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202A -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202A
KR20230015202A KR1020210096661A KR20210096661A KR20230015202A KR 20230015202 A KR20230015202 A KR 20230015202A KR 1020210096661 A KR1020210096661 A KR 1020210096661A KR 20210096661 A KR20210096661 A KR 20210096661A KR 20230015202 A KR20230015202 A KR 20230015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pdate
vehicle
auxiliary battery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202A/ko
Priority to US17/706,136 priority patent/US20230022655A1/en
Priority to CN202210441435.4A priority patent/CN115693827A/zh
Publication of KR2023001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4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ed to technical updates when adding new parts or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이중 전원이 적용된 차량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에 대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획득하는 통신부; 보조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획득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updat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전원 전력 상태에 따른 업데이트 진입을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에 따라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을 통해(OTA: over the air) 차량에 장착된 제어기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기의 업데이트는 주행 중에 수행될 수 없으므로,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전력이 요구되고, 전력은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충분한 배터리 잔량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단일 전원의 차량에서는 하나의 배터리만 구비하므로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을 고려하여 무선 업데이트 진입 여부를 판단하였다. 최근 이중 전원 차량이 증가하면서 이중 전원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진입을 판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중 전원을 구비한 차량의 제어기 업데이트 시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이중 전원이 적용된 차량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에 대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획득하는 통신부; 보조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획득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초과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을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거나,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두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 충전량과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 충전량에서 상기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미리 정한 메인 배터리의 SOC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위한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의 사용 영역을 가변하여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제 1 배터리; 제 2 배터리; 및 상기 제 1 배터리 및 상기 제 2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 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배터리는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및 상기 제 2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로 제공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배터리의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배터리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제 2 배터리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제 2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 2 배터리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초과인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배터리의 충전량을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거나, 상기 제 1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제 2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총 충전량과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총 충전량에서 상기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미리 정한 제 1 배터리의 SOC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에 대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획득하는 단계; 보조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획득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초과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을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두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충전량과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이중 전원을 구비한 차량의 제어기 업데이트 시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상황에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고, 메인 배터리의 사용 가능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10)과 서버(20)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내 제어기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20)는 차량 내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등을 차량 시스템(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 배터리 관리 장치(200), 메인 배터리(300, 제 1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400, 제 2 배터리),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전원을 분배하는 중앙전원제어 장치(ICU, Integrated Central control Unit) 및 CCU(Communication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500)의 필요 여부를 확인하며, 업데이트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완료 시 운전자로부터 업데이트 승인 여부를 받아 이그니션 오프(IG Off) 후 업데이트 명령을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획득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보조 배터리의 상태는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배터리의 상태는 메인 배터리의 SO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차량 내 장치들과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기술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을 통해 차량 외부의 서버, 인프라, 타 차량 등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통신부(110)는 서버(20)와 차량 내 제어기들의 업데이트를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그니션 온 상태에서 서버(20)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프로세서(13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부(120)는 메인 배터리(300) 및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보조 배터리(400)의 온도, 전압, SOC, 통신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다른 하위 제어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보조 배터리(400)와 메인 배터리(300)의 상태를 판단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로부터 획득된 소프트웨어를 이용 하여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보조 배터리(400)의 통신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보조 배터리(400)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보조 배터리(400)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보조 배터리(400)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초과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30)는 보조 배터리(400)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고, 보조 배터리(400)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보조 배터리(400)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보조 배터리(400)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초과인 경우,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가 상술한 조건(온도, 전압, 통신 상태, SOC)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메인 배터리(300)의 충전량을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한다.
반면 프로세서(130)는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가 상술한 조건(온도, 전압, 통신 상태, SOC) 모두를 만족하는 경우 메인 배터리(300)의 충전량 및 보조 배터리(400)의 충전량을 모두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30)는 산출된 총 충전량과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비교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총 충전량에서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미리 정한 메인 배터리의 SOC 기준치보다 크면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총 충전량에서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미리 정한 메인 배터리의 SOC 기준치 이하이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배터리 상태를 재 판단한다.
배터리 관리 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200)는 메인 배터리(300) 및 보조 배터리(400)의 전반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결과는,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 정보, 보조 배터리(400)의 온도, 보조 배터리(400)의 전압, 보조 배터리(400)의 SOC, 메인 배터리(300)의 충전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이 내연 기관인 경우, 배터리 관리 장치(200) 대신에 배터리 센서(미도시)를 통해 메인 배터리(300) 및 보조 배터리(400)의 전반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 센서(미도시)로부터 메인 배터리(300) 및 보조 배터리(400)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메인 배터리(300)는 고전압 배터리로서 차량이 전기 차량인 경우 차량의 모터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 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400)는 차량에 탑재된 전장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저전압 배터리로 메인 배터리(30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배터리(400)는 충전수입성이 높고 정착성을 고려하여 부피의 한을 받으므로 리튬배터리(NCM 계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리튬 배터리는 온도에 따라 충방전 전류 수입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온도 조건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리튬 배터리는 과충전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압이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이중 전원 구조의 차량 시스템은 메인 배터리(300)의 시동성 확보를 위해 주차 중 보조 배터리(400)를 통해 차량 내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500)는 네비게이션, AVN(Audio, Video, Navigation) 또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500)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서버(20)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업데이터 대상 제어기(500)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전원 차량에서 보조 배터리(300)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를 판단하고,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에 따라 OTA 업데이트 진입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공급 상태에서 OTA 업데이트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400) 상태에 따라 OTA 업데이트 시 활용 가능한 에너지 범위를 연산함으로써, 단일 전원에 비해 OTA 업데이트 가능한 충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가 도 2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2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중 전원 차량은 보조 배터리(400)를 이용하여 주차 중 전력을 지원하고 보조 배터리(400)의 전원 상태에 따라 메인 배터리(300)의 사용 영역을 가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이그니션 온 상태에서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500)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면, 이그니션 오프 시점에서 보조 배터리(400) 의 전력 상태를 점검한다(S101). 이때, 본 발명에서는 CCU 와 ICU를 하나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로서 구현하고 있으나, CCU 가 ICU 로 전력 판단 요청을 송신하고 ICU 가 전력 판단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도 2의 동작은 ICU 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STATUS)가 정상인지, 보조 배터리(400)의 온도가 미리 정한 하한 기준치보다 크고 상한 기준치보다 낮은지, 보조 배터리(400)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인지, 보조 배터리(400)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 가능 SOC 초과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이때,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는 통신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보조 배터리(400)는 리튬배터리(NCM 계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리튬 배터리는 온도에 따라 충방전 전류 수입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400)의 온도 조건을 고려하여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400)의 과충전 방지를 위해 전압 조건을 고려하여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과정 S102의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STATUS), 보조 배터리(400)의 온도, 보조 배터리(400)의 전압, 보조 배터리(400)의 SOC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가 업데이트를 하기에 충분한 상태로 판단한다.
이에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메인 배터리 진입 기준 판단을 위해 총 충전량 X를 메인 배터리(300)와 보조 배터리(400)의 충전량을 합한 값으로 설정한다(S103).
반면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과정 S102의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STATUS), 보조 배터리(400)의 온도, 보조 배터리(400)의 전압, 보조 배터리(400)의 SOC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불만족 시,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가 업데이트를 하기에 불충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메인 배터리 진입 기준 판단을 위해 총 총전량 X를 메인 배터리(300)의 충전량으로 설정한다(S104). 즉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400)의 사용 제한을 두고 메인 배터리(300)의 충전량만 을 고려하여 업데이트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설정된 총 충전량 X에서 OTA 방전량(OTA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메인 배터리 SOC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S105). 이때 메인 배터리 SOC 가능 조건은 실험치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어 총 충전량 X에서 OTA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메인 배터리 SOC 가능 조건보다 크면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OTA 업데이트를 시작하고(S107), OTA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종료한다(S108).
반면 총 충전량 X에서 OTA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메인 배터리 SOC 가능 조건 이하이면 메인 배터리(300)의 충전량이 OTA 업데이트를 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S106), 상기 과정 S101로 돌아가서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를 재 판단하여 OTA 업데이트 여부를 재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전원이 적용된 차량의 OTA 업데이트 진행 시 메인 배터리(300) 및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에 따라 전력공급 방법을 가변 하여 원활한 OTA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400)의 상태에 따라 메인 배터리(300)의 사용 영역을 가변 하여 사용함으로써 OTA 업데이트 이후에도 시동성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이중 전원이 적용된 차량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에 대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획득하는 통신부;
    보조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획득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초과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을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거나,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 충전량과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 충전량에서 상기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미리 정한 메인 배터리의 SOC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위한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의 사용 영역을 가변하여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9. 제 1 배터리;
    제 2 배터리; 및
    상기 제 1 배터리 및 상기 제 2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업데이트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 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배터리는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및 상기 제 2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로 제공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배터리의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배터리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제 2 배터리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제 2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 2 배터리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초과인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배터리의 충전량을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거나,
    상기 제 1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제 2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총 충전량과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총 충전량에서 상기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차감한 값이 미리 정한 제 1 배터리의 SOC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7.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에 대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획득하는 단계;
    보조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획득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 온도, 전압, 및 SOC(State Of char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 온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한 최대 전압 미만이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SOC가 미리 정한 사용가능 SOC 미만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업데이트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을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두 이용하여 총 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충전량과 업데이트에 필요한 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할 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제어 방법.
KR1020210096661A 2021-07-22 2021-07-22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5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61A KR20230015202A (ko) 2021-07-22 2021-07-22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US17/706,136 US20230022655A1 (en) 2021-07-22 2022-03-28 Apparatus for providing updat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202210441435.4A CN115693827A (zh) 2021-07-22 2022-04-25 更新控制设备、具有该设备的系统及更新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61A KR20230015202A (ko) 2021-07-22 2021-07-22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202A true KR20230015202A (ko) 2023-01-31

Family

ID=8497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661A KR20230015202A (ko) 2021-07-22 2021-07-22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22655A1 (ko)
KR (1) KR20230015202A (ko)
CN (1) CN11569382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2655A1 (en) 2023-01-26
CN115693827A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019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15310B2 (en) Control apparatus, program upd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7087551B2 (ja) 制御装置
CN108734336B (zh) 基于云的连接能量预算管理器
US201102325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engine stop/restart system to be mounted on an automobile
US20210094491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0998518A (zh) 控制设备、控制方法和计算机程序
CN111301315A (zh) 车辆控制器的更新控制装置和更新控制方法以及车辆系统
CN111032439A (zh) 控制设备、控制方法和计算机程序
KR20200027778A (ko) 차량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43882A (ko)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79638A1 (en) Apparatus for updating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US20150352966A1 (en) Management of the charge of a battery
JP4638588B2 (ja) 電力分配方法
CN112748939B (zh) 一种软件更新的控制方法、装置及汽车
KR20230015202A (ko) 업데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989242B (zh) 控制装置、控制方法和计算机程序
JP6730167B2 (ja) 電力供給制御装置
CN111886774B (zh) 车载充电器的电流控制方法以及电流控制装置
US20240095013A1 (en) Control device
JP3911131B2 (ja) 車両用電源装置
CN112937374A (zh) 燃料电池汽车及其的启动控制方法、启动控制装置
JP2020156246A (ja) 車載電源装置の制御装置
WO2021186204A1 (ja)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ソフトウェアの更新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更新処理プログラム
US10877537B1 (en) Managing electrical power delivery to a peripheral device in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