120-3)도 유사하게 부착 고정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 내지 120-3)는, 제어기(310),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BLE 모듈(320)과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UWB 모듈(34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40), 전력선(101-1,101-2,101-3)이 현재 위치하는 위치 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획득하는 GPS 모듈(3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310)는 구성요소들인 BLE 모듈(320), UWB 모듈(340), GPS 모듈(330), 전원부(340)등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BLE 모듈(320) 또는 상기 UWB 모듈(340)을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통신 발신 장치(111,112)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3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기(310)는 전원부(340)의 전원 절약을 위해 슬립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절전 모드로서 제어기(310)는 해당 전력선의 GPS 위치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최초 설치시 저장된 GPS의 위치(위도, 경도)와 비교하고 위치가 바뀌지 않았다면 다음 정해진 시간까지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하여 대기한다. 제어기(310)는 자체 구성되는 메모리에 최초 설치될 때 전력선 부착 위치의 GPS 위도 및 경도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또한, GPS 위치(위도, 경도)가 변경되었다면 BLE와 UWB 통신 연결(Connectivity) 기술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도난 전선을 추적하고, 주변의 스마트폰과 통신을 시도한다.
BLE 모듈(320), UWB 모듈(340), 및 GPS 모듈(330)은 칩 형태로 구성된다. BLE는 블루투수 5.0이상의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BLE 모듈(320) 및 UWB 모듈(340)은 통신 발신 장치(111,112)와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다. 최근 삼성 ‘갤럭시 스마트태그’와 애플의 ‘에어태그’ 등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 통신 연결 기술과 초광대역(Ultra Wide Band, 이하 UWB) 통신 연결 기술을 활용한 값싸고 소형화된 위치 추적 장치들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부연하면,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술과 초광대역(UWB) 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을 비롯한 무선통신 기술의 비효율적인 전력 소모와 통신 가능 거리를 보완한 기술로, 다양한 기기의 쌍방향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장기간(1년 이상)의 배터리 수명을 보장한다. 또한 이미 보편화, 대중화된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와 폭넓은 호환성을 갖추고 있으며,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쉬운 연결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최근 BLE 및 UWB 기술은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는 주요 운영체제(애플사의 iOS,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안드로이드 등)와 함께 주요 스마트폰 제품들에 기본적으로 내장되는 추세로 그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초소형 위치 추적 장치의 기술적 진보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상용화 및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BLE 모듈(320), UWB 모듈(340), 및 GPS 모듈(330)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부(340)는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원부(340)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배터리는 코인 리튬 배터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BLE 및 UWB 통신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10년 이상 배터리 교체 없이 대기할 수 있다. 배터리의 지름은 약 1.5cm가 될 수 있다.
또한, UWB 모듈(340)은 IIEEE 802.15.4z 표준에 기반하며 임펄스 라디오(Impulse radio, IR) 방식으로 ToF(Time of Flight)와 AoA(Angle of Arrival) 측정에 약 6.5 ~ 8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는 2ns 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주변에 UWB 모듈(340)이 장착된 임의의 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들 수 있음)가 적당한 거리 내(최대 거리 200m)에 접근하면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내부의 UWB 모듈이 활성화되어 해당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UWB 모듈(340)은 고전력 임펄스를 사용하면 최대 약 200m까지 통신거리를 늘릴 수 있으므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가 주변의 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위치를 전송할 때까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전력 임펄스 송신 횟수를 시간대(주간 : 30분 혹은 1시간마다 1회, 야간 : 3시간마다 1회 등)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BLE 모듈(320)과 UWB 모듈(340)이 내장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는 범용 앱이나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예컨대 안드로이드 등)를 사용하는 임의의 통신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를 통해 고유의 ID(예컨대, MAC address)와 위치 추적 정보를 전송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호 발신 장치(111,112)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발신 장치(111,112)와의 통신 연결을 위해 제어기(410), BLE 모듈(420), UWB 모듈(440)이 구성된다. 또한, 신호 발신 장치(111,112)는 DCU(140-1,140-2)를 통해 추적 관리 서버(130)에 전력선에 대한 위치 추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DCU(140-1,140-2)와 신호 발신 장치(111,112)간 통신 연결은 RS232, RS485, 모드 버스, CC(Control & Communication)-Link 통신, 이더넷 통신 등이 될 수 있다.
신호 발신 장치(111,112)는 변압기(160-1,160-2)와 연결되는 DCU(140-1,14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DCU(140-1,140-2)가 없는 경우, 변압기(160-1,16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AC-DC 컨버터, DC-DC 컨버터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트 프레임 구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하는 UWB 프레임 또는 BLE 프레임의 형태는 IIEEE 802.15.4z 표준에 기반하여 SHR(Synchronization HeadeR: 동기화 헤더) 프리앰블(510), PHY 헤더(520), 페이로드(530)로 구성된다.
여기서 SHR 프리앰블(510)은 신호 획득, 동기, 채널추정, 거리 측정(ranging)을 위한 리딩 엣지 검출(leading edge detection 등의 수신단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PHY 헤더(520)에는 프리앰블 모드, 데이터 전송률, 페이로드 길이 정보 등이 포함된다. 페이로드(530)에는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의 ID(Identification)와 함께 추적 위치 정보(즉, 위도, 경도)를 포함한다. ID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이다. SHR 프리앰블(510)의 크기는 24 ~ 4160 심볼이고, PHY 헤더(520)는 16 심볼이고, 페이로드(530)는 0 ~ 1215 심볼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추적 관리 서버(13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추적 관리 서버(130)는 DCU(140-1,140-2)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610), 위치 추적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선(101-1,101-2,101-3)이 도난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분석부(620), 도난된 것으로 확인되면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 생성부(630), 알람 정보 또는 위치 추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6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610)는 DCU(140-1,140-2)와 통신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모뎀, 랜카드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분석부(620)는 위치 추적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선(101-1,101-2,101-3)이 도난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가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되어 전력선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위치 추적 정보 생성하여 추적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면, 분석부(620)는 위치 추적 정보의 위도/경도와 미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위도/경도를 비교하여 도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즉, 알람 정보가 오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중으로 분석부(620)에서 도난 여부를 확인한다.
물론,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가 전송되면 바로 도난 상태로 판정하고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석부(620)는 지도 정보와 위치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도난된 전력선(101-1,101-2,101-3)의 이동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도난된 전력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알람 생성부(630)는 전력선이 도난 상태로 판정되면,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람 정보는 음성, 문자, 및 그래픽의 조합이 될 수 있다. 그래픽의 경우, 지도상에 도난 전력선의 이동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문자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출력부(640)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거나, 지도상에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6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CRT(Cathode Ray Tub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미니 LED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경우, 입력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리의 출력을 위해 사운드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분석부(620), 알람 생성부(630)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소프트웨어 구성 컴포넌트(요소),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컴포넌트, 클래스 구성 컴포넌트 및 작업 구성 컴포넌트, 프로세스, 기능, 속성, 절차, 서브 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배열 및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위치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의 제어기(310)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여 대기 상태에 있다(단계 S710).
이 대기 상태에서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는 시간이 경과하여 일정 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20).
확인 결과, 단계 S720에서 일정 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GPS 위치 측정 기능만을 활성화(Wake-up)하여 GPS 위치를 측정한다(단계 S730). 즉, GPS 모듈(330)만을 활성화하여 현재 GPS 정보를 획득한다.
이와 달리, 확인 결과, 단계 S720에서 일정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기(3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도록 단계 S710)을 진행한다.
이후, 제어기(310)는 상기 현재 GPS 정보와 상기 초기 GPS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변경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40).
확인 결과, 단계 S740에서, 비교 결과, 위치 변경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고, BLE 모듈(320) 및 UWB 모듈(340)을 활성화하여 위치 추적 정보를 통신 발신 장치(111,112)에 전송한다(단계 S750,S76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8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800)은, 다수의 전력선(101-1,101-2,101-3) 중 하나인 전력선(101-1)에 설치되어 전력선(101-1)이 도난에 의해 위치 변경이 있게 되면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로 일정거리내에 위치하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810), 다수의 통신 단말기(810)와 통신 연결되는 이동 통신망(820), 및 이동 통신망(820)을 통해 통신 단말기(810)와 연결되어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아 도난된 전력선(101-1)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추적 관리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81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노트 패드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BLE와 UWB 연결 (Connectivity) 기술이 구현되는 기기라면 적용가능하다.
이동 통신망(92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망 , 블루투쓰(bluetooth),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GPS 위치(위도, 경도)가 변경되었다면 BLE와 UWB 연결 (Connectivity) 기술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도난 전선을 추적하고, 주변의 통신 단말기(810)와 통신을 시도한다.
부연하면, 도난 전선 추적 장치(120-1)는 통신 단말기(810)와의 통신을 위해 주변에 신호를 Broadcasting하고 주변에 있는 임의의 통신 단말기(810)가 도난 전선 추적 장치(120-1)의 신호를 받아 상호 통신연결이 된다. 즉, BLE 모듈(320)과 UWB(Ultra Wide Band) 모듈(340)을 활성화하고 외부의 통신 단말기(810)와 정해진 시간 주기로 통신을 시도한다.
따라서, 도난 전선 추적 장치(120-1)는 추적 장치 고유의 장치 ID(MAC address)와 함께 현재 위치의 GPS 정보를 임의의 통신 단말기(810)와 해당 통신 단말기(810)가 사용 중인 이동 통신망(920)을 통해 원격의 추적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도난 전선 추적 장치(120-1)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GPS 측정 없이 평상시에는 슬립모드 상태로 전력선에 부착되어 있다가 일정 거리내(약 반경 200m이내)(801)에 있는 주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의해 활성화되고, 그 이후부터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GPS 정보를 획득하여 측정 시간과 GPS 측위를 저장한다. 이후, 호환 가능한 OS(Operating System)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주변의 임의 통신 단말기(810)와 BLE 및 UWB를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한다.
도난 전선 추적 장치의 BLE/UWB모듈과 통신 단말기 간의 연결을 위하여,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BLE와 UWB 설정을 동시에 활성화 할 수 있다. BLE와 UWB를 동시에 사용하여 위치측위을 상호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근거리, LOS(Line-Of-Sight) 지역, 다중 반사파가 발생하는 밀집지역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도난 전선 추적 장치와의 거리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BLE 또는 UWB 모듈을 내장한 통신 단말기가 접근(최대 100m까지)하면 도난 전선 추적 장치는 BLE/UWB로 해당 장치와 통신하며, 이때 통신 단말기의 BLE 또는 UWB모듈은 도난 전선 추적 장치와의 거리 측정을 위해서 도달한 전파 강도에 따른 비례식으로 거리를 계산해내는 방식(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이하 RSSI)을 사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상 표시하고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추적 관리 서버(130)는 통신 단말기(810)와 이동 통신망(820)를 통해 연결된다(단계 S910).
이후, 통신 단말기(810)가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로부터 전송받은 ID(MAC address) 정보 및 위치 추적 정보를 추적 관리 서버(130)에 전송한다(단계 S920).
이후, 추적 관리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와 전송 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하면 위치 추적 정보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930).
확인 결과, 단계 S930에서 저장된 데이터와 상이하면 화면상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940).
이와 달리, 확인 결과, 단계 S930에서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하면 이전 단계 S920으로 진행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01-1,101-2,101-3: 전력선
110-1,110-2: 전주
111,112: 통신 발신 장치
120-1,120-2,120-3: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
140-1,140-2: DCU(Data Concentrator Unit)
201: 열 수축 테이프
310,410: 제어기
320,420: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33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340,440: UWB(Ultra Wide Band) 모듈
610: 통신부
620: 분석부
630: 알람 생성부
640: 출력부
810: 통신 단말기
820: 이동 통신망

Claims (20)

  1. 전주(110-1,110-2)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101-1,101-2,101-3)에 각각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 발신 장치(111,112); 및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DCU(Data Concentrator Unit) (140-1,140-2)를 통해 수신받아 도난된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 중 하나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추적 관리 서버(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는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의 외주면 각각에 부착되며 열 수축 테이프(201)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발신 장치(111,112)과 통신하는 제 1 BLE 모듈(320);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발신 장치(111,112)와 통신하는 제 1 UWB 모듈(340);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이 현재 위치하는 현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330); 및
    상기 현재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320) 또는 상기 제 1 UWB 모듈(340)을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통신 발신 장치(111,112)에 전송하는 제 1 제어기(310);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 중 하나의 상기 현재 GPS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측정하여 최초 설치시 저장되는 초기 GPS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슬립 모드(Sleep Mode)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GPS 모듈(330)만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상기 비교의 결과, 상기 현재 GPS 정보와 상기 초기 GPS 정보가 다르면 상기 제 1 BLE 모듈(320) 및 제 1 UWB 모듈(340)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상기 위치 추적 정보와 함께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중 하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발신 장치(111,112)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와 통신하는 제 2 BLE 모듈(420);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발신 장치(111,112)과 통신하는 제 2 UWB 모듈(440); 및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DCU(Data Concentrator Unit)(140-1,140-2)와 연결되는 연결부(430)를 통해 상기 추적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는 제 2 제어기(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발신 장치(111,112)는 변압기(160-1,160-2)와 연결되는 상기 DCU(140-1,14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관리 서버(130)는,
    지도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도난된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 중 하나의 이동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분석부(620; 및
    상기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 생성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정보는 음성, 문자 및 그래픽의 조합이며, 상기 그래픽은 상기 지도상에 이동 경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2. 전주(110-1,110-2)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101-1,101-2,101-3)에 각각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중 하나로부터 일정거리내에 위치하며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810); 및
    이동 통신망(820)을 통해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810) 중 하나와 연결되어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아 도난된 전력선(101-1)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추적 관리 서버(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810)와 통신하는 제 1 BLE 모듈(320);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810)와 통신하는 제 1 UWB 모듈(340);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이 현재 위치하는 현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330); 및
    상기 현재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320) 또는 상기 제 1 UWB 모듈(340)을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810)에 전송하는 제 1 제어기(310);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 중 하나의 상기 현재 GPS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 간격마다 측정하여 최초 설치시 저장되는 초기 GPS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슬립 모드(Sleep Mode)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GPS 모듈(330)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320) 및 상기 제 1 UWB 모듈(340)이 활성화되면, 상기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 간격으로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주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이 있으면 슬립 모드(Sleep Mode)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310)는 상기 슬립 모드가 해제되면 미리 정해진 제 3 시간 간격으로 상기 GPS 모듈(330)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GPS 정보를 획득하여 측정 시간과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BLE 모듈(320) 및 상기 제 1 UWB 모듈(340)이 활성화하여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810)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거리는 반경 200m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19. (a) 전주(110-1,110-2)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101-1,101-2,101-3)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가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통신 발신 장치(111,112)가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및
    (c) 추적 관리 서버(130)가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DCU(Data Concentrator Unit) (140-1,140-2)를 통해 수신받아 도난된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 중 하나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방법.
  20. (a) 전주(110-1,110-2)의 말단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력선(101-1,101-2,101-3)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가 다수의 상기 전력선(101-1,101-2,101-3)의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다수의 상기 도난 전력선 추적 장치(120-1,120-2,120-3) 중 하나로부터 일정거리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810)가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및
    (c) 이동 통신망(820)을 통해 다수의 상기 통신 단말기(81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추적 관리 서버(130)가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받아 도난된 전력선(101-1)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전력선 추적 방법.


KR1020210099218A 2021-07-28 2021-07-28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644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18A KR102644086B1 (ko) 2021-07-28 2021-07-28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18A KR102644086B1 (ko) 2021-07-28 2021-07-28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564A true KR20230017564A (ko) 2023-02-06
KR102644086B1 KR102644086B1 (ko) 2024-03-07

Family

ID=8522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218A KR102644086B1 (ko) 2021-07-28 2021-07-28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0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83B1 (ko) 2010-02-16 2012-02-27 이강원 절전 및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자전거용 휴대형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도난 방지 시스템
KR101659480B1 (ko) * 2016-09-01 2016-09-23 (주)다솔엔지니어링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및 추적시스템
KR102191711B1 (ko) * 2020-08-31 2020-12-17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송배전선로의 전력정보 측정, 수집 및 분석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3947A (ko) * 2018-08-31 2021-05-12 칼앰프 코퍼레이션 자산 추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83B1 (ko) 2010-02-16 2012-02-27 이강원 절전 및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자전거용 휴대형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도난 방지 시스템
KR101659480B1 (ko) * 2016-09-01 2016-09-23 (주)다솔엔지니어링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및 추적시스템
KR20210053947A (ko) * 2018-08-31 2021-05-12 칼앰프 코퍼레이션 자산 추적기
KR102191711B1 (ko) * 2020-08-31 2020-12-17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송배전선로의 전력정보 측정, 수집 및 분석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086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5389B1 (en)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and location based modification of computing device applications
US20140172354A1 (en) Incandescent socket connector havingbeacon module for indoor positioning, and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008707B1 (ko) 알에프아이디와 지그비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태양전지판 도난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974197A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室内定位系统
CN111970639B (zh) 保持安全距离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208724217U (zh) 基于uwb定位的信息传输系统
CN203407045U (zh) 一种基于led照明装置的室内导航控制系统
CN112350865B (zh) 一种基于Wi-Fi探针与宽带波通信技术的拓扑识别定位方法
US20230106904A1 (en) System, a positioning device, a slave anchor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methods
CN105611535B (zh) 伪基站定位装置以及定位方法
CN103293514B (zh) 一种自定位式rfid定位系统
CN103249143A (zh) 一种立体式混合定位到点的搜索系统及方法
KR102644086B1 (ko) 도난 전력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202995030U (zh) 一种室内人员定位装置
CN103428631A (zh) 具有求救功能的无线通讯装置及其求救方法
CN104678358A (zh) 一种定位方法、定位装置及定位系统
JP2020072281A (ja) 携帯無線端末及び測位システム
JP727199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205038337U (zh) 一种基于css精确定位的室内定位服务系统
CN204189966U (zh) 一种带磁性薄膜的天线装置
CN203658587U (zh) 一种基于gps信号的室内精确手机定位系统
KR101936112B1 (ko)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위치 측정 장치
CN110007272A (zh) 一种井下动目标精确定位方法
CN210867773U (zh) 一种基于NB-IoT的设备定位装置及系统
CN214847126U (zh) 基于NB-IoT的雷达-地磁双模车位检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