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78A - 신발류 물품의 생산후 레이저 수정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의 생산후 레이저 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678A
KR20230016678A KR1020227045915A KR20227045915A KR20230016678A KR 20230016678 A KR20230016678 A KR 20230016678A KR 1020227045915 A KR1020227045915 A KR 1020227045915A KR 20227045915 A KR20227045915 A KR 20227045915A KR 20230016678 A KR20230016678 A KR 20230016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bladder
foam
article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빈 에이 제임스
에릭 에스 쉰들러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1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43B21/265Resilient heel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용 밑창 조립체는 적어도 블래더 및 발포체 중창 구성요소로 형성된 중창을 포함한다. 상기 중창은 지면을 향하는 표면과 측벽을 갖고, 상기 블래더는 상기 측벽 상의 구성요소 경계에서 상기 발포체 중창과 만난다. 에칭이 상기 발포체 중창과 블래더 내로 연장한다. 상기 에칭된 채널은 상기 측벽 내로 약 2 ㎛ 내지 약 1000 ㎛의 깊이를 갖고, 상기 구성요소 경계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의 생산후 레이저 수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5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3/032,688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통합된다.
본 교시는 전체적으로 레이저 에칭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발류 물품을 미용적으로 수정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하여 지면 또는 바닥 표면으로부터 발을 이격하도록 구성된 밑창(sole)을 포함한다. 밑창은 원하는 수준의 완충(cushioning)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밑창은 중창(midsole)과 겉창(outsole)을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특히 운동용 신발류는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밑창에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발포체(foam) 또는 기타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부 구성에서, 밑창은 완충 성능을 변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 챔버(fluid filled cham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신발류 물품용 밑창 조립체는 적어도 블래더(bladder) 및 발포체 중창 구성요소로 형성된 중창을 포함한다. 상기 중창은 지면을 향하는 표면과 측벽을 갖고, 상기 블래더는 상기 측벽 상의 구성요소 경계에서 상기 발포체 중창과 만난다. 에칭이 상기 발포체 중창과 블래더 내로 연장한다. 에칭된 채널은 상기 측벽 내로 약 2 ㎛ 내지 약 1000 ㎛의 깊이를 갖고, 상기 구성요소 경계를 가로질러 연속하여 연장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기능하는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갑피(upper), 및 상기 갑피에 결합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밑창 구조체는 갑피 반대편의 지면 접촉 표면, 열가소성 폴리머 발포체로 형성된 중창, 및 유체 충전 블래더를 포함한다. 상기 중창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주의 제1 부분을 규정하는 발포체 측벽을 구비한다. 상기 발포체 측벽은 상기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상향 연장하고, 상기 유체 충전 블래더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주의 제2 부분을 규정하는 블래더 측벽을 구비한다. 상기 블래더 측벽은 구성요소 경계에서 상기 발포체 측벽에 직접 접한다. 마지막으로, 에칭이 상기 구성요소 경계를 가로질러 상기 발포체 측벽으로부터 상기 블래더 측벽까지 연속하여 연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상기 에칭은 그래픽 디자인 또는 로고를 형성할 수 있고, 네트워크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 수신되는 시각적 이미지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에칭은, 최외곽 재료 층과는 상이하게 착색될 수 있는, 가시적인 내부 재료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거나 만들어낼 수 있다. 상기 에칭은 코디된(coordinated) 신발 한 켤레에서 왼쪽 신발과 오른쪽 신발을 구별하는 데 시각 장애가 있는 개인에게 유용할 수 있는 텍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칭은 신발류 물품의 진성성(authenticity)을 결정할 수 있는 고유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칭을 생성하기 위한 관련 방법을 비롯하여, 본 설계의 다른 양태 및 이점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로서, 층상 구성으로 배열된 갑피 및 밑창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나타낸다.
도 3은 레이저 에칭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신발류 물품의 측벽에 적용된 디자인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신발류 물품을 레이저 에칭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개시는 전체적으로 신발류 물품이 완전히 조립된 후 신발류 물품의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 특성을 변경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래픽 또는 촉각적 텍스처가 복수의 인접 구성요소에 걸쳐 연속하여 확장될 수 있는데, 이는 그렇지 않으면 그래픽이나 텍스처가 조립 전에 적용된 경우 적절히 실행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구성을 더 완전하게 설명한다. 이들 구성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그리고 본 개시의 범위가 당업자에게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구성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 디바이스 및 방법의 예와 같은 특정 세부사항을 설명한다. 특정 세부사항이 채용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고, 예시적인 구성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 및 예시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한정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및 "상기(the)"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은, 포괄적이며 따라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구체화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은 실행의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으면, 논의되거나 예시된 특정 순서로 이들의 실행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 또는 별법의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위에 있고", "에 맞물리고", "에 연결되고", “에 부착되고” 또는 "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언급될 때, 이 요소 또는 층은 직접 다른 요소 또는 층 위에 있고, 맞물리고, 연결되고, 부착되고 또는 결합될 수 있고, 또는 개재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나 층 "위에 직접 있고", "직접 맞물리고", "직접 연결되고", "직접 부착되고"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언급될 때, 어떠한 개재 요소 또는 층도 없을 수 있다. 요소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단어는 유사한 방식으로 (예컨대: "사이에" 대 "직접 사이에", "인접한" 대 "직접 인접한" 등)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된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의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는 데만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와 같은 용어 및 기타 숫자 용어는 문맥상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시퀀스나 순서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은 갑피(100) 및 밑창 구조체(100)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은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영역은 전족 영역(12), 중족 영역(14), 및 뒤꿈치 영역(16)을 포함할 수 있다. 중족 영역(14)은 발의 아치 영역과 대응할 수 있고, 뒤꿈치 영역(16)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과 대응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은 전족 영역(12)의 최전방 지점과 연관된 전방 단부(18), 및 뒤꿈치 영역(16)의 최후방 지점에 대응하는 후방 단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의 종축이 전체적으로 전방 단부(18)로부터 후방 단부(20)까지 신발류 물품(1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전체적으로, 신발류 물품(10)을 바깥쪽 측면(lateral side) 및 안쪽 측면(medial side )으로 분할한다. 따라서, 바깥쪽 측면 및 안쪽 측면은 각각 신발류 물품(10)의 양 측면에 대응하고 영역(12, 14, 16)을 통해 연장한다.
갑피(200)는 밑창 구조체(100) 상에서의 지지를 위해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 내부 공동(102)을 규정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갑피(100)는 내부 공동(102)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의 적절한 재료는 메쉬, 텍스타일, 발포체, 가죽 및 합성 가죽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구성, 통기성, 내마모성, 유연성 및 편안함의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재료를 선택하고 배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예에서 갑피(100)는 밑창 구조체(200)에 대향하는 바닥 표면 및 내부 공동(102)의 풋베드를 규정하는 반대쪽 상단 표면을 갖는 스트로벨(strobel)(104)을 포함한다. 스티칭 또는 접착제로 상기 스트로벨을 갑피(1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풋베드는 발의 바닥 표면(예를 들어, 발바닥)의 프로파일에 부합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갑피(100)는 신발류 물품(10)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트로벨(104) 상에 배치되고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 내에 위치하여 발의 발바닥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깔창(sockliner) 또는 안창(insole)과 같은 추가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뒤꿈치 영역(16)의 발목 개구(114)는 내부 공동(102)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목 개구(114)는 발을 수용하여 공동(102) 내에 발을 고정하고 내부 공동(102)에 대한 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파스너(110)가 갑피(100)를 따라 연장하여 발 주위에서의 갑피(100)의 맞춤을 조정하고 그로부터 발의 출입을 수용한다. 갑피(100)는 파스너(110)를 수용하는 아이렛(eyelet)과 같은 작은 구멍(112) 및/또는 패브릭 또는 메시 루프와 같은 다른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파스너(110)는 레이스, 스트랩, 코드, 후크-앤-루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0)는 내부 공동(102)과 파스너 사이에서 연장하는 설부(tongue portion)(116)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200)는 뒤꿈치 영역(16) 내에서 밑창 구조체(200)의 외주의 일부를 규정하는 완충 구성요소(208)를 포함한다. 완충 구성요소(208)는 유체 충전 블래더(210) 및 겉창 부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겉창 부분(220)은 오버몰딩 공정을 통해, 그렇지 않으면, 블래더(210)의 벽을 형성할 때 겉창 부분(220)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유체 충전 블래더(21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겉창 부분(220)은 유체 충전 블래더(210)의 지면을 향하는 측면을 따라 연장하고, 밑창 구조체(200)의 지면 결합 표면(202)의 제1 부분을 규정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0)는 전족 영역(12) 및 중족 영역(14)에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를 더 포함한다.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는 예를 들어 폴리머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머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는 사용 중에 지면 위의 신발류 물품(10)의 움직임에 의해 야기되는 지면 반력(ground-reaction force)을 감쇠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충전 블래더(210)는, 주변 플랜지 또는 시임(214)에서 함께 융합되어 각각의 시트(212a, 212b) 사이에 내부 체적을 규정하는 복수의 폴리머 시트(예를 들어, 제1 및 제2 폴리머 시트(212a, 21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내부 체적은 밑창 구조체에 완충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가압 유체(pressurized fluid)(예: 공기)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임(214)은 유체 충전 블래더(210)의 주변의 일부 또는 전부 주위로 연장할 수 있지만, 겉창 부분(22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시임(214)이 유체 충전 블래더(2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대적으로 현저한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시임(214)은 상부 폴리머 시트(212a) 및 하부 폴리머 시트(212b)가 서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도록 평평한 시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폴리머 시트(212a, 212b) 사이에 추가 폴리머 시트가 제공되어 유체 충전 블래더(210) 내에 하나 이상의 추가 체적을 규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폴리머 시트(212a, 212b)는 각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과 같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21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폴리머 재료의 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또한, 유체 충전 블래더(210)를 형성하는 폴리머 시트(212a, 212b) 각각은 상이한 재료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머 시트(212a, 212b)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층 및 에틸렌과 비닐 알코올(EVOH)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교번 박막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사용 시, EVOH 층은 내부에 포함된 가압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82,025호에 추가로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 합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리머 시트(212a, 212b)는 또한, 미첼(Mitchell) 등의 미국 특허 제5,713,141호 및 제5,952,0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교번 층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그 전체가 참조로 합체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층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리그라인드 재료(regrind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210)의 폴리머 시트(212a, 212b)는 또한, 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82,025호 및 제6,127,0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리어 재료와 엘라스토머 재료의 교번 층을 포함하는 가요성의 마이크로층 멤브레인일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그 전체가 참조로 합체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210)에 대한 추가의 적합한 재료는 Rudy의 미국 특허 제4,183,156호 및 제4,219,94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체가 참고로 합체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210)에 대한 추가의 적합한 재료는 Rudy의 미국 특허 제4,936,029호 및 제5,042,1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정질 재료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필름, 및 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및 제6,321,4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특허는 그 전체가 참조로 합체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210)의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인장 강도, 스트레치 성질, 피로 특성, 동적 계수 및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와 같은 엔지니어링 특성이 고려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21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폴리머 시트(212a, 212b)의 두께는 이러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210)는 탄력이 있으며, 예컨대 가압 수준을 선택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완충 및 가연성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원하는 응답성을 제공하기 위해, Rudy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4,906,502호 및 Swigart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8,061,06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장 부재 및/또는 보강 구조가 유체 충전 블래더(210)와 통합될 수 있으며, 이들 특허는 그 전체가 참조로 합체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겉창 부분(220)은 블래더(210)의 일부 위로 연장하여 블래더(210)에 증대된 내구성 및 탄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겉창 부분(220)은 블래더(21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하부 폴리머 시트(212b)와는 상이한 두께, 상이한 경도, 및 상이한 내마모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겉창 부분(220)은 오버-몰딩 공정을 이용하여 블래더(210)의 제2 폴리머 시트(212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겉창 부분(220)은 제2 폴리머 시트(212b)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속 공정을 통해 제2 배리어 층(212b)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충전 블래더는 바깥쪽 측면 상의 원위단(distal end)(219)으로부터 안쪽 측면 상의 유사한 원위단까지 뒤꿈치 영역(16)의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212a)은 갑피(100)와 겉창 부분(220) 사이에서 밑창 구조체(200)의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어, 투명한 제1 고분자 시트(212a)가 뒤꿈치 영역(16)의 주변에서 노출된다.
밑창 구조체(200)는, 제1 폴리머 시트(212a)와 동일한 투명 TPU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의 일부 위로 더 연장할 수 있는 힐 카운터(heel counter)(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카운터(270)는 블래더(210)의 제1 원위단(219)으로부터 후방 단부(20) 주위로, 그리고 밑창 구조체(200)의 반대측에 있는 블래더(210)의 원위단까지 연장한다.
일반적으로, 유체 충전 블래더(210) 및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는 협력하여 신발류 물품의 전체 중창의 적어도 일부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중창은 일반적으로, 유체 충전 블래더 측벽 및 전방 중창 구성요소 측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외향 중창 측벽을 구비한다. 상기 중창 측벽은 일반적으로, 지면 결합 표면(202)으로부터 갑피를 향해 상측으로 연장할 수 있고, 신발류 물품(10)의 전체 측면 프로파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 특히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200)는 에칭 공정을 통해 맞춤화된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유체 충전 블래더 측벽 및 전방 중창 구성요소 측벽 중 하나 또는 양자에 걸쳐 연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을 중창 측벽에 새길 수 있다. 시스템(300)은 일반적으로, 레이저 헤드(302), 작업편(306)을 유지 및/또는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작업편 홀더(304), 레이저 헤드(302)와 작업편 사이에 움직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이동 시스템(308), 및 레이저 헤드(302)와 작업편 사이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헤드(302)는 특정 파장에서 강렬한 광선(beam of light)을 방출할 수 있고, 변압기(transformer)(314)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레이저 발진기(31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밑창 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레이저 절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펄스 섬유 레이저, 연속파 이산화탄소 레이저, 자외선 고체 레이저, 이트륨 리튬 플루오라이드 레이저 또는 엑시머(엑시플렉스) 레이저 절단기, 예를 들어 미츠비시사(Mitsubishi Corporation)에서 제조한 5-축 컴퓨터 수치 제어 레이저 절단기 ML1515VZ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는 248nm의 파장을 갖는 KrF 엑시머 레이저 INDEX-848K와 같은 레이저 절단기를 제조한다.
레이저 광의 파장은 절단할 재료의 특성과 원하는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파장은 스펙트럼의 자외선 부분, 즉 약 10nm 내지 약 400nm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외선 스펙트럼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약 200nm 내지 약 300nm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폴리머의 경우, 248nm 광이 절단/에칭에 효과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기 스펙트럼의 다른 부분이 레이저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적외선도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940nm-1064nm 파장 범위의 이산화탄소 레이저가 특정 재료/효과에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355nm, 532nm 및 1064nm에서 동작하는 레이저가 바람직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IR(예: >700nm) 레이저는 폴리머를 열적으로 변형/용융(즉, "고온" 공정)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UV 레이저(예: <400nm)는 가장자리가 더 부드러운 특징을 생성할 수 있는 "저온" 광절제 공정(cold photo-ablation process)에서 표면층의 분자 결합을 끊을 수 있다. 파장의 선택과 유사하게, 레이저의 파워 및/또는 레이저 펄스의 지속 시간 또는 레이저 빔에 대한 노출이 파장, 전원, 절단/에칭하고자 하는 재료의 유형, 및 원하는 절단/에칭 효과의 유형과 같은 요인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레이저 헤드(302)는 레이저 발진기(312)에 연결될 수 있고, 레이저 발진기(312)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를 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헤드(302)는 레이저 헤드(302)의 바닥에 배치된 레이저 노즐(316)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노즐(316)은 레이저를 더 집중시키고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레이저 빔의 초점을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도록 조정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이저 노즐(316)은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는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레이저 헤드(302) 및/또는 레이저 노즐(316)의 유형은 다양한 인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헤드 및 레이저 노즐의 유형은 사용되는 레이저 절단기의 유형 및/또는 에칭 패턴의 원하는 깊이 및 형상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작업편 홀더(304)는 신발류 물품을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편 홀더(304)는 작업편 테이블(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업편 홀더(304)는 신발류 물품이 장착되는 라스트(la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레이저 헤드(302)와 작업편 사이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이동 시스템(308), 예를 들어 상기한 미츠비시사의 ML1515VZ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레이저 헤드(302)를 3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작업편을 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5-축 절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레이저 헤드(302)를 2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작업편을 3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5-축 절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대안적으로 레이저 헤드(302)를 3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작업편을 3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6-축 절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헤드(302)와 작업편 홀더(304) 사이에 복수의 이동 방향을 제공하면 많은 에칭 패턴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0)에 시각적 패턴을 에칭하는 데 이용되는 경우, 레이저 헤드(302)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은 절단 후에 밑창 구조체(200)의 표면을 매끄럽게 남기도록 조정될 수 있지만, 폴리머의 시각적 외관을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이저 헤드(302)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은 레이저 빔의 결과로서 마크를 남기도록 조정될 수 있다. 레이저 절단으로 인해 생기는 마크는 매우 미묘하고 균일하여 밑창 구조체(200)의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표면의 거칠기는 극히 낮거나 에칭전 상태로부터 비교적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의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밑창 구조체(200)의 표면에 텍스처를 추가할 수 있는 가는 선 및/또는 다른 반복 패턴을 절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레이저 헤드(302)와 작업편 사이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미츠비시사는 ML1515VZ20과 같은 5-축 컴퓨터 수치 제어 레이저 절단기를 제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는 레이저 헤드(302)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의 초점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의 유형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의 유형은 레이저 헤드의 유형 및/또는 사용되는 작업편 테이블의 유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3의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레이저 헤드(302) 및/또는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컬 처리 디바이스는 시스템(300)을 구성하도록 동작하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는 하나 이상의 전용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와 로컬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는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와 유선 통신하거나 또는 직접 무선 통신하는 데스크탑 또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적합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는 디지털 컴퓨터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BLUETOOTH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포인트-투-포인트 RF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22)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22)는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표시되거나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밑창 구조체(200)에 에칭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324)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22)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적절한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볼 수 있는 인터넷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련의 사용자 프롬프트에 응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다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22)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사용자 프롬프트는, 밑창 구조체(200)에 에칭될 수 있는 맞춤화된 깊이, 패턴 또는 효과와 같은 원하는 표면 특징 또는 디자인의 입력을 요청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 및/또는 텍스트 기반 프롬프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프롬프트는 밑창 구조체(200)의 외부 표면에 원하는 로고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되는 "로고"라는 용어는 맞춤형 워터마크(custom watermark) 또는 에칭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임의의 이미지, 문자, 캐릭터 등을 지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 특히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200)는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을 통해 맞춤화된 시각적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레이저 에칭 시스템(300)은 물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시각적 특성을 변경 및/또는 신발류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변경할 목적으로 신발류 물품(10)의 외부 표면에 레이저 에너지를 제어 가능하게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외부 표면(352)에 각인된 에칭 패턴(350)을 갖는 신발류 물품(1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 패턴(350)은 중단 없이 다수의 구성요소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에칭 패턴(350)의 이러한 연속적인 양태는, 레이저 헤드(302)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이 그 빔이 외부 표면과 충돌하는 지점에서 외부 표면(352)에 대략 직교하도록 이동 시스템(308),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 및/또는 작업편 홀더(304)를 제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신발류 물품을 레이저 에칭하기 위한 방법(4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400)은 작업편 홀더(304) 상에 신발류 물품(10)을 제공(또는 수용)하는 단계(402에서), 신발류 물품의 실루엣 또는 외부 표면 프로파일을 식별하는 단계(404에서), 물품의 외부 표면 상의 에칭가능한 작업 공간을 식별하는 단계(406에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루엣을 식별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신발류 물품의 모델 및 크기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과 같이 수동으로, 또는 예를 들어, 레이저로 물품의 외부 표면을 스캐닝하는 것과 같이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에칭 가능한 작업공간은 폴리머 발포체 중창(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 폴리머 유체 충전 챔버(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체 충전 챔버(210)), 및/또는 힐 카운터(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힐 카운터(270))와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 위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방법(400)은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 및/또는 네트워크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디자인을 수신하는 단계(408에서)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상기 디자인은 반복 체크 패턴 또는 반복 헤링본 디자인과 같은 개별 그래픽 프리미티브의 반복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상기 디자인은 로고, 그림 또는 기타 창의적인 작업물과 같은 보다 복잡한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408에서 디자인을 수신하는 것에 후속하여,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는 에칭 가능한 작업 공간에 디자인을 적용/투사(410에서)한 다음, 레이저 빔이 물품 위에 디자인을 트레이스하도록(414에서) 레이저 헤드(302)를 이동시키도록 이동 시스템(308) 및/또는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에 지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일련의 숫자 코드를 구성할 수 있다(412에서). 일 실시예에서, 로컬 처리 디바이스(318)는 레이저 빔이 비추는 표면에 대해 대략 직교 배향으로 레이저 빔을 유지하는 수치 코드를 구성하기 위해 물품의 외부 표면의 치수 기하 형상(dimensional geometry)을 이용할 수 있다. 숫자 코드의 생성에 이어, 로컬 처리 디바이스는 이동 시스템(308) 및/또는 컴퓨터 수치 컨트롤러(310)에 지시하여, 레이저 발진기(312) 및/또는 레이저의 파워를 변조하여 상기 정해진 디자인을 물품에 에칭하면서, 레이저 헤드(3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자인을 적용하면,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고 두 구성요소 사이의 경계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칭 라인이 있는 완성된 제품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외부 표면을 절단하거나 국부적으로 용융시켜 하나 이상의 직접 인접한 랜드 영역으로부터 측정된 약 2 ㎛ 내지 약 1000 ㎛, 또는 약 2 ㎛ 내지 약 500 ㎛, 또는 약 2 ㎛ 내지 약 125 ㎛, 또는 심지어 약 2 ㎛ 내지 약 25 ㎛의 깊이를 갖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창(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방 중창 구성요소(230)), 폴리머 유체 충전 챔버(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유체 충전 챔버(210)), 및/또는 힐 카운터(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힐 카운터(27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외피 또는 외피재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층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들 층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착색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레이저 에칭의 깊이는 제2 층(즉, 최외곽 층 바로 아래 층)이 외층의 에칭된 채널 및/또는 나머지 재료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최외층 두께의 75%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에칭의 깊이는 상기 제2 층이 에칭을 통해 형성된 채널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최외층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상기 제2 층은 최외층과 다른 색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에칭된 채널을 통해서만 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에칭 공정은 밑창 구조체(200)의 외부 표면의 하나 이상의 안료를 변경시킬 수 있고, 또는 유체 충전 챔버(210)의 배리어 층(212a)에서와 같이 폴리머의 광 투과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폴리머의 착색 및/또는 투과성의 변경은, 예를 들어 폴리머 사슬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또는 눈에 보이는 변화를 일으키는 과국소화된(hyperlocalized) 화학 반응을 개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에칭 가능한 작업공간은 발가락 범퍼, 밑창 구조체의 측벽, 지면을 향하는 표면, 힐 카운터, 유체 충전 챔버 및/또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본원에 기재된 공정 및 시스템은 신발류 물품의 외부 표면에 그리고 다수의 개별 구성요소에 걸쳐 텍스처를 적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 텍스처는 오른쪽 신발과 왼쪽 신발 사이의 비시각적 구분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는 시각 장애가 있는 개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구성에서, 텍스처는 각각의 신발 켤레에서 단 하나의 신발에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유사한 텍스처가 각 신발에 적용될 수 있지만, 텍스처는 각 물품의 바깥쪽 측면 또는 안쪽 측면 중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다(그러나, 둘, 즉 양쪽 바깥쪽 측면 또는 양쪽 안쪽 측면 사이에 일관성 있음). 또 다른 구성에서, 제1 텍스처가 각각의 쌍의 제1 물품에 적용될 수 있는 반면, 제1 텍스처와 구별가능한 제2 텍스처가 상기 쌍의 제2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적용된 텍스처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터치에 의해 인지되고 식별될 수 있는 충분한 거칠기 또는 표면 기하 형상을 갖는 데보싱되거나 에칭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적용된 패턴 또는 로고는 신발류 물품이 위조품이 아닌 진품임을 인증하기에 충분한 고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밑창 및/또는 갑피의 여러 구성요소에 걸쳐 에칭함으로써 설득력 있는 모조품을 생산하는 능력을 더욱 복잡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인증 또는 식별 마크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7/116,527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더 넓은 텍스처 또는 시각적 디자인 내에 디지털 방식으로 인코딩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그 전체 및 개시 내용 모두가 참조로 합체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과 관련되는 분야에 친숙한 이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설계 및 양태를 인식할 것이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7)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조립체로서,
    블래더(bladder) 및 발포체 중창 구성요소(foam midsole component)를 포함하는 중창으로서, 상기 블래더는 유체 충전 챔버를 규정하고, 상기 발포체 중창 구성요소는 지면을 향하는 표면 및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블래더는 상기 측벽의 가시적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블래더는 상기 발포체 중창 구성요소와 만나 상기 측벽 상의 구성요소 경계를 규정하는 것인, 중창;
    상기 발포체 중창 구성요소 및 상기 블래더 내로 연장하고, 약 2 ㎛ 내지 약 1000 ㎛의, 상기 측벽 내로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 경계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에칭된 채널
    을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채널은 디자인 또는 로고를 형성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 및 상기 발포체 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창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최외층을 갖는 복수의 재료 층을 포함하고,
    상기 깊이는 상기 최외층의 두께의 75%보다 큰 것인, 밑창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료 층은 상기 최외층에 직접 접하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에칭된 채널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최외층과는 상이한 색상이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에칭된 채널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는 상기 밑창 구조체에 대해 볼록한 표면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에칭된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볼록한 표면 프로파일 내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7.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을 갖는 신발류 물품으로서,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기능하는 내부 공동을 규정하는 갑피;
    상기 갑피에 결합되는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갑피와는 반대쪽의 지면 접촉 표면;
    열가소성 폴리머 발포체로 형성된 중창;
    유체 충전 블래더
    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발포체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발포체 측벽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주의 제1 부분을 규정하고 상기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상향 연장하며,
    상기 유체 충전 블래더는 블래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블래더 측벽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주의 제2 부분을 규정하고 구성요소 경계에서 상기 발포체 측벽에 직접 접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및
    상기 구성요소 경계를 가로질러 상기 발포체 측벽으로부터 상기 블래더 측벽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에칭
    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은 약 2 ㎛ 내지 약 1000 ㎛의, 인접하는 상기 외주에 대한 채널 깊이를 갖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충전 블래더는 상기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부분에 제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 측벽은 상기 지면 접촉 표면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록한 것인, 신발류 물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은 디자인 또는 로고를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충전 블래더 및 발포체 중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최외층을 갖는 복수의 재료 층을 포함하고,
    상기 에칭은 상기 최외층의 두께의 75%보다 큰 깊이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료 층은 상기 최외층에 직접 접하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에칭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최외층과는 상이한 색상이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에칭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을 갖는 신발류 물품으로서,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기능하는 내부 공동을 규정하는 갑피;
    상기 갑피에 결합되는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갑피와는 반대쪽의 지면 접촉 표면;
    열가소성 폴리머 발포체로 형성되는 중창으로서, 상기 중창은 발포체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발포체 측벽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규정하고 상기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상향 연장하는 것인 중창
    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힐 카운터 측벽(heel counter sidewall)을 구비하는 힐 카운터(heel counter)로서, 상기 힐 카운터 측벽은 상기 신발류 물품의 외주의 일부를 규정하고 상기 발포체 측벽에 직접 접하는 것인 힐 카운터; 및
    상기 발포체 측벽으로부터 상기 힐 카운터 측벽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에칭
    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은 약 2 ㎛ 내지 약 1000 ㎛의, 인접하는 상기 외주에 대한 채널 깊이를 갖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블래더 측벽을 구비하는 유체 충전 블래더로서, 상기 블래더 측벽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주의 일부를 규정하고 상기 발포체 측벽에 직접 접하는 것인 유체 충전 블래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칭은 상기 발포체 측벽으로부터 상기 블래더 측벽까지 그리고 상기 힐 카운터로부터 상기 블래더 요소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27045915A 2020-05-31 2021-05-27 신발류 물품의 생산후 레이저 수정 KR20230016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2688P 2020-05-31 2020-05-31
US63/032,688 2020-05-31
PCT/US2021/034586 WO2021247375A2 (en) 2020-05-31 2021-05-27 Post production laser modification of an article of foot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678A true KR20230016678A (ko) 2023-02-02

Family

ID=7660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15A KR20230016678A (ko) 2020-05-31 2021-05-27 신발류 물품의 생산후 레이저 수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33012B2 (ko)
EP (1) EP4157009A2 (ko)
KR (1) KR20230016678A (ko)
CN (1) CN115697120A (ko)
WO (1) WO20212473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2334B2 (en) 2018-01-31 2022-09-27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10149513B1 (en) 2018-01-31 2018-12-1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026476B2 (en) 2018-07-17 2021-06-08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10524540B1 (en) 2018-07-17 2020-01-07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D964707S1 (en) * 2021-12-16 2022-09-27 Nike, Inc. Shoe
USD964708S1 (en) * 2021-12-16 2022-09-27 Nike, Inc. Sho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US4906502A (en) 1988-02-05 1990-03-06 Robert C. Bogert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US4936029A (en)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393372B1 (en) * 1993-11-19 1998-07-14 Fila Usa Inc Method of displaying indicia on footwear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WO1996039885A1 (en) 1995-06-07 1996-12-19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20070162176A1 (en) * 2005-12-28 2007-07-12 Joshua Peyser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ppliques
US7685743B2 (en) 2006-06-05 2010-03-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or other foot-receiving device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support and reinforcing structures
US9931804B2 (en) * 2008-11-14 2018-04-03 Nike, Inc. Decorated sole elem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reof
DE102011075647A1 (de) * 2011-05-11 2012-11-15 Harald Kaufmann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reflektierende Eigenschaften aufweisenden Motivs und zum Übertragen dieses Motivs auf ein Substrat, sowie Reflexionstransferfolie
US11219253B2 (en) * 2015-06-19 2022-01-11 Summit Glove Inc. Safety glove with fingertip protective member
US10143248B2 (en) * 2015-06-19 2018-12-04 Summit Glove Inc. Safety glove with fingertip protective member
US20150265000A1 (en) 2014-03-19 2015-09-24 Nike, Inc. Sole assembly with bladder element having a peripheral outer wall por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427048B2 (en) * 2014-06-09 2016-08-30 Nike, Inc. Polymeric component with injected, embedded ink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441033B2 (en) * 2014-11-11 2019-10-15 New Balance Athletics, Inc. Method of providing decorative designs and structural features on an article of footwear
WO2016164549A1 (en) * 2015-04-08 2016-10-13 Nike Innovate C.V. Article includ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im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WO2016164551A1 (en) * 2015-04-08 2016-10-13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and article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WO2016164554A1 (en) * 2015-04-08 2016-10-13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impression of etched area of mold assembly and article having bladder element with impression
US10327506B2 (en) * 2015-04-08 2019-06-25 Nike, Inc. Article with overlay secured to bladder element over im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US20170020232A1 (en) * 2015-07-20 2017-01-26 Converse Inc. Shoe with variable wear properties
US10149513B1 (en) * 2018-01-31 2018-12-1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20046558A1 (en) * 2018-08-31 2020-03-05 Nike Innovate C.V. Articles of footwear with wear-resistant toe shield and manufacturing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11559106B2 (en) * 2019-10-24 2023-01-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68924A1 (en) 2021-12-02
EP4157009A2 (en) 2023-04-05
CN115697120A (zh) 2023-02-03
WO2021247375A2 (en) 2021-12-09
WO2021247375A3 (en) 2022-01-27
US11633012B2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3012B2 (en) Post production laser modification of an article of footwear
EP1874149B1 (en)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stratified material
EP1641365B1 (en) Article and method for laser-etching stratified materials
US9545132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EP217841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elements with incisions
EP2298105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EP3742923B1 (en) Footwear strobel with bladder and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877622B2 (en) Footwear strobel with bladder and last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150265000A1 (en) Sole assembly with bladder element having a peripheral outer wall por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7144498A1 (en) Perforated articles and manufactur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