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147A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147A
KR20230015147A KR1020210096540A KR20210096540A KR20230015147A KR 20230015147 A KR20230015147 A KR 20230015147A KR 1020210096540 A KR1020210096540 A KR 1020210096540A KR 20210096540 A KR20210096540 A KR 20210096540A KR 20230015147 A KR20230015147 A KR 20230015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wind direction
air
discharge po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용
한동우
채연경
송태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147A/en
Priority to US17/869,866 priority patent/US20230025653A1/en
Priority to JP2022116338A priority patent/JP2023016767A/en
Priority to CN202210867065.0A priority patent/CN115682129A/en
Priority to EP22186431.7A priority patent/EP4123228A1/en
Publication of KR2023001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1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Image Analysi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onsider the living environment of an occupant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case forming a space therein, wherein the lower side thereof is opened; a panel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and provided with an inlet and a plurality of outlets arranged around the inlet; a fan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flow from the inlet to the plurality of outlets; a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arranged on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adjusting the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outlets in a vertical direction; a camera arranged on one side of the panel, and acquiring an image of indoor space; and a control part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based on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amera. The control part divides the plurality of outlets into first area outlets facing a living area and second area outlets facing a non-living area based on accumulated data of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mera and adjusts the plurality of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s such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s an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s are different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와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로 감지되는 공간을 구획하여 구획된 영역별로 기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dividing a space detected by a camera and adjusting air flow for each divided area.

공기조화기는, 구조에 따라 실내공간의 벽면, 바닥면 또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 floor surface, or a ceiling of an indoor space depending on the structure.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장착되어, 하측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된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하고 있어, 복수의 영역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may be mounted on the ceiling and discharge heat-exchanged air downward. In additio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s that open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heat-exchanged air can be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areas.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구에 배치되는 풍향조절장치를 동일하게 제어하는 경우, 전체적인 영역으로 동일한 공기의 기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의 토출은, 전체적인 영역으로 동일한 공기기류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복수의 방향으로 동일하게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In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when air direction controllers disposed in a plurality of outlets are equally controlled, the same air flow is formed over the entire area. The discharge of the air may form the same airflow over the entire area, and the temperature may be equally chang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of the indoor space.

국내 등록특허 KR 10-2034663 B1호는 바닥의 온도를 감지하여, 바닥의 온도를 바탕으로 복수의 토출구에 배치되는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내용을 개시한다. 다만, 상기의 문헌에서의 제어는, 바닥의 온도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주로 생활하지 않거나, 생활할 수 없는 영역으로 불필요한 공기의 제어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KR 10-2034663 B1 discloses a method of controlling wind direction controllers disposed at a plurality of outlets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floor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loor. However, the control in the above document can perform contro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loo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air control may be performed in an area where the user does not live or cannot liv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실자의 생활환경을 고려하여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공기조화기의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for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space in conside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occupants.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재실자의 생활영역으로 실내공간의 희망온도로 빠르게 도달하고, 희망온도에 근접할 때에는 재실자 방향으로 공기유동을 최소화하면서 실내공간의 쾌적도를 유지하는 공기조화기와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onditioner that quickly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in the living area of the occupant and maintains the comfort level of the indoor space while minimizing the air flow toward the occupant when the desired temperature is close to the desired temperatur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내공간의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에 대한 구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classifying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of an indoor spa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토출구와 복수의 토출구에 배치되는 복수의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정보의 누적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영역을 향하는 제1영역토출구와 비생활영역을 향하는 제2영역토출구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풍향조절장치 각각을 조절하여,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기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s opening downward and a plurality of air direction control device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outlets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cumulative data of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it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outlet toward the living area and a second area outlet toward the non-living area,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and the second area outlet Each of the plurality of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s may be adjusted so that the discharged air is formed differ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air flow discharged to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may be differently formed.

또한,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로 도달할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의 상하방향 기류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외로 형성될 때에 따라 기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and the control unit may,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set temperature range, up and down air flow from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By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to change, the air flow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formed within or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범위 밖일 때, 제1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보다 상하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생활영역으로 직접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is low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side the set range. A direct airflow can be formed into the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범위 내일 때, 상기 제1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보다 상하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생활영역으로 간접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higher tha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within a set range. Indirect airflow can be formed in the living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범위 밖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방향보다 상측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실내공기의 온도에 따라 기류범위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side the set rang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rea outlet is discharged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ground, and the temperature sensor senses When the temperature is within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air flow direction control device is adjust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upward from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airflow rang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can be adjusted upwards and downward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과 제2방향의 상하방향 사이인 제3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여, 비생활영역으로는 일정한 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n a third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forming a constant air flow in the non-living area. can make it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토출구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영역토출구와 상기 제2영역토출구 각각에 배치되는 베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and changing the arrangement to adjust a wind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controller includes vanes disposed at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respectively.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air flow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living area and non-living area can be formed differently.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토출구와 상기 제2영역토출구 각각에 배치되는 상기 풍향조절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By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at each discharge port, air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may be formed differently.

상기 카메라가 영상획득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 측정되는 설정시간 이후,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누적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영역을 구분하여,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의 구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The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timer for measuring an image acquisition time, and the control unit, after a set time measured by the timer, divides the user's living area from the cumulativ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I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ying living areas.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재실자의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구분한다.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is further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distinguish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of occupants.

상기 출력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상기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구획하여, 토출구로 공기를 제어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may be partitio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faces, and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may be divided based on a region in which air is controll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카메라로 상기 복수의 토출구가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정보의 누적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생활영역을 향하는 제1영역토출구와 상기 비생활영역을 향하는 제2영역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상하방향 기류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내공간을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영역별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images of a plurality of areas where the plurality of outlets discharge air with a camera, and cumulative data of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mera. Determin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based on the above, and installing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so that the up-and-down airflow discharged from each of the first area outlet toward the living area and the second area outlet toward the non-living area is set differently. Including the adjusting step, the indoor space may be divided into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and the air flow may be controlled for each divided area.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온도센서로 실내공간의 온도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센서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와 설정온도범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가 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에 도달하는 지를 바탕으로 기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step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includes the step of grasp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with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discharge from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air flow may be adjusted in detail based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reaches a set temperature range, includ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the air flow of the air to be heated is changed.

상기 온도센서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이내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생활영역으로 간접기류를 보낼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within a set temperature range,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is adjusted to set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to be higher than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Thus, indirect airflow can be sent to the living area.

상기 온도센서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밖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보다 낮게 설정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생활영역으로 직접기류를 보낼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is adjusted to set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to be lower than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 can direct airflow into living areas.

상기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생활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토출구와 비생활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토출구로 구분하여,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토출구를 구별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divided into a first area outlet disposed in the living area and a second area discharge outlet disposed in the non-living area, and directed toward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discharge ports arranged to do so.

상기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는, 출력부에서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복수의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시간 이상으로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정보를 누적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누적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includes dividing the area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directed, and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for the set time or longer. Accumulating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based on the accumulated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하여, 생활영역으로 배치되는 제1영역토출구의 기류를 상하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The step of adjusting the air direction control device may include maintaining a constant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and forming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higher or lower than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The air flow of the first area outlet disposed in the living area may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베인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베인 각각의 배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시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the air discharged to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is controlled by arranging the vanes disposed in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and the vane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irflow can be shaped differently.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풍향조절팬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풍향조절팬 각각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discharge port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 are differently adjusted to discharge air into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It is possible to form the air flow of the air to be differen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실내공간에 재실자의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다르게 설정하여, 재실자의 생활영역으로 쾌적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mfort level can be increased in the occupant's living area by setting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ccupant's living area and non-living area differently in the indoor space.

둘째, 실내공간에서 재실자의 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기류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기류와 상대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생활영역에 희망온도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sired temperature in the living area can be quickly reach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occupant's living area relative to the airflow discharged to the non-living area.

또한, 실내공간이 희망온도에 근접한 경우, 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기류를 비생활영역으로 토출되는 기류와 상대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재실자게 토출공기의 직접마찰로 인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door space is close to the desired temperature, the airflow discharged to the living area is relatively high and low with the airflow discharged to the non-living area, thereby minimizing discomfort caused by direct friction of the discharged air to occupants. there is.

셋째, 인체의 누적된 위치감지를 바탕으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구분하여 생활영역 판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based on the accumulated position detection of the human bod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ccuracy of living area determination can be increased by distinguishing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area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와 풍향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1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2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3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모드에서의 풍향조절장치의 배치에 따른 기류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모드에서의 풍향조절장치의 배치에 따른 기류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와 출력부의 대응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출력부를 구획한 도면이고, (b)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와 출력부의 대응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출력부를 구획한 제2실시예의 도면이고, (b)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구획한 영상이다.
도 8b는 도 8a의 누적영상에서 인체의 누적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도 8b의 도면을 바탕으로 출력부에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구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내공간의 온도변화에 따라 토출구별 기류설정 변화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0a은 도 9의 간접기류에서의 토출구별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은 도 9의 직접기류에서의 토출구별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생활영역판정단계를 구체화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토출구별 기류제어단계를 구체화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1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2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3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1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2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3위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단면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1회전속도에 따른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2회전속도에 따른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제3회전속도에 따른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port and a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flow ran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a wind direction controller in a heating mod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flow ran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a wind direction controller in a cooling mod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nd related componen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sponding area of an air conditioner and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dividing the output unit, and (b)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it is a drawing
7B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sponding area of an air conditioner and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unit is partitioned, and (b) is a view of the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A drawing showing the layout.
8A is a partitioned image of an image output to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diagram showing an accumulation detection area of the human body in the accumulation image of FIG. 8A.
8C is a diagram in which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are divided into an output unit based on the drawing of FIG. 8B.
9 is data showing a change in air flow setting for each discharge port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in an indoor space.
FIG. 10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ir flow for each discharge port in the indirect air flow of FIG. 9 .
FIG. 10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ir flow for each discharge port in the direct air flow of FIG. 9 .
11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embodying the living area determination step of FIG. 11 .
FIG. 13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embodying the air flow control step for each outlet of FIG. 11 .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position of a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position of a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irflow according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irflow according to the second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third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C.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는 천장에 장착되는 공기조화기(100)일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ir conditioner 100 mounted on a ceiling.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하측으로 개구된 흡입구(122)와 흡입구(122) 둘레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토출구(12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suction port 122 opening downward and a discharge port 124 disposed around the suction opening 122 and opening downward.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개구된 케이스(110), 케이스(110)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22)와 토출구(124)를 형성하는 패널(120),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팬(112), 팬(112)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14),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고, 팬(112)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6), 토출구(124)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air conditioner 100 has a case 110 opened to the lower side and a space formed therein, disposed below the case 110 and forming a suction port 122 and a discharge port 124. The panel 120, the fan 112 disposed inside the case 110, the fan motor 114 for rotating the fan 112, the air disposed inside the case 110 and flowing by the fan 112 It includes a heat exchanger 116 for heat exchange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disposed at the outlet 124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flowing air.

도 1을 참조하면, 패널(120)에는, 흡입구(122)의 둘레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124a, 124b, 124c, 124d)가 형성된다. 토출구(124)는, 제1토출구(124a), 제2토출구(124b), 제3토출구(124c), 및 제4토출구(124d)를 포함한다. 제1토출구(124a), 제2토출구(124b), 제3토출구(124c), 및 제4토출구(124d) 각각은, 순차적으로 인접하고, 흡입구(122)를 기준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토출구(124a), 제2토출구(124b), 제3토출구(124c), 및 제4토출구(124d) 각각에는, 제1풍향조절장치(130a), 제2풍향조절장치(130b), 제3풍향조절장치(130c), 및 제4풍향조절장치(130d)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 ,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4a, 124b, 124c, and 124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around the suction port 122 are formed on the panel 120. The outlet 124 includes a first outlet 124a, a second outlet 124b, a third outlet 124c, and a fourth outlet 124d. Each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4a, the second discharge port 124b, the third discharge port 124c, and the fourth discharge port 124d may be sequenti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uction port 122. can In each of the first outlet 124a, the second outlet 124b, the third outlet 124c, and the fourth outlet 124d, a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a, a second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b, A third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130c and a fourth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130d are disposed.

이하에서 설명되는 하나의 토출구(124)와 그에 배치되는 풍향조절장치(130)의 구성은, 나머지 토출구와 그에 배치되는 풍향조절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공통된 식별번호를 사용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one outlet 124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disposed therei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also be applied to the other outlets and the air direction control device disposed therein, a common identification number is used.

도 3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2개의 링크(160, 170)와 연결되는 제1베인(140)과, 제1베인(140)과 연결된 하나의 링크와 연결되고 일측이 패널(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베인(150)을 포함한다. 제1토출구(124), 제2토출구(124), 제3토출구(124), 및 제4토출구(124) 각각에 배치되는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서로 다른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connected to a first vane 140 connected to two links 160 and 170 and one link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40, and one side is a panel. It includes a second vane 150 rotatably connected to 120.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disposed at each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4, the second discharge port 124, the third discharge port 124, and the fourth discharge port 124 are moved to different positions. can be placed.

제1베인(140)은, 토출구(124)를 커버하거나, 토출구(124)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제2베인(150)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first vane 140 may cover the discharge port 124 or may be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124 . The first vane 140 is formed longer than the second vane 150 .

도 3를 참조하면, 제1베인(140)은, 팬(112)이 작동하지 않는 정지상태에서, 제2베인(15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1베인(140)은,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가이드하는 제1베인판(142)과, 제1베인판(142)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링크(160, 170)와 연결되는 제1링크판(144)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vane 140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vane 150 when the fan 112 is not operating. The first vane 140 protrudes up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vane plate 142 for guid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flowing ai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nks 160 and 170. It includes a first link plate 144 that is connected.

제2베인(150)은, 제2베인판(152)과, 제2베인판(152)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3링크(180)와 연결되는 제2링크판(154)과, 제2베인판(152)의 좌우방향에 배치되고 패널(120)에 연결되는 커넥터(156)를 포함한다. 제2베인판(152)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제2베인판(152)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vane 150 includes a second vane plate 152, a second link plate 154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vane plate 152 and connected to the third link 180, A connector 156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vane plate 152 and connected to the panel 120 is included. The second vane plate 152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However,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econd vane plate 152 to have a flat shape.

도 3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패널(120)과 제1베인(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60), 제1링크(160)와 이격배치되고 패널(120)과 제1베인(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7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제1링크(160)의 일단과 제2베인(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nk 160, the first link 160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nel 120 and the first vane 140, and the panel 120 ) And a second link 17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40. Referring to FIG. 3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ncludes a third link 180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160 and the second vane 150 .

제1링크(160)는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160)는, 베인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링크(160)는, 패널(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널연결부(162), 패널연결부(162)에서 제1베인(140)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가 제1베인(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바(164), 패널연결부(162)에서 제2베인(150)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가 제2베인(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바(166)를 포함한다. The first link 16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 The first link 160 may rotate while being connected to a vane motor (not shown). The first link 160 includes a panel connecting portion 162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nel 120, extending toward the first vane 140 from the panel connecting portion 162, and having an end rotated on the first vane 140. A first link bar 164 that is possibly connected, a second link bar 166 extending from the panel connection portion 162 toward the second vane 150 and having an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150 include

도 4a를 참조하면, 제1링크바(164)의 길이(164L)는, 제2링크바(166)의 길이(166L)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링크바(164)의 길이(164L)는, 제2링크(170)의 길이(170L)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링크바(164)의 길이(164L)는, 제3링크(180)의 길이(180L)보다 길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A , the length 164L of the first link bar 164 is longer than the length 166L of the second link bar 166 . The length 164L of the first link bar 164 is shorter than the length 170L of the second link 170 . The length 164L of the first link bar 164 is longer than the length 180L of the third link 180 .

제1링크(160)는, 제2링크(170)보다 흡입구(12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link 160 is disposed closer to the inlet 122 than the second link 170 .

제1베인(140)은, 제1링크(160), 제2링크(170)에 의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제1링크(160)와 제2링크(170)에 의해 배치가 변경되므로, 토출구(124)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토출구(124)로부터 하측으로 엘리베이션되고, 이후,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경사가 변경된다.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40 may be changed by the first link 160 and the second link 170 .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40 is changed by the first link 160 and the second link 170, it may be spaced downward from the outlet 124. The first vane 140 is elevated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rt 124, and then the inclina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제2베인(150)은, 제1단부(151a)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후 제3링크(180)의 배치에 따라 제1단부(151a)가 내측방향과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e second vane 150, the first end 151a moves downward, and then the first end 151a can move inward and outwar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link 180.

도 3을 참조할 때,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 각각은, 흡입구(122)에 원거리에 배치되는 단부를 제1단부(141a, 151a)로 설정하고, 흡입구(1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부를 제2단부(141b, 151b)로 설정하여, 이하의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sets the end disposed far from the intake 122 as the first end 141a, 151a, and the intake 122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will be described below by setting the end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ds 141b and 151b.

제2베인(150)은, 제1베인(140)보다 내측방향에서 패널(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흡입구(122)에 인접한 방향을 내측방향으로, 흡입구(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second vane 1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nel 120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vane 140 . Here, a direction adjacent to the inlet 122 may be set as an inward direction, and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22 may be set as an outward direction.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130)는 배치에 따라 토출구(1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A to 4C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4 according to arrangement.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토출구(124)로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은 지면에 대략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30도 이내의 제1 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각(θ1)은,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제1베인(140)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으로, 제1베인(14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may b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P1 to se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4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Referring to FIG. 4A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first vane 140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on the ground. Referring to FIG. 4A,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first vane 140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θ1 within 30 degrees with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parallel to the ground. can form Here,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is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first vane 140,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40.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is the first end of the second vane 150 ( 151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end 151a of the second vane 150 .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1경사각(θ1)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제2단부(151b)를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2경사각(θ2, 또는 ‘제2베인과 가상의 수평산 사이의 제2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경사각(θ2)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제2단부(151b)를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으로 제2베인(15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between the first vane 140 and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is the second vane 150 Smaller than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2, or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second vane and the imaginary horizontal mountain') between the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first end 151a and the second end 151b and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can be formed Here,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2 is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first end 151a and the second end 151b of the second vane 150 and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and the second vane 150 )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따라서, 토출구(124)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2베인(150)과 제1베인(140)을 순차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outlet 124 may flow through the second vane 150 and the first vane 140 sequentially. Referring to FIG. 4A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도 4b를 참조하면,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은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60도 이상의 제1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may be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P2 to send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the first vane 140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the first vane 140 forms a first inclination angle θ1 of 60 degrees or more with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parallel to the ground. can do.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P2,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is the first end of the second vane 150 ( 151a)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P2,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is the first end of the second vane 150 ( 151a) may be disposed above.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2단부(151b)보다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P2,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is the second end 151b of the second vane 150. ) is placed toward the upper side. Referring to Figure 4b,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P2),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1경사각(θ1)은, 제2베인(150)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2경사각(θ2)과 비슷하게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between the first vane 140 and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is the second vane 150 It is formed similarly to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2) between the and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도 4c를 참조하면,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보내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을 거쳐 토출되는 공기는 제1위치(P1)의 수평풍보다 하측을 향하고, 제2위치(P2)의 수직풍보다 상측을 향하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may be disposed at a third position P3 to se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4 to the ground in an inclined direction.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ane 140 and the second vane 150 is directed downward than the horizontal wind at the first position P1. , it is possible to form an inclined wind directed upward from the vertical wind at the second position P2.

도 4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은,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의 제1베인(140)과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의 제1베인(140) 사이의 경사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w제1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c,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in the third position (P3), the first vane 140,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P1) It may be disposed at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vane 140 and the first vane 140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Referring to FIG. 4C,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the first vane 140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w of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with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parallel to the ground. (θ1) can be formed.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제1위치에서의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and the first end 151a of the second vane 150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and the first end 151a of the second vane 150 are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의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and the first end 151a of the second vane 150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vane 140 and the first end 151a of the second vane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formed shorter than the distance.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indirect wind may be generated to se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it is possible to form a vertical wind that sends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it is possible to form inclined wind that send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between the indirect wind and the vertical wind.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토출구(1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풍향조절장치(1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3개의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4 may be divided into three direction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by a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130 .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하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의 사이인 중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upwar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downwar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in an intermediate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른 상하방향 기류의 범위는, 제3위치(P3)일 때, 제1위치(P1)에서의 기류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2위치(P2)에서의 기류보다 높게 형성된다.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third position (P3), the range of the up-and-down air flow is at the third position (P3), at the first position ( It is formed lower than the air flow at P1) and higher than the air flow at the second position P2.

냉방조건과 난방조건에서,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른 상하방향 기류의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In the cooling condition and the heating condition, the ranges of up and down air flow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third position (P3)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D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D1)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0도 내지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방향(D1)은, 난방조건이나 냉방조건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in the first direction D1. Here, the first direction D1 may mean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4 flows and the ground is formed within a range of 0 degrees to 30 degrees.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equally formed under a heating condition or a cooling condition.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2방향(D2)으로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in the second direction D2 .

제2방향(D2)은, 난방조건과 냉방조건에서 범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난방조건에서, 제2방향(D2)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60도 내지 9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냉방조건에서, 제2방향(D2)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45도 내지 9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econd direction D2 may have different ranges in the heating condition and the cooling condition. Referring to FIG. 5A, in the heating condition, the second direction D2 is an angle formed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flows and the ground is formed in the range of 60 to 90 degrees that can mean Referring to FIG. 5B, in the cooling cond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flows is form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angle formed in the range of 45 degrees to 90 degrees can mean becoming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3방향(D3)으로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4 may flow in the third direction D3.

제3방향(D3)은, 난방조건과 냉방조건에서 범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난방조건에서, 제3방향(D3)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30도 내지 6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냉방조건에서, 제3방향(D3)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45도 내지 6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hird direction D3 may have different ranges in the heating condition and the cooling condition. Referring to FIG. 5A, in the heating condition,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4 flows is form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angle formed in the range of 30 to 60 degrees. that can mean Referring to FIG. 5B, in the cooling condition,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4 flows is form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angle formed in the range of 45 to 60 degrees. that can mean

상기의 제1방향(D1), 제2방향(D2), 및 제3방향(D3)의 각도범위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공기조화기가 배치되는 공간이나, 공기조화기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The angle ranges of 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third direction (D3) a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pending on the spac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or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set differently.

또한, 도 5a 내지 도 5b에서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나, 이를 4개 내지 6개 영역으로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FIGS. 5A and 5B, three areas are divid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subdivide them into four to six areas.

<제어부 관련><Control section related>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패널(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실내공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510), 카메라(510)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530),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20), 및 카메라(510)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nel 120, and the camera 510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the output unit 530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510, and the indoor space 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520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and a control unit 500 tha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based on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amera 510.

도 7a의 (a)를 참조하면, 출력부(53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a의 (a)의 출력부(530)는, 도 7a의 (b)의 공기조화기에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124a, 124b, 124c, 124d)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영역(Ⅰ, Ⅱ, Ⅲ, Ⅳ, Ⅴ, Ⅵ)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7A , the output unit 53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he output unit 530 of FIG. 7A (a)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outlets 124a, 124b, 124c, and 124d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7A (b) are directed ( It can be classified into Ⅰ, Ⅱ, Ⅲ, IV, Ⅴ, Ⅵ).

도 7a의 (a)를 참조하면, 출력부(530)에 표시되는 영역을 도 7a의 (b)에 표시된 토출구(124a, 124b, 124c, 124d)를 기준으로 1영역(Ⅰ), 2영역(Ⅱ), 3영역(Ⅲ), 및 4영역(Ⅳ)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530)의 화면표시에 따라 2영역(Ⅱ)와 4영역(Ⅳ) 부분의 외측으로 추가적인 5영역(Ⅴ)과 6영역(Ⅵ)을 구분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7A, the area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530 is divided into area 1 (I) and area 2 ( Ⅱ), 3 regions (III), and 4 regions (IV).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reen display of the output unit 530, an additional 5 area (V) and 6 area (VI) can be divided outside the 2 area (II) and 4 area (IV) parts.

도 7b의 (a)를 참조하면, 출력부(530)에 표시되는 영역을 도 7a의 (b)에 표시된 토출구(124a, 124b, 124c, 124d)를 기준으로 1영역(Ⅰ), 2영역(Ⅱ), 3영역(Ⅲ), 및 4영역(Ⅳ)으로 구분하고, 2영역(Ⅱ)와 4영역(Ⅳ) 부분의 외측으로 추가적인 5영역(Ⅴ)과 6영역(Ⅵ)과 1영역(Ⅰ), 3영역(Ⅲ) 부분의 외측으로 추가적인 7영역(Ⅶ)과 8영역(Ⅷ)으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a) of FIG. 7B, the area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530 is divided into area 1 (I) and area 2 ( Ⅱ), 3 regions (Ⅲ), and 4 regions (IV), and additional 5 regions (V), 6 regions (VI) and 1 region outside the 2 regions (II) and 4 regions (IV)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into additional 7 regions (VII) and 8 regions (VIII) outside of the Ⅰ) and 3 region (Ⅲ) parts.

제어부(500)는, 카메라(510)로 획득한 영상을 바탕으로 재실자의 생활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카메라(510)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캡쳐하고, 획득한 영상을 바탕으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누적되는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인체의 위치정보를 누적하여, 인체의 위치정보가 누적되는 영역을 생활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determine the living area of the occupant based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510 . The controller 500 may captur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10 and detect a human body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 addition, by accumulating human body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accumulated imag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rea where the human body position information is accumulated as a living area.

카메라(510)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pixel)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amera 51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not shown) that converts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sens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hotodiod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an image. The image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charged coupled device (CCD) sensor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공기조화기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렌즈, 이미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구성 및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는, 제어부(500)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거나, 제어부(50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된 후 저장부(540)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a subject pass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configure and process an image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an image sensor, and the like.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may be composed of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unit 500 or a separate processor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unit 500.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is configured as a separate processor, the image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40 as it is or after being additionally processed by the controller 500 .

제어부(500)는,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이미지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이미지에 대한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 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메트릭스(color matrix), 색 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process an image obtained through an image sensor.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remove noise from an image, perform gamma correction,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color matrix, and color correction for an image. ), and signal processing such as color enhancement.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등의 방법을 통해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Adaboost 등의 알고리즘을 통해 객체의 경계를 결정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detect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using at least one method.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extract feature points included in the image through a method such as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OG), and include the feature points in the image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object can be det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00 may detect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by determining the boundary of the object through an algorithm such as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or Adaboost.

제어부(500)는, 복수의 이미지를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징적인 일부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를 연산하는 희소 광학 흐름(sparse optical flow)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detect motion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images based on a result of processing the plurality of images.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calculate a motion vector for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an object detected in an image using a dense optical flow method, and calculate the motion vector. The motion of the object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motion vector.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a dense optical flow method is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parse optical flow method for calculating motion vectors for some characteristic pixels is used. It could be.

제어부(50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객체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객체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에 따라,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활동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object detected in the image.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activity of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according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sum of magnitudes of motion vectors of pixels constituting the object by the number of pixels constituting the object. there i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카메라(510)부터 획득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540)와, 카메라(510)의 영상획득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55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카메라(51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540 for storing an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510 and a timer 550 for measuring an image acquisition time of the camera 510 . The storage unit 540 may sequentially store images obtained from the camera 510 .

제어부(500)는, 타이머(550)로 측정되는 설정시간 이후,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누적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영역을 구분하여,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의 구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After the set time measured by the timer 550, the controller 500 distinguishes the living area of the user from the cumulativ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classify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카메라(510)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1영역(Ⅰ), 4영역(Ⅳ), 및 6영역(Ⅵ)을 생활영역으로 판단하고, 2영역(Ⅱ), 3영역(Ⅲ), 및 5영역(Ⅴ)을 비생활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1영역(Ⅰ), 4영역(Ⅳ), 및 6영역(Ⅵ)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토출구(124a, 124d)를 제1영역토출구(124-1)로 설정하고, 2영역(Ⅱ), 3영역(Ⅲ), 및 5영역(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토출구(124b, 124c)를 제2영역토출구(124-2)로 설정할 수 있다. 8A to 8C , based on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510, area 1 (I), area 4 (IV), and area 6 (VI) are determined as living areas, and area 2 ( II), 3 areas (III), and 5 areas (V) can be judged as non-living areas. At this time, the outlets 124a and 124d disposed to face the 1 area (I), 4 area (IV), and 6 area (VI) are set as the first area outlet 124-1, and the 2 area (II) , the discharge ports 124b and 124c disposed toward the third region (III) and the fifth region (V) may be set as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s 124-2.

구체적으로는, 도 8a와 같이 출력부(530)로 나타나는 화면을 토출구가 배치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도 8a에 표시된 이미지는 패널(120)의 일측에 배치된 카메라(510)를 통해 천장에서 촬영된 이미지이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A , the screen displayed by the output unit 5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area where the discharge port is disposed. The image shown in FIG. 8A is an image captured from the ceiling through a camera 51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nel 120 .

도 8b와 같이누적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인체가 감지된 영역을 추출한다. 도 8b에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 8c와 같이 출력부(530)에 구분된 영역을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구분한다. As shown in FIG. 8B, an area where the human body is detected is extracted based on the accumula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extracted in FIG. 8B, the area divided into the output unit 530 as shown in FIG. 8C is divided into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제어부(500)는, 카메라(510)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로부터 재실자의 위치 인식 결과를 포함하는 인체감지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인체감지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체감지 데이터를 누적하면서 카운팅(counting)하다가, 일정수 이상의 데이터가 누적되었다면, 히스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receive human body sensing data including a result of recognizing a location of a occupant from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510 and accumulate the received human body sensing data. The controller 500 may generate a histogram when a certain number of data or more is accumulated while accumulating and counting human body sensing data.

제어부(500)는,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머신러닝 기반으로 생활 영역과 비생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머신러닝은 SVM(Support Vector Machine), Adaboost와 같은 기법을 이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0 may use the generated histogram as input data to distinguish a living area from a non-living area based on machine learning. The machine learning may use techniques such as SVM (Support Vector Machine) and Adaboost, and more preferably, deep learning techniques.

제어부(500)는, 머신러닝으로 기학습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포함하고, 복수의 영역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상기 인공신경망의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생활 영역과 미생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pre-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generates a histogram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uses the generated histogram as input data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determine the living area and beauty area. areas of life can be distinguished.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복수의 구분 결과를 취합하여 취합된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실내 공간의 복수의 영역을 생활 영역과 비생활 영역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생활 영역 구분 결과가 일정 수 이상 누적되었을 때, 최종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생활영역 인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인체감지 오류로 인해 발생한 미생활 영역의 일시적인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collect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results while repeatedly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and finally classify a plurality of areas of the indoor space into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based on the collected results. there is. That is, by deriving the final result when the living area classification results are accumulated over a certain number, reliability of the living area recognition result can be secured and temporary errors in the non-living area caused by human body detection errors can be removed.

제어부(500)는, 생활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토출구(124-1)에 배치되는 제1영역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비생활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토출구(124-2)에 배치되는 제2영역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first area air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disposed in the first area outlet 124-1 disposed in the living area. 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second area air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disposed at the second area outlet 124-2 disposed in the non-living area.

제어부(500)는, 비생활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토출구(124-2)의 토출방향을 일정하게 형성하도록 제2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생활열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토출구(124-1)의 토출방향이 제2영역토출구(124-2)의 토출방향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하도록 제1영역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0 may adjust the second air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cond area outlet 124-2 disposed in the non-living area is uniform. The control unit 500 configures the first area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130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irst area outlet 124-1 disposed in the living area is higher or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area outlet 124-2. ) can be adjusted.

제어부(500)는, 온도센서(520)로 감지되는 실내공간의 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를 바탕으로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20 and a desired temperature set by the user.

제어부(500)는, 온도센서(520)로 감지되는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인지 또는 밖인지 여부로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20 is within or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설정온도범위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에 보정온도를 고려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희망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보정온도는, 사용환경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The set temperature range may be set to a value considering a correction temperature in a desired temperature set by the user. The desired temperature can be set by the user. The correction temperatur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the like.

즉, 설정온도범위는, 희망온도 ± 보정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보정온도를 2도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희망온도보다 2도 높은 영역에서부터 설정온도범위로 파악할 수 있다. That is, the set temperature range may be set to a desired temperature ± a correction temperature. Referring to FIG. 9 , when the corrected temperature is set to 2 degrees, the control unit 500 may determine a set temperature range from a region 2 degrees higher than the desired temperature.

제어부(500)는,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3방향(D3)으로 유동하도록 제2영역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실내공간의 온도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냉방조건이나 난방조건에 따라 상하방향의 기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second are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flows in the third direction D3. 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gion outlet 124-2 may be uniformly formed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Howev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 124-2 may have different air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cooling condition or the heating condition.

제어부(500)는,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D1) 또는 제3방향(D3)으로 유동하도록 제1영역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온도센서(520)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밖일 때,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3방향(D3)보다 낮은 방향인 제2방향(D2)으로 유동하도록 제1영역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온도센서(520)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일 때,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3방향(D3)보다 높은 방향인 제1방향(D1)으로 유동하도록 제1영역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first are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D1 or the third direction D3. Referring to FIG. 10A ,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20 is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flows in the second direction (lower than the third direction D3) ( The first are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may be adjusted so as to flow in D2). Referring to FIG. 10B ,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20 is within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region discharge port 124-1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higher than the third direction D3) ( The first are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may be adjusted so as to flow in D1).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

공기조화기가 작동되고, 카메라(510)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를 거친다. 카메라(510)는, 패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의 천장에서 하측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and the camera 510 goes through a step of acquiring image information (S100). The camera 5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nel 120 and can take pictures of the lower space from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이후, 제어부(500)는, 카메라(510)로 획득한 영상정보의 누적데이터를 바탕으로 카메라(510)로 촬열하는 공간에 대해 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S200)를 거친다. 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S200)는, 인체의 누적 감지가 많은 부분을 생활영역으로 구분하고, 나머지영역을 비생활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S200)는, 복수의 토출구(124a, 124b, 124c, 124d)를 생활영역을 향하는 제1영역토출구(124-1)와 비생활영역을 향하는 제2영역토출구(124-2)로 구분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a living area for a space photographed by the camera 510 based on accumulated data of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mera 510 (S200).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S200), a part of the human body with a large number of cumulative detections may be classified as a living area, and the remaining areas may be classified as a non-living area.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S200),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4a, 124b, 124c, and 124d are set to a first area discharge port 124-1 directed to the living area and a second area outlet 124-1 directed to the non-living area. 2) can be distinguished.

도 12를 참조하면,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S200)는, 카메라(510)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대해 인체를 감지하는 단계(S210)와, 인체의 위치정보를 누적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S200)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the human body in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510 (S210), and the step of accumula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S200). S220) may be included.

제어부(500)는, 카메라(510)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캡쳐하고, 획득한 영상을 바탕으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누적되는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인체의 위치정보를 누적하여, 인체의 위치정보가 누적되는 영역을 생활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captur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10 and detect a human body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 addition, by accumulating human body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accumulated imag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rea where the human body position information is accumulated as a living area.

제어부(500)는, 출력부(530)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을 바탕으로 인체정보가 누적된 영역을 생활영역으로 판정하고, 나머지 영역을 비생활영역으로 판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determine an area in which human body information is accumulated as a living area and determine the remaining areas as a non-living area based on a plurality of areas partitioned by the output unit 530 .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S200)는, 카메라(510)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이 설정시간이 도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510)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이 설정시간이 도과될 때, 제어부(500)는 인체의 위치정보의 누적데이터를 통해 실내공간을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으로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일정시간 이상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체의 누적 위치정보를 파악할 때, 재실자의 실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S200)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ime for the camera 510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has elapsed a set time (S230). When the time for the camera 510 to obtain image information has elapsed, the controller 500 can divide the indoor space into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through accumulated data of human body location information. Accuracy of the actual living area and non-living area of the occupant can be increased when the cumu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is identified based on data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어부(500)는, 토출구별 기류를 제어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0 may perform a step of controlling the air flow for each outlet (S300).

제어부(500)는, 공기조화기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구 중에서, 생활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된 토출구를 제1영역토출구(124-1), 비생활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된 토출구를 제2영역토출구(124-2)로 설정할 수 있다.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control unit 500 assigns a discharge port dispo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living area to the first area outlet 124-1, and a discharge port dispo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non-living area to the second area. It can be set as the discharge port 124-2.

제어부(500)는,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와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가 상하방향으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한다.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so that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and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are set differ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풍향조절장치(130)는, 제1영역토출구(124-1)에 배치되는 제1영역풍향조절장치(130)와, 제2영역토출구(124-2)에 배치되는 제2영역풍향조절장치(130)로 구분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130 includes a first area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130 disposed at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124-1 and a second area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disposed at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124-2 ( 130) can be distinguished.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S300)는,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기류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S300),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is constantly maintained, and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is changed to the second area outlet (S300). 124-2) can be formed higher or lower than the air flow discharged.

토출구별 기류를 제어하는 단계(S300)는, 온도센서로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310)와, 온도센서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와 설정온도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controlling the air flow for each outlet (S300) includes the step of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with a temperature sensor (S310), an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t temperature range are included (S320). ) may be included.

온도센서(520)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이내일 때,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S330). 즉,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3방향(D3)으로 유동하고,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D1)으로 유동하도록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20 is within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is changed to tha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to set higher than the air flow (S330). That is,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flows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flows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may be adjusted to flow in one direction (D1).

또한, 온도센서(520)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밖일 때,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가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S340). 즉,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3방향(D3)으로 유동하고,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2방향(D2)으로 유동하도록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20 is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so that it is formed lower than the air flow of (S340). That is,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flows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flows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30 may be adjusted to flow in two directions (D2).

다만, 사용자가 간접풍을 선호바람을 설정한 경우,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D1)으로 유동하고,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2방향(D2)으로 유동하도록 풍향조절장치(130)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미도시) 등의 입력부를 통해 선호하는 바람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간접풍이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기류가 전달되지 않도록 베인이 배치되는 경우이다. However, when the user sets the indirect wind as the preferred wi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3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air flows in the second direction D2. A user may set a preferred wind through an input unit such as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Here, the indirect wind is a case where the vane is disposed so that the air flow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

사용자가 간접풍을 선호바람으로 설정하면, 생활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는 간접기류만이 설정된다. 따라서,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는 제1방향(D1)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다만,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밖일 때에는 빠른 설정온도 도달을 위해 비생활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영역토출구(124-2)는 제2방향(D2)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sets the indirect wind as the preferred wind, only the indirect air flow is set in the first area outlet 124-1 that discharges air into the living area. Accordingly, air is dischar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124-1. However,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second area outlet 124-2 for discharging air to the non-living area may discharge air in the second direction D2 to quickly reach the set temperature.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S300)는,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1영역토출구(124-1)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제2영역토출구(124-2)에서 토출되는 기류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S300),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124-2 is constantly maintained, and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124-1 is changed to the second area outlet (S300). 124-2) can be formed higher or lower than the air flow discharg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5C.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와 풍향조절장치(2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230.

따라서, 풍향조절장치(2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est of the components except for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230 may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의 풍향조절장치(230)는, 각각의 토출구(224)에 배치되는 하나의 베인(240)과, 베인(240)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베인(240)은, 베인모터의 작동으로 배치가 달라진다. The air conditioner 230 of the air conditio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one vane 240 disposed at each outlet 224 and a vane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vane 240. ). The arrangement of the vane 240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vane motor.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토출구(224)에 배치되는 베인(240)의 경사각을 달리하여, 토출구(2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베인(240)은 토출구(224)를 폐쇄하거나, 토출구(2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S. 15A to 15C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230 may chang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ne 240 disposed at the outlet 224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224. The vane 240 is disposed to close the outlet 224 or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224 .

도 15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베인(2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베인(240)이 가상의 수평선(HL)에 30도 이내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각(θ)은, 베인(240)과 가상의 수평선(HL)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베인(24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A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230 may b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P1 in which the vane 240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parallel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2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vane 240 may form an inclination angle θ within 30 degrees to the virtual horizontal line HL. The inclination angle θ is formed between the vanes 240 and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HL,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vanes 240 .

도 1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베인(240)이 지면과 평행한 수평선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가상의 수평선(HL)에 60도 이상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B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230 may be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P2 in which the vane 24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parallel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2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an inclination angle θ of 60 degrees or more may be formed with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HL.

도 15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베인(240)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가상의 수평선(HL)에 30도 이상60도 이하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C ,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230 may be disposed at a third position P3 where the vane 240 forms an ang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2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an inclination angle θ of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may be formed on the virtual horizontal line HL.

풍향조절장치(2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2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it is possible to form indirect wind that sends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2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 vertical wind may be generated to se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2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it is possible to form inclined wind that send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between the indirect wind and the vertical wind.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도, 도 5a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풍향조절장치(230)의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라, 토출구(2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방향(D1), 제2방향(D2), 제3방향(D3)으로 보낼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A and 5B,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third position P3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230,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24 may be sent in a first direction D1 , a second direction D2 , and a third direction D3 .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7C.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와 풍향조절장치의 구성 및 작동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토출구의 형태와 베인의 배치가 차이가 있다. 따라서, 토출구의 형태, 및 풍향조절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ructure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arrangement of the vanes. Therefore, the shape of the outle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may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00)는, 흡입구(322)의 외둘레로 복수의 토출구(324)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입구(332)는 사각형의 형상이고, 흡입구(332)를 형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토출구(3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332)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토출구(324)는, 원형의 흡입구(332)의 외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ir condition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324 are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322 . Here, the inlet 332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discharge port 324 may be formed spaced outward from each side forming the inlet 332 .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let 332 to have a circular shap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324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suction port 332 .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00)에 형성되는 토출구(324)는, 외측단(324b)이 내측단(324a)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토출구(324)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토출유로(33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the outlet 324 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outer end 324b is disposed above the inner end 324a. In addition, the discharge passage 335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324 has a structure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350)는, 패널(320)에 배치되고,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베인(340)과, 패널(320)에 배치되고 베인(340)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미도시)와, 베인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베인(340)과 맞물려 베인(340)의 배치를 이동시키는 베인기어(350)를 포함한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5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panel 320 and has a vane 340 protruding into the discharge port 324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disposed on the panel 320. A vane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vane 340 and a vane gear 350 rotated by the vane motor and engaged with the vane 340 to move the disposition of the vane 340 .

베인(340)은 베인기어(350)와 맞물리는 일단이 랙기어구조를 가질 수 있다. One end of the vane 340 meshed with the vane gear 350 may have a rack gear structure.

베인(340)은, 토출구(324)의 내측단(324a)에 배치된다. 베인(340)은, 토출구(324)의 내측단(324a)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베인(340)은, 베인모터의 작동으로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진다. The vane 340 is disposed at the inner end 324a of the discharge port 324 . The vane 340 is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ner end 324a of the discharge port 324 . The length of the vane 340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port 324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vane motor.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토출구(324)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330 may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4 accor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vane 340 toward the discharge port 324 .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를 달리하여, 토출구(3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7A to 17C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may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4 by vary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vane 340 toward the discharge port 324 .

도 17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최대로 돌출되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베인(340)이 돌출될 수 있는 범위의 최대치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유로(335)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베인(340)의 배치가 토출구(324)의 외측단(324b)보다 낮게 배치되므로, 토출구(324)로 토출되는 공기는 베인(340)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A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may b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P1 in which the vane 340 protrudes to the discharge port 324 to the maximum.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vane 340 may protrude to the maximum value of the protruding range. Accordingly,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3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335 may be guid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3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since the vane 340 is disposed lower than the outer end 324b of the discharge port 324,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4 It can flow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along 340.

도 17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돌출되지 않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324)로 노출되지 않게 배치된다. 따라서,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유로(335)를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구(324)를 통해 지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토출유로(335)의 형상에 따라 토출구(3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지면에 일부 경사지게 유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7B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may be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P2 in which the vane 340 does not protrude into the outlet 324.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P2, it is disposed not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port 324. Accordingly,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3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335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4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Howev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ischarge passage 335,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4 flows partially inclined to the ground.

도 17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된 상태의 베인(340)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돌출되는 제3위치(P3)로 배치된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베인(340)은, 제2위치(P2)에서 베인(340)이 토출구(324)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돌출된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의 베인(340)이 토출구(324)를 향해 돌출된 길이의 1/3 내지 2/3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C,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moved to a third position P3 protruding short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vane 340 in a state where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are place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3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the vane 340 protrudes longer than the protruded length of the vane 340 toward the outlet 324 at the second position P2.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the length of the vane 340 protruding toward the outlet 324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It may protrude to a length of 1/3 to 2/3 of the.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indirect wind may be generated to se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 vertical wind may be generated to se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3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it is possible to form inclined wind that send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between the indirect wind and the vertical wind.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도, 도 5a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풍향조절장치(330)의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라, 토출구(3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방향(D1), 제2방향(D2), 제3방향(D3)으로 보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third position P3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324 may be sent in a first direction D1 , a second direction D2 , and a third direction D3 .

<제4실시예><The fourth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19c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19C.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4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와 풍향조절장치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422)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토출구(424)가 흡입구(422) 둘레로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inlet 422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the outlet 424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inlet 422 .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430)는, 토출구(424)의 일측에 배치되는 풍향조절팬(440)을 포함한다.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흡입구(422)가 배치되는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let 424 .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422 is disposed in the area where the discharge port 424 is formed, and can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4 .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의 일측에 배치되어,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가 형성되는 환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된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let 424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24 . A plurality of wind direction control fans 440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nnular shap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424 is formed.

풍향조절팬(440)는, 토출구(424)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토출구(424)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may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424 by sucking air around the outlet 424 and changing the pressure.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may control the intake amount of air around the outlet 424 .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을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시킴으로써,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이 정지될 때, 토출구(424)로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유로(425)의 형태와 토출구(424)의 개구방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풍향조절팬(440)이 정지될 때에는, 토출구(4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may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24 by controlling or stopp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s stopped, the ai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424 is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discharge passage 425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424 . Therefore,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s stoppe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424 can be dischar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다만, 풍향조절팬(440)이 작동될 때,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풍향조절팬(440)의 영향을 받으므로,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유동할 수 있다. 이때, 풍향조절팬(4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량에 따라 토출구(4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가 빨라질 때, 풍향조절팬(4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량이 증가되어,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s operated, since som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24 is affected by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24 is directed horizontally to the ground. It can tilt and float. At this tim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424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ncreases,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ncreases, so that the air can flo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작동이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9A to 19C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may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24 by adjusting the operation or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

도 19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를 최대치로 회전하는 제1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가 제1설정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A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may rotate at a first set speed that rotat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at the maximum value.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rotates at the first set speed, it is possible to form an indirect wind that sends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도 19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를 최소치로 회전하거나 정지하는 제2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설정속도는 ‘0’을 포함하는 속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풍향조절장치(430)의 제2설정속도는, 풍향조절팬(440)이 정지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가 제2설정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B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may rot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at a minimum value or at a second set speed that stops. Here, the second set speed corresponds to a speed including '0'. Accordingly, the second set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is stoppe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rotates at the second set speed, it is possible to form a vertical wind that sends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도 19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를 제1설정속도와 제2설정속도의 사이의 범위로 회전하는 제3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가 제3설정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C ,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may rotate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440 at a third set speed that rotates in a range between the first set speed and the second set spee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rotates at the third set speed, it is possible to form inclined wind that send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between the indirect wind and the vertical wind.

풍향조절장치(430)가 최대속도인 제1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최소속도로 회전하거나 정지되는 제2회전속도로 회전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회전속도와 제2회전속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3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430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which is the maximum speed, it is possible to form an indirect wind that send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rotates at a minimum speed or rotates at a second rotational speed that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form a vertical wind that sends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rotates at the third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the range between the first rotational speed and the second rotational speed, it is possible to form inclined wind that send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between the indirect wind and the vertical wind. there is.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도, 도 5a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풍향조절장치(330)의 제1회전속도, 제2회전속도, 및 제3회전속도에 따라, 토출구(3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방향(D1), 제2방향(D2), 제3방향(D3)으로 보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324 according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second rotational speed, and the third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330. air can be sent in a first direction (D1), a second direction (D2), and a third direction (D3).

상기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도,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FIGS. 11 to 13 may also be a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400 : 공기조화기
124, 224, 324, 424 : 토출구
130, 230, 330, 430 : 풍향조절장치
500 : 제어부
510 : 카메라
520 : 온도센서
530 : 출력부
540 : 저장부
550 : 타이머
100, 200, 300, 400: air conditioner
124, 224, 324, 424: discharge port
130, 230, 330, 430: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500: control unit
510: camera
520: temperature sensor
530: output unit
540: storage unit
550: timer

Claims (2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이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둘레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패널;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
상기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고, 실내공간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정보의 누적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영역을 향하는 제1영역토출구와 비생활영역을 향하는 제2영역토출구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풍향조절장치 각각을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 case forming a space inside and having an open lower side;
a panel disposed under the case and having a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isposed around the suction port;
a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 flow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dispos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controlling a wind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camer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nel and acquiring an image of an indoor space;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based on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plurality of outlets into a first area outlet toward a living area and a second area outlet toward a non-living area based on accumulated data of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mera, and in the first area outlet The air conditioner controls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direction controllers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is different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로 도달할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의 상하방향 기류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to change the air flow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first region outlet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set temperature ran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범위 밖일 때, 제1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보다 상하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ler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so that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side the set rang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is lower tha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energ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범위 내일 때, 상기 제1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보다 상하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higher tha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within a set range. condition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범위 밖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방향보다 상측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side the set rang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rea outlet is discharged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ground, and the temperature sensor senses An air conditioner that adjusts a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n a second direction upwards from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temperature is within a set temperature rang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과 제2방향의 상하방향 사이인 제3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5,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a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n a third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토출구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영역토출구와 상기 제2영역토출구 각각에 배치되는 베인의 배치를 변경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vane disposed at the outlet and changing the arrangement to adjust a wind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arrangement of the vanes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토출구와 상기 제2영역토출구 각각에 배치되는 상기 풍향조절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at each of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영상획득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 측정되는 설정시간 이후,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누적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영역을 구분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imer for measuring a time for the camera to acquire an imag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istinguishes a user's living area from cumulativ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after a set time measured by the ti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재실자의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구분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The controller divid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divides the occupant's living area and non-living are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상기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구획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air conditioner divid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is directed.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둘레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는 서로 다른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상기 복수의 토출구가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정보의 누적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생활영역을 향하는 제1영역토출구와 상기 비생활영역을 향하는 제2영역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상하방향 기류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ranged around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ischarge air to different areas,
obtaining images of a plurality of areas where the plurality of outlets discharge air with a camera;
determining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based on accumulated data of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mera;
and adjusting a wind direction controller so that up-and-down airflows discharged from a first area discharge port toward the living area and a second area discharge port toward the non-living area are set differentl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온도센서로 실내공간의 온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와 설정온도범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가 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Grasp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with a temperature sens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is changed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a set temperature range;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이내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3,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within a set temperature range,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is adjusted to set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to be higher than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o do.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로 감지된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밖일 때,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보다 낮게 설정하도록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3,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adjusting the air direction control device to set the air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outlet to be lower than the air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outlet.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생활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토출구와 비생활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토출구로 구분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divides the plurality of outlets into a first area outlet disposed in a living area and a second area outlet disposed in a non-living are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정하는 단계는,
출력부에서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복수의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 이상으로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정보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누적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생활영역과 비생활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iving area and the non-living area,
dividing an area displayed on an output unit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directions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directed;
accumulat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for more than the set time;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determining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based on accumulated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제 12 항에 있어서,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step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Maintaining a constant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area discharge port is higher or lower than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area discharge por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베인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베인 각각의 배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vane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discharge port and a van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 are differently dispos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풍향조절팬과 상기 제2영역토출구에 배치되는 풍향조절팬 각각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n the controlling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discharge port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fan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discharge port are differently adjusted.
KR1020210096540A 2021-07-22 2021-07-22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15147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40A KR20230015147A (en) 2021-07-22 2021-07-22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869,866 US20230025653A1 (en) 2021-07-22 2022-07-21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JP2022116338A JP2023016767A (en) 2021-07-22 2022-07-21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2210867065.0A CN115682129A (en) 2021-07-22 2022-07-22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186431.7A EP4123228A1 (en) 2021-07-22 2022-07-22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40A KR20230015147A (en) 2021-07-22 2021-07-22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47A true KR20230015147A (en) 2023-01-31

Family

ID=8270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40A KR20230015147A (en) 2021-07-22 2021-07-22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25653A1 (en)
EP (1) EP4123228A1 (en)
JP (1) JP2023016767A (en)
KR (1) KR20230015147A (en)
CN (1) CN115682129A (e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727B1 (en) * 1996-10-08 1999-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Wind directio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JP3963936B1 (en) * 2006-10-20 2007-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2009092252A (en) * 2007-10-04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2011099609A (en) * 2009-11-05 2011-05-19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1153725A (en) * 2010-01-26 2011-08-11 Daikin Industries Ltd Ceiling-mounted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2154522A (en) * 2011-01-25 2012-08-16 Hitachi Appliances Inc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unit
JP2012197985A (en) * 2011-03-22 2012-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WO2012157573A1 (en) * 2011-05-13 2012-11-22 株式会社 東芝 Energy management system
JP6071626B2 (en) * 2013-02-22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JP2016017707A (en) * 2014-07-09 2016-02-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7149305A (en)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デンソー Air blowout device for vehicle
KR20180071031A (en) * 2016-12-19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185055A (en) * 2017-04-24 2018-11-22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Air conditioner
EP3450868B1 (en) * 2017-06-15 2020-09-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034663B1 (en) 2018-02-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113454403B (en) * 2019-02-18 2022-10-28 三菱电机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N111351189A (en) * 2020-03-16 2020-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Operation method and device of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21096050A (en) * 2019-12-18 2021-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Environment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3228A1 (en) 2023-01-25
US20230025653A1 (en) 2023-01-26
CN115682129A (en) 2023-02-03
JP2023016767A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1445B2 (en) Air conditioner
JP5489915B2 (en) Air conditioner
KR20090115586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575866B (en) Air conditioner
JP6074143B2 (en) Air conditioner
KR20190035007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0906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JP2011137589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device of the same
JP2017053603A (en) Air conditioner
KR20090087366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879220B2 (en) Air conditioner
KR20230015147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17839B2 (en) Air conditioner
CN102575867A (en) Air conditioner
KR20120036139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sensing human
JP2015048956A (en) Air conditioner
CN112696372A (en) Fan adjusting method, fan and storage medium
JP6953753B2 (en) Air conditioner system
JP2016173214A (en) Air conditioner
KR100837356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flow having the same
EP4123229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23178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87365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692134B2 (en) Air conditioner
JP7434725B2 (en) air 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