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310A -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310A
KR20230016310A KR1020210097592A KR20210097592A KR20230016310A KR 20230016310 A KR20230016310 A KR 20230016310A KR 1020210097592 A KR1020210097592 A KR 1020210097592A KR 20210097592 A KR20210097592 A KR 20210097592A KR 20230016310 A KR20230016310 A KR 20230016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co
storage device
reuse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077B1 (ko
Inventor
원 식 윤
Original Assignee
원 식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식 윤 filed Critical 원 식 윤
Priority to KR102021009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0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02J3/32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the battery being on-board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e.g.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power aggregation, use of the battery for network load balancing, coordinated or cooperative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친환경 전력을 수집(집광 축전시스템) 한 뒤 독립형 하이브리드 인버터와 연계하면서 ESS저장장치와 함께 발전회로를 구축하도록 하되, 상기 ESS저장장치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소모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거하여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충방전 재생 처리한 후 전력원으로 다시 사용하도록 하는 바, 이는 신재생 에너지의 재사용(재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함으로서 전원 수급이 어려운 도서 지역이나 전력을 끓어오기 힘든 오지 또는 기타 제반 시설의 확충이 어려운 지역 또는 조경과 조명이 필요하나 전원 연결이 어려운 곳 등에 주야간 영상물 제공의 기회와 함께 기타 등주 또는 조경과 같은 시설물로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수집된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는 전방위(360°) 식별 시인 구조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원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영상물의 입체적 출력을 도모하여 광고, 홍보, 보안(조명) 및 표지나 전광 등의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설비 운용에 따른 편의성(배터리의 극소형화로 인해 취급과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함)과 우수한 성능 및 제작 시공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활용도가 높은 시설물로 지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Hologram imag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reuse of eco-friendly solar energy and renewable lithium-ion batteries}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로부터 친환경 전력을 수집(집광 축전시스템) 한 뒤 독립형 하이브리드 인버터와 연계하면서 ESS저장장치와 함께 발전회로를 구축하도록 하되, 상기 ESS저장장치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소모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거하여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충방전 재생 처리한 후 전력원으로 다시 사용하도록 하는 바, 이는 신재생 에너지의 재사용(재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함으로서 전원 수급이 어려운 도서 지역이나 전력을 끓어오기 힘든 오지 또는 기타 제반 시설의 확충이 어려운 지역 또는 조경과 조명이 필요하나 전원 연결이 어려운 곳 등에 주야간 영상물 제공의 기회와 함께 기타 등주 또는 조경과 같은 시설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수집된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로 하여금 전방위(360°) 식별 시인 구조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원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영상물의 입체적 출력을 도모하여 광고, 홍보, 보안(조명) 및 표지나 전광 등의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 운용에 따른 편의성(태양광을 이용한 전원 수급과 배터리의 극소형화로 인한 취급성 개선 및 설비 제작과 설계가 용이함)과 우수한 성능 및 신속한 제작 시공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활용도가 높은 시설물로 지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LED,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nel),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er)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영상물 제공 수단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는 플랫(평면) 패널을 중심으로 영상을 인출하는 방식으로서, 평면화된 화면에 영상물이 단편적으로 출력되면서 보행자, 운전자 또는 시설물 주변을 오가는 행인들에게 광고 영상 등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전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보는 정면 위치의 이용자에게만 영상이 전달될 수밖에 없는 한계성이 발생되고, 이에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이 발생되며, 특히 높은 사용 전력이 요구되어 목적한 설치시공 위치 주변에는 필연적으로 전원 공급원(전원선)이 시설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종래의 디스플레이들은 전기 에너지의 사용이 과대하게 발생되어 높은 사용료가 발생되며, 설비 구조의 대형화로 인해 시공 제작과 시설 확충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름은 물론 높은 제작비와 유지관리비로 하여금 경제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며, 기타 제반 관리와 유지보수 등 후속 관리감독이 어려워 비숙련자의 사용에 곤란한 문제가 발생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6838호(2009.11.06.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홀로그램 입체 영상물의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패널로부터 친환경 전력을 수집(집광 축전시스템) 한 뒤 독립형 하이브리드 인버터와 연계하면서 ESS저장장치와 함께 발전회로를 구축하도록 하되, 상기 ESS저장장치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소모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거하여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충방전 재생 처리한 후 전력원으로 다시 사용하도록 하는 바, 이는 신재생 에너지의 재사용(재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함으로서 전원 수급이 어려운 도서 지역이나 전력을 끓어오기 힘든 오지 또는 기타 제반 시설의 확충이 어려운 지역 또는 조경과 조명이 필요하나 전원 연결이 어려운 곳 등에 주야간 영상물 제공의 기회와 함께 기타 등주 또는 조경과 같은 시설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집된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로 하여금 전방위(360°) 식별 시인 구조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원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영상물의 입체적 출력을 도모하여 광고, 홍보, 보안(조명) 및 표지나 전광 등의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 운용에 따른 편의성(태양광을 이용한 전원 수급과 배터리의 극소형화로 인한 취급성 개선 및 설비 제작과 설계가 용이함)과 우수한 성능 및 신속한 제작 시공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활용도가 높은 시설물로 지원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물(10)의 최상측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100)과; 전기 자동차로부터 소모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거하여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충방전 재생 처리한 후 전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ESS저장장치(200)와; 상기 태양광 패널(100)과 ESS저장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설정과 사용 전력의 변환 및 입출력 전류 전압을 설정에 따라 자동 제어하도록 하는 독립형 인버터(300)와; 상기 ESS저장장치(200)와 인버터(30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저장된 영상물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출력된 영상물은 구조물(10)의 기립 축선을 기준으로 360°전방위에서 식별 또는 시인 가능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4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ESS저장장치(200)의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은 14.4V/ 13AH 기준 -> 12V/ 2셀, 28.8V/ 26AH 기준 -> 24V/ 4셀, 57.6.4V/ 52AH 기준 -> 48V/ 8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독립형 인버터(300)는 AC/DC 겸용 인버터로서 태양광 집광방식인 ESS저장장치(200)의 배터리 전력 부족시 일반 유선 전원선과 연결되어 전기에너지의 사용이 자동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태양광 패널(100)은 우천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400)가 젖지 않도록 구조물(10)의 루프탑으로부터 처마 형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조물(10)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세로로 길이구간(0.5~2m 내외)을 갖는 함체로 형성되어 일반 노지에 기립형으로 단독 시설될 수도 있고, 일정 높이를 갖는 폴대관(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시설될 수도 있도록 하되, 상기 폴대관(2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구조물(10)의 하부에 장착관(12)이 형성되어 폴대관(20)의 상단 결속관(21)과 대응되면서 상호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의 재사용(재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함으로서 전원 수급이 어려운 도서 지역이나 전력을 끓어오기 힘든 오지 또는 기타 제반 시설의 확충이 어려운 지역 또는 조경과 조명이 필요하나 전원 연결이 어려운 곳 등에 주야간 영상물 제공의 기회와 함께 기타 등주 또는 조경과 같은 시설물로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로부터 친환경 전력을 수집(집광 축전시스템) 한 뒤 독립형 하이브리드 인버터와 연계하면서 ESS저장장치와 함께 발전회로를 구축하도록 하되, 상기 ESS저장장치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소모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거하여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충방전 재생 처리한 후 전력원으로 다시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집된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로 하여금 전방위(360°) 식별 시인 구조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원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영상물의 입체적 출력을 도모하여 광고, 홍보, 보안(조명) 및 표지나 전광 등의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 수급과 배터리의 극소형화로 인한 취급성 개선 및 설비 제작과 설계가 용이하고, 우수한 성능 및 신속한 제작 시공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활용도가 높은 시설물로 지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의 일 예시 구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SS저장장치와 인버터의 연계 흐름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과 지주형 폴대관의 결합 관계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구조물과 지주형 폴대관의 결합시 클램프를 통해 조립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독립형 인버터에 자동 역률 보상 회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100), ESS저장장치(200), 독립형 인버터(300) 및 홀로그램 디스플레이(4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태양광 패널(100)은 구조물(10)의 최상측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 패널은 태양 추적식 구조로 형성되어 일측 힌지(110)를 통해 결합단을 기준으로 자유단의 각도가 업다운 되면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태양광 패널은 충전량에 따라 규격(집광셀 크기, 면적)이 다르게 선택 설계되도록 하되, 48V/24h 출력 기준으로 1일 완충 집광할 수 있는 집광셀의 사용 면적이 가로*세로= 50cm*50cm~200*200c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은 구조물의 지붕 형태로 시설되어 그늘막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것으로, 햇빛이 강한 낮 시간대에 홀로그램의 화면 해상도가 선명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태양광 패널(100)은 우천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400)가 젖지 않도록 구조물(10)의 루프탑으로부터 처마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SS저장장치(200)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소모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거하여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충방전 재생 처리한 후 전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등록받은 특허 제10-1949801호(2019.02.13. 등록)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폐축전지를 이동시키는 폐축전지 공급장치; 상기 폐축전지 공급장치에 의해 이동된 폐축전지와 연결되어 폐축전지에 남아 있는 직류 전기에너지를 이동시키는 직류 전기에너지 이동변환장치; 및 상기 직류 전기에너지 이동변환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직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보관하는 직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이하 자세한 설명은 해당 특허의 문헌을 참조하는 것으로 갈음한다.)
즉, 상기 ESS저장장치(200)는 전기 자동차에서 폐기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집하여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재생시킨 후 활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ESS저장장치(200)의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4V/ 13AH 기준 -> 12V/ 2셀, 28.8V/ 26AH 기준 -> 24V/ 4셀, 57.6.4V/ 52AH 기준 -> 48V/ 8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 용량에 따라 선택적 실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독립형 인버터(300)는 상기 태양광 패널(100)과 ESS저장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설정과 사용 전력의 변환 및 입출력 전류 전압을 설정에 따라 자동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독립형 인버터(300)는 AC/DC 겸용 인버터로서 태양광 집광방식인 ESS저장장치(200)의 배터리 전력 부족시 일반 유선 전원선과 연결되어 전기에너지의 사용이 자동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독립형 인버터는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 역률 보상 회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역률(power factor)은 전력 전달의 효율성(effectiveness)을 나타낸다.
이러한 역률은 실제 전달되는 유효 전력(real power)을 전압 및 전류 각각의 실효값의 곱으로 나타내는 피상 전력(apparent)으로 나누어 나타낸다.
이때 전압과 전류가 모두 정현파일 경우,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에 따라 역률이 달라지며, 위상차가 적을수록 역률이 개선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역률 보상은 입력전류의 모양을 정현파 모양으로 수정하고 전력의 전압 및 전류간 의 위상차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자동 역률 보상 회로는 배터리의 전력 소모 추이를 토대로 해당 배터리가 고역률 상태인지, 저역률 상태인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AC 전원을 직접 인가시키거나 또는 고역률 회로를 거친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역률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한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무효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 역률 보상 회로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에 연결된 배터리의 전력 소모 추이를 토대로 해당 배터리의 역률의 산출한 후, 기 설정된 역률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해당 배터리에 AC 전원을 직접 인가시키는 회로 또는 고역률회로를 통과한 전원을 인가시키는 회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 후, 해당 결정된 회로를 토대로 배터리에 전원을 인가하는 역률 판단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역률 판단 제어부(120)는 단자 각각에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역률 측정 스위치(110b)가 온(on) 상태로 동작되는 경우, 단자와 연결된 라이브(live) 전원 공급 라인 및 뉴트럴(neutral)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값 및 위상을 파악하는 파악부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라이브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도록 하되 전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단자에는 전류값을 토대로 전압값 및 위상을 파악 후 실시간 역률을 산출하는 역률 산출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역률 판단 제어부(120)는 역률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단자의 실시간 역률이 기 설정된 역률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단자와 연결된 릴레이를 오프(off) 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역률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단자의 실시간 역률이 기 설정된 역률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단자와 연결된 릴레이를 온(on) 상태로 변경하여 뉴트럴 전원 공급라인을 220VAC 뉴트럴(neutral)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하고 역률 개선(PFC) 회로를 통해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ESS저장장치(200)와 인버터(30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저장된 영상물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출력된 영상물은 구조물(10)의 기립 축선을 기준으로 360°전방위에서 식별 또는 시인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는 주간에는 광고 영상 홍보용으로 주되게 사용되도록 하되, 야간에는 조명 역할이 병행되어 보행에 따른 안전과 보안 기능이 구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는 상하단 프레임 일측에 CCTV 카메라 형태의 얼굴인식 또는 홍체인식 수집장치가 구비되어 영상물이 광고일 경우 옥외광고 매체로서 소비자가 몇번이나 쳐다보는지 카운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시청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매체에 비해 광고 홍보 효과가 얼마인지 측정이 어려운 옥외광고물의 광고 시청률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구조물(10)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세로로 길이구간(0.5~2m 내외)을 갖는 함체로 형성되어 일반 노지에 기립형으로 단독 시설될 수도 있고, 일정 높이를 갖는 폴대관(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시설될 수도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구조물(10)은 폴대관(20)에 결합되는 경우 구조물(10)의 하부에 장착관(12)이 형성되어 폴대관(20)의 상단 결속관(21)과 대응되면서 상호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관(20)의 상단부에 결속관(21)이 구비되어 장착관(12)의 하단 개구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장착관의 길이방향 측면상 일측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에는 상광하협의 경사각을 갖는 쐐기구(14)가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쐐기구는 결속관(21) 상단부에 형성된 치차형 요철홈(22)에 대응되면서 삽입 끼움시 구조물(10)의 원주방향 회전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이후, 별도의 볼트(15)가 장착관(12) 외측에서 결속관(21)을 향해 가압하면 볼트(15)의 진입측 단부가 결속관(21)의 외주면에 닿으면서 견고한 압착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관(12)과 폴개관(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클램프(C)에 의해 강력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는 결속관이 연장되는 폴대관(20)과 장착관(12)의 상단부에 각각 로커날개(31,32)가 형성되어 별도의 숫체결구(600)와 암체결구(500)에 의해 서로 조립되면서 클램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숫체결구(600)는 일측 로커날개(31)의 관통공(31-1)을 기준으로 힌지축(610)을 통해 선회하는 볼트축(620)이 구비되어 클램핑 조립시 타측 로커날개(32)의 수납공간(G)으로 볼트축(620)이 회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암체결구(500)는 타측 로커날개(32)의 수납공간(G)를 향해 회동한 볼트축(620)과 대응되도록 나사탭(511)을 갖는 너트(51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너트(510)와 타측 로커날개(32) 외주 사이에는 결합공(521)을 갖는 와셔(520)가 장착되어 볼트축(620)이 결합공(521)을 관통하면서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셔(520)는 너트(510)를 향한 면상에 단차홈(522)이 형성되어 통공(531)을 갖는 접시형 탄성밀착판(530)이 수납되도록 하되, 상기 접시형 탄성밀착판(530)은 너트(510)를 향한 면에 안착홈(532)이 형성되고, 탄성밀착판(530)의 외주면 일측에는 탄성리브(53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너트(510)의 일단 가압면(512)이 안착홈(532)에 대응되면서 조임 압착되면 탄성리브(533)의 관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와셔의 단차홈(522) 내주면에 강력하게 밀착되면서 탄성 가압에 의한 나사풀림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셔(520)는 타측 로커날개(320)와 밀착되는 면상에 반구 형태의 회전방지용 구면(523)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타측 로커날개(32)는 와셔의 회전방지용 구면(523)과 대응되는 면상에 반구형 회전방지용 요홈(32-1)이 형성되어 와셔의 회전 및 풀림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와셔(520)는 단차홈(522)의 내주연 벽면 일측에 걸림턱(524)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밀착판(530)의 외측단 일측에는 요철홈(534)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면서 끼움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너트(510)는 가압면(512)과 반대되는 외측단에 조임 풀림용 볼트머리(513: 육각볼트머리)과 렌찌홈(514)이 형성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나사체결 조임풀림 작업이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너트(510)는 가압면(512)의 테두리에 쐐기형 보조압착띠(515)가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누름시 탄성밀착판(530)의 탄성리브(533) 측 관경 확장을 보다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단차홈 내부 면상 중 어느 일측에는 공간확보홈(538)이 더 형성되어 보조압착띠에 의해 탄성 가압되면서 팽창된 탄성리브(533)의 외측단이 상기 공간확보홈으로 수납되면서 이탈방지와 함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밀착판(530)은 재질이 플라스틱을 포함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허니컴 구조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한 신축성이 강화되고 내구성이 강화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태양광 패널 200 ... ESS저장장치
300 ... 독립형 인버터 400 ...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Claims (5)

  1. 구조물(10)의 최상측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100)과;
    전기 자동차로부터 소모된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수거하여 전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ESS저장장치(200)와;
    상기 태양광 패널(100)과 ESS저장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설정과 사용 전력의 변환 및 입출력 전류 전압을 설정에 따라 자동 제어하도록 하는 독립형 인버터(300)와;
    상기 ESS저장장치(200)와 인버터(30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저장된 영상물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출력된 영상물은 구조물(10)의 기립 축선을 기준으로 360°전방위에서 식별 또는 시인 가능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4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SS저장장치(200)의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은
    14.4V/ 13AH 기준 -> 12V/ 2셀
    28.8V/ 26AH 기준 -> 24V/ 4셀
    57.6.4V/ 52AH 기준 -> 48V/ 8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인버터(300)는
    AC/DC 겸용 인버터로서 태양광 집광방식인 ESS저장장치(200)의 배터리 전력 부족시 일반 유선 전원선과 연결되어 전기에너지의 사용이 자동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100)은
    우천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400)가 젖지 않도록 구조물(10)의 루프탑으로부터 처마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은
    세로로 길이구간(0.5~2m 내외)을 갖는 함체로서 일반 노지에 기립형으로 단독 시설될 수도 있고, 일정 높이를 갖는 폴대관(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시설될 수도 있도록 하되, 상기 폴대관(2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구조물(10)의 하부에 장착관(12)이 형성되어 폴대관(20)의 상단 결속관(21)과 대응되면서 상호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KR1020210097592A 2021-07-26 2021-07-26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KR10262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92A KR102628077B1 (ko) 2021-07-26 2021-07-26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92A KR102628077B1 (ko) 2021-07-26 2021-07-26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310A true KR20230016310A (ko) 2023-02-02
KR102628077B1 KR102628077B1 (ko) 2024-01-23

Family

ID=8522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592A KR102628077B1 (ko) 2021-07-26 2021-07-26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0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38B1 (ko) 2009-01-13 2009-11-12 주식회사 에이스엠이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광고 시스템
KR20130027212A (ko) * 2011-09-07 2013-03-15 안광석 도로 조명장치
KR101949801B1 (ko) * 2018-10-18 2019-02-19 윤원식 폐축전지의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38B1 (ko) 2009-01-13 2009-11-12 주식회사 에이스엠이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광고 시스템
KR20130027212A (ko) * 2011-09-07 2013-03-15 안광석 도로 조명장치
KR101949801B1 (ko) * 2018-10-18 2019-02-19 윤원식 폐축전지의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077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579063Y (zh) 一种太阳能发电控制装置
US2013007629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1106304B1 (ko) 태양광 가로등
CN102122837A (zh) 汽车能路灯供电装置
CN201386937Y (zh) Led广告灯
CN102237697A (zh) 太阳能电动车智能充电站
KR102628077B1 (ko) 친환경 태양에너지와 신재생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사용을 통한 홀로그램 영상제공 시스템
CN201690247U (zh) 太阳能电动车智能充电站
WO2012142695A1 (en) Lamp post with power receptacl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08149969A (zh) 光伏车棚
CN208797601U (zh) 一种综合能源管理系统
CN205596057U (zh) 光伏车棚
CN204983789U (zh) 一种节能型车棚
CN208578372U (zh) 光伏车棚
CN110867882A (zh) 一种基于多功能智能杆的电力供电系统及装置
CN205319779U (zh) 一种太阳能充电桩
CN102003673A (zh) 一种太阳能路灯
CN204943300U (zh) 一种并网储能型太阳能照明与充电一体化路灯
CN211625094U (zh) 一种多功能太阳能停车场出入立杆
CN202997596U (zh) 一种移动式太阳能电动车充电系统及判断电池极性的电路
CN218526253U (zh) 发电装置
CN213920725U (zh) 一种具有调节功能且便于安装的电动汽车充电桩
CN2836313Y (zh) 路灯用的风能太阳能照明供电系统
CN212627734U (zh) 一种自发电式公交停靠站台系统
CN214028275U (zh) 一种便于安装的充电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