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503A - Photo booth system - Google Patents

Photo booth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503A
KR20230016503A KR1020210098068A KR20210098068A KR20230016503A KR 20230016503 A KR20230016503 A KR 20230016503A KR 1020210098068 A KR1020210098068 A KR 1020210098068A KR 20210098068 A KR20210098068 A KR 20210098068A KR 20230016503 A KR20230016503 A KR 20230016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user
display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2553B1 (en
Inventor
유길상
Original Assignee
(주)브이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브이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09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553B1/en
Publication of KR2023001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45Printers integrated in other types of apparatus, e.g. printers integrated i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booth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photo booth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n image and a video of a user. A conventional photo capturing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operates a button key to capture the image of the user and prints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on photo paper. The conventional photo capturing device can only provide printouts of static images.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device cannot provide videos of dynamic appearance of the user before and after a photo taking process and/or the photo tak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not only the printout of the user image but also the video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a variety of content including the static image and the dynamic video.

Description

포토 부스 시스템 {PHOTO BOOTH SYSTEM}Photo booth system {PHOTO BOOTH SYSTEM}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age processing technology.

본 발명은 포토 부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이미지 및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포토 부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booth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photo booth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user's image and video.

종래의 사진 촬영 장치는 사용자가 버튼 키를 조작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인화지에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사진 촬영 장치는 정적인 이미지에 대한 인쇄물을 제공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진 촬영 과정 및/또는 사진 촬영 전후의 사용자의 동적인 모습에 대한 영상은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0003] A conventional photo tak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user manipulates a button key to take a user's image and print the captured user's image on photo paper. Since such a conventional photo-capturing device cannot but provide a printout of a static imag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provide images of a user's dynamic appearance before and after the photo-taking process and/or the photo-taking process.

한편, 키오스크(KIOSK)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공서, 은행, 대학, 호텔, 공항 등이나 많은 유동인구를 갖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무인단말기를 가리킨다. 멀티미디어 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 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구매, 발권, 등록, 사진촬영, 안내 등의 업무를 처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KIOSK is an unmanned terminal installed in public offices, banks, universities, hotels, airports, etc. or public place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se it for unmanned automation of information services and task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int Also referred to as a multimedia station or self service station, a touch screen method is usually applied to obtain information, purchase, ticket issuance, registration, photo taking, guidance, and the like.

키오스크 단말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소정의 운영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CD(<3> Compact Disk)와 같은 저장매체에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정보를 저장한 후, 이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상기 영상정보가 모니터상에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A predetermined operating program is usually embedded inside the kiosk terminal, and after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o be provid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3> Compact Disk), the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by the user's button manipulation. is supposed to appear in

이와 같은 키오스크에 대한 정의는 Rawn Shah가 그의 보고서 Web을 이용한 Information KIOSK system에 대한 제안에서 "Information KIOSK는 이용자에게 지역 정보나 지역 집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KIOSK는 컴퓨터나 정보시스템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라고 정의한 바 있다.The definition of such a kiosk is explained by Rawn Shah in his report Proposal for an Information KIOSK system using the Web, "Information KIOSK provides users with easy access to local information or local groups. KIOSK provides knowledge about computers or information systems. It is designed to be usable by the vast majority of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it or have no experience with it."

즉, 키오스크(KIOSK)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점" 이며 박물관이나 백화점, 쇼핑센터 등에 적합하다. 또한, 키오스크는 보통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하여 운영된다.In other words, KIOSK is a “bas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is suitable for museums,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In addition, the kiosk is usually operated using a touch screen.

(001) 국내등록특허 제10-1337041호 (2013.11.28)(001) Korean Patent No. 10-1337041 (2013.11.28) (002)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20746호 (2009.02.27)(0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0746 (2009.0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미지에 대한 인쇄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정적인 이미지 및 동적인 영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포토 부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providing a user's image as well as a printout of the user's im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various contents including static images and dynamic images. It is about the photo booth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thereof set forth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 모듈;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의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 모듈;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상기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 유닛; 및 상기 촬영 유닛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영상 간의 맵핑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결합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맵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상기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선택하며, 선택된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 photo booth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module configured to photograph a user's first image and video; a printing module configured to print the first image when capturing of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is complet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output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a photographing unit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printed first image;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o receive the second imag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image, the video, and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and determining a comb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from among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ele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from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and a central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data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에 대한 배경 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displays (or displays or outputs)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when a background screen for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is selected,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background screen. 1 image and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imag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배경 화면의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transmit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to the central server.

상기 인쇄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배경 화면이 결합된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int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print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background screen are combi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화면이 결합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combined with the background screen in the storage unit.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키오스크에 대응되는 소정의 식별 마크를 더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kiosk.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촬영 유닛에 의해 상기 식별 마크가 촬영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btain a control right for the kiosk when the identification mark i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배경 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module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on the background screen when the background screen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input. .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의 촬영 시점이 결정되면, 결정된 촬영 시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영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인쇄 매수가 결정되면, 결정된 인쇄 매수만큼 상기 제1 이미지가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hotographing module to capture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so as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photographing time point when the capturing time point of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When the number of prints of the first image is determined based on a user's input, the print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rint module to print the determined number of copies of the first image.

상기 배경 화면은, 캐릭터, 인물 및 동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적 또는 동적인 증강 현실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ackground scree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atic or dynamic augmented reality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person, and an anim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이미지를 상기 결합 이미지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n imag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second image among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the combined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이미지 각각과 상기 제2 이미지 간의 매칭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률이 소정의 임계율 이상이며 최대값인 제1 이미지를 상기 결합 이미지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matching rate between each of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second image, and determine a first image having a maximum value when the calculated matching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as the combined image. It can b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가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에 대응되도록 촬영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각각과 상기 제2 이미지 간의 상기 매칭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matching rate between each of the first images and the second image when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i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to correspond to a reference size preset to correspond to the first image. can be configured to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영상을 수신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고, 수신한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와 맵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와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further receive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the kiosk or the user terminal when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are received from the kios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ceiv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image is mapp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when the second image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ompared.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 이미지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fter determining the combined imag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only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적인 이미지 및 동적인 영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ntents including static images and dynamic images may be provided to users.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의 제공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가 유출되더라도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의 유출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whether or not to provide an image is determined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 by a user, even if an image provided to a user is leaked, leakag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may be blocked in advan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Since the following drawings accompanying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hoto boo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ng configuration of a photo boo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 boo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of the various elements from the rest,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elements by such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clud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키오스크(100), 사용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키오스크(100), 사용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키오스크(100), 사용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는 5G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hoto booth system 10 may include a kiosk 100 , a user terminal 200 and a central server 300 . Preferably, the kiosk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a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kiosk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using a 5G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kio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키오스크(100)는 촬영 모듈(110), 인쇄 모듈(120) 및 통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kiosk 1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module 110 , a printing module 1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0 .

촬영 모듈(110)은 사용자의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모듈(110)은 사용자의 제1 이미지를 먼저 촬영한 후,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촬영 모듈(110)은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사용자의 제1 이미지를 촬영할 수도 있다. 즉, 촬영 모듈(110)에 의한 제1 이미지 촬영 시점과 영상 촬영 시점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a user's first image and video. For example, the capturing module 110 may first capture a first image of the user and then capture an image of the user. As another example, the photographing module 110 may capture the first image of the user while capturing the user's image. That is, the timing of capturing the first image and the timing of capturing the image by the capturing module 1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a preset value.

인쇄 모듈(120)은 제1 이미지 및 영상의 촬영이 완료되면, 제1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 모듈(120)은 키오스크(100)에 미리 구비된 인화지에 제1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여기서, 인화지는 다양한 종류로 키오스크(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인화지에 제1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The printing module 120 may be configured to print the first image when capturing of the first image and video is completed. For example, the printing module 120 may print the first image on photo paper pre-installed in the kiosk 100 . Here, various types of photo paper may be provided in the kiosk 100, and the first image may be printed on the photo paper selected by the user.

통신 모듈(130)은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130)은 중앙 서버(3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촬영 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중앙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first image and video.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and transmit the first image and video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110 to the central server 3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촬영 유닛(210) 및 통신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210 and a communication unit 220 .

촬영 유닛(210)은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키오스크(100)의 인쇄 모듈(120)로부터 인쇄된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유닛(210)은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 유닛(2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라고 설명한다.The photograph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printed first image. For example, a user may obtain a printed first image from the print module 120 of the kiosk 100 . Also, the user may capture the printed first image using the user terminal 200 .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unit 210 may photograph the printed first image. Hereinafter,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image.

통신 유닛(220)은 촬영 유닛(21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유닛(220)은 중앙 서버(3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촬영 유닛(21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중앙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and transmit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to the central server 3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entral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중앙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entral server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 storage unit 320, and a control unit 330.

통신부(310)는 통신 모듈(130)로부터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수신하고, 통신 유닛(220)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image and video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receive a second imag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20 .

예컨대, 통신부(310)는 5G 통신망을 이용하여 키오스크(100)의 통신 모듈(130)로부터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5G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유닛(220)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receive the first image and video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of the kiosk 100 using a 5G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receive the second imag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user terminal 200 using a 5G communication network.

저장부(320)는 제1 이미지, 영상 및 제1 이미지와 영상 간의 맵핑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20 may be configured to store first images, images, and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images and images.

구체적으로, 저장부(320)는 키오스크(100)의 통신 모듈(130)로부터 수신한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20)는 제1 이미지와 영상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맵핑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맵핑 정보는 제1 이미지와 영상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링크(Link) 정보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first image and video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of the kiosk 100 . Also, the storage unit 320 may further store mapping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Here, the mapping information may be link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예컨대, 저장부(320)에는 제1 이미지, 제1 이미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20)는 제1 이미지와 영상에 대한 링크 정보를 맵핑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320)에 저장된 맵핑 정보를 통해서 제1 이미지와 영상 간의 대응 관계가 확인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a first image, metadata about the first image, an image, and metadata about the image. Also,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link information for the first image and video as mapping information. Accordingly,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이미지 중에서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결합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 comb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from among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320 .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이미지 중에서 제2 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이미지를 결합 이미지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n imag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second image among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320 as a combined image.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의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이미지 각각과 제2 이미지 간의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identity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he controller 330 may calculate a matching rate between each of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320 and the second image.

예컨대, 저장부(320)에 100개의 제1 이미지가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 저장부(320)에는 저장된 100개의 제1 이미지 각각에는 대응되는 맵핑 정보 및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신경망(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100개의 제1 이미지 각각과 제2 이미지 간의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100 first image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 Corresponding mapping information and images may be stored in each of the 100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 The controller 330 may calculate a matching rate between each of the 100 first images and the second image by using a neural network.

구체적으로, 신경망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간의 비교를 통해서 인식된 객체 간의 매칭률을 확률적으로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경망에 의해 산출되는 매칭률은 0% 내지 100%의 범위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산출된 매칭률이 100%에 가까울수록 두 객체는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neural network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and probabilistically calculate a matching rate between the recognized object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recognized objects. The matching rate calculated by the neural network may be expressed in a range of 0% to 100%, and the closer the calculated matching rate is to 100%,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at the two objects are the same may be determined.

앞선 실시예에서, 신경망은 저장부(320)에 저장된 100개의 제1 이미지 각각과 제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예컨대, 사용자)를 인식하고, 제1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객체 각각과 제2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객체 간의 비교를 통해 매칭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neural network recognizes each of the 100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and an object (eg, a user)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and recognizes each of the recognized objects from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 matching rate through comparison between recognized objects.

그리고, 제어부(330)는 산출된 매칭률이 소정의 임계율 이상이며 최대값인 제1 이미지를 결합 이미지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 first image having a maximum matching rat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as a combined image.

여기서, 소정의 임계율이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동일하다고 판단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임계값일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임계율은 80% 이상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정의 임계율은 개인 정보 보안을 위해 90% 이상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may be a threshold value set in advance to determine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the sam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may be preset to 80% or more. Preferably,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may be preset to 90% or more for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앞선 실시예에서, 100개의 제1 이미지 각각과 제2 이미지에 대하여 제어부(330)가 산출한 상위 5개의 매칭률이 95%, 94%, 90%, 70% 및 50%라고 가정한다. 산출된 매칭률 중 임계율 이상이면서 최대값인 매칭률은 95%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매칭률 95%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동일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제1 이미지를 결합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In the previou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top 5 matching rates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330 for each of the 100 first images and second images are 95%, 94%, 90%, 70%, and 50%. Among the calculated matching rates, a matching rat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itical rate and that is the maximum value may be 95%. Therefore, the controller 33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a matching rate of 95% are the same, and determine the corresponding first image as a combined image.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산출된 매칭률이 90% 이상인 제1 이미지가 복수 도출되는 경우는, 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즉, 제어부(330)는 매칭률을 소정의 임계율과 비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정의 임계율 이상인 매칭률 중 최대값인 매칭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결합 이미지로 결정함으로써, 저장부(320)에 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에도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정확하게 선택하여 결합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first images having a matching rate of 90% or more calculat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re derived, it can be regarded a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images for one user are included. That is, the control unit 330 does not stop at comparing the matching rat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and determines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matching rate among the matching rat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as a combined image, so that the storage unit ( Even when a plurality of first images for one user are stored in 320), a combined image may be determined by accurately selecting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매칭률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제어부(330)는 별도의 식별 코드(예컨대, QR 코드)를 이용하지 않고, 이미지 간의 동일성 비교를 통해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매칭률 산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어부(33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촬영된 제2 이미지에 대하여 매칭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matching rate, the controller 330 may calculate the matching rate through comparison of identity between images without using a separate identification code (eg, QR cod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calculating the matching rate, 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matching rate for the second image tak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촬영 모듈(110)에 의해 제2 이미지의 크기가 제1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에 대응되도록 촬영된 경우, 제1 이미지 각각과 제2 이미지 간의 매칭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330 determines the matching rate between each of the first images and the second image when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i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110 so as to correspond to a reference size preset to correspond to the first image. It can be configured to yield

예컨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크기가 유사 또는 동일한 경우, 제어부(330)에 의해 산출되는 매칭률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크기에 따른 오차는 제외된 것이므로, 산출된 매칭률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될 수 있다. 반면,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크기가 매우 상이할 경우, 제어부(330)에 의해 산출되는 매칭률에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크기에 따른 오차도 포함된 것이기 때문에, 산출된 매칭률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앞선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ize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similar or the same, the matching rat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330 excludes errors due to the size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o the calculated matching rate It can be judged that accuracy and reliability are high. On the other hand, if the size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very different, the matching rat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330 includes an erro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o the calculated matching r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

제2 이미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촬영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200)에는 중앙 서버(300)와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제2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에 대응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촬영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화면에서 격자 및/또는 보조선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격자 및/또는 보조선에 대응되도록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한 경우, 제2 이미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to correspond to a preset standard size, when the user captures the printed first image,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 photographing guideline. Preferably, an application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when the user captures the printed first image us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provide a photographing guideline in order to induce the second image to correspond to a preset standard size. For example, when a grid and/or auxiliary lines are displayed on a shooting screen and a user captures a first image printed to correspond to the grid and/or auxiliary lines,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may correspond to a preset reference size. can

제어부(330)는 맵핑 정보에 기반하여 저장부(320)에 저장된 영상 중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from among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320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맵핑 정보는 제1 이미지와 영상 간의 대응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즉, 맵핑 정보를 통해서 대응되는 제1 이미지와 영상이 특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이미지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이미지 중에서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320)에 저장된 영상 중에서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pping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apable of confirming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That is, the corresponding first image and video may be specified through the mapping information. Also, the combined image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mong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330 may selec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from among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320 using the mapping information.

제어부(330)는 선택된 영상을 통신부(31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

구체적으로, 제어부(330)에 의해 선택된 영상은, 인쇄된 제1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해당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인쇄 이미지뿐만 아니라 함께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mage selected by the controller 330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inted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20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3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provide the user with the captured image as well as the printed image.

예컨대, 제어부(330)는 선택된 영상이 사용자 단말(2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스트리밍 기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영상을 사용자의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330 may transmit the selected video to the user terminal using a streaming technique so that the selected video can b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

그리고,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영상의 파일을 사용자의 단말에게 송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스트리밍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해당 영상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해당 영상의 파일을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330 may transmit the selected image file to the user's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For example, when a user checks a video output through streaming and requests download of the corresponding video, the control unit 33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ideo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do.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30 .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부(33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an image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30 to the user by displaying it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인쇄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이미지 및 영상)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users with various contents (images and videos) by providing not only printed images but also images corresponding to the images.

한편,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의 저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이미지를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330 may compress and store the first image in order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storage unit 320 .

예컨대, 중앙 서버(300)의 제어부(330)는 키오스크(100)로부터 제1 이미지의 원본을 수신하고, 제1 이미지의 크기(Size)를 압축하여 최적화한 후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지원하는 해상도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330)는 제1 이미지의 압축이 완료된 후, 압축된 제1 이미지를 다양한 해상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제1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30 of the central server 300 may receive the original image of the first image from the kiosk 100, compress and optimize the size of the first image, and then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320. . Also, since the user terminal 200 may support various resolutions, the controller 330 may store the compressed first image in various resolutions after compression of the first image is completed. Also, the controller 330 may store meta data of the first image in the storage 320 .

또한,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의 저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영상을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330 may compress and store an image in order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storage unit 320 .

예컨대, 중앙 서버(300)의 제어부(330)는 키오스크(100)로부터 영상의 원본을 수신하고, 영상의 파일 크기 및 해상도를 적절하게 줄여 압축한 후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330 of the central server 300 may receive an original image from the kiosk 100, compress the file size and resolution of the image appropriately, and then store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320. Also, the controller 330 may store meta data of an image in the storage 320 .

또한, 제어부(330)는 해당 영상에서 썸네일을 추출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320)에는 썸네일 리스트가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330 may extract a thumbnail from the corresponding video and store it in the storage 320 . That is, the storage unit 320 may include a thumbnail list.

예컨대,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의 식별 코드가 인쇄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경우, 인쇄된 제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사용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해당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개인 정보의 유출을 초래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barcode or QR code is included in a printed first image, anyone who can check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inted first image can check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even if it is not the user. there is. This may lead to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인쇄된 제1 이미지에는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의 식별 코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이미지 및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인쇄된 제1 이미지가 유출되더라도, 사용자가 설정한 식별 정보를 모르는 제3자는 유출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더라도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것이다. Therefore, the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barcode or QR code for checking an image in the printed first image. In addition, the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regis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proving that the user is a user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and video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even if the first printed image is leaked, a third party who does not know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cannot acquire the image even if the leaked first image is captured.

이하에서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키오스크(100)로부터 제1 이미지와 영상을 수신한 경우 키오스크(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receiv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from the kiosk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first image and video are received from the kiosk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식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정보로서, 예컨대,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비밀번호,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의 ID일 수 잇다. 여기서, 사용자의 ID는 사용자가 포토 부스 시스템(10)을 이용하기 위하여 중앙 서버(300)에 회원 가입을 할 경우에 작성한 ID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키오스크(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식별 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set in various ways by a user, and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numbers, letters,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 specific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password directly input by the user, a user's phone number, or a user's ID. Here, the user's ID may be an ID created when the user registers as a member of the central server 300 in order to use the photo booth system 10 .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kiosk 100 or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제어부(330)는 수신한 제1 식별 정보를 제1 이미지와 맵핑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30 may be configured to map the receiv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image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320 .

그리고,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2 이미지와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second image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roller 3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transmi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결합 이미지를 결정한 후,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determining the combined image, 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only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만약,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30)는 결합 이미지를 결정하였다고 하더라도 결정한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If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do not match, the controller 330 determines the combined image even if the combined image is determined. The video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예컨대, 제3자가 인쇄된 사용자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3자 단말을 통해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게시된 제1 이미지를 제3자 단말을 통해 촬영한 경우, 촬영된 제2 이미지가 중앙 서버(300)에게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330)가 식별 정보를 비교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30)는 제3자 단말로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대한 영상이 제3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 유출이 문제될 수 있다. For example, a third party obtains a printed first image of a user and captures the printed first image through a third party terminal, or the first image posted on the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sent to a third party terminal. In the case of capturing through the second image, the captured secon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 When the controller 330 does not compa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330 may transmit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to the third party terminal. In this case, since the image of the user may be provided to a third party,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a problem.

즉, 제어부(330)는 제2 이미지와 함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2 식별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사용자가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요청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해당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30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econd image and compares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image has been requested, the corresponding video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영상이 제3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게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leaked against the user's intention in advance by preventing the user's image from being provided to a third party. there is.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포토 부스 시스템(1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hoto booth system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의 예시적인 동작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ng configuration of the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USER)는 키오스크(100)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A1) 및 영상(B)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제1 이미지(A1)는 인쇄되어 사용자(USER)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촬영한 제1 이미지(A1)와 영상(B)을 중앙 서버(300)에게 송신될 수 있다. 중앙 서버(300)는 제1 이미지(A1)와 영상(B)을 수신하고, 제1 이미지(A1), 영상(B) 및 제1 이미지(A1)와 영상(B) 간의 맵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USER can take a first image A1 and a video B using the kiosk 100 . The photographed first image A1 may be printed and provided to the user USER. Also, the kiosk 100 may transmit the captured first image A1 and video B to the central server 300 . The central server 300 may receive the first image A1 and the image B, and store the first image A1, the image B and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image A1 and the image B. there is.

사용자(USER)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인쇄된 제1 이미지(A1) 대한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중앙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300)는 제2 이미지를 수신하고, 저장된 제1 이미지(A1) 중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결합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300)는 저장된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된 영상(B) 중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B)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300)는 선택된 영상(B)을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The user USER may take a second image for the printed first image A1 using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captured second image to the central server 300 . The central server 300 may receive the second image and determine a comb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mong the stored first images A1.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may select an image (B)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from among the stored images (B) by using the stored mapping information. Also, the central server 300 may transmit the selected image B to the user terminal 200 .

사용자 단말(200)은 중앙 서버(300)로부터 영상(B)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B)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mage B from the central server 300 and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received image B.

도 5 내지 도 8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제1 이미지(A1) 및 영상(B)이 촬영된 후, 사용자(USER)는 키오스크(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제1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중앙 서버(300)는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이미지(A1)와 맵핑한 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2 이미지와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새로 수신한 제2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B)을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5 to 8 , after the first image A1 and the video B are captured, the user USER input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kiosk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can do. The central server 300 may receiv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 it to the first image A1, and stor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receives the second image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only when the pre-stor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ewly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combined image The corresponding image (B)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키오스크(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kiosk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140 .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촬영 모듈(110)에 의해 촬영되는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first image and video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110 .

예컨대,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촬영되는 사용자(USER)의 제1 이미지(A1) 및 영상(B)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FIGS. 6 and 7 , the display module 140 may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first image A1 and video B of the user USER being captured.

또한,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하프 미러(Half mirror)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거울과 같이 사용자의 모습을 반사시킬 수도 있고, 촬영 모듈(110)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촬영되는 사용자의 제1 이미지 및 영상뿐만 아니라, 하프 미러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40)에는 사용자의 모습이 반사되어 나타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display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as a half mirror. That is, the display module 140 may reflect the user's appearance like a mirror, or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user's first image and video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110 .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FIGS. 6 and 7 , the user's appearance may be reflected on the display module 140 configured as a half mirror as well as the first image and video of the user being photographed.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제1 이미지 및 영상에 대한 배경 화면이 선택되면, 배경 화면 상에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a background screen for the first image and video is selected, the display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first image and video on the background screen.

여기서, 배경 화면은 캐릭터, 인물 및 동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적 또는 동적인 증강 현실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ackground scree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atic or dynamic augmented reality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person, and an animal.

구체적으로, 배경 화면은 증강 현실 이미지에 기반한 것으로서, 캐릭터, 인물 및 동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경 화면에는 연예인 및/또는 운동 선수 등을 미리 촬영한 증강 현실 기반의 이미지 및/또는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ckground screen is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imag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person, and an animal. For example, the background screen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based image and/or video of a celebrity and/or an athlete taken in advance.

통신 모듈(130)은, 제1 이미지 및 영상과 함께 배경 화면의 정보를 중앙 서버(300)로 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 모듈(120)은, 제1 이미지와 배경 화면이 결합된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배경 화면이 결합된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저장부(3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transmit background scree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and video to the central server 300 . Also, the printing module 120 may be configured to print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background screen are combined. 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in which the background screen is combined in the storage 320 .

즉,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2 이미지(인쇄된 제1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200)이 촬영한 이미지)와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이미지 간의 매칭률을 고려하기 때문에, 인쇄된 제1 이미지와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이미지에 공통적으로 배경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330 determines the matching rate between the second image (the printed first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firs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Therefore, the background screen may be commonly included in the printed first image and the firs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

따라서,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증강 현실 기반의 배경 화면이 적용된 이미지 및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증강 현실 기반의 다양한 몰입형 컨텐츠(이미지 및 영상)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hoto booth system 10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users with various immersive contents (images and videos) based on augmented reality by providing the user with images and videos to which an augmented reality-based background screen is applied.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키오스크(100)에 대응되는 소정의 식별 마크를 더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kiosk 100 .

여기서, 식별 마크는 바코드, QR 코드, 인증 번호 및 키오스크(100)의 식별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dentification mar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rcode, a QR code, an authentication number, and an identification ID of the kiosk 100 .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 유닛(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240 .

제어 유닛(240)은 촬영 유닛(210)에 의해 식별 마크가 촬영된 경우, 키오스크(100)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may be configured to obtain a control right for the kiosk 100 when the identification mark i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240)은 촬영 유닛(210)에 의해 식별 마크가 촬영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키오스크(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100)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40 acquires control rights for the kiosk 10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kiosk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identification mark i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can do.

예컨대, 제어 유닛(24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배경 화면이 선택되면, 배경 화면 상에 제1 이미지 및 영상이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background screen is selected based on a user's input,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display module 140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first image and video on the background screen.

다른 예로, 제어 유닛(24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이미지 및 영상의 촬영 시점이 결정되면, 결정된 촬영 시점에 대응되도록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도록 촬영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capturing module 110 to capture the first image and video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apturing time point when the capturing time point of the first image and video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can

또 다른 예로, 제어 유닛(24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이미지의 인쇄 매수가 결정되면, 결정된 인쇄 매수만큼 제1 이미지가 인쇄되도록 인쇄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number of copies of the first image to be print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printing module 120 to print the determined number of copies of the first image.

즉,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이미지 및 영상에 관한 키오스크(100)의 설정을 제어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에 키오스크(100)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오스크(100)로부터 원거리에서도 키오스크(100)의 일부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at is, the photo booth system 10 may grant the user terminal 200 a control right for the kiosk 100 so that the user controls settings of the kiosk 100 related to images and videos through the user's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desired images and videos by controlling some functions of the kiosk 100 even at a distance from the kiosk 10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부스 시스템(10)은 아래와 같이 결합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hoto booth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mbined image as follows.

키오스크(100)는 시간차를 두고 촬영된 둘 이상의 이미지(예; 정적 이미지(사진), 동적 이미지(동영상))를 합하여 하나의 이미지(예;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100)는, 증강 현실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나중에 촬영되는 이미지 상에 (특히 프리뷰 상에) 이전 사진과의 합성을 위한 가이드(guide)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합성된 사진의 왜곡이나 어긋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The kiosk 100 may generate one image (eg, a static image or a dynamic image) by combining two or more images (eg, a static image (photo) or a dynamic image (video)) taken at different times. At this time, the kiosk 100 applies technology such as augmented reality to display and provide a guide for synthesis with a previous photo (particularly on a preview) on an image taken later, thereby providing a synthesized photo. Distortion or deviation of th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본 발명의 키오스크(100)는 여러명이 키오스크(100) 앞에 서 있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일행이 함께 키오스크(100)를 통하여 표시(또는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The kios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a situation where several people are standing in front of the kiosk 100, and it is particularly useful when a party wants to check information displayed (or output) through the kiosk 100 together. do.

예를 들면, 2명이 함께 키오스크(100)의 앞에 위치하는 경우, 키오스크(100)는 2명 중 1인이 나머지 일행만을 먼저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오스크(100)는 일행 중 한명만 먼저 촬영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일행 중에 한명만 먼저 촬영한 이미지를 제1 기본 이미지라 호칭할 것이다.For example, when two people are located in front of the kiosk 100 together, the kiosk 100 allows one of the two people to photograph only the other party first. To this end, the kiosk 100 may display a guide message for inducing only one of the party to photograph first. In addition, an image in which only one person in the party is photographed first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basic image.

다음으로, 제1 기본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았던 인물이 동일 배경에서, 즉 동일한 키오스크(100) 앞에서 촬영될 준비를 한다. 이때,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 1 이상 포함될 이미지를 제2 기본 이미지라 호칭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 키오스크(100)는 다른 인물이 촬영될 준비를 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추가적으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기본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을 제1 사용자, 제2 기본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Next, a person not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is prepared to be photographed in the same background, that is, in front of the same kiosk 100 . In this case, an image in which one or more persons not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will be included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basic image. Also, for this purpose, the kiosk 100 may additionally display a guide message to prepare for another person to be photographed. A person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may be defined as a first user, and a person included in the second basic image may be defined as at least one second user.

이때, 상기 제2 기본 이미지 촬영 시에 피사체를 보여주는 프리뷰(preview)가 표시되는데(즉, 제2 기본 이미지의 프리뷰), 상기 프리뷰 화면에는 상기 제2 기본 이미지와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의 합성을 위한 촬영 가이드가 표시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basic image is captured, a preview showing a subject is displayed (ie, a preview of the second basic image), and on the preview screen, a function for synthesizing the second basic image and the first basic image is displayed. A shooting guide is displayed.

상기 촬영 가이드는 둘 이상의 사진을 합성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수단으로서, 안내선, 격자, 기호, 점(do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 중 특징 영역에 표시된 소정의 기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징 영역은, 영상 분석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영역, 즉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의 포함된 인물의 신체 영역(얼굴 등)이나 배경의 소정 물체(명도, 채도 등이 급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촬영 가이드가 안내선(guide line)으로 구현되는 경우라면, 상기 키오스크(100)는 중간 위치 등에 선을 표시하여 제2 기본 이미지 촬영에 기준으로 삼도록 할 수도 있다.The photographing guide is a means for helping a user to smoothly combine two or more picture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guide line, a lattice, a symbol, a dot, or the like.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guide may be a predetermined symbol displayed in a feature area of the first basic image. At this time, the feature region is an area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by image analysis, that is, a body region (face, etc.) of a person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or a predetermined object (a part where brightness, saturation, etc. change rapidly) in the background. can If the photographing guide is implemented as a guide line, the kiosk 100 may display a line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r the like to use the second basic image as a reference for photographing.

다른 예로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와 제2 기본 이미지의 프리뷰 화면의 일치도를 근거로 분석된, 촬영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안내 텍스트 또는 사운드(음성, 소리 등)일 수도 있다. 즉, 상기 키오스크(100)가 제1 기본 이미지와 제2 기본 이미지의 프리뷰 사이의 거리/각도 차를 계산하여 오른쪽으로 한걸음, 좌측 10도정도 각도로 이동을 지시하는 등의 안내문을 출력하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shooting guide may be guide text or sound (voice, sound, etc.) instructing to adjust the shooting direction or angle, analyzed based on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preview screens of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second basic image. . That is, the kiosk 100 calculates the distance/angl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ews of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second basic image, and outputs a notice instructing to move one step to the right and an angle of about 10 degrees to the left.

또 다른 예로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의 실루엣(silhouette)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본 이미지의 인물들을 윤곽선이나 흐릿한 형태로 보여주어, 제2 기본 이미지 촬영 시에 사용자가 그에 맞추어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photographing guid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ilhouette of the first basic image. For example, by showing people in the first basic image in an outline or blurry form, the user can take pictures accordingly when capturing the second basic image.

제2 기본 이미지의 사용자가 상기 촬영 가이드를 참고하여 제2 기본 이미지를 촬영하면, 상기 키오스크(100)는 제2 기본 이미지 및 제1 기본 이미지를 합성하여 결합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 이미지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기본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전부 포함되는 이미지다. 또한 제1 기본 이미지와 제2 기본 이미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인물(부분)이 있다면, 사용자는 키오스크(100)의 입력 모듈(미도시,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1 기본 이미지와 제2 기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에 있는 것 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of the second basic image captures the second basic image by referring to the photographing guide, the kiosk 100 creates a combined image by synthesizing the second basic image and the first basic image. Here, the combined image is an image including all the persons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or the second basic image. In addition, if there is a person (portion)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second basic image, the user may enter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second basic image through an input module (not shown, for example, a touch screen) of the kiosk 100.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only those in any one of the basic images.

상기 키오스크(100)는 생성한 합성 사진(결합 이미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100)는 일반 촬영 모드와 상기 서술한 합성 촬영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The kiosk 100 may provide a function of storing the generated composite picture (combined image) and editing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ddition, the kiosk 100 may have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can select a general photographing mode and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photographing mode.

상기 키오스크(100)는 촬영 모듈(110), 디스플레이 모듈(14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100)는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요소의 하드웨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100)는 통상적인 카메라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2G/3G/4G 이동 단말, PMP 단말기, MP3 단말기 등에 포함된 카메라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1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module 110, a display module 140, and a controller (not shown). In addition, the kiosk 100 may further include hardware of various elements such as a memory and a user interface. The kiosk 100 is not limited to a typical camera device, and may include a camera device included in a 2G/3G/4G mobile terminal, a PMP terminal, or an MP3 terminal.

상기 키오스크(100)는 결합 이미지 생성방법을 수행한다. 즉, 상기 키오스크(100)는 시간차를 두고 촬영된 둘 이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100)는 나중에 촬영되는 이미지 상에 (특히 프리뷰 상에) 이전 사진과의 합성을 위한 가이드(guide)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합성된 사진의 왜곡이나 어긋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The kiosk 100 performs a combined image generating method. That is, the kiosk 100 may generate one image by synthesizing two or more images photographed with a time difference. At this time, the kiosk 100 can prevent distortion or misalignment of the synthesized photo in advance by displaying and providing a guide for synthesis with the previous photo (especially on the preview) on the image taken later. there is.

상기 촬영 모듈(110)는 촬영 모듈을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수단이다. 기존에 알려진 여러 카메라 모듈로써 구현될 있다.The photographing module 110 is a mea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by including a photographing module. It can be implemented as several previously known camera modules.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0)는 상기 촬영 모듈(110)를 통해 촬영된 제1 기본 이미지 및 상기 제1 기본 이미지보다 나중에 촬영되는 제2 기본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비된다.The display module 140 is provided to display a first basic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pturing module 110 and a second basic image captured later than the first basic image.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 및 제2 기본 이미지를 합성하여 결합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기본 이미지 촬영 시에 상기 합성을 위한 촬영 가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0)에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촬영 가이드를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의 실루엣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not shown) synthesizes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second basic image to generate a combined image, and displays a photographing guide for the synthesis on the display module 140 when the second basic image is photographed. You can control i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provide the photographing guide in the form of a silhouette of the first basic image.

여기서, 상기 제1 기본 이미지는 1 이상의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기본 이미지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와 동일한 배경 및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 1 이상 포함된 이미지이며, 상기 결합 이미지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기본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전부 포함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Here, the first base image is an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person, and the second base image is an image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as the first base image and at least one person not included in the first base image. , The combined image may be an image including all the persons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or the second basic image.

한편,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 중 특징 영역에 표시된 소정의 기호이며, 상기 특징 영역은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의 포함된 인물의 신체 영역 또는 배경의 소정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hotographing guide is a predetermined symbol displayed in a characteristic area of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characteristic area may include a body region of a person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or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background.

또한,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와 프리뷰 화면의 일치도를 근거로 하여 촬영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안내 텍스트 또는 사운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ooting guide may be guide text or sound instructing to adjust a shooting direction or angle based on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preview screen.

상기 키오스크(100)는 생성한 합성 사진(결합 이미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100)는 일반 촬영 모드와 상기 서술한 합성 촬영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The kiosk 100 may provide a function of storing the generated composite picture (combined image) and editing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ddition, the kiosk 100 may have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can select a general photographing mode and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photographing mode.

상기 방법은 키오스크(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100)는 시간차를 두고 촬영된 둘 이상의 이미지를 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100)는 나중에 촬영되는 이미지 상에 (특히 프리뷰 상에) 이전 사진과의 합성을 위한 가이드(guide)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합성된 사진의 왜곡이나 어긋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The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kiosk 100 . The kiosk 100 may generate one image by combining two or more images photographed with a time difference. At this time, the kiosk 100 can prevent distortion or misalignment of the synthesized photo in advance by displaying and providing a guide for synthesis with the previous photo (especially on the preview) on the image taken later. there is.

먼저, 상기 키오스크(100)는 촬상부(예: 카메라 모듈등)를 통해 촬영된 제1 기본 이미지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키오스크(100)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보다 나중에 촬영되는 제2 기본 이미지의 프리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100)는 상기 제2 기본 이미지의 프리뷰 상에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와의 합성을 위한 촬영 가이드를 나타낸다(S330). 다음으로 상기 키오스크(100)는 상기 촬상부를 통해 촬영된 제2 기본 이미지 및 상기 제1 기본 이미지를 합성하여 결합 이미지를 생성한다.First, the kiosk 100 stores a first basic image captured through an imaging unit (eg, a camera module, etc.). Next, the kiosk 100 displays a preview of a second basic image captured later than the first basic image. At this time, the kiosk 100 displays a photographing guide for synthesis with the first basic image on the preview of the second basic image (S330). Next, the kiosk 100 generates a combined image by synthesizing the second basic image and the first basic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ing unit.

여기서, 상기 제1 기본 이미지는 1 이상의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기본 이미지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와 동일한 배경 및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 1 이상 포함된 이미지이며, 상기 결합 이미지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기본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전부 포함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Here, the first base image is an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person, and the second base image is an image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as the first base image and at least one person not included in the first base image. , The combined image may be an image including all the persons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or the second basic image.

한편,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 중 특징 영역에 표시된 소정의 기호이며, 상기 특징 영역은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의 포함된 인물의 신체 영역 또는 배경의 소정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와 상기 제2 기본 이미지의 프리뷰 간의 일치도를 근거로 하여 촬영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안내 텍스트 또는 사운드일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촬영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본 이미지의 실루엣 또는 윤곽선 형태일 수 있다.Meanwhile, the photographing guide is a predetermined symbol displayed in a characteristic area of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characteristic area may include a body region of a person included in the first basic image or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background. Alternatively, the photographing guide may be guide text or sound instructing to adjus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r angle based on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previews of the first basic image and the second basic image. Alternatively, the photographing guide may be in the form of a silhouette or outline of the first basic imag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ttachment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m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포토 부스 시스템
100: 키오스크 110: 촬영 모듈
120: 인쇄 모듈 130: 통신 모듈
140: 디스플레이 모듈 200: 사용자 단말
210: 촬영 유닛 220: 통신 유닛
230: 디스플레이 유닛 240: 제어 유닛
300: 중앙 서버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30: 제어부
10: Photo booth system
100: kiosk 110: shooting module
120: print module 130: communication module
140: display module 200: user terminal
210: photographing unit 220: communication unit
230: display unit 240: control unit
300: central server 310: communication unit
320: storage unit 330: control unit

Claims (10)

포토 부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 모듈;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의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 모듈;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상기 인쇄된 제1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 유닛; 및 상기 촬영 유닛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영상 간의 맵핑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결합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맵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상기 결합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을 선택하며, 선택된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In the photo booth system,
a photographing module configured to photograph a user's first image and video; a printing module configured to print the first image when capturing of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is complet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output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a photographing unit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printed first image;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o receive the second imag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image, the video, and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and determining a comb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from among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ele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mage from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Including a central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Photo booth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또는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or display or output)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Photo booth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에 대한 배경 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배경 화면의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더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쇄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배경 화면이 결합된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kiosk,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display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on the background screen when a background screen for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is selected. Including more modules,
The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further transmit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to the central server;
The print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int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background screen are combined,
Photo booth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화면이 결합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combined with the background screen in the storage unit,
Photo booth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키오스크에 대응되는 소정의 식별 마크를 더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display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kiosk,
Photo booth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촬영 유닛에 의해 상기 식별 마크가 촬영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user terminal,
The photo booth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btain a control right for the kiosk when the identification mark i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배경 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The photo boot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module to display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on the background screen when the background screen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inpu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의 촬영 시점이 결정되면, 결정된 촬영 시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영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인쇄 매수가 결정되면, 결정된 인쇄 매수만큼 상기 제1 이미지가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When the capturing time of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controlling the capturing module to capture the first image and the video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capturing time point;
When the number of prints of the first ima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the photo booth system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rinting module to print the first image by the determined number of prin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화면은,
캐릭터, 인물 및 동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적 또는 동적인 증강 현실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background screen is
A photo boot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static or dynamic augmented reality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person and an ani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3 이미지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부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photo boot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etermine an imag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second image among the first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the third image.
KR1020210098068A 2021-07-26 2021-07-26 Photo booth system KR102612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68A KR102612553B1 (en) 2021-07-26 2021-07-26 Photo booth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68A KR102612553B1 (en) 2021-07-26 2021-07-26 Photo booth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03A true KR20230016503A (en) 2023-02-02
KR102612553B1 KR102612553B1 (en) 2023-12-12

Family

ID=8522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68A KR102612553B1 (en) 2021-07-26 2021-07-26 Photo booth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5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269A (en)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icture frame based on images taken through a shooting room kios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3513A (en) * 2004-02-04 2005-08-18 Nihon Brain Ware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20090020746A (en) 2007-08-24 2009-02-27 신강호 The real time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kiosk system which is connected in the internet and the method
KR101337041B1 (en) 2011-09-30 2013-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ntrol system for KIOSK
KR20150096552A (en)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천지이미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photo gallery service by using photo album or photo frame
KR20200109045A (en) * 2019-03-12 2020-09-22 김만기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3513A (en) * 2004-02-04 2005-08-18 Nihon Brain Ware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20090020746A (en) 2007-08-24 2009-02-27 신강호 The real time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kiosk system which is connected in the internet and the method
KR101337041B1 (en) 2011-09-30 2013-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ntrol system for KIOSK
KR20150096552A (en)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천지이미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photo gallery service by using photo album or photo frame
KR20200109045A (en) * 2019-03-12 2020-09-22 김만기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269A (en)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icture frame based on images taken through a shooting room kio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553B1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2096B2 (en) Conference projection system with gesture-based image transmitting unit
US201801078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US8219655B2 (en) Method of associating multiple modalities and a multimodal system
KR1020421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9183541B2 (en) Content display support system
KR102330637B1 (en) System,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photocard
US96089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6796544B2 (en) Face recognition system
CN112929557A (en) Shoot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1651130A (en) File printing method, device,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612553B1 (en) Photo booth system
CN104933426A (en) Self-service photo taking system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JP2016091169A (en) Approval device, approval system, and approval program
JP6794819B2 (en) Image print system
WO2019127892A1 (en) Method for remotely photographing pictur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301097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ttendance based on face recognition
US10712996B2 (en) Image display system, apparatus for supporting material provision,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aterial
KR1018171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ertifying image data
JP2017075999A (en) Id card issuance application apparatus and id card issuance application method
KR1021876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Augmented Reality Photograph
US20230005301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67746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sidence card confirmation method, and residence card confirmation program
JP2007334629A (en) Id card issuing system and method
JP74849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9120984A (en) Business form data management apparatus, business form data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