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401A -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401A
KR20230016401A KR1020210097849A KR20210097849A KR20230016401A KR 20230016401 A KR20230016401 A KR 20230016401A KR 1020210097849 A KR1020210097849 A KR 1020210097849A KR 20210097849 A KR20210097849 A KR 20210097849A KR 20230016401 A KR20230016401 A KR 2023001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rights
blockchain
ownership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915B1 (ko
Inventor
인호
최지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9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가 선택되는 판매자 단말기;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되, 선택한 분할 개수에 따라 분할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되어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마켓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YSTEM FOR TRADING ASSET BASED ON BLOCKCHAI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자산은 사진, 로고, 삽화 또는 애니메이션의 디지털 형식과 해당 메타 데이터 및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암호화폐들을 포함한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불리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는 분산 컴퓨팅 (distributed computing) 기술 기반의 데이터 대변 방지 기술이다. 블록체인에서 개별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탈중앙화된(decentralized) 전자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사용자들의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어 중앙은행 없이 개인 간의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디지털자산은 발행한 플랫폼이 사라지면 디지털자산이 가진 가치와 효용도 사라지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자산을 저장소에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이 요구되며, 토큰화된 디지털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연동의 마켓서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실물자산은 거래를 중개하는 경매사에 따라 책정되는 가격이 다르며, 실물자산의 거래기록 및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고, 실물자산의 거래시에도 보안상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서버를 이용하여 실물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토큰화한 실물자산의 거래기록을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여 실물자산의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체인 서버에서 자산을 토큰화하고,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되는 마켓 서버에서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산이 저장되는 장소를 결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산은 디지털자산과 실물자산을 포함하되, 상기 실물자산의 가치를 감정하여 감정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를 제공하는 전문가 단말기;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소;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을 상기 저장소에 전송하고,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가 선택되는 판매자 단말기; 상기 실물자산의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에 포함된 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되,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이 선택되면 선택된 소유권 분할 개수에 따라 분할소유권 토큰을 발행하고, 상기 자산의 소유권 미분할이 선택되면 단일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며, 상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마켓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물자산의 감정평가 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소는, 로컬스토리지, IPFS 및 클라우드를 포함하되, 상기 실물자산의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파일 또는 암호화된 URL로 저장되며,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의해 로컬스토리지, IPFS 및 클라우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선택된 지식재산권 범위에서만 구매자에게 권리가 이전되도록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가 선택되며,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가 선택되는 것은,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실물자산의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에 포함된 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는 것은,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은 판매자 정보,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자산의 종류, 판매자의 서명을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상기 자산의 생성일시, 파일의 크기, URL 주소, 소유권 분할여부, 상기 자산의 과거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확장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산은 실물자산과 디지털자산을 포함하되, 실물자산인 경우, 실물자산 감정평가 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디지털자산과 상기 보증서에 포함된 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되,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이 선택되면 판매자가 선택한 분할의 개수에 따라 분할소유권 토큰을 발행하고, 상기 자산의 소유권 미분할이 선택되면 단일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며, 상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큰을 거래할 수 있도록 마켓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는 단계는, 로컬스토리지, IPFS 및 클라우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파일 또는 암호화된 URL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지식재산권 범위에서만 구매자에게 권리가 이전되도록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를 선택되는 단계는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자산과 실물자산을 토큰화하고, 연동되는 마켓 서버에서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고가의 자산이거나 감가상각으로 가치가 상승하는 자산에 대하여 소유권을 분할하여 수익 배당권 등으로 분할된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자산을 거래하는 경우 결정된 지식재산권 범위에서만 구매자에게 권리가 이전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산이 저장되는 저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판매자가 보안성, 속도, 비용을 고려해 저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는 저장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3은 판매자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4는 블록체인 서버의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자산 거래 과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2는 도1의 저장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1)은 판매자 단말기(10), 전문가 단말기(11), 저장소(12), 블록체인 서버(13), 마켓 서버(14) 및 다수의 구매자 단말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1)은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기(10)에 자산을 등록하면 블록체인 서버(13)에서 자산을 토큰화 할 수 있다. 자산을 토큰화하는 것은,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교환권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버(13)와 자동으로 연동되는 마켓 서버(14)에 토큰이 등록될 수 있다. 이때 토큰의 가격은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기(10)를 통해 마켓 서버(14)에 등록할 수 있고,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15)를 통해 토큰을 거래할 수 있다.
이 때, 자산은 실물 자산과 디지털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실물 자산은 부동산, 예술품, 명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자산은 이미지, 오디오가 담긴 파일, 암호화폐, 특허, 상표권, 저작권, 퍼블리시티권 등의 산업재산권, 게임 아이템, 게임 캐릭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교환 가치가 있는 전자 문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기(10)로 마켓 서버(14)의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하여 판매자의 고유한 ID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회원 가입을 하지 않더라도 비회원으로서 판매자 정보의 등록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판매자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1)을 이용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보유한 데스크탑 PC, 랩탑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고, 전문가 단말기(11)와 통신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기(11)는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실물 자산에 대한 감정평가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기(11)는 실물 자산의 감정 시 실물자산의 획득 장소, 유형, 주제, 종류, 품질 등을 분석 및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감정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전문가 단말기(11)는 실물 자산에 대한 감정평가 정보, 판매자의 소유권 증명 정보 및 전문가의 보증 서명 정보를 담은 보증서를 생성하여 판매자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기(11)가 실물자산에 대한 감정평가를 수행하고, 보증서를 생성하는 것으로 전술하였으나, 전문가가 실물자산에 대한 감정평가를 수행하고, 보증서를 생성하여 전문가 단말기(11)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전문가 단말기(11)는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전문가의 개인 정보, 자격증 및 경력 정보 열람을 요청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기(11)는 전문가의 개인정보, 자격증 및 경력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발급기관의 서버가 전문가의 자격증 및 경력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10)에 송신하도록 발급기관의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12)는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디지털 자산과 실물자산에 대한 보증서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저장소(12)는 디지털자산을 파일로서 저장할 수 있고, 이미지 파일이나 오디오 파일일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파일은 JPEG, BMP, TIFF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고, 오디오 파일은 WAV, MP3, MIDI, PTX, M4A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형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저장소(12)는 전문가 단말기(11)로부터 생성된 실물자산의 보증서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보증서 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텍스트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저장소(12)는 로컬스토리지(20), IPFS(21), 클라우드(22)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판매자 단말기(10)는 자산의 파일을 로컬스토리지(20), IPFS(21), 클라우드(22)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전송할 수 있다. 로컬스토리지(20)는 URL 또는 P2P 방식(PEER-TO-PEER)으로 파일을 수신할 수 있고, IFPS(21)는 GATEWARY를 거친 URL과 고유의 해시값으로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22)는 URL 또는 P2P 방식(PEER-TO-PEER)으로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스토리지(20)는 키(KEY)와 값(VALUE)의 쌍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브라우저를 의미하고, IPFS(21)(Inter Planetary File System)는 분산형 파일 시스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클라우드(22)는 데이터, 소프트웨어 및 다양한 컴퓨터 자원 등을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PC나 스마트폰 같은 하드웨어에 두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저장소(12)는 판매자단말기(10)로부터 파일을 전송받고, 파일로 저장하거나 암호화된 URL 주소를 생성해 URL 주소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소(12)는 파일에 포함된 자산정보와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파일에 포함된 자산정보는 자산의 보증서 파일의 크기, 생성일시, URL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오디오 파일로 마련된 자산이 가진 파장, 진동수, 자산이 가진 색상, 생김새, 픽셀, 작품명, 작가명, 작품이 저장된 링크, 경로 및 과거 거래이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버(13)는 복수개의 노드로 구성되고, 실물자산과 디지털자산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블록체인 서버(13)는 저장소(12)로부터 디지털자산과 실물자산의 보증서를 수신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기(10), 전문가 단말기(11), 저장소(12) 및 구매자 단말기(15)는 블록체인 서버(13)의 복수개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로서 참여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 노드는 판매자 단말기(10)를 통해 제출된 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실행하고, 이를 하나 이상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버(13)는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자산을 토큰화하여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토큰은 대체가능(Fungible)토큰과 대체불가능(Non-Fungible) 토큰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체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하지만 대체불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ERC-721, ERC-1155 표준의 대체불가능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기록되는 정보는 기본정보와 확장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기본정보는 판매자 정보, 판매자 ID, 실물자산인지 디지털 자산인지여부를 나타내는 자산종류 또는 판매자의 서명일 수 있다. 확장정보는 자산종류와 블록체인 서버(13)가 저장소(12)로부터 파일원본/파일 URL 주소 중 어떤 형식으로 자산정보를 전달받는 지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정보는 디지털 자산의 생성일자, 실물 자산의 생성일자, 실물 자산의 보증서 내용, 실물 자산의 보증기관의 정보,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 소유권 분할 비율정보 또는 자산에 부여된 지식재산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체인 서버(13)는 실물자산이 부동산인 경우, 기본 정보로서 판매자 정보와 판매자 ID 또는 판매자의 서명정보를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버(13)는 확장 정보로서 부동산 계약서의 계약자, 계약서 파일의 해시값, 계약서 페이지 수, 계약일, 계약자의 서명, 계약서 파일의 생성일자, 계약서 파일 또는 매도인/매수인의 계약서의 서명 이미지가 저장된 경로정보를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기록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블록체인 서버(13)는 디지털자산이 음원과 같은 저작권인 경우, 기본 정보로서 판매자 정보와 판매자 ID 또는 판매자의 서명정보를 포함힐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버(13)는 확장 정보로서 MP3파일의 해시값, 음원의 가수, 해당 음원의 작곡/작사가, 해당 음원의 생성일자, 수익비율, 보증서 또는 보증기관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블록체인 서버(13)는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판매자의 서명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지갑은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판매자의 서명이 기록되어 있으면, 판매자의 고유한 트랜잭션에 해당되는 하나의 개인 온라인 전자지갑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자지갑은 토큰을 저장하고 인출할 수 있도록 판매자의 고유의 개인 은행 계좌 역할로서 전자 은행 계좌처럼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전자지갑은 통합 API가 제공되어 METAMASK, Klay, MyCrypto 등의 웹 지갑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것일 수 있다.
마켓 서버(14)는 블록체인 서버(13)와 연동되어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마켓 서버(14)는 Open Sea, Rarible, SuperRare 등의 서버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3은 판매자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판매자 단말기(10)는 입력부(30), 통신부(31), 저장부(32),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0)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자산 또는 실물자산의 보증서가 로컬스토리지(20), IPFS(21), 클라우드(22)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도록 저장소(13)를 판매자에 의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30)는 자산을 분할하여 판매할지 여부를 판매자에 의해 입력받을 수 있다. 판매자는 자산을 지분으로 분할하여 분할 소유권으로서 마켓 서버(14)에 판매하거나 분할 없이 단일 소유권으로서 판매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감가상각으로 가치가 상승하는 자산의 경우에는 소유권을 분할하고, 감가상각으로 가치가 하락하는 자산의 경우에는 단일 소유권으로서 분할 없이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30)에 소유권 분할여부를 입력하면 전술한 도4의 블록체인서버(13)의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확장정보로서 소유권 분할 또는 단일 소유권으로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0)는 자산의 일정 범위에서만 구매자에게 권리가 이전되도록 판매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일정 범위는 지식재산권 범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30)에서 선택된 지식재산권 범위에서만 구매자에게 권리가 이전되도록 하는 것이며, 지식재산권 범위는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또는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입력부(30)에 지식재산권 범위를 입력하면 전술한 도4의 블록체인서버(13)의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에 확장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0)는 구매자에게 자산의 소유권을 부여하는 기간, 수익 비율등 미리 설정한 판매조건이 판매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통신부(31)는 전문가 단말기(11)와 통신할 수 있어 전문가 단말기(11)로부터 실물자산의 감정평가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감정평가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소(12)와 통신하여 자산의 파일을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31)는 마켓서버(14)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12)는 전문가 단말기(11)로부터 수신한 감정서와 디지털자산의 파일이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33)는 판매자 정보, 보증서, 디지털자산 등을 저장소(12)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는 판매요청신호를 마켓서버(14)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1에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상에서 진행되므로, 도1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판단하는 단계(100)를 포함할 수 있고, 실물자산인 경우, 전문가 단말기(11)에 실물자산 감정평가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문가 단말기(11)로부터 실물자산 감정평가 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를 수신하는 단계(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자산의 소유권을 N개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N개로 분할시 판매자가 선택한 분할 개수에 따라 N개의 분할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140)를 포함할 수 있되, 분할하지 않고 단일소유권으로 결정시 단일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행된 토큰을 마켓서버(14)에 등록하는 단계(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판단하는 단계(100)에서 디지털자산으로 판단되면, 자산의 소유권을 N개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N개로 분할시 판매자가 선택한 분할 개수에 따라 N개의 분할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140)를 포함할 수 있되, 분할하지 않고 단일소유권으로 결정시 단일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행된 토큰을 마켓서버(14)에 등록하는 단계(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판단하는 단계(200)를 포함할 수 있고, 실물자산인 경우, 전문가 단말기(11)에 실물자산 감정평가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문가 단말로부터 실물자산 감정평가 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를 수신하는 단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물자산정보를 저장할 저장소를 선택하는 단계(2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실물자산정보를 저장할 저장소를 선택하는 단계(230)는 로컬스토리지(20)에 저장되는 단계(240), IPFS(21)에 저장되는 단계(250) 또는 클라우드(22)에 저장되는 단계(260)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단계일 수 있다. 그 다음, 실물자산이 마켓 서버(14)에 등록되는 단계(2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판단하는 단계(200)에서 디지털자산으로 판단되면, 디지털자산정보를 저장할 저장소를 선택하는 단계(2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디지털자산정보를 저장할 저장소를 선택하는 단계(230)는 로컬스토리지(20)에 저장되는 단계(240), IPFS(21)에 저장되는 단계(250) 또는 클라우드(22)에 저장되는 단계(260)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단계일 수 있다. 그 다음, 디지털자산이 마켓 서버(14)에 등록되는 단계(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판단하는 단계(300)를 포함할 수 있고, 실물자산인 경우, 전문가 단말기(11)에 실물자산 감정평가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문가 단말기(11)로부터 실물자산 감정평가 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를 수신하는 단계(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물자산인 경우, 판매자와 구매자간 거래시 구매자에게 이전될 지식재산권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식재산권 범위는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또는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 다음, 선택된 지식재산권 범위가 반영된 실물자산에 대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340)를 포함할 수 있고, 마켓 서버에 실물자산에 대한 토큰을 등록하는 단계(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판단하는 단계(300)에서 디지털자산으로 판단되면, 판매자와 구매자간 거래시 구매자에게 이전될 지식재산권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식재산권 범위는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또는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 다음, 선택된 지식재산권 범위가 반영된 디지털자산에 대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340)를 포함할 수 있고, 마켓 서버에 디지털자산에 대한 토큰을 등록하는 단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자산 거래 과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판매자 단말기(10)는 경매, 지정가매도 또는 분할 매도 등의 조건을 부가하여 마켓 서버(14)에 토큰의 판매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마켓 서버(14)는 판매자의 주소, 핸드폰 번호 등 개인정보의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토큰화한 자산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판매자 단말기(10)가 마켓 서버(14)에 회원가입시 인증절차를 미리 수행했다면 토큰화한 자산을 등록하는 경우에는 인증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15)은 마켓 서버(14)를 탐색하여 원하는 조건을 가지는 토큰화한 자산을 선택하여 구매요청을 할 수 있고, 마켓 서버(14)는 구매요청을 수신하면 구매자 단말기(15)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인증절차는 구매자의 주소, 핸드폰 번호 등 개인정보일 수 있다. 이 때, 구매자 단말기(15)가 마켓 서버(14)에 회원가입시 인증절차를 미리 수행했다면 구매요청시에 인증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15)의 인증절차가 완료되면 판매자 단말기(10)와 구매자 단말기(15)간의 트랜잭션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고, 트랜잭션 인증 절차가 수행되어 유효성이 검증되어야만 판매자 단말기(10)와 구매자 단말기(15)간에 거래가 매칭될 수 있다.
트랜잭션 인증 절차에 대해 살펴보면,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기(10)을 통해 판매가격 등의 조건을 부가한 토큰화한 자산의 판매 거래메시지를 작성하고, 해당 판매 거래메시지를 판매자의 전자지갑에 마련된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판매자의 서명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판매자의 서명은 판매자의 공개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할 수 있다.
판매자의 서명, 거래메시지와 복호화에 필요한 판매자의 공개키를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저장소(12)를 거쳐 블록체인 서버(13)에 전송하여, 블록체인 서버(13)를 구성하는 노드에 전파할 수 있다. 노드는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거래메시지를 비교하여 유효한 트랜잭션인지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는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트랜잭션 인증 절차가 수행된 다음, 거래가 매칭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15)의 전자지갑에 보유한 유틸리티 토큰, 예를 들면 BTC, ETH 등을 마켓 서버(14)에 제공할 수 있다. 마켓 서버(14)는 수수료를 제외한 유틸리티 토큰을 블록체인 서버(13)에 마련되어 연동되고 있는 판매자의 전자지갑에 유틸리티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의 전자지갑에 유틸리티 토큰이 제공되면, 판매자 전자지갑에 있는 토큰화된 자산을 인출하여 마켓 서버(14)에 전송하고, 마켓 서버(14)는 구매자 단말기(15)의 전자지갑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10: 판매자 단말기
11: 전문가 단말기
12: 저장소
13: 블록체인 서버
14: 마켓 서버
15: 구매자 단말기
20: 로컬스토리지
21: IPFS
22: 클라우드
30: 입력부
31: 통신부
32: 저장부
33: 제어부

Claims (7)

  1. 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산은 디지털자산과 실물자산을 포함하되, 상기 실물자산의 가치를 감정하여 감정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를 제공하는 전문가 단말기;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소;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을 상기 저장소에 전송하고,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가 선택되는 판매자 단말기;
    상기 실물자산의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에 포함된 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되,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이 선택되면 선택된 소유권 분할 개수에 따라 분할소유권 토큰을 발행하고, 상기 자산의 소유권 미분할이 선택되면 단일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며, 상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마켓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자산의 감정평가 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소는,
    로컬스토리지, IPFS 및 클라우드를 포함하되, 상기 실물자산의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파일 또는 암호화된 URL로 저장되며,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의해 로컬스토리지, IPFS 및 클라우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선택된 지식재산권 범위에서만 구매자에게 권리가 이전되도록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가 선택되며,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가 선택되는 것은,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실물자산의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에 포함된 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는 것은,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은 판매자 정보, 실물자산인지 디지털자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자산의 종류 및 판매자의 서명을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상기 파일의 생성일시, 파일의 크기, URL 주소, 소유권 분할여부 및 상기 자산의 과거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확장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5. 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산은 실물자산과 디지털자산을 포함하되, 실물자산인 경우, 실물자산 감정평가 결과에 대응되는 보증서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여부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디지털자산과 상기 보증서에 포함된 정보로 마련된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을 기초로 토큰을 발행하되, 상기 자산의 소유권 분할이 선택되면 판매자가 선택한 분할의 개수에 따라 분할소유권 토큰을 발행하고, 상기 자산의 소유권 미분할이 선택되면 단일소유권 토큰을 발행하며, 상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큰을 거래할 수 있도록 마켓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서와 상기 디지털자산이 저장되는 단계는,
    로컬스토리지, IPFS 및 클라우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파일 또는 암호화된 URL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선택된 지식재산권 범위에서만 구매자에게 권리가 이전되도록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산에 부여할 지식재산권 범위를 선택되는 단계는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10097849A 2021-07-26 2021-07-26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4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49A KR102648915B1 (ko) 2021-07-26 2021-07-26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49A KR102648915B1 (ko) 2021-07-26 2021-07-26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01A true KR20230016401A (ko) 2023-02-02
KR102648915B1 KR102648915B1 (ko) 2024-03-18

Family

ID=8522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49A KR102648915B1 (ko) 2021-07-26 2021-07-26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9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00145400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아이서티 공증 플랫폼 서버 및 이의 디지털 저작물 공증 방법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9165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술작품 저작권 p2p 거래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00145400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아이서티 공증 플랫폼 서버 및 이의 디지털 저작물 공증 방법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9165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술작품 저작권 p2p 거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915B1 (ko) 202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fstetter et al. Crypto-marketing: How non-fungible tokens (NFTs) challenge traditional marketing
WO2020080537A1 (ja) 取扱管理装置
Ali et al. A review of the key challenges of non-fungible tokens
CN109643420A (zh) 用于在区块链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CA31830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CN111902814A (zh) 以基于区块链的文档传递、协作和传播为动力的去中心化的市场和生态系统
US20220130005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10133875A1 (en) Comprehensive buying, selling, trading, tracking, verification, validation, tokenization and financial services using blockchain
Rosadi et al. Consumer protection in digital economy era: law in Indonesia
KR20190141450A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TWM622824U (zh) 一種非同質數位代幣交易裝置
Efendioğlu The rise of the non-fungible token (NFT) market in Turkey: The effect of social media interaction and the need for uniqueness on NFT purchase intention
Girasa Technology Underlying Cryptocurrencies and Types of Cryptocurrencies
KR102648915B1 (ko)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Lavrova et al. Nft performance and security review
Atalay E-commerce ecosystem: Fundamental concepts, business models and cybersecurity issue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Pushpalatha et al. A trustworthy decentralized Onkart ecommerce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Parra-Moyano et al. The liberalization of data: A welfare-enhancing information system
Sudeep et al. Blockchain: A New Era of Technology
Anandhi et al. NFT Club–A NFT Marketplace
Rabaa'i et al. Understanding Non-Fungible Tokens (NFTs): Overvi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R20230086501A (ko) 블록체인 기반 공유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Anshari et al. Digital marketplace as a new frontier of electronic commerce
KR102643882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자인 저작권 등록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 저작권 등록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