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868A -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 Google Patents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3868A KR20230013868A KR1020210094880A KR20210094880A KR20230013868A KR 20230013868 A KR20230013868 A KR 20230013868A KR 1020210094880 A KR1020210094880 A KR 1020210094880A KR 20210094880 A KR20210094880 A KR 20210094880A KR 20230013868 A KR20230013868 A KR 202300138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plate
- guide
- trap
- catching
- small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20276 Aethina tumid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41000254173 Coleopt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claims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56844 Apis mell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341 ap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667 attr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1902 chemoattractant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780 Urtica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벌통에 설치되어 작은벌집딱정벌레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hive beetle trap installed in a beehive to attract and capture small hive beetles.
작은벌집딱정벌레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양봉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양봉농가에서 작은벌집딱정벌레가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주고 있다. Small beehive beetles cause great damage to the beekeeping industry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in Korea, small beetles occur in beekeeping farms, causing great economic losses.
도 1은 일반적인 벌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벌통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벌통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측을 덮는 뚜껑(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10)은 본체(11) 전방이 돌출되어 벌들이 날아와서 착지할 수 있는 착지판(10a)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11)에는 벌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소문(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b는 본체(11) 상부에 돌출된 돌출턱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beehive, which includes a
작은벌집딱정벌레는 일벌보다 작은 크기로 남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벌통의 소문(11a)을 통하여 꿀벌 봉군에 침입하여 벌통 내에 기생하면서 벌집에 다량의 알을 산란하고 유충은 성충이 될 때까지 약 2주간 벌집과 벌집 사이를 이동하며 꿀, 화분, 꿀벌의 알, 유충 등을 섭식함으로 꿀의 변성과 벌집의 파괴를 초래함으로 결국 봉군의 붕괴 또는 도거에 이르게 된다.Small hive beetles are smaller in size than worker bees and are native to South Africa. They invade honey bee hives through rumors (11a) of the hive, parasitize in the hive, lay large amounts of eggs in the hive, and the larvae live in the hive for about 2 weeks until they become adults. It moves between the nest and the hive and eats honey, pollen, bee eggs, larvae, etc., resulting in denaturation of honey and destruction of the hive, eventually leading to the collapse or departure of the hive.
작은벌집딱정벌레가 양봉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나 지금까지 이를 예방 및 퇴치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제공되지 않아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였다.The small hive beetle is causing enormous damage to beekeeping farms, but an effective method for preventing and eradicating it has not been provided so far, so countermeasures against it are urg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벌통에 설치되어 입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작은벌집딱정벌레가 포획되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p for trapping small beehive beetles installed in a beehive and trapping small beehive beetles entering through an inl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벌통의 소문에 설치되며,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안내 돌기가 구비되어 폭 방향을 따라 소문과 연통된 복수의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벌통 내에 위치하는 중공체이며 소문을 향하여 개구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하나 이상의 포획안내공이 형성된 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안내공은 소문의 하부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을 제공한다.For the abov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ehiv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guide passages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It is a hollow bod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guide unit and located in the beehive, and includes a capture unit in which one or more capture guide holes are formed so as to open toward the small intestine and become narrower toward the rear; The capture guide hole provides a small beehive beetle 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rumor.
상기에서, 포획안내공의 전방 단부에는 하향하는 하판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late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atching guide hole.
상기에서, 포획안내공은 폭 방향 적어도 일측 또는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하나 이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atching guide hole is further formed to open toward at least one side or rearward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에서, 포획부에는 포획안내공의 내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방해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tch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bstruction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nd of the catching guide hole.
상기에서, 포획부의 내측에는 제2포획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2포획부는 측방으로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a second trapping unit is further included inside the trapping unit, and the second trapp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pace formed with one or more openings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에서, 포획부는 결합되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은 판상의 하판본체와, 상기 하판본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향 돌출된 하판측부와, 서로 마주하는 하판측부의 단부에서 내향 경사 연장되어 쌍을 이루어 내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며 단부가 서로 이격된 포획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하판측부의 상부로 적층 구비되는 상판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상기 포획경사부가 포획안내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atch part is made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hat are coupled to form a space on the inside; The lower plate includes a plate-shaped lower plate body, a lower plate side portion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body and protruding upward, and an incliningly extending pair from an end of the lower plate side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gap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and the ends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cludes spaced capture ramps; The upper plate includes an upper plate body laminated on top of the lower plate sid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catching inclined portion is formed as a catching guide ho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상기에서, 상판본체는 하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상판턱부와, 상기 상판턱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단부가 소문을 지나 안내부까지 연장된 상판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폭 방향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안내부에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포획안내공은 연장부와 바닥판 그리고 폭 방향 양측의 연장부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으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upper plat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plate tuck portion formed in a downwardly bent form, and an upper plate extension portion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plate tuck portion and having an end extending to the guide portion through the lower part; The lower plate includes a bar-shaped extension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guide part; The catching guid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part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extension part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100)에 의하면 소문(11a)을 통하여 들어는 벌과 작은벌집딱정벌레가 분리되어 작은벌집딱정벌레가 포획되며, 포획된 후 탈출이 어려우며, 벌통 내부에 있는 작은벌집딱정벌레나 작은벌집딱정벌레 애벌레의 포집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제2포획부에 유인제를 놓아 안내부(110)를 분리하고 포획부(120) 만으로도 벌통 위 등에 놓아 작은벌집딱정벌레를 포획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mall
도 1은 일반적인 벌통을 도시한 뚜껑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이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이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내측 방향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beehive with a lid ope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ll hive beetle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eehive;
3 is an inwar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ll hive beetle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eehive;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mall hive beetle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describing the disclosure and are not select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disclosure.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including", "having",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y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in open-ended terms.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is applies to singular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claims as well.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Expression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capabl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other element, or a new or different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connected or combined via a compon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p for trapping small hive beet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이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이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내측 방향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p for trapping small hive beet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eehive,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p for trapping small hive beet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eehive in an inward direction, FIG.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ll hive beetle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A" 방향을 폭 방향으로, "B"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 direc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as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front-back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는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100)은 벌통본체(11)의 소문(11a)에 설치된다. 상기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100)은 벌집 바닥판(10) 상에 설치된다. 상기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100)은 안내부(110)와 포획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mall
상기 안내부(110)는 벌통의 소문(11a) 전방으로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안내부(110)는 소문(11a)의 일부를 가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110)는 제1안내부재(111)와 제2안내부재(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1안내부재(11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안내부재(111)는 판상의 제1안내본체(1111)와, 상기 제1안내본체(1111)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 형태의 제1측판부(1115)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1안내본체(1111)의 하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안내돌기(1113)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안내돌기(1113) 사이의 간격은 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예: 5㎜∼7㎜)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안내돌기(1113) 사이에는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소문(11a)과 연통된 벌이 출입하는 복수의 안내통로(110-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본체(1111)의 하부로 안내통로(110-1)가 형성되어 벌은 날개를 편 채 날아서 통과하지 못하고 착지판(10a)에 착지하여 기어서 안내통로(110-1)를 통하여 들어가게 된다. 작은벌집딱정벌레는 벌보다 작기 때문에 작은벌집딱정벌레도 착지판(10a)에 착지하여 기어서 안내통로(110-1)를 통하여 들어가게 된다. A plurality of
상기 제2안내부재(113)는 전후 방향 및 하방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안내부재(113)는 상기 제1안내부재(111)의 제1측판부(1115)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제2안내부재(113)는 판상이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출입공(1137)이 형성된 제2안내본체(1131)와, 상기 제2안내본체(113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 형태의 제2측판부(1133)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공(1137)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격벽(1135)에 의해 분리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2측판부(1133)는 제1측판부(1115) 내로 삽입되고, 제1안내본체(1111)와 제2안내본체(1131)는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1안내부재(111)의 상부 후방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113)의 상부 전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구비되어, 돌기가 홈에 삽입되어 제1결합부(115)를 형성하며 제1안내부재(111)가 제2안내부재(113)에 결합된다. The
상기 제1측판부(1115)의 외측으로 그 둘레를 따라 오목한 안내부홈(1116)이 형성된다. 안내부(110)는 벌통의 소문(11a) 전방으로 외부에 설치될 때 안내부홈(1116)은 벌통을 향하여 개구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으로부터 단부가 이격된다. 날아서 벌통에 앉은 작은벌집딱정벌레가 벌통 외면을 타고 기어서 안내부(110)의 외측을 통하여 들어가려고 할 때 안내부홈(1116)으로 들어가게 되어 벌통 안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A
상기 제2안내본체(1131)에는 폭 방향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설치공(1131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13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110)는 소문(11a)의 외측 양측에서 설치공(11311)에 나사로 벌통 본체(1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The
상기 포획부(120)는 상기 안내부(110)의 후방에 구비되어 벌통 내에 위치한다. 상기 포획부(120)는 중공체이며, 소문(11a)을 향하여 전방으로 개구된다.The
상기 포획부(120)는 상하로 결합되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판(123)과 상판(121)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하판(123)은 하판본체(1231)와, 하판측부(1233)와, 포획경사부(1235)와, 연장부(1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하판본체(1231)는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본체(1231)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하판본체(1231)는 사각형 판상인 것을 예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본체(1231)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하판경사부(12311)가 형성된다. The
상기 하판측부(1233)는 상기 하판본체(1231)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판측부(1233)는 하판본체(1231)의 전방에서 하판본체(1231)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다. The lower
상기 포획경사부(1235)는 서로 마주하는 하판측부(1233)의 단부에서 내향 경사 연장되어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포획경사부(1235)는 하판본체(1231)의 전방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하판측부(1233)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내향 경사 연장되어 구비된다. 단부가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포획경사부(1235)는 내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게 구비된다. 상기 포획경사부(1235)의 마주하는 내측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틈새(1237)를 형성한다. 상기 포획경사부(1235)는 하판본체(1211)의 폭 방향 및 후방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획경사부(1235)가 하판본체(1211)의 폭 방향 및 후방에 형성되면, 하판측부(1233)는 하판본체(1231)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다.The catching
상기 연장부(1234)는 상기 하판본체(1231)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234)는 하판본체(123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234)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234)의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1234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341)은 상기 안내부(110)의 하부에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11313)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11313)가 결합공(12341)에 삽입되며 포획부(120)가 안내부(110)에 결합된다.The
상기 상판(121)은 상기 하판(123)의 상부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판(121)은 상판본체(1211)와 상판측부(1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상판본체(121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판본체(1211)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판본체(1211)는 사각형 판상인 것을 예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본체(1211)는 하판측부(1233)의 상부로 적층 구비된다.The
상기 상판본체(1211)에는 전방으로 하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상판턱부(12113)와, 상기 상판턱부(1211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단부가 소문(11a)을 지나 안내부(110)까지 연장된 상판연장부(12115)를 포함한다.The upper plate
상기 상판측부(1213)는 상판본체(1211)의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판측부(1213)는 상판본체(1211)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판측부(1213)는 하판측부(1233)가 구비된 위치에서 하판측부(1233)의 두께만큼 내향 이격되어 구비된다.The top
상기 포획부(120)는 상판본체(1211)에 하향 연장된 돌기 형태의 상판결합부(12111)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본체(1231)에 상기 상판결합부(12111)가 구비된 위치에서 상향 돌출되며 상향 개구된 중공체인 하판결합부(12313)가 구비되어, 상기 상판결합부(12111)가 하판결합부(12313)에 삽입되며 상판(121)과 하판(123)이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포획부(120)는 상판(121)의 상판측부(1213)가 하판(123)의 하판측부(123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판(121)과 하판(123)이 결합된다. 상기 상판(121)과 하판(12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21)과 하판(123) 사이에서 상기 포획경사부(1235)가 포획안내공(120-1)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획안내공(120-1)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포획안내공(120-1)은 상기 소문(11a)을 향하여 개구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포획안내공(120-1)은 소문(11a)의 하부로 개구된다. 상기 포획안내공(120-1)은 상기 연장부(1234)와 바닥판(10) 그리고 폭 방향 양측의 연장부(1234)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으로 연통된다.In the
상기 상판(121)과 하판(123)이 결합되면, 상기 연장부(1234)의 높이에 의해 상기 상판연장부(12115)와 바닥판(10)은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판연장부(12115)와 연장부(1234) 및 바닥판(10) 사이에서 전방으로 개구된 단부의 높이는 벌은 통과할 수 없고 작은벌집딱정벌레는 기어서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벌은 벌통 전방에서 착지판(10a)에 착지하여 안내통로(110-1)와 출입공(1137)을 지나 상판연장부(12115)의 상부로 기어 들어가 벌통으로 들어가게 된다.When the
작은벌집딱정벌레는 착지판(10a)에 착지하고 바닥판(10)과 상판연장부(12115) 사이를 따라 기어 들어가고 하판경사부(12311)를 지나 포획안내공(120-1)을 따라 높이가 높아진 상판(121)과 하판(123)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The small hive beetle lands on the landing plate (10a), crawls along between the bottom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extension (12115), passes through the lower plate slope (12311), and increases in height along the capture guide hole (120-1). It enters the space between the
상기 하판경사부(12311)는 포획안내공(120-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작은벌집딱정벌레가 하판경사부(12311)를 기어 올라가 포획안내공(120-1)으로 안내되고 포획안내공(120-1)을 지나 포획부(120) 내측 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포획부(120)의 내측으로 들어간 작은벌집딱정벌레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포획안내공(120-1)의 구조로 인하여 다시 출구를 찾아 나오기가 쉽지 않게 된다.The lower
상기 포획안내공(120-1)은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획안내공(120-1)은 폭 방향 적어도 일측 또는 후방을 포함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하나 이상 더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catching guide holes 120-1 may b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ne or more catching guide holes 120-1 are further formed to open in at leas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r in one or more directions including the rear direction.
상기 포획안내공(120-1)이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혹시 포획부(120)로부터 빠져나온 작은벌집딱정벌레가 폭 방향과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포획안내공(120-1)을 따라 다시 포획부(120) 내측 공간으로 들어와 포획된다. 제2포획부 내에 유인제를 넣어 안내부(110)로부터 포획부(120)를 분리하여 벌통 위 등에 올려 놓으면 작은벌집딱정벌레를 포획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By forming a plurality of the trapping guide holes 120-1, the trapping guide holes 120-1 are formed so that the small hive beetles that have escaped from the
상기 포획부(120)에는 포획안내공(120-1)의 내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방해돌기(12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해돌기(1232)가 포획안내공(120-1)의 내측 단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한 번 포획안내공(120-1)을 통하여 들어온 작은벌집딱정벌레는 방해돌기(1232)로 인하여 포획안내공(120-1)의 내측 단부 개구부를 찾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다시 탈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The catching
상기 포획부(120)의 내측에는 제2포획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포획부는 포획안내공(120-1)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측방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포획부는 측방으로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2포획부돌기(1239)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포획부는 측방으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포획부 내에 유인제를 놓아 상기 포획안내공(120-1)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온 작은벌집딱정벌레를 제2포획부로 들어오도록 한다.A second catching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inside the catching
100: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110: 안내부
111: 제1안내부재
113: 제2안내부재
115: 제1결합부
120: 포획부
121: 상판
123: 하판100: small hive beetle trap
110: guide unit 111: first guide member
113: second guide member 115: first coupling part
120: catch part 121: top plate
123: lower plat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880A KR102686586B1 (en) | 2021-07-20 | 2021-07-20 |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880A KR102686586B1 (en) | 2021-07-20 | 2021-07-20 |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3868A true KR20230013868A (en) | 2023-01-27 |
KR102686586B1 KR102686586B1 (en) | 2024-07-18 |
Family
ID=8510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4880A KR102686586B1 (en) | 2021-07-20 | 2021-07-20 |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6586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86960A1 (en) * | 2016-04-28 | 2017-11-02 | Pühringer Thomas | Beehive and pest trap for said beehive |
KR101927724B1 (en) | 2017-06-22 | 2018-12-11 | 안병철 | Beehive stand for preventing and eliminating small hive beetle |
KR101931603B1 (en) * | 2017-08-10 | 2018-12-21 | 대한민국 | Trap for attracting harmful insect |
US20190313609A1 (en) * | 2018-04-12 | 2019-10-17 | Bruce Quentin Wallace | Small hive beetle trap and method of use |
KR200491892Y1 (en) | 2018-10-10 | 2020-06-25 | 대한민국 | Attraction trap for Aethina tumida |
KR102177520B1 (en) | 2018-12-11 | 2020-11-11 | 대한민국 | Larvae control trap against Aethina tumida |
KR20210052104A (en) * | 2019-10-31 | 2021-05-10 | 김종이 | the collect trap for a beehive pests |
-
2021
- 2021-07-20 KR KR1020210094880A patent/KR1026865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86960A1 (en) * | 2016-04-28 | 2017-11-02 | Pühringer Thomas | Beehive and pest trap for said beehive |
KR101927724B1 (en) | 2017-06-22 | 2018-12-11 | 안병철 | Beehive stand for preventing and eliminating small hive beetle |
KR101931603B1 (en) * | 2017-08-10 | 2018-12-21 | 대한민국 | Trap for attracting harmful insect |
US20190313609A1 (en) * | 2018-04-12 | 2019-10-17 | Bruce Quentin Wallace | Small hive beetle trap and method of use |
KR200491892Y1 (en) | 2018-10-10 | 2020-06-25 | 대한민국 | Attraction trap for Aethina tumida |
KR102177520B1 (en) | 2018-12-11 | 2020-11-11 | 대한민국 | Larvae control trap against Aethina tumida |
KR20210052104A (en) * | 2019-10-31 | 2021-05-10 | 김종이 | the collect trap for a beehive pes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6586B1 (en) | 2024-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6024B1 (en) | Wasp Capturing Device | |
US7632167B1 (en) |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 |
US6468129B1 (en) | Beehive bottom board for reducing parasite infestation | |
US20200396977A1 (en) |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 |
KR200446750Y1 (en) | The cool air sei·zure for preventing sliding door and panel structure | |
EP3372075A1 (en) | Wasp-capturing device | |
KR20230137563A (en) |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 |
KR101436571B1 (en) | Hive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on of entering larva of injurious insect | |
KR102686586B1 (en) |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 |
KR101979301B1 (en) | A Hornet Blocking Device Of Beehive | |
KR101934779B1 (en) |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 |
KR101979305B1 (en) | A Hornet Blocking Device Of Beehive | |
JP3203946U (en) | Control device | |
KR20240142027A (en) |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 |
KR102367609B1 (en) | Western Bee Catching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Native Bees | |
KR102147287B1 (en) | A Protection Device For Native Bee | |
KR102312757B1 (en) |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 |
KR200372161Y1 (en) | Wasp protector | |
US11304409B2 (en) | Murder hornet excluder | |
JP7085575B2 (en) | Bee trap. A bee trap that captures colonies and moves them to new hives. | |
KR102513825B1 (en) | Harmful Insect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 |
KR102704689B1 (en) | Wasp Removal Device | |
JP3220502U (en) | Hornet trap | |
KR200435146Y1 (en) | The catcher which catches and kills the wasp | |
KR20210145645A (en) | A breeding segregation board with automatic bee-breeding device on both si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