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836A - 감염예방 장치 - Google Patents

감염예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836A
KR20230016836A KR1020210098323A KR20210098323A KR20230016836A KR 20230016836 A KR20230016836 A KR 20230016836A KR 1020210098323 A KR1020210098323 A KR 1020210098323A KR 20210098323 A KR20210098323 A KR 20210098323A KR 20230016836 A KR20230016836 A KR 2023001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eans
mouth
nose
prevention device
infec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배
Original Assignee
최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배 filed Critical 최현배
Priority to KR102021009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836A/ko
Publication of KR2023001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입이나 코 등의 호흡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감염병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염된 손이 입을 포함하는 호흡기 관련 신체 기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감염예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이 입 근처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를 알림에 따라 손이 입이나 코 등에 자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감염예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염예방 장치{Devices for prevention of infection}
본 발명은 감염예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입이나 코 등의 호흡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감염병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오염된 손이 입을 포함하는 호흡기 관련 신체 기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감염예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손이 입 근처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를 알리고 손이 코나 입에 접근한 횟수를 사용자에게 알림에 따라 의식적으로 손을 입이나 코에 접근시키는 횟수를 줄여 오염된 손이 입이나 코 등에 자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감염예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병은 심신의 전체 또는 일부가 일차적 또는 계속적으로 장애를 일으켜서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감염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감염성 질환은 바이러스 ㅇ세균 ㅇ곰팡이 ㅇ기생충과 같이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동물이나 인간에게 전파 ㅇ침입하여 질환을 일으킨다.
더욱이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이 유행하고 있으며, 이는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마스크의 착용이 필수화되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은 질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통례이고, 이에 보다 안전하게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사용자의 입과 코 상에 놓이고 환자의 안면과 밀착하기에 적합한 형상의 공기 투과성 마스크로서,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 위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흡입 및/또는 흡출 공기가 필터 물질을 통과하도록 정위되는 하나 이상의 층의 필터 물질을 포함하며, 필터 물질이 산성 중합체와 결합된 공기 투과성 기재를 포함하는 공기 투과성 마스크이고,
특허문헌 2는 석창포수와 탄화수소의 추출물이 침착된 주재료 필터부; 기능성물질과 탄화수소의 추출물이 침착된 기능성물질 필터부; 황토와 게르마늄 및 탄화수소의 추출물이 침착된 보조 필터부; 및 주재료 필터부와 기능성물질 필터부 및 보조 필터부를 감싼 커버부;가 포함하는 석창포를 함유하는 기능성 마스크이며,
특허문헌 3은 마스크 본체; 마스크 본체를 귀에 고정하기 위한 귀걸이; 및 귀걸이에 도포되는 시온도료층을 포함하고, 시온도료층은 귀부분 아래 피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색상이 변화되는 인체 귀부분의 온도변화에 대응하는 시온 귀걸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이와 같이 호흡기 전염성 질환의 방지를 위한 다양한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마스크가 수시로 오염된 물질에 접촉될 경우 바이러스가 마스크를 통과하여 호흡기로 유입되어 질환에 걸리는 일이 있어 가능한 오염된 물질을 마스크에 접촉시키지 않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마스크에 가장 많이 접촉되는 것으로 손이 있으며, 이 손은 다양한 물건과 접촉되는 신체 부위로 오염의 정도가 심한 신체 부위이다.
이러한 손이 마스크 또는 코나 입과 자주 접촉하면 바이러스가 호흡기로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전염성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지만, 습관적으로 코나 입을 만지는 사람의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61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15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4021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입이나 코 등의 호흡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감염병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오염된 손이 입을 포함하는 호흡기 관련 신체 기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감염예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손이 입 근처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를 알리고 손이 코나 입에 접근한 횟수를 사용자에게 알림에 따라 의식적으로 손을 입이나 코에 접근시키는 횟수를 줄여 오염된 손이 입이나 코 등에 자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감염예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염예방 장치는 입이나 코 주위에 착용되는 제1센싱수단; 손가락과 인접한 신체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싱수단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2센싱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두 센싱수단이 근접함을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센싱수단은 목걸이이고, 상기 제2센싱수단은 팔찌 또는 반지일 수 있다.
상기 알림수단은 스피커, 램프 또는 진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두 센싱수단의 근접 횟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는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진 횟수의 증감에 따라 상벌을 표시하는 상벌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미아방지용 GPS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염예방 장치는 오염된 손이 입이나 코에 접촉되었을 때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를 함에 따라 습관적으로 입이나 코를 손으로 만지는 사람이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지는 행동을 자제할 수 있도록 하여 손에 묻은 오염 물질이 입이나 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은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지는 습관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도 손이 입이나 코 주위에 근접할 때마다 경보를 울려 이를 알림에 따라 이러한 습관을 고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운터와 상벌표시부를 구비하여 장치를 사용하는 어린이가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지는 횟수의 가감을 고려하여 상벌을 표시하고 상벌을 제공함에 의해 어린이가 손으로 입이나 귀를 만지는 횟수를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아방지용 GPS를 더 구비하여 이를 추적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노약자나 어린이가 길을 잃었을 때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예방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예방 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예방 장치를 구성하는 감지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오염된 손이 입이나 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염예방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센싱수단(10, 20)과, 알람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센싱수단(10, 20)은 상호 작용하여 서로 인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입이나 코 주위에 착용되는 제1센싱수단(10)과, 손가락과 인접한 신체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싱수단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2센싱수단(20)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센싱수단(10)은 수신용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2센싱수단(20)은 송신용으로 사용하거나, 이와 반대로 제1센싱수단(10)은 송신용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2센싱수단(20)은 수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수단(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이나 코와 인접한 부분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것이나 가능하지만 입이나 코에 직접 착용하기 위해서는 크기가 소형화되어야 하지만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음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걸이 형태로 제작하여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제1센싱수단(10)은 목걸이를 구성하는 줄(체인)의 일부에 부피를 갖는 펜던트(pendant)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착용자의 목 전방 부분에 위치한 상태로 착용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센서부(10s), 제1제어부(10c), 제1전원부(10e)로 구성된다.
상기 제1센싱수단(10)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 상기 제2센싱수단(20)이다.
즉, 상기 제1센싱수단(10)과 제2센싱수단(20)은 상호 작용하여 서로 인접된 상태가 되면 착용자의 손이 입이나 코에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제2센싱수단(20)은 손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어야 하고, 제2센서부(20s), 제2제어부(20c), 제2전원부(20e)로 구성된다.
상기 제2센싱수단(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찌의 형태로 제작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지의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센싱수단(10)을 구성하는 제1센서부(10s) 또는 제2센싱수단(20)을 구성하는 제2센서부(20s)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근접센서 등 서로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작동될 수 있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센싱수단과 제2센싱수단을 구성하는 센서부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 제2제어부(10c, 20c)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부들(10c, 20c)은 상기 두 센서부들(10s, 20s)사이의 거리 즉,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감도 조절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싱수단과 제2센싱수단에는 센서부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e, 20e)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원부들은 소형 충전지가 될 수 있으며, 통상의 USB포트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센싱수단과 제2센싱수단이 서로 근접한 것을 감지함에 의해 손이 입이나 코와 인접한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손이 입이나 코와 인접한 것을 감지할 경우 이를 착용자에게 알려야 한다.
상기 알림수단(30)을 도 1에는 제1센싱수단에 설치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제2센싱수단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알림수단(30)을 제1센싱수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제1센싱수단(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목걸이 형태로 제작되고, 이렇게 제작된 제1센싱수단은 귀나 눈이 있는 얼굴과 가까워 알림수단에 의해 발생된 경고를 착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알림수단(30)은 스피커, 램프 또는 진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들에 의해 발생된 소리나 빛 또는 진동이 머리와 인접한 부분에서 발생됨에 따라 손이 입이나 코에 근접한 것을 착용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림수단(30)을 제1센싱수단에 설치한 다른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센싱수단(20)은 팔찌나 반지의 형태로 만들 수 있고, 반지의 형태로 제작할 경우에는 상기 알림수단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센싱수단(20)을 팔찌 형태로 제작할 경우에는 제2센싱수단(20)에 알림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알림수단(30)은 제1센싱수단이나 제2센싱수단과는 별도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알림수단을 제1센싱수단이나 제2센싱수단과 분리하여 제작할 경우에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따로 구성하여 센싱수단에서 감지한 신호를 받아 작동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염예방 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두 센싱수단의 근접 횟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는 카운터(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운터(40)를 손이 입이나 코에 접촉한 회수를 착용자에게 알림에 따라 착용자는 실제 자신이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지는 횟수를 인식하여 그 횟수를 줄여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지는 버릇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운터(40)에서 감지한 횟수와 제어부에 기 저장된 횟수를 대비하여 장치를 착용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손이 입이나 코에 접근한 횟수가 늘거나 줄어든 정보를 파악하여 상 또는 벌을 알리는 상벌표시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벌표시부(50)에 표시된 정보를 감염예방 장치를 착용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확인함에 따라 자신이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진 횟수 대비 상벌을 확인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지는 횟수를 줄이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감염예방 장치에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감염예방 장치를 착용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단말기와 감염예방 장치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카운터(40)에서 감지한 횟수 또는 상기 상벌표시부(50)에 표시된 정보를 감염예방 장치를 착용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단말기 통해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아방지용GPS(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아방지용GPS(60)는 본 발명의 장치를 착용한 노약자나 어린이가 길이나 집을 잃고 헤매고 있을 때, 보호자가 이들을 용이하게 추적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서부과 제2센서부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신부와 수신부의 역할을 하는 제1, 제2센서부에 블루투스 모듈을 결합해서 프로그램과 회로를 설계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가능해지고, 거리가 가까워지면 발신부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부가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접속 회수의 카운팅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신부와 발신부 일체형에서보다 블루투스가 포함된 개별형이 수신 속도를 2배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제1센싱수단
10s: 제1센서부 10c: 제1제어부
10e: 제1전원부
20: 제2센싱수단
20s: 제2센서부 20c: 제2제어부
20e: 제2전원부
30: 알림수단
40: 카운터
50: 상벌표시부
60: GPS

Claims (7)

  1. 입이나 코 주위에 착용되는 제1센싱수단(10);
    손가락과 인접한 신체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싱수단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2센싱수단(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두 센싱수단이 근접함을 알리는 알림수단(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예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수단(10)은 목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예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수단(20)은 팔찌 또는 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예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30)은 스피커, 램프 또는 진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예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두 센싱수단의 근접 횟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는 카운터(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예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손이로 입이나 코를 만진 횟수의 증감에 따라 상벌을 표시하는 상벌표시부(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예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센싱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미아방지용GPS(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예방 장치.
KR1020210098323A 2021-07-27 2021-07-27 감염예방 장치 KR20230016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323A KR20230016836A (ko) 2021-07-27 2021-07-27 감염예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323A KR20230016836A (ko) 2021-07-27 2021-07-27 감염예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836A true KR20230016836A (ko) 2023-02-03

Family

ID=8522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323A KR20230016836A (ko) 2021-07-27 2021-07-27 감염예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83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136A (ko) 2006-07-18 2009-04-13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항바이러스 안면 마스크 및 필터 물질
KR20170041584A (ko) 2015-10-07 2017-04-17 안동석창포영농조합법인 석창포를 함유하는 기능성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0215A (ko) 2020-11-02 2020-12-15 김연태 인체 귀부분의 온도변화에 대응하는 시온귀걸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136A (ko) 2006-07-18 2009-04-13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항바이러스 안면 마스크 및 필터 물질
KR20170041584A (ko) 2015-10-07 2017-04-17 안동석창포영농조합법인 석창포를 함유하는 기능성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0215A (ko) 2020-11-02 2020-12-15 김연태 인체 귀부분의 온도변화에 대응하는 시온귀걸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8763A1 (en) Smart face protective device and system for infection control
US6572636B1 (en) Pulse sensing patch and associated methods
US20170293985A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rowd control
JP2010510602A (ja) セキュリティ・監視装置
KR101949102B1 (ko) 복약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
KR101778637B1 (ko)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Chatterjee et al. Classification of wearable computing: A survey of electronic assistive technology and future design
US71264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upper respiratory diseases and for modifying certain OCD behaviors
US10482785B2 (en) Multi-sensor system and method to deter obsessive compulsive behavior
CN115484866A (zh) 个人接近警告设备和相关联的行为调整系统
KR20200104759A (ko)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
KR20200104758A (ko)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54384A (ko) 위급환자 발생 감지용 스마트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급환자정보 제공방법
KR20230016836A (ko) 감염예방 장치
US20220059231A1 (en) Watchdog smart face protective device and smart face shield for infection control
D’Aurizio et al. Reducing face-touches to limit COVID-19 outbreak: An overview of solutions
GB2391991A (en) Child proximity detector and alarm
US20220330890A1 (en) An earpie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tragus and a method of providing continuous physiological detection
DE202020102665U1 (de) Signalgeberanordnung zur Vermeidung von Hand-Gesichtsberührungen einer Person
US2022037536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Hand-to-Face Contact
KR102398126B1 (ko) 체온측정 가능한 스마트 워치
KR102576020B1 (ko) 건강관리 마스크 시스템
US11849699B2 (en) System for alerting service animals to perform specified tasks
RU2020117822A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опасности заражения человека вирусами, в том числе коронавирусами типа covid-19, уменьшения опасности их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596008B1 (ko) 입원환자 모니터링용 스마트손목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