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938A -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 Google Patents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938A
KR20230014938A KR1020210096110A KR20210096110A KR20230014938A KR 20230014938 A KR20230014938 A KR 20230014938A KR 1020210096110 A KR1020210096110 A KR 1020210096110A KR 20210096110 A KR20210096110 A KR 20210096110A KR 20230014938 A KR20230014938 A KR 2023001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lectronic medicine
wireless charger
electronic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웅
Original Assignee
오션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션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션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938A/ko
Publication of KR2023001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61N1/3787Electrical supply from an external energy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35Aspects of the external programmer
    • A61N1/37247User interfaces, e.g. input or present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5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 A61N1/37258Alerting the pati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5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하에 매립되어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을 충전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신체 고정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에 있어서,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수용하는 전자약 수용부; 및 상기 전자약 수용부에 고정되며, 신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Electroceutical wireless charger fixing band}
본 발명은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전자약은 전자(electronics)와 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뇌와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심장박동기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이식형 의료기기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뇌전증, 당뇨, 관절염, 고혈압 등 만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신경조직을 자극하는 전자기기로 진화하고 있다.
전자약은 피하에 매립되어, 치료가 필요한 특정한 부분만을 골라서 자극하므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만일의 경우 약효를 즉시 중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현재 개발되어 있는 전자약의 경우 대부분 1차 전지를 사용하고 있어 정기적으로 인체 외부로 인출하여 전지를 교환하여야 하며,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정기적으로 인체 외부로 인출하여 전지를 충전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관리를 번거롭게 할 뿐만 아니라, 신경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약을 신체에 이식하고 인출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신경이 손상될 확률이 상당히 높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2차 전지를 이용하되 전자약 자체를 신체에서 장기간 인출하지 않을 수 있게 무선 충전방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무선 충전방식을 이용할 경우, 전자약 무선 충전기가 전자약이 매립된 피부의 상면의 특정 위치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정확한 위치에서 무선 충전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알 길이 없어, 충전 시간이 길어지거나 불완전 충전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약을 간편하게 무선 충전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약 무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고 완충을 담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하에 매립되어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을 충전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신체 고정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에 있어서,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수용하는 전자약 수용부; 및 상기 전자약 수용부에 고정되며, 신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의 일측에 고정된 제1밴드; 및 상기 전자약 수용부의 타측에 고정된 제2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는 그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사용자의 흉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전자약 수용부가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사용자의 흉부를 따라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사용자의 흉부를 가압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1밴드 바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2밴드 바디; 상기 제2-1밴드 바디에 구비된 탈착부; 및 상기 제2-2밴드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부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탈착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을 포함하는 전자약 세트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을 충전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는 상기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의 전력 수신부와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의 전력 송신부가 정위치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세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을 포함하는 전자약 세트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을 충전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는 상기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의 완충 여부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약 전자약을 간편하게 무선 충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약 무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고 완충을 담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이 신체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이 신체에 매립된 상태에서, 전자약 무선 충전기로 전자약을 충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의 세부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의 세부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가 신체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를 후방에서 바라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전자약(1)이 환자의 신체 중 흉부 피하에 매립되고, 신경 연결부(13)가 미주신경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자약(1)은 무선 충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환자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2)를 상기 전자약(1)이 위치한 흉부에 위치시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가 상기 전자약을 충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례로, 상기 전자약(1)은 피하(S)에 매립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2)는 피부 표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약(1)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전자약(1)을 충전할 때는 환자가 전자약 무선 충전기(2)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완충 시까지 전자약 무선 충전기(2)가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한다.
때문에, 충전할 때 환자의 움직임이 극히 제한되고 환자의 팔에 근육통이 유발되며, 전자약 무선 충전기(2)가 정위치를 벗어난 경우 충전이 중단되거나 더디어질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3)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3)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앞서, 전자약(1)의 기본 구성들을 블록도로 도식화한 도 3을 참조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1)의 구성들을 설명한다.
상기 전자약(1)은 피하에 매립되어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신경에서 비정상적으로 발생되는 전기 전달을 과정을 제어하여, 뇌전증, 당뇨, 관절염, 고혈압 등 신경과 관련된 각종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약(1)은 외관을 형성하는 전자약 하우징(11), 신경에 제공되는 전기 자극을 생성하는 신경 자극부(12), 상기 신경 자극부(12)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를 신경에 전달하는 신경 연결부(13), 상기 신경 자극부(12)에 전력을 공급하며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배터리부(15), 외부에서 유입된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약 배터리부(15)에 공급하는 전력 수신부(14) 및, 상기 전자약은 무선 충전시 인체 외부에 있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위치 유도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전자약 무선 충전기 세트의 일 구성인 전자약 무선 충전기(2)의 세부 구성들을 설명한다.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2)는 외관을 형성하는 충전기 하우징(21),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기 배터리부(23), 상기 전자약의 전력 수신부(1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송신부(22) 및, 상기 위치 유도부(6)를 감지하는 위치 확인부(24) 및,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2)의 정위치 여부 또는 상기 전자약(1)의 완충 여부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2)의 전력 송신부(22)와 상기 전자약(1)의 전력 수신부(14)는 자기장 또는 초음파 등의 형태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전력이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3)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3)는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2)를 수용하는 전자약 수용부(31),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에 고정되며 신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밴드(32, 33, 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32, 33, 34)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고무 등 유연한 재질이면 어떠한 소재로 구비되든 무방하나, 섬유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32, 33, 34)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의 일측면에 고정된 제1밴드(32),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의 타측면에 고정된 제2밴드(33), 상기 제1밴드(32)와 상기 제2밴드(33)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5) 및,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와 상기 연결부(35)에 고정되어 상기 전자약 수용부(31)가 환자의 흉부를 따라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밴드(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밴드(32)와 상기 제2밴드(33)는 그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사용자의 흉부를 가로 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에 전자약 무선 충전기(2)를 삽입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밴드(32, 33, 34)를 흉부와 쇄골부에 장착하고 전자약(1)을 손쉽게 효율적으로 정위치에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밴드(32)는 연결부(35)와 상기 제1밴드 바디(321)에 연결된 제1밴드 탄성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밴드 바디(321) 자체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밴드(34)는 연결부(35)와 상기 제3밴드 바디(341)에 연결된 제3밴드 탄성부(3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밴드 바디(341) 자체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밴드(33)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1밴드 바디(3311), 상기 연결부(35)에 고정되는 제2-2밴드 바디(3312), 상기 제2-1밴드 바디(3311)에 구비된 탈착부(3331) 및, 상기 제2-2밴드 바디(3312)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부(3331)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탈착부 수용부(33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밴드(33)는 연결부(35)와 상기 제2-2밴드 바디(3312)에 연결된 제2밴드 탄성부(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밴드 바디(3312) 자체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밴드(32, 33, 34)들은 환자의 흉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환자의 흉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탈착부(3331)와 탈착부 수용부(3332)를 이용해 신체에 손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3331)와 탈착부 수용부(3332)는 암수 벨트로, 후크, 단추 등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든 무방하다.
한편, 전자약 무선 충전기(2)의 알림부(25)는 상기 위치 확인부(24)에 의해 상기 위치 유도부(16)가 정위치에 위치하거나 완충된 것으로 확인되면 이를 디스플레이/소리/불빛 등을 통해 외부로 알리게 된다.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경우 안내 문구를 통해 충전 상태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또한, 소리인 경우 음성안내 또는, 접촉 불량(정위치가 안된 경우)인 경우 경고음이 제공되고, 정위치인 경우 확인음, 그리고 완충시 완충음으로 안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순 LED로 구현될 경우, 접촉 불량(정위치가 안된 경우)인 경우는 붉은색 LED, 정위치에서 충전 중인 경우 초록색 LED 및, 완충된 경우 파란색 LED가 발광될 수 있다.
이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가 전자약을 정확하게 타겟팅하여 충전하도록 하여, 전자약의 충전 효율을 보다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3)의 전자약 수용부(31)의 후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의 후면에는 수용부 개구(3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개구(31b)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2)의 전력 송신부(22)와 대응대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력 송신부(22)에서 전력 수신부(14)로 전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약 수용부(31)에 의해 전력 송신부(22)의 후방이 차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1
전자약 무선 충전기 2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3

Claims (5)

  1. 피하에 매립되어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을 충전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신체 고정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에 있어서,
    상기 전자약 무선 충전기를 수용하는 전자약 수용부; 및
    상기 전자약 수용부에 고정되며, 신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의 일측에 고정된 제1밴드; 및
    상기 전자약 수용부의 타측에 고정된 제2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는 그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사용자의 흉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전자약 수용부가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사용자의 흉부를 따라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사용자의 흉부를 가압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는
    상기 전자약 수용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1밴드 바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2밴드 바디;
    상기 제2-1밴드 바디에 구비된 탈착부; 및
    상기 제2-2밴드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부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탈착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KR1020210096110A 2021-07-22 2021-07-22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KR20230014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10A KR20230014938A (ko) 2021-07-22 2021-07-22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10A KR20230014938A (ko) 2021-07-22 2021-07-22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938A true KR20230014938A (ko) 2023-01-31

Family

ID=8510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110A KR20230014938A (ko) 2021-07-22 2021-07-22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9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5462B2 (en) Wireless re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implantable subcutaneous medical device
US103222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control of stimulation systems
EP3003462B1 (en) Adaptor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and magnetic connection between an electrode and a medical device.
AU2003302890A1 (en) Externally activated neuro-implant which directly transmits therapeutic signals
US8594806B2 (en) Recharging and communication lead for an implantable device
US20150360037A1 (en) Leads, systems, and methods using external primary and internal secondary power sources
TW201818993A (zh) 用於體內的無線耦合系統
KR20210095606A (ko) 전자기 교란방지 기능이 있는 뇌전증 치료용 전자약의 제어방법
CN111420281A (zh) 脑神经调节器
KR102499174B1 (ko)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 장치 세트
US9901734B2 (en) Electrostimulation device with percutaneous leads
KR20230014938A (ko)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KR20230014939A (ko) 전자약 무선 충전기 세트
KR20210131530A (ko) 전자약용 듀얼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US20220360024A1 (en) Medical system with connector forming an external winding
US20220370784A1 (en) Medical system comprising an implanted internal unit, an external unit, and a method of initiating operation of external unit
KR20230057730A (ko) 전자약용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그리고 이를 고정하는 듀얼 충전용 밴드
US10857366B2 (en) Hold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CN113081756A (zh) 基于超声振动的止痛装置
KR20210131528A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및 이의 제어방법
CN212439710U (zh) 脑神经调节器
KR20210107954A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세트
US20230226346A1 (en) Rechargeable stimulation appliance
EP3193960B1 (en) Implanted device with wireless energy transfer and external alignment feature
CN108964290A (zh) 一种对可植入设备充电的近场能量发射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