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895A -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895A
KR20230014895A KR1020210095269A KR20210095269A KR20230014895A KR 20230014895 A KR20230014895 A KR 20230014895A KR 1020210095269 A KR1020210095269 A KR 1020210095269A KR 20210095269 A KR20210095269 A KR 20210095269A KR 20230014895 A KR20230014895 A KR 2023001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tab
dental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824B1 (ko
Inventor
주원형
김종문
박수희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8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은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 및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Dent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영상 분석을 위한 화면 구성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기술에 관한 것이다.
영상 소프트웨어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영상 분석 및 시뮬레이션(Simul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치과 전용 소프트웨어이다. 사용자에게 목적에 특화된 화면 구성 및 도구를 제공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탭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탭 화면 표시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와, 입력된 탭 화면 표시 요청에 따라, 상기 탭 화면에 대응되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 및 상기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탭 화면은 대응되는 치과 오브젝트에 따라 치아 탭, 뼈-상악동 탭, 뼈-신경관 탭, 턱 관절 탭, 기도 탭, 임플란트 탭, 엔도 탭, 다각도 재구성 탭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치아를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은 단일한 치아를 기준으로는 각각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이고, 복수의 치아를 기준으로는 각각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뼈를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은 뼈의 정면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은 픽스쳐를 중심으로 Axial, Cross 및 Parallel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Axial, Coronal(Mesio-Distal Axis) 및 Sagittal(Bucco-Lingual Axis)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치과 오브젝트의 치식 번호들 중 가장 빠른 치식 번호의 치아 위치가 포함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근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치과 오브젝트의 치식 번호들 중 가장 빠른 치식 번호의 치아 위치가 포함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1 영상을 메인 영역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2 영상을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상악동을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제2-1 영상은 상악동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이고, 제2-2 영상은 상악동 영역을 기준으로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신경관을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제2-1 영상은 신경관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이고, 제2-2 영상은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턱 관절이고, 상기 탭 화면에서 제2 방향은 턱 관절의 좌우 양측, 턱 관절의 Condyle 측, Fossa 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화면 제공방법은,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 위주로 확대, 축소, 이동, 회전, 흑백 반전, 캡처, 소정 영역에 대한 자르기, 소정 방향으로 자르기, 투명도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편집을 미리 실시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제공방법은, 치아 탭 화면에서 치아 영역을 자르기 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턱 관절 탭 화면에서 턱 관절의 Condyle의 상단 및 Fossa의 하단이 보이도록 자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엔도 탭 화면에서 소정 영역을 자른 치아 영상을 통해 Orifice를 포함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제공방법은,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 소정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접 치아 및 인접 치아에 대합하는 치아를 포함하도록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제공방법은, 탭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회전동작을 통한 조작신호에 의해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탭 화면에 방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방향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선택 신호에 의해 탭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탭 화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 중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탭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탭 화면 표시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탭 화면 표시 요청에 따라, 상기 탭 화면에 대응되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 및 상기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탭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에 따르면, 화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었던 어려운 조작을 단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원하는 화면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제어해야 하는 과정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방향이 전환된 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치과 오브젝트를 관찰하기 위해 추가로 방향 전환을 위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다른 예로, 복수의 방향에서 바라본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 함께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법을 숙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탭 화면 내 각 치과 오브젝트 부위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영상 제공 목적에 맞게 탭 화면의 영상 배치를 구성하고 영상 배치 구성에 맞게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영상 제공 목적에 특화된 맞춤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탭 화면에서는 단일 치아의 전반적인 형태, 병변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치아를 각각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6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고, 복수 치아의 전반적인 형태, 병변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치아를 각각 Buccal, Lingual, Root, Top 4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뼈-상악동 탭 화면에서는 임플란트 시술 혹은 염증확인을 위해 상악동의 형태와 문제를 쉽게 볼 수 있도록 Sagittal(BA) 방향의 영상을 메인 영역에 제공하고, Coronal(MA), Axial(AA) 영상을 서브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턱 관절 탭 화면에서는 턱 관절의 좌우 양측을 함께 표시하고, 턱 관절의 Condyle 영상과 Fossa 영상을 추가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신경관, 전체적인 뼈의 형태, TMJ 등과 같은 다양한 치과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각 치과 오브젝트에 맞게 자르기(Clipping), 투명도(Opacity) 등의 편집이 미리 수행된 3차원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의 별도의 편집 및 조절을 포함한 부가 작업이 필요 없고, 편집을 위한 동작방법을 숙지할 필요도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나아가,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한 진단을 도와 더 많은 환자가 양질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상악동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신경관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MJ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도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영상 소프트웨어를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등이 있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환자의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가지고 다양한 영상 분석 및 시뮬레이션(Simul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치과 전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때,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여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 내 치과 오브젝트의 소정 부위를 잘 관찰하기 위해 영상을 직접 방향 전환할 필요 없이 치과 오브젝트를 잘 관찰할 수 있는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방법, 사용자가 치과 오브젝트의 다른 방향을 관찰하기 위해 방향을 직접 회전할 필요가 없게, 치과 오브젝트를 여러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을 한 번에 표시하는 방법, 치아, 상악동 등 영상 제공 목적에 특화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치과 오브젝트의 소정 부위를 잘 볼 수 있도록 영상을 자르기, 회전 등의 편집을 미리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영상 제공 목적에 특화된 화면 구성 및 도구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편리하게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하, 도 1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특징을 가진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의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치과 오브젝트는 치아(Tooth), 뼈(Bone), 상악동(maxillary sinus), 신경관(Nerve), 턱 관절(TMJ), 기도(Airway), 임플란트(Implant) 등이 있다. 치과용 영상 데이터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일 수 있는데, 3차원 영상의 경우 처음부터 3차원 형식으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2차원 영상의 경우 2차원 형식으로 생성되었거나, 3차원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치과용 영상 데이터는 CT 데이터, 스캔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치과용 영상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한다.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영상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영상을 하나로 취합하여 3차원 형태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스캔 데이터는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실제 치아들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스캔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차원 스캐너(3차원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치아 모델 스캔 데이터일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을 본 뜬 인상체를 3차원 스캐너(3차원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인상체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차원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구강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획득된 스캔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치과용 영상 데이터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치아 아래에서 상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치아 위에서 하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2)에는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치과용 영상 데이터와 저장되고, 치과 치료 시뮬레이션 시 전체 영상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 매칭되는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및 하측 치열의 CT 데이터 영상과 스캔 데이터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정합하여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탭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탭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탭 화면 표시 요청을 입력 받는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소프트웨어, 영상 소프트웨어와 연동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병원용 업무 관리 소프트웨어 등)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탭 화면 표시 요청은, 영상 소프트웨어에서의 화면 전환 요청, 및 연동되는 타 소프트웨어에서의 영상 소프트웨어로의 호출을 포함하는 화면 전환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탭 화면(Tab Screen)을 표시한다. 제어부(14)가 데이터 획득부(10)를 통해 획득된 치과용 영상 데이터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 및 복수의 제2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2 영상을 생성하면, 출력부(18)는 생성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탭 화면에 표시한다. 탭 화면은 영상 제공 목적에 대응되는 치과 오브젝트에 따라 분류된 화면으로, 현재 화면 전체에 표시되는 탭 하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탭 화면은 치아(Tooth) 탭 화면, 뼈(Bone) 탭 화면, 턱 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이하 'TMJ'라 칭함) 탭 화면, 기도(Airway) 탭 화면, 임플란트(Implant) 탭 화면, 엔도(Endo) 탭 화면, 다각도 재구성(Multi Planar Reformation: MPR, 이하 'MPR'이라 칭함) 탭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뼈 탭 화면의 예로는 뼈(Bone)-상악동 탭 화면, 뼈-신경관(Nerve) 탭 화면 등이 있다.
출력부(18)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을 탭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2 영상을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미리 제1 방향으로 전환된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제2 영상은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바라본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4)는 데이터 획득부(10)를 통해 획득된 치과용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를 렌더링 하여 출력부(18)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1 영상은 출력부(18)를 통해 치과 오브젝트와 대응되는 탭 화면에 표시된다. 다른 예로, 제어부(14)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영상은 출력부(18)를 통해 치과 오브젝트와 대응되는 탭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어부(14)를 통해 생성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치아, 뼈, 상악동, 신경관, 턱 관절, 기도, 임플란트, 엔도, 다각도 재구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보기 위해 일일이 영상을 조작하지 않아도 될 수 있는 화면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영상을 출력부(18)를 통해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해당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는 더 이상 영상을 회전해가면서 치과 오브젝트를 볼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환자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한 눈에 구조나 병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시간의 단축으로 이어질 것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14)는 영상 제공 목적에 최적화된 화면을 구성한다. 즉, 단순히 여러 화면을 동일하게 제공해주는 것이 아니라, 영상 제공 목적에 따른 특화된 화면을 제공해준다.
예를 들어, 치아 탭 화면에서 단일 치아에서는 각각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6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도록 화면을 구성하여, 치아의 전반적인 형태, 병변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치아에서는 각각 Buccal, Lingual, Root, Top 4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도록 화면을 구성하여, 치아의 전반적인 형태, 병변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뼈-상악동 탭 화면에서는, 임플란트 시술 혹은 염증확인을 위해서 주로 보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영상을 6방향으로 제공하지 않고, 형태와 문제를 쉽게 볼 수 있는 Sagittal(Bucco-Lingual Axis: BA) 방향의 화면을 크게 제공하고 Coronal(Mesio-Distal Axis: MA), Axial(Arch Axis: AA) 방향의 화면을 보조의 용도로 제공하도록 화면을 구성한다. MA 단면은 Cross 단면과, BA 단면은 Parallel 단면과, AA 단면은 Axial 단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고자 하는 치과 오브젝트에 맞추어 미리 자동으로 편집(예를 들어, 자르기)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부(18)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가 Clipping 등과 같은 영상 디자인의 툴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악동, 하치조 신경관, 전체적인 Bone의 형태, TMJ 등과 같은 다양한 치과 오브젝트들에서 자동으로 편집(예를 들어, Clipping, Opacity)이 적용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화면에 뷰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부(18)를 통해 표시하고, 뷰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부(16)의 사용자 선택 입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거나 감출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서 상세히 확인하거나 미세조정을 하고 싶을 때, 화면에서 입력부(16)를 통해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영상을 상세하게 확인하거나 미세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뼈 탭 화면에서 상악동 영역 또는 신경관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악동 영역 또는 신경관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미세조정을 예로 들면,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 영상에 표시된 픽스쳐 등을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영상에서 사용자가 미세조정 툴을 사용하거나 픽스쳐 등을 드래그 하는 등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픽스쳐를 회전 및 위치이동 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210).
이어서,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탭 화면 표시 요청을 입력 받는다(S220).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탭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탭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탭 화면 표시 요청을 입력 받는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입력된 탭 화면 표시 요청에 따라, 탭 화면에 대응되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 및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을 생성한다(S230).
이어서,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탭 화면에 표시한다(S240). 탭 화면은 영상 제공 목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에 따라 치아 탭 화면, 뼈 탭 화면, 턱 관절 탭 화면, 기도 탭 화면, 임플란트 탭 화면, 엔도 탭 화면, 다각도 재구성 탭 화면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탭 화면 표시 단계(S240)에서, 제1 방향의 예를 들면, 기도 탭 화면에서는 기도에 대한 관찰이 용이한 방향이고,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는 임플란트 구조물에 대한 관찰이 용이한 방향이며, 엔도 탭 화면에서는 치아의 근관 또는 근관 치료 시뮬레이션에 대한 관찰이 용이한 방향일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0)에서, 치과 오브젝트는 치아를 포함하고, 탭 화면에서 제2 방향은 단일한 치아를 기준으로는 각각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이고, 복수의 치아를 기준으로는 각각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치아 탭 화면에서, 치아 영상을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6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에서 바라본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단일 치아를 보고자 할 때, 치아 영상을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과 같이 6방향에서 바라본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복수의 치아를 보고자 할 때,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과 같이 4방향에서 바라본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0)에서, 치과 오브젝트는 뼈를 포함하고, 탭 화면에서 제2 방향은 뼈의 정면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뼈 탭 화면에서는, 뼈의 정면 영상과 좌우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0)에서,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탭 화면에서 제2 방향은 픽스쳐를 중심으로 Axial, Cross 및 Parallel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Axial, Coronal(Mesio-Distal Axis) 및 Sagittal(Bucco-Lingual Axis)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는, 픽스쳐를 중심으로 Axial 영상, Cross 영상 및 Parallel 영상을 함께 표시하거나, Axial 영상, Coronal 영상 및 Sagitta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0)에서,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제1 방향은 제1 영상에 치과 오브젝트의 치식 번호들 중 가장 빠른 치식 번호의 치아 위치가 포함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 복수의 치아를 시뮬레이션 할 때, 치식 번호가 가장 빠른 치아를 기준으로 영상을 자동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5번 치아와 46번 치아를 임플란트 치료를 하고자 할 때, 35번 치아를 기준으로 먼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0)에서,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근관을 포함하고, 제1 방향은 제1 영상에 치과 오브젝트의 치식 번호들 중 가장 빠른 치식 번호의 치아 위치가 포함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0)에서,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1 영상을 메인 영역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2 영상을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 오브젝트는 상악동을 포함하고, 탭 화면에서 제2-1 영상은 상악동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이고, 제2-2 영상은 상악동 영역을 기준으로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뼈-상악동 탭 화면에서, 상악동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을 메인 영역에 표시하고,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을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치과 오브젝트는 신경관을 포함하고, 탭 화면에서 제2-1 영상은 신경관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이고, 제2-2 영상은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뼈-상악동 탭 화면에서, 신경관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을 메인 영역에 표시하고,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을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턱 관절 탭 화면에서, 턱 관절의 좌우 양측을 함께 표시하고, 턱 관절의 Condyle 영상과 Fossa 영상을 추가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0)에서, 치과 오브젝트는 턱 관절이고, 탭 화면에서 제2 방향은 턱 관절의 좌우 양측, 턱 관절의 Condyle 측, Fossa 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탭 화면 내 치과 오브젝트 부위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영상을 미리 편집하여 탭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250). 편집 작업은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 위주로 확대, 축소, 이동, 회전, 흑백 반전, 캡처, 소정 영역에 대한 자르기, 소정 방향으로 자르기, 투명도 처리 등을 포함한다.
영상을 미리 편집하여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50)에서,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치아 탭 화면에서, 치아 영역을 자르기 한 영상을 표시하고, 턱 관절 탭 화면에서, 턱 관절의 Condyle의 상단 및 Fossa의 하단이 보이도록 자동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 임플란트 구조물에 대한 관찰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영역을 자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엔도 탭 화면에서, 소정 영역을 자른 치아 영상을 통해 Orifice를 포함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을 미리 편집하여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50)에서,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 소정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접 치아 및 인접 치아에 대합하는 치아를 포함하도록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1)는 탭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회전동작을 통한 조작신호에 의해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탭 화면에 방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방향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선택 신호에 의해 탭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다양한 치아 탭 화면(30a, 30b, 30c)를 제공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치아 탭 화면(30a)에서 치아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 본 제1 영상(3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영상(310)을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치아 탭 화면(30a) 내 정면 방향의 제1 영상(310)의 소정 부분(예를 들어, 중앙)을 드래그를 통해 회전해 가면서 치아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치아 탭 화면(30a)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치아 탭 화면(30a)에 방향 인터페이스(300)를 표시하고, 방향 인터페이스(300)의 사용자의 선택 신호(예를 들어, 클릭)에 의해 선택된 방향으로 제1 영상(310)을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치아 탭 화면(30b)에서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치아를 각각 바라본 제2 영상(320, 321, 322, 323, 324)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탭 화면(30b)에 치아의 정면 방향의 영상(320)과 함께 상하좌우 방향의 영상(321, 322, 323, 324)을 치아 탭 화면(30b)에 함께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회전을 하지 않아도 전체 방향에서의 치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치아 탭 화면(30c)에서 사용자가 단일 치아를 선택(예를 들어, 클릭)한 경우,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선택된 치아를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예를 들어,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6방향)에서 각각 바라본 제2 영상(331, 332, 333, 334, 335, 336)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회전하지 않고도 한 번에 모든 방향에서의 치아 영상을 볼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복수의 치아를 선택(예를 들어, 클릭)한 경우,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선택된 치아를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예를 들어, Buccal, Lingual, Root, Top 4방향)에서 각각 바라본 제2 영상(333, 334, 335, 336)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회전하지 않고도 한 번에 모든 방향에서의 치아 영상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자동으로 치아 영역을 자르기 하고 이를 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자르기 작업 없이도 원하는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상악동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뼈-상악동 탭 화면(40a)에서 정면 방향의 제1 영상(4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영상(410)을 사용자의 회전 조작신호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사용자가 뼈-상악동 탭 화면(40a) 내 정면 방향의 제1 영상(410)의 소정 부분(예를 들어, 중앙)을 드래그를 통해 회전해 가면서 뼈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뼈-상악동 탭 화면(40a)에 방향 인터페이스(400)를 표시하고, 방향 인터페이스(400)의 사용자의 선택 신호(예를 들어, 클릭)에 의해 선택된 방향으로 제1 영상(410)을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뼈-상악동 탭 화면(40b)에서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바라본 복수의 제2 영상(421, 422, 42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상악동 탭 화면(40b)에서 뼈의 정면 방향 영상(421)과 함께 좌우 영상(422, 423)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회전을 하지 않아도 전체 방향에서의 상악동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뼈-상악동 탭 화면(40c)에서 사용자가 분할(Segmentation)된 상악동을 선택(예를 들어, 클릭)한 경우, 양측(Left, Right) 상악동을 서로 상이한 제2 방향(L-MA, L-BA, L-AA, R-MA, R-BA, R-AA)에서 바라본 복수의 제2 영상(431, 432, 433, 434, 435, 436)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회전을 하지 않고도 상악동 영상을 한 번에 모두 볼 수 있다. 여기서, MA 단면은 Mesio-Distal Axis 단면을 의미하고, BA 단면은 Bucco-Lingual Axis 단면을 의미하며, AA 단면은 Arch Axis 단면을 의미한다. 또한, MA 단면은 Cross 단면과, BA 단면은 Parallel 단면과, AA 단면은 Axial 단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뼈-상악동 탭 화면(40d)에서 가장 중요한 영상을 우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동의 경우는 임플란트 시술 혹은 염증확인을 위해서 주로 보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6방향으로 제공하지 않고 형태와 문제를 쉽게 볼 수 있는 Sagittal(BA) 방향의 영상을 메인 영역(441)에 제공하고, Coronal(MA), Axial(AA) 영상을 서브 영역(442)에 제공할 수 있다. Sagittal 단면은 BA 단면과, Coronal 단면은 MA 단면과, Axial 단면은 AA 단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메인 영역(441)을 다른 서브 영역(442)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영역(410)은 서브 영역(420)에 비해 화면의 크기가 크거나, 위치를 좌측 또는 중앙에 배치하거나, 블록 등으로 강조하거나, 색상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측면, 정면 및 상단 위치의 제2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측면, 정면, 상단의 화면 모두에서 치아의 대략적인 위치나 인근 질환을 한 번에 확인 가능하다.
나아가,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상악동을 기준으로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르기(Clipping)와 같은 영상 디자인 툴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악동을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자동으로 치아 영역을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자르기 작업 없이도 원하는 부위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자르기 영역은 상악동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상악 치아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악동에 걸쳐진 치아가 제1 소구치부터 제2 대구치일 경우, 해당 치아들을 포함하는 영역을 자르기 영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영역을 자르기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악동과 관련 있는 치아를 선택할 경우, 해당 치아에 특화된 상악동 영역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소정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접 치아 및 인접 치아에 대합하는 치아를 포함하도록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구조물이 식립된 치아와 인접한 1~2개 치아를 포함하고 그에 대응하는 대합치를 포함하도록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신경관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신경관에 대응하는 뼈-신경관 탭 화면(50a)을 표시할 수 있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뼈-신경관 탭 화면(50a)에서, 신경관을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예를 들어, MA, BA, AA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뼈-신경관 탭 화면(50b)에서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드래그 하는 동작)(500)을 통해서 영상 내 소정의 영역을 손쉽게 자르기(Clipping) 하여 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자르기 된 영역을 그렇지 않은 영역과 투명도(Opacity)를 구분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영역을 자르기 하였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방향에서 자르기 처리된 경우, 다른 방향에서도 동일하게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신경관의 정면 영상(531)과 좌우 영상(532, 533)을 포함하는 뼈-신경관 탭 화면(50c)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체 방향에서 신경관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동작(예를 들어, 회전)을 실시하지 않아도 원하는 신경관 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뼈-신경관 탭 화면(50d)에서 신경관을 선택한 경우,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양측(Left, Right) 신경관을 6 방향(L-MA, L-BA, L-AA, R-MA, R-BA, R-AA)에서 바라본 제2 영상(541, 542, 543, 544, 555, 556)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회전하지 않고도 신경관을 한 번에 모두 볼 수 있다. 사용자가 관련 있는 치아를 선택할 경우,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관련된 치아에 특화된 신경관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MJ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사용자가 TMJ 양측의 영상(610, 620)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TMJ 탭 화면(6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TMJ의 주요 구조물인 Condyle과 Fossa를 별도의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최적의 각도로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Condyle의 상단, Fossa의 하단 등이 잘 보이도록 미리 자동 회전시켜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사용자가 TMJ의 Condyle 영상과 Fossa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형상과 마모도를 확인하고 TMJ의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기도(Airway)(700)에 대한 관찰이 용이한 측면 방향의 영상을 포함하는 기도 탭 화면(7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도(700)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예를 들어, 컬러 맵)로 구분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임플란트 치료에 특화된 임플란트 탭 화면(80)을 표시한다. 이때, 임플란트 탭 화면(80)에서 임플란트 구조물 확인이 용이하도록 복수 방향에서 보이는 임플란트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임플란트 탭 화면(80)에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치아번호 별 크라운, 픽스쳐 중심의 임플란트 구조물 및 가이드 등의 치과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상을 모두 포함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픽스쳐를 중심으로 Axial 영상, Cross 영상 및 Parallel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임플란트 탭 화면(80)에서, 임플란트 관찰이 용이하고 임상적으로 유의미하도록 임플란트 영상을 사전 편집(예를 들어, 회전 및 자르기 처리)하고, 사전 편집된 임플란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도 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는 엔도(Endo) 치료에 특화된 엔도 탭 화면(90)을 표시한다. 엔도 시술은 충치나 치수염으로 인해 신경관 내의 염증과 신경을 제거하는 술식을 의미한다. 이때, 치아의 근관 또는 근관 치료 시뮬레이션에 대한 관찰이 용이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치아와 치수 영상뿐만 아니라, 소정 영역을 자른 치아 영상을 통해서 치근관 입구(Canal Orifice)를 자동으로 표시함에 따라, 역시 사용자가 별도의 절단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에 있어서,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탭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탭 화면 표시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입력된 탭 화면 표시 요청에 따라, 상기 탭 화면에 대응되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 및 상기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화면은 대응되는 치과 오브젝트에 따라 치아 탭, 뼈-상악동 탭, 뼈-신경관 탭, 턱 관절 탭, 기도 탭, 임플란트 탭, 엔도 탭, 다각도 재구성 탭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치아를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은 단일한 치아를 기준으로는 각각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이고, 복수의 치아를 기준으로는 각각 Buccal, Lingual, Root, Top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뼈를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은 뼈의 정면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은 픽스쳐를 중심으로 Axial, Cross 및 Parallel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Axial, Coronal(Mesio-Distal Axis) 및 Sagittal(Bucco-Lingual Axis)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치과 오브젝트의 치식 번호들 중 가장 빠른 치식 번호의 치아 위치가 포함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근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치과 오브젝트의 치식 번호들 중 가장 빠른 치식 번호의 치아 위치가 포함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1 영상을 메인 영역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2 영상을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상악동을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제2-1 영상은 상악동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이고, 제2-2 영상은 상악동 영역을 기준으로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신경관을 포함하고,
    상기 탭 화면에서 제2-1 영상은 신경관 영역을 기준으로 Sagittal 방향의 영상이고, 제2-2 영상은 Coronal 및 Axial 방향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오브젝트는 턱 관절이고
    상기 탭 화면에서 제2 방향은 턱 관절의 좌우 양측, 턱 관절의 Condyle 측, Fossa 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 제공방법은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 위주로 확대, 축소, 이동, 회전, 흑백 반전, 캡처, 소정 영역에 대한 자르기, 소정 방향으로 자르기, 투명도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편집을 미리 실시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 제공방법은
    치아 탭 화면에서 치아 영역을 자르기 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턱 관절 탭 화면에서 턱 관절의 Condyle의 상단 및 Fossa의 하단이 보이도록 자동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엔도 탭 화면에서 소정 영역을 자른 치아 영상을 통해 Orifice를 포함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 제공방법은
    임플란트 탭 화면에서 소정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접 치아 및 인접 치아에 대합하는 치아를 포함하도록 자르기 하여 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 제공방법은
    탭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회전동작을 통한 조작신호에 의해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탭 화면에 방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방향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선택 신호에 의해 탭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공방법.
  16.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탭 화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오브젝트 중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탭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탭 화면 표시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
    입력된 탭 화면 표시 요청에 따라, 상기 탭 화면에 대응되는 소정의 치과 오브젝트를 제1 방향에서 렌더링한 제1 영상 및 상기 치과 오브젝트를 복수의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각각 렌더링한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탭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KR1020210095269A 2021-07-21 2021-07-21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KR10263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269A KR102633824B1 (ko) 2021-07-21 2021-07-21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269A KR102633824B1 (ko) 2021-07-21 2021-07-21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895A true KR20230014895A (ko) 2023-01-31
KR102633824B1 KR102633824B1 (ko) 2024-02-06

Family

ID=8510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269A KR102633824B1 (ko) 2021-07-21 2021-07-21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8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937A1 (ja) * 2008-05-01 2009-11-0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x線ct撮影装置、医療用x線ct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20100119224A (ko) * 2009-04-30 2010-11-09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초음파진단시스템의 실시간 다시점 3차원 초음파 영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02703A (ko) * 2013-02-08 2016-01-08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3차원 영상과 단층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KR20210008220A (ko) * 2019-07-11 2021-01-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20210079714A (ko) * 2019-12-20 2021-06-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937A1 (ja) * 2008-05-01 2009-11-0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x線ct撮影装置、医療用x線ct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20100119224A (ko) * 2009-04-30 2010-11-09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초음파진단시스템의 실시간 다시점 3차원 초음파 영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02703A (ko) * 2013-02-08 2016-01-08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3차원 영상과 단층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KR20210008220A (ko) * 2019-07-11 2021-01-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20210079714A (ko) * 2019-12-20 2021-06-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824B1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5754A1 (en) Automated dental treatment system
US11864727B2 (en) Automated dental treatment system
ES2724115T3 (es) Interfaz gráfica de usuario para el marcado de márgenes asistido por ordenador sobre dentaduras
US9421074B2 (en) Unified three dimensional virtual craniofacial and dentition model and uses thereof
US84652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using unified workstation
KR101316892B1 (ko) 치과 치료용 가상 수술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웨이퍼 제작 방법
ES2717447T3 (es) Creación asistida por ordenador de una preparación de diente habitual usando análisis facial
JP6347584B2 (ja) 患者の歯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
US20200081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rthodontic appliance
Pozzi et al. The smiling scan technique: Facially driven guided surgery and prosthetics
JP2013531531A (ja) 2d画像配置
US201402577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 path planning
JP2023099042A (ja) 表面誘導クロップを使用するボリュームレンダリング
JP5477840B2 (ja) 二次元画像表示装置
KR20220118074A (ko) 치과 교정치료 계획 수립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75125A (ko) 악골 분석방법, 악골 분석 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633824B1 (ko) 치과용 영상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방법
KR102413697B1 (ko) 치아 배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치아 배열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3722B1 (ko) 치아 단면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615791B1 (ko) 파노라믹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347493B1 (ko) 치아 배열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506836B1 (ko) 치아 배열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