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534A -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 Google Patents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534A
KR20230014534A KR1020210095991A KR20210095991A KR20230014534A KR 20230014534 A KR20230014534 A KR 20230014534A KR 1020210095991 A KR1020210095991 A KR 1020210095991A KR 20210095991 A KR20210095991 A KR 20210095991A KR 20230014534 A KR20230014534 A KR 2023001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rod
target
rod
spring
neutron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신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534A/ko
Publication of KR2023001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 G21G1/06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by neutron irradi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되어 핵연료 집합체에 삽입되는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에 있어서, 표적 물질을 담지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 하기 표적봉 하단부의 하기 돌기와 계합될 수 있는 크기의 복수 개의 요홈이 형성된 표적봉 상단부; 및 측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표적봉 하단부를 포함하는 표적봉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적봉 하단부는 제2 표적봉 상단부에 인입되며, 상기 표적봉 하단부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요홈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되어 단위 길이 당 중성자 조사가 가능하므로, 중성자 조사가 용이하고 작업자의 피폭 발생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DIVIDED TYPE TARGET ROD AGGREGATION FOR NEUTRON IRRADIATION THAT CAN BE COMBINED IN LAYERS}
본 발명은 코발트-60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 핵연료 집합체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중성자를 조사하는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에 관한 것이다.
중수로 원전은 산업용(비파괴 검사) 및 의료용(방사선치료, 멸균)으로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인 코발트-60을 생산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코발트-60은 중수로 노심의 중성자 속 분포를 조절하는 조절봉 집합체에 사용되는 물질을 변경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즉, 코발트-60은 중성자 조사 표적(irradiation target)으로서 중수로 노심의 중성자 속 분포를 조절하는 조절봉 집합체에 중성자 흡수체 대신 코발트-59를 장전하여 1주기 이상 조사한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다. 특히, 중수로 원전의 수명이 초기 설계된 수명에 도달하면 더 이상 중수로 원전을 이용하여 코발트-60을 생산하는 것이 불가하다. 이로 인해 향후 계속적인 코발트-60을 생산 및 공급하기 위해서는 중수로 원전 대신 경수로 원전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다.
다만, 경수로 원전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경수로 원전의 구조에 주목해야 한다. 경수로 원전에는 핵연료 집합체의 비어 있는 격자공간에 제어봉이나 중성자 선원봉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핵연료와 길이가 같은 안내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성자 표적을 장전할 때 사용되지 않는 안내관을 이용하는 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경수로 원전의 제어봉이나 중성자 선원봉은 일반적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즉, 제어봉이나 중성자 선원봉이 분리 또는 분절되지 않으므로 중성자 조사 후 취급 시 중성자 표적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중성자 표적의 길이가 길다는 특징은 이후 단계에서 중성자 표적의 길이만큼 큰 이송용 차폐용기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는, 큰 이송용 차폐용기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작은 이송용 차폐용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긴 중성자 표적을 작은 이송용 차폐용기에 맞게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절단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리하면, 코발트-60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경수로 원전을 이용하는 경우, 경수로 원전의 안내관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때문에 중수로 표적이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이는 곧 작업의 난이도와 비용의 증가를 야기하고, 작업자의 피폭 가능성을 높이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경수로 원전을 이용하여 코발트-60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함에 있어서, 중성자 표적을 단위 모듈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중성자 표적이 일체화되지 않고 단위 길이별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437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18761호
본 발명은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으로서, 안내관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수로 원전에서 중성자를 조사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장비 또는 비용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고 편리한 조사가 가능한 표적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앞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아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되어 핵연료 집합체에 삽입되는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에 있어서, 표적 물질을 담지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 하기 표적봉 하단부의 하기 돌기와 계합될 수 있는 크기의 복수 개의 요홈이 형성된 표적봉 상단부; 및 측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표적봉 하단부를 포함하는 표적봉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적봉 하단부는 제2 표적봉 상단부에 인입되며, 상기 표적봉 하단부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요홈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적봉 하단부는, 하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상면으로부터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적봉 하단부는, 측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측면과의 긴장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적봉 상단부는, 측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중성자 조사를 위해 삽입되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 측면과의 긴장을 유지하며 축방향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성자 조사를 위해 분리가능한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를 사용하므로 표적봉 및 조사된 표적 물질의 길이가 짧다. 이는 중성자 조사가 완료된 표적봉을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인출할 때 중성자 표적을 절단하는 별도의 작업 단계 또는 절단기 등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중성자 표적을 이송하는 이송용 차폐 용기의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성자 조사 작업이 용이하고, 조사된 표적 물질의 취급이 용이하며, 작업자의 피폭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봉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표적봉이 적층하여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봉 상단부의 상단면으로서, 표적봉 하단부가 삽입되는 표적봉 상단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봉(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표적봉(1, 2, 3)이 적층하여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표적봉(1)은 중성자 표적(표적 물질)을 장전하여 핵연료 집합체에 삽입됨으로써 중성자 조사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봉(1)은 경수로 원전 중 사용되지 않는 안내관에 삽입되어 중성자 조사를 할 수 있다. 경수로 원전은 연료 집합체의 비어 있는 격자공간에 제어봉이나 중성자선원봉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핵연료와 길이가 같은 안내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경수로 원전의 안내관은 일체형인 것에 주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봉(1)은 일정 길이를 하나의 기본 단위로 하여, 복수 개가 적층 결합-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표적봉(1)은 일체형의 경수로 원전의 안내관에 삽입되어 중성자 조사를 할 때, 안내관의 길이에 해당하는 개수만큼만 복수 개의 표적봉(1)이 안내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중성자 조사 후 표적봉(1)과 표적봉(1) 내부의 표적 물질을 회수할 때 표적봉(1) 및 표적봉(1) 내부의 표적 물질의 길이가 안내관 길이만큼 길지 않고, 중성자 조사에 필요한 길이만큼만 표적봉(1)의 분리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표적봉(1) 회수 후 작업에 용이하도록 하는 별도의 절단 작업이 불필요하고, 일정 길이별로 분리하여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표적봉(1)은 표적봉(1)을 기준으로 하여 표적봉(1)의 상단에 표적봉(3)과 결합하고, 표적봉(1)의 하단에 표적봉(2)가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가 적층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단위 표적봉(1)은 표적봉 상단부(10), 표적봉 하단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봉(1)의 표적봉 하단부(30)는 하단에 위치한 표적봉(2)의 표적봉 상단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표적봉 상단부(10)와 표적봉 하단부(3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표적봉 상단부(10)는 표적 물질을 담지하는 공간부(110)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중성자 조사를 위해 안내관에 표적봉(1)이 삽입될 때, 공간부(110)가 삽입되어야 하며, 공간부(110)의 내부 공간 범위에 해당하는 만큼 표적 물질을 담지할 수 있다. 표적봉(1)은 중성자 조사 후 회수되는데, 이는 공간부(110)의 표적 물질의 회수를 의미하며, 표적 물질 회수 후 새로운 표적 물질이 장전되어 안내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봉 상단부(10)는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안내관의 형태 또는 크기(지름 등)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표적봉 상단부(10)는 공간부(110)의 상단에 표적봉 하단부(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30)를 형성한다. 삽입부(130)는 표적봉 하단부(30)의 돌기(330)와 계합될 수 있는 크기의 복수 개의 요홈(1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표적봉 하단부(30)의 스프링(350)이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삽입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적봉 상단부(10)와 표적봉 하단부(30)는 결합-분리 가능하며, 이때, 표적봉 하단부(30)의 돌기(330)와 표적봉 상단부(10)의 요홈(150)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이는, 표적봉 상단부(10)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표적봉 상단부(10)의 상하에 각각 표적봉 하단부(30)가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적봉 상단부(10)의 몸체 중앙부에 공간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표적봉 상단부(10)의 내부 상단은 표적봉 하단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표적봉 하단부(30)의 하부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적봉 하단부(30)에 구비된 스프링(350)이 삽입되도록 스프링 삽입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표적봉 하단부(30)는 제2 표적봉과 결합 시 표적봉 상단부(10)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적봉 하단부(30)를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적봉 상단부(10)와 결합이 가능한 형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적봉 하단부(30)의 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에서는 2개의 돌기(330)를 도시하였으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적봉 하단부(30)는 제2 표적봉 상단부에 인입될 수 있다. 표적봉 상단부(10)와 표적봉 하단부(30)의 결합은 표적봉 하단부(30)의 돌기(330)가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요홈(150)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표적봉 하단부(30)의 돌기(330)는 고정적이지 않고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돌기(330)는 표적봉 상단부(10)에 삽입될 때 표적봉 상단부(10)의 내부 길이만큼 압축된 상태로 이동하여 요홈(150) 위치에 도달했을 때, 원래 길이만큼 확장되어 요홈(150)에 삽입될 수 있다. 표적봉 상단부(10)와 표적봉 하단부(30)의 결합 방법은 이하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표적봉 하단부(30)는 스프링(350)이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350)은 판스프링으로서, 스프링(350)의 양단은 표적봉 하단부(30)의 하면에 결합되고, 스프링(350)의 중앙부가 하부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스프링(350)은 표적봉 상단부(10)에 형셩된 스프링 삽입부(170)에 삽입되어 두 개의 표적봉(1)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표적봉(1)과 표적봉(2)가 적층결합될 때, 표적봉(1)의 표적봉 하단부(30)에 마련된 스프링(350)은 표적봉(2)의 표적봉 상단부(10) 내면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부(170)와 맞닿을 수 있다. 표적봉(1)의 스프링(350)이 표적봉(2)의 표적봉 상단부(10)와 탄성을 일으키며 표적봉(1)을 표적봉(2)로부터 탄성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350)의 탄성은 결합된 표적봉(1, 2, 3)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프링(350)은 표적봉 하단부(30)의 측면(옆면)에 마련될 수 있다(미도시). 표적봉(2)와 결합된 표적봉(1)의 표적봉 하단부(30)의 측면에 마련된 스프링(350)은 표적봉(2)의 표적봉 상단부(30)의 측면과 탄성을 일으키며 긴장을 유지하여 탄성지지될 수 있다. 즉, 스프링(350)이 표적봉 하단부(30)의 대응되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반대방향으로 표적봉 상단부(10)의 측면과 탄성을 유지하므로 표적봉(1, 2, 3) 간 결합이 안정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350)은 표적봉 상단부(10)의 측면(옆면)에 마련될 수 있다(미도시). 표적봉(1)이 핵연료 집합체(안내관)에 삽입되는 경우, 표적봉 상단부(10)의 측면에 마련된 스프링(350)은 안내관의 내부에서 탄성을 일으키며 표적봉(1)을 탄성지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350)이 표적봉 상단부(30)의 대응되는 양 측면에 형성되면 반대방향으로 안내관 내부 측면과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긴장은 표적봉(1)이 안내관 내부에서 세로축방향으로 진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350)은 표적봉 하단부(30) 중 표적봉 상단부(10)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를 참고하면, 표적봉(1, 2, 3)이 상하 적층 연결되는 경우 표적봉 하단부(30)는 표적봉 상단부(10)와 연결된 연결면과 돌기(330) 사이(도 3의 A)만큼 표적봉 상단부(10)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때 표적봉 하단부(3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330)의 위치에 따라 노출된 부분(A)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으며, 돌기(330)가 표적봉 상단부(10)와의 연결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표적봉 하단부(3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위치(A)에 스프링(350)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스프링(350)은 안내관 내부와 탄성을 일으키며 긴장을 유지함으로써 표적봉(1)을 탄성지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봉 상단부(10)의 상단면으로서, 표적봉 하단부(30)가 삽입되는 표적봉 상단부(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표적봉 상단부(10)가 원통형이며, 표적봉 상단부(1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도시한다. 이러한 표적봉 상단부(10)의 형태에 대응하여 표적봉 하단부(30)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점선 원의 지름은 표적봉 하단부(30)의 지름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점선 원의 양 측에 요홈(150)이 형성되어 표적봉 하단부(30)의 돌기(33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돌기(330)가 양 옆에 하나씩 2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표적봉 상단부(10)의 중앙에는 표적봉 하단부(30)의 스프링(350)이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삽입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적봉(1)과 표적봉(2)의 결합은 표적봉(1)의 표적봉 하단부(30)와 표적봉(2)의 표적봉 상단부(10)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표적봉 하단부(30)가 표적봉 상단부(10)의 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요홈(150)에 돌기(330)가 삽입되고, 스프링 삽입부(170)에 스프링(350)이 삽입된 후, 표적봉 상단부(10) 및 표적봉 하단부(30)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결합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적봉 상단부(10)의 요홈(150)은 돌기(330)의 크기에 대응해서 그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돌기(330)가 회전할 수 있는 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초기에 표적봉 하단부(30)가 표적봉 상단부(10)에 삽입되는 경우, 돌기(330)는 요홈(150)의 a에 위치하게 되며, 표적봉 하단부(30)가 회전하여 돌기(330)는 요홈(150)의 a’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요홈(150)의 a’에는 걸림턱이 있어 돌기(330)가 다시 a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350)이 스프링 삽입부(170)에 결합되는 것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초기에 삽입된 표적봉 하단부(30)의 스프링(350)은 스프링 삽입부(170)의 b에 위치하게 되며, 표적봉 하단부(30)가 회전하여 스프링(350)은 스프링 삽입부(170)의 b’에 위치하게 된다. 이또한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프링 삽입부(170)의 b’에는 걸림턱이 있어 스프링(350)이 다시 b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2, 3: 표적봉
10: 표적봉 상단부
110: 공간부
130: 삽입부
150: 요홈
170: 스프링 삽입부
30: 표적봉 하단부
310: 기둥부
330: 돌기
350: 스프링

Claims (4)

  1.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되어 핵연료 집합체에 삽입되는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에 있어서,
    표적 물질을 담지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 하기 표적봉 하단부의 하기 돌기와 계합될 수 있는 크기의 복수 개의 요홈이 형성된 표적봉 상단부; 및
    측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표적봉 하단부를 포함하는 표적봉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적봉 하단부는 제2 표적봉 상단부에 인입되며, 상기 표적봉 하단부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요홈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봉 하단부는,
    하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상면으로부터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봉 하단부는,
    측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표적봉 상단부의 측면과의 긴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봉 상단부는,
    측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중성자 조사를 위해 삽입되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 측면과의 긴장을 유지하며 축방향 진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봉.
KR1020210095991A 2021-07-21 2021-07-21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KR20230014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991A KR20230014534A (ko) 2021-07-21 2021-07-21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991A KR20230014534A (ko) 2021-07-21 2021-07-21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534A true KR20230014534A (ko) 2023-01-30

Family

ID=8510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991A KR20230014534A (ko) 2021-07-21 2021-07-21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5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61B1 (ko) 2011-12-01 2013-01-0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을 위한 시료 조사용 석영 용기
KR20150084373A (ko) 2014-01-14 2015-07-22 한국원자력연구원 표적 집합체의 장입 및 인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61B1 (ko) 2011-12-01 2013-01-0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을 위한 시료 조사용 석영 용기
KR20150084373A (ko) 2014-01-14 2015-07-22 한국원자력연구원 표적 집합체의 장입 및 인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8297B2 (ja) 同位元素生成方法
US9997267B2 (en) Nuclear reactor target assemblies, nuclear reactor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isotopes, modifying materials within target material, and/or characterizing material within a target material
US11342086B2 (en) Fuel channel isotope irradiation at full operating power
US9704605B2 (en) Storage, transportation and disposal system for used nuclear fuel assemblies
KR101522719B1 (ko) 가압경수로용 중성자선원 집합체
KR20210041275A (ko) Co-60 방사성 동위원소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타겟봉
US8625733B2 (en) Neutron source assembly
JP6039524B2 (ja) 核変換用集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速炉原子力発電システム
TWI769552B (zh) 模組化放射線同位素生產囊室及其相關方法
KR20230014534A (ko)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Venneri et al. Accelerators address nuclear waste problems
KR101955926B1 (ko) 중수로핵연료 중심 연료봉에의 Co-59 장입을 통한 Co-60 생산 방안
WO2000072329A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from fission of spent nuclear waste
KR102579265B1 (ko) 핵연료 집합체의 누름 볼잠금핀 구조를 적용한 안내관 삽입체
CA31123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static accelerator driven neutron generation for a liquid-phase based transmutation
US20200236767A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multiple laser compton scattering photon beams
KR102546534B1 (ko) 핵연료 집합체의 경사면 활용 록킹 구조를 갖는 헬멧형 안내관 삽입체
US20240006091A1 (en) Device for use in a fuel assembly of nuclear power pla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 material in a nuclear power plant
KR20220156285A (ko)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Matsuzaki et al. 99Mo production via 99Tc (μ−, ν) 99Mo reaction with recycled 99Tc
KR20230016985A (ko) 중성자 조사 표적봉 고정장치
TW202303635A (zh) 用作核燃料之具有複合同位素載體之材料的處理系統及方法
KR20220156286A (ko) 핵연료 집합체의 돌기 록킹 구조의 안내관 삽입체
TW202418300A (zh) 使用由電子中子產生器驅動之次臨界中子增殖以製造放射性同位素
Kim et al. Effect Analysis of Artificial Rare Earth Compound-based Neutron Absorber in Radiation Dose Rate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