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809A -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809A
KR20230015809A KR1020210097422A KR20210097422A KR20230015809A KR 20230015809 A KR20230015809 A KR 20230015809A KR 1020210097422 A KR1020210097422 A KR 1020210097422A KR 20210097422 A KR20210097422 A KR 20210097422A KR 20230015809 A KR20230015809 A KR 2023001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i
service
credit card
user
virtual 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이철
선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루스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루스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루스웍스
Priority to KR102021009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809A/ko
Publication of KR2023001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은,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정보를 제공받아 신용카드 사용액을 확정하는 신용카드 결제서버,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제1 계좌를 관리하고, 상기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 계좌에서 디파이 서비스 전용계좌인 제2 계좌로 이체시키는 사용자 계좌 관리부, 상기 제2 계좌에 이체된 금액을 서비스제공자 계좌로 이체시키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계좌로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를 전송하는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 상기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 가상화폐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전자지갑부, 및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부로부터 상기 제1 가상화폐를 제공받아 예치(deposit)하고, 상기 제1 가상화폐를 기반으로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파이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파이 서비스는 대출 서비스, 예적금 서비스 및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대출 서비스는 상기 제1 가상화폐를 담보로 스테이블 가상화폐인 제2 가상화폐를 대출금으로 제공받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이자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예적금 서비스는 제3 가상화폐로 디파이 프로토콜에 유동성을 제공하고 대가로 이자를 취득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는 유동성 풀을 제공하여 자동화된 유동성 공급프로토콜(Automated liquidity protocol)을 통해 제4 가상화폐와 제5 가상화폐 사이의 스왑 서비스를 자동화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Description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The blockchain-based DeFi system based on credit card use}
본 발명은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에 기초하여 사용액만큼 현금을 서비스제공자 계좌로 이체하고, 그에 대응하는 가상화폐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며, 상기 가상화폐를 기초로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내에서 유통되는 가상화폐(crypto currency)를 기반으로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처리기술을 의미한다. 거래 정보가 담긴 원장(原帳)을 거래 주체나 특정 기관에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나누어 가지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분산원장기술(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또는 '공공거래장부'라고도 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block)을 사슬처럼 연결(chain)한 것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의 위변조와 같은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이며,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금융기관에서 모든 거래를 담보하고 관리하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 P2P(Peer to Peer;개인 대 개인) 거래를 지향하는, 탈(脫)중앙화를 핵심 개념으로 한다. P2P란 서버나 클라이언트 없이 개인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말하며,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가 서버이자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노드가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고 검증하는 방식을 통해 디지털 상에 신뢰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은 중개자 없이 P2P로 편리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수정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금융회사들이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해 온 반면,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를 블록에 담아 차례대로 연결하고 이를 모든 참여자가 공유하여 거래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파이(DeFi; Decentralized Finance)의 사전적 의미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이며, 탈중앙화 금융에서는 금융 거래를 보증하는 중앙기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탈중앙화 금융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금융 거래를 보증하기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당사자간 거래의 이행을 강제하는 수단이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 당사자간 사전합의 된 내용을 프로그래밍을 통해 전자계약 형태로 체결하고, 계약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을 실행하도록 구현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제3의 보증기관 없이 개인 간 계약 체결이 가능하다.
한국 등록특허 10-1857223 (공고일자 2018년 5월 1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대 사회에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신용카드의 사용액을 근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재무상태를 관리하면서 재테크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은,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정보를 제공받아 신용카드 사용액을 확정하는 신용카드 결제서버,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제1 계좌를 관리하고, 상기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 계좌에서 디파이 서비스 전용계좌인 제2 계좌로 이체시키는 사용자 계좌 관리부, 상기 제2 계좌에 이체된 금액을 서비스제공자 계좌로 이체시키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계좌로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를 전송하는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 상기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 가상화폐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전자지갑부, 및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부로부터 상기 제1 가상화폐를 제공받아 예치(deposit)하고, 상기 제1 가상화폐를 기반으로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파이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파이 서비스는 대출 서비스, 예적금 서비스 및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대출 서비스는 상기 제1 가상화폐를 담보로 스테이블 가상화폐인 제2 가상화폐를 대출금으로 제공받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이자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예적금 서비스는 제3 가상화폐로 디파이 프로토콜에 유동성을 제공하고 대가로 이자를 취득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는 유동성 풀을 제공하여 자동화된 유동성 공급프로토콜(Automated liquidity protocol)을 통해 제4 가상화폐와 제5 가상화폐 사이의 스왑 서비스를 자동화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계좌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금액 한도 내에서 상기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 계좌에서 상기 제2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부는 상기 제1 가상화폐가 입금되는 경우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1 가상화폐 전부를 상기 디파이 플랫폼 서버로 예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월 단위로 사용하는 신용카드 결제액을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 재무상태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대 사회에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신용카드를 통해 그 사용액만큼 디파이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상화폐를 자동 지급하며, 지급된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디파이 서비스 내의 재테크 방법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재테크 수단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노드들(110-170)로 이루어진 분산형 네트워크(distributed network) 시스템이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노드들(110-170)은 컴퓨터, 이동 단말기, 전용 전자 장치 등 연산 능력이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형 네트워크(100)는 블록체인이라 불리는 블록(block)의 연결 묶음 내에 모든 참여 노드에 공통으로 알려진 정보를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노드들(110-170)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저장, 관리 및 전파를 담당하는 완전 노드(full node)와 단순하게 트랜잭션에만 참여할 수 있는 간이 노드(light node)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다른 설명 없이 노드에 대하여 언급되는 경우, 이는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완전 노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각 블록들은 일정 기간 내의 거래 내역, 즉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들은 각각 역할에 따라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함으로써 트랜잭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암호화폐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금융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물건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실물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정보의 기록, 저장 및 이송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공유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100)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들은 각각의 암호학적 연관관계가 있는 개인키(private key) 및 공개키(public key) 쌍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200)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210, 220, 230)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다. 상기 블록체인(200)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200)에 연결한다. 도 3에는 제한된 수의 블록들(210, 220, 230)이 도시되어 있으나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블록체인(200)에 포함된 각 블록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헤더(211)는 각 블록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전 블록(220)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200)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연결 관계가 사용된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상기 블록(210)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트랜잭션 리스트 또는 트랜잭션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 헤더(211)는 이전 블록의 해시(2112), 현재 블록의 해시(2113), 넌스(Nonce)(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헤더(211)는 블록 내의 트랜잭션 리스트의 헤더를 나타내는 루트(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200)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해시 값에 기초하여 연결된다. 상기 블록 헤더(211)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2112)은 직전 블록(220)에 대한 해시 값으로서 직전 블록(220)에 포함된 현재 해시(2213)와 동일한 값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각 블록 헤더 내의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의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기반하여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므로 악의적인 단일 노드가 이미 생성된 블록의 내용을 위조 또는 변조하는 행위가 불가능하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트랜잭션 리스트(2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의 목록이다. 예를 들면,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금융 거래에 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트리(tree)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전송한 금액을 목록 형태로 기록하며, 블록 내의 저장 길이는 현재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수에 기초하여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210)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에 포함된 정보 이외의 기타 정보(211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동일한 블록체인을 가지며, 블록에는 동일한 트랜잭션이 저장된다. 트랜잭션 목록이 포함된 블록이 네트워크에 공유되므로 모든 참여자가 검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디파이(DeFi; Decentralized Finance) 서비스란 블록체인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디파이 서비스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가상자산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300)은 신용카드 결제서버(400), 계좌관리 서버(500), 사용자 전자지갑부(600),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요소로 기재되어 있으나, 물리적으로 단일 서버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즉, 단일의 서버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서버(400)와 계좌관리 서버(500)의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현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 결제서버(400)는 예를 들어, 신용카드사의 운영서버로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CT)(즉, 신용카드 가맹점의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정보(CI)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을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따라 확정된 금액은 특정기간(예들 들어, 한 달)이 경과된 후에 사용자의 계좌에서 신용카드 결제서버(400)로 이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하여 실제 결제가 이루어지는 특정기간(예를 들어, 한 달 후) 동안에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 만큼의 금액을 이체받아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며, 특정기간(즉, 신용카드 사용 후 결제가 실제 발생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응하는 금액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화폐를 지급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계좌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계좌 관리부(510)와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계좌 관리부(510)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제1 계좌(AC1)의 내역 및 이체 등 거래를 관리하며, 신용카드 결제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응하는 금액을 제1 계좌(AC1)에서 사용자의 디파이 서비스 전용계좌인 제2 계좌(AC2)로 이체시키도록 동작한다.
즉, 사용자는 출금가능한 현금을 보유한 금융계좌를 사용자 계좌 관리부(510)에 제1 계좌(AC1)로 등록하며, 사용자 계좌 관리부(510)는 제1 계좌(AC1)의 내역을 관리하고, 제1 계좌(AC1)에서 사용자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응하는 금액을 디파이 서비스 전용계좌인 제2 계좌(AC2)로 이체시킬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는 사용자의 제1 계좌(AC1)로부터 제2 계좌(AC2)로 이체된 금액을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시키고,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CC1)를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의 제1 계좌(AC1)에서 제2 계좌(AC2)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응하는 금액만큼 이체된 후 특정기간(즉, 신용카드 사용 후 결제가 실제 발생하기 전까지의 기간)이 도과하면,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는 서비스제공자 계좌(ACS)에서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응하는 금액을 다시 사용자의 제2 계좌(AC2)로 이체하고, 상기 제2 계좌(AC2)로 이체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CC1)를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다시 회수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시스템 내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회수하는 제1 가상화폐(CC1)의 개수는 제1 가상화폐(CC1)의 가치의 변동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신용카드 사용 후 결제가 실제 발생하기 전까지의 기간동안에 현금을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하여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 제1 가상화폐(CC1)를 전송받고, 이를 이용하여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그에 따른 대가를 취득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특정기간동안 제1 가상화폐(CC1)를 보유하고 있는 동안에 제1 가상화폐(CC1)의 가치의 변동성에 의해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내용에 따라 디파이 서비스 이용에 따른 대가를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란 개인의 가상화폐를 저장 및 관리하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는 디지털화된 가치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기상에 구현한 전자 지불 시스템의 한 종류로, 영어로는 e-Wallet이나 Digital Wallet이라고 한다. 사용자는 전자지갑부(600)를 이용하여 자신의 가상화폐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이 서비스의 기초가 되는 제1 가상화폐(CC1)를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를 미리 생성하여 두며, 사용자 전자지갑부(600)에는 가상화폐별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제1 가상화폐(CC1)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가상화폐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는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에서 전송되는 제1 가상화폐(CC1)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는 계좌관리 서버(5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물리적으로 별도의 모듈이 존재할 수도 있고, 계좌관리 서버(500)에서 동작하는 기능적 요소를 표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서버(400) 또는 계좌관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LAN, MAN, GSM, EDGE, HSDPA, W-CDMA, CDMA, TDMA,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LTE), Mobile WiMAX(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C), Flash-OFDM, iBurst and MBWA(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는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제1 가상화폐(CC1)를 제공받아 예치(deposit)하고, 제1 가상화폐(CC1)를 기반으로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디파이 서비스는, 대출 서비스, 예적금 서비스 및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를 포함하며, (1) 상기 대출 서비스는 제1 가상화폐(CC1)를 담보로 스테이블 가상화폐인 제2 가상화폐(CC2)를 대출금으로 제공받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이자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이고, (2) 상기 예적금 서비스는 제3 가상화폐(CC3)로 디파이 프로토콜에 유동성을 제공하고 대가로 이자를 취득하는 서비스이고, (3) 상기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는 유동성 풀을 제공하여 자동화된 유동성 공급프로토콜(Automated liquidity protocol)을 통해 제4 가상화폐(CC4)와 제5 가상화폐(CC5) 사이의 스왑 서비스를 자동화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에서 제공하는 대출 서비스는, 사용자가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제1 가상화폐(CC1)(예를 들어, 이더리움)를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면,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는 제1 가상화폐(CC1)를 담보로 보유하면서, 스테이블 가상화폐인 제2 가상화폐(CC2)를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 대출금으로서 전송한다. 사용자는 제2 가상화폐(CC2)를 필요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가로서 제2 가상화폐(CC2) 또는 제3의 다른 가상화폐를 대출이자로서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로 지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에서 담보로 제공받은 제1 가상화폐(CC1)는 대출된 제2 가상화폐(CC2)가 상환될 때까지 에스크로(escrow) 계좌를 통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담보물은 대출액의 1.5배 이상을 유지하며, 만약 담보물의 가치가 급락해 대출금의 1.5배가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해당 담보물은 강제로 판매될 수 있으며, 반대로 담보가치가 증가하면 추가적으로 제2 가상화폐(CC2)를 대출금으로 더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는 대출 서비스에 따른 담보물인 제1 가상화폐(CC1) 및 대출금인 제2 가상화폐(CC2)의 전송, 그리고 대출이자의 지급 등 모든 과정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미리 공개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투명하게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다. 대출이자는 자산의 공급과 수요에 기초해 알고리즘으로 파생된 이자율로 이자가 결정된다. 자산 공급자는 거래 상대방과 만기일, 이자율 또는 담보와 같은 조건을 협상할 필요 없이 유동금리를 획득하면서 프로토콜과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에서 제공하는 예적금 서비스는, 사용자가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제3 가상화폐(CC3)를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의 전자지갑으로 스테이킹(staking)하면, 금융시장의 예적금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는 제3 가상화폐(CC3) 또는 다른 가상화폐를 이자로서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 지급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가 제3 가상화폐(CC3)를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의 전자지갑으로 스테이킹(staking)한 대가로서 지급받는 이자는 미리 공개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에서 제공하는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 DEX) 서비스는, P2P 방식으로 운영되면서 토큰 또는 가상화폐의 교환 및 거래 기능을 제공한다.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는 사용자(고객)의 자금을 보유하기 위해 제3의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끼리 직접 거래가 이루어 진다. 특히,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개인 간 P2P 대출 등의 금융서비스도 제공 가능하다.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가상화폐 또는 토큰에 관해 매수/매도를 하고 싶을 때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에서 바로 스왑(swap)하면 거래가 발생한다. 해당 가격에 거래하려는 거래 상대방을 찾는 과정이 필요 없고, 거래량이 적어 주문하기 어려운 가상화폐 또는 토큰도 바꿀 수 있다. 이러한 가상화폐 또는 토큰은 유동성 풀(pool)에서 제공되는데, 유동성 풀이란 유동성 공급자들이 자신의 가상화폐 또는 토큰을 공급하면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유동성 공급자들은 거래 수수료를 보상으로 받게 되고, 다른 사용자들은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를 이용하여 쉽게 거래가 가능해진다. 가상화폐 또는 토큰의 가격은 유동성 풀에 존재하는 가상화폐 또는 토큰의 수량에 비례해서 시장원리에 따라 결정된다.
사용자는 상술한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그에 따른 대가를 취득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디파이 서비스의 형태는 현물자산 금융서비스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디파이 서비스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의 금융서비스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301)은 신용카드 결제서버(400), 계좌관리 서버(500), 사용자 전자지갑부(600),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파이 시스템(301)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디파이 시스템(3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구성요소의 동작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파이 시스템(301)의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계좌(AC1)에서 제2 계좌(AC2)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_1st)에 대응하는 금액만큼 이체된 후 특정기간(즉, 신용카드 사용 후 결제가 실제 발생하기 전까지의 기간)이 도과하면,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는 서비스제공자 계좌(ACS)에서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_1st)에 대응하는 금액을 다시 사용자의 제2 계좌(AC2)로 이체한다(여기에서,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제1 가상화폐(CC1)를 회수할 필요가 있으나, 회수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며 아래에서 동작을 설명함).
그리고, 사용자 계좌 관리부(510)는 다시 신용카드 결제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_2nd)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신용카드 사용액(CD_2nd)에 대응하는 금액을 제1 계좌(AC1)에서 사용자의 디파이 서비스 전용계좌인 제2 계좌(AC2)로 이체시키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는 사용자의 제1 계좌(AC1)로부터 제2 계좌(AC2)로 이체된 금액을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시킨다. 이어서,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CC1)를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회수해야할 제1 가상화폐(CC1)의 개수와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 전송해야할 제1 가상화폐(CC1)의 개수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차이만큼 제1 가상화폐(CC1)를 회수 또는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시스템 내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302)은 신용카드 결제서버(400), 계좌관리 서버(500), 사용자 전자지갑부(600), 디파이 플랫폼 서버(7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파이 시스템(302)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디파이 시스템(3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구성요소의 동작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파이 시스템(302)의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는 매달 일정한 금액 이상의 신용카드 사용을 약정하고, 사용자 계좌 관리부(510)는 신용카드 사용에 따른 결제예정 금액만큼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제1 계좌(AC1)에서 제2 계좌(AC2)로 이체한다.
그리고,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는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결제확정 금액정보를 실시간으로 신용카드 결제서버(400)로부터 제공받으며, 해당 금액에 따라 사용자의 제2 계좌(AC2)로부터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시키고,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CC1)를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의 제2 계좌(AC2)에서 서비스제공자 계좌(ACS)로 이체된 후 특정기간(즉, 신용카드 사용 후 결제가 실제 발생하기 전까지의 기간)이 도과하면,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520)는 서비스제공자 계좌(ACS)에서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액(CD)에 대응하는 금액을 다시 사용자의 제2 계좌(AC2)로 이체하고, 상기 제2 계좌(AC2)로 이체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CC1)를 사용자 전자지갑부(600)로부터 다시 회수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시스템 내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파이 시스템(300, 301, 302)의 동작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1000)는 프로세서(1100)와 메모리(120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및 그래픽 처리부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디파이 시스템의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식별인증 및 개인키 생성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발생시켜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프로세서(1100)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롬(ROM: Read-Only Memor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0)에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의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산형 네트워크
110~170: 노드들
200: 블록체인
210, 220, 230: 블록
300: 디파이 시스템
400: 신용카드 결제서버
500: 계좌관리 서버
510: 사용자 계좌 관리부
520: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
600: 사용자 전자지갑부
700: 디파이 플랫폼 서버

Claims (3)

  1.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정보를 제공받아 신용카드 사용액을 확정하는 신용카드 결제서버;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제1 계좌를 관리하고, 상기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 계좌에서 디파이 서비스 전용계좌인 제2 계좌로 이체시키는 사용자 계좌 관리부;
    상기 제2 계좌에 이체된 금액을 서비스제공자 계좌로 이체시키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계좌로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가치를 갖는 개수의 제1 가상화폐를 전송하는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
    상기 서비스제공자 계좌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 가상화폐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전자지갑부; 및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부로부터 상기 제1 가상화폐를 제공받아 예치(deposit)하고, 상기 제1 가상화폐를 기반으로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파이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파이 서비스는 대출 서비스, 예적금 서비스 및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대출 서비스는 상기 제1 가상화폐를 담보로 스테이블 가상화폐인 제2 가상화폐를 대출금으로 제공받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이자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예적금 서비스는 제3 가상화폐로 디파이 프로토콜에 유동성을 제공하고 대가로 이자를 취득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탈중앙화 거래소 서비스는 유동성 풀을 제공하여 자동화된 유동성 공급프로토콜(Automated liquidity protocol)을 통해 제4 가상화폐와 제5 가상화폐 사이의 스왑 서비스를 자동화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인,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금액 한도 내에서 상기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 계좌에서 상기 제2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시키는,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부는 상기 제1 가상화폐가 입금되는 경우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1 가상화폐 전부를 상기 디파이 플랫폼 서버로 예치하는,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KR1020210097422A 2021-07-23 2021-07-23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KR20230015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422A KR20230015809A (ko) 2021-07-23 2021-07-23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422A KR20230015809A (ko) 2021-07-23 2021-07-23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809A true KR20230015809A (ko) 2023-01-31

Family

ID=8510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422A KR20230015809A (ko) 2021-07-23 2021-07-23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58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23B1 (ko)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23B1 (ko)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0844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rustless asset portfolios
US11908011B2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CN108885761B (zh) 用于区块链上的安全点对点通信的方法
US2022012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JP2020528631A (ja) スマート契約書ベースのクレジットネットワーク
KR101936759B1 (ko)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및 방법
CN11138311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2111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rgin lending and trading on a decentralized exchange
KR20210041456A (ko)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Scharfman et al. Decentralized finance (DeFi) compliance and operations
KR20200078922A (ko)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38927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KR20230015809A (ko) 신용카드 사용에 기초한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 시스템
US20230342773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of managing digital assets, including digital asset deposits, digital asset term deposits, digital asset withdrawals, and early withdrawals of digital asset term deposits
Kalish et al. A Comparative Review of Cryptoasset Products
KR102111711B1 (ko) 블록체인 및 에스크로 기반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93484A (ko) 이종 가상 화폐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Mvula et al. A blockchain based mobile money interoperability scheme
KR102667257B1 (ko) 스마트 계약 기반 크레딧 네트워크
CN114298841A (zh) 基于区块链投融资撮合交易技术方案
KR20230052581A (ko) 탈중앙 거래소에 상장된 토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WO20221471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KR20200006237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방법
KR20200006320A (ko) 기록매체
KR20200006317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